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순주
(Soonju Yu)
a†iD
이은정
(Eunjeong Lee)
biD
박민지
(Minji Park)
ciD
김갑순
(Kapsoon Kim)
diD
임종권
(Jongkwon Im)
eiD
류인구
(Ingu Ryu)
fiD
최황정
(Hwangjeong Choi)
giD
변명섭
(Myeongseop Byeon)
hiD
노혜란
(Hyeran Noh)
iiD
-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Han-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Algae, Paldang Watershed, Water Pollutant load, Water Quality
1. Introduction
팔당호는 1973년 남한강, 북한강, 경안천이 합류하는 지 점에 팔당댐을 건설하여 생긴 인공호로 수도권 2,500만 시 민을 위해 상·하류에서 일
평균 8백만 톤 이상의 물을 취 수하여 정수장으로 공급하는 매우 중요한 대규모 상수원이 다. 팔당호 유역은 북한강 수계와 남한강 수계, 경안천 유
역으로 나뉘며, 북한강 수계에는 평화의 댐, 화천댐, 춘천 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이 위치하고 있고 남한강 수 계에서도 충주댐과 함께 2012년
이후 강천보, 여주보, 이포 보가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댐 및 수리 구 조물의 영향과 팔당호의 형태학적 특징(하천형 호수 등)으 로
팔당호의 수리 수문학적 특성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물환경 관리정책은 1989년 ‘맑은 물 공급 종합 대책’을 시작으로 하수처리장 등이 건설되었고 이후 1990 년 7월에 팔당호·대청호 지역을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하 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 4 대강 식수원 문제 등 물 관련 현안이 끊이지 않고 팔당호 를 비롯한
4대강 수질이 개선되고 있지 않자 2002년에 ‘4 대강 물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오염총량관리제도, 수변 구역제도, 물이용 부담금 제도, 상수원지역
주민지원 및 토 지매수 제도 등 강력한 물관리 정책이 도입되었다. 팔당호 유역은 수도권 상수원으로서의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 댐 완공 후 1975년
상수원 보호구역, 1982년에는 자연보전권 역, 1990년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1999년에는 수변구역 이 지정되는 등 오염원 입지 제한 정책으로
적용되어 왔다. 이후 유역관리에 기반을 둔 팔당호 등 한강수계 수질관리 특별종합대책이 추진되고「한강수계 상수원 관리 및 주민 지원에 관한 법률」(한강수계법)이
통과한 2000년대부터 수 질 관리에 획기적인 대책이 추진되었다. 2004년 경기도 광 주시에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실시하면서 2008년 국가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수질관리정책 개선이 추진되어 입지 규제 중심에서 환경기술의 발전을 고려한 배출, 총량규제 중심으로 전환하여 2013년에 한강수계에서 수질오염총량제
도가 의무제로 실시되고 있다(HERC, 2015).
이와 같이 팔당호는 댐이 1973년 완공된 이후 45년 동안 다양한 수질보전 정책과 제도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도권 개발과 함께 인구
증가 및 토지이용 변화 등 유역환경 변화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팔당상수원보 호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NIER, 1989)에서 부영양화 주요 인자인 총인을 대상으로 유입부하량이 연간 1,138,894 kg 로 유입천에 의한 부하량이 91.8%이고 수생대형생물, 저질
에 의한 부하량이 각각 5.0%, 3.1%, 강우에 의한 부하량이 0.2%로 추정한 바 있으며 2015년 팔당호 수질보전 특별대 책지역에 대한 유역환경변화
현황을 조사한 바 있다(HERC, 2015).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다양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물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종합적으로 장기 간에 걸쳐 팔당호 유역 환경 및 물환경
변화를 조사 평가 한 사례는 많지 않다. 점차 기후변화의 폭이 커지는 상황 에서 최근 30년 평균기온이 20세기 초(1912년~1941년)보다 12.6°C에서
14.0°C로 1.4°C 상승하였고 최근 10년 평균 기 온은 14.1°C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여름이 길어지는 반면 겨울은 짧아지고 여름의 열대야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강수량은 최근 10년 동안 약한 강수가 증가한 반면 강한 강수가 감소하여 과거와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NIMS, 2018).
따라서 본 문에서는 팔당호 유역에 대하여 그간 추진해 온 물환경 관리정책 추진에 따른 효과와 기후로 인한 물환 경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국가통계자료인
기온과 강수를 비롯한 기상자료와 함께 수자원과 수질 및 조류 등을 중심 으로 물환경관리 정책이 종합적으로 추진되어온 시기인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기상·수문 변화, 오염원 변화와 함 께 수질 및 조류 발생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2. Material and Methods
2.1. 기상 및 수문 변화
기상 자료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하고 있는 양평기상관 측소에서 관측한 기온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KMA, 2018). 팔당호 수문은 북한강의 경우 청평댐 방류량, 남한 강은 여주대교 유량, 경안천은 경안교 수위관측소 자료에 근거한 유량을 근거로 분석하였으며 팔당호로
유입되는 이 들 3개 하천의 장기 수문자료를 조사하였다(Fig. 1).
Fig. 1. Hydraulic structures, weather stations, water gauging stations and monitoring points around the Lake Paldang.
2.2. 오염원 변화 및 현황
팔당호에 직접 유입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유역인 “팔당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대상 경기도 5시 2군(광주 시, 여주시, 이천시, 용인시, 남양주시,
양평군, 가평군)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팔당·대청호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 대책지역 환경자료(2016.12)’를 토대로 특별대책지역의 인 구, 가축,
산업 등의 오염원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별대책 지역의 팔당호 유역 상수원보호구역, 특별대책지역 등에 대 한 행정 구역 구분은 Fig. 2와 같다(Me, 2016b).
Fig. 2. Special measures areas for the preserv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Lake Paldang.
2.3. 수질 및 조류 변화
팔당호 수질은 남한강과 북한강, 경안천에 위치한 수질측 정지점 중 팔당호와 가장 인접한 강상(남한강), 삼봉리(북 한강), 경안천5A(경안천)와 팔당호
내 팔당댐2(댐앞) 지점 의 자료로 비교하였다(Table 1). 수질 자료는 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에 근거한 수질측정망 자료로 수질항목은 수온, pH,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Chl-a, 총유기탄소 (TOC)를 중심으로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자료를 이용하 였다.
유입오염부하량은 남한강의 경우 여주대교 지점의 유 량과 수질로 산정하였고 북한강은 청평댐 방류량과 삼봉리 지점의 수질자료, 경안천은 경안교 유량과
경안천5지점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ME, 2018).
Table 1. Location of water quality measuring network and algae alert system in the Lake Paldang
Classification
|
Site name
|
Address
|
Water quality measuring network
|
Lake Paldang
|
Paldangdam2
|
Neungnae-ri, Joan-myeon, Namyangju-si, Gyeonggi-do
|
Bukhan River
|
Sambongri
|
Sambong-ri, Joan-myeon, Namyangju-si, Gyeonggi-do
|
Namhan River
|
Gangsang
|
Gyopyeong-ri, Gangsang-myeon, Yangpyeong-gun, Gyeonggi-do (Yangpyeong bridge)
|
Gyeongan stream
|
Gyueongancheon5A
|
Seoha-ri, Chowol-myeon, Gwangju-si, Gyeonggi-do (Seoha weir)
|
Algae alert system
|
Lake Paldang
|
Paldangdam-ap
|
Neungnae-ri, Joan-myeon, Namyangju-si, Gyeonggi-do
|
Bukhan River
|
Sambongri
|
Sambong-ri, Joan-myeon, Namyangju-si, Gyeonggi-do
|
Namhan River
|
Wolgyesa-ap1) |
Sinwon-ri, Yangseo-myeon, Yangpyeong-gun, Gyeonggi-do
|
조류 발생 현황은 조류경보제 대상지점인 팔당댐앞, 월계 사앞(2016년부터 부용사앞으로 변경), 삼봉리(2012년 지점 추가)등 3개 지점에서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유해남조류 포함), 기타조류의 세포수를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 한 자료를 정리하였다(HERC, 2016). 현재 조류경보제는 2010년 이전까지는 조류예보제였으며 2015년까지 표층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기상 및 수문 변화
3.1.1. 기온 및 강수량
양평 기상관측소의 평년(1981 ~ 2010년) 평균기온은 11.5 °C이고, 2000년에서 2015년까지 평균기온은 11.9 °C로 평 년에 비해
0.4 °C 높았으며 Fig. 3과 같이 연도별 평균기온 이 소폭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리나라는 지난 106년 간의 연평균 기온 변화량을 보면 +0.18 °C/10년으로 상승하
였는데 최고 기온은 +0.2 °C/10년, 최저 기온은 0.24 °C/10 년으로 상승하였으며 여름일수와 열대야일수도 각각 +1.2 일/10년과 +0.9일/10년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NIMS, 2018). Table 2와 같이 연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해는 2015년 12.9 °C였으며 일 최고 기온은 보인 해는 2012년 37.0 °C였다. 일 평균기온이 25
°C 이상 연속되는 일수가 많은 해는 2012년으로 24일간 지속되었으며 2013년부터 2015년까지 25 °C 이상 연속일수가 15일 이상을 유지하였
다. 2011년의 경우는 25 °C 이상 연속일수가 7일에 불과하 였으나 Table 3과 같이 11월 월평균 기온이 9.6 °C로 11월 월평균 기온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조류가 대량 증식하기 시작하는 7월의 월평균 기온이
가장 높았던 해는 2000년으로 26.1 °C이고 다음이 2010년 25.7 °C였다.
