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수생태조사
수생태조사 지점별 분석기간의 평균 BOD5 농도와 기존 ESB 값은 거듭제곱 함수의 관계를 가지며 상관계수는 -0.66 이었다(Fig. 1a). TESB와 BOD5 농도 역시 거듭제곱 함수의 관계를 가지며 상관계수는 -0.67로(Fig. 1b) 기존 ESB와의 그것보다 경미한 수준에서 상관도가 높았다. BOD5 농도와 AESB는 대수적 비선형관계를 보였으며 상관도(r = -0.79) (Fig. 1c)는 BOD5 농도와 TESB의 상관도(r = -0.67)(Fig. 1b)보다 높았고 BOD5 농도에 대한 BMI(저서동물지수)의 상관도(r = -0.80)(Fig. 1d)와도 큰 차이가 없었다. BMI보다 AESB가 BOD5 농도에 대한 상관성이 약간 낮은 것은 ESB 산정 시 깔다구류의 환경질 점수를 표현형으로 분리하지 않고 과 수준에서 통합하여 부여한데 따른 차이
정도에 불 과하였다.
Fig. 1. Relationship between (a) original ESB, (b) TESB, (c) AESB, (d) BMI, (e) number of species, (f) diversity, H' and the concentration of BOD5in the 569 sites of SES during 2008 ~ 2014.
BOD5 농도에 대한 종수와 다양도지수(H')의 상관계수는 각각 -0.59(Fig. 1e)와 -0.65(Fig. 1f)로 BOD5 농도와 AESB 의 상관도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는 역으로 볼 때 수질 판정에 AESB의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시사하는 것 이다.
TESB는 BMI와 높은 상관도(r = 0.89)를 보였고(Fig. 2a), AESB는 BMI와 보다 높은 상관도(r = 0.98)를 보였다(Fig. 2b). AESB는 BOD5 농도와도 높은 상관도를 보이고 있으 므로 기존 ESB보다 수질평가에 대한 적용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AESB와 TESB의 관계도 높은 상관도(r = 0.91) 를 보였는데(Fig. 2c) 이는 환경질이 높은 종류들이 서식하 는 곳은 환경상태가 양호하여 종의 다양성도 높음을 의미 하는 것이다. TESB 값은 기존 ESB 값보다 컸는데
이는 환경질 점수를 5단계로 확장한데 따른 것이며 그 차이는 TESB 값이 높은 구간으로 갈수록 커졌다(Fig. 2d).
Fig. 2. Relationship between (a) TESB and BMI, (b) AESB and BMI, (c) AESB and TESB, (d) TESB and original ESB in the 569 sites of SES during 2008 ~ 2014.
종다양도와 종풍부도에 대하여 TESB와 AESB는 모두 고 도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Fig. 3a ~ 3d) 우점도 와는 고도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Fig. 3e ~ 3f). 또한 이들 군집지수에 대하여 AESB보다는 TESB의 상관 도가 현저히 높았는데, 이와 반면에 BOD5 농도에 대해서 는 TESB보다는 AESB의 상관도가 더욱 높았던 점을 고려 한다면 TESB는 군집의 다양성, AESB는 수질에 상대적으 로 더욱
민감한 지수라고 할 수 있다.
Fig. 3. Relationship between (a) TESB and H', (b) AESB and H', (c) TESB and R, (d) AESB and R, (e) TESB and DI, (f) AESB and DI in the 569 sites of SES during 2008 ~ 2014.
기존 ESB 평가는 6등급 체계인데, TESB 평가는 기존의 ‘다소불량’과 ‘다소양호’ 등급을 ‘보통’으로 묶어 5등급 체 계로 전환하였다(Table
5). 즉 중간수준으로 평가되는 상태 에 대해서는 그 질을 세분하지 않고 포괄하여 관리측면에 서 볼 때 단순히 예찰(monitoring)하는 대상으로
구분하고 자 한 것이다. TESB의 등급 경계치는 기존 ESB와의 회귀 식[Fig. 2d, ESB = 1.01(ESBold)1.04]에 기존 ESB에 대한 Table 2의 각 등급의 상한경계치를 대입하여 회귀 값을 구 하고, ‘매우불량’ 등급의 상한경계치를 제외하곤 가독성을 위해 5점 단위로 조정하여 설정하였다.
