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석
(Jongseok Baek)
1aiD
김형산
(Hyungsan Kim)
1biD
신현석
(Hyunsuk Shin)
2aiD
김재문
(Jaemoon Kim)
2biD
박경재
(Kyungjae Park)
3†iD
-
K-water융합연구원 물순환연구소,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K-water Convergence Institute)
-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울산광역시 도시계획과
(Division of City Planning, Ulsan Metropolitan City)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Detached residential complex, EPA SWMM, Rain barrel, Rainwater reuse, Storage
1. Introduction
불규칙한 강우패턴의 일상화로 강우의 안정적인 이·치수 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8년 역시 전국 곳곳에서 집중 호우에 의한 침수피해를 입었고,
연속적인 무강우로 인한 댐과 보의 저수위 유지로 수원 공급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효율적인 중앙 집중식 이·치수 관리와 더불어
발생원에서부터의 분산식 관리가 필요 한 시점이다.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은 친환경적 분산식 빗물관리 방안으로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효용되고 있다. 저영향개발의 요소기술 중 빗물통은 강우시 빗물을 차집하여 유출량 저감에 일조할 수 있고, 무강우시 저장된 빗물을
통해 용수 공급이 가능하다. 빗물이용시설의 유출량 저감과 빗물 재이용에 관련한 논문은 다음과 같다. Yoon and Kwon (2013)은 부산시 낙동강변 자연재해위험 지구를 대상으로 EPA-SWMM (Environment Protect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빗물이 용시설의 첨두유출량 및 첨두유출 도달시간 지연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개별 건축물 단위의 분산형 설치가 효과적이라
고 제안하였다. Kim, Kang et al. (2014)은 부산시 사하구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빗물이용시설에서의 월별 물 수요 량 편차에 관한 매개변수의 신뢰도를 평가하였고, 여름과 가을철에 물 수요량이
높은 계절별 변동성을 가지나 우리 나라 강우특성의 여름철 증가분과의 상쇄효과가 있다고 제 시하였다. Kang et al. (2015)은 빗물 재이용 수요량과 연간 강우패턴을 고려하여 빗물이용시설의 계획을 설정하였고, SWMM 모형을 이용한 유역유출 모의를 통해 빗물이용시 설의 홍수
저감량과 비점오염원 저감량을 정량적으로 평가 하였다.
단독주택단지의 빗물이용시설 보급에 가장 큰 요인은 경 제성이다. 시설의 설치가 개인의 몫이기 때문에, 개인에게 주어지는 인센티브가 없다면 설치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을 수 없다. 빗물이용시설의 투자비용 대비 회수할 수 있는 편익과 관련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Lee et al. (2012)은 세 대 규모별 공동주택 단지에 설치되는 빗물이용시설의 경제 성을 분석하여 50세대 이상일 때 경제적인 효과가 크고, 공동주택 단지의 빗물이용시설
설치에 대한 지원 금액 확 대를 제안하였다. Kim, Park et al. (2014)은 양도 초등학교 에 설치된 빗물이용시설의 년중 용수 사용 가능일수와 수 질의 양호성에 관련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내구연수 10년 기준으로 B/C
(Benefit-cost) ratio 1.7의 경제성을 분석하여 빗물이용시설의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Baek et al. (2018)은 신설 단독주택 개발단지를 대상으로 빗물통,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등의 저영향개발 요소기술을 SWMM 모형을 통해 물순환 분석을 수행하였고,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저 영향개발 기술의 경제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부부처와 지자체에서는 제도 및 사업을 통해 빗물이용 시설의 보급을 장려하고 있다. 정부부처에서는 환경부와 국 토교통부를 중심으로 법과 규칙의 제정을
통해 빗물이용시 설의 설치를 의무 및 권장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17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물재이용법)로서 공 공청사, 공동주택,
학교 등과 같은 대규모 건축물에 한하여 지붕의 빗물 집수면적에 0.05 m를 곱한 규모 이상의 집수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단독주택과 같은
작은 면 적의 경우는 고시되어 있지 않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에서 는 2016년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규칙을 통해 단독주택의 빗물 집수면적과 강우
깊이를 고려한 처리용량에 따라 기 준을 구분하여 인증등급을 배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서 는 2018년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을 제정하여 2016년
