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희
(Mi-hee Kim)
지화성
(Hwa-seong Ji)
조정구
(Jeong-goo Cho)
조순자
(Sunja Cho)
*†
-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Department of Micro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Cryptomonads, Molecular approach, Red tide, Tidal river, Water quality
1. Introduction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발생은 하절기에 해양뿐만 아니라 하천에서도 흔히 발생하는데, 지난 수년 간 겨울철과 봄철 에도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발생으로 물빛이
붉게 변하는 현 상이 국내 연안이나 하구에서 종종 발생하고 있다(NIFS, 2007). 발생지역도 광범위하여져서 금강유역 외에도 울산의 태화강, 포항의 형산강과 같은 남동해에 위치한 감조하천의 하류부에서도 보고가 되고 있다(Lee,
2009; Sohn et al., 2013). 이러한 현상은 도시 하천 내 존재하는 영양염류가 조석에 의해 바다로 재빨리 나가지 못하는 정체 특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NIFS, 2007), 적조로 인한 악취발생 은 인근주민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도시의 미관 을 해치며, 장기화 될 경우 연안주변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한편 온천천은 생태시민공원이 설치되어 부산시민이 1일 평균 4,000 ~ 6,000명이 이용할 정도로 활용도가 높은 부산 도심내의 대표적인 하천으로서,
총 길이 15 km 중 약 4 km 정도가 조석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 구간을 포함하고 있 다(RIMGIS, 2004). 지리적으로는 금정구, 동래구와 연제구 의 3개의 지역구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특성으로는 거제천, 사직천, 안락천 등 14개 소하천이 주거지역
및 상 업지역을 형성한 지역 사이를 흐르면서 연결되어 있다. 하 류부의 지형적 특성으로는 하상경사가 1/1,400로 다소 완만 하며, 온천천의 하류부는
수영만과 연결되어 있어 부산의 해운대와 광안리 연안에 이르게 되는데, 1990년대 초 수영 하수처리장 건설로 인해 하천의 흐름이 인위적으로 직선화
된 형태로 구조적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온천천 하류부에 유입된 영양염류가 하상특성에 따른 완만한 유속이외에도 조석의 영향을 보다 직접적으로 받게
됨에 따라 바다로 쉽 게 영양염류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정체수역의 특성이 가중 되었다(Ham et al., 2007). 이러한 온천천의 유역 특성으로 인해 2010년부터는 해마다 동절기에 조석의 영향을 받고 있는 구간인 하류부에서 은편모조류에 의한 적조가 발생하
고 있다(Kim et al., 2014). 광영양 은편모류 대부분은 무독 성이지만 먹이망에 의해 Mesodinium ruburum과 더불어 설 사성 패독을 유발하는 Dinophysis acuminata를 유도할 수 있으며(Shin et al., 2016) 또한 대량 번성으로 물색을 적갈 색으로 변하게 하고 악취가 발생할 수 있어 시민들로 하여 금 심미적 불편을 느끼게 하고 수질오염사고로 오인하게
만들어 불안감을 조성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동절기에 온천천의 적조를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 생물을 규명하고, 그 발생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이들의 제어 대책 마련에 있어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하여, 적조가 발생된 지역의 시료로부터 적조 원인생물을 형태학적으로 현미경 관찰을 한 후, 분자생물학 적 기반의
유전자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계통분석 및 분 류·동정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자생물학적 접근은 그동안 의 현미경 검경을 통한 조류의 동정이나 분류에
비해 실험 자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고, 출현시기와 환경조건에 따라 형태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지 않는 조류에 대해서 동 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 나 세균과는 달리 조류의 경우 분자생물학적 기존 데이터 베이스가 빈약한 데, 본 연구의 동정 결과는 이들 출현환
경의 물리·화학적 환경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함으로써 적 조유발생물에 대한 수생태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으로 판단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대상 및 시료채취
부산광역시 온천천 하류는 조석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 구간으로 2010년 이후 해마다 동절기에 적조가 발생하여 물색이 적갈색으로 변하고 있다. 온천천
하류에서 특히 적 조가 많이 발생하는 구간 중에서 상대적으로 상류부위인 이섭교 지점(St 1, 35° 11' 35.98" N/129° 5' 31.82"
E, 하천 폭 24 m)과 2 km정도 아래인 수영강과 합류하는 지점(St 2, 35° 11' 21.24" N/129° 6' 51.28" E, 하천폭
72 m)을 조사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였다(Fig. 1).