Table 5. Revised classification scheme of ESB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status
Scheme of original ESB
|
Scheme of TESB
|
ESB
|
Environmental status
|
Environmental status
|
Regressed value* |
TESB
|
≥81
|
Very good
|
Very good
|
|
≥95
|
61 ~ 80
|
Good
|
Good
|
96
|
≥70 ~ <95
|
41 ~ 60
|
Moderately good
|
Moderate
|
71
|
≥30 ~ <70
|
26 ~ 40
|
Moderately bad
|
13 ~ 25
|
Bad
|
Bad
|
29
|
≥13 ~ <30
|
≤12
|
Very bad
|
Very bad
|
13
|
<13
|
분석대상 569개 지점의 장기간 평균 BOD5, 부유물질 (TSS), 총인(TP) 농도(mg/L)와 AESB 값의 다중회귀 관계 는 식 8과 같이 나타났으며, 각 독립변수의 회귀계수와 변 수 간 분산도로 평가한 영향도는 BOD5 > T-P > TSS 순이었 다. 다중회귀의 결정계수는 0.65로 BOD5 농도와의 단순회 귀 시 0.62(Fig. 1c)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 는 수질항목 간에 높은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존재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강우로 인해 BOD5 농 도는 낮아지지만 부유물질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 또는 BOD5 농도와 관계없이 인산염인의 의례적인 유입으로 부 착조류가 과다번성한 경우는 모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의 생육에 저해를 주기 때문에 AESB 등급치
결정 시 3가 지 항목을 모두 고려하였다.
BOD5 등급치는 Sládeček (1973)의 체계를 변형한 배수 체계로 구분하였다(Table 6). 총인 농도는 OECD (1982)의 영양상태 판정기준(< 0.01 mg/L: oligotrophic, 0.01 ~ 0.035 mg/L: mesotrophic, 0.035 ~ 0.1
mg/L: eutrophic)과 하천의 생활환경기준의 ‘약간 나쁨’ 등급의 경계치인 0.3 mg/L를 적용하여 구분하였다. 부유물질 농도는 A등급의
농도를 2.5 mg/L로 설정하고 배수 체계로 등급화하였다. 각 등급의 AESB 값은 각 수질항목의 등급치를 식 (8)의 다중회귀식 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Table 6. Scheme of AESB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BOD5, TSS and TP concentration
Class
|
BOD5 (mg/L)
|
TSS (mg/L)
|
TP (mg/L)
|
AESB* |
A
|
1
|
2.5
|
0.010
|
3.7
|
B
|
2
|
5.0
|
0.035
|
3.1
|
C
|
4
|
10
|
0.100
|
2.6
|
D
|
8
|
20
|
0.300
|
2.1
|
이상의 결과를 조합한 환경상태 등급별 TESB와 AESB의 기준치는 Table 7과 같다. 두 지수 모두 기준치 이상일 경 우 해당 등급의 환경상태로 판정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 는 영국의 GQA 시스템에서 두 EQI의 지수치가
모두 기 준에 부합되어야 하는 평가체계와 같은 맥락을 가진 것이 다. 환경상태(Environmental status)는 매우양호(very good),
양호(good), 보통(moderate), 불량(Bad), 매우불량(Very bad) 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지역관리(Area control) 권고수준은
각각 우선보호(Priority protection), 보호(Protection), 예찰 (Monitoring), 복원(Restoration), 우선복원(Priority
restoration) 으로 설정하였다.
Table 7.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revised ESB and the recommendation of area control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status and the water quality standard
Class
|
Environmental status
|
ESB
|
Ecological description and area control recommendation
|
TESB
|
AESB
|
Species richness
|
Water quality* |
Area control
|
A
|
Very good
|
≥95
|
≥3.7
|
Very high
|
Ia
|
Priority protection
|
B
|
Good
|
≥70
|
≥3.1
|
High
|
Ib
|
Protection
|
C
|
Moderate
|
≥30
|
≥2.6
|
Moderate
|
II
|
Monitoring
|
D
|
Bad
|
≥13
|
≥2.1
|
Low
|
III
|
Restoration
|
E
|
Very bad
|
<13
|
<2.1
|
Very low
|
IV-VI
|
Priority restoration
|
Fig. 4는 Table 7의 기준에 따라 수생태조사의 7,086개 표본단위에서 도출된 TESB와 AESB 값을 복합하여 평가한 결과에서 나타난 환경상태의 각 등급별 BOD5 농도의 분포 와 다양도지수의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TESB와 AESB의 복합평가에 의한 등급별 BOD5 농도의 분포는 대수정규분 포의 형태로 나타났고(Fig. 4a), 다양도지수의 분포는 등급 별로 편포(skewed)하는 방향과 정도가 달랐다(Fig. 4b).
Fig. 4. Distribution of (a) BOD5concentration and (b) Shannon-Weaver's H' according to each class of ESB in the 7,086 sampling units of SES during 2008 ~ 2014.