이 후 신축 단독주택에 한해 녹색건축 인증 기준을 제시하고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를 권장하고 있다. 지자체의 경우 서울 시를 기점으로 단독주택의 빗물이용시설
설치비용 지원사 업을 시작하였고, 환경부에서 지정한 물순환 선도도시들을 중심으로 지방의 시군구에서도 지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및 공공시설에서의 빗물이용시설 효과에 관련한 연구가 진행된 반면, 단독주택단지에 적정한 빗물이 용시설의 설치 규모와 경제성에 관련한 연구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통의 규모에 따라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단독주택단지에 설치시, 가능한 유출 저감량을 분석하고, 설치시 투자되었던 비용이
회수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를 수행하여 빗물통 지원사업의 최적 규모 및 기준을 제시 하고자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빗물통의 규모에 따른 유출 저감량 분석 을 통해 물수지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빗물통 설치비의 회수 기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경제성 분석시 간접편익과 같은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항 목을 배제하였으며, 직접비용과 직접편익 등 객관적으로 정 량화 할 수 있는
항목만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방법 은 다음과 같다. 10년 이상의 장기 강우사상 분석을 수행 하고, 빗물통 설치 전후의 물수지를 비교하여 빗물통의
유 출 저감량을 분석한다. 시나리오를 빗물통의 규모에 따라 설정하여 규모별 설치비를 비용 요인으로 설정한다. 편익은 장기모의로 분석했던 유출 저감량을
빗물통에 저장되었던 양으로 고려하여, 이 저장량 중 단독주택의 생활용수로 이 용이 가능한 양만큼에 대한 상수도 요금과 하수처리 비용 등으로 환산하여
산정한다. 시나리오별 경제성을 분석하여 가장 효율성 있는 빗물통의 최적 규모를 제시한다.
2.2. 대상지역 선정
단독주택의 빗물이용시설 적성 설치 규모 산정 연구를 위해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은 단독주택 밀집 지구의 선정 이 필요하다. 울산광역시는 환경부의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왜곡된 도시 유역의 물순환을 회복시키기 위한 물순환 선 도도시 사업에 선정되었고, 시범사업으로서 노후 단독주택 밀집 지역인 삼호동 일원에
저영향개발 기법을 도입하여 물순환 회복 및 생태환경 개선 사업을 수행중이다.
삼호동은 Fig. 1과 같이 태화강 하류에 위치한 도심지역 으로서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고, 외부 산림유역을 포함하고 있다. 대상지의 토지이용은 Table 1과 같고 외부유역을 제 외하면 주거단지 비율이 40 % 정도로 높고, 이중 대부분이 단독주택단지로서 빗물통의 적용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 하여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상지는 997호의 단독주택에 8,935명이 3,830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지 는 대부분 불투수면적이나, 경사가
완만한 투수성 외부유역 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유역 전체의 물순환에서 유출 대 비 침투량이 타 도시유역에 비해 클 것으로 판단된다.
Fig. 1. Location of study area.
Table 1. Landuse of study area
Landuse
|
Area (m2)
|
Ratio (%)
|
Residential
|
146,184
|
23.4
|
Commercial
|
51,500
|
8.2
|
Green
|
25,950
|
4.1
|
Road
|
114,117
|
18.2
|
Paddy
|
77
|
0.0
|
Etc.
|
30,818
|
4.9
|
External forest
|
258,000
|
41.2
|
Sum
|
626,646
|
100.0
|
2.3. 모형선정 및 구축
본 연구에서는 장기 강우사상에서의 도심지 전체 유출 모의 및 빗물통의 유출 처리량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 이 가능한 모형의 선정이 필요하다. 유역의
관망해석을 통 해 연속적인 장기 강우사상 모의가 가능하고, 수문학적 물 수지 분석 및 LID Tool의 빗물통 적용 모의가 가능한 EPA-SWMM
5.1 모형을 선정하였다. SWMM 모형은 소규 모 주거단지(Baek et al., 2018; Ko et al., 2016; Lee et al., 2011)에서부터 도시유역(Lee et al., 2014; Lee and Kim, 2016; Park et al., 2013)에 이르기까지 저영향개발 기술로 인한 물수지 변동 분석에 적용되고 있다.
울산시 물순환 선도도시 계획과 설계도면을 따라 SWMM 모형을 Fig. 2와 같이 구축하였다. 관망 정보와 유역 매개 변수는 대상지의 수리계산 및 토지이용에 따라 구축하였고, 빗물통의 입력값은 시나리오에 따라 용량별로 분류하였다.
울산시 기상청의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2017년 까지 10년간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빗물통의 분석 방법은 기존 도시에서의 설치
전 유출량과 설치 이후의 유 출량 차이가 빗물통에서의 유출 처리량으로 고려하였다.
