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한국교통대학교 건설·환경·도시교통공학부,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 호암엔지니어링(주) (Hoam Engineering, Co., Ltd.)



Backwashing, CSO, Filtration, PSD

1. Introduction

도시지역 강우유출수는 합류식하수관(combined sewer)과 분류식우수관(separated sewer)을 통하여 공공수역으로 배출 되는 대표적인 도시지역 비점오염원이다. 합류식하수관 월류 수(combined sewer overflow, CSO)는 강우 초기에 관거 및 맨홀에 퇴적된 유기·무기성 오염물질이 초기유출(first flush) 되므로 농도와 유량이 건기 시와 비교하여 수배에 이르고 미처 리되어 배출시 인근 수계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쳐 도시지역 비 점오염부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Flint and Davis, 2007; Lee et al., 2000). 분류식우수관 월류수(separated sewer overflow, SSO)는 도로, 지표면에서 축적된 타이어 마모입자, 중금속, 기름성분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하천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강우 유출수의 입경은 콜로이드 크기인 1 μm 이하부터 10,000 μm까지 넓은 입경범위를 가지고 있다(Lee et al., 2002; Pitcher et al., 2004). 강우유출수내 오염물질의 80 % 이상이 100 μm 이하의 미세입자에 흡착, 부착되어 거동하는 특성을 가지며, 2 μm이하의 점토크기 입경 입자들은 큰 비표 면적과 높은 반응성을 가지고 있어 오염물질의 주된 이송매 체 역할을 한다(Sansalone and Kim, 2008). 따라서, 강우 유 출수내 100 μm 이하의 미세입자를 처리하면 입자에 부착, 흡 착상태 유기성, 무기성 오염물질을 동시에 제거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Lee et al., 2003; Lee and Bang 2012).

도시지역 주요 비점오염원인 CSO와 SSO를 처리하기 위 한 처리시설 중 여과형 처리시설은 여과, 흡착 등에 의해 비 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알려져 있다(Lim et al., 2012). CSO와 SSO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시설 중 여 과형 처리시설은 여과, 흡착 등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을 효과 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알려져 있다(Lim et al., 2012). 여과 형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적용되고 있는 여재들은 매우 다양 하지만, 고농도 미세입자들을 가진 강우유출수를 여과만으로 처리하는 것은 여재교체 비용 등의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2015년부터 설치되는 여과형 비점오염 처리시설은 강우가 종료되면 역세척을 실시하여 여재내 포획된 고형물을 제거 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여재내 포획된 고형물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공기세척+수세척의 방법을 권장하고 있 다(Kim et al., 2010; ME, 2016; Shimazu et al., 2008).

여과형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관하여 역세척 실시 전·후의 여재 세척효과, 처리효율의 변화, 고형물질 물질수지에 의한 여재 성능효과 분석, 여과 후 입자물질 막힘 현상, 공기주입속 도 등 역세척에 관련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Amirtharajah et al. (1990)은 여과지내 물과 공기세척에 의한 공동(cavity)발생 현상을 유체 동역학적 이론으로 시도한바 있다. 최소유동화 물의 주입속도와 공기 유량에서 여과지 전체에 collapsed pulsing이 발생하며 이때 역세척 효과는 극대화 된다는 실험식 을 제시하였다. 또한, 작은 공기입경이 collapse pulsing 현상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Choi and Lee (1996) 은 물, 물과 연속적인 공기 주입, 물과 간헐적 공기 주입 등 3가 지 역세척 방법에 대한 역세척 효과를 분석한바 여재층 15 % 팽창 시 가장 세척효과가 높으며, 물과 연속적인 공기주입, 단 일여재보다 이중여재 일 때 역세척 효과는 높다고 하였다. Leem et al. (1999)은 CFD기법을 이용하여 공기입경이 0.2 cm 이하로 작을 경우 역세척 시 전단력이 많이 발생하여 효과적 이라고 하였다. Hwang et al. (2017)은 상향류식 여과형 비점 오염저감시설을 이용한 실험에서 여재층의 누적고형물 제거 율 및 공극률과 손실수두의 관계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여과형 비점오염 처리장 치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연구실 규모의 여과칼럼 실험결과 를 근거한 파일럿 장치를 제작하여 CSO처리성능과 역세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규모 여과형 비점오 염처리장치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주요인자를 도 출하고자 하였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파일럿 장치 구성