Fig. 3. Mean annual temperature change in the Yangpyeong weather station.
Table 2. Annual temperature status at the Yangpyeong weather station
Year
|
Average annual temperature (°C)
|
Minimum temperature (°C)
|
Maximum temperature (°C)
|
Consecutive days above 25 °C
|
2000
|
11.6
|
-15.1
|
35.0
|
10
|
2001
|
11.7
|
-21.8
|
35.4
|
8
|
2002
|
11.7
|
-19.1
|
35.2
|
9
|
2003
|
11.8
|
-20.2
|
33.4
|
6
|
2004
|
11.8
|
-17.7
|
35.4
|
18
|
2005
|
11.4
|
-17.1
|
35.2
|
9
|
2006
|
12.4
|
-15.1
|
35.5
|
11
|
2007
|
12.5
|
-13.1
|
34.0
|
12
|
2008
|
11.8
|
-14.9
|
35.0
|
14
|
2009
|
11.9
|
-18.7
|
34.2
|
7
|
2010
|
11.5
|
-21.7
|
34.2
|
17
|
2011
|
11.3
|
-20.9
|
35.5
|
7
|
2012
|
11.4
|
-21.4
|
37.0
|
24
|
2013
|
11.8
|
-20.6
|
34.2
|
15
|
2014
|
12.5
|
-14.5
|
35.0
|
15
|
2015
|
12.9
|
-13.5
|
36.1
|
18
|
Table 3. Average monthly temperature at the Yangpyeong weather station (unit: °C)
Month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Average
|
Year
|
2000
|
-2.6
|
-2.4
|
5.2
|
11.0
|
17.3
|
23.0
|
26.1
|
25.2
|
18.9
|
12.7
|
4.7
|
-0.4
|
11.6
|
2001
|
-5.0
|
-1.3
|
4.2
|
12.6
|
18.7
|
22.5
|
25.3
|
25.4
|
20.6
|
14.2
|
4.3
|
-2.3
|
11.7
|
2002
|
-1.5
|
0.6
|
7.1
|
13.2
|
17.6
|
21.5
|
25.0
|
23.7
|
19.6
|
10.9
|
2.3
|
-0.1
|
11.7
|
2003
|
-4.6
|
0.8
|
5.5
|
12.3
|
18.4
|
21.3
|
23.6
|
24.0
|
20.2
|
11.8
|
8.4
|
-0.9
|
11.8
|
2004
|
-3.7
|
1.2
|
5.2
|
12.0
|
17.0
|
21.9
|
24.1
|
24.5
|
19.9
|
12.6
|
6.8
|
0.4
|
11.8
|
2005
|
-3.6
|
-2.4
|
3.9
|
12.7
|
16.8
|
22.3
|
25.1
|
24.5
|
21.3
|
13.0
|
6.8
|
-4.8
|
11.4
|
2006
|
-1.1
|
0.0
|
5.3
|
11.7
|
18.3
|
21.8
|
23.2
|
26.3
|
19.4
|
15.8
|
7.0
|
-0.1
|
12.4
|
2007
|
-1.0
|
2.7
|
5.9
|
11.5
|
17.9
|
22.7
|
24.0
|
25.5
|
20.8
|
14.0
|
5.0
|
0.4
|
12.5
|
2008
|
-2.3
|
-2.4
|
5.6
|
12.6
|
16.7
|
21.1
|
25.6
|
24.7
|
20.7
|
14.2
|
5.7
|
-0.5
|
11.8
|
2009
|
-4.4
|
1.7
|
6.0
|
12.1
|
18.5
|
22.3
|
23.9
|
24.7
|
20.1
|
13.7
|
5.9
|
-2.1
|
11.9
|
2010
|
-6.1
|
0.6
|
4.3
|
9.6
|
17.4
|
22.9
|
25.7
|
26.2
|
20.9
|
13.1
|
4.8
|
-2.4
|
11.5
|
2011
|
-8.4
|
0.0
|
3.6
|
10.5
|
17.4
|
22.1
|
24.7
|
25.4
|
20.3
|
12.1
|
9.6
|
-1.5
|
11.3
|
2012
|
-3.6
|
-2.5
|
5.2
|
12.1
|
18.6
|
23.7
|
25.4
|
26.4
|
19.4
|
12.9
|
4.4
|
-5.2
|
11.4
|
2013
|
-5.1
|
-1.5
|
5.2
|
9.9
|
17.9
|
23.7
|
25.5
|
26.4
|
20.4
|
14.2
|
4.9
|
-1.4
|
11.8
|
2014
|
-2.0
|
1.2
|
7.3
|
13.6
|
18.6
|
22.8
|
25.6
|
24.3
|
20.4
|
13.6
|
6.9
|
-3.6
|
12.5
|
2015
|
-1.6
|
0.6
|
6.0
|
12.8
|
18.9
|
23.2
|
25.4
|
25.6
|
20.4
|
13.7
|
8.5
|
0.8
|
12.9
|
Average
|
-3.5
|
-0.2
|
5.3
|
11.9
|
17.9
|
22.4
|
24.9
|
25.2
|
20.2
|
13.3
|
6.0
|
-1.5
|
11.9
|
평년 연강수량은 1,438.2 mm이나 2000년~ 2015년 평균 연강수량은 1,450.7 mm로 평년에 비해 12.5 mm 상승하였 다. 2011년
연강수량이 2,198.5 mm로 가장 많았으며, 2014 년 790.1 mm로 가장 적었다(Table 4). Table 5와 같이 6시 간 무강우 기준으로 구분하여 강우사상별로 분석한 결과 2002년 강우사상별 누적 강수량이 465.0 mm로 가장 많았 으며 강우 횟수는
2010년 115회로 다른 해에 비해 많았다. 강우 횟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30 mm 이상 횟수는 2014 년과 2015년은 8회와 5회로 낮았다.
무강우 연속일수가 가 장 길었던 해는 2012년으로 29일이고 25 °C 연속일수도 24 일간 지속되었다. 무강우 연속일수가 다음으로 긴 해는 2014년
26일과 2008년 25일로 나타났다. 여름철 무강우 연 속일수의 증가는 기온 증가 요인과 관계가 깊다.
Table 4. Monthly precipitation at the Yangpyeong weather station (unit: mm)
Month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Total
|
Year
|
2000
|
56.1
|
2.5
|
2.0
|
26.7
|
75.0
|
109.0
|
139.0
|
356.0
|
139.5
|
11.5
|
22.5
|
19.8
|
959.6
|
2001
|
32.2
|
48.3
|
10.2
|
16.0
|
14.5
|
170.0
|
577.5
|
56.0
|
20.0
|
71.5
|
7.0
|
10.9
|
1,034.1
|
2002
|
38.8
|
2.8
|
23.5
|
163.5
|
85.5
|
76.5
|
189.0
|
646.5
|
23.5
|
65.0
|
5.1
|
13.4
|
1,333.1
|
2003
|
15.4
|
49.8
|
29.5
|
176.5
|
104.0
|
133.5
|
444.5
|
399.0
|
374.5
|
42.0
|
48.5
|
8.6
|
1,825.8
|
2004
|
17.6
|
64.0
|
17.7
|
64.0
|
139.5
|
154.5
|
496.0
|
164.0
|
155.0
|
3.0
|
49.5
|
23.0
|
1,347.8
|
2005
|
5.5
|
21.6
|
28.9
|
89.0
|
69.0
|
296.5
|
301.0
|
535.0
|
277.0
|
54.5
|
44.0
|
10.6
|
1,732.6
|
2006
|
41.2
|
15.7
|
16.4
|
71.0
|
119.5
|
250.0
|
940.5
|
105.0
|
12.0
|
29.5
|
58.0
|
12.0
|
1,670.8
|
2007
|
7.0
|
25.0
|
135.4
|
26.0
|
147.0
|
55.0
|
265.0
|
368.5
|
292.0
|
25.0
|
47.4
|
9.4
|
1,402.7
|
2008
|
14.1
|
8.1
|
63.1
|
35.3
|
90.0
|
187.0
|
616.8
|
229.8
|
94.7
|
40.0
|
18.0
|
23.5
|
1,420.4
|
2009
|
1.9
|
40.2
|
60.6
|
54.6
|
100.1
|
111.8
|
778.5
|
268.9
|
33.5
|
56.5
|
50.6
|
19.3
|
1,576.5
|
2010
|
28.7
|
50.1
|
86.2
|
64.5
|
100.5
|
95.2
|
257.3
|
525.5
|
620.3
|
32.5
|
25.0
|
16.7
|
1,902.5
|
2011
|
4.0
|
37.4
|
20.2
|
140.1
|
78.6
|
407.0
|
1,058.3
|
278.8
|
63.9
|
43.8
|
55.7
|
10.7
|
2,198.5
|
2012
|
7.5
|
0.0
|
43.4
|
152.5
|
33.7
|
102.9
|
368.5
|
461.0
|
159.1
|
87.1
|
69.9
|
46.4
|
1,532.0
|
2013
|
27.5
|
66.0
|
50.6
|
71.3
|
126.1
|
87.7
|
743.3
|
193.4
|
205.1
|
17.3
|
72.9
|
21.9
|
1,683.1
|
2014
|
16.6
|
18.0
|
11.7
|
31.6
|
60.0
|
97.0
|
158.3
|
205.6
|
76.6
|
65.1
|
36.2
|
13.4
|
790.1
|
2015
|
13.5
|
22.5
|
9.5
|
96.1
|
34.1
|
84.1
|
212.6
|
80.3
|
35.9
|
56.5
|
126.7
|
29.7
|
801.5
|
Table 5. Annual precipitation status at the Yangpyeong weather station
Year
|
Storm event accumulated precipitation (Max, mm)
|
Event (Number)
|
Event above 10 mm (Number)
|
Event above 30 mm (Number)
|
Consecutive dry days
|
2000
|
121.5
|
80
|
21
|
9
|
19
|
2001
|
182.5
|
75
|
16
|
8
|
21
|
2002
|
465.0
|
79
|
22
|
10
|
13
|
2003
|