Fig. 2. Design for SWMM model.
침투방정식으로는 수문 분석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Horton’s equation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SWMM 모의 연 구에서는 1990년대의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에서 제시하는 매개변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연 구에서는 Urban Drainage
and Flood Control District (UDFCD, 2017)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구성하였 다. 대상지는 비교적 배수가 양호한 자갈섞인 사질토의 토 양 분포로, 정밀토양도의 분석을 통해 수문학적
토양군 B 에 해당하는 입력값을 적용하였다. 도시 유역의 조도계수 및 저류계수 또한 UDFCD (2017)에서 제공하는 매개변수 를 적용하여 Table 2와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2. Design of SWMM model options
SWMM 5.1 options
|
Routing model
|
Kinematic wave
|
Infiltration model
|
Horton
|
Start-end date
|
2008-01-01 to 2017-12-31
|
Simulation interval(min)
|
60
|
Subcatchment summary
|
Subcatchments (EA)
|
153
|
Total area (m2)
|
626,646
|
Average Impervious area rate (%)
|
72
|
Average Slope (%)
|
2.43
|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
N-impervious
|
0.035
|
Depression storage (mm)
|
Impervious
|
2.54
|
N-pervious
|
0.055
|
Pervious
|
8.89
|
Infiltration model : Horton
|
Maximum infiltration rate of the Horton infiltration curve (mm/hr)
|
114.3
|
Minimum infiltration rate of the Horton infiltration curve (mm/hr)
|
15.24
|
Decay constant of the Horton infiltration curve (1/hr)
|
6.48
|
Drying time a fully saturated soil (days)
|
7
|
2.4. 빗물이용시설 규모 결정 방안
본 연구에서 적용할 빗물이용시설은 저영향개발 요소기 술 중 하나인 빗물통으로서, 기본적인 강우-유출 프로세스 는 건물 옥상 면적에서 차집한 빗물을
건물 옆면이나 지하 의 저류 시설을 통해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시 용수 공급을 하며 용량을 초과하는 강우량에 한해서는 표면유출으로 월 류시키는 시스템이다.
빗물통은 수문학적으로는 강우의 일 정량을 저류시켜, 표면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무강우 시 저장량을 용수로서 사용할 수 있어 건전한 물순환에 기
여할 수 있다.
2.4.1. 시나리오 설정
단독주택은 정원을 포함하지 않고, 대지면적은 건축면적 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위성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빗물 통 설치의 기준이 되는 단위는 기 건설되어
있는 주택수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정하다. 실제 설치도 주택 호수 를 단위로 설치가 진행되고, 가구수나 인구수를 기준으로 설 치하는 것은 불확실성이
크다. 삼호동의 주거면적 146,184 m2에 주택수 997호를 고려하면 주택당 147 m2 즉, 44평 정 도의 면적을 가진다.
빗물이용시설 지원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서울특별시와 같은 경우는 0.6 ~ 2.0 m3 빗물통 규모를 권장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빗물통 규모의 기준을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에서 제 시한 녹색건축인증기준(KICT, 2016)에 따라 설치용량을 4 등급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녹색건축인증기준에 따르면 빗물관리면적은 대지면적에서 자연지반 면적을 제외한 면 적을 말하며,
본 대상지에서는 건축면적과 일치한다. 즉, 빗물관리면적은 주택단지의 옥상면적을 말하며 옥상면적에 서 관리할 수 있는 빗물깊이(m)에 따라 빗물통 용량
기준 을 Table 3과 같이 4가지 시나리오로 분류하였다.
Table 3. Scenario classification by capacity of rain barrel
Scenario
|
Classification for G-SEED
|
Area (m2)
|
Rooftop depth (m)
|
Rain barrel capacity (m3)
|
References
|
A
|
1st class
|
146.62
|
0.030
|
4.40
|
KICT (2016) |
B
|
2nd class
|
146.62
|
0.020
|
2.93
|
C
|
3rd class
|
146.62
|
0.010
|
1.47
|
D
|
4th class
|
146.62
|
0.005
|
0.73
|
2.4.2. 빗물이용량 설정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16 상수도통계에 의하면 울산광 역시의 1인당 일평균 생활용수 사용량은 263.4 L이다. 삼호 동의 전체인구 8,935명을
고려하면 대상지는 일평균 생활 용수가 2,353 m3이 필요하다. 이 중 빗물통의 저장량으로 자급할 수 있는 용수량은 Kim et al. (2007)의 단독주택 용 도별 생활용수 사용량을 참고하였다. Table 4에 제시한 용 도 중 빗물로 대체할 수 있는 시설은 화장실용수 24 %와 기타용수 9 %로 한정할 수 있다. 삼호동 일평균 생활용수 중 빗물통으로
자급할 수 있는 용수는 전체의 33 %인 777 m3으로 산정하였다.
