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 대구대학교 생물교육전공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Daegu University)



Cyanobacteria, Genus Anabaena, Taxonomy, Water-bloom

1. Introduction

전통적인 분류체계(Komárek, 2010; Komárek and Anagnostidis, 1989)에 따르면, 사상형 남조류인(filamentous cyanobacteria) Genus Anabaena Bory ex Bornet & Flahault, 1886은 566개 분류군을 포함하고 있으며(Guiry and Guiry, 2018), 이들은 생태적으로 저생성(benthic)과 부유성(planktic) 의 종(species)으로 구분된다(Komàrek, 2013). Wacklin et al. (2009)은 세포 내 기공(gas vesicle)을 가지고 있는 부유 성 종의 그룹(cluster)을 형태학적 특징 및 16S rRNA의 유 전학적 정보에 기초하여 저서성 Anabaena 종과 분리하여 새로운 Genus Dolichospermum Wacklin et al. 2009을 제안 하였다. 이후 Anabaena 속은 Anabaena oscillarioides Bornet ex Bornet et Flahault 1888을 기준종(type species) 으로 오직 저서성 분류군을 대표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여전히 많은 연구가 전통적인 분류 체계를 따 라 수행되고 있다(Kim et al., 2005; Park et al., 2017; Yoon et al., 2018).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천이는 수중 환경변화를 대변하는 지표이며, 수계의 환경 특성을 이해하 고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종 수준에서의 천이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Youn et al., 2017). 국내 수계에서 출현하는 Dolichospermum 분류군의 형태학 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Microcystis 속과 같이 출현빈도가 높은 남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Choi et al., 2018; Kim, 2013; Yoon et al., 2018). 이로 인해 한강, 낙동강 등 상수원수로 이용되는 국내 대형 수체에서 사상 형 남조류(filamentous cyanobacteria)가 빈번하게 출현함에 도 불구하고, 종 수준에서의 분류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8개의 보가 건설된 낙동 강은 총 길이 525 km, 유역면적 23,859 km2의 국내에서 가 장 길고, 유역면적이 전 국토의 24.1 %를 차지하는 넓은 강이다. 보 건설 이후 낙동강의 식물플랑크톤 및 남조류 천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Choi et al., 2007; Ryu et al., 2016; Son, 2013; Yu et al., 2014), 대부분 속 (genus) 수준의 분류정보만을 제시하여, 종(species) 수준의 분류와 형태적 특징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적이다.

남조류의 생태적 천이에 대한 이해는 녹조현상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필수적이며(Ma et al., 2015), 특히 종(species) 수준 의 형태학적 분류는 녹조현상의 시기 및 독소 발생 가능성 등을 예측에 대한 연구의 출발점이다(Li et al., 2016). 따라 서 본 연구는 보 설치 이후 낙동강 보 구간에서의 남조류 천 이양상을 조사하고, 자연 개체군에서 확인된 Dolichospermum 속의 형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 Material and Methods

본 연구는 낙동강 8개 보 구간에서 10개 지점을 선정하 여, 2016년 8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월 1회 조사를 실시하 였다(Fig. 1). 채수는 식물플랑크톤 네트(mesh size: 32 μm) 를 이용하는 정성시료와 원수 1,000 mL를 이용하는 정량시 료를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채수된 시료는 Lugol 용액으 로 최종 농도가 5 %가 되도록 고정하였다.

Fig. 1. Location of sampling sites in Nakdong River.
../../Resources/kswe/KSWE.2018.34.5.503/JKSWE-34-503_F1.jpg

식물플랑크톤의 동정은 광학현미경(Nikon, ECLIPSE 80i) 을 이용하여 200 ~ 400배하에서 실시하였으며, Sedwick-Rafter chamber를 사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ME, 2011). 세포 사(trichome), 영양 세포(vegetative cell), 이형 세포(heterocyte), 휴면 포자(akinete)의 형태는 디지털카메라 (Nikon DS-5M) 가 장착된 Nikon ECLIPSE 80i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이미지 분석은 NIS-Elements F 3.0 프로그램을 사 용하여 수행하였다. 분류 체계는 한국의 조류(담수산 남조류 I, II) (NIBR, 2012a; 2012b)와 Komárek and Anagnostidis (1999, 2005), Komárek(2013)의 기준을 따랐다.