BOD5 농도의 분포는 A 등급으로부터 하위등급으로 갈수 록 최빈수가 고농도 쪽으로 이동하고 첨도가 낮아지며 분 산도가 커졌다. 등급별 90 백분위수는 A가
1.2 mg/L, B가 1.8 mg/L, C가 2.9 mg/L, D가 5.0 mg/L, E가 6.3 mg/L로 A ~ D 등급까지는 각각 하천 생활환경기준의
I ~ IV등급의 하 한경계치에 대략적으로 부합된다. 예를 들어 ESB의 평가결 과가 C 등급이면 수질의 90 % 이상이 II등급 수준이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BOD5 농도의 분포는 등급 간에 중첩되는 정도가 컸으나 다양도지수는 ESB 평가등급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양도지수의 분포는 상위등급으로
갈수록 최빈수가 고다양도 쪽으로 이동하고 첨도가 커지며 분산도 가 낮아졌다. 등급별 최빈수(90 % 신뢰구간)는 A가 3.7(2.6 ~ 4.2),
B가 3.4(2.3 ~ 4.0), C가 2.7(1.6 ~ 3.6), D가 1.9(0.9 ~ 2.9), E가 1.1(0.4 ~ 2.3)이었다. 다양도지수의
최빈수를 기준 으로 한다면 A 등급과 B 등급은 Staub et al. (1970)의 기 준에 따라 빈부수성, C는 베타중부수성, D는 베타중부수성 에 가까운 알파중부수성, E는 강부수성에 가까운 알파중부 수성이라 할 수 있다.
Fig. 5는 Table 7의 기준에 따라 수생태조사의 7,086개 표본단위에서 도출된 TESB와 AESB 값을 복합하여 환경상 태를 평가한 것이다. AESB의 등급경계선은
TESB와 AESB 의 회귀선의 아래에 위치하여 대부분의 지점은 AESB보다 는 TESB의 값에 의하여 환경상태의 등급이 결정된다. 즉 수질을 반영하는
AESB는 환경상태의 판정에서 TESB를 보완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례로 어떤 지점이 상대적으로 더욱 큰 표본크기로 조사되어 TESB
값 이 수질과 관계없이 지나치게 크게 나타나는 경우 AESB가 평가의 왜곡을 바로 잡을 수 있다.
Fig. 5. Assessment of environmental status using TESB and AESB in the 7,086 sampling units of SES during 2008 ~ 2014.
개정된 기준안을 통해 도출된 환경상태 등급의 비율은 기존 ESB의 평가체계에 의한 결과와 비교할 때 ‘매우양호’ 와 ‘보통’의 비율이 약간 작아지고
다른 등급의 비율이 약 간 커졌지만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Fig. 6).
Fig. 6. Frequency of environmental status evaluated by original ESB and new ESB in the 7,086 sampling units of SES during 2008 ~ 2014.
개정된 지수를 2014년 “하천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 강성 평가”의 949개 유효 조사지점의 1,900개 표본단위의 자료에 적용한 결과, TESB
값은 정적편포(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하는 반면 AESB 값은 부적편포(negatively skewed distribution)하였다(Fig.
7). 이는 높은 값의 TESB 구간에서 는 AESB 값이 변별력이 크지 않은 비슷한 수준의 큰 값을 보이는데서 비롯된 것이다. 와이블모형으로부터 계산된
TESB의 평균값은 52, AESB의 평균값은 3.2였으며 최빈수 는 각각 27과 3.4였다.
Fig. 7. Distribution of (a) TESB and (b) AESB in the 1,900 sampling units of 949 sites of SES in 2014.
2014년 수생태조사 자료에서 AESB 단일 기준으로 평가 된 환경상태 등급(Fig. 8b)과 BMI에 의한 평가 등급(Fig. 8a)은 B 등급 이상이 모두 60 % 수준으로 나타나는 등 유 사한 경향을 보였다. 즉 수질 등급을 기반으로 도출된 AESB와 BMI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등급 분포를 보였지만 수질항목 각각에 대한 반응이 AESB와 BMI가 차이가 있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Fig. 8. Distribution of (a) BMI, (b) AESB, (c) TESB, (d) ESB in the 1,900 sampling units of 949 sites of SES in 2014.
TESB 단일 기준으로 평가된 환경상태는 ‘보통’ 등급의 비율이 가장 높은 종형의 분포를 보였다(Fig. 8c). TESB와 AESB의 복합 기준으로 평가된 환경상태는 TESB 단일 기 준의 평가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매우양호’ 등급의 일부분 이 ‘양호’
등급으로 이동하고, ‘보통’과 ‘불량’ 등급의 비율 이 ‘매우불량’ 등급으로 이동되면서 다소 저평가되는 결과 를 보였다. TESB와 AESB의 복합기준의
평가결과와 TESB 단일 기준의 평가결과가 유사한 것은 Fig.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AESB에 비해 TESB가 평가에 우선하기 때문이 고, 복합기준의 결과가 다소 저평가되는 것은 AESB의 판 정결과가 보완되기
때문이다.