Table 4. Availability of rainwater reuse
Use
|
Component ratio of water use (%)
|
Availability for rainwater
|
Toilet
|
24
|
○
|
Washbowl
|
9
|
×
|
Bathtub
|
16
|
×
|
Laundry
|
22
|
×
|
Kitchen
|
20
|
×
|
etc
|
9
|
○
|
Sum
|
100
|
-
|
2.5. 비용-편익 분석 방안
빗물통의 설치에 따른 비용-편익 고려 방안은 Table 5와 같다. 저영향개발 시설물과 관련한 간접편익은 정량화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찾기 어려워, 비교적 합리적인 근거 를 제시할 수 있는 직접비용과
직접편익만을 고려하였다.
Table 5. Estimate method of cost-benefit for LID application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detail
|
Quantification
|
References
|
Direct cost
|
Initial Installation cost
|
○
|
UDFCD (2018) |
Management cost
|
○
|
Lee et al. (2012) |
Direct benefit
|
Water charge reduction
|
Reduction for water supply charge
|
○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K, 2018), The water statistics (ME, 2016), Lee and Kim (2016) |
Reduction for production cost of water supply
|
○
|
Reduction for cost of sewage treatment
|
○
|
Tax reduction
|
Acquisition tax 15% reduction
|
×
|
KICT (2016) |
Property tax 10% reduction
|
×
|
직접비용으로는 초기설치비와 설치후의 연간 유지관리비용 을 선정하였다. 직접편익으로는 3가지를 고려하였다. 첫째는 빗물통에 저장되는 물재이용으로 절감할
수 있는 상수도 사 용량 절감을 요금으로 환산하였고, 둘째는 첫째를 통해 절감 되는 상수도의 생산원가를 고려하였다. 셋째로 강우가 옥상으 로부터 빗물통에
차집 되므로 인해 절감할 수 있는 표면유출 량에 의한 연간 하수처리비용 저감을 요금으로 환산하였다. 그리고 녹색건축인증을 2급 이상 받으면 취득세
최대 15 %, 재산세 최대 10 %를 감면 받을 수 있는 경제적 편익이 있으 나, 녹색건축인증은 물순환 관리뿐만 아니라, 총 8가지 전문 분야를
동시에 만족해야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정 량화가 불가하여 본 연구의 편익 사항에서는 제외하였다.
비용-편익의 기간은 시공되는 빗물통이 스테인레스 혹은 철골 구조이고, 유지관리 비용에 보수 금액 및 관리비용을 포함하였기 때문에 2011년 개정된
법인세법 시행규칙(MSF, 2011)의 최대 내용연수범위인 40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차별 실질할인율은 한국은행 경제통계 관리시스템(BK, 2018)의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최근 10년간 금리와 물 가상승률을 이용하여 Eq. (1)에 적용하였고, 10년 평균 실 질할인율 0.62 %을 산정하여 Table 6에 정리하였다.
Table 6. Annual average for real discount rate
Year
|
Interest rate (IN, %)
|
Inflation rate (F, %)
|
Real discount rate (IR, %)
|
2008
|
5.67
|
4.7
|
0.93
|
2009
|
3.23
|
2.8
|
0.42
|
…
|
…
|
…
|
…
|
2016
|
1.48
|
1.0
|
0.48
|
2017
|
1.56
|
1.9
|
-0.33
|
Average
|
2.915
|
2.28
|
0.62
|
여기서, IR=실질 할인율, IN=명목 할인율(금리), F=물가 상 승율
2.5.1. 비용 설정
빗물통의 비용요인으로 초기 설치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을 고려하였다. 울산시는 지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총 3억 7200만원의 예산으로 단독주택,
어린이집 등 60곳에 빗물 이용시설 설치 공사비의 90 %를 지원하고 있다. 개별평균 지원 금액은 2017년 500만원, 2018년 460만원으로
실제 설치비용은 500 ~ 550만원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초기설 치비는 Table 7과 같이 2018년 울산광역시(UMC, 2018) 빗 물이용시설 지원사업의 총 18곳 설치 대상지의 용량별 지 원금액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Table 7. Calculation of actual cost of rain barrel support project of Ulsan in 2018
No.