본 연구에 사용된 용어는 Komárek (2013)을 참조하였으 며, 한글 용어는 KABS(2015)에서 편찬한 ‘생물학용어집’을 기준으로 표현하였다. 일부 우리말 용어가 보편적으로 쓰이 지 않는 용어에 대해서는 혼란을 줄이기 위하여 우리말 뒤 에 원어를 괄호로 제시하였다. 표본의 형태적 특징을 설명 하기 위해 영양 세포(vegetative cell), 이형 세포(heterocyte), 휴면 포자(akinete)의 길이와 너비; 이형 세포 간의 거리 및 이형 세포와 인접한 휴면 포자간의 거리(세포의 수를 계수하 여 측정함); 가스포군(aerotope)의 존재여부; 세포사(trichome) 의 모양과 군체에서 세포사의 배열 형태 등을 관찰하여 기 술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남조류 군집 구조 및 천이 양상

본 연구를 통해, 낙동강 보 구간에서 확인된 남조류는 총 3목 5과 15속 31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분류군은 Chroococcales목 2과 5속 10종, Oscillatoriales목 2과 7속 12종, Nostocales목 1과 3속 9종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출 현이 확인된 31분류군의 생태 특성을 살펴보면, 부유성 24 종, 저서성 2종, 미확인 5종으로 각각 확인되어 낙동강 보 구간에서 출현하는 남조류는 부유성의 생활사를 가진 종들 이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Table 1. List of cyanobacterial species foun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August 2016 ~ July 2017
Taxa Ecotype

Class Cyanophyceae
Order Chroococcales
  Family Merismopediaceae Elenkin, 1933
   Genus Aphanocapsa Nageli, 1849
    Aphanocapsa delicatissima planktonic species
   Genus Merismopedia Meyen, 1839
    Merismopedia punctata planktonic species
    Merismopedia tenuissima planktonic species
    Merismopedia sp. -
   Genus Woronichinia Elenkin, 1933
    Woronichinia neageliana planktonic species
  Family Chroococcaceae Rabenhorst, 1863
   Genus Chroococcus Nageli, 1849
    Chroococcus sp. -
   Genus Microcystis Elenkin, 1933
    Microcystis aeruginosa planktonic species
    Microcystis ichthyoblabe planktonic species
    Microcystis wesenbergii planktonic species
    Microcystis viridis planktonic species

Order Osciallatoriales
Family Pseudanabaenaceae Anagnostidis & Komárek, 1988
  Genus Pseudanabaena Lauterborn, 1915
    Pseudanabaena catenata benthic species
    Pseudanabaena limnetica planktonic species
    Pseudanabaena mucicola planktonic species
    Pseudanabaena westiana planktonic species
    Pseudanabaena sp. -
  Genus Geitlerinema (Anagnostidis & Komárek) Anagnostidis, 1989
   Geitlerinema amphibium planktonic species
  Genus Planktolyngbya Anagnostidis & Komárek, 1988
   Planktolyngbya limnetica planktonic species
Family Phormidiaceae Anagnostidis & Komárek, 1988
  Genus Planktothrix Anagnostidis & Komárek, 1988
   Planktothrix agardhii planktonic species
  Genus Phormidium Kützing ex Gomont, 1892
   Phormidium sp. -
  Genus Oscillatoria Vaucher ex Gomont, 1892
   Oscillatoria limosa benthic species
   Oscillatoria sp. -
  Genus Lyngbya C. Agardh ex Gomont, 1892
   Lyngbya birgei planktonic species

Order Nostocales
Family Nostocaceae Eichler, 1886
  Genus Cuspidothrix Rajaniemi et al. 2005
   Cuspidothrix issatschenkoi planktonic species
  Genus Aphanizomenon A. Morren ex Bornet & Flahault, 1886
   Aphanizomenon flos-aquae planktonic species
   Aphanizomenon klebahnii planktonic species
   Aphanizomenon skujae planktonic species
  Genus Dolichospermum (Ralfs ex Bornet et Flahault) Wacklin, Hoffmann et Komárek, 2009
   Dolichospermum circinale planktonic species
   Dolichospermum crassum planktonic species
   Dolichospermum flos-aquae planktonic species
   Dolichospermum planctonicum planktonic species
   Dolichospermum smithii planktonic species

조사기간 동안 지점별 총 출현종수는 St.8(남지교) 지점 에서 2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St.9(수산교) 21종, St.5(왜관교) 및 St.7(율지교) 20종, St.4 (일선교) 및 St.10(삼랑진교) 18종 등의 순으로 나타나, 낙 동강 보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창녕함안보 상·하류 구간 에서 많은 종의 남조류가 출현하였다. 한편, 조사기간 동안 지점별 남조류 평균 세포밀도는 상주보 상류에 위치한 St.1(삼강교)에서 8,343 cells/mL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달성보 상류에 위치한 St.6(고령교)에서 328,437 cells/mL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Fig. 2). 낙동강 보 구간에서 출현종 수와 세포밀도는 지점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출현종수가 높 았던 창녕함안보 상·하류 구간(출현종수: 21 ~ 22종, 세포밀도: 113,813 ~ 170,452 cells/mL)보다 구미보 및 달성보 상류 구간 (출현종수: 16 ~ 18종, 세포밀도: 243,257 ~ 328,437 cells/mL) 에서의 세포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조류의 출현과 생물량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환경요인이 다르기 때문으 로 판단되며, 남조류의 증식은 체류시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ilton et al., 2006; Kim et al., 2014; Ryu et al., 2016). 조사 기간 동안, 연 평균 수리수 문학적 체류시간은 창녕함안보가 4.7 day-1인 반면, 구미보와 달성보의 체류시간은 5.0 ~ 6.2 day-1로 확인되었다(K-water, 2018).