182.5
|
95
|
37
|
19
|
16
|
2004
|
196.5
|
78
|
28
|
12
|
18
|
2005
|
272.0
|
83
|
29
|
18
|
19
|
2006
|
445.0
|
79
|
23
|
10
|
21
|
2007
|
110.5
|
109
|
37
|
13
|
22
|
2008
|
217.5
|
95
|
25
|
15
|
25
|
2009
|
244.5
|
83
|
29
|
12
|
22
|
2010
|
215.6
|
115
|
45
|
14
|
23
|
2011
|
353.0
|
94
|
31
|
17
|
23
|
2012
|
168.5
|
89
|
25
|
16
|
29
|
2013
|
174.5
|
99
|
39
|
15
|
18
|
2014
|
92.0
|
89
|
19
|
8
|
26
|
2015
|
129.5
|
85
|
23
|
5
|
19
|
3.1.2. 수문
수문은 강수량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강수량이 2,198.5 mm로 가장 많은 2011년에 팔당댐 유입량도 867.7 m3/s로 가장 많았으며 2014년과 2015년은 연 강수량이 각각 790.1 mm와 801.5 mm로 평균 유입량도 각각 232.3 m3/s, 176.2 m3/s로 연속하여 낮게 나타났다(Table 6). 이에 따라 연평 균 체류시간이 가장 긴 해도 2015년이며 15.5일이었다. Table 7과 같이 북한강의 청평댐 평균 방류량은 71.4 ~ 325.2 m3/s이고 남한강 여주대교 유량은 80.5 ~ 584.4 m3/s, 경안천은 3.17 ~ 15.75 m3/s 였다. 남한강 여주대교 이후의 양화천, 복하천과 흑천 등과 북한강 유입부의 벽계천, 묵현 천 등으로 부터 유입량이 포함되지 않은 대략적인 남한강
과 북한강의 유량 비로 볼 때 평균 1.43 정도이고, 남한강 유량이 많은 경향을 보이며 유량 비의 범위는 0.66 ~ 2.10 이었다. 2000년과
2001년에는 유량 비가 각각 0.85, 0.66에 서 2003년에 들어 2.02로 증가하면서 남한강 유량이 증가 한 것처럼 보였다. 이는 북한 최대
저수량 9억천만톤 규모 의 임남댐이 1999년 1월 공사 후 2000년 10월 완공되었으 나 2002년 댐 상층부 균열과 훼손으로 2003년 12월에
재 완공되면서 유량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Mean annual inflow, outflow and flow duration in the Lake Paldang (unit: m3/s)
Year
|
Inflow
|
Drought flow
|
Low flow
|
Base flow
|
High flow
|
Outflow
|
Residence time
|
2000
|
485.5
|
147.0
|
205.0
|
277.0
|
354.0
|
485.4
|
8.6
|
2001
|
311.9
|
107.0
|
128.0
|
151.0
|
202.0
|
312.1
|
14.1
|
2002
|
467.1
|
88.0
|
131.0
|
193.0
|
317.0
|
466.4
|
12.1
|
2003
|
756.2
|
120.2
|
190.6
|
156.2
|
753.5
|
763.8
|
8.2
|
2004
|
612.9
|
131.8
|
194.7
|
259.8
|
488.3
|
613.1
|
8.5
|
2005
|
593.7
|
148.3
|
203.8
|
313.4
|
603.9
|
555.1
|
9.1
|
2006
|
688.9
|
144.7
|
170.2
|
210.7
|
425.9
|
650.8
|
12.3
|
2007
|
620.1
|
158.6
|
209.2
|
300.4
|
499.9
|
585.4
|
8.9
|
2008
|
408.4
|
108.0
|
154.7
|
208.4
|
313.3
|
408.4
|
10.7
|
2009
|
491.9
|
125.9
|
169.3
|
206.6
|
330.3
|
456.8
|
12.6
|
2010
|
573.9
|
161.2
|
227.4
|
351.4
|
505.5
|
560.4
|
7.9
|
2011
|
867.7
|
112.8
|
171.1
|
231.4
|
618.3
|
867.9
|
9.1
|
2012
|
491.2
|
119.3
|
198.1
|
272.8
|
429.0
|
477.6
|
8.4
|
2013
|
607.5
|
145.6
|
228.2
|
343.4
|
470.1
|
607.1
|
7.4
|
2014
|
232.3
|
123.5
|
176.4
|
203.1
|
248.4
|
232.6
|
11.1
|
2015
|
176.2
|
94.1
|
127.0
|
150.8
|
183.5
|
176.6
|
15.5
|
Maximum
|
867.7
|
1612
|
228.2
|
351.4
|
753.5
|
867.9
|
15.5
|
Minimum
|
176.2
|
88.0
|
127.0
|
150.8
|
183.5
|
176.6
|
7.4
|
Average
|
524.1
|
127.3
|
180.3
|
245.6
|
421.4
|
513.7
|
10.3
|
Table 7. Inflow ratio of Namhan river to Bukhan river
Year
|
Namhan river (m3/s)1) |
Bukhan river (m3/s)2) |
Namhan river / Bukhan river
|
2000
|
177.2
|
209.3
|
0.85
|
2001
|
105.5
|
160.2
|
0.66
|
2002
|
246.8
|
188.0
|
1.31
|
2003
|
584.4
|
289.5
|
2.02
|
2004
|
367.0
|
224.9
|
1.63
|
2005
|
288.3
|
194.0
|
1.49
|
2006
|
430.9
|
243.0
|
1.77
|
2007
|
375.7
|
222.2
|
1.69
|
2008
|
422.9
|
201.2
|
2.10
|
2009
|
213.3
|
218.2
|
0.98
|
2010
|
257.4
|
218.0
|
1.18
|
2011
|
484.2
|
325.2
|
1.49
|
2012
|
281.2
|
169.8
|
1.66
|
2013
|
273.5
|
271.5
|
1.01
|
2014
|
136.1
|
93.1
|
1.46
|
2015
|
80.5
|
71.4
|
1.13
|
Average
|
295.4
|
206.2
|
1.43
|
3.2. 오염원 변화
3.2.1. 팔당호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지정 현황
2015년 기준 팔당호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이하 특별대책지역)의 전체 면적은 2,096.5 km2으로 Table 8과 같이 경기도 남양주시, 용인시, 이천시, 광주시, 여주시와 가 평군, 양평군 등 5시 2군이 포함된다. I 권역 면적은 1,271.6 km2이며 II 권역 면적은 824.9 km2이다. 시·군별 면적 분포 는 양평군이 591.7 km2(28 %)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광주 시(21 %), 여주시(12 %), 이천시(11 %), 용인시(10 %), 남양 주시(9 %), 가평군(9
%)의 순이다. 전체 면적에서 도시지역 이 28.4 %, 관리지역 32.6 %, 농림지역과 자연환경보전지역 은 각각 36.9 %와 2.1 %를 차지하고
있다.
Table 8. Status of the special measures areas in the Paldang watershed (unit: km2)
Class
|
Total
|
Water-source protection areas
|
Riparian zones
|
The rest of special measures areas
|
Total
|
Total
|
2,096.46
|
152.24
|
123.05
|
1,821.17
|
Zone I
|
1,271.60
|
152.24
|
100.21
|
1,019.15
|
Zone II
|
824.86
|
-
|
22.84
|
802.02
|
Namyangju-si
|
Total
|
194.92
|
42.38
|
8.09
|
144.45
|
Zone I
|
111.32
|
42.38
|
8.09
|
60.85
|
Zone II
|
83.60
|
-
|
-
|
83.60
|
Yongin-si
|
Total
|
207.34
|
-
|
24.21
|
183.13
|
Zone I
|
50.36
|
-
|
6.63
|
43.73
|
Zone II
|
156.98
|
-
|
17.58
|
139.40
|
Icheon-si
|
Total
|
233.02
|
-
|
-
|
233.02
|
Zone I
|
-
|
-
|
-
|
-
|
Zone II
|
233.02
|
-
|
-
|
233.02
|
Gwangju-si
|
Total
|
430.96
|
83.63
|
9.61
|
337.72
|
Zone I
|
428.04
|
83.63
|
9.61
|
334.80
|
Zone II
|
2.92
|
-
|
-
|
2.92
|
Yeoju-si
|
Total
|
247.62
|
-
|
30.93
|
216.69
|
Zone I
|
217.64
|
-
|
30.93
|
186.71
|
Zone II
|
29.98
|
-
|
-
|
29.98
|
Gapyeong-gun
|
Total
|
190.89
|
-
|
17.23
|
173.66
|
Zone I
|
91.29
|
-
|
11.98
|
79.31
|
Zone II
|
99.60
|
-
|
5.26
|
94.34
|
Yangpyeong-gun
|
Total
|
591.71
|
26.24
|
32.97
|
532.50
|
Zone I
|
372.95
|
26.24
|
32.97
|
313.74
|
Zone II
|
218.76
|
-
|
-
|
218.76
|
3.2.2. 인구 및 생활오수 발생량
2015년 기준 특별대책지역의 총인구는 918,632명으로 광 주시가 가장 많은 312,579명이고 전체의 34 %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용인시(20
%), 이천시(18 %), 남양주시(12 %), 양 평군(11 %), 여주시(3 %), 가평군(2 %)의 순이다. 인구밀도 는 용인시가 가장 높은
882명/km2이고 여주시가 가장 낮은 101명/km2로 시·군 간 차이가 크다(Table 9).
