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섭
(Ho-Sub Kim)
a†iD
김상용
(Sang-Yong Kim)
biD
박윤희
(Yun-Hee Park)
ciD
-
KE컨설팅
(Korea Environmental Consulting)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EMC, First flush effect, Runoff, Rural watershed, Urban watershed
1. Introduction
토지이용에 따라 강우 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이동 특성은 유출수내 오염물질의 농도와 양을 유량가중평균농 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나 원단위를 통해 정량 화하거나(Choi et al., 2009; Go et al., 2009; Jung et al., 2013; Kim and Lee, 2005; Won et al., 2009), 강우 시 유 출된 유량과 오염물질 양의 상대적인 비로 표현되는 초기강 우현상 혹은 초기세척효과의 세기 등을 통해 설명되고 있다 (Bertrand-Krajewski et al., 1998; Detetic and Mahsimivic, 1998; Gupta and Saul, 1996; Jung, Jang et al., 2009; Jung et al., 2011; Kang et al., 2016; Kim et al., 2014; Kim and Oh, 2011; Lee et al., 2008; Shin and Jeon, 2017; Vorreiter and Hickey, 1994; Won et al., 2009). 강우 시 유출특성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토지이용형태에 따라 유출특성의 차 이가 확인되고 있으나 토지이용형태가 유사한 환경에서도 경사, 강수량,
강우강도, 선행강우일수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유출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이 제시되고 있다(Deletic, 1998; Gupta and Saul, 1996; Kim and Lee, 2005; Kim et al., 2004; Shin and Jeon, 2017).
도시 지역에서의 강우 시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은 단위 면적당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많고(NIER, 2014) 첨두 유량 전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현상은 재현성이 높 은 유출특성으로 알려져 있으나(Bertrand-Krajewski et al., 1998; Kim et al., 2009), 하천 유입경로로 사용되는 하수관 로 형태에 따라 초기강우 유출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의 양과 초기세척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이 보고된바 있
다(Kim et al., 2014; Shin and Jeon, 2017). 반면 농촌지역 은 도시지역과 비교해 시비활동과 식생과 작물, 토양 및 관개행위 등 더 많은 변수들로 인해 강우 시 시간에 따른 동적인 변화와
정량화된 유출특성의 재현성이 용이하지 않 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ung, Jang et al., 2009; Kim and Oh, 2011; Lee et al., 2008; Won et al., 2009). 그러나 강 우 시 재현되는 수문곡선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재현성 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더라도 (Choi et al., 2009; Jung, Jang et al., 2009; Lee et al., 2008; Shin and Jeon, 2017), 토지 이용형태에 따라 강우 시 유출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 하기 때문에 지속될 필요가
있다. 발생원에서의 유출특성은 비점오염원을 정량화함에 있어 필요한 원단위 산정 및 비 점 저감시설의 규모 결정 시 활용될 수 있으며 하천에서 재현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은 유역 내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비점관리가 필요한 하천의 우 선순위 결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로, 주차장, 농경지 등 개별적인 토지이용형 태의 유역 말단지점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형태가 복합적인 하천에서 강우 시 유출특성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 었고 하천에서 진행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단일 유역을 대 상으로 하거나 서로 다른 특성의 유역을 대상으로 하더라 도 유역특성별로
