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철
(Bomchul Kim)
1†iD
공동수
(Dongsoo Kong)
2†iD
-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University)
-
경기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Department of Bioconvergence, Kyonggi University)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Eutrophication, Trophic state classification, Trophic state index, TSIKO, Water quality.
1. Introduction
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데 주로 적용되고 있는 항목은 조류증식의 잠재적 요인인 영양물질(인, 질소)과 조류 현존 량(Chlorophyll a, Chl.a) 및 그 결과와 관련된 것(투명도)으 로 구분되며, 영양상태의 분류는 항목별 단위기반의 등급기 준치 또는 이를 변환한 무단위의 영양상태지수(trophic
state index, TSI)에 의한다(Kong and Kim, 2019).
Carlson (1977)은 투명도(Secchi depth, SD)를 기반으로 TSI를 고안한 후 투명도에 대한 관계로부터 Chl.a와 총인 (total phosphorus, TP)의 TSI를 도출하였다. Carlson의 TSI가 SD 기반에서 다른 항목(Chl.a, TP)으로 확장되었다는 것은 SD가 영양상태를 대변하는 주요 항목이라는 것과 아울러 SD와 다른 항목 간에 높은 상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국내 호소는 체류시간이 짧은 인공호가 대부분이어 서 조류현존량에 대한 영양물질 농도 및 SD의 상관성이 외 국의 자연호와는 다르다(Kim et al., 1988; Kim et al., 2001; Kong, 1997). 특히 SD는 다른 영양상태 지표항목과의 상관 성이 낮은데, Kim et al. (1988)은 한강수계 인공호에서 SD 의 TSI 값이 다른 지표항목의 TSI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 으며 이는 무기현탁물이 유입하는 경우 총인과 식물플랑크
톤의 증가 없이 SD가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추정하였다.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 는 체류시간이 짧고 외부기원 유기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 우 리나라 호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SD를 제외하고 대신에 COD를 지표항목으로 반영한 지수이다(NIER, 2006). 아직까 지 이 지수에 대한 개발 과정과 구체적인 사항이 학술적으로 보고되어 검증된 바는 없으나, 동 지수는 2013년부터 환경부 고시로 지정된
주요 호소의 영양상태에 대한 평가에 적용되 고 있고 최근에는 이를 적용한 연구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Ahn et al., 2013; Kim et al., 2012; Park et al., 2018).
종합TSIKO는 각 지표항목(COD, Chl.a, TP)에 비율 가중치 를 곱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산정되는데, 이때 COD 항목 의 가중치를 다른 각 항목의 그것에 비해 2배 더 큰 값을 부
여하고 있다. 즉 TSIKO는 다른 지표항목(Chl.a, TP)에 비해 외부기원(allochthonous) 또는 내부기원(autochthonous)의 유 기물 양을 상대적으로 크게 반영하고 있는 지수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TSIKO는 유기물 양에 중점을 둔 지표이므로 관련 항목인 COD가 수중의 유기물 양을 적정하게 대변할 수 있 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하 고 있는 망간법 COD 측정에서 KMnO4의 낮은 산화력이 지 적되어 왔는데, Kim, Jung et al. (2007)은 2003년 6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전국 내륙의 8개 호소와 4대강 53개 하천지 점에서 측정된 총유기탄소 대비 CODMn의 탄소량은 61 %였 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의 호소 생활 환경기준 항목에서 CODMn은 2016년부터 적용이 배제되었 다. 최근 Kong (2019)이 분석한 환경부 물환경측정망 대상 66개 담수호의 2013 ~ 2017년 간 평균자료에서 이론적 탄소 성 BOD(carbonaceous biological
oxygen demand, CBOD)에 대한 CODMn의 비율은 52 %에 불과하였다.