Table 9. Population and density in the special measures areas of the Paldang watershed (2015)
Class
|
Population (person)
|
Population density (person/km2)
|
Total
|
Zone I
|
Zone II
|
Namyangju-si
|
115,891
|
100,053
|
15,838
|
646
|
Yongin-si
|
182,929
|
26,638
|
156,291
|
882
|
Icheon-si
|
162,692
|
-
|
162,692
|
698
|
Gwangju-si
|
312,579
|
312,287
|
292
|
725
|
Yeoju-si
|
25,005
|
21,579
|
3,426
|
101
|
Gapyeong-gun
|
20,752
|
13,799
|
6,953
|
109
|
Yangpyeong-gun
|
98,784
|
75,238
|
23,546
|
167
|
Total
|
918,632
|
549,594
|
369,038
|
443
|
연도별 인구와 생활오수 발생량의 변화를 보면 전반적으 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인구는 2000년 597,089명, 2005년 717,478명,
2010년 816,811명, 2015년 918,632명으 로 2000년 대비 2015년에 1.5배 증가하였다. 오수 발생량도 2000년 175,290
m3/일, 2005년 199,149 m3/일, 2010년 243,055 m3/일, 2015년 274,567 m3/일로 2000년 대비 2015년에 1.6 배 증가하였다. 인구와 생활오수 발생량이 가장 큰 지자체 는 광주시로 인구는 2000년 139,339명에서
2015년 312,579 명으로 2.2배 증가하였고, 생활오수 발생량도 2000년 41,801 m3/일에서 2015년 120,816 m3/일로 2.9배 증가하였다. 다음 으로 남양주시는 인구가 2000년 68,616명에서 2015년 115,891명으로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0).
Table 10. Variation of population and sewage flow in the special measures areas of the Paldang watershed
Class
|
Year
|
Namyangju-si
|
Yongin-si
|
Icheon-si
|
Gwangju-si
|
Yeoju-si
|
Gapyeong-gun
|
Yangpyeong-gun
|
Total
|
Population (person)
|
2000
|
68,616
|
137,066
|
131,532
|
139,339
|
27,521
|
16,269
|
76,746
|
597,089
|
2005
|
79,489
|
160,311
|
143,402
|
214,742
|
26,087
|
16,148
|
77,299
|
717,478
|
2010
|
100,083
|
168,388
|
158,173
|
259,387
|
25,478
|
17,761
|
87,541
|
816,811
|
2015
|
115,891
|
182,929
|
162,692
|
312,579
|
25,005
|
20,752
|
98,784
|
918,632
|
Sewage flow (m3/day)
|
2000
|
20,584
|
41,120
|
39,460
|
41,801
|
8,256
|
4,882
|
19,187
|
175,290
|
2005
|
22,639
|
43,123
|
29,254
|
64,420
|
5,217
|
4,844
|
29,652
|
199,149
|
2010
|
24,920
|
34,809
|
46,344
|
100,797
|
5,096
|
5,326
|
25,763
|
243,055
|
2015
|
28,855
|
49,996
|
36,207
|
120,816
|
6,124
|
3,528
|
29,041
|
274,567
|
3.2.3. 가축 및 가축분뇨 발생량
가축두수(소·돼지)는 2000년 226,485두에서 2015년 374,668 두로 변화하여 2000년 대비 2015년에 1.7배 증가하였다. 2015년
기준으로 특별대책지역 총 가축두수 중 이천시가 53.9 %, 여주시는 17.3 %, 용인시 17.0 %, 그리고 기타 시·군 (광주시, 남양주시,
양평군, 가평군)이 11.8 %을 차지하였다. 가축분뇨 발생량은 2000년 3,812 m3/일에서 2015년 3,165 m3/일로 감소 경향을 보인다. 2015년 기준 총 가축분뇨발 생량 중 이천시가 51.8 %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여주시 18.3 %, 양평군 11.8
%, 용인시 10.7 % 그리고 기타 시·군 (광주시, 남양주시, 가평군) 7.4 %의 순이었다. 가장 많은 가축두수와 발생량을 보이는 이천시는 가축두수가
2000년 82,263두에서 2015년에 202,004두로 2.5배 증가하였고 가 축분뇨 발생량도 2000년 982 m3/일에서 2015년 1,639 m3/일 로 1.7배 증가하였다(Table 11).
Table 11. Variation of livestock population and manure in the special measures areas of the Paldang watershed
Class
|
Year
|
Namyangju-si
|
Yongin-si
|
Icheon-si
|
Gwangju-si
|
Yeoju-si
|
Gapyeong-gun
|
Yangpyeong-gun
|
Total
|
Population (number)
|
2000
|
21,225
|
29,703
|
82,263
|
22,341
|
43,534
|
3,433
|
23,986
|
226,485
|
2005
|
8,457
|
8,282
|
135,374
|
7,709
|
66,606
|
3,074
|
30,970
|
260,472
|
2010
|
10,310
|
65,970
|
219,307
|
11,746
|
64,571
|
2,548
|
36,585
|
411,037
|
2015
|
6,537
|
63,730
|
202,004
|
6,972
|
64,750
|
960
|
29,715
|
374,668
|
Manure (m3/day)
|
2000
|
412
|
1,053
|
982
|
426
|
429
|
72
|
438
|
3,812
|
2005
|
163
|
302
|
1,424
|
92
|
829
|
36
|
358
|
3,204
|
2010
|
112
|
360
|
1,850
|
160
|
602
|
86
|
492
|
3,662
|
2015
|
112
|
340
|
1,639
|
110
|
578
|
13
|
372
|
3,165
|
3.2.4. 폐수배출시설 및 산업폐수 발생량
폐수배출시설은 2000년 1,287개소에서 2015년 1,059개소 로 감소하였으나 폐수발생량은 2010년 71,133 m3/일에서 2015년 107,950 m3/일로 1.5배 증가하였다(Table 12). 2015년 기준으로 전체 폐수배출업소 1,059개소 중 500 m3/일 미만 배출업소가 1,044개소이고 500 m3/일 이상 배출업소는 15 개소이나 폐수발생량은 500 m3/일 이상 시설에서 88,792 m3/일로 전체 82.3 %를 차지하였으며 500 m3/일 이상 시설 과 500 m3/일 미만 시설 모두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12).
Table 12. Variation of number and flow of wastewater facility in special measures areas of the Paldang watershed
Class
|
Total
|
Above 500 m3/day
|
Under 500 m3/day
|
Facility (number)
|
Flow (m3/day)
|
Facility (number)
|
Flow (m3/day)
|
Facility (number)
|
Flow (m3/day)
|
2000
|
1,287
|
71,133
|
10
|
59,174
|
1,277
|
11,959
|
2005
|
941
|
94,157
|
10
|
82,045
|
931
|
12,112
|
2010
|
1,092
|
65,699
|
10
|
45,898
|
1,082
|
19,801
|
2015
|
1,059
|
107,951
|
15
|
88,792
|
1,044
|
19,159
|
2015년 기준으로 폐수발생량은 이천시가 260개 시설에서 92,155 m3/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광주시 5,857 m3/ 일, 용인시 3,374 m3/일이고 가평군이 가장 적은 625 m3/일 이었다. 특히 500 m3/일 이상의 규모시설 전체 15개 시설 가운데 이천시 9개소가 있으며 폐수발생량도 전체 발생량 의 78.3 %를 차지하고 있다. 500 m3/일 미만 시설은 광주시 와 이천시가 가장 많으며 광주시가 343 개소로 가장 많아 소규모 배출시설이 많게 나타났다(Table 13).
Table 13. Wastewater facility and flow in the special measures areas of the Paldang watershed (2015)
Classification
|
Namyangju-si
|
Yongin-si
|
Icheon-si
|
Gwangju-si
|
Yeoju-si
|
Gapyeong-gun
|
Yangpyeong-gun
|
Total
|
Facility number
|
61
|
220
|
260
|
346
|
56
|
25
|
91
|
Flow (m3/day)
|
1,860
|
3,374
|
92,155
|
5,857
|
2,007
|
625
|
2,073
|
Above 500 m3/day
|
Facility number
|
-
|
2
|
9
|
3
|
-
|
-
|
1
|
Flow (m3/day)
|
-
|
1,901
|
84,544
|
1,758
|
-
|
-
|
590
|
Under 500 m3/day
|
Facility number
|
61
|
218
|
251
|
343
|
56
|
25
|
90
|
Flow (m3/day)
|
1,860
|
1,473
|
7,611
|
4,099
|
2,007
|
625
|
1,483
|
3.3. 취수량의 변화
상수도통계를 이용하여 취수량 변화를 살펴보면 2000년 2,756백만톤, 2005년 2,858백만톤, 2010년 2,971백만톤. 2015년 3,136백만톤으로
점차 증가하였다(ME, 2001~2016). 2000년 대비 2015년의 인구와 산업시설은 1.5배 증가하였 으나 취수량은 1.14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상수도통계(2015년
12월 말 기준)를 이용하여 팔당 호를 취수하고 있는 특별대책지역과 한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22개 취수장과 41개 정수장의 용량 및 급수인구를
정 리한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팔당호 상수원에서 급수한 인구는 총 2,418만명이고 일평균취수량은 8,594,708 톤/일 이며 이 가운데 팔당호에서 직접 취수하는 팔당
1, 2, 3 취 수장과 광주용인, 광주취수장의 취수량은 전체 취수량의 50 %를 차지하고 있다.