Fig. 1. The St 1 and St 2 on the right image indicates the sampling points. The box region on (a) included Oncheon stream is magnified on (b). The bar on (a) and on (b) indicates a distance of 10 kilometers and 1 kilometer in the order. (map origin: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8).
시료는 연구기간인 2015년 2월 2일에서 2015년 4월 30 일까지, 그리고 2015년 12월에서 2016년 5월 초까지의 기 간 중 매주 1회(총
28회) 실시하였으며, 2 L의 채수기를 통 해 표층수를 채수하였다.
2.2. 연구방법
2.2.1. 적조 원인생물의 형태학적 동정 및 계수
적조 원인생물의 동정 및 계수를 위하여 현장에서 채수 한 시료 2 L 중 1 L를 별도의 용기에 옮겨 Lugol 용액으로 고정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시료 내 세포수에 따라 희석 혹은 원수 그대로 48시간 이상 자연 침강의 방식으로 농축하여 세포의 수가 검경을 통해 개수에 적절한 농도(10 ~ 40
cells/현미경 시야)가 되도록 조절한 후, 시료 1 mL를 취하여 Sedgwick-Rafter chamber에 골고루 분산시킨 다음, 현미경(CARL
ZEISS, DE/Axio Imager)을 이용하여 200배 에서 1,600배의 배율로 검경하여 형태적 관찰 및 계수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때,
관찰된 식물플랑크톤의 형태학 적 동정은 담수조류도감 등을 참고하였다(Graham et al., 2010; Jeong, 2006; Wehr and Sheath, 2003).
2.2.2. 적조 원인생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본 연구기간 중 현미경 관찰을 통해 관찰된 우점종은 형 태적으로 동일한 종으로 판단되었으며, 분자생물학적 동정 을 위하여 2016년 3월과 4월에
채수한 시료 4개를 농축한 바이오매스(약 500 mg)로부터 DNA추출 kit(FastDNA SPIN Kit for soil, MP bio)를 이용하여
genomic DNA를 각각 추 출하고 이들을 혼합하였다.
추출 혼합된 genomic DNA는 적조 원인생물체의 계통 학적 분류 동정을 위하여, 형태학적으로 이미 추정된 cryptomonads계 조류의 분리동정을
더 명확하게 할 수 있 도록 선별된 유전자 부위를 증폭하기 위한 중합효소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서 주형으로
사용되 었다. 이 때 선별된 부위는 28S rRNA 유전자 부위(LSU, large subunit), ITS2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영역 그리 고 엽록체의 광합성 중심단백질 psbA 유전자 부위이다. 상 기의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증폭시킬 수 있는 primers
를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primer-set의 정보는 Table 1에 나 타내었다(Choi et al., 2013).
Table 1. Information from PCR primers and their nucleotide sequences
Target DNA
|
Primers
|
Nuceotide sequence (5’→3’)
|
Reference
|
nuclear ITS2
|
crITS_03F crITS_05R
|
CGA TGA AGA ACG YAG CGA TAC TTG TTC GCT ATC GGT CTC T
|
Choi et al. (2013) |
partial LSU rDNA
|
crLSU_29Fb crLSU_942R
|
TGA ACT TAA GCA TAT CAA TAA GCG G GGA AAC TTC GGA GGG AAC
|
Choi et al. (2013) |
Chloroplast psbA
|
psbA_F psbA_R2
|
ATG ACT GCT ACT TTA GAA AGA CG TCA TGC ATW ACT TCC ATA CCT A
|
Choi et al. (2013) |
PCR반응에서 증폭된 DNA는 정제된 후, T-blunt PCR cloning kit(BIOFACT, Korea)를 사용하여 각 유전자별 clone
library를 구축하였다. 각각의 유전자 clones 중 20개 이상의 clones이 임의로 선정되었고, T-blunt 벡터에 삽입된 DNA부위
는 염기서열분석을 의뢰(마크로젠, www.macrogen.co.kr)하여 유 전자 염기서열을 얻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때, blast search를 통해 chimera를 형성한 PCR산물은 제거되었으며, 나
머지 결과로 얻어진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은 Mothur program을 통 해 clustering(염기서열 상동성 99 %)을 하여 OTU(operational
taxonomic unit)를 얻었다. OTU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NCBI 에서 blast search를 통해 가장 근연도가 높은 염기서열을 찾고,
이들의 염기서열과 OTU의 염기서열을 함께 Clustal W를 통해 align을 한 후, Mega 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 통도를 작성하였다. 이
때, 분석에 사용한 OTU의 염기서열 은 GenBank에 accession number로서 LC259099와 LC259100 으로 보관되었다.