CODMn이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총량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TSIKO의 지표항목으로 반영된 것 은 TSIKO가 개발되던 2004 ~ 2006년 당시의 제도적인 여건 에서 비롯되었다. 즉 TSIKO는 환경부에서 지정한 주요호소의 영양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제도적인 활용을 목적으로 개발 된 지수인데, 환경부 물환경측정망의 대상 호소에서 TOC가
측정된 것은 2008년부터이고 호소생활환경기준으로 TOC가 도입된 것은 2012년이다. 따라서 2006년 당시 호소의 영양 상태 평가에 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그리고 가용할 자료가 축적된 유기물 항목인 COD가 적용된 것이다.
그러나 그간에 여건이 바뀌어 환경부 물환경측정망 운영을 통해 2008년부터 TOC 자료가 축적된 상태이고 우리나라의 호소 생활환경기준 항목에서 TOC가
COD를 대체하였으므 로, 유기물에 대한 적정한 반영 그 자체를 위해서 뿐만 아니 라 제도적인 활용을 위해서도 TOC를 반영한 TSIKO를 개발 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CODMn과 TOC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TOC를 인자로 한 TSIKO(TOC)를 도출하고 다른 지수의 값과 비교·분석하여 특이사항을 분석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2. Materials and Methods
2.2. 통계처리
항목 간 TSI의 절대적 차이는 식 (1)의 변수 간 평균제곱근편 차(root mean square deviation, RMSD)를 비교대상 변수(yi)의 범위로 나누어 표준화한 식 (2)의 NRMSD (normalized RMSD) 로 평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차이의 방향성과 그 정도는 식 (3) 의 평균편차(mean deviation, MD)를 표준화한 식 (4)의 NMD (normalized MD)로 평가하였다.
항목 별 TSI 간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고 쌍체 양측 t 검정(two tailed paired t-test)으로 그 차이에 대한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TSIKO의 이력 및 특성
TSIKO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 사연구-부영영화조사 및 평가체계 연구-”에서 개발된 지수이 다(NIER, 2006). 2013년에 TSIKO는 환경부고시 제2013-134 호(2013.11.5.)의 「물환경 목표기준 평가규정」 별표로 포함되 어 물환경 목표기준이 설정된 49개 호소에 대한
부영영화 정 도를 평가하기 위한 공식적인 지수로 지정되었다. TSIKO에 적용되는 수질은 호수 전층의 연평균 COD, Chl.a 및 TP 농 도이다.
지수식은 환경부 호소수질측정망 대상 호소와 한국농어촌 공사의 수질측정망 대상 농업용저수지를 포함한 500여개 호 소의 2000 ~ 2002년간 3
~ 10월의 자료에서 각 항목별로 측 정치의 25 백분위수는 40으로, 75 백분위수는 60이 되도록 계수를 조정한 것이다(식 (5) ~ (7)). 식 (7)의 종합TSIKO는 COD에 50 %, Chl.a와 TP는 각각 25 %의 가중치를 부여하 여 합산한 것이며(식 (8)), 영양상태의 분류는 종합TSIKO가 30미만은 빈영양, 30 ~ 50미만은 중영양, 50 ~ 70미만은 부영 양, 70이상은 과영양으로 정하고 있다.
종합
Carlson (1977)의 TSI와 Aizaki et al. (1981)의 TSIm은 각 각 투명도와 Chl.a에 대한 TSI의 기본식을 고안하고 항목 간 회귀식을 기본식에 대입하여 다른 항목의 TSI를 도출하였으 나 TSIKO는 각 항목별 분포로부터 독립적으로 산출된 것이 다. 이는 회귀식의 적용 시 문제점으로 지적된 “상관성이 낮 은 비선형 관계에서 대수치 변환여부에
따른 적합도의 차이, 이례적인 수치 또는 특정 구간에 측정치가 몰리는 경우 회귀 선의 왜곡(Kong and Kim, 2019)”을 피한 것으로서 합리적인 선택이었다고 본다.