하나의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Kim et al., 2009; Kim and Oh, 2011). 하천에서 재현되는 수문 곡선은 유역말단지점과 비교해 수용수체 환경용량에 따라 좀 더 유동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Jung, Jang et al., 2009; Kim et al., 2009), 유사한 유역특성의 복수 유역에서 유출특성의 재현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는 인구밀도와 토지이용도 등을 고려하여 농촌과 도
시유역 구분하였고 유역특성별로 복수의 하천을 대상으로 유출특성을 비교하였고, 유역특성에 따라 나타난 유출특성 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2. Material and Methods
2.1. 조사 대상 하천
강우 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조사는 한강권역에 위치 하고 있는 신갈천(기흥저수지 유입 전), 지곡천(신갈천 합 류전), 탄천(동막천 합류 전),
마석우천(묵현천 합류전), 갈 매천(불암천 합류전), 한천(음성군과 이천시 경계지점), 백 봉천(청미천 합류전) 및 청미천(용천천 합류전)에서 수행하
였다(Table 1, Fig. 1). 조사대상 하천의 배출부하량은 2016 년 기준 전국오염원자료를 사용하여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 지침(NIER, 2014)에 따라 산정하였고 유역은 전체유역면적 중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서 구분하고 있는 대지면적 비율(20 % 이상)과 인구밀도(2,000명/km2)를 기준으로 도시유 역 하천과 농촌유역 하천으로 구분하였다. 도시유역 하천은 유역 내 대지면적비율이 20 % 이상이고 인구밀도가 2,000명 /km2 이상인 유역으로 조사대상 하천 중 신갈천, 지곡천, 탄천, 마석우천이 포함되었고 청미천, 백봉천 한천은 농촌 유역 하천으로 구분되었다. 갈매천은
유역내 대지면적 비율 은 20 % 이상이나 인구밀도가 2,000명/km2 이하이나 대규 모 공동주택이 건설되었고 2017년 인구 유입이 있었을 것 으로 판단하여 도시유역하천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상대 적인 개념의 유역
구분방법은 유역의 크기나 오염원의 규 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유역을 구분하는 정량화된 기준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유역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강우 유출특성을 해석함에 있어 유 역구분에 따른 불확실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Table 1. Population density and land use in the watershed of this study sites (2016)
Watershed
|
Stream (Symbol)
|
Population density (capita/km2)
|
Total area (km2)
|
Land use(km2)
|
Ground
|
Agricultural
|
Forest
|
Others
|
Urban
|
Shingalcheon (SH)
|
6,749
|
29.4
|
13.3 |
1.8
|
11.5
|
2.9
|
Jigokcheon (JIG)
|
2,664
|
10.2
|
2.8 |
1.0
|
5.7
|
0.6
|
Tancheon (TA)
|
8,888
|
41.0
|
18.1 |
3.1
|
16.3
|
3.5
|
Maseokucheon (MA)
|
6,067
|
7.2
|
1.6 |
0.9
|
4.2
|
0.5
|
Galmaecheon (GA)
|
225
|
3.9
|
0.8
|
1.4
|
1.3
|
0.4
|
Rural
|
Hancheon (HA)
|
102
|
17.8
|
2.0
|
7.4 |
6.7
|
1.5
|
Baekbongcheon (BA)
|
197
|
6.3
|
0.8
|
2.2 |
2.8
|
0.6
|
Cheongmicheon (CH)
|
159
|
92.5
|
9.3
|
31.1 |
44.0
|
8.1
|
Fig. 1. The map of the study sites.
2.2. 수질 및 유량 조사방법
강우 시 시간별 연속조사는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 선 행 무강우 일수가 3일 이상인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하천별 로 2 ~ 3회 수행하였다(Table