Fig. 2. Temporal variations of chl-a and cell density of cyanobacterial orders at each sampling sites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a) st.1, (b) st.2, (c) st.3, (d) st.4, (e) st.5, (f) st.6, (g) st.7, (h) st.8, (i) st.9, (j) st.10.
../../Resources/kswe/KSWE.2018.34.5.503/JKSWE-34-503_F2.jpg

10개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남조류의 시기별 총 출현종수 는 수온이 증가하는 '18년 6월에 2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으며, 동절기인 1월~ 3월에 4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조사되었다. 평균 세포밀도는 최저 1,389 cells/mL('17년 3 월)에서 최고 265,263 cells/mL('17년 7월)로 나타났으며, 수온 이 5 °C 이하로 떨어지는 동절기(12월~ 2월)에도 Oscillatoria limosa Agardh ex Gomont 1892, Aphanizomenon flos-aquae Ralfs ex Bornet et Flahault 1888, Dolichosperumum planctonicum (Brunnthaler) Wacklin et al. 2009 등 사상형 남조류 의 출현이 확인되었다. 특히 Oscillatoriales목의 Pseudanabaena 속에 해당하는 분류군은 최저 157 cells/mL('17년 11월)에서 최고 69,607 cells/mL('18년 7월)로 연중 출현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하절기에만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Chroococcales목 의 남조류와 달리, 사상형 남조류(Oscillatoriales, Nostocales) 는 저수온에서도 높은 적응력을 보여 출현빈도가 점차 증 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irés et al., 2013; Ryu et al., 2017) (Fig. 2).

낙동강 보 구간 10개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남조류 중 주요 우점분류군으로는 Chroococcales목의 Microcystsis wesenbergii, M. aeruginosa, Merisomepedia tenuissima, Aphanicapsa delicatissima와 Oscillatoriales목의 Geitlerinema amphibium, Lybgbya birgei, Oscillatoriales limosa, Osillatoriales sp. Pseudanabaena catenata, Nostocales목의 Aphanizomenon flos-aquae, A. skujae 등 11종이 확인되었다. 계절별 분포를 살펴보면, 하절기에는 구형의 Chroococcales목의 분류군들 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그 밖에 계절에는 사상형의 Oscillatoriales목과 Nostocales목의 분류군들이 주요 출현종 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Table 2. Dominant cyanobacterial species foun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 2016 ~ 2017
Year Month Dominant species Rate (%)

2016 Aug. Microcystis wesenbergii 57.0
Sep. Aphanizomenon flos-aquae 41.1
Oct. Aphanizomenon flos-aquae 24.6
Nov. Aphanizomenon flos-aquae 29.8
Dec. Aphanizomenon flos-aquae 20.3

2017 Jan. Oscillatoria limosa 37.3
Feb. Oscillatoria limosa 54.0
Mar. Pseudanabaena catenata 30.3
Apr. Geitlerinema amphibium 34.2
May Aphanizomenon flos-aquae 36.0
Jun. Microcystis aeruginosa 43.7
Jul. Microcystis aeruginosa 34.9

3.2. 보 구간에서 출현하는 부유성 Anabaena (Dolichospermum) spp.의 형태적 특성

낙동강 보 구간 내 자연 시료에서 Dolichospermum 속의 5개 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4개 분류군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채집된 개체의 형태적 특징은 Figs. 3 ~ 4, Table 3에 나타내었고, 인용문헌에서 참고한 형태학적 특징은 Fig. 5에 묘사하였다.