3.2. TSIKO(TOC)의 도출 및 적용성
TSIKO의 개발 당시와 현재는 10여 년의 시차가 있기 때문 에 여러 여건의 변화로 인해 각 시기의 수질분포가 서로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무시하고
NIER (2006)의 방식대로 현 시점의 TOC 분포로 영양상태를 분류한다면 이는 기존의 COD, Chl.a 및 TP에 의한 TSIKO의 분류체계와는 다른 경향 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지수의 등급체계를 일관성 있 게 유지하려면 TOC와 COD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계수 값
을 대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1은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2013 ~ 2017년간 전국 81개 호소 별 평균 TOC와 COD의 관계 및 관련 회귀식을 나 타낸 것이다. TOC
측정법 중 고온산화방식은 염분 간섭을 받 지 않으나 UV산화방식에서는 염분도가 증가할 때 TOC 산화 율이 뚜렷하게 감소하며(Jung et al., 2016; Kim, Kim et al., 2007), 그 결과 UV산화방식으로 측정되고 있는 환경부 측정 망의 기수호에서는 TOC 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값을 보이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Kong, 2019).
Fig. 1. Relationship between TOC and CODMnbased on the average data for the whole layer of 81 lakes in Korea during the period 2013-2017 (Closed circles represents data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above 700μS cm-1and COD/TOC ratio above 2).
Kong (2019)은 유엔 식량농업기구의 기준(FAO, 1992)을 근 거로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가 700 μS cm-1을 넘는 호수를 기수호로 분류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ng (2019)의 기준에 따라 기수호를 분류하였고 그 중 COD/TOC 비가 2이상인 호수는 Fig. 1의 회귀식에서 제외하였다. 금호호, 남양호, 영암호는 평균 EC가 1,000 ~ 3,000 μS cm-1 범위로서 FAO (1992)의 기준으로 약염(slightly saline: 0.7 ~ 2 dS cm-1 = 700 ~ 2,000 μS cm-1) 또는 약염에 가까운 중염(moderately saline: 2,000 ~ 10,000 μS cm-1) 수준의 기수호였는데, 이들 호 수에 대한 TOC는 모두 고온산화방식으로 측정되고 있었고 COD/TOC 비가 2미만이었으므로 해당 호수의 자료는
회귀식 에 포함하였다.
평균 COD/TOC 비가 2이상인 호수는 그 값이 경계선상에 있는 청평호(COD/TOC 2.01)와 보문호(COD/TOC 2.06)를 제 외하면 모두
기수호였다. 이중 아산호, 대호, 간월호는 평균 EC 가 800 ~ 2,600 μS cm-1 범위로 약염 또는 약염에 가까운 중염 수준이었는데, 이들 호수에 대한 TOC는 현재 고온산화방식으 로 측정되고 있지만 COD/TOC 비가 2보다
약간 큰 수준(평균 2.1 ~ 2.6)이었다. 그 외 호소의 평균 EC는 4,600 ~ 42,000 μS cm-1로 중염에서 극고염(very high saline: 25,000 ~ 45,000 μS cm-1)에 이르는 수준이었는데 평균 COD/TOC 비가 2.7 ~ 5.5의 범위를 보였고 부남호를 제외하면 모두 UV 산화법으로 측정되 고 있었다. UV
산화법으로 TOC가 측정되고 있는 동해안의 8개 석호에서 COD/TOC 비는 약 4에 달했다.
EC가 700 μS cm-1이상이고 COD/TOC 농도비가 2이상인 경우를 제외한 69개 호소의 자료로부터 도출된 TOC와 COD 의 관계는 식 (9)와 같다.
식 (9)를 식 (5)의 우항에 대입하면 TOC에 대한 TSIKO는 식 (10)이 된다.
환경부 호소수질측정망 81개 호소에서 변수 간 차이의 정 도를 나타내는 NRMSD와 차이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NMD 로 볼 때 TSIKO(Chl)에 비해 TSIKO(TOC)는 전반적으로 낮았 고 특히 기수호에서 그 경향이 뚜렷하였으며(Fig. 2a), 4분면 편차분석에서도 편포하는 정도가 컸다(Fig. 2b).
Fig. 2. Fitness of TSIKO(TOC) to TSIKO(Chl) and quadrant analysis for deviation of TSIKO.