2.2.3. 수질분석
2015년과 2016년 겨울시기에 일주간 단위로 총 28회 채수 된 물은 아래 각 수질 항목에 대하여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에 따라 수질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온, pH,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 전기전도도(electronical conductivity, EC), 염분 (salinity)의
농도는 현장측정기(YSI-556MPS, USA)를 이용하 여 현장에서 채수 즉시 측정하였다. 그리고 생물학적 산소요 구량(biolog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OD) 및 총부유물질량(suspended solid, SS)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총유기탄소(total oxygen carbon, TOC)는 TOC 분석기(TOC-L CPH, Shimadzu,
Japan), 총질소(total nitrogen, T-N)와 총인 (total phosphorus, T-P)는 총인총질소분석기(JP/AACS, Germany/Bltec),
그리고 chl-a는 분광광도기(UV/spectrometry, Cary100, USA/Varian)를 이용하여 각각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2.2.4. 부영양상태 평가
채수지점의 부영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OD, T-P, chl-a의 수질 결과를 이용하여 한국형 호소부영양화평가지 수(TSIko)를 산출하였다(Ahn et al., 2013).
2.2.5. 통계분석
이상의 모든 수질분석 결과의 통계처리와 crytomonads 세포수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간의 상관성은 SPSS(ver. 10.0 for Eindow)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적조 원인생물
3.1.1. 적조 원인생물의 개체수 및 형태학적 동정
온천천의 적조는 주로 12월 중순에 시작되어 1월에서 3월 사이에 최대 개체수를 보이다가 4월 이후에는 적조생물 개 체수가 줄어들면서 서서히 소멸하는
주기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가 진행된 2015년 초에서 2016년 초의 2년에 걸 친 동절기에 발생한 온천천 적조의 주요 원인종은 세포의 크기와 형태로 볼 때, 세포의
길이와 폭이 각각 9 ~ 25 μm, 5 ~ 15 μm의 세포크기를 가지면서 약간 다른 길이의 1쌍의 편모에 의해 매우 활발히 움직이는 은편모조류(cyptomonads,
갈색편모조강)에 속하는 생물종으로 분류되었는데(Fig. 2), 그 중에서도 개체수의 95 %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은 Rhodomonas sp. 또는 Teleaulax sp.로 추정되는 상대적으 로 크기가 작은 집단(길이 9 ~ 15 μm, 폭 5 ~ 9 μm)이었으며, 다소 크기가 큰 cyptomonads(길이
20 ~ 25 μm, 폭 9 ~ 15 μm) 들도 5 % 내외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그 외 적조를 유발시키는 Mesodinium, Eutreptia, Trachelomonas 속에 해당하는 생물종도 극히 소수로 관찰되었다.
Fig. 2. The organisms shown as the images were observed on different sampling date of Mar. 25 in 2015 (a), Dec. 15 in 2015 (b) and Mar. 3 in 2016. The length of the bar in the images is 10 μm.
3.1.2. 적조 원인생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결과
조류의 계통분류에 이용되는 유전자들을 증폭하여 얻어 진 염기서열의 결과를 토대로 적조생물종의 계통분석을 실 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우선, ITS2유전자 clones들로부터 얻은 유전자 염기서열 을 기존에 등록된 유전자 pool과의 blast search한 결과에 의 하면, 자낭균류에
속하는 곰팡이류 1종과는 높은 coverage와 유사성을 보여주는 것이 있었으나, 조류의 염기서열과는 유 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한편, 리보솜의 28S rRNA 유전자 부위(LSU 부분유전자) 를 가진 clones의 경우에는 chirmera를 형성한 clones을 제외 하고는
총 9개의 clones을 얻어졌으며, psbA유전자의 PCR산 물로부터는 총 16개의 유효 clones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두 유전자군으로부터
얻은 유효 clone들은 99 %의 염기서열 homology를 cut-off범위로 clustering하였을 때, 각각의 유전 자에서 1개의 OTU(A13과
C1으로 Fig. 3에 표기됨)로 묶여 졌다. 이는 유전자 증폭산물이 우점한 동일종 유래임을 의미 하며 이들 OTU의 염기서열을 Mega 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통도를
작성한 결과를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3. Phylogenetic trees were constructed using partial 28S rRNA gene (a) and chloroplast gene (b) sequences, employ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The bar indicates a Jukes-Cantor distance of 0.05 (a) and 0.02 (b).
