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현
(Kim Suhyun)
1aiD
김정선
(Kim Jungsun)
2iD
강임석
(Kang Limseok)
1b†iD
-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부산발전연구원 해양환경연구실
(Busan Development Institute)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Biodegradation DOC, Organic matter, Rainfall, Suyeong River
1. Introduction
수영강은 국가하천인 낙동강에 이어 부산에서 두 번째로 긴 지방 2급 하천으로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형 하천으로 하천 중류는 회동수원지를 이용하여 하류의
수량조절을 하 고 있으며 수영강 하류 부분은 감조하천으로 해수의 영향 을 받고 있다. 지난 수십년간의 도시화에 따라 유역의 투 수율이 감소하여 비점오염원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유입이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최 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로 집중 호우의 횟수 및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계로의 대량의 토사 유출 발생 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는 수영강 수계 하천 및 주요 호 소에 대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주요 외부발생원일
가능성 이 제기 되고 있다(Kim, 2013). 근래 강우 유출수의 수질 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하천 수질관 리에 있어서 강우 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Lee et al., 1998). 이러한 주기적 인 집중 강우는 수중 유기물의 근원이 되는 용존유기탄소 (DOC)의 농도와 특성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며 (Joo et al., 2004; Kim et al., 2000; Kim and Kim, 2005; Yu et al., 2005), 이는 하천의 수질 관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과거 수영강의 수질 모니터링은 BOD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비점오염원의 유입과 조류의
대 번성으로 인한 난분해성 유기물의 농도와 거동 측정에는 한계가 있 어 왔다. 최근 수체 내 난분해성 유기물의 증가에 따라 기 존의 BOD와 COD로는
효과적으로 수질을 관리 하는데 어 려운 상황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중의 유기물 총량을 대표하는 TOC나 DOC 측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Kim, 2007). 강우 시 유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은 유량이 증 가함에 따라 수질오염도가 점점 증가하며(Jeong et al., 2012),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의 특성은 강우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Ahn, Choi et al., 2012; Lee and Lee, 2009). 또한 강우유출수는 초기강우에 의해 수질오염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Bang et al., 2007), 유출된 수질오염물질은 지역 및 시간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 난다고 보고되고 있다(Ahn, Kwon et al., 2012). 따라서 DOC 성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분획과 이에 따른 물 질특성에 대한 정보는 오염원의 규명과 관리 방안 도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Oh et al., 2009).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증가원인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 의한 난 분해성 유기물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우 시 하천의 유기물 성상변화를 조사하였 으며, 수영강을 대상으로 강우 시 시료를 채취하여 DOC 측정 및 강우 지속에 따른 유기물의
성분 변화를 분석하여 유기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동일 시료를 대상으로 유기물의 생분해 실험을 수행하여 강우지속시간 동안 채취 된 유기물의
성상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강우에 따른 유기물의 성상변화와 수질오염 발생인자 특성을 고려 하여 수영강 유역의 수질오염저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하천에 서의 적정 수질 개선을 위한 처리장치 및 정책 방법 제시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