2). 강우 시 유출특성 조사를 위한 시료채수와 유량측정은 유출초기(유출시작 후 ~ 2시간) 에는 15 ~ 30분 간격으로, 2시간 ~ 4시간 사이는
30분 간격, 이후부터 1시간 간격으로 유량 혹은 탁도가 강우유출 전 시점과 유사해 지는 시점까지 조사하였다. 유량은 일정구간 을 구획하여 구간별
유속(유속계 이용)을 측정하고, 대상지 점에서의 하상단면(수심, 하폭)을 작성하여 실측된 유속과 하상단면 값을 곱하여 산정하였다. 수질조사항목은 BOD,
CODMn, T-N, T-P 및 SS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질오염공 정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ME, 2014).
Table 2. Summary of rainfall events
Stream
|
Date
|
Antecedent dry days (day)
|
Total rainfall (mm)
|
Rainfall duration (hr)
|
Rainfall intensity (mm/hr)
|
Shingalcheon (SH)
|
28 Jul. 2017
|
3
|
13.5
|
12.5
|
1.1
|
10 Nov. 2017
|
6
|
7.0
|
1.5
|
4.7
|
24 Dec. 2017
|
13
|
14.0
|
7.8
|
1.8
|
Tancheon (TA)
|
28 Jul. 2017
|
3
|
13.5
|
12.5
|
1.1
|
10 Nov. 2017
|
6
|
7.0
|
1.5
|
4.7
|
24 Dec. 2017
|
13
|
14.0
|
7.8
|
1.8
|
Maseokucheon (MA)
|
1 Jul. ~ 2 Jul. 2017
|
5
|
37.5
|
11.4
|
3.3
|
11 Oct. 2017
|
9
|
23.0
|
8.1
|
2.8
|
Galmaecheon (GA)
|
1 Jul. ~ 2 Jul. 2017
|
5
|
17.5
|
10.3
|
1.7
|
11 Oct. 2017
|
9
|
12.5
|
7.5
|
1.7
|
Jigokcheon (JIG)
|
28 Jul. 2017
|
3
|
13.5
|
12.5
|
1.1
|
10 Nov. 2017
|
6
|
7.0
|
1.5
|
4.7
|
24 Dec. 2017
|
13
|
14.0
|
7.8
|
1.8
|
Cheongmicheon(CH)
|
1 Jul. ~ 2 Jul. 2017
|
3
|
4.0
|
8.2
|
0.5
|
28 Feb. 2018 ~ 1 Mar. 2018
|
66
|
33.0
|
8.8
|
3.7
|
Hancheon (HA)
|
25 Jun. ~ 26 Jun. 2017
|
18
|
53.0
|
2.5
|
21.2
|
25 Nov. ~ 26 Nov. 2017
|
11
|
22.5
|
6.3
|
3.6
|
Baekbongcheon (BA)
|
26 Jun. ~ 27 Jun. 2017
|
18
|
24.5
|
3.3
|
7.5
|
25 Nov. ~ 26 Nov. 2017
|
11
|
18.0
|
5.7
|
3.2
|
2.3. 유출 특성 비교
도시와 농촌유역으로 구분된 하천에서의 강우 시 유출특 성은 유량가중평균농도(EMC)(식 (1)), 강우유출시점부터 초 기강우로 정의되는 유출시점까지의 시간, 초기강우의 세기 그리고 초기강우로 정의된 시간동안에 유출된 총 누적오염 물질 양을
통해 비교하였다. 초기강우는 양적인 측면에서 강 우 시 총 유출유량 혹은 오염물질의 양 중 초기 기간에 유 출되는 유량이나 오염물질의 양 또는 유출시간에
따른 오 염물질의 누적 유출량과 유량비의 비율 곡선에서 이등분석 과 최대로 벌어지는 부분을 나타내는 시간으로 정의되고 있 다(Bertrand-Krajewski et al., 1998; Deletric and Mashsimivic, 1998; Saget and Chebbo, 1995). 본 연구에서 초기강우는 오염물질 누적유출량의 비 와 유량비의 비율 곡선(식 (2)) 에서 이등분석과 최대로 벌어지는 부분을 나타내는 시점까 지의 시간 개념으로 정의하였고 초기강우 시간(First flush time)로 표현하였다.
초기세척효과의 세기는 오염물질의 누 적 유출량의 비와 유량비의 차이(Mass rate-Volume rate)를 통해 비교하였고 0.2 이상이면 초기세척효과가
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Gupta and Saul, 1996). 초기강우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초기세척비율(Mass first flush ratio, MFFn)로 표현하였고, 초기세척비율의 n은
강우지속 시간 동안 총 유출량에 대한 일정시점에서의 누적유출량의 비율로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 총 유출유량 중 초기강우 시간까지 유출된 유량의 비로
하였다.
여기서 M과 V는 강우유출 종료 시까지 유출된 오염물질 총 배출량과 유출유량이며, mt과 vt는 t시간까지 유출된 오 염물질과 유출유량의 누적량이다.
