3.2.1. 소규모 사업장의 배출부하량이 높게 나타난 특정수 질유해물질 항목
소규모 사업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부하비중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3년(2012 ~ 2014)의 특정수질유해물질 항목별 부 하량 비율을 Fig. 2 ~ Fig. 4에 제시하였다.
Fig. 2. Specific water pollutant load ratio of small-scale workplace (2014).
Fig. 3. Specific water pollutant load ratio of small-scale workplace (2013).
Fig. 4. Specific water pollutant load ratio of small-scale workplace (2012).
Fig. 2는 2014년 결과로 구리, 납, 수은, 시안, 비소, 유기 인, 6가크롬, 카드뮴, 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E), 트리클로로 에틸렌(TCE), 페놀,
PCB, 셀레늄, 벤젠, 사염화탄소, 디클로 로메탄, 1.1_디클로로 에틸렌, 1.2_디클로로 에탄, 클로로폼, 다이옥산,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 릴, 브로모포름, 아크릴아미드 등 25개 항목이 배출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ME, 2016a). Cd, Hg, Benzen, 브로모포름, PCB, 아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사염화탄소 항목의 경우는 소규모 사업장의 부하 비중이 10 % 미만을
차지하고 있어 기여도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MOE, 2016a). 1.2_ 디클로로 에탄, 1.1_디클로로 에틸렌, TCE, 유기인, 납의 경 우는 소규모 사업장이 36.3 ~ 48.7 %를 차지하고 있어 대규
모 사업장과 거의 유사한 수준까지 도달해 있으며, 비소, 6 가크롬, 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E), 세레늄, 다이옥산, 디에 틸헥실 프탈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등 7개 항목은 57.2 ~ 81.5 %로 대규모 사업장에 비해 오히려 소규모 사업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E, 2016a).
Fig. 3은 2013년 결과로 구리, 납, 수은, 시안, 비소, 유기 인, 6가크롬, 카드뮴, 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E), 트리클로로 에틸렌(TCE), 페놀,
PCB, 셀레늄, 벤젠, 사염화탄소, 디클로 로메탄, 1.1_디클로로 에틸렌, 1.2_디클로로 에탄, 클로로폼 등 19개 항목이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E, 2016a). Hg, PCB 항목은 소규모 사업장의 부하 비중이 10 % 미만 을 차지하고 있어 기여도가 크지 않았으나 비소, 6가크롬, 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E),
트리클로로 에틸렌(TCE), 세레 늄, 1.2_디클로로에탄 등 6개 항목은 60 ~ 81.3 %를 차지하 고 있어 소규모 사업장이 주요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ME, 2016a).
Fig. 4는 2012년 결과로 구리, 납, 수은, 시안, 비소, 유기 인, 6가크롬, 카드뮴, 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E), 트리클로 로 에틸렌(TCE),
페놀, PCB, 셀레늄, 벤젠, 디클로로메탄, 1.1_디클로로 에틸렌, 클로로폼 등 17개 항목이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E, 2016a). 셀레늄, 디클로로메탄, 1.1_ 디클로로 에틸렌, 클로로폼, 페놀, 카드뮴 항목은 소규모 사업장의 부하 비중이 10 % 미만을 차지하고 있어
기여도 가 크지 않았으나 Hg, 트리클로로 에틸렌(TCE), 테트라클 로로 에틸렌(PCE), 유기인 등 4개 항목은 50 ~ 100 %를 차 지하고
있어 소규모 사업장이 주요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ME, 2016a).
3년간의 조사결과를 Table 1로 요약정리하였으며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규모 폐수배출시설이 주요 원인이 되는 특정수질유해물질군이 유사하게 나타나지 않고 연도 별로 상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소규모 폐수배출시 설이 특정수질유해물질의 주요 원인이 되는 오염물질군을 한정하기 어렵고 조사 시기에 따라 어느 항목이라도 주요 원인물질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특 정수질유해물질 전반에 대해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 링 시스템을 구축·유지할 할 필요가 있다.