2.1. 조사 지점 및 시료채취
조사지점으로는 Fig.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영강은 주 변의 수로를 통한 강우유출수의 유입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유출 영향이 예상 되는 지점을 고려하여, 수영강 본류 1지
점과 수영강 지류 중 가장 큰 하천인 온천천 하류부를 선 정하였으며, 특히 수영강 지점은 온천천과 합류 전 지점을 선정하였다. 특히 수영강의 경우
만조 시 해수의 영향을 받으므로 해수 유입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으며 갈 수기에도 유량이 일정한 지점을 선정하여 강우 시 유량의 변화와 수질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기물 특성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는 수영강의 세월교와 온천천의 세병 교에서 24시간 연속 채수 및 선행강우를 고려하여
2014년 10월31일 10:00시부터 11월1일 10:00시 사이에 시료채취가 이루어졌다. 강우 발생 시의 시료는 2 L 멸균 채수병을 사 용하여
하천수를 채집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Fig. 1. Sampling points for storm runoff in the Suyeong River.
2.2. 유량 및 수질분석
강우 발생 시 일정한 간격으로 하천수를 채취하여 강우 발생에 의한 하천 유량과 수질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 료 채취는 강우 발생 전과 발생 직후부터
강우 초기 2시간 은 30분 간격으로 채취하였으며, 2시간 이후부터는 1 ~ 4시 간 간격으로 채취하여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수 질오염공정시험법과
Standard methods (APHA, AWWA, and WEF, 2012)에 준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 에서는 유기물 성상분석과 유기물 생분해 분석 특성상 DOC 결과 위주로 나타내었다.
2.3. 유기물 성상분석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 용존유기물(DOM)의 성상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온교환수지인 Amberlite XAD resin 중 XAD 7과 XAD 4를
사용하여 유기물을 분류하였다. 이온교 환수지에 의한 DOM의 성상분류를 Amberlite 계열(Aldrich, co)의 XAD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였으며
XAD 수지는 humic 물질의 분류를 위하여 Standard Methods로서 제안되 었다(APHA, AWWA, and WEF, 2012; Thurman and Malcom, 1981). Fig. 2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유기물 성상 분석방법을 도시화 하여 나타낸 것이다. 용존성 유기 물질을 먼저 pH 2이하로 산성화 시킨 후 XAD 7수지를
통과 시켜 흡착되는 유기물은 NaOH를 통해 탈착하여 hydrophobic acid으로 분류한다. XAD 7을 통과시킨 유기물을 XAD 4 수지를
통과시켜 흡착되는 물질은 transphilic acid으로 하 고, 흡착되지 않고 통과되는 물질은 hydrophilic acid으로 분류하여 나타냈다.
Fig. 2. Analytical procedure for organic matter fraction.
2.4. 유기믈 생분해 특성 분석
DOM 중 생분해 성분(Biodegradation DOC, BDOC)은 종 속영양 박테리아에 의해 무기화(mineralization)되는 DOC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특정 시간 내에 생물학적으로 산 화되어질 수 있는 유기탄소를 측정하는 것이다(Huck, 1990). BDOC는 초기 DOC 농도와 박테리아 식종 후 일정기간 배 양하여 DOC가 최소 농도에 도달하였을 때와의 차이를 측 정하는 원리이다(Frias et al., 1992). BDOC 측정을 위하여 0.2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시료수(초기 DOC) 200 mL를 이용하여 폭기 후 시료수중의 용존산소
농도를 포화 상태로 만든 후 미생물을 식종하였다. 미생물의 식종은 각 각의 시료 원수를 식종액으로 사용하였다. 원수 중에 존재 하는 큰 유·무기물
입자 및 원생동물 (protozoa)을 제거하 기 위해 식종액을 2 μm polycarbonate filter (millipore, USA)로 여과하여
시료 100 mL 당 식종액 1 mL를 식종하 였다. 식종 후 배양기 내에서 20 °C의 조건에서 배양하였으 며, BDOC 농도 산정은 초기 DOC
농도에서 미생물을 접 종한 후 배양기간(28일) 후에 잔존하는 DOC 농도를 초기 DOC 농도를 뺀 값으로 정의 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강우 특성에 따른 수질특성