우선 LSU유전자(OTU A13)의 염기서열을 NCBI의 Blast search를 통해 alignment를 한 경우에는 기존 database와 상
동성이 95 % 이상 되는 염기서열로는 분류가 정확하게 되 지 않는 crytophyta의 일종인 것으로 분류가 되었다(Fig. 3a). 반면에 psbA 유전자의 경우에는 본 연구의 OTU C1의 염기 서열이 Teleaulax amphioxeia의 psbA와 98 %의 염기서열 상동성(100 % 염기서열 coverage)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 는 국내에서 출현한 바가 있는 형태적으로 상호
유사한 Cryptomonas (Choi et al., 2013; Sohn et al., 2013)를 비롯 한 Cryptophyta에 속하는 속들의 psbA 유전자들과 재 alignment에 이용되었으며, 그 결과를 Fig. 3(b)의 계통도에 제시하였다.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기존의 염기서열 정보 와 비교 시 온천천 유래의 생물종은 Fig. 3(a)의 결과를 통해서 는 Cryptophyta아문에 속하면서 Rhodomonas속과 근연종임을 알 수 있었고, Fig. 3(b)에 의해서는 동일한 Pyrenomonadales 목에 속하면서 Rhodomonas속과는 다른 분류군의 Teleaulax속 에 해당하는 생물종으로 분류되어,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과 2016년도 온천천 적조 원인조류를 Teleaulax sp. OC1으 로 명명하였다.
연구기간 중 수온은 St 1지점이 2.9 ~ 12.8 °C, St 2지점은 7.3 ~ 16.7 °C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17 °C 이상이 되는
봄 철에는 적조가 점차 소멸되는 점으로 보아 저온에 잘 적응 하는 종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 실은 본 연구에서 우점종으로
동정되었던 Teleaulax속이 15 °C를 최적배양온도를 가지며 15 °C 이상에서는 온도가 상 승할수록 생물량이 감소한다는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MAFRA, 2012)의 연구내용과 잘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현미경 검경결과, 형태상으로 Teleaulax속인지 Rhodomonas속의 종인지 구별이 어려웠는데, 상기의 분자생물 학적인 결과뿐만 아니라 Rhodomonas sp.는 20 °C 이상에서 도 더욱 잘 자란다는 보고(Baek and Joo, 2012)가 있어 온 천천 적조원인생물이 생태환경적 특성으로도 Teleaulax속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살펴본다면 cryptophyta아 문의 적조생물종의 분자생물학적 분류에 있어 보다 더 구 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전자군으로는,
ITS2유전자 암호부위나 LSU 유전자 암호 부위보다는 psbA 유전자 부 위가 더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3.2. 물리 화학적 수질분석결과
연구기간 총 28회 채수한 시료로서 cryptomonads의 세포 수 및 다양한 물리·화학적 수질항목(수온, pH, DO, BOD, COD, SS,
EC, TOC, T-N, T-P, chl-a의 농도)에 대한 수질 을 분석한 후, 각 항목 당 최저, 최대값 및 평균값을 정리 하여 Table 2에 제시하였다.
Table 2. Results from the cell numbers of cryptomonads and physiochemical water quality
Site
|
|
crypto. (cells/mL)
|
Temp. (°C)
|
pH
|
DO (mg/L)
|
BOD (mg/L)
|
COD (mg/L)
|
SS (mg/L)
|
EC (μs/cm)
|
TOC (mg/L)
|
T-N (mg/L)
|
T-P (mg/L)
|
chl-a (mg/m3)
|
|
St 1
|
Avg.
|
15,598
|
9.7
|
7.3
|
10.1
|
6.6
|
5.7
|
9.1
|
3287
|
2.7
|
3.993
|
0.238
|
25.6
|
Min.
|
0
|
2.9
|
6.6
|
0.8
|
2.2
|
2.2
|
3.3
|
256
|
1.8
|
2.462
|
0.060
|
0.8
|
Max.