Table 14. Water intake and purification station (as of Dec. 2015)
Water intake facility
|
Water purification facility
|
Water supply population (people)
|
Water supply area
|
Station
|
Source
|
Max. water service volume
|
Ave. volume of intake
|
Station
|
Supply vol. (ton/day)
|
(ton/day)
|
22
|
|
16,450,000
|
8,594,708
|
41
|
7,551,083
|
24,178,436
|
|
Gapyeong tonghap
|
Bukhan river (groundwater)
|
20,000
|
16,119
|
Gapyeong tonghap
|
15,251
|
33,992
|
Gapyeong-eup, Cheongpyeong-myeon, Buk-myeon
|
Yeoju (Danhyeon)
|
Namhan river
|
52,500
|
33,952
|
Yeoju
|
33,347
|
97,593
|
Ganam-eup, etc. (1 eup 9 myeon 3 dong)
|
Icheon
|
Namhan river
|
66,000
|
35,001
|
Icheon
|
32,766
|
198,398
|
Bubal-eup(part), Sindun-myeon, Baeksa-myeon
|
Geumnam
|
Bukhan river
|
57,500
|
42,956
|
Hwado
|
39,708
|
169,691
|
Namyangsu-si Hwado-eup, Hopyeong-dong, Sudong-myeon, Joan-myeon, Pyeongnae-dong
|
Yangseo
|
Bukhan river
|
5,000
|
3,847
|
Yangseo
|
3,828
|
14,698
|
Yangpyeong-gun Yangseo-myeon, Seojong-myeon
|
Yangseo
|
Bukhan river
|
5,000
|
3,847
|
Yangseo
|
3,828
|
14,698
|
Yangpyeong-gun Yangseo-myeon, Seojong-myeon
|
Yangpyeong tonghap
|
Heuk stream
|
26,000
|
16,227
|
Yangpyeong tonghap
|
16,083
|
55,137
|
Yangpyeong-gu Yangpyeong-eup, Gangsang-myeon, Gangha-myeon, Okcheon-myeon, Jipyeong-myeon,
Yongmun-myeon, Gaegun-myeon, Yangseo-myeon(Guksu-ri)
|
Gwangju (stoped)
|
Lake Paldang
|
26,400
|
-
|
-
|
-
|
-
|
-
|
Gwangju-Yongin
|
Lake Paldang
|
330,000
|
166,064
|
Gwangju
|
97,394
|
288,115
|
Gwangju-si
|
Yongin
|
63,251
|
204,529
|
Yongin-si Cheoin-gu (except Samga-dong, Osan-ri)
|
Paldang1
|
Paldang dam
|
2,600,000
|
1,088,803
|
Gwangam
|
220,130
|
757,817
|
Songpa-gu, etc. (1 gu 31 dong)
|
Bisan
|
43,245
|
157,448
|
Anyang-si Manan-gu
|
Poil
|
70,202
|
259,965
|
Anyang-si Dongan-gu
|
Gwacheon
|
22,196
|
69,007
|
Gwacheon-si
|
Banwol
|
120,094
|
335,460
|
Ansan-si
|
Paldang2
|
Han river/Paldang dam
|
2,830,000
|
1,424,979
|
Wabu
|
89,625
|
83,369
|
Guri-si, Namyangju-si, Uijeongbu-si, Goyang-si
|
Seongnam
|
444,110
|
1,540,135
|
Seongnam-si, Yongin-si, Suwon-si, Osan-si, Hwaseong-si, Pyeongteak-si, Anseong-si
|
Siheung
|
50,056
|
129,257
|
Siheung-si
|
Samdong
|
201,069
|
508,094
|
Incheon-si Nam-gu, Namdong-gu, Bupyeong-gu
|
Ansan
|
57,447
|
189,441
|
Wa-dong, Gojan-dong, Sa-dong
|
Noon
|
96,555
|
350,689
|
Gwangmyeong-si
|
Cheonggye
|
18,484
|
58,466
|
Uiwang-si Naeson 1, 2-dong
|
Gunpo
|
58,004
|
212,914
|
Gunpo-si
|
Gochon
|
114,280
|
340,035
|
Gunpo-si
|
Paldang3
|
Paldang dam
|
2,380,000
|
1,583,396
|
Suji
|
649,993
|
1,884,295
|
Suwon-si, Yongin-si, Osan-si, Hwaseong-si, Pyeongteak-si, Anseong-si
|
Susan
|
280,132
|
826,859
|
Incheon-si Jung-gu, Dong-gu, Nam-gu, Yeonsu-gu, Namdong-gu, Bupyeong-gu
|
Kkachiul
|
174,322
|
640,767
|
Bucheon-si Wonmi-gu, Ojeong-gu
|
Yeonseong
|
92,371
|
227,401
|
Ansan-si Seonbu-dong, Wongok-dong, Choji-dong
|
Cheonggye
|
56,687
|
188,038
|
Anyang-si Manan-gu, Dongan-gu
|
Hanam
|
Han river
|
77,000
|
48,174
|
Hanam
|
46,548
|
158,759
|
Hanam-si(except Gambuk-dong)
|
Dogok
|
Han river
|
17,600
|
13,989
|
Dogok
|
12,783
|
55,764
|
Namyangju-si Wabu-eup
|
Deokso
|
Han river
|
475,000
|
337,112
|
Deokso
|
331,604
|
1,168,774
|
Namyangju-si, Uijeongbu-si, Goyang-si, Yangju-si, Pocheon-si, Dongducheon-si
|
Gangbuk
|
Han river
|
2,300,000
|
1,225,489
|
Gangbuk
|
803,957
|
2,721,250
|
Jongro-gu, etc. (8 gu)
|
Guui
|
289,508
|
622,106
|
Gwangjin-gu, etc. (3 gu)
|
Jayang (Seoul)
|
Han river
|
1,450,000
|
176,256
|
Ddukdo
|
299,893
|
1,010,829
|
Jongro-gu, etc. (6 gu)
|
Topyeong
|
Han river
|
63,000
|
29,623
|
Topyeong
|
26,730
|
71,427
|
Guri-si Topyeong-dong, Gyomun-dong, Sutaek-dong
|
Amsa
|
Han river
|
1,710,000
|
1,137,245
|
Amsa
|
1,118,220
|
3,442,008
|
Yongsan-gu, etc. (10 gu)
|
Hangang (Seongnam)
|
Han river
|
314,000
|
218,229
|
Bokjeong3
|
218,229
|
691,276
|
Seongnam-si
|
Pungnap (Incheon)
|
Down-stream of Han river
|
700,000
|
474,170
|
Bupyeong
|
225,591
|
790,737
|
Incheon-si Bupyeong-gu, Gyeyang-gu
|
Gongchon
|
260,536
|
762,726
|
Incheon-si Jung-gu, Dong-gu, Seo-gu, Ganghwa-gun
|
Pungnap (Seoul)
|
Han river
|
700,000
|
448,170
|
Yeong-deugpo
|
437,629
|
1,743,128
|
Eunpyeong-gu, etc. (6 gu)
|
Jayang (Ilsan)
|
Han river
|
250,000
|
74,875
|
Ilsan
|
125,267
|
517,580
|
Goyang-si(Ilsan, Deokyang), Paju-si(Gyoha)
|
Goyang
|
193,958
|
600,462
|
Goyang-si, Paju-si
|
3.4. 수질 및 조류
3.4.1. 수질 변화
팔당호 수질은 북한강이 유입되는 삼봉리, 남한강은 강 상, 경안천은 경안천 말단인 경안천5A, 팔당호 내 댐앞 등 총 4개 지점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Table
15). 2000년부터 2015년 사이에 지점이 신설되거나 항목이 추가되기도 하였 는데 경안천5A 지점은 2008년에 신설되었고 강상과 삼봉 리 지점에서는
2001년, 경안천5A는 2010년 11월부터 Chl-a 가 추가되었다. TOC는 2008년부터 전 지점에 추가되었다.