본 연구를 위해 제작한 파일럿 장치는 처리유량 480 m3/day 규모로 Fig. 1과 같이 원수조와 유입분배조, 여과조 및 처리수 저류조로 구성하였다. 파일럿 장치는 280,000 m3/day 규모를 가진 청주시 하수처리장 유입동 침사지 옆에 설치하였다. 강 우 시 CSO를 모의하기 위해 침사지 저류수와 200 μm이하 도 로퇴적물을 혼합하여 10.0 m3용량의 원수조에서 공기와 교반 기로 혼합하여 처리장치로 펌프 이송하도록 하였다. 원수는 여과조 하부로 유입되어 상향류 방식으로 면적 1.0 m2의 여과 조에서 처리된다. 여과조 하부에는 역세척 공기 공급을 위한 조대폭기형 볼형 산기관(bowl diffuser)를 장착하였다. 볼형 산기관은 막힘이 적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특성을 가졌으며 공기크기는 큰 편이다. 여과된 처리수는 저류조에 저장 후 역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공급펌프를 설치하였다. 처리유 량과 역세척 공기량은 전자식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다. 원수 조, 여과조, 처리수조의 수위는 초음파 센서로 측정되어 자동 운전을 통해 무인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Table 1에 파일럿 장치의 설비제원을 나타내었다.

Fig. 1. Installation of filter type ofthe non-point treatment pilot device.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1.jpg
Table 1. Specification of the pilot device
Operation Appellation Specification Material
influent influent pump 20~50 m3/hr × 2.2 kw cast iron
raw water storage raw water storage
stirrer
raw water pump
10,000 L
1 kw
20~50 m3/hr × 3.75 kw
PVC
STS 304
cast iron
pre-treatment pre-treatment basin W0.8 × L0.60 × H2.4, m STS 304
filtration filter tank
filter media
diffuser
W0.8 × L1.25 × H1.8, m
5±0.1 mm
bowl diffuser
STS 304
PE+PP
-
backwashing treatment storage
backwashing pump
air blower
3,000 L
20~50 m3/hr × 2.2 kw
1.5 m3/min × 2.55 kw
PVC
cast iron
cast iron
automatic control influent flowmeter
air flowmeter
pressure gauge
water gauge
automatic control panels
automatic contol monitor
electromagnetic flow measuring
electromagnetic flow measuring
0~3 kg/cm2
100 ~ 3000 mm, 10 kg/cm2
W0.8 × L0.4 × H1.8, m
touch screen type
-
-
-
-
STS 304
-

2.2.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기준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환경부 매뉴얼에 의하면 여재 는 손실수두가 10 cm를 초과하지 않고 고형물 부하 4 ~ 6 kg/m2에서도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역세척 후 손실수 두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여 과선속도 20 m/h 조건에서 연간 SS제거효율 80 %를 달성를 목표로 시설을 구성해야 한다. 역세척 공기량은 50 m3/m2/h 내외로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여과컬럼에 의한 실 험으로 도출된 최적유량 10 m3/m2/h를 적용하였다.

2.3. 파일럿 장치 운전 및 분석방법

파일럿 장치는 2016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9회를 운 전하였고 매회 운전시간은 약 80분 동안 진행하였다. 5 ~ 10 min 간격으로 유입수와 처리수 시료를 채수하였으며, 운전 시간에 따른 수두손실변화를 초음파 수위계를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 PP media를 600 mm 충진한 여재부피는 600 L이 며, 여과속도는 환경부에서 제시된 기준치인 20.0 m/hr로 일 정하게 유지하였다. 역세척은 운전종료 후 여과조 하부의 잔 류수를 여재층의 70 % 높이까지 배출시킨 후, 역세척 공기 주입속도 10.0 m3/m2/hr로 5분 동안 1차로 실시하였으며, 2 차로 1차 역세척 잔류수를 배출시킨 후 역세척수를 여과조 에 1.5 m3를 공급한 후 역세척 공기 주입속도 10.0 m3/m2/hr 로 5분 동안 실시하였다. 1차, 2차 역세척 후 운전시점의 수 두손실을 측정하였고, 배출된 역세척 수량과 시료를 분석하 여 여과조 내에 잔류된 고형물량 물질수지를 산정하였다.

채수된 시료의 SS는 0.5 L를 채수하여 수질공정분석법에 준 하여 분석하였으며, 탁도는 HACH사 탁도계(측정범위 0 ~ 4,000 NTU)를 사용하였다. 입경분포는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평균입경, 10 %, 60 %, 90 % 입경을 분석하였다(SALD-2101, Schmadzu). 2018년 운전 시에는 채 수된 31개 시료에 대해서는 COD, TP 항목을 추가하여 수질오 염공정시험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Rice et al., 2017). 파일럿 장치 운전 전·후 PP media의 표면특성, 공극, 조직 치밀성 등을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사진(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측정하였다.