|
188,800
|
17.6
|
8.6
|
16.8
|
24.1
|
16.4
|
27.6
|
15,836
|
6.3
|
9.693
|
1.064
|
188.3
|
|
St 2
|
Avg.
|
28,711
|
12.2
|
7.3
|
8.6
|
7.7
|
9.6
|
11.9
|
22,772
|
2.8
|
4.074
|
0.258
|
47.8
|
Min.
|
0
|
7.2
|
6.5
|
2.0
|
1.1
|
3.9
|
5.2
|
2,849
|
1.7
|
2.380
|
0.096
|
1.3
|
Max.
|
212,000
|
19.7
|
8.6
|
8.6
|
23.4
|
18.8
|
28.7
|
43,922
|
4.9
|
6.756
|
0.619
|
281.0
|
연구기간 동안 St 1 지점의 경우 적조생물은 0 ~ 188,000 cells/mL(평균개체수 15,598 cells/mL), 그리고 St 2 지점의
경우에는 0 ~ 212,000 cells/mL(평균개체수 28,711 cell/mL) 의 개체수로 St 1보다 St 2지점에서 약 2배가량 높은 수로
관찰되었다.
수온의 경우 St 1지점이 2.9 ~ 12.8 °C, St 2지점은 7.3 ~ 16.7 °C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St 1과 St 2 지점간에는 평
균온도로서 2 °C 이상의 온도차가 있었는데, 이것은 St 2지 점이 St 1보다 하상의 폭이 넓고 주변에 다른 건물이나 가 로수 등에 가려지지 않아
햇볕에 노출되는 시간이 더 많다 는 점과 수영강으로 합류되는 지점이 수영하수처리장의 건 설과 함께 물의 흐름이 직선화되어 조석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동절기에 상대적으로 수온이 높은 것으로 판 단된다(Table 2). 용존산소의 경우에는 St 1 지점이 수온도 낮고 염분의 농도도 낮으며 유기물의 농도도 낮아 상대적 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BOD, COD)의 농도 경우 St 1보다 St 2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두 지점에서 영양염류의 농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는데,
이것은 St 2 지점에서 chl-a 및 부 유물질의 양이 약간 증가하였다는 점과 함께 미루어 볼 때, 조류의 성장이 St 2가 더 활발하여 광합성
생물이 자랄 때 유기물은 사용되어지지 않고 영양염류가 소비됨에 따라 상 기의 결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전기전도도는 두 지점 간에 상당히 유의할만한 차 이를 보였는데 전기전도도를 바탕으로 계산된 염분의 경우, St 1 지점의 평균염분은 0.48
~ 9.13(psu), St 2 지점은 7.19 ~ 21.88(psu)로 수영강 합류지점인 St 2지점이 해수의 영향 을 더 강하게 받아 약 3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균값으로 볼 때 St 1의 유기물의 농도는 St 2 지 점의 약 60 %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기 물 오염농도이었으며,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를 산출 한 결과에 의하면 St 1지점이 40 ~ 90(평균과 표준편차, 61 ± 13), St 2지점은 48 ~ 95(평균과
표준편차, 66 ± 14)의 값 으로서 조사기간 동안의 총 23회 중 St 1의 경우에는 15회 이상, 그리고 St 2의 경우에는 21회 이상이 부영양
혹은 과영양상태임을 나타내었다.
또한, chl-a의 농도의 경우 채수기간 중 St 1지점에서는 0.8 ~ 188.3 mg/m2, St 2 지점은 1.3 ~ 281.0 mg/m2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채수일별 변동 추이는 cryptomonads의 개체수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chl-a농도의 측정이 cryptomonads
에 기인한 적조생물수의 간접적인 모니터링 인자로서의 사 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Fig. 4).
Fig. 4. Variation of chl-a concentration, cryptomonads cell numbers, pH, and salinity in the water samples taken at St 1 (left parts) and St 2 (right parts).
3.3. Cryptomonads 개체수와 수질 분석항목과의 상 관성
연구지점에 대한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이 cryptomonads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항목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 를 Table 3에 제시하였다.