Table 15. Annual averaged water quality in the Lake Paldang
Site
|
Year
|
Temp. (°C)
|
pH
|
BOD (mg/L)
|
COD (mg/L)
|
SS (mg/L)
|
T-N (mg/L)
|
T-P (mg/L)
|
Chl-a (mg/m3)
|
TOC (mg/L)
|
Paldangdam-ap
|
2000
|
15.2
|
8.7
|
1.5
|
3.0
|
4.0
|
1.957
|
0.029
|
15.1
|
-
|
2001
|
15.1
|
9.0
|
1.4
|
3.1
|
3.1
|
2.168
|
0.045
|
23.3
|
-
|
2002
|
14.4
|
8.6
|
1.4
|
3.3
|
4.3
|
2.258
|
0.050
|
21.7
|
-
|
2003
|
13.7
|
8.5
|
1.3
|
3.1
|
5.9
|
2.247
|
0.058
|
19.3
|
-
|
2004
|
13.0
|
8.1
|
1.3
|
3.7
|
15.0
|
2.069
|
0.054
|
20.3
|
-
|
2005
|
12.9
|
8.0
|
1.1
|
3.5
|
9.5
|
2.206
|
0.047
|
17.9
|
-
|
2006
|
12.8
|
7.8
|
1.2
|
3.3
|
11.1
|
2.190
|
0.055
|
18.1
|
-
|
2007
|
13.1
|
8.0
|
1.2
|
3.6
|
9.4
|
2.350
|
0.051
|
16.2
|
-
|
2008
|
13.5
|
8.1
|
1.3
|
3.8
|
6.4
|
1.938
|
0.042
|
16.2
|
2.0
|
2009
|
13.2
|
8.2
|
1.3
|
4.0
|
6.9
|
1.775
|
0.034
|
17.6
|
2.5
|
2010
|
12.7
|
7.9
|
1.2
|
3.9
|
6.2
|
2.076
|
0.034
|
14.7
|
2.1
|
2011
|
12.5
|
8.0
|
1.1
|
3.8
|
14.3
|
2.292
|
0.045
|
13.8
|
2.2
|
2012
|
12.6
|
8.0
|
1.1
|
3.9
|
7.6
|
2.267
|
0.039
|
12.5
|
2.2
|
2013
|
12.8
|
7.8
|
1.1
|
3.7
|
7.0
|
2.200
|
0.037
|
12.9
|
2.0
|
2014
|
14.0
|
8.1
|
1.2
|
3.5
|
4.0
|
2.004
|
0.023
|
10.3
|
2.2
|
2015
|
14.4
|
7.6
|
1.3
|
3.5
|
3.8
|
1.988
|
0.022
|
10.5
|
2.4
|
Sambongri
|
2000
|
13.1
|
8.1
|
1.1
|
2.6
|
3.3
|
1.470
|
0.018
|
-
|
-
|
2001
|
14.0
|
8.5
|
1.3
|
2.7
|
2.1
|
1.734
|
0.029
|
8.1
|
-
|
2002
|
13.0
|
8.0
|
1.1
|
2.5
|
3.4
|
1.786
|
0.032
|
9.8
|
-
|
2003
|
12.9
|
7.6
|
1.1
|
2.4
|
3.5
|
1.805
|
0.037
|
9.0
|
-
|
2004
|
13.2
|
7.6
|
1.1
|
3.3
|
5.4
|
1.553
|
0.023
|
12.6
|
-
|
2005
|
13.8
|
7.6
|
1.0
|
3.3
|
4.9
|
1.905
|
0.022
|
15.1
|
-
|
2006
|
13.0
|
7.5
|
1.0
|
2.9
|
8.9
|
1.876
|
0.042
|
12.8
|
-
|
2007
|
12.9
|
8.2
|
0.8
|
3.0
|
8.7
|
1.904
|
0.036
|
9.0
|
-
|
2008
|
13.3
|
8.1
|
1.1
|
3.5
|
5.1
|
1.636
|
0.032
|
13.4
|
1.8
|
2009
|
13.2
|
8.2
|
1.1
|
3.4
|
5.2
|
1.548
|
0.024
|
11.3
|
2.1
|
2010
|
12.6
|
8.1
|
0.9
|
3.5
|
4.3
|
1.712
|
0.021
|
10.3
|
1.9
|
2011
|
12.3
|
7.8
|
0.9
|
3.2
|
4.8
|
1.889
|
0.025
|
9.6
|
1.8
|
2012
|
12.6
|
8.0
|
1.1
|
3.8
|
4.9
|
1.977
|
0.024
|
12.4
|
2.1
|
2013
|
12.5
|
7.8
|
0.7
|
3.2
|
4.4
|
1.844
|
0.019
|
7.4
|
1.7
|
2014
|
14.4
|
8.0
|
0.9
|
3.1
|
2.4
|
1.746
|
0.012
|
6.0
|
1.8
|
2015
|
17.5
|
7.7
|
1.0
|
3.2
|
2.8
|
1.812
|
0.013
|
8.8
|
2.1
|
Gangsang
|
2000
|
13.1
|
8.5
|
1.8
|
3.0
|
5.7
|
2.558
|
0.041
|
-
|
-
|
2001
|
14.4
|
8.8
|
1.6
|
3.6
|
4.0
|
2.562
|
0.050
|
24.3
|
-
|
2002
|
13.8
|
8.2
|
1.5
|
3.5
|
8.1
|
2.932
|
0.074
|
25.1
|
-
|
2003
|
13.5
|
8.1
|
1.4
|
2.9
|
5.8
|
2.725
|
0.092
|
15.8
|
-
|
2004
|
12.9
|
8.3
|
1.7
|
3.8
|
9.1
|
2.539
|
0.051
|
16.9
|
-
|
2005
|
14.6
|
7.8
|
1.1
|
3.4
|
8.9
|
2.790
|
0.055
|
12.6
|
-
|
2006
|
13.8
|
8.3
|
1.8
|
3.6
|
8.1
|
2.315
|
0.061
|
24.9
|
-
|
2007
|
14.0
|
8.1
|
1.7
|
4.0
|
11.4
|
2.631
|
0.066
|
18.1
|
-
|
2008
|
14.3
|
8.2
|
1.6
|
4.0
|
7.5
|
2.388
|
0.063
|
15.2
|
2.3
|
2009
|
14.7
|
8.4
|
1.8
|
4.3
|
7.6
|
2.126
|
0.045
|
22.9
|
2.7
|
2010
|
13.8
|
8.0
|
1.3
|
4.1
|
10.1
|
2.559
|
0.049
|
11.7
|
2.3
|
2011
|
13.0
|
8.0
|
1.2
|
4.1
|
29.7
|
2.742
|
0.067
|
10.3
|
2.3
|
2012
|
13.6
|
8.2
|
1.5
|
4.3
|
10.5
|
2.683
|
0.051
|
11.9
|
2.4
|
2013
|
13.6
|
7.9
|
1.1
|
3.9
|
12.5
|
2.547
|
0.053
|
6.7
|
2.1
|
2014
|
15.4
|
8.3
|
1.7
|
3.9
|
5.4
|
2.364
|
0.038
|
15.2
|
2.5
|
2015
|
18.7
|
8.0
|
2.3
|
4.2
|
5.3
|
2.161
|
0.039
|
17.4
|
2.9
|
Gyeongancheon5A
|
2008
|
14.4
|
7.9
|
2.7
|
6.2
|
12.0
|
5.260
|
0.223
|
-
|
3.6
|
2009
|
14.4
|
8.2
|
3.2
|
6.7
|
13.5
|
5.240
|
0.213
|
-
|
4.5
|
2010
|
13.7
|
7.9
|
2.2
|
5.9
|
9.3
|
5.080
|
0.127
|
-
|
3.5
|
2011
|
13.0
|
8.0
|
2.4
|
6.0
|
15.5
|
5.492
|
0.125
|
11.2
|
3.7
|
2012
|
13.3
|
8.1
|
2.6
|
6.2
|
9.6
|
5.341
|
0.067
|
26.9
|
3.8
|
2013
|
13.4
|
8.1
|
2.0
|
5.2
|
10.5
|
4.393
|
0.062
|
20.1
|
2.9
|
2014
|
14.7
|
8.2
|
3.2
|
6.3
|
12.0
|
4.689
|
0.065
|
31.8
|
4.1
|
2015
|
15.3
|
8.3
|
2.4
|
5.3
|
10.8
|
4.609
|
0.048
|
27.0
|
3.8
|
팔당호 대표지점인 댐앞 지점의 항목별 연평균 농도범위 는 BOD 1.1 ~ 1.5 mg/L, COD 3.0 ~ 4.0 mg/L로 BOD는 점 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COD는 소폭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으나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SS는 3.1 ~ 15.0 mg/L이고 T-N은 1.775
~ 2.350 mg/L였다. T-P는 0.029 ~ 0.058 mg/L이며 Chl-a는 14.7 ~ 23.3 mg/m3 범위에서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TOC는 2.0 ~ 2.5 mg/L 범위였다. 삼봉 리 지점에서는 BOD 0.8 ~ 1.3 mg/L, COD
2.4 ~ 3.5 mg/L였 으며 댐앞과 유사하게 BOD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COD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S는 2.1~8.9 mg/L의
범위 이고 T-N은 1.470 ~ 1.905 mg/L, T-P는 0.018 ~ 0.042 mg/L 였다. Chl-a의 경우 8.1 ~ 15.1 mg/m3이고 TOC는 1.8 ~ 2.1 mg/L의 범위였다. 강상 지점에서 BOD 1.1 ~ 1.8 mg/L, COD 2.9 ~ 4.3 mg/L이고 SS는
4.0 ~ 11.4 mg/L, T-N은 2.126 ~ 2.932 mg/L, T-P는 0.041 ~ 0.092 mg/L였다. Chl-a의 범위 는 11.7
~ 25.1 mg/m3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TOC는 2.1 ~ 2.7 mg/L 범위였다. 경안천5A에서는 BOD 2.2 ~ 3.2 mg/L, COD 5.2 ~ 6.7
mg/L, SS 9.3 ~ 15.5 mg/L이고 TOC 는 2.9 ~ 4.5 mg/L, T-N은 4.393 ~ 5.492 mg/L, T-P는 0.048
~ 0.223 mg/L, Chl-a는 11.2 ~ 23.3 mg/m3이었다. 특히 경안 천은 T-P는 2012년부터 점차 낮아져 0.1 mg/L이하로 나타 나 수질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안천5A를 제외
하고 팔당댐을 비롯한 3개 지점의 연평균 BOD농도는 생 활환경기준 “좋음(Ib)” 수준인 2 mg/L 이내를 유지하고 안 정적인 수질을 보이고 있다.