기수호 중 COD/TOC 비가 2이상에 해당하는 12개 호수를 제외한 69개 호수만의 자료를 가지고 검정할 때 TSIKO(TOC) 는 TSIKO(COD)에 비해 TSIKO(Chl) 또는 TSIKO(TP)와의 상관 성이 다소 낮았는데(Table 1), 이는 난분해성 유기물의 영향 이 TSIKO(TOC)에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즉 TSIKO의 적용 목적이 유기물의 양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면 TSIKO(Chl)로 반영되지 않는 부분을 더욱 크게 포함하고 있 는 TSIKO(TOC)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결정계수(determination coefficient)로 비교할 때 담수호의 TSIKO(Chl)은 TSIKO(COD)에 83 %의 설명력을 갖는 반면, TSIKO(TOC)에 대한 설명력은 68 %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설 명력의 차이는 낮은 산화율을 보이는 망간법 COD에서 반영 하지 못하는 부분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1.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pper right part of the table) and two tailedp-values of pairedt-test (lower left part) between the TSIs of 69 lakes (66 freshwater lakes and 3 brackish lakes with COD/TOC ratio below 2) in Korea
|
TSIKO (TP)
|
TSIKO (Chl)
|
TSIKO (COD)
|
TSIKO (TOC)
|
TSIKO |
|
TSIKO (TP)
|
|
0.86
|
0.85
|
0.81
|
0.93
|
TSIKO (Chl)
|
0.41
|
|
0.91
|
0.83
|
0.96
|
TSIKO (COD)
|
0.10
|
0.00
|
|
0.95
|
0.98
|
TSIKO (TOC)
|
0.27
|
0.07
|
0.44
|
|
0.92
|
TSIKO |
0.38
|
0.01
|
0.01
|
0.39
|
|
각 지수의 차이에 대한 양측 쌍체 t-검정에서 TSIKO(COD) 는 TSIKO(Chl)과 매우 유의한 수준(p < 0.01)의 차이를 보였 다. TSIKO(TOC)는 TSIKO(Chl) 등 다른 항목과 유의적인 차 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 즉 대응 값의 차에 변이가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기수호 중 COD/TOC 비가 2이상에 해당하는 12개 호수에 서 항목 간 영양상태의 판정결과는 대부분 큰 차이가 없었으 나 TSIKO(TOC)의 결과만이 영양상태가 두드러지게 과소평 가되는 결과를 보였다(Table 2). 이러한 호수에서는 TOC에 대한 시험방식을 개선하거나 그 이전에는 TSIKO(TOC) 대신 기존의 TSIKO(COD)로 평가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Table 2. Trophic state classification of Brackish lakes by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
Lakes and reservoirs
|
EC
|
TP
|
Chl.a |
COD
|
TOC
|
Trophic state index* |
|
μS cm-1 |
—μg L-1—
|
—mg L-1—
|
TP
|
Chl
|
COD
|
TOC
|
|
Yongrang
|
41,350
|
45
|
5.2
|
4.1
|
1.3
|
E
|
M
|
M
|
O
|
Cheongcho
|
42,020
|
53
|
7.6
|
3.7
|
1.4
|
E
|
E
|
E
|
O
|
Songji
|
15,342
|
39
|
9.9
|
7.0
|
1.4
|
E
|
E
|
E
|
O
|
Hwajinpo
|
18,952
|
56
|
15.7
|
7.9
|
1.4
|
E
|
E
|
E
|
O
|
Gyongpo
|
34,061
|
84
|
19.2
|
5.5
|
1.4
|
E
|
E
|
E
|
M
|
Maeho
|
9,973
|
60
|
21.9
|
7.5
|
1.9
|
E
|
E
|
E
|
M
|
Hyangho
|
9,575
|
77
|
19.9
|
8.6
|
2.1
|
E
|
H
|
H
|
E
|
Daeho
|
2,605
|
79
|
32.4
|
10.2
|
4.5
|
E
|
H
|
H
|
E
|
Bunam
|
4,666
|
75
|
41.7
|
13.2
|
3.4
|
H
|
H
|
H
|
E
|
Asan
|
861
|
116
|
56.8
|
10.5
|
5.0
|
H
|
H
|
H
|
E
|
Ganwol
|
2,388
|
189
|
58.6
|
13.7
|
5.3
|
H
|
H
|
H
|
E
|
Gwangpo
|