본 연구에서는 수영강 유역과 지류(온천천)에서의 지점 을 선정하여 강우에 의한 수질과 유량 변화 특성을 조사 하였다. 강우에 의한 유기물 성분 특성
변화 확인하고자 2013년 8월부터 현재까지 수영강과 온천천 지점에서 채수 를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4시간 연속 채 수 및 선행강우를
고려하여 2014년 10월31일 10:00시부터 11월1일 10:00시 사이의 시료를 이용한 결과이다. 강우특 성(강우량, 선행무강우일수)은 비점오염의
유출에 크게 영 향을 미치는 인자이기 때문에 강우 시 하천조사 기간 동 안 수영강은 해운대 관측소, 온천천은 동래 관측소의 강수 량 자료를 이용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2는 강 우 발생 직전과 강우 발생 후 1시간 이하의 간격으로 강 우에 의한 하천의 유량변화와 수질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강수량 및 시간에
따른 하천 유량변화는 Fig. 3에 나타내었다. 수영강의 경우 강우직전 유량이 2.7 m3/s이었으며 강우 지속 5시간 후 3.3 m3/s까지 증가하였 다. 강수량 변화와 관계없이 유량의 증·감 변화는 반복적 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영강의 특성상 조수간만의 차에 의 한 영향으로 강수량의
변화와 관계없이 유량의 증·감 변화 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온천천의 유량은 강 우 직후 0.70 ~ 1.2 m3/s의 범위를 보였으나, 2시간 후 1.7 m3/s으로 증가하였으며, 유량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강우 11시간 후 3.6 m3/s으로 증가하였으며, 강수량이 감소 할수록 유량도 감소하였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a rainfall event at the watershed investigated
|
date
|
ADD* (day)
|
Rainfall (mm)
|
Duration (hr)
|
Avg. rainfall intensity (mm/hr)
|
Suyeong River
|
2014.10.31. ~ 11.01
|
8
|
26.0
|
22
|
1.18
|
Oncheon Stream
|
8
|
16.5
|
16
|
1.03
|
Table 2. Results of water quality in the Suyeong River and Oncheon Stream
|
Type
|
Cond. (μs/cm)
|
BOD (mg/L)
|
COD (mg/L)
|
TOC (mg/L)
|
DOC (mg/L)
|
TSS (mg/L)
|
Turb. (NTU)
|
Suyeong River
|
Mean ± SD
|
4,358 ± 4,675
|
5.35 ± 2.29
|
13.84 ± 5.03
|
3.04 ± 0.42
|
2.81 ± 0.33
|
13.5 ± 7.2
|
13.2 ± 4.6
|
Max.
|
18,500
|
9.36
|
26.88
|
3.75
|
3.49
|
34.0
|
23.7
|
Min.
|
448
|
1.98
|
7.61
|
2.37
|
2.27
|
5.0
|
8.0
|
Onchen Stream
|
Mean ± SD
|
312 ± 59.1
|
9.46 ± 6.591
|
14.68 ± 9.58
|
3.66 ± 1.28
|
3.35 ± 1.00
|
24.2 ± 24.1
|
15.7 ± 13.3
|
Max.
|
471
|
20.88
|
38.24
|
6.40
|
5.14
|
104.9
|
49.4
|
Min.
|
192
|
0.19
|
2.72
|
2.05
|
1.89
|
2.7
|
1.9
|
Fig. 3. Flow rate variation according to rainfall duration in the Suyeong River and Oncheon Stream.
강우에 의한 하천의 유기물 유입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 여 강우에 따른 DOC 농도 변화를 Fig. 4에 나타내었다. 수영강의 경우 DOC의 반복적인 증·감의 변화는 조수간만 의 영향으로 강우 지속시간과 강수량의 변화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온천천의
경우 강수량의 변화에 따라 DOC 농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DOC 농도는 강수량의 변 화에 따라 농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대체로, 강수량이
증가하면 DOC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강우가 중단되거나 강 우량이 감소함에 따라 DOC 농도 또한 감소하는 경향이 나 타났다. Oh et al. (2009)의 연구에 의하면 DOC 농도는 하 천의 수위와 거의 유사한 패턴으로 변동하였으며, 이러한 유기물 농도의 증감 양상은 SS와 탁도를 포함한 BOD,
COD 및 TOC 등 모든 유기물 농도 항목에서 유사하게 나 타났다. 수영강의 DOC는 강우 직후 2.37 ~ 2.98 mg/L의 농 도 범위에서
증·감을 반복하였다. 강우 13시간 후 DOC는 3.49 mg/L까지 증가하였으나 강우가 소강상태에 접어들면 서 2.59 mg/L까지 감소하였다.
온천천 DOC의 경우 강우가 시작되면서 1.89 ~ 2.19 mg/L의 농도 범위를 유지하다가 강 우가 소강상태에 접어든 3시간 후 4.89 mg/L까지
