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남조류 군집 구조 및 천이 양상
본 연구를 통해, 낙동강 보 구간에서 확인된 남조류는 총 3목 5과 15속 31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분류군은 Chroococcales목 2과
5속 10종, Oscillatoriales목 2과 7속 12종, Nostocales목 1과 3속 9종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출 현이 확인된 31분류군의
생태 특성을 살펴보면, 부유성 24 종, 저서성 2종, 미확인 5종으로 각각 확인되어 낙동강 보 구간에서 출현하는 남조류는 부유성의 생활사를 가진
종들 이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Table 1. List of cyanobacterial species foun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August 2016 ~ July 2017
Taxa
|
Ecotype
|
|
Class Cyanophyceae |
|
Order Chroococcales |
|
Family Merismopediaceae Elenkin, 1933 |
|
Genus Aphanocapsa Nageli, 1849 |
|
Aphanocapsa delicatissima |
planktonic species
|
Genus Merismopedia Meyen, 1839 |
|
Merismopedia punctata |
planktonic species
|
Merismopedia tenuissima |
planktonic species
|
Merismopedia sp.
|
-
|
Genus Woronichinia Elenkin, 1933 |
|
Woronichinia neageliana |
planktonic species
|
Family Chroococcaceae Rabenhorst, 1863 |
|
Genus Chroococcus Nageli, 1849 |
|
Chroococcus sp.
|
-
|
Genus Microcystis Elenkin, 1933 |
|
Microcystis aeruginosa |
planktonic species
|
Microcystis ichthyoblabe |
planktonic species
|
Microcystis wesenbergii |
planktonic species
|
Microcystis viridis |
planktonic species
|
|
Order Osciallatoriales |
|
Family Pseudanabaenaceae Anagnostidis & Komárek, 1988 |
|
Genus Pseudanabaena Lauterborn, 1915 |
|
Pseudanabaena catenata |
benthic species
|
Pseudanabaena limnetica |
planktonic species
|
Pseudanabaena mucicola |
planktonic species
|
Pseudanabaena westiana |
planktonic species
|
Pseudanabaena sp.
|
-
|
Genus Geitlerinema (Anagnostidis & Komárek) Anagnostidis, 1989 |
|
Geitlerinema amphibium |
planktonic species
|
Genus Planktolyngbya Anagnostidis & Komárek, 1988 |
|
Planktolyngbya limnetica |
planktonic species
|
Family Phormidiaceae Anagnostidis & Komárek, 1988 |
|
Genus Planktothrix Anagnostidis & Komárek, 1988 |
|
Planktothrix agardhii |
planktonic species
|
Genus Phormidium Kützing ex Gomont, 1892 |
|
Phormidium sp.
|
-
|
Genus Oscillatoria Vaucher ex Gomont, 1892 |
|
Oscillatoria limosa |
benthic species
|
Oscillatoria sp.
|
-
|
Genus Lyngbya C. Agardh ex Gomont, 1892 |
|
Lyngbya birgei |
planktonic species
|
|
Order Nostocales |
|
Family Nostocaceae Eichler, 1886 |
|
Genus Cuspidothrix Rajaniemi et al. 2005 |
|
Cuspidothrix issatschenkoi |
planktonic species
|
Genus Aphanizomenon A. Morren ex Bornet & Flahault, 1886 |
|
Aphanizomenon flos-aquae |
planktonic species
|
Aphanizomenon klebahnii |
planktonic species
|
Aphanizomenon skujae |
planktonic species
|
Genus Dolichospermum (Ralfs ex Bornet et Flahault) Wacklin, Hoffmann et Komárek, 2009 |
|
Dolichospermum circinale |
planktonic species
|
Dolichospermum crassum |
planktonic species
|
Dolichospermum flos-aquae |
planktonic species
|
Dolichospermum planctonicum |
planktonic species
|
Dolichospermum smithii |
planktonic species
|
조사기간 동안 지점별 총 출현종수는 St.8(남지교) 지점 에서 2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St.9(수산교) 21종, St.5(왜관교)
및 St.7(율지교) 20종, St.4 (일선교) 및 St.10(삼랑진교) 18종 등의 순으로 나타나, 낙 동강 보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창녕함안보
상·하류 구간 에서 많은 종의 남조류가 출현하였다. 한편, 조사기간 동안 지점별 남조류 평균 세포밀도는 상주보 상류에 위치한 St.1(삼강교)에서
8,343 cells/mL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달성보 상류에 위치한 St.6(고령교)에서 328,437 cells/mL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Fig.