Table 3.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ryptomonads and physico-chemical items
Samples
|
Precipitation
|
Salinity
|
pH
|
DO
|
BOD
|
COD
|
SS
|
TOC
|
T-N
|
chl-a
|
St 1
|
-0.233
|
0.205
|
0.611** |
0.534** |
0.353
|
0.214
|
0.404
|
0.233
|
0.263
|
0.956** |
St 2
|
-0.297
|
0.197
|
0.507** |
0.453* |
0.673** |
0.579** |
0.536** |
0.708** |
0.628** |
0.944
|
결과에 의하면, cryptomonads의 개체수는 수질항목과 비 교하였을 때, St 1지점의 경우에는 chl-a, pH, DO 항목과, St 2지점은
chl-a, TOC, BOD, T-N, COD, SS, pH, DO 항 목과 순차적으로 낮아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cryptomonads의
개체수와 chl-a 농도, pH 그리고 salinity의 변화정도를 Fig. 4에 제시하였다.
두 지점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cryptomonads의 개체수는 chl-a 농도 및 pH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것은 cryptomonads가
chl-a를 광합성색소로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광합성을 할 때,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무기탄산 성분이 이용됨에 따라 수중의 pH는 상승하는 것
으로 판단된다(Axelsson, 1988).
한편, 온천천의 물빛이 육안으로 붉게 보일 때의 기점은 cryptomonads 개체수가 mL당 10,000 cells 이상이 되었을 때였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판단한다면, crytomonads의 번 성이 해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상기의 설명과는 달리 염분 의 농도추이변화와는 직접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Fig. 4). 이는 온천천의 주요 우점종인 Teleaulax OC1종이 폭넓은 염분농도에 적응하여 생육하는 하는 종일 것으로 유추되는데(MAFRA, 2012), 이러한 결과는 태화강 하류의 적조현상에서도 적조생물이 0.16 ~ 25.5‰의 광범위 한 염분농도에 적응하고 서식하였다는 보고와 일치한다 (Ham et al., 2007; Sohn et al., 2013).
조류의 성장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영양염류의 효과로서는 총질소(T-N)의 경우에는 조류의 성장이 활발했 던 St 2 지점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보였으나, St 1지점에서 는 어떠한 상관성이 없었다. 조사항목 중 총인(T-P) 항목의 경우, 두 지점 모두에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온천천 하류의 영양상태가 부영양~과영양 단계로 T-P이 더이상 제한인자로 작용하지 않을 정도로 인이 충분 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4. 강우와 조석의 영향
상기의 결과에 의하면, 온천천의 적조 유발종이 해수 유 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재확인하고자 조위자료와 또 조위의 세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강우의
영향을 고찰하였 는데, St 1지점에 기 설치된 chl-a 농도의 자동모니터링 자 료와 그 일대의 강우와 조위자료를 비교분석하였고, 그 결 과는 Fig.
5에 제시하였다. Fig. 5에 제시한 자료는 2015년 11월에서 2016년 1월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Fig. 5. Comparison of precipitation (black bar), tide (grayed area), and chl-a concentration (line) monitored at St 1 during November (a), December in 2015 (b) and January in 2016 (c).
결과에 의하면, 적조가 대량으로 발생한 시기를 제외하고 는 조위변화와 조류의 간접적인 지표가 되는 chl-a농도의 변화추이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적조 원인생물이 조석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Fig. 5b and 5c). 이 것은 온천천에 대량발생한 조류는 해양 유래종임을 시사하 며, 상기의 조류동정에서 밝혀진 Teleaulax가 해양유래종인 것과 잘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것은 약 10 mm 이상의 강우조건에서는 조석에 관계없 이 chl-a 농도가 확연히 줄어듦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 는데(Fig. 5c), 이렇게 강우에 의한 적조의 약화현상은 강우 량에 의해 개체수의 희석효과 외에도 일사량의 감소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Conclusion
2015년과 2016년의 동절기에 온천천의 물색을 적갈색으 로 변하게 한 온천천의 주요 적조 원인종은 형태학적 및 분자 생물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판단할
때, 무독성의 은편 모조류(cryptomonads)의 일종인 Teleaulax sp. OC1으로 분 류되었다. 이들은 해수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적조의 간접지 표가 되는 chl-a의 농도가 조석의 영향을 받고 있는 점이 이를
잘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무독성 의 조류라고 할지라도 먹이망에 의해 Mesodinium ruburum 과 더불어 설사성 패독을 유발하는 Dinophysis acuminata의 번성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이러한 무 독성의 조류의 bloom도 제어할 수 있는 수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넓은
범위에서 대발생한 조류세포가 해양 유래종임에도 불구하고 염분의 농도와 chl-a농도사이 에는 직접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는데, 이것은 Teleaulax sp. OC1가 광범위한 염분의 농도에 서식할 수 있는 종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17 °C하의 생육온도조건에서 잘 자라는 종으로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부터는 적조가 관 찰되지 않는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이외의 이화학적 수질항 목과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에 의하면, 위치적으로 볼 때 상 대적으로 해수의
영향을 덜 받는 상류지역인 St 1지점에서 는 chl-a, pH, DO 항목과, 그리고 상대적으로 하류지역인 St 2지점은 chl-a, TOC, BOD,
T-N, COD, SS, pH, DO 항 목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의 일부는 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 원사업 연구비지원(과제번호 NRF2013011775)에 의해 수행 되었습니다.