|
Rain barrel capacity (m3)
|
Type
|
Support cost (won)
|
Support ratio (%)
|
Actual cost (won)
|
Average of actual cost (won)
|
Actual cost per 1 m3 (won/m3)
|
1
|
1.0
|
Daycare center
|
2,950,000
|
90
|
3,277,778
|
3,751,852
|
3,751,852
|
2
|
2,950,000
|
3,277,778
|
3
|
4,230,000
|
4,700,000
|
4
|
1.5
|
Detached house
|
4,950,000
|
5,500,000
|
5,500,000
|
3,666,667
|
5
|
4,950,000
|
5,500,000
|
6
|
4,950,000
|
5,500,000
|
7
|
Daycare center
|
4,950,000
|
5,500,000
|
8
|
2.0
|
Daycare center
|
5,958,000
|
6,620,000
|
4,002,963
|
2,001,481
|
9
|
3,950,000
|
4,388,889
|
10
|
Multi-household house
|
900,000
|
1,000,000
|
11
|
3.0
|
Detached house
|
1,908,000
|
2,120,000
|
5,805,000
|
1,935,000
|
12
|
5,890,000
|
6,544,444
|
13
|
Daycare center
|
5,910,000
|
6,566,667
|
14
|
Eco experience center
|
5,900,000
|
6,555,556
|
15
|
Elderly nursing home
|
5,870,000
|
6,522,222
|
16
|
Neighborhood Facilities
|
5,930,000
|
6,588,889
|
17
|
4,378,000
|
4,864,444
|
18
|
6,010,000
|
6,677,778
|
Sum
|
82,534,000
|
91,704,444
|
-
|
-
|
실제 시공비를 비교하면 1m3당 시공비는 빗물통이 1.5 m3 이하일 때 3백만원대로 초기비용이 크나, 2 m3 이상에 서는 약 2백만원 정도로 확인된다. 이는 시공시 빗물통 운 반비용이나 배관작업 등의 초기 노무비 및 경비가 큰 부분 을 차지하기 때문이고,
용량의 증가로 인한 자재비는 초기 설치비 증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시나 리오별 초기설치비는 A의 경우 실제 빗물통 시공비 중 2
m3과 3 m3의 m3당 시공비 2백만원을 고려하였고, B, C, D 는 각각 3 m3, 1.5 m3, 1 m3과 용량이 거의 동일하므로 비율 을 고려하여 Table 8과 같이 설정하였다.
Table 8. Setting for installation cost of rain barrel
Scenario
|
Rain barrel capacity (m3)
|
Relatively initial installation cost (won)
|
A
|
4.40
|
8,800,000
|
B
|
2.93
|
5,669,550
|
C
|
1.47
|
5,390,000
|
D
|
0.73
|
2,738,960
|
빗물통의 유지관리비용으로는 보수/기타/인건비용, 청소비 용을 고려하였다. Lee et al. (2012)의 빗물이용시설 운영비 를 참고하여 보수/기타/인건비는 초기설치비의 1.0 %/년으 로 설정하였고, 청소비는 빗물통 20대 기준 1백만원/년을 환산하여
997세대에 49,850,000원/년으로 적용하였다.
2.5.2. 편익 설정
빗물통의 편익요인으로 사적 편익인 상수도 요금 절감과 사회적 편익인 상수도 생산원가 절감, 하수처리비용 절감 등을 고려하여 Table 9와 같이 분류하였다.
Table 9. Estimation method of direct benefit
Classification
|
Estimate method
|
Direct benefit
|
Private benefit
|
Reduction for water supply charge
|
Annual reduction for water supply charge (won/yr) = water use for rain barrel (m3/yr) × water supply cost (won/m3)
|
Social benefit
|
Reduction for production cost of water supply
|
Annual reduction for production cost of water supply (won/yr) = water use for rain
barrel (m3/yr) × production cost of water supply (won/m3)
|
Reduction for cost of sewage treatment
|
Annual reduction for cost of sewage treatment (won/yr) = reduction amount of runoff
(m3/yr) × cost for waste water treatment (won/m3)
|
상수도 요금 절감은 빗물통을 통해 재이용하는 수량과 상수도 요금을 통해 산정된다. 울산시의 1인당 일평균 생 활용수 사용량은 263 L에 Table
3의 생활용수 중 빗물이 용 비율 33 %를 고려하면 삼호동의 1인당 일평균 빗물 사용량 87 L를 구할 수 있다. 대상지 8,935명의 빗물 사용
량을 m3 단위로 나타내면 일평균 빗물 사용량 777 m3으로 환산된다. 2016년 울산시 상수도 통계에서 고시한 상수도 요금 853원/m3을 고려하여 연단위로 나타내면 연간 상수 도 요금 절감액은 241,813,998원이 된다. 이는 1인당 월별 상수도 요금 절감량으로 나타내면 2,255원으로
매달 납부 하는 관리비를 고려한다면 합리적인 범위 내에 있다고 판 단된다.