증가하였 다. 강우 8시간 이후 5.14 mg/L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DOC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수영강 보다는 다소 높 은 DOC 농도를
보였다. 하천 수위 상승기에 증가된 유기 물은 강우에 의해 하천에 새롭게 유입된 성분이며, 집중 강우 시 하천에 의 유입 유량이 많을수록 유입 유기물
성 분의 농도도 높아진다 하였다(Li et al., 2003; Li et al., 2005).
Fig. 4. Changes in DOC concentration according to rainfall duration in the Suyeong River and Oncheon Stream.
3.2. 강우 변화에 따른 용존 유기물 분포변화
강우 시 하천의 유기물 성분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 해 시간당 시료 채취 지점 별 유기물 성분별 농도를 Fig. 5 에 나타내었다. 초기 강우부터 경과 시간에 따라 채취한 시료는 각각의 지점에 대해 시료 채취 시간별로 강우 전 (S1), 강우 6시간(S6), 강우
12시간(S12), 강우 15시간(S15), 강우 24시간(S24)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수영강의 경우 hydrophilic(친수성) 성분에 비교해
hydrophobic(소수성) 성 분 함량이 유량의 변화와 유사한 변화 패턴을 보였으며, 강우 전(S1)과 최고 수위지점(S15)에서 농도 변화폭에서도
친수성 성분이 소수성 성분에 비하여 증가폭이 크게 나타 났다.
Fig. 5. Changes in DOC concentration and organic matter fractions during rainfall in the Suyeong River and Oncheon Stream.
온천천 또한 유량의 변화와 유사한 변화 패턴을 보였다. 초기 강우 시 친수성 성분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소수성 성분의 증가는 DOC의 증가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하천수의 용존유기물 중 소수성 성분의 상 대적 비율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Li et al., 2005; Yu et al., 2005)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하천의 용존 유기물 중 친수성 성분이 상대적으로 증 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수영강 유역의 합류식
관거 로 인하여 강우 시 친수성 물질을 동반한 유기물질의 유입 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우에 의해 하천에 유입 되는 주요 DOC 성분임을
알 수 있으며 강우가 소강상태에 도 소수성 부분의 상대적 비율이 높아지는 이유는 지하수 로 인한 기저유출의 영향에서 찾을 수 있다(Oh et al., 2009).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소수성 물질은 친수성 물질에 비교해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 진다. 특히, 소수성-산(hydrophobic
acid) 성분에 해당하는 휴믹물질은 리그닌 계열의 방향족 탄소 골격에 -COOH, -OH 등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방족 탄화 수소
곁가지를 가진 대표적인 난분해성 유기물로 알려진다 (Shin and Moon, 1996; Stevenson, 1985). Fig. 6은 강우에 의한 비점오염원의 유입에 따른 유기물 성상변화를 분석하 기 위하여 수영강과 온천천의 강우 시와 비 강우 시의 유 기물 성상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강우 전 수영강과 온천천에서 소수성 성분은 각각 66.3 %, 70.1 %로 높은 비 율을 차지하였으나, 강우 시 소수성 성분이 58.5
%, 61.9 % 로 감소하였다. 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하천수의 용존 유기 물 중 친수성 성분의 상대적인 비율이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강우에 의하여
상당수 생분해성 물질과 관련한 친수 성 물질이 다량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Kim (2013)의 연 구에 따르면 낙동강의 경우 우기인 여름철의 소수성 성분 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하천수의 DOM 중 소수성의 상대적인 비율이
증가한다 하였다.
Fig. 6. Effect of stream runoff on the organic matter fraction in the Suyeong River and Oncheon Stream.
3.3. 강우에 의한 유기물의 생분해성 분석
강우에 의해 유입되는 용존 유기물의 특징을 생분해성 (BDOC)과 난분해성(RDOC)의 특성 평가를 위해 강우 전, 후 시료의 BDOC를 측정하여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 에 나타난 바와 같이 BDOC 농도는 비강우시와 강우 시 증가하였다. BDOC 농도는 수영강의 경우 비강우 시 0.6 mg/L에서 강우 시 1.7