Fig. 3. Photographs of genus Dolichospermum from natural samples collecte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a)D. planctonicum; (b)D. smithii; (c)D. crassum; (d)D, flos-aquae.
../../Resources/kswe/KSWE.2018.34.5.503/JKSWE-34-503_F3.jpg
Table 3. Diacritic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Dolichospermum taxa in natural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Species Trichomes Vegetative cells Heterocytes Akinetes

Dolichospermum flos-aquae solitary, irregularly coiled, constricted at the cross-wall. spherical shaped, 5-8 μm, apical cells spherical, of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vegetative cells.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3-6 μm kidney-shaped, solitary, intercalary, 16-21 × 8-12 μm
Dolichospermum crassum solitary, regularly screw-like coiled, the coil diameters are 75-140 μm, spherical to barrel-shaped, shorter than wide, 7-11 × 12-16 μm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10-15 μm ov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17-36 μm
Dolichospermum planctonicum solitary, straight, constricted at the cross-wall. barrel-shaped, 4-7 × 9-12 μm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9-12 μm oval or long-oval shaped, solitary or pairs in a row, intercalary, 20-38 × 11-20 μm
Dolichospermum smithii solitary, straight, constricted at the cross-wall. shortly barrel-shaped, 6-12 × 15-18 μm spherical shaped, solitary, intercalary, 10-12 μm spherical shaped, solitary or up to 3 in a row, intercalary, 18-28 μm
Fig. 4. Vegetative cells, heterocytes and akinetes of the four Dolichospermum taxa from natural samples collected in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A-1, B-1, C-1)D. flos-aquae;(A-2, B-2, C-2)D. crassum;(A-3, B-3, C-3)D. planctonicum;(A-4, B-4, C-4)D, smithii.
../../Resources/kswe/KSWE.2018.34.5.503/JKSWE-34-503_F4.jpg
Fig. 5. Vegetative cells, heterocytes and akinetes of the fourDolichospermumtaxa investigated from studies cited;(A-1, B-1, C-1)D. flos-aquae– afterKomàrek (1958);(A-2, B-2, C-2)D. crassum– afterKomàrek (1958)andKomàrkovà-Legnerrovà et Cronberg (1992);(A-3, B-3, C-3)D. planctonicum– afterKomàrek (1958);(A-4, B-4, C-4)D, smithii– afterKomàrek (1958).
../../Resources/kswe/KSWE.2018.34.5.503/JKSWE-34-503_F5.jpg

Dolichospermum flos-aquae (Brébisson ex Bornet et Flahault) Wacklin et al., 2009 (Fig. 3d; Fig 4A-1 ~ C-1)

이명: Anabaena flos-aquae (Lyngbye) Brébisson ex Bornet et Flahault 1888; Anabaena contorta Bachmann 1921 incl.; Anabaena flos-aquae f. typica Elenkin 1938; Anabeana spiroides var. minima Nygaard 1945

관찰: 상풍교(May 2017), 중동교(May 2017), 일선교(May 2017, Jun. 2017, Jul. 2017), 수산교(May 2017)

기술: 본 종은 한국(Choi et al., 2007; Kim et al., 2005; Ryu et al., 2016), 중국(Shen et al., 2017; Wang et al., 2013; Wang et al., 2015), 일본(Hodoki et al., 2012; Tuji and Niiyama, 2010), 싱가폴(Pham et al., 2011) 등 아시아를 비롯하여 유럽 여러 국가(Cirés et al., 2013; John et al., 2002; Zapomělova et al., 2011) 의 담수 수계에서 흔하게 출현한다. 세포사(trichome) 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불규칙적으로 꼬여있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다. 영양 세 포(vegetative cell)는 구형으로 직경이 5-8 μm이었으 며, 말단 세포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 4A-1).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 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3-6 μm이였다(Fig. 4C-1). 휴면포자(akinete)는 세포사 내 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콩 팥 모양으로 16-21 ~ 8-12 μm의 범위였다(Fig. 4B-1). 본 연구에서 확인된 본 종의 형태적 특징은 선행연 구(Komárek, 2013;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종의 생 태적 특성은 부유성으로서 부영양화된 수체에서 빈번 하게 수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낙동강에 서의 출현빈도는 높지 않았다. 본 종의 분리된 균주 중 일부는 신경독소(anatoxin-a, anatoxin-a (S)) 및 간 독소(microcystin), 이취미 물질(geosmin) 등 다양한 2 차 대사산물을 생성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Komárek, 2013; Li et al., 2016).

Dolichospermum crassum (Lemmermann) Wacklin et al., 2009 (Fig. 3c; Fig 4A-2 ~ C-2)

이명: Anabaena spisoides var. crassa Lemmermann 1898; Anabaena crassa (Lemmermann) Komàrkovà-Legnerovà et Cronberg 1992

관찰: 상풍교(Jun. 2017, Jul. 2017), 중동교(Jun. 2017, Jul. 2017), 일선교(Jun. 2017, Jul. 2017), 왜관교(Jun. 2017, Jul. 2017), 고령교(Jun. 2017, Jul. 2017), 율지교(Jun. 2017, Jul. 2017), 남지교(Jun. 2017, Jul. 2017), 수산교 (Jun. 2017, Jul. 2017), 삼랑진교(Jun. 2017, Jul. 2017)