유역특성에 따른 강우 유출특성의 재현성은 유역특성이 유 사한 하천에서의 초기강우시간과 초기세척효과의 평균값에 표준편차의 비(Coefficient of
variation, CV)를 이용하였다.
2.4. 통계분석
유역특성에 따른 강우 시 유량가중평균농도, 초기강우시 간 및 세기의 비교는 unpaired t-test를, 강우 전·후에 강우 유출특성은 one-way ANOVA를 이용해 비교하였고(SPSS 14.0) 유역특성과 초기유출특성과의 상관성 분석은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sigmaplot 10.0)를 통해 분석하였다. 통 계적 유의수준은 p≤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강우 시 수질변화
강우 시 도시 및 농촌유역 하천 모두에서 강우 전과 비교 해 BOD, COD, TP 및 SS 유량가중평균 농도는 현저히 증 가하였고(p≤0.05) 농촌유역의 하천에서 COD, TN, TP 및 SS 유량가중평균농도가 도시유역하천과 비교해 높았으나 유역특성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 > 0.05)(Fig. 2). BOD 유량가중평균농도는 도시유역 하천인 신갈천에서 6.9 ~ 76.1범위로 가장 높았고 COD, TN, TP 및 SS농도는 농 촌유역 하천인
한천에서 가장 높았으나 원단위를 통해 산 정된 유역 내 오염물질의 배출부하량과의 유의적인 상관성 이 없었고 동일한 하천에서도 시기에 따라 유량가중
평균 농도의 큰 차이를 보여 유역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 > 0.05)(Fig. 3, Table 3). 강우 시 하천 수질변화는 유역 내 분포하고 오염물질의 양에 비례하나 동일하천이라 하더라 도 유량을 결정하는 강우량 그리고 유출속도와 관련된 강
우강도 등의 강우 특성과 수용수체의 환경용량에 따라 넓 은 범위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Kim et al., 2009). 또한 동일지목이라 하더라도 유역 활동 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달라질 수 있음에도 환경기초시설을 제외 한 대부분의 배출원이 법적기준이나
원단위 등을 사용하여 산정되기 때문에(NIER, 2014)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배출부 하량이 과대과소평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유역특성별로 유 량가중평균농도의 차이는 없다하더라도 유역 내 분포하고 있는
오염원에 따라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양의 차 이가 있기 때문에(NIER, 2014) 강우전과 비교해 강우 시 하천에서 재현되는 오염물질별 변화는 유역특성에 따라 차 이가 있을 수 있다.
Fig. 2. Comparison of EMC and TN/TP before and after rainfall-runoff at streams in urban and rural watershed. a, b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Fig. 3. The event mean concentration and discharge load at study sites.
Table 3. EMC(Event Mean Concentration) in each sites during rainfall events
Stream
|
Date
|
BOD (mg/L)
|
COD (mg/L)
|
TN (mg/L)
|
TP (mg/L)
|
SS (mg/L)
|
Shingalcheon (SH)
|
28 Jul. 2017
|
6.9
|
7.3
|
3.5
|
0.158
|
46.5
|
10 Nov. 2017
|
32.0
|
18.9
|
7.5
|
0.433
|
121.4
|
24 Dec. 2017
|
76.1
|
61.9
|
12.6
|
2.356
|
556.9
|
Average |
38.3 |
29.4 |
7.9 |
0.983 |
241.6 |
Tancheon (TA)
|
28 Jul. 2017
|
9.2
|
11.3
|
3.3
|
0.313
|
52.1
|
10 Nov. 2017
|
6.9
|
12.3
|
2.0
|
0.378
|
192.2
|
24 Dec. 2017
|
23.9
|
20.0
|
5.1
|
0.776
|
276.5
|
Average |
13.3 |
14.5 |
3.5 |
0.489 |
173.6 |
Maseokucheon (MA)
|
1 Jul. ~ 2 Jul. 2017
|
27.7
|
29.2
|
4.4
|
0.958
|
687.2
|
11 Oct. 2017
|
12.0
|
16.9
|
2.7
|
0.472
|
299.3
|
Average |
19.8 |
23.0 |
3.5 |
0.715 |
493.2 |
Galmaecheon (GA)
|
1 Jul. ~ 2 Jul. 2017
|
23.0
|
21.8
|
4.0
|
0.427
|
430.9
|
11 Oct. 2017
|
18.9
|
21.2
|
4.0
|
0.580
|
560.9
|
Average |