mg/L로 약 2.8배 증가폭을 보였으며 온천천의 경우 비강우 시 0.4 mg/L에서 강우 시 2.1 mg/L 로 약 5.3배의 증가폭을 보였다.
Fig. 7. Changes in BDOC and RDOC ratio by rainfall effect in the Suyeong River and Oncheon Stream.
Fig.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강우시 BDOC 비율 보다 강우 시 BDOC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비 강우 시 BDOC 는 수영강, 온천천 각각 13
%, 14 %로 나타났으나, 강우 시 BDOC는 34 %, 51 %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비 강우 시 용존유기물의 상당부분은 난분해성을
띠고 있으며 강우 시 용존유기물의 대부분은 생분해성 물질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Leenheer (2009)의 연구에 의하면 강우유출에 유입되는 NOM은 대체로 humic 성분과 colloid상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생분해도가 낮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 수영강 및 온천천의 DOM 중 친수성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는, 강우 시 하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BDOC의 농도가 높게 나 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우에 의하여 유량이 증가하 면서 강 주변에 퇴적 되어 있던 유기물 및 하수의 유입이 나 합류식
하수관거 퇴적물 등으로 인하여 비교적 쉽게 분 해가 일어나는 친수성 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생분해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Oh et al. (2009)은 초기강우에 상 당수의 생분해성 물질과 관련한 친수성 물질을 동반하여 많은 유기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고 하였으며, Ogawa et al. (2001)은 glucose와 glutamate 등 생물학적 분해가 용이한 유기물도 생분해과정에서 난분해성의 유기물을 생성한다고 하였다. 하천수의 대부분은 난분해성
유기물로 고려되고 있 으나 유기물의 성상에 생분해 정도가 다르며(Kim, 2013),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증가 원인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의 지속적인 유입 때문이다(Gil et al, 2011). 본 연구결과는 하천의 초기우수처리 방법의 선 정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의한 비점오염원의 유입에 따른 수영강의 유기물 성상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
강우 특성에 따른 수질특성은 수영강의 경우 DOC 농 도는 조수간만의 영향으로 강우 지속시간과 강수량의 변화 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온천천의
경우 대체로, 강수 량의 변화에 따라 DOC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
강우 변화에 따른 용존 유기물 분포는 강우의 영향으 로 인해 초기 강우 시 친수성 성분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소수성 성분의 증가는 DOC 농도의 증가와
유사하게 나타 났다. 또한 유기물 성상분석 결과 강우 시 친수성 성분이 41.5 %, 38.1 %로 증가하였다.
-
강우 전, 후에 따른 RDOC(난분해성 유기물)와 BDOC (생분해성 유기물)의 변화에 따르면 비 강우 시 BDOC는 수영강, 온천천 각각 13 %,
14 %의 생분해를 보였으나, 강 우 시 34 %, 51 %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비 강 우 시 용존유기물의 상당부분은 난분해성을 띠고
있으며 강 우 시 용존 유기물의 대부분은 생분해성 물질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향후 수영강의 적 정 수질 개선을 위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 및 정책 방법 제 시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하천의 초기우수처리 방법의 선정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 학술연구비(2016)에 의하 여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Ahn C.H., Kwon J.H., Joo C., Song H.M., Joh G.G., 2012, Water quality of rural stream,
the Hwapocheon stream, and its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4, No. 6, pp. 421-429