기술: 본 종은 유럽의 여러 국가(Cirés et al., 2013;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Zapomělova et al., 2011) 및 남미대륙(Werner et al., 2009)을 비롯하여, 일본 (Hodoki et al., 2012; Tuji and Niiyama, 2010; Watanabe et al., 2004), 한국(Choi et al., 2007; Kang et al., 2014; Ryu et al., 2016; Shin, 2003) 등 아시아 의 담수에서도 널리 보고되어왔다. 세포사(trichome) 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규칙적인 나선형으로 꼬 여있었다. 나선은 최소 보통 3 ~ 6회전의 범위로 나타 났으며, 나선의 직경은 75-140 μm이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다. 영양 세포(vegetative cell)는 구형 혹은 술통(barreled)모양으로, 대부분 너 비보다 길이가 짧았다. 세포의 길이(high)는 7-11 μm 이었으며, 너비(wide)는 12-16 μm로 확인되었다. 말단 세포는 다른 영양세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 4A-2).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 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10-15 μm이였다(Fig. 4C-2). 휴면 포자(akinete)는 세포 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난형(oval)으로 17-36 μm의 범위였다(Fig. 4B-2). 낙 동강의 자연 개체군에서 확인된 나선 직경의 형태적 변이폭은 선행연구(Komárek, 2013;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Youn et al., 2018)의 결과와 차 이를 보였으며(Table 4), 본 연구에서 통해 확인된 나 선의 직경은 평균 91.3 μm(n=94)로 확인되었다. 일반 적으로 나선의 직경은 coil type의 Dolichospermum속 의 분류군을 구분하는 주요한 분류 기준이지만, 배양 조건 및 기간에 따라 형태적 변이가 발생될 수 있다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7). 또한 북한강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자연 개체군에서 관찰 된 부유성 Anabaena(Dolichoepsrmum) 분류군의 나선 직경 범위가 선행 연구결과보다 7배 이상 차이를 보 이기도 하였다(Youn et al., 2018). 향후 이와 관련된 계통학적 및 형태분류학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종의 생태적 특성은 중·부영양화된 호소에서 빈번하게 수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낙동강에서는 수온이 증가하는 하절기(6, 7월)를 중심으로 출현하였다.

Table 4. Coil diameter (μm) ofDolichospermum crassuminvestigated from studies cited and in natural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ir regions of Nakdong River
Species Li et al., 2000 Komárek and apoměková, 2007 Komárek, 2013 This study

Dolichospermum crassum 32.0-62.5 μm 40-70 × 30-55 μm 40-70(80) × (10)30-55(90) μm 75-140 μm (n = 94, ave. = 91.3 μm)

Dolichospermum planctonicum (Brunnthaler) Wacklin et al. 2009 (Fig. 3a; Fig 4A-3 ~ C-3)

이명: Anabaena panctonica Brunnthaler 1903; Anabaena scheremetievii Elenkin 1919p.p.; Anabaena limnetica G.M.Smith 1916; Anabeana solitaria f. solitaria and f. planctonica (Brunnthaler) Komàrek 1958

관찰: 삼강교(Dec. 2016), 상풍교(Jun. 2017, Jul. 2017), 중 동교(Jun. 2017, Jul. 2017), 일선교(Jun. 2017, Jul. 2017), 왜관교(Jun. 2017, Jul. 2017), 고령교(Feb. 2017, Jun. 2017, Jul. 2017), 율지교(Jun. 2017, Jul. 2017), 남지 교(Nov. 2016, Jun. 2017, Jul. 2017), 수산교(Nov. 2016), 삼랑진교(Nov. 2016)

기술: 본 종은 한국(Ryu et al., 2016; Shin, 2003), 일본 (Tuji and Niiyama, 2010), 싱가폴(Pham et al., 2011), 중국 (Wood et al., 2001) 등 아시아를 비롯하여, 유 럽 여러 국가(Chernova et al., 2017; Cirés et al., 2013; John et al., 2002;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8; Zapomělova et al., 2011), 남미대륙(Werner et al., 2009)의 담수 수계에서 흔하게 출현한다. 세포사 (trichome)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직선 혹은 약간 굴곡진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렷하 게 구분이 되었다. 영양 세포(vegetative cell)는 술통 (barreled)모양으로, 여러 개의 어두운 색의 가스포군 (aerotope, gas vesicle의 집단)을 가진다. 세포의 길이 (high)는 4-7 μm이었으며, 너비(wide)는 9-12 μm로 확 인되었다. 말단 세포는 다른 영양세포와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Fig. 4A-3).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9-12 μm이였다(Fig. 4C-3). 휴면포자 (akinete)는 대부분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 으나(solitary, intercalary), 드물게 2개가 쌍으로 존재 하기도 하였다. 형태는 난형(oval) 혹은 길이가 긴 난 형으로 20-38 × 11-20 μm의 범위였다(Fig. 4B-3). 본 종은 흐름이 적고 성층이 발생한 수체에서 수표면의 수온 증가할 때 bloom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으며(Wood et al., 2011), 낙동강에서는 고령교, 남지 교 등 중·하류 구간에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Dolichospermum smithii (Komàrek) Wacklin et al. (2009) (Fig. 3b; Fig 4A-4 ~ C-4)