4,682
|
195
|
96.0
|
11.3
|
3.8
|
H
|
H
|
H
|
E
|
4. Conclusion
우리나라 호소환경기준의 유기물 항목이 산화력이 낮은 CODMn에서 TOC로 전환된 점과 아울러 그간 TOC 자료가 충분히 축적된 점을 반영하여 TSIKO(TOC)를 개발하여 이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TSIKO(COD)를 대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환경부의 물환경측정망 대상의 81개 호소 중 전 기전도도가 700 μS cm-1미만이고 COD/TOC 비가 2미만인 69개 호수의 2013 ~ 2017년 전층의 평균수질을 기반으로 CODMn과 TOC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TOC를 인자로 하는 한 국형 부영양화지수인 TSIKO(TOC)를 도출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담수호의 TSIKO(Chl)의 TSIKO(TOC)에 대한 설명력은 TSIKO (COD)에 대한 설명력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는데 이러한 차이 는 망간법 COD에서 측정되지 못하는 난분해성 유기물량을 TOC가 반영하는데 따른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TSIKO(COD) 를 TSIKO(TOC)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TSIKO(TOC)는 염분도가 높은 조건에서 UV산화법 에 의해 TOC가 측정된 경우에는 다른 항목에 의한 지수 값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TSIKO(TOC)의 적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TSIKO(TOC)는 우리나라 호수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 수의 개발에 앞서 검토된 잠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TSIKO의 개발과정과 적용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과 아울 러 최근 여건을 반영한 유기물 지표의 개선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본 연구는 후속 연구에서
유의해야 할 사 항(유기물 항목의 시험법 문제, 지표 항목 간 상관성)을 제시 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환경부의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 평가 규 정 개정안 마련 연구 (2018)” 과제에서 얻어진 자료와 결과 를 보완한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Appendices
Appendix 1. Annual average water quality and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 at the whole layer of 81 lakes in Korea during the period 2013-2017
Lakes and reservoirs
|
EC
|
TP
|
Chl.a |
COD
|
TOC
|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
|
|
μS cm-1 |
—μg L-1—
|
—mg L-1—
|
TP
|
Chl
|
COD
|
TOC
|
|
Paro
|
파로호
|
111
|
10
|
1.6
|
2.3
|
1.4
|
28
|
20
|
29
|
27
|
Milyang
|
밀양호
|
50
|
14
|
2.3
|
1.5
|
1.2
|
34
|
26
|
18
|
24
|
Pyonghwa
|
평화의호
|
173
|
17
|
1.9
|
1.6
|
1.1
|
38
|
23
|
19
|
21
|
Gampo
|
감포호
|
98
|
8
|
2.4
|
2.6
|
1.9
|
24
|
27
|
32
|
36
|
Unmun
|
운문호
|
80
|
10
|
2.4
|
2.3
|
1.9
|
27
|
27
|
29
|
35
|
Gucheon
|
구천호
|
63
|
11
|
3.4
|
1.8
|
1.2
|
29
|
33
|
22
|
23
|
Buan
|
부안호
|
79
|
9
|
2.7
|
2.8
|
1.8
|
26
|
29
|
35
|
35
|
Soyang
|
소양호
|
79
|
14
|
2.8
|
2.2
|
1.6
|
34
|
29
|
28
|
31
|
Yongdam
|
용담호
|
128
|
11
|
3.0
|
2.6
|
1.6
|
30
|
30
|
32
|
31
|
Donghwa
|
동화호
|
62
|
11
|
3.6
|
2.5
|
1.5
|
30
|
34
|
32
|
30
|
Sueo
|
수어호
|
93
|
14
|
3.6
|