2.4. 파일럿 장치 처리효율 및 수두손실 측정방법

파일럿 장치의 처리효율은 유입수 농도와 유출수 농도를 바탕으로 식 (1)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무부하시 수두손실 은 수돗물을 원수저류조에 채운 후 여과조에 유입시켜 유입 분배조, 여과조, 처리수 저류조의 수두를 측정하여 산정하였 다. 여재를 제외한 장치의 수두손실은 2016년 환경부 비점오 염저감시설 매뉴얼을 참고하여 마찰수두손실(hL1)는 식 (2), 기타 수두손실(hL2)은 식(3)를 적용하여 총 수두손실을 산정 하였다(ME, 2016).

(1)
Removal Efficiency E = C I - C O C I × 100 %
(2)
h L 1 = f L D v 2 2 g
(3)
h L 2 = K v 2 2 g

여기서, f=손실수도계수, L=관 길이, D=관경, v=유속, K=기 타 수두손실계수이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파일럿 장치 무부하시 수두손실

평균여과속도 20.6 m/hr에서 총 90 min 동안 총 21회 측정 한 수두손실은 0.3 ~ 1.0 cm(평균 0.59 cm)로 산정되었다. 파 일럿 장치의 배관 마찰손실, 유입·유출 손실, 밸브 및 곡관 손실을 합한 총 수두손실은 6.9 cm로 산정되어 환경부 기준 값인 10.0 cm 이하를 만족하였다.

3.2. PP여재의 특성

PP여재는 polypropylene과 polyethylene를 혼합한 섬유여 재이며, 유효입경 5.5 mm, 균등계수 1.5, 겉보기 밀도 0.068 g/cm3, 공극율 91.2 %의 물리적 특성을 보인다. 변수위 투수 계수 산정법으로 측정한 pp여재의 투수속도는 50.2 m/hr로 파일럿 장치 여과속도 20.0 m/hr의 2.5배 이상을 나타내었다.

3.3. 파일럿 장치의 CSO 처리특성 분석

파일럿 장치의 여과조 평균체류시간은 4.4분으로 나타났으 며, 고형물부하량, 여과선속도, 수두손실의 평균값은 각각 6.8 kg/m2, 19.6 m/h, 5.3 cm로 측정되었다. 운전기간 유량, 여과선속도, 체류시간, 수면적부하율, 고형물부하량, 수두손 실의 범위와 평균 등을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2. The range of operation condition for the pilot device
Range Flowrate (m3/hr) Linear Velocity (m/hr) Retention Time(min) SS Loading (kg/m2) SOR (m3/m2/day) Head Loss (cm)

Min 11.2 11.2 3.8 0.0 268.3 0.0
Max 22.0 22.0 7.5 24.0 528.0 15.5
Mean 19.6 19.6 4.4 6.8 470.6 5.3

위와 같은 운전조건에서 파일럿 장치의 CSO 처리효율은 탁 도 0.4 ~ 76.1 %(평균 49.0 %), SS 51.4 ~ 91.6 %(평균 77.8 %), COD 22.2 ~ 59.4 %(평균 38.3 %), TP 14.5 ~ 52.6 %(평균 38.1 %) 범위로 나타났다. 유입수와 유출수 농도범위와 입경범위, 제거효율 등을 Table 3에 정리하였으며, 운전시간에 대한 유입 수, 유출수 농도 및 처리효율을 Fig. 2에 나타내었다.

Table 3. Results of the pilot device operation
Items Range Influent Effluent Removal Efficiency (%)



Turb.
(NTU)
SS
(mg/L)
COD
(mg/L)
TP
(mg/L)
Turb.
(NTU)
SS
(mg/L)
COD
(mg/L)
TP
(mg/L)
Turb. SS COD TP

Water Quality Min 39.6 118.0 210.0 4.2 20.1 28.0 130.0 3.1 0.4 51.4 22.2 14.5
Max 288.6 1,040.0 420.0 8.3 82.7 152.0 280.0 6.1 76.1 91.6 59.4 52.6
Mean 109.4 321.5 319.0 6.4 46.7 59.2 194.5 3.9 49.0 77.8 38.3 38.1

Items Range Influent(μm) Effluen (μm)


DMedian DMean D10 D60 D90 DMedian DMean D10 D60 D90

Particle Size Min 5.5 4.6 1.0 7.2 17.0 0.9 0.9 0.1 0.9 1.0
Max 50.4 40.1 16.6 68.7 164.0 24.5 21.3 7.4 29.6 72.6
Mean 26.2 21.2 3.9 35.1 100.7 7.5 6.4 2.1 9.4 20.8
Fig. 2. The variation of influent and effluent turbidity, SS, COD, TP concentration, and removal efficiency with operation time.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2.jpg