이명: Anabaena scheremetievii var. recta f. rotundospora Elenkin 1909; Anabaena planctonica sensu G.M.Smith 1920; Anabaena solitaria f. smithii Komàrek 1958; Anabeana smithii (Komàrek) M.Watanabe 1992

관찰: 율지교(Dec. 2016), 남지교(Dec. 2016)

기술: 본 종은 유럽(Cirés et al., 2013; Zapomělova et al., 2011; Komárek and Zapoměková, 2008) 및 일본(Tuji and Niiyama, 2010)을 비롯하여, 국내의 한강 수계 (Choi et al., 2018)에서 관찰되었지만, 낙동강에서는 그 출현이 한 번도 확인되지 않았다(NIBR, 2015). 세 포사(trichome)는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 직선 혹은 약간 꼬인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사이 간극은 뚜 렷하게 구분이 되고, 세포 주위로 불분명한 점액이 둘러싸고 있다. 영양 세포(vegetative cell)는 짧은 술 통(barreled)모양으로, 세포의 크기는 6-12 × 15-18 μm 로 확인되었다. 말단 세포는 다른 영양 세포와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Fig. 4A-4). 이형 세포(heterocyte)는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며(solitary, intercalary), 구형으로 직경이 10-12 μm이였다(Fig. 4C-3). 휴면포자(akinete)는 대부분 세포사 내부에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나(solitary, intercalary), 드물게 세포사 내 3개까지 존재하기도 하였다. 형태는 구형으로 18-28 μm의 범위였다(Fig. 4B-4). 본 종의 생태적 특성은 중 영양 혹은 중부영양의 흐름이 적은 수체에서 주로 출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omárek and Zapoměková, 2008), 낙동강에서는 동절기에 일시적으로 출현이 확 인되었다.

4. Conclusion

낙동강 보 구간에서의 남조류 천이 양상 및 자연 개체군 Dolichospermum 속의 형태학적 특징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낙동강 보 구간에서 남조류 출현종수와 세포밀도의 발생 양상은 구간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출현종수가 높았던 낙동강 하류 구간(합천창녕보 상류~창녕함안보 하류)보다 중류 구간 (달성보 상류~합천창녕보 상류)에서의 세포밀도가 높게 나타 났다. 또한, 하절기에만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Chroococcales목 의 남조류와 달리, 사상형 남조류(Oscillatoriales, Nostocales) 는 저수온에서도 지속적인 출현빈도를 유지하였으며, 이를 통해 낙동강에서 출현하는 사상형 남조류가 넓은 수온 범 위에 적응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낙동강의 자연 개체군에서 확인된 Dolichospermum crassum (Lemmermann) Wacklin et al. 2009의 나선 직경 은 평균 91.3 μm (n = 94)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나선 직 경과 차이를 보였다. 향후 이와 관련된 계통학적 및 형태 분류학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Dolichospemum smithii (Komàrek) Wacklin et al. 2009는 낙동강 중·하류 구간에서 동절기에 일시적으로 출 현하였으며, 낙동강 수계에서는 최초로 확인되었다.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NIER-2018-03-03-002).