20.9 |
21.5 |
4.0 |
0.503 |
495.9 |
Jigokcheon (JIG)
|
28 Jul. 2017
|
2.7
|
6.5
|
3.1
|
0.134
|
38.1
|
10 Nov. 2017
|
19.8
|
19.0
|
5.4
|
0.381
|
160.6
|
24 Dec. 2017
|
11.6
|
16.7
|
3.0
|
0.864
|
153.6
|
Average |
11.4 |
14.1 |
3.8 |
0.460 |
117.4 |
Cheongmicheon (CH)
|
1 Jul. ~ 2 Jul. 2017
|
11.3
|
16.1
|
2.6
|
0.215
|
48.6
|
28 Feb. 2018 ~ 1 Mar. 2018
|
10.7
|
21.0
|
7.4
|
0.761
|
155.3
|
Average |
11.0 |
18.6 |
5.0 |
0.488 |
101.9 |
Hancheon (HA)
|
25 Jun. ~ 26 Jun. 2017
|
26.1
|
38.9
|
10.8
|
1.951
|
1,074.6
|
25 Nov. ~ 26 Nov. 2017
|
30.5
|
33.8
|
10.0
|
1.549
|
614.3
|
Average |
28.3 |
36.3 |
10.4 |
1.750 |
844.5 |
Baekbongcheon (BA)
|
26 Jun. ~ 27 Jun. 2017
|
11.5
|
16.0
|
3.9
|
0.561
|
152.3
|
25 Nov. ~ 26 Nov. 2017
|
30.1
|
28.5
|
9.3
|
1.175
|
346.3
|
Average |
20.8 |
22.2 |
6.6 |
0.868 |
249.3 |
유역특성이 상이한 하천에서 강우 전 과 강우 시 수질변 화는 농촌유역 하천과 비교해 도시유역의 하천에서 유기물 과 SS 오염도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농촌유역의 하천에서는 총인농도의 오염도가 증가하는 유출특성을 보 였다. 강우 시 SS 농도는 농촌유역하천에서 높았으나 강우 전 농도 대비
증가수준은 강우 전 SS농도가 상대적으로 낮 았던 도시유역 하천(6.9 mg/L)에서 약 40배 증가하여 농촌 유역 하천(15.8 mg/L)에 비해
높았다. 도시유역 하천에서 강우 시 유기물의 유량가중평균농도는 강우 전 과 비교해 BOD, COD농도는 각각 5.2배, 3.8배 증가한 반면 농촌유역
하천에서의 증가율은 BOD 3.1배, COD 3.6배로 도시유역 하천과 비교해 낮았다. 농촌유역과 비교해 도시유역의 하천 에서 강우 전 BOD/COD비는
0.68에서 강우 시 0.94로 증 가하여 상대적으로 생분해성 형태의 유기물량이 많이 유입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우 시 도시유역에서 유출되는
유기물의 존재형태는 발생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도로, 주차장 그리고 공공하수처리시설 방 류수에는 난분해성유기물의 비율이 높은
반면(Go et al., 2009; Jung, Park et al., 2009) CSOs등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에는 상대적으로 처리 전 오수의 유출이 많은 경우 생 분해성유기물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나타난 도시지역에서 강우 시 생분해성유기물의 증가는 CSOs 등과 같은 미처리 오수의 유입과 관련이 있을 것으 로 짐작할 수 있다.
농촌유역의 하천에서는 도시유역의 하천과 비교해 강우 시 유기물 농도 증가는 낮았으나 총인 농도는 강우 전 농 도와 비교해 5.2배 증가하여 도시유역
하천(4.1)과 비교해 많은 양의 인이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촌유 역에서 강우 시 인(P)은 토양과 결합된 형태로 이동하며 배출되는
인의 양은 퇴비보다는 화학비료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 강우 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oi et al., 2009; Lee et al., 2008; Won et al., 2009). 강 우 시 도시 및 농촌유역 하천에서 나타난 유기물 및 TP농 도의 뚜렷한 증가와 달리 총 질소 농도는 강우 전과 비교 해 강우 시 유량가중평균농도의
큰 차이는 없었고(p = 0.752) TN/TP비는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p = 0.304). 이는 유역특성과 상관없이 강우 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질 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인이 유출되며, 유입하천 하류 에 정체수역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수체 내 영양염 조건이 조류 성장에 유리한 환경으로 개선되어 내부생성유기물이 증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2. 초기 강우 유출특성