2.4
|
1.5
|
35
|
34
|
30
|
29
|
Hapcheon
|
합천호
|
111
|
16
|
2.9
|
2.5
|
1.8
|
37
|
30
|
32
|
35
|
Gachang
|
가창호
|
77
|
16
|
4.5
|
2.1
|
1.8
|
37
|
38
|
27
|
35
|
Andong
|
안동호
|
160
|
21
|
2.3
|
2.7
|
2.3
|
42
|
26
|
34
|
41
|
Chungju
|
충주호
|
240
|
23
|
2.7
|
2.4
|
1.4
|
44
|
29
|
30
|
27
|
Isa
|
상사호
|
79
|
14
|
3.9
|
2.7
|
1.5
|
35
|
35
|
33
|
29
|
Damyang
|
담양호
|
68
|
13
|
4.5
|
2.6
|
1.7
|
33
|
38
|
33
|
32
|
Dongbok
|
동복호
|
79
|
11
|
5.2
|
2.9
|
2.0
|
29
|
40
|
35
|
37
|
Gwangdong
|
광동호
|
159
|
17
|
4.5
|
2.3
|
2.0
|
38
|
37
|
30
|
37
|
Dalbag
|
달방호
|
87
|
14
|
3.4
|
3.0
|
2.9
|
35
|
33
|
37
|
48
|
Hoengseong
|
횡성호
|
140
|
19
|
4.4
|
2.3
|
2.0
|
40
|
37
|
30
|
38
|
Jangheung
|
장흥호
|
81
|
20
|
3.3
|
2.8
|
1.9
|
41
|
32
|
35
|
35
|
Boryong
|
보령호
|
127
|
15
|
5.5
|
2.7
|
1.5
|
36
|
41
|
33
|
29
|
Okjeong
|
옥정호
|
134
|
13
|
5.7
|
3.0
|
1.8
|
32
|
41
|
37
|
35
|
Juam
|
주암호
|
81
|
15
|
5.1
|
2.9
|
1.9
|
36
|
40
|
35
|
35
|
Chuncheon
|
춘천호
|
99
|
15
|
5.0
|
3.1
|
1.9
|
36
|
39
|
37
|
36
|
Cheongpyong
|
청평호
|
119
|
17
|
5.6
|
3.2
|
1.6
|
38
|
41
|
38
|
31
|
Daea
|
대아지
|
60
|
15
|
8.4
|
3.2
|
1.7
|
35
|
48
|
38
|
33
|
Daecheong
|
대청호
|
162
|
20
|
6.4
|
3.3
|
2.0
|
41
|
43
|
39
|
38
|
Uiam
|
의암호
|
103
|
18
|
7.5
|
3.3
|
2.1
|
39
|
46
|
39
|
38
|
Angye
|
안계호
|
142
|
14
|
6.4
|
4.4
|
3.4
|
34
|
43
|
47
|
52
|
Goesan
|
괴산호
|
152
|
30
|
4.5
|
3.4
|
2.3
|
48
|
37
|
40
|
41
|
Jinyang
|
진양호
|
112
|
24
|
6.9
|
3.0
|
2.0
|
44
|
45
|
37
|
38
|
Gyongcheon
|
경천지
|
118
|
18
|
7.7
|
3.9
|
2.6
|
39
|
46
|
44
|
44
|
Gunwi
|
군위호
|
114
|
15
|
5.5
|
5.5
|
3.8
|
35
|
41
|
53
|
55
|
Yeongcheon
|
영천호
|
139
|
16
|
6.7
|
4.5
|
3.5
|
37
|
44
|
48
|
53
|
Sayon
|
사연호
|
143
|
25
|
5.6
|
3.9
|
2.8
|
45
|
41
|
44
|
47
|
Daegok
|
대곡호
|
140
|
27
|
4.9
|
4.0
|
2.9
|
47
|
39
|
44
|
48
|
Imha
|
임하호
|
162
|
33
|
3.3
|
4.5
|
4.2
|
50
|
32
|
48
|
58
|
Chungjujo
|
충주조정지
|
241
|
39
|
6.3
|
2.9
|
1.7
|
53
|
43
|
36
|
32
|
Jangseong
|
장성호
|
93
|
21
|
8.3
|
3.6
|
2.2
|
42
|
48
|
42
|
40
|
Yoncho
|
연초호
|
108
|
26
|
7.0
|
4.0
|
2.5
|
46
|
45
|
45
|
43
|
Gwangju
|
광주호
|
88
|
21
|
8.0
|
4.3
|
2.7
|
42
|
47
|
47
|
45
|
Pyongrim
|
평림호
|
120
|
24
|
9.5
|
4.2
|
2.5
|
45
|
50
|
46
|
43
|
Naju
|
나주호
|
92
|
21
|
10.7
|
4.4
|
2.8
|
42
|
52
|
47
|
47
|
Yongrang* |
영랑호
|
41,350
|
45
|
5.2
|
4.1
|
1.3
|
56
|
40
|
46
|
24
|
Daeam
|
대암호
|
260
|
34
|
8.1
|
4.3
|
2.9
|
51
|
47
|
47
|
48
|
Tapjeong
|
탑정지
|
149
|
26
|
10.3
|
4.7
|
2.9
|
46
|
51
|
49
|
48
|
Cheongcho* |
청초호
|
42,020
|
53
|
7.6
|
3.7
|
1.4
|
59
|
46
|
42
|
27
|
Seonam
|
선암호
|
279
|
36
|
8.9
|
4.3
|
3.0
|
52
|
49
|
47
|
49
|
Paldang
|
팔당호