Table 1. Emission ratio of small-scale workplace by specific water pollutant by year
2012
|
2013
|
2014
|
Pollutant
|
Load (kg/d)
|
% of small-scale workplace
|
Pollutant
|
Load (kg/d)
|
% of small-scale workplace
|
Pollutant
|
Load (kg/d)
|
% of small-scale workplace
|
Organic phosphorus
|
3.31
|
100.0
|
Se
|
3.26
|
81.3
|
DEHP
|
14.08
|
81.5
|
PCB
|
0.002
|
100.0
|
TCE
|
0.55
|
78.6
|
Acrylamide
|
0.11
|
79.6
|
TCE
|
0.03
|
75.0
|
As
|
0.74
|
73.3
|
Dioxane
|
28.39
|
76.0
|
Hg
|
0.04
|
50.0
|
PCE
|
0.3
|
69.8
|
PCE
|
0.32
|
74.4
|
Cr6+ |
0.76
|
43.9
|
1.2-Dichloroethene
|
0.33
|
63.5
|
As
|
0.62
|
70.5
|
PCE
|
0.01
|
25.0
|
Cr6+ |
3.05
|
60.0
|
Se
|
3.04
|
68.7
|
Pb
|
1.55
|
19.6
|
Organic phosphorus
|
0.28
|
33.3
|
Cr6+ |
3.26
|
57.2
|
Cu
|
24.93
|
19.0
|
Cu
|
37.17
|
28.9
|
1.2-Dichloroethene
|
0.35
|
48.7
|
As
|
0.12
|
10.9
|
Phenol
|
11.33
|
24.8
|
1.1-Dichloroethylene
|
0.15
|
43.9
|
Benzen
|
0.03
|
10.7
|
Pb
|
1.59
|
23.2
|
TCE
|
0.46
|
39.9
|
CN
|
2.79
|
10.0
|
Dichloromethane
|
0.38
|
22.0
|
Organic phosphorus
|
0.35
|
37.3
|
Cd
|
0.06
|
5.0
|
CN
|
4.28
|
18.6
|
Pb
|
1.78
|
36.3
|
Phenol
|
2.36
|
4.0
|
Chloroform
|
1.13
|
16.3
|
Cu
|
36.16
|
29.0
|
Chloroform
|
0.21
|
1.7
|
Benzen
|
0.03
|
12.5
|
Phenol
|
11.23
|
22.6
|
1.1-Dichloroethylene
|
0.01
|
1.5
|
Cd
|
0.71
|
11.4
|
Dichloromethane
|
0.48
|
19.2
|
Dichloromethane
|
0.14
|
0.8
|
Hg
|
0.03
|
8.8
|
CN
|
5.06
|
18.0
|
Se
|
0.01
|
0.5
|
PCB
|
0.003
|
3.3
|
Chloroform
|
2.51
|
16.6
|
|
|
|
|
|
|
Cd
|
0.63
|
9.9
|
|
|
|
|
|
|
Hg
|
0.03
|
8.7
|
|
|
|
|
|
|
Benzen
|
0.05
|
7.9
|
|
|
|
|
|
|
Bromoform
|
0.00
|
6.3
|
|
|
|
|
|
|
PCB
|
0.00
|
3.3
|
|
|
|
|
|
|
Acrylonitrile
|
0.03
|
2.7
|
|
|
|
|
|
|
Vinyl chloride
|
0.01
|
1.5
|
|
|
|
|
|
|
Carbon tetrachloride
|
0.00
|
0.0
|
3.2.2. 소규모 사업장의 배출부하량이 높게 나타난 특정유 해물질 항목의 배출수준
소규모 폐수배출시설의 배출부하량이 높게 나타난 특정 유해물질 항목의 대규모 폐수배출시설에 대한 상대적인 배 출수준을 Table 2에 제시하였다.
Table 2. Specific water pollutant items with high load in small-scale workplace
Year
|
SHSDL-SSW > SHSDL-LSW×1
|
SHSDL-SSW > SHSDL-LSW×2
|
SHSDL-SSW > SHSDL-LSW×3
|
SHSDL-SSW > SHSDL-LSW×4
|
2014
|
Cr+6,
|
AS, PCE, Se,
|
Dioxane, Acrylamide
|
DEPH
|
2013
|
Cr+6, 1.2_Dichloroethane
|
AS, PCE,
|
TCE
|
Se
|
2012
|
-
|
PCB
|
TCE
|
-
|
2014년 소규모 폐수배출시설의 배출부하량이 높게 나타난 특정유해물질 항목의 배출수준을 살펴보면 비소, 셀레늄, 테 트라클로로 에틸렌(PCE)은 소규모
폐수배출시설이 대규모 폐수배출시설의 2배 이상 높은 배출부하량 비율을 나타냈 고, 다이옥산, 아크릴아미드 등은 3배 이상, 디에틸헥실 프 탈레이트는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ME, 2016a).
2013년의 경우는 비소, 테트라클로로 에틸렌(PCE)은 소 규모 폐수배출시설이 대규모 폐수배출시설의 2배 이상, 트 리클로로 에틸렌(TCE)은 3배이상,
셀레늄은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ME, 2016a).
2012년의 경우는 PCB가 2배 이상, TCE가 3배 이상 높 게 나타났다(ME, 2016a).
특히 소규모 폐수배출시설이 3 ~ 4배 이상 높은 배출부하 량을 나타낸 항목의 경우는 향후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배출부하량 저감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