2). 낙동강 보 구간에서 출현종 수와 세포밀도는 지점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출현종수가 높 았던 창녕함안보 상·하류 구간(출현종수: 21 ~ 22종,
세포밀도: 113,813 ~ 170,452 cells/mL)보다 구미보 및 달성보 상류 구간 (출현종수: 16 ~ 18종, 세포밀도: 243,257
~ 328,437 cells/mL) 에서의 세포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조류의 출현과 생물량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환경요인이 다르기 때문으
로 판단되며, 남조류의 증식은 체류시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ilton et al., 2006; Kim et al., 2014; Ryu et al., 2016). 조사 기간 동안, 연 평균 수리수 문학적 체류시간은 창녕함안보가 4.7 day-1인 반면, 구미보와 달성보의 체류시간은 5.0 ~ 6.2 day-1로 확인되었다(K-water, 2018).
Fig. 2. Temporal variations of chl-a and cell density of cyanobacterial orders at each sampling sites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a) st.1, (b) st.2, (c) st.3, (d) st.4, (e) st.5, (f) st.6, (g) st.7, (h) st.8, (i) st.9, (j) st.10.
10개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남조류의 시기별 총 출현종수 는 수온이 증가하는 '18년 6월에 2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으며, 동절기인 1월~
3월에 4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조사되었다. 평균 세포밀도는 최저 1,389 cells/mL('17년 3 월)에서 최고 265,263 cells/mL('17년
7월)로 나타났으며, 수온 이 5 °C 이하로 떨어지는 동절기(12월~ 2월)에도 Oscillatoria limosa Agardh ex Gomont 1892, Aphanizomenon flos-aquae Ralfs ex Bornet et Flahault 1888, Dolichosperumum planctonicum (Brunnthaler) Wacklin et al. 2009 등 사상형 남조류 의 출현이 확인되었다. 특히 Oscillatoriales목의 Pseudanabaena 속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최저 157 cells/mL('17년 11월)에서 최고 69,607 cells/mL('18년 7월)로 연중 출현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하절기에만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Chroococcales목 의 남조류와 달리, 사상형 남조류(Oscillatoriales, Nostocales)
는 저수온에서도 높은 적응력을 보여 출현빈도가 점차 증 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irés et al., 2013; Ryu et al., 2017) (Fig. 2).
낙동강 보 구간 10개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남조류 중 주요 우점분류군으로는 Chroococcales목의 Microcystsis wesenbergii, M. aeruginosa, Merisomepedia tenuissima, Aphanicapsa delicatissima와 Oscillatoriales목의 Geitlerinema amphibium, Lybgbya birgei, Oscillatoriales limosa, Osillatoriales sp. Pseudanabaena catenata, Nostocales목의 Aphanizomenon flos-aquae, A. skujae 등 11종이 확인되었다. 계절별 분포를 살펴보면, 하절기에는 구형의 Chroococcales목의 분류군들 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그 밖에 계절에는
사상형의 Oscillatoriales목과 Nostocales목의 분류군들이 주요 출현종 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Table 2. Dominant cyanobacterial species foun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 2016 ~ 2017
Year
|
Month
|
Dominant species
|
Rate (%)
|
|
2016
|
Aug.
|
Microcystis wesenbergii |
57.0
|
Sep.
|
Aphanizomenon flos-aquae |
41.1
|
Oct.
|
Aphanizomenon flos-aquae |
24.6
|
Nov.
|
Aphanizomenon flos-aquae |
29.8
|
Dec.
|
Aphanizomenon flos-aquae |
20.3
|
|
2017
|
Jan.
|
Oscillatoria limosa |
37.3
|
Feb.
|
Oscillatoria limosa |
54.0
|
Mar.