|
221
|
32
|
13.7
|
4.0
|
2.4
|
50
|
56
|
45
|
42
|
Yongam
|
영암호
|
1,448
|
34
|
7.9
|
5.6
|
3.2
|
51
|
47
|
54
|
51
|
Cheonjin
|
천진호
|
177
|
22
|
14.5
|
6.2
|
4.1
|
42
|
57
|
57
|
57
|
Boseong
|
보성호
|
134
|
32
|
19.2
|
4.4
|
2.4
|
50
|
62
|
47
|
43
|
Hoeya
|
회야호
|
325
|
36
|
13.7
|
5.4
|
2.8
|
52
|
56
|
53
|
47
|
Bomun
|
보문호
|
164
|
31
|
17.0
|
6.0
|
2.9
|
49
|
60
|
56
|
48
|
Songji* |
송지호
|
15,342
|
39
|
9.9
|
7.0
|
1.4
|
54
|
51
|
60
|
27
|
Woncheon
|
원천지
|
417
|
50
|
15.4
|
5.0
|
3.7
|
58
|
58
|
51
|
55
|
Gwanggyo
|
광교지
|
155
|
54
|
12.8
|
5.9
|
3.6
|
60
|
55
|
56
|
54
|
Bongpo
|
봉포호
|
224
|
36
|
19.0
|
6.8
|
5.4
|
52
|
62
|
60
|
65
|
Idong
|
이동지
|
284
|
70
|
10.9
|
6.4
|
4.4
|
65
|
52
|
58
|
59
|
Geumho
|
금호호
|
3,128
|
42
|
19.1
|
6.9
|
4.1
|
55
|
62
|
60
|
57
|
Gosam
|
고삼지
|
196
|
63
|
14.3
|
7.0
|
4.7
|
63
|
57
|
60
|
61
|
Hwajinpo* |
화진포호
|
18,952
|
56
|
15.7
|
7.9
|
1.4
|
60
|
58
|
64
|
28
|
Gyongpo* |
경포호
|
34,061
|
84
|
19.2
|
5.5
|
1.4
|
68
|
62
|
53
|
28
|
Yongsan
|
영산호
|
685
|
64
|
19.6
|
6.7
|
3.8
|
63
|
62
|
59
|
55
|
Nakdong
|
낙동강하구
|
407
|
89
|
24.5
|
5.2
|
3.3
|
69
|
66
|
52
|
51
|
Maeho* |
매호
|
9,973
|
60
|
21.9
|
7.5
|
1.9
|
62
|
64
|
62
|
36
|
Hyangho* |
향호
|
9,575
|
77
|
19.9
|
8.6
|
2.1
|
66
|
62
|
66
|
39
|
Junam
|
주남저수지
|
239
|
61
|
31.4
|
9.1
|
6.6
|
62
|
70
|
68
|
71
|
Yedang
|
예당지
|
252
|
70
|
39.6
|
7.5
|
4.5
|
65
|
74
|
62
|
60
|
Geumgang
|
금강하구
|
346
|
74
|
40.3
|
8.0
|
4.5
|
66
|
74
|
64
|
60
|
Daeho* |
대호
|
2,605
|
79
|
32.4
|
10.2
|
4.5
|
67
|
70
|
71
|
60
|
Singal
|
신갈지
|
578
|
123
|
34.0
|
9.9
|
6.2
|
75
|
71
|
70
|
69
|
Bunam* |
부남호
|
4,666
|
75
|
41.7
|
13.2
|
3.4
|
66
|
75
|
78
|
52
|
Asan* |
아산호* |
861
|
116
|
56.8
|
10.5
|
5.0
|
74
|
80
|
72
|
63
|
Namyang
|
남양호
|
1,082
|
135
|
43.3
|
11.7
|
7.2
|
77
|
75
|
74
|
73
|
Seoho
|
서호
|
524
|
116
|
65.9
|
11.1
|
7.3
|
74
|
82
|
73
|
74
|
Sapgyo
|
삽교호
|
639
|
162
|
72.8
|
10.9
|
6.1
|
80
|
84
|
73
|
68
|
Ganwol* |
간월호
|
2,388
|
189
|
58.6
|
13.7
|
5.3
|
83
|
80
|
79
|
64
|
Gwangpo* |
광포호
|
4,682
|
195
|
96.0
|
11.3
|
3.8
|
84
|
89
|
74
|
55
|
References
Ahn D.H., Han S.K., Lim M., 2013,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Geumgang river area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1, No. 3, pp. 13-20

Aizaki M., Otsuki A., Fukushima T., Kawai T., Hosomi M., Muraoka K., 1981, Application
of modified Carlson's trophic state index to Japanese lakes and its relationships
to other parameters related to trophic state, [in Japanese], Research Repor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Vol. 23, pp. 13-31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22, No. 2, pp. 361-369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1992, The use of saline