3.2.2. 자연환경조사
Fig. 9는 2006 ~ 2012년간 자연환경조사의 5,576개 지점에 서 나타난 ESB와 AESB의 분포로서 그 경향은 수생태조사 의 그것과 같았다. 와이블모형으로부터
계산된 평균 TESB 값은 50, 평균 AESB 값은 3.3으로서 수생태조사의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최빈수는 각각 20과 3.6으로 자연생
태조사의 TESB 최빈수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Fig. 9. Distribution of (a) TESB and (b) AESB in the 5,576 sites of NES during 2006 ~ 2012.
Fig. 10은 자연환경조사에서 나타난 TESB와 AESB의 관 계이다. 수생태조사의 결과(Fig. 5)와 비교할 때 회귀식은 거의 같지만 자연환경조사의 결정계수(R2 = 0.56)가 수생태 조사의 그것(R2 = 0.69)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차이는 양 모니터링 사업에서 조사방법의 구체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 에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Fig. 10. Assessment of environmental status using TESB and AESB in the 5,576 sites of NES during 2006 ~ 2012.
이상의 평가를 통해 도출된 환경상태 등급은 기존의 ESB 평가체계에 의한 평가결과와 비교한다면 ‘보통’의 비 율이 작아지고 그 부분이 다른 등급으로
분산되는 경향을 보였다(Fig. 11).
Fig. 11. Frequency of environmental status evaluated by original ESB and new ESB in the 5,576 sites of NES during 2006 ~ 2012.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Table 7의 개정 ESB 평가 체계가 수생태조사 자료로부터 도출되었다는 점이다. 해당 조사 사업은 여울부에 대한 정량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있 으며 지침으로
정해진 조사방법이 정성조사를 위주로 하는 자연환경조사와 다르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표본크기에 따라 ESB의 값은 크게 영향을 받는데 조사방법
특히 표본 크기가 다른 두 조사사업의 평가 결과의 차이에 대한 검토 가 필요하다.
조사체계가 다른 두 사업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양자에 일관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필요한데 이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 AESB라 할
수 있다. 즉 표본크 기가 커지면 채집되는 종이 많아져 TESB 값은 증가하지만 채집된 생물들의 내성도의 평균치는 큰 차이가 없다. 이는 지표 생물군의
비율을 고려하는 지수인 BMI나 EPT 등에 서도 일반적인 사항이다(Kong and Kim, 2015b).
AESB와 TESB가 거듭제곱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양 조사 사업에서 같은 환경상태를 가진 지점에서는 동일한 AESB가 나타난다고 가정하면 양 사업에서
나타나는 TESB의 관계 는 식 (11)과 같다.
Fig. 12는 이상의 방법으로 두 조사사업에서 나타난 TESB 의 관계를 추정한 것이다. 그림의 산포 점은 AESB를 0.3 단위로 증분하면서 각 급구간(class
interval)에서 나타나는 수생태조사의 평균 TESB와 해당 구간의 a, b 값으로 추정 된 자연환경조사의 추정 TESB 값에 해당한다. 그 결과 TESB가 약 50 수준까지는 자연환경조사의 TESB 값이 더 크고 TESB가
50을 넘는 구간에서는 수생태조사의 TESB 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Fig. 12. Relationship between TESB of SES and TESB of NES estimated with AESB.
이처럼 표본크기가 다른 조사사업에서 ESB를 평가하고 비교하는 것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고 불확실성도 높 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 수생태조사의
자료를 기반으로 ESB 평가체계를 제시한 것은 지표 분류군의 내성치가 장 기적인 수질자료가 병행된 수생태조사를 통하여 제시되었 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질
점수를 결정하였기 때문이다. ESB 지수는 표본크기를 비롯한 조사방법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Table 7의 기준 표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공 고한 해당 조사지침에서 정한 조사방법(30 × 30 cm 서버네 트, 여울부 3회 정량조사)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평가할 때 에 적용할 수 있다.
현재 자연환경조사는 수생태조사와 비교할 때 조사 대상 지역이 정수역을 일부 포함하고 있고, 조사정점도 여울로 특정하지 않고 다양한 서식처를 고려토록
하고 있으며, 대 체로 정성적인 방법으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조 사방법의 차이에 따라 자연환경조사의 ESB 평가를 위해서 는 정수역 생물종에
대한 환경질 점수를 보완함은 물론 해 당 조사방법에 부합하는 평가표를 새로이 만들어야 한다. 그 이유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사방법이 다를 경우
평가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자연환경조 사 사업에서 수환경의 상태를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는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물리화학적인
환경상태와 생물군 집을 동시 조사하고 통일된 표본크기와 표준화된 조사방법 을 전제로 한 새로운 평가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