상수도 생산원가 절감은 앞서 산정한 대상지의 일평균 빗물 사용량 777 m3을 2016년 울산시 상수도 통계에서 고 시한 상수도 생산원가 865원/m3을 고려하여 연간 상수도 생산원가 절감액 245,303,594원을 산정하였다.
하수처리비용 절감은 연간 유출 저감량에 하수처리 생산 원가를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전체면적 368,646 m2에서 시 나리오별 연평균 유출 저감고를 고려하여 연간 유출 저감 량을 산정하였다. 2016년 울산시 하수도 통계에서 고시한 하수도요금 511원/m3에 현실화율 64 %를 고려한 하수 생 산원가 799원/m3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시나리오별 연간 유출 저감량을 고려하여 연간 하수처리비용 절감액을 산정 하였다.
초기설치비와 할인율을 고려한 40년간의 유지관리비용 산정식은 Eq. (2)와 같다. 산정식은 초기설치비는 최초 1회 에 한정하였고, 유지관리비는 실질할인율을 고려하여 매년 추가되는 비용을 총합하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 CT=전체 비용, CI=초기설치비, CM=유지관리비, IR=실질할인율, k=년수
편익 산정식은 40년간의 년별 편익 금액의 총합으로 Eq. (3)과 같다. 상수도 요금 절감과 상수도 생산원가 절감, 하 수처리비용 절감 요금에 년별 실질할인율을 고려한 총합이 전체 편익이 되도록 산정식을 설정하였다.
여기서, BT=전체 편익, BW=상수도 요금 절감, BP=상수도 생산원가 절감, BC=하수처리비용 절감, IR=실질할인율, k=년수
3. Results and Discussion
3.1. 빗물 이용 가능량 산정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울산관측소 10개년의 시강우에 대한 물순환 분석을 수행하였다. 빗물통을 설치하기 이전의 기존 도심지의 물수지는 강우가
100 %일 때, 증발 7.8 %, 침투 46.9 %, 유출 45.3 %로 분석되었다. 대상지 전체 면적 의 41 %가 완만한 외부 산림이라 비율상
시가지에서의 표 면유출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에 적용한 빗물통의 크기에 따라 4가지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Table 10. Water balance analysis of Samho in Ulsan
Scenario
|
Precipitation
|
Evaporation
|
Infiltration
|
Runoff
|
Reduction of runoff
|
mm
|
%
|
mm
|
%
|
mm
|
%
|
mm
|
%
|
mm
|
%
|
Original
|
1,177
|
100.0
|
92
|
7.8
|
552
|
46.9
|
533
|
45.3
|
-
|
-
|
A
|
1,177
|
100.0
|
61
|
5.2
|
705
|
60.0
|
410
|
34.9
|
123
|
10.5
|
B
|
1,177
|
100.0
|
61
|
5.2
|
697
|
59.3
|
418
|
35.6
|
115
|
9.8
|
C
|
1,177
|
100.0
|
61
|
5.2
|
687
|
58.4
|
428
|
36.4
|
105
|
8.9
|
D
|
1,177
|
100.0
|
61
|
5.2
|
683
|
58.0
|
433
|
36.8
|
100
|
8.5
|
기존의 도시에 비해 빗물통을 설치하였을 때, 시나리오 별로 8.5 ~ 10.5 % 정도의 유출량이 감소하였다. 시나리오 에서 변화를 준 것은 빗물통의
용량이기 때문에 유출 감 소량은 빗물통의 유출 저감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정한 삼호동의 일평균 빗물 이용 가능량은 777 m3이나, 모형 분석 결과 시나리오별로 22 ~ 27 %의 규모만 빗물을 차집하여 사용하였다. 시나리오 A는 D에 비해 빗물통 규 모가 6배 크지만 실제로
추가 유출 저감은 연평균 강우 량의 2 %인 23 mm, 유출량으로 환산하였을 때, 연간 14,421 m3에 그쳤다. 용량의 크기에 비해 보다 많은 유출 량을 저감시키지 못한 것은 대상지의 강우패턴이 대규모 강우사상을 제외한다면, 소량의 강우가 대부분이라
시나 리오 D와 같은 용량으로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는 점 이다. 또한, 단기 대규모 강우사상일 때는 빗물통 용량의 차이만큼 추가 차집할 수 있으나,
장기 대규모 강우사상 일 경우, 빗물통 용량의 크기 차이만큼 추가 차집할 수 있지만 빗물통의 지속적인 물재이용량이 있기 때문에 사 실상 단기 대규모
강우사상에서와 큰 차이가 없을 것으 로 판단된다.