References
Ahn D.H., Han S.K., Jo S.J., Lim M., 2013,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Geumgang River,
Area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1, pp. 13-20

Axelsson L., 1988, Changes in pH as a Measure of Photosynthesis by Marine Macroalgae,
Marine Biology, Vol. 97, No. 2, pp. 287-294

Baek S.H., Joo H.M., 2012, Relationships between Cell Bio-volume and Growth Rate of
Dominant Red Tide Organisms in the Coastal Water,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30, No. 1, pp. 1-8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6, http://heis.busan.go.kr/environmental/water_01_007.aspx
(accessed Jun. 2016), Environmental Information
Choi B., Son M., Kim J.I., Shin W., 2013, Taxonomy and Phylogeny of the Genus Cryptomonas
(Cryptophyceae, Crypophyta) from Korea, Algae, Vol. 28, No. 4, pp. 307-330

Graham L.E., Graham J.M., Wilcox L.W., Kim Y. H., 2010, Algae, [Korean Literature],
Bioscience, pp. 159-169

Ham Y.S., Jung S.K., Lee J.Y., Lee J.S., Ahn S.J., Choi Y.S., Bae G.H., Lim J.S.,
Choi Y.A., Kim S.H., Kim J.H., Kim H.P., Lee J.W., Kwon C.B., Lee E.S., Kang Y.S.,
Shin M.K., 2007, [Korean Literature], Study on the Algae Bloom in Downstream of Taewha
River, Ulsan, KINX2010068750, Ul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pp. 382-439
Jeong J., 2006, [Korean Literature], Illustration of the Freshwater Algae of Korea,
Academic Books, pp. 314-316
Kim K.S., Choi S.H., Lee S.M., Cho E.J., Kim Y.T., Cho J.G., 2014, Multivariate Analysis
of chlorophyll-a and Water Quality in the Tidal River, [Korean Literature],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Vol. 24, No. 1, pp. 101-109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6, http://www.khoa.go.kr/koofs/kor/oldobservation/obs_past_search.do
(accessed Jun. 2016), Korea Real Time Database for NEAR-GOO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http://www.kma.go.kr/weather/climate/past_cal.jsp
(accessed Jun. 2016), Korea Weather
Lee C.S., 2009, Investigation of Water Quality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 when
Red Tide Develop in the Mouth of Hyeongsan Rive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8, No. 10, pp. 1155-116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MAFRA), 2012, [Korean Literature],
Mass Production of Multifunctional Aquaculture Live-feeds in Renovative Photo-bioreactors,
11-1541000-001490-01, Kunsan National University, pp. 9-11
National Geograo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8,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accessed Jan. 2018), Geography Informat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2007, [Korean Literature], Research
on Red Tides and the Development of Minimization Technologies, TR-2007-ME-07, pp.
385-389
River Information Management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RIMGIS), 2004, [Korean
Literature], Basic Plan of On-cheon River Stream Maintenance, 262004-0001, pp. 21-23
Shin W.G., Yih W., Kim J. I., Kim H. S., 2016, [Korean Literature], Protists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Protistologists, Vol. 1, pp. 48-70
Sohn E.R., Park J.I., Lee B.R., Lee J.W., Kim J.S., 2013, Winter Algal Bloom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Lower Taewha River, Ulsan, Korea,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 49, No. 1, pp. 30-37

Wehr J.D., Sheath R.G., 2003, Fresh Water Algae of North America, Academic Press,
pp. 715-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