3.4.2. 유입부하량 변화
팔당호로 유입되는 남한강과 북한강, 경안천의 BOD, TN, TP 유입부하량은 팔당호에 인접한 지점의 유량과 수질 자 료를 이용하여야 하나 이를 만족하는
경우가 없어 가능한 인근 수질 자료와 유량자료를 이용하였다. 남한강은 유량은 2014년 이전까지 여주대교, 2014년 이후에는 이포보이고 수질은 강상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북한강은 청평댐 방 류량과 삼봉리 지점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경안천은 경안교의 유량과 경안천5 지점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유 입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포보 건설 이전 여주대교 지점의 유량은 양화천과 복하천, 흑천 등 유입 지천이 포함되지 않았으나 두지점의 유량을 비교할
수 있는 2014년과 2015 년으로 볼 때 이들 지천 유량이 전체 유량의 0.8 ~ 5.4 % 정도로 판단된다. 따라서 남한강은 여주북한강은 청평댐
하 류 묵현천과 벽계천 등에 의한 유량을 포함하지 못하였기 에 대략적인 평균 부하량으로 비교한 것이다. BOD 유입부 하량은 2000년 56,565
kg/day에서 2005년 47,539 kg/day, 2010년 44,993 kg/day이고, 2015년은 20,837 kg/day였으며, TN 유입부하량은
2000년 78,576 kg/day, 2005년 126,949 kg/day, 2010년 93,367 kg/day, 2015년은 29,796 kg/day였다.
TP 유입부하량은 2000년 1,756 kg/day, 2005년 2,700 kg/day, 2010년 1,969 kg/day, 2015년은 356 kg/day였다(Table
16).
Table 16. The change of annual flow rate, water quality, and inflow load in the Lake Paldang
Year
|
Discharge (m3/s)
|
Concentration (mg/L)
|
Inflow loading (kg/day)
|
BOD
|
TN
|
TP
|
BOD
|
TN
|
TP
|
2000
|
411.9
|
9.5
|
13.210
|
0.606
|
56,565
|
78,576
|
1,756
|
2001
|
321.4
|
9.2
|
13.540
|
0.610
|
62,645
|
89,502
|
3,221
|
2002
|
462.9
|
11.4
|
16.041
|
0.540
|
76,145
|
11,258
|
3,181
|
2003
|
913.1
|
7.0
|
14.031
|
0.503
|
111,296
|
218,681
|
7,898
|
2004
|
623.2
|
7.8
|
11.938
|
0.486
|
88,357
|
128,591
|
3,721
|
2005
|
512.1
|
5.6
|
12.754
|
0.389
|
47,539
|
126,949
|
2,700
|
2006
|
687.3
|
8.0
|
10.765
|
0.403
|
85,014
|
134,629
|
4,113
|
2007
|
609.5
|
6.9
|
10.449
|
0.283
|
62,846
|
123,390
|
3,942
|
2008
|
638.5
|
6.1
|
9.199
|
0.257
|
77,789
|
120,550
|
3,210
|
2009
|
442.4
|
7.0
|
9.177
|
0.259
|
54,077
|
70,744
|
1,772
|
2010
|
486.4
|
5.3
|
9.255
|
0.236
|
44,993
|
93,367
|
1,969
|
2011
|
819.4
|
4.1
|
9.882
|
0.216
|
63,883
|
172,022
|
5,145
|
2012
|
461.9
|
5.1
|
9.373
|
0.122
|
51,864
|
99,273
|
2,093
|
2013
|
553.4
|
4.1
|
8.619
|
0.123
|
48,669
|
101,731
|
2,700
|
2014
|
233.3
|
5.5
|
8.865
|
0.116
|
26,711
|
42,984
|
600
|
2015
|
160.3
|
5.4
|
8.860
|
0.106
|
20,837
|
29,796
|
356
|
Average
|
521.1
|
6.7
|
10.997
|
0.328
|
61,202
|
109,127
|
3,024
|
부하량은 유량의 영향을 받으므로 유량의 변화에 따른 부하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2015년은 가뭄의 영향으로 유량 이 160.3 m3/s로 2000년 411.9 m3/s에 비하여 61 % 감소하 였으나 유입부하량은 2000년에 비하여 2015년에 BOD는 70 %, TN은 71 %, TP는 89 %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TP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유입 하천별 유입부하 량은 Table 17에서와 같이 경안천의 유입부하량이 2006년 부터 감소하였는데 유량에 비하여 수질 농도의 감소 영향 이 큰 것으로 수질관리 개선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 된다. 2006년부터 부하량 기여율은 BOD의 경우 남한강이 57 ~ 71 %, 북한강은 23 ~ 38 %, 경안천이 3 ~ 7 % 범위였 다.
TN 부하량은 남한강 52 ~ 72 %, 북한강 24 ~ 41 %, 경 안천 3 ~ 7 %의 범위이고, TP 부하량은 남한강 61 ~ 80 %, 북한강
17 ~ 30 %, 경안천 2 ~ 7 %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북 한강에 비하여 남한강의 유입부하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Table 17).
Table 17. Comparison of annual discharge and inflow load by river
Year
|
Discharge (m3/s)
|
BOD (kg/day)
|
T-N (kg/day)
|
T-P (kg/day)
|
Namhan
|
Bukhan
|
Gyeongan
|
Namhan
|
Bukhan
|
Gyeongan
|
Namhan
|
Bukhan
|
Gyeongan
|
Namhan
|
Bukhan
|
Gyeongan
|
2000
|
177.3
|
209.3
|
25.3
|
25,189
|
19,610
|
11,765
|
39,106
|
26,922
|
12,547
|
727
|
356
|
673
|
2001
|
105.5
|
160.2
|
55.8
|
14,755
|
19,368
|
28,521
|
23,259
|
25,446
|
40,796
|
448
|
485
|
2,288
|
2002
|
245.0
|
188.0
|
30.0
|
30,766
|
17,371
|
28,008
|
56,603
|
28,288
|
30,367
|
1,575
|
534
|
1,072
|
2003
|
582.1
|
289.5
|
41.5
|
67,594
|
27,793
|
15,910
|
141,627
|
47,469
|
29,584
|
5,468
|
1,173
|
1,256
|
2004
|
365.8
|
224.9
|
32.5
|
53,950
|
21,438
|
12,969
|
77,570
|
30,193
|
20,829
|
2,054
|
594
|
1,073
|
2005
|
286.5
|
194.0
|
31.6
|
24,572
|
15,554
|
7,412
|
71,211
|
36,785
|
18,952
|
1,645
|
382
|
674
|
2006
|
426.4
|
243.0
|
17.8
|
55,633
|
21,745
|
7,636
|
86,131
|
40,881
|
7,617
|
2,846
|
832
|
436
|
2007
|
374.5
|
222.2
|
12.9
|
43,577
|
16,385
|
2,883
|
82,243
|
36,203
|
4,943
|
2,904
|
875
|
163
|
2008
|
422.3
|
201.2
|
14.9
|
55,292
|
18,146
|
4,351
|
86,859
|
28,925
|
4,766
|
2,297
|
737
|
176
|
2009
|
211.0
|
218.2
|
13.2
|
30,944
|
19,440
|
3,693
|
36,976
|
28,690
|
5,078
|
1,073
|
531
|
168
|
2010
|
258.0
|
218.0
|
10.4
|
26,495
|
16,100
|
2,399
|
56,470
|
33,376
|
3,521
|
1,352
|
470
|
147
|
2011
|
479.2
|
325.2
|
14.9
|
43,356
|
18,393
|
2,133
|
109,896
|
57,180
|
4,946
|
4,006
|
967
|
172
|
2012
|
281.5
|
169.8
|
10.6
|
32,722
|
17,328
|
1,815
|
66,283
|
30,002
|
2,988
|
1,655
|
386
|
52
|
2013
|
272.3
|
271.5
|
9.6
|
28,430
|
18,613
|
1,626
|
58,751
|
40,171
|
2,810
|
1,980
|
674
|
46
|
2014
|
136.9 (135.8)
|
93.1
|
3.3
|
18,784 (18,833)
|
7,176
|
702
|
27,715 (27,987)
|
13,810
|
1,187
|
475 (481)
|
101
|
19
|
2015
|
85.2 (80.6)
|
71.4
|
3.8
|
13,931 (13,483)
|
6,133
|
773
|
17,199 (16,192)
|
11,171
|
1,426
|
254 (244)
|
82
|
20
|
Average
|
294.0
|
206.2
|
20.5
|
35,346
|
17,537
|
8,287
|
64,806
|
32,220
|
12,022
|
1,922
|
574
|
527
|
3.4.3. 조류 변화
조류 발생은 조류경보제로 운영되는 지점을 대상으로 살 펴보았다. 대상 지점은 2011년까지 팔당댐앞과 남한강 월계 사앞(2016년부터 “부용사앞”으로
변경) 두 개 지점이었으나 2011년에 북한강 삼봉리 부근에서 조류가 대발생하면서 2012년부터 삼봉리 지점이 추가되어 3개 지점이다. 2015 년까지
조류경보제는 Chl-a 농도와 유해남조류(Anabaena, Microcystis, Aphanizomenon, Oscillatoria 4속) 개체수에 따 라 발령단계가 “조류주의보”, “조류경보”, “조류대발생”으로 구분되었다. 팔당호에서 발령된 단계는 모두 “주의보” 수준 이었다.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세포수와 총세포수 등 군집 변화를 요약한 결과는 Table 18과 같다. 2002년에서 2004 년, 2007년과 2008년에 유해남조류와 총남조류 세포수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어 정리된 자료를 근거로 팔당댐앞
지 점의 식물플랑크톤 총세포수를 보면 2007년에 174,073 cells/mL로 가장 적었고 2010년에 466,050 cells/mL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2010년과 2015년은 “주의보”가 각각 42일, 43일간 발령되었다(ME, 2016a). 총세포수 중 유해남조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해는 2008년이며 25 %를 차지 하였고, 2014년과 2015년은 각각 11.6 %와
18.5 %를 차지하 였다. 월계사앞 지점의 식물플랑크톤 총세포수는 2002년에 234,663 cells/mL로 가장 적었으며, 2015년에 567,056
cells/mL로 가장 많았고 총세포수 중에 유해남조류가 차지 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해는 2008년으로 9.7 %이고 다음이 2015년 2.4 %로
유해남조류의 출현 비율은 다른 지점에 비 하여 높지 않다. 삼봉리 지점은 4년간의 결과로만 볼 때 식물플랑크톤 총세포수는 102,757 ~ 208,796
cells/mL로 상 기 두 개의 지점과 비교할 때 많지 않지만 총남조류 중 유 해남조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2015년 8.5 %로 가장 높게 나 타났다.