References

1 
Chernova E., Sidelev S., Russkikh I., Voyakina E., Babanazarova O., Romanov R., Kotovshchikov A., Mazur-Marzec H., 2017, Dolichospermum and Aphanizomenon as nerotoxins producers in some Russian freshwaters, Toxicon, Vol. 130, pp. 47-55DOI
2 
Choi C.M., Kim J.H., Kim W.I., Lee J.S., Jung G.B., Lee J.T., Moon S.G., 2007, Phytoplankton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lower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 26, pp. 159-170DOI
3 
Choi H.J., Joo J.H., Kim J.H., Wang P., Ki J.S., Han M.S., 2018,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Dolichospermum hanganese (Nostocales, Cyanobacteria) sp. nov. from Han River, Korea, Algae, Vol. 33, pp. 143-156DOI
4 
Cirés S., Wörmer L., Agha R., Quesada A., 2013,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Anabaena, Apahnizomenon and Microcystis as potential inocula for summer bloom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35, pp. 1254-1266DOI
5 
Guiry M.D., Guiry G.M., 2018, http://www.algaebase.orgi (searched on 14 July 2018),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6 
Hilton J., O’Hare M., Bowes M.J., Jones J.I., 2006, How green is my river? A new paradigm of eutrophication in riv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365, pp. 66-83DOI
7 
Hodoki Y., Ohbayashi K., Kobayashi Y., Okuda N., Nakano S., 2012,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otentially toxic cyanobacteria: Ubiquitous distribut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Cuspidothrix issatschenkoi in Japanese lakes, Harmful Algae, Vol. 16, pp. 49-57DOI
8 
John D.M., Whitton B.A., Brook A.J., 2002, The freshwater algal flora of the British isles: An identification guide to freshwater and terrestrial alg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702
9 
Kang P.G., Lee S.J., Byeon M.S., Yoon S.A., Kim H.N., Lee J.K., Hwang S.J., 2014,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the akinete study of the blue-green algal genus Anabaen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47, pp. 1-12DOI
10 
Kim B.H., Lee W.S., Kim Y.O., Lee H.O., Han M.S., 2005, Relationship between akinete germination and vegetative population of Anabaena flos-aquae(Nostocales, Cyanobacteria) in Seokchon reservoir (Seoul, Korea), Archiv für Hydrobiologie, Vol. 163, pp. 49-64DOI
11 
Kim H.S., 2013, Anabaena koreana sp. nov. (Cyanophyceae), a new species, and new record of fresh-water blue-greenalgae from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36, pp. 293-302DOI
12 
Kim T.K., Choi J.H., Lee K.J., Kim Y.B., Yu S.J., 2014, Study on introduction to predicting indicator of cyanobacteria dominance in algae bloom warning system of Hangang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6, pp. 378-385DOI
13 
Komárek J., 1958, Die taxonomische revision der planktishen blaualgen der Tschechoslowakei, Algologische Studien, Academia, pp. 10-206
14 
Komárek J., 2010, Modern taxonomic revision of planktic nostocacean cyanobacteria: a short review of genera, Hydrobiologia, Vol. 639, pp. 231-243DOI
15 
Komárek J., 2013, Cyanoprokaryota 3. Teil / 3rd part: Heterocytous genera, SüBwasser flora von Mutteleuropa, 19/3, Springer Spektrum, pp. 1131
16 
Komárek J., Anagnostidis K., 1989, Modern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yanophytes 4-Nostocales, Archiv für Hydrobiologie/Algological Studies, Vol. 56, pp. 247-345Google Search
17 
Komárek J., Anagnostidis K., 1999, Cyanoprokaryota 1. Teil: Chroococcales, SüBwasserflora von Mutteleuropa, 19/1, Gustav Fisher, Jena-Stuttgart-Lübeck-Ulm, pp. 548
18 
Komárek J., Anagnostidis K., 2005, Cyanoprokaryota 2. Teil/2nd Part: Oscillatoriales, SüBwasserflora von Mutteleuropa, 19/2, Elsevier/Spektrum, pp. 759
19 
Komárek J., Zapoměková E., 2007, Planktic morphospecies of the cyanobacterial genus Anabaena = subg. Dolichospermum - 1. part: coiled types, Fottea, Vol. 7, pp. 1-31
20 
Komárek J., Zapoměková E., 2008, Planktic morphospecies of the cyanobacterial Genus Anabaena = subg. Dolichospermum - 2. part: straight types, Fottea, Vol. 8, pp. 1-14
21 
Komárková-Lengnerová J., Cronberg G., 1992, New and recombined filamentous cyanophytes from lakes in South Scania, Sweden, Archiv für Hydrobiologie/Algological Studies, Vol. 67, pp. 21-37Google Search
22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KABS), 2015, [Korean Literature], English-Korean·Korean-English Biological Terms, Academy, pp. 1161
23 
K-water, 2018, https://www.water.or.kr/realtime/sub01/sub01/dam/hydr.do?s_mid=1323&seq=1408&p_group_seq=1407&menu_mode=3(accessed Jun. 2018). [Korean Literature], My Water Information
24 
Li X., Dreher T.W., Li R., 2016, An overview of Diversity, Occurence, Genetics and Toxin Production of Bloom-forming Dolichospermum(Anabaena) species, Harmful Algae, Vol. 54, pp. 54-68DOI
25 