강우 시 불투수층 유역의 출구지점에서 나타나는 수문곡 선과 오염물질의 시간적 변화는 투수층 유역과 비교해 첨두 유량 전에 많은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ertrand-Krajewski et al., 1998; Kim et al., 2009, Torben et al., 1998), 본 연구에서도 초기강우시간(First flush time) 은 도시유역 하천에서 빠른 시간 내 나타났다(Fig. 4a). 조 사항목별 초기강우시간은 도시와 농촌유역 하천에서 큰 차 이는 없었으나(p≥0.289) 도시유역 하천이 평균 165 ~ 179 분으로 농촌유역 하천(184 ~ 264분)과 비교해 빨랐으며 조 사항목별 유역간의 초기강우시간
차이는 TN (p = 0.289)에 서 가장 컸고 SS (p = 0.315), COD (p = 0.529), TP (p = 0.677) 그리고 BOD (p = 0.891) 순으로 나타났다. 도로 및 대지 등 불투수 지역에서는 강우 유출계수가 농경지와 같 은 투수지역에 비해 높아 강우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초기강우 시간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and Lee, 2005; Kim et al., 2004; Oh et al., 2010). Kim and Lee (2005)는 주차장 및 교량구간에서의 중금속 오염물질이 15 ~ 30분 내에 급격히 유출되는 것을 보고하였고, Kim et al. (2004)은 3.7 ~ 11.8 mm/hr의 강우강도 범위에서 SS 총 유 출량의 80 %가 15 ~ 23분내 유출되며 강우강도가 증가할수 록 시간이 짧아짐을
보고한바 있다. 또한, Kim and Oh (2011)은 불투수 면적이 넓은 공단이나 도심유역의 하천에 서 강우 시 오염물질의 첨두농도가 재현되는 시간이 1 ~ 3 시간 범위로 농촌지역의 하천(5 ~
9시간)과 비교해 빠르게 나타남을 제시하였다.
Fig. 4. Comparison of (a) first flush time and (b) the difference of cumulative mass and volume at streams in urban and rural watershed.
강우 시 초기세척효과의 세기는 토지이용형태와 면적, 강 우강도, 강우지속시간, 토지이용현황 및 선행무강우일수 등 다양한 영향을 받고 수질항목에 따라서도
다른 경향을 나 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letic, 1998). 본 연구에서 수 질항목별로 차이는 있으나 도시유역하천에서는 강한 초기 세척효과가 나타난 반면 농촌유역 하천에서는 유출시간에 따른 부하량비와 유량비의
차이(Mass rate-Volume rate)가 0.2를 넘지 않아 초기세척효과의 세기가 약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Fig. 4b). 도시와 농촌유역 하천에서 초기세척효과의 가장 큰 차이는 초기유출시간이 가장 유사하였던 BOD에서 나타났으며(p = 0.078), COD, TP순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하 천에서 초기 강우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BOD (MFF53 = 1.5), COD (MFF49 = 1.4), TP (MFF52 = 1.4)양은 64 ~ 70 %로 농 촌하천(51 ~ 58 %)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많았던 반면 TN (MFF61 = 1.1)는 농촌하천이 67 %로 도시하천(54 %)에 비해 많았고, SS는 농촌하천(MFF55 = 1.3)과 도시하천(MFF53 = 1.4)이 각각 70 %, 68 %로 유사하였다(Table 4). 강우 시 하천에서의 초기강우 시간과 세기는 유역면적에 의존하여 유역면적이 넓을수록 초기강우시간은 지연되었으며 초기세 척효과의 세기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5, 6). 유 역규모와 초기강우속도 및 세기의 유의적인 관계는 강우 시 유역에서 유출되는 유출수와 유출수에 포함되어 이동하 는 오염물질의 양이 하천으로
유입된 후 이동거리, 강우 전 하천의 수질 및 유량조건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 음을 의미한다(Kim et al., 2009).
Table 4. Cumulative volume and mass rate at the time showing first flush effect
Parameters
|
Cumulative volume/ Total volume
|
Cumulative mass/ Total mass
|
MFF
|
Urban
|
Rural
|
Urban
|
Rural
|
Urban
|
Rural
|
BOD
|
0.53±0.19
|
0.43±0.19
|
0.70±0.14
|
0.51±0.21
|
1.5±0.45
|
1.2±0.18
|
COD
|
0.49±0.20