3.2. 비용-편익 분석
비용은 빗물통의 초기설치비와 유지관리비를 고려하였고, 편익은 빗물이용량을 기준으로 상수도 요금 절감과 상수도 생산원가 절감, 하수처리비용 절감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하 였다. 빗물 이용 가능량을 Table 9의 편익 금액 산정식에 적용하였고, 각각의 편익을 년별 원단위 금액으로 산정하여 Table 11과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11. Calculation of annual cost-benefit for rain barrel
40년간의 분석결과, 시나리오 A, B, C는 40년이 지나도 B/C ratio가 1을 넘지 않고, 시나리오 D는 38년이 지나야 편익이 비용을 앞서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질적으로 비용 대비 편익의 효율이 매우 낮은, 경제성이 낮은 시설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이 도출된 것은 두가지
원 인으로 분석할 수 있다.
첫째는 빗물통 설치비용의 문제이다. 초기설치비가 편익 에 비하여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비용을 차감 할 수 있을 만큼의 편익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실제로 일 반 시민들이 빗물통을 사용하지 않는 가장 큰 원인도 초기 설치비의 경제적인 부담으로 굳이 설치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이에 일부 지자체에서는 최대 90 %까 지 빗물통 설치비를 지원해주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로 편익 요인 정량화의 문제이다. 빗물통의 유출량 저감 효과로 인한 홍수피해 복구액 저감, 가뭄시 물재이용 으로 인한 안정적인 용수공급 등 추가할
수 있는 요소들은 많으나, 정량화의 어려움으로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한 위 세가지의 편익 요소로는 경제성을 도출하기 어렵다고 분석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설치비의 지원 비율을 0 %, 30 %, 50 %, 70 %, 90 %로 구분하여 분석하였 으며, 분석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시나리오에 따라 비 교했을 때, A의 경우 70 % 이하의 지원에서는 사실상 투 자비용을 회수 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B와 C는 거의
비슷 한 그래프 경향성을 나타내는데, 역시 70 % 이하의 지원에 서는 빗물통의 경제성을 확인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D는 50 % 수준의 지원으로도
투자대비 편익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설치비의 지원 비율에 따라 분석 한다면, 설치비를 90 %까지 지원한다면 빗물통의 용량에
관계없이 7년 내에 B/C ratio가 1을 초과하여 투자비용에 대한 편익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70 % 이 하의 지원시에는 시나리오
D 이외의 A, B, C에서는 투자 비용을 회수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Table 12. Cost-benefit curves for each scenario based on support ratio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택단지의 빗물통 설치시 적정 규모 설정 및 비용-편익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빗물통의 용량이 클수록 효율이 좋은 것은 아닌 것 으로 분석되었다. 울산시 강우패턴을 백분위수로 나열하였을 때, 일강우 5 mm 이하의 강우사상이
60퍼센타일 이상이다. 이는 반 이상의 강우가 녹색건축인증기준의 4등급 규모인 옥 상 면적의 5 mm 차집으로도 충분히 재이용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백분위수 90퍼센타일에 속하는 30 mm 이상의 강우를 처리할 수 있는 녹색건축인증기준 1등급은 빗물의 재 이용 보다는 방재적 성향이 강하다.