|
Pseudanabaena catenata |
30.3
|
Apr.
|
Geitlerinema amphibium |
34.2
|
May
|
Aphanizomenon flos-aquae |
36.0
|
Jun.
|
Microcystis aeruginosa |
43.7
|
Jul.
|
Microcystis aeruginosa |
34.9
|
3.2. 보 구간에서 출현하는 부유성 Anabaena (Dolichospermum) spp.의 형태적 특성
낙동강 보 구간 내 자연 시료에서 Dolichospermum 속의 5개 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4개 분류군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채집된 개체의 형태적 특징은 Figs. 3 ~ 4, Table 3에 나타내었고, 인용문헌에서 참고한 형태학적 특징은 Fig. 5에 묘사하였다.
Fig. 3. Photographs of genus Dolichospermum from natural samples collecte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a)D. planctonicum; (b)D. smithii; (c)D. crassum; (d)D, flos-aquae.
Table 3. Diacritic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Dolichospermum taxa in natural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Species
|
Trichomes
|
Vegetative cells
|
Heterocytes
|
Akinetes
|
|
Dolichospermum flos-aquae |
solitary, irregularly coiled, constricted at the cross-wall.
|
spherical shaped, 5-8 μm, apical cells spherical, of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vegetative cells.
|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3-6 μm
|
kidney-shaped, solitary, intercalary, 16-21 × 8-12 μm
|
Dolichospermum crassum |
solitary, regularly screw-like coiled, the coil diameters are 75-140 μm,
|
spherical to barrel-shaped, shorter than wide, 7-11 × 12-16 μm
|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10-15 μm
|
ov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17-36 μm
|
Dolichospermum planctonicum |
solitary, straight, constricted at the cross-wall.
|
barrel-shaped, 4-7 × 9-12 μm
|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9-12 μm
|
oval or long-oval shaped, solitary or pairs in a row, intercalary, 20-38 × 11-20 μm
|
Dolichospermum smithii |
solitary, straight, constricted at the cross-wall.
|
shortly barrel-shaped, 6-12 × 15-18 μm
|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10-12 μm
|
spherical shaped, solitary or up to 3 in a row, intercalary, 18-28 μm
|
Fig. 4. Vegetative cells, heterocytes and akinetes of the four Dolichospermum taxa from natural samples collecte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A-1, B-1, C-1)D. flos-aquae;(A-2, B-2, C-2)D. crassum;(A-3, B-3, C-3)D. planctonicum;(A-4, B-4, C-4)D, smithii.
Fig. 5. Vegetative cells, heterocytes and akinetes of the fourDolichospermumtaxa investigated from studies cited;(A-1, B-1, C-1)D. flos-aquae– afterKomàrek (1958);(A-2, B-2, C-2)D. crassum– afterKomàrek (1958)andKomàrkovà-Legnerrovà et Cronberg (1992);(A-3, B-3, C-3)D. planctonicum– afterKomàrek (1958);(A-4, B-4, C-4)D, smithii– afterKomàrek (1958).
Dolichospermum flos-aquae
(Brébisson ex Bornet et Flahault) Wacklin et al., 2009 (Fig. 3d; Fig 4A-1 ~ C-1)
이명:
Anabaena flos-aquae (Lyngbye) Brébisson ex Bornet et Flahault 1888; Anabaena contorta Bachmann 1921 incl.; Anabaena flos-aquae f. typica Elenkin 1938; Anabeana spiroides var. minima Nygaard 1945
관찰:
상풍교(May 2017), 중동교(May 2017), 일선교(May 2017, Jun. 2017, Jul. 2017), 수산교(May 2017)
기술:
본 종은 한국(Choi et al., 2007; Kim et al., 2005; Ryu et al., 2016), 중국(Shen et al., 2017; Wang et al., 2013; Wang et al., 2015), 일본(Hodoki et al., 2012; Tuji and Niiyama, 2010), 싱가폴(Pham et al., 2011) 등 아시아를 비롯하여 유럽 여러 국가(Cirés et al., 2013; John et al., 2002; Zapomělova et al., 2011) 의 담수 수계에서 흔하게 출현한다. 세포사(trichome) 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불규칙적으로 꼬여있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다. 영양 세 포(vegetative cell)는 구형으로 직경이 5-8 μm이었으 며, 말단 세포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 4A-1).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 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3-6 μm이였다(Fig.