Ahn J.H., Choi C.S., Kim S.K., 2012,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according
to cultivation activity in river distri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4, No. 7, pp. 480-487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and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APHA, AWWA and WEF), 2012, Standard method of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Bang K.W., Choi C.S., Lee J.H., Choi S.K., 2007, Investigation of runoff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unitpollutants load for first flush,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al, Vol. 7, No. 1, pp. 49-60

Frias J., Ribas F., Lucena F., 1992, A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biodegradable
organic carbon in waters, Water Research, Vol. 26, No. 2, pp. 255-258

Gil K.I., Kim T.W., Jung M.S., 2011,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South-Han River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and Dry Season,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7, No. 3, pp. 306-313

Huck P.M., 1990, Measurement of biodegradable organic matter and bacterial growth
potential in drinking water,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Vol.
82, No. 7, pp. 78-86

Jeong S.H., Young K.P., Chan H.W., 2012,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lower reachesof livestock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4, No. 8, pp. 557-565

Joo G.J., Park S.B., Lee S.G., Jung G.H., Jung G.S., 2004, Influence of rainfall in
the rainy season on the water quality downstream of Nakdong river, [Korean Literature],
Busan Development Institute, Vol. 89, No. 5, pp. 3-22

Kim B.C., Choi K.S., Kim C.G., Lee U.H., Kim Y.H., 2000, Effects of the summer monsoon
on the distribution and loading of organic carbon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Water Research, Vol. 34, No. 14, pp. 3495-3504

Kim B.C., Jung S.M., Chang W.J., Kim J.K., 2007, Comparison of BOD, COD and TOC as
the Indicator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streams and reservoirs of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9, No. 6,
pp. 640-643

Kim J.S., 2013, [Korean Literature], Sources, characterization and variability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Ph. 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p. 1-186
Kim J.G., Kim B.C., 2005, [Korean Literatur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DOC and SUVA during the rainy periods in the Lake Soyang, proceeding of Joint spring
conferenc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p. 550-554
Lee J.H., Lee H.L., Lee J.G., Lee D.G., Kim H.H., 1998, A study on the conservation,
rehabilitation and creation of naturality of rivers(1) -The correlation of thedegree
of pollution on a river and the land use in rural a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 No. 1, pp.
84-94

Lee M.W., Lee Y.S., 2009, A study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with rainfall intensity: A caseof fowls man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1, No. 1, pp. 91-97

Leenheer J.A., 2009, Systematic approaches to comprehensive analyses of natural organic
matter, Annals of Environmental Science, Vol. 3, pp. 1-130

Li F., Yuasa A., Chiharada H., Matsui Y., 2003, Storm impacts upon the composition
of organic matrices in Nagara river - A study based on molecular weight and activated
carbon adsorbability, Water Research, Vol. 36, pp. 4027-4037

Li F., Yuasa A., Muraki Y., Matsui Y., 2005, Impacts of a heavy storm of rain upon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C, N and P in the main river of vegetation-rich
basin area in Japa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345, pp. 99-113

Ogawa H., Amagai Y., Koilke I., 2001, Production of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matter
by bacteria, Science, Vol. 292, No. 5518, pp. 917-920

Oh S.J., Woo S.H., Hur J., Jung M.S., Shin H.S., 2009, Changes in dissolved organic
matter composition in the Namhan River during a heavy rain event,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5, pp. 697-703

Shin H.S., Moon H., 1996, An “Average” structure proposed for soil fulvic acid by
DEPT/QUAT 13C NMRpulse techniques, Soil Science, Vol. 161, No. 4, pp. 250-256

Stevenson F.J., 1985, Geochemistry of soil humic substance, Humic Substances in soil,
sediment and water, John Wiley and Sons
Thurman E.M., Malcolm R.L., 1981, Preparative isolation of aquatic humic substance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15, No. 4, pp. 463-466

Yu S.J., Kim C.S., Ha S.R., Hwang J.Y., Chae M.H., 2005, Analysis of nNatural Organic
Matter (NOM)characteristics in the Geum rive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1, No. 2, pp. 125-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