|
0.46±0.22
|
0.64±0.16
|
0.53±0.23
|
1.4±0.52
|
1.2±0.10
|
TN
|
0.44±0.18
|
0.61±0.23
|
0.54±0.17
|
0.67±0.20
|
1.3±0.25
|
1.1±0.12
|
TP
|
0.52±0.19
|
0.49±0.21
|
0.66±0.14
|
0.58±0.25
|
1.4±0.39
|
1.2±0.14
|
SS
|
0.53±0.19
|
0.55±0.12
|
0.68±0.23
|
0.70±0.13
|
1.4±0.63
|
1.3±0.16
|
Fig. 5.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area and first flush time.
Fig. 6.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area and the difference of cumulative mass and volume.
유사한 유역특성을 가지나 유역 및 하천의 규모와 강우 등이 상이한 하천들에서 나타난 초기강우시간 및 세기의 변화정도는 유출특성의 재현성을 의미하며,
농촌유역 하천 과 비교해 도시유역 하천에서 초기유출시간과 초기세척효 과 세기의 변동계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도시유역 하천에의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7). 도시유역 하천에 서 초기강우세기의 변동계수는 0.58 (BOD) ~ 0.75 (TN) 범 위로 비교적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초기강우시간 변동계
수는 0.36 (BOD) ~ 0.41 (TP, SS)로 초기강우 시간에 대한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항목별 초기강우시간에 대한 재 현성은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농촌유역 하천 에서 초기강우시간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 범위는 0.37 (TP) ~
0.76 (TN)로 초기강우 세기의 변화 (0.53, SS ~ 0.90, BOD)보다 상대적으로 적었고 항목별 초 기강우시간의 재현성은 TP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Fig. 7. Comparison of the CV value of cumulative (mass-volume) and first flush time at streams in urban and rural watershed.
4. Conclusion
본 연구는 토지이용형태와 인구밀도를 고려하여 구분된 도시 및 농촌유역의 하천에서 강우 시 유출특성을 비교하 였다. 강우 시 도시 및 농촌유역 하천에서
BOD, COD, TP 및 SS 유량가중평균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TN 유량 가중평균 농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강우 시 유역특성에 따른 유량가중평균농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도시 유역의 하천에서 유기물 오염도 증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농촌유역의 하천에서는 총인농도의 오염도가 증가하 는 유출특성을
보였다. 도시유역하천에서는 초기강우시간이 빨랐고 강한 초기세척효과가 BOD, COD, TP 및 SS에서 나타난 반면 농촌유역 하천에서는 유출시간에
따른 누적부 하비와 누적유량비의 차이가 0.2 이하로 나타나 초기세척 효과의 세기가 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우 시 유출된 총 배출량 중 초기강우
시간에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BOD (70 %), COD (64 %) 및 TP (66 %)는 도시하천에서 많았던 반면, TN (67 %)은 농촌하천에서
더 많은 양이 배 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변동계수를 이용한 강우 유출특 성의 재현성은 두 유역모두에서 초기세척효과의 세기보다 는 초기강우시간에
대한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강수계관리위원회 환경기초조사사업(한강수 계 지류지천 수질유량 모니터링, 11-1480347-000088-10)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References
Bertrand-Krajewski J., Chebbo G., Saget A., 1998, Distribution of pollutant mass vs
volume in stormwater discharges and the first flush phenomenon, Water Research, Vol.
32, No. 8, pp. 2341-2356