waters for crop production, pp. 1-133
Jung H.J., Lee B.M., Lee K.H., Shin H.S., Hur J., 2016, Influenc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refractory organic matters on organic carbon oxidation rates measured
by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and a UV-sulfate metho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2, No. 1, pp. 98-107

Kim B., Ahn T.S., Cho K.S., 1988, A comparative study of the eutrophication in reservoirs
of the Han river,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21, No. 3,
pp. 151-163

Kim B., Jung S., Jang C., Kim J.K., 2007, Comparison of BOD, COD and TOC as the indicator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streams and reservoirs of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9, No. 6, pp. 640-643

Kim B., Park J.H., Choe K., Hwang G., 2001, Eutrophication of reservoirs in South
Korea, Limnology, Vol. 2, No. 3, pp. 223-229

Kim E., Sim K., Kim S., Choi H.I., 2012, Water quality assessment for reservoirs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1, pp. 78-83

Kim S.J., Kim S., Chon K.M., Lee E., Sarper S., Lee S., Kim D., Cho J., 2007, [Korean
Literature],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measuring dissolved organic carbon in
sea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pp. 368-372
Kong D., 1997,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river-reservoir (Paldang),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30, pp. 524-535

Kong D., 2019, Statistical analysis on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rge lakes
in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5, No. 2, pp. 165-180

Kong D., Kim B., Suggestion for trophic state classification of Korean lakes, in pres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5, No.
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6, [Korean Literature],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methods of water environment – Eutrophication
-, pp. 1-28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8, http://water.nier.go.kr
(accessed May. 2018). [Korean Literature],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Park J., Kal B., Lee C., Hong S., Choi M., Seo H., 2018, Analysis of the trophic characteristics
of the SoOak river watershed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0, No. 4, pp. 330-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