4C-1). 휴면포자(akinete)는 세포사 내 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콩 팥 모양으로 16-21 ~ 8-12
μm의 범위였다(Fig. 4B-1). 본 연구에서 확인된 본 종의 형태적 특징은 선행연 구(Komárek, 2013;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종의 생 태적 특성은 부유성으로서 부영양화된 수체에서 빈번 하게 수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낙동강에 서의 출현빈도는 높지 않았다. 본 종의 분리된 균주 중 일부는 신경독소(anatoxin-a, anatoxin-a (S)) 및 간 독소(microcystin),
이취미 물질(geosmin) 등 다양한 2 차 대사산물을 생성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Komárek, 2013; Li et al., 2016).
Dolichospermum crassum
(Lemmermann) Wacklin et al., 2009 (Fig. 3c; Fig 4A-2 ~ C-2)
이명:
Anabaena spisoides var. crassa Lemmermann 1898; Anabaena crassa (Lemmermann) Komàrkovà-Legnerovà et Cronberg 1992
관찰:
상풍교(Jun. 2017, Jul. 2017), 중동교(Jun. 2017, Jul. 2017), 일선교(Jun. 2017, Jul. 2017),
왜관교(Jun. 2017, Jul. 2017), 고령교(Jun. 2017, Jul. 2017), 율지교(Jun. 2017, Jul. 2017), 남지교(Jun.
2017, Jul. 2017), 수산교 (Jun. 2017, Jul. 2017), 삼랑진교(Jun. 2017, Jul. 2017)
기술:
본 종은 유럽의 여러 국가(Cirés et al., 2013;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Zapomělova et al., 2011) 및 남미대륙(Werner et al., 2009)을 비롯하여, 일본 (Hodoki et al., 2012; Tuji and Niiyama, 2010; Watanabe et al., 2004), 한국(Choi et al., 2007; Kang et al., 2014; Ryu et al., 2016; Shin, 2003) 등 아시아 의 담수에서도 널리 보고되어왔다. 세포사(trichome) 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규칙적인 나선형으로 꼬 여있었다. 나선은 최소
보통 3 ~ 6회전의 범위로 나타 났으며, 나선의 직경은 75-140 μm이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다. 영양 세포(vegetative
cell)는 구형 혹은 술통(barreled)모양으로, 대부분 너 비보다 길이가 짧았다. 세포의 길이(high)는 7-11 μm 이었으며, 너비(wide)는
12-16 μm로 확인되었다. 말단 세포는 다른 영양세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 4A-2).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 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10-15
μm이였다(Fig. 4C-2). 휴면 포자(akinete)는 세포 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난형(oval)으로 17-36 μm의
범위였다(Fig. 4B-2). 낙 동강의 자연 개체군에서 확인된 나선 직경의 형태적 변이폭은 선행연구(Komárek, 2013;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Youn et al., 2018)의 결과와 차 이를 보였으며(Table 4), 본 연구에서 통해 확인된 나 선의 직경은 평균 91.3 μm(n=94)로 확인되었다. 일반 적으로 나선의 직경은 coil type의 Dolichospermum속 의 분류군을 구분하는 주요한 분류 기준이지만, 배양 조건 및 기간에 따라 형태적 변이가 발생될 수 있다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또한 북한강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자연 개체군에서 관찰 된 부유성 Anabaena(Dolichoepsrmum) 분류군의 나선 직경 범위가 선행 연구결과보다 7배 이상 차이를 보 이기도 하였다(Youn et al., 2018). 향후 이와 관련된 계통학적 및 형태분류학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종의 생태적 특성은 중·부영양화된 호소에서 빈번하게
수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낙동강에서는 수온이 증가하는 하절기(6, 7월)를 중심으로 출현하였다.