Choi Y.H., Won C.H., Seo J.Y., Shin M.H., Yang H.J., Lim K.J., Choi J.D., 2009, Analysis
and comparison about NPS of plane field and alpine fiel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5, pp. 682-688

Deletic A.B., 1998, The first flush load of urban surface runoff, Water Research,
Vol. 32, No. 8, pp. 2462-2470

Deletic A.B., Mashsimivic C.T., 1998,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actors in storm
runoff from paved areas, Journal of Environment Engineering, Vol. 124, No. 9, pp.
869-879

Go S.H., Sheeraz A.M., Lee C.H., 2009, Characterization of stormwater pollutants and
estimation of unit loads for road and parking lot in Gyeongan stream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5, pp. 689-696

Gupta K., Saul A.J., 1996, Specific relationships for the first flush road in combined
sewer flows, Water Research, Vol. 30, No. 5, pp. 1244-1252

Jung J.W., Park H.N., Choi D.H., Baek S.S., Yoon K.S., Baek W.J., Beam J.A., Lim B.J.,
2013, Analysis of first flush of recreation park and removal rate according to rainfall-runoff
storage depth,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9, No. 5, pp. 648-655

Jung K.Y., Park M.H., Hur J., Lee S., Shin J.K., 2009, Comparison of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oxygen demand efficiencies for dissolved organic matters
from diverse source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4, pp. 589-596

Jung S., Jang C., Kim J.K., Kim B., 2009,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by storm
runoffs intensive highland agriculture area in the upstream of Han river basin,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1, pp. 102-111

Jung W., Yi S., Kim G., Jeong S., 2011, Watershed selection for diffuse pollution
management based on flow regime alteration and water quality variation analysi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7, No. 2, pp. 228-234

Kang D.H., Sajjad R.U., Kim K., Lee C.H., 2016, Characterization of stormwater runoff
according to sewer system in Paldang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3, No. 2, pp. 142-148

Kim H., Shin D., Kim Y., 2014, The estimation of population loads in first-flush overflows
with various rainfal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0, No. 6, pp. 622-631

Kim L.H., Lee S., 2005, Characteristics of metal pollutants and dynamic EMCs in a
parking lot and a bridge during storm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1, No. 4, pp. 385-392

Kim S.K., Kim Y.I., Yun S.L., Lee Y.J., Kim R.H., Kim J.O., 2004, Characteristics
of road runoff depending on the rainfall intensity,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0, No. 5, pp. 494-499

Kim S.W., Choi K., Kim D.S., Lee M., 2009,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unoff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 in lake Sihwa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5, pp. 768-777

Kim S.W., Oh J.M., 2011, An analysis of first flush phenomenon of 3 catchment area
in lake Shihwa watershed during rainfall-runoff event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7, No. 4, pp. 475-485

Lee B.S., Jung Y.J., Park M.J., Gil K.I., 2008, A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Kyongan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4, No. 2, pp. 169-173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4, [Korean Literature], Wate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s,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Korean Literature], The
Technical guideline for total water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11-1480523-001918-0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h D., Chung S., Ryu I., Kang M., 2010,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n impervious cover changes using SWMM in an urbanized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6, No. 1, pp. 61-70

Saget A., Chebbo G., 1995, Distribution of pollutants loads during rainfall event,
GERGRENE/Lyonnaise des Eau Report, French

Shin M., Jeon J.H., 2017,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separate and combined sewer system,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3, No. 1, pp. 97-106

Torben L., Kirsten B., Margit R.A., 1998, First flush effects in an urban catchment
area in Aalborg,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37, No. 1, pp. 251-257

Vorreiter L., Hickey C., 1994, Incidence of the first flush phenomenon in catchments
of the Sydney region, National Conference Publication-Institution of Engineers, Vol.
94, No. 15, pp. 359-364
Won C.H., Choi Y.H., Seo J.Y., Kim K.C., Shin M.H., Choi J.D., 2009, Determination
of EMC and unit loading of rainfall runoff from forestry-crops fiel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5, No. 4, pp. 615-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