식물플랑크톤의 발생량이 많고 유해남조류가 많이 출현하는 2008년, 2010년, 2014년과 2015년은 기상 및 수 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여름철 강수 영향으 로 일평균 25°C 연속일수와 무강수 일수가 길었던 해였으 며 이로 인하여 체류시간 증가 및 기온이 높아진 요인 때 문으로 해석된다.
Table 18. Variation of phytoplankton taxa with harmful cyanobacteria in 2002 ~ 2015 (unit : cells/mL)
Site
|
Classification
|
Year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Paldangdam-ap
|
Diatom
|
95,742
|
179,613
|
230,645
|
188,896
|
150,391
|
92,750
|
97,366
|
201,939
|
311,761
|
273,115
|
190,830
|
171,570
|
107,490
|
138,885
|
Green algae
|
31,559
|
13,530
|
37,812
|
50,895
|
34,567
|
32,496
|
42,711
|
32,326
|
45,470
|
19,907
|
19,820
|
19,230
|
12,240
|
25,069
|
Cyanobacteria
|
27,724
|
13,193
|
94,357
|
41,292
|
37,888
|
-1) |
-1) |
23,472
|
67,378
|
17,175
|
12,702
|
8,255
|
36,569
|
72,215
|
(Harmful cyano.)
|
-2) |
-2) |
-2) |
25,289
|
26,823
|
9,151
|
54,365
|
11,688
|
21,103
|
11,425
|
10,424
|
2,644
|
22,439
|
50,032
|
Others
|
34,632
|
56,420
|
88,834
|
60,259
|
34,245
|
39,676
|
23,273
|
17,863
|
41,706
|
36,713
|
41,270
|
31,980
|
36,980
|
33,960
|
Total
|
189,657
|
262,756
|
451,648
|
341,342
|
257,091
|
174,073
|
217,715
|
275,600
|
466,315
|
346,910
|
264,622
|
231,035
|
193,279
|
270,129
|
Wolgyesa-ap
|
Diatom
|
139,732
|
215,768
|
257,146
|
210,290
|
205,122
|
177,562
|
195,651
|
262,018
|
216,546
|
266,722
|
224,910
|
202,660
|
256,790
|
253,935
|
Green algae
|
48,546
|
14,820
|
55,291
|
60,743
|
63,640
|
37,912
|
115,876
|
79,889
|
36,724
|
20,628
|
14,250
|
18,660
|
41,900
|
46,458
|
Cyanobacteria
|
17,930
|
12,465
|
109,860
|
26,845
|
53,683
|
-1) |
-1) |
34,305
|
66,418
|
20,715
|
7,905
|
7,916
|
35,531
|
210,808
|
(Harmful cyano.)
|
-2) |
-2) |
-2) |
3,254
|
5,002
|
3,401
|
39,078
|
3,235
|
4,010
|
2,480
|
175
|
3,719
|
328
|
13,685
|
Others
|
28,455
|
53,000
|
87,368
|
72,253
|
39,498
|
50,171
|
50,514
|
40,676
|
43,593
|
45,883
|
42,450
|
38,680
|
66,240
|
55,855
|
Total
|
234,663
|
296,053
|
509,665
|
370,131
|
361,943
|
269,046
|
401,119
|
416,888
|
363,281
|
353,948
|
289,515
|
267,916
|
400,461
|
567,056
|
Sambongri
|
Diatom
|
-
|
-
|
-
|
-
|
-
|
-
|
-
|
-
|
-
|
-
|
156,731
|
80,500
|
74,410
|
81,534
|
Green algae
|
-
|
-
|
-
|
-
|
-
|
-
|
-
|
-
|
-
|
-
|
8,390
|
4,130
|
5,530
|
23,255
|
Cyanobacteria
|
-
|
-
|
-
|
-
|
-
|
-
|
-
|
-
|
-
|
-
|
16,605
|
3,787
|
8,798
|
24,153
|
(Harmful cyano.)
|
-
|
-
|
-
|
-
|
-
|
-
|
-
|
-
|
-
|
-
|
15,285
|
1,777
|
8,358
|
13,298
|
Others
|
-
|
-
|
-
|
-
|
-
|
-
|
-
|
-
|
-
|
-
|
27,070
|
14,340
|
24,420
|
28,137
|
Total
|
-
|
-
|
-
|
-
|
-
|
-
|
-
|
-
|
-
|
-
|
208,796
|
102,757
|
113,158
|
157,079
|
4. Conclusion
팔당호 유역환경과 물환경 변화를 종합적으로 조사 평가 하고자 다양한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를 중심 으로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기상·수문,
오염원, 수질 및 조류 발생으로 구분하여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평균 기온은 11.3 ~ 12.9°C의 범위이며 최근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12.5 °C, 12.9 °C로 높게 나타났다. 일평균 25
°C 이상 지속일수가 가장 많은 해는 2012년으로 29일간 지속되었으며 무강수 연속일수도 가장 길었다. 무강수 연속 일수는 2014년(26일),
2008년(25일)에도 25일 이상이었다. 2012년, 2014년과 2015년은 25 °C 지속일수와 무강수 연속 일수가 모두 길었다. 연간 강수량은
2014년과 2015년에 각 각 790.1 mm와 801.5 mm로 가장 적었으며 연평균 체류시 간이 2015년 15.5일로 가장 길었다.
팔당호 유역의 오염원은 인구의 경우 2000년에 비하여 2015년에 1.5배 증가하고 오수발생량도 1.6배 증가하였다. 가축분뇨 발생량은 2000년
3,811 m3/일에서 2015년 3,165 m3/일로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폐수발생량은 2000년 71,133 m3/일에서 2015년 107,950 m3/일로 1.5배 증가하였다. 반면 에 취수량은 1.14배 정도 증가하는 정도였다.
팔당호 수질변화는 대표지점인 댐앞 지점에서 BOD는 1.1 ~ 1.5 mg/L의 범위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 운데 SS는 3.1 ~ 15.0
mg/L, T-N 1.775 ~ 2.350 mg/L, T-P 0.029~0.058 mg/L, Chl-a 14.7~23.3 mg/m3 범위였다. 팔당 호 연평균 BOD농도는 생활환경기준 “좋음(Ib)” 수준인 2 mg/L 이내를 유지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수질을 보이고 있 다. 유입하천
부하량의 변화가 큰 경안천은 유량 변화에 비하여 수질농도 감소로 유입부하량 기여율이 2006년부터 11 %로 낮아지면서 2015년에는 BOD, T-N,
T-P 모두 5 % 이내로 감소하였다. 부하량 기여율은 BOD가 남한강 57 ~ 71 %, 북한강 23 ~ 38 %, 경안천 3 ~ 9% 범위였다.
TP는 남 한강 61 ~ 80 %, 북한강 17 ~ 30 %, 경안천 2 ~ 11 %였다. 조 류 발생은 팔당댐앞 지점에서 총세포수로 174,073
~ 451,648 cells/mL의 범위였으며 유해남조류 발생은 2008년에 총세 포수 중 25 %로 가장 많았고 2014년과 2015년에도 각각
11.6 %와 18.5 %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발생량이 많고 유해남조류가 많이 출현하는 경우는 25 °C 이상 연속 일수와 무강수 연속일수
등과 같은 기후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 뭄과 기온 상승은 조류 대발생 뿐만 아니라 유해남조류 발
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므로 지속적인 오염원 관리로 발생 가능성과 조류발생 취약지점에서의 확산을 최소화하는 노 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팔당호 물환경보전 정책의 효과분석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문에서 획득된 다양한 자 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분석을 적용한 수질변화
요인 분석 및 관리방안 연구를 좀 더 심도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NIER-2017-01-01-079).
References
Han-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HERC), 2015, [Korean Literature], A Comprehensive
study on water quality control of Paldang watershed, Han-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Han-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HERC), 2016, [Korean Literature], White paper
of algae in Lake Paldang, Han-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8, http://data.kma.go.kr (accessed June
2018), Meterological data open portal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a, [Korean Literature], Annual report on algae occurrence
and response in 2016,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b, Special measures area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quality of water sources in Lake Paldang,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8, http://water.nier.go.kr (accessed June 2018),
Water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1~2016, Statistics of waterworks,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1989, [Korean Literature], Modeling
water quality of Pal-Dang reservoi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Meterological Sciences (NIMS), 2018, [Korean Literature], Climate
change for 100 years in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Meterological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