물론 빗물통의 용량이 크다면, 강한 강우사상에서 더 많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겠 지만, 빗물통 설치의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4등급으로 가장 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서울시의 소규모 빗물통 지원범위 인 0.6 m3에서 2 m3까지의 기준을 참고하여 빗물통 설치 규 모 상한선 내에서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비용-편익의 분석결과 B/C ratio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빗물통의 초기설치비이다. 초기설치비를 얼 마나 경감시킬 수 있는지가
빗물통 설치의 경제성을 확보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빗물통 용량에 따른 초 기설치비 비교를 하면 자재비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는 반 면,
배관설치 및 빗물통 운반비용 등의 인건비가 초기설치 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자체에서 신청을 받아 인접한 단지간의 빗물통 공동구매를
진행한다 면 이러한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요금 절감이라는 사적 편익 과 상수도 생산원가 절감 및 하수처리비용 절감이라는 사 회적 편익을 동시에 고려하여 비용-편익
연구를 수행하였 다. 사적편익이 개인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혜택이라면 사회적 편익은 정부, 지자체 등의 범사회적으로 얻을 수 있는 우리 모두의 공동
혜택이다. 각 시나리오별로 비율은 다르나 사적편익은 전체 편익의 절반 이하로 산정되었다. 이는 개인이 얻을 수 있는 편익이 절반 이하이고, 나머지
절반 이상의 혜택은 사회구성원 모두의 공동 혜택인 만큼 일부 지자체에서만 진행하고 있는 빗물이용시설 지원사업 의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넷째, 빗물통 지원사업은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지원 범 위를 확대하기가 어렵다. 지원 금액을 대폭 감소하여 사업 을 시행한다면 지원자의 규모가 감소하여
사업이 활성화 되지 못할 우려도 있다. 한정된 예산에서 지원할 시에 빗 물통의 설치 규모에 상한선을 두고, 설치비 지원 비율을 90 %에서 점차적으로
하향한다면 더 많은 지원자들에게 경 제성 있는 지원 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환경부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의 연구 비지원(2016000200003)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Baek J.S., Lee S.J., Shin H.S., Kim H.S., 2018,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water
cycle and cost-benefit according to LID application metho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village,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4, No. 1, pp. 57-66

Kang T.U., Koo Y.M., Lee S.J., 2015, A study on design method and effect analysis
of rainwater harvesting facility for efficient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2, pp. 353-361

Kim J.H., Kim H.S., Lee D.J., Kim G.H., 2007, Analysis of water use characteristics
by household demand monitoring,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9, No. 8, pp. 864-869

Kim K.Y., Park H.J., Kim T.I., Han M.Y., 2014, Evaluation of stored rainwater quality
and economic efficiency at Yangdo elementary rainwater harvesting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6, No. 5, pp. 333-341

Kim M.S., Kang D.K., Park M.J., Kim S.D., 2014,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reliability model for improving the applicability to Korea: application
to Bu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2, pp. 345-354

Ko H.B., Choi H.N., Lee Y.K., Lee C.Y., 2016, Analysis on the water circulation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by test-bed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Vol. 17, No. 5, pp. 27-36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16, [Korean
Literature], Green Standard for Energy&Environmental Design(G-SEED),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pp. 131-174
Lee J.M., Hyun K.H., Lee Y.S., Kim J.G., Park Y.B., Choi J.S., 2011,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by plan of LID-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using SWMM-LID model
in a low-carbon green village, LHI Journal of the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 2, No. 4, pp. 503-507

Lee J.M., Lee Y.S., Choi J.S., 2014,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according to application
of LID techniqu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6, No. 3, pp. 411-421

Lee S.W., Kim R.H., 2016, Study of benefit characteristic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demonstrated in Seoul metropolit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8, No. 6, pp. 299-308

Lee W.B., Kim J.H., Kang S.I., Jeong H.C., Moon H.S., Hyun C.T., 2012, Installation
criterion for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of multi-family housings using cost-benefit
analysi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28, No. 10, pp. 121-130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Korean Literature], The water statistics,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SF), 2011, [Korean Literature], Enforcement regulations
of corporate tax act,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Park J.Y., Lim H.M., Lee H.I., Yoon Y.H., Oh H.J., Kim W.J., 2013, Water balance and
pollutant load analyses according to LID techniques for a town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5, No. 11, pp. 795-802

Statistics Korea (SK), 2018, http://kostat.go.kr/ (accessed Seb. 20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SIS)
The Bank of Korea (BK), 2018, http://ecos.bok.or.kr/ (accessed Seb. 2018), Economic
Statics System (ESS)
Ulsan Metropolitan City (UMC), 2018, http://www.ulsan.go.kr/rep/index. (accessed Seb.
2018), Ulsan Metropolitan City (UMC)
Urban Drainage and Flood Control District (UDFCD), 2017, Urban storm drainage criteria
manual Volume 1, Runoff, Urban Drainage and Flood Control District, pp. 14-15
Yoon J.B., Kwon T.J., 2013, Effectiveness on storm water management of green city
planning elements: focusing on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77, pp. 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