Ma H., Wu Y., Gan N., Zheng L., Li T., Song L., 2015, Growth Inhibitory Effect of Microcystis on Aphanizomenon flos-aquae isolated from cyanobacteria bloom in Lake Dianchi, China, Harmful Algae, Vol. 42, pp. 43-51DOI
26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1, [Korean Literature], Standard Method for Water Pollutants, Ministry of Environment
2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2a, [Korean Literature], Algal Flora of Korea, Freshwater Cyanoprokaryota 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2b, [Korean Literature), Algal Flora of Korea, Freshwater Cyanoprokaryota 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15, [Korean Literatur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pp. 76
30 
Park H.J., Park M.H., Shim Y.B., Lim J.K., Hwang S.J., 2017, Geosmin production potential of a Cyanobacterium, Anabaena circinalis isolated from Lake Paldang, Korea,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50, pp. 363-373Google Search
31 
Pham M.N., Tan H.T.W., Mitrovic S., Yeo H.H.T., 2011, A checklist of the algae of Sigapore, Raffles museum of biodiversity research, Nation University of Singapore, pp. 100
32 
Ryu H.S., Park H.K., Lee H.J., Shin R.Y., Cheon S.U., 2016, Occurrence and succession pattern of cyanobacteria in the 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Factors influencing Aphanizomenon bloo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2, pp. 52-59DOI
33 
Ryu H.S., Shin R.Y., Lee J.H., 2017, Response of growth and toxigenicity to varying temperature and nutrient conditions in Aphanizomenon flos-aquae (Cyanophyceae),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3, pp. 538-545Google Search
34 
Shen J.Y., Liao J.Z., Guo L.L., Su R.F., 2017, Effects of monosulfuron-ester on metabolic processes of nitrogen-fixing cyanobacteria Anabaena flos-aquae and Anabaena azotica,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 48, pp. 544-550DOI
35 
Shin J.K., 2003, Seasonal dynamics of aquatic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in Pyeongtaek Reservoir, Korea, Algae, Vol. 18, pp. 145-156DOI
36 
Son H.J., 2013, The analysis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dle-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5, pp. 430-435DOI
37 
Tuji A., Niiyama Y., 2010, Phylogenetic study by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of Japanese planktonic Anabaena Species,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eries B, Vol. 36, pp. 71-80Google Search
38 
Wacklin P., Hoffmann L., Komárek J., 2009, Nomenclatural validation of the genetically revised cyanobacterial genus Dolichospermum (Ralfs ex Bornet et Flahault) comb. nova, Fottea, Vol. 9, pp. 59-64DOI
39 
Wang S., Zhu L., Li G., Li L., Song L., Gan N., 2015,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ynamics of populational anatoxinaproducing cyanobacteria in Lake Dianchi, China, Harmful Algae, Vol. 48, pp. 63-68DOI
40 
Wang Z., Liu Y., Xu Y., Xiao P., Li R., 2013, The divergence of cpcBA-IGS sequences between Dolichospermum and Aphanizomenon (Cyanobacteria) and the molecular detection of Dolichospermum flos-aquae in Taihu Lake, China, Phycologia, Vol. 52, pp. 447-454DOI
41 
Watanabe M., Niiyama Y., Tuji A., 2004, Studies on planktonic blue-green algae 10. Classification of planktonic Anabaena with coiled trichomes maintained in national science nuseum, Tokyo,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eries B, Vol. 30, pp. 135-149Google Search
42 
Werner V.R., Laughinghouse H.D., 2009, Bloom-forming and other planktonic Anabaena (Cyanobacteria) morphospecies with twisted trichomes grom Rio Grande fo Sul State, Brazil, Nova Hedwigia, Vol. 89, pp. 17-47DOI
43 
Wood S.A., Rueckert A., Hamilton D.P., Cary S.C., Dietrich D.R., 2011, Switching toxin production on and off: Intermittent microcystin synthesis in a Microcystis bloom,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3, pp. 118-124DOI
44 
Youn S.J., Kim H.N., Im J.K., Kim Y.J., Baek J.S., Lee S.W., Lee E.J., Yu S.J., 2017,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dominant species succession in Lake Cheongpyeo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6, pp. 913-925DOI
45 
Youn S.J., Kim Y.J., Kim H.N., Kim J.Y., Yu M.N., Lee E.J., Yu S.J., 2018, Geosmi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abaena circinalis, obtaind from the Bukhan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7, pp. 27-38DOI
46 
Yu J.J., Lee H.J., Lee K.L., Lyu H.S., Hwang J.H., Shin L.Y., Chen S.U., 2014, Relations between distributionof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47, pp. 247-257DOI
47 
Zapomělova E., Hrouzek P., Řezanka T., Jezberová J., Řeháková K., Hisem D., Komáková J., 2011, Polyphasic characterization of Dolichospermum spp. and Sphaerospermopsis spp. (Nostocales, Cyanobacteria): morphology, 16S rRNA gene sequences and fatty acid and secondary metabolite profiles, Journal of Phycology, Vol. 47, pp. 1152-1163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