Table 4. Coil diameter (μm) ofDolichospermum crassuminvestigated from studies cited and in natural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Dolichospermum planctonicum
(Brunnthaler) Wacklin et al. 2009 (Fig. 3a; Fig 4A-3 ~ C-3)
이명:
Anabaena panctonica Brunnthaler 1903; Anabaena scheremetievii Elenkin 1919p.p.; Anabaena limnetica G.M.Smith 1916; Anabeana solitaria f. solitaria and f. planctonica (Brunnthaler) Komàrek 1958
관찰:
삼강교(Dec. 2016), 상풍교(Jun. 2017, Jul. 2017), 중 동교(Jun. 2017, Jul. 2017), 일선교(Jun. 2017,
Jul. 2017), 왜관교(Jun. 2017, Jul. 2017), 고령교(Feb. 2017, Jun. 2017, Jul. 2017), 율지교(Jun.
2017, Jul. 2017), 남지 교(Nov. 2016, Jun. 2017, Jul. 2017), 수산교(Nov. 2016), 삼랑진교(Nov.
2016)
기술:
본 종은 한국(Ryu et al., 2016; Shin, 2003), 일본 (Tuji and Niiyama, 2010), 싱가폴(Pham et al., 2011), 중국 (Wood et al., 2001) 등 아시아를 비롯하여, 유 럽 여러 국가(Chernova et al., 2017; Cirés et al., 2013; John et al., 2002;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8; Zapomělova et al., 2011), 남미대륙(Werner et al., 2009)의 담수 수계에서 흔하게 출현한다. 세포사 (trichome)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직선 혹은 약간 굴곡진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렷하 게 구분이 되었다. 영양 세포(vegetative cell)는 술통 (barreled)모양으로, 여러 개의 어두운 색의 가스포군 (aerotope,
gas vesicle의 집단)을 가진다. 세포의 길이 (high)는 4-7 μm이었으며, 너비(wide)는 9-12 μm로 확 인되었다. 말단 세포는
다른 영양세포와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Fig. 4A-3).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9-12 μm이였다(Fig.
4C-3). 휴면포자 (akinete)는 대부분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 으나(solitary, intercalary), 드물게 2개가 쌍으로 존재
하기도 하였다. 형태는 난형(oval) 혹은 길이가 긴 난 형으로 20-38 × 11-20 μm의 범위였다(Fig. 4B-3). 본 종은 흐름이 적고 성층이 발생한 수체에서 수표면의 수온 증가할 때 bloom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으며(Wood et al., 2011), 낙동강에서는 고령교, 남지 교 등 중·하류 구간에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Dolichospermum smithii
(Komàrek) Wacklin et al. (2009) (Fig. 3b; Fig 4A-4 ~ C-4)
이명:
Anabaena scheremetievii var. recta f. rotundospora Elenkin 1909; Anabaena planctonica sensu G.M.Smith 1920; Anabaena solitaria f. smithii Komàrek 1958; Anabeana smithii (Komàrek) M.Watanabe 1992
관찰:
율지교(Dec. 2016), 남지교(Dec. 2016)
기술:
본 종은 유럽(Cirés et al., 2013; Zapomělova et al., 2011;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8) 및 일본(Tuji and Niiyama, 2010)을 비롯하여, 국내의 한강 수계 (Choi et al., 2018)에서 관찰되었지만, 낙동강에서는 그 출현이 한 번도 확인되지 않았다(NIBR, 2015). 세 포사(trichome)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직선 혹은 약간 꼬인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 렷하게 구분이 되고, 세포
주위로 불분명한 점액이 둘러싸고 있다. 영양 세포(vegetative cell)는 짧은 술 통(barreled)모양으로, 세포의 크기는 6-12 ×
15-18 μm 로 확인되었다. 말단 세포는 다른 영양 세포와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Fig. 4A-4).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10-12 μm이였다(Fig.
4C-3). 휴면포자(akinete)는 대부분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나(solitary, intercalary), 드물게 세포사 내 3개까지 존재하기도
하였다. 형태는 구형으로 18-28 μm의 범위였다(Fig. 4B-4). 본 종의 생태적 특성은 중 영양 혹은 중부영양의 흐름이 적은 수체에서 주로 출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omárek and Zapoměková, 2008), 낙동강에서는 동절기에 일시적으로 출현이 확 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