Fig. 2에서 운전시간 14.8 ~ 16.3 hr 구간에서 처리효율이 낮게 나타난 것은 7회 운전기간으로 역세척 하지 않은 상태 에서 다시 운전한 실험조건 때문으로 판단되며, 이는 여과형 비점처리장치에 역세척이 중요한 운전조건임을 나타내고 있 다. 7회 운전기간을 제외하면 SS 평균제거효율은 80 %이상 으로 환경부 처리효율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운전시간과 역세척에 따른 누적고형물부하량 변화와 수두손 실을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4는 수두손실 증가와 누적고 형물부하량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상관계수는 0.85로 유의하 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wang et al. (2017)의 세라믹 여재를 이용한 연구에서 제시한 누적고형물 제거율 및 공극률과 손실수두의 상관계수 0.898 ~ 0.951과 유 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Fig. 3. The variation of the cumulative loading rate and head loss with operation time.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3.jpg
Fig.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loss and cumulative solid loading.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4.jpg

3.4. CSO 내 탁도와 SS의 상관관계 분석

탁도는 수중 부유 또는 콜로이드상 입자 빛의 산란광을 NTU 단위로 나타내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Tchobanoglous et al. (2014)은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침전된 2차 처리수와 입상여과처리수의 SS농도는 탁도의 각각 2.3 ~ 2.4, 1.3 ~ 1.6배 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여과형 파일럿 장치의 여재상태, 처리수 특성 등을 파악하 고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성 파악을 위해 탁도와 SS의 관계 를 분석하였다. Fig. 5와 같이 유입수의 경우 SS는 탁도와 상관계수(R2)값 0.90, 비례 값이 2.8로 분석되었으며, 처리수 는 상관계수 0.81, 1.3 비례 값을 나타내어 두 경우 모두 유 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Fig. 5에서 고탁도시(250 NTU 이상) 탁도와 SS와 상관도가 떨어지는 것은 탁도를 유 발하는 콜로이드성 미세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자물 질로 인해 SS 변화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쳐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5. The relationship between turbidity and SS for the influent and effluent of the pilot device.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5.jpg

이와 같은 결과는 농도가 높을수록 SS와 탁도의 상관계수, 비례 값은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Fig. 6과 같이 SS 제거율과 탁도제거율 상관계수는 0.82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여과형을 비점오염 처리장 치 성능, 효율 등 운전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항목으로 탁도 측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rbidity and SS removal efficiency.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6.jpg

3.5. PP여재의 입장성물질 처리특성 분석

파일럿 장치에 적용된 PP여재의 입자성물질 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유입수와 처리수 시료의 입경을 분석하였다. Shimadzu SALD-2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자 수는 부피를 기준하였고(Shimadzu Corporation, 2019), 분포함수는 Rosin- Rammler로 설정하여 0.01 ~ 1000 μm까지 0 ~ 100.0 % 누적 입경분포를 산정하였다. 시료는 각각 유입수, 유출수 각 120 개로 총 240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Table 3에 정리한 바와 같이 유입수 평균입경 범위는 4.6 ~ 40.1 μm(평균 21.2 μm)이 고, 처리수는 0.9 ~ 24.5 μm(평균 6.4 μm)로 여재에 의해 입경 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CSO 처리 전·후의 평균입 경 누적분포와 표준편차를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PSDs) for influent and effluent. Each of the influent and effluent data set is mean PSDs and standard deviation.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7.jpg

Fig. 7에서 90 % 누적분포 입경은 유입수, 유출수에 대해 각각 80 μm, 35 μm를 나타내고 있다. 60 % 누적분포 입경은 유입수, 유출수에 대해 각각 30 μm, 10 μm으로 여과에 의해 입경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표준편차 범위는 유입수 0.0 ~ 13.7 μm(평균 4.0 μm), 유출수 0.0 ~ 25.7 μm(평균 7.3 μm) 으로 유출수가 표준편차가 큰 값을 나타내었다. 여과 후 입경 은 감소하지만 여과 중에 여재에 축적되어 있던 입자들의 유 출되므로, 60 % 누적분포 입경이상의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나 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8은 여과 중, 여과 후 여재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여과 후에 여재내 입자들이 축적된 모습을 나 타내고 있다. Fig. 9는 여과 전·후 PP media에 대한 400배율 SEM 측정 사진이다. 여과 후 PP media 내부 섬유표면 및 공극 에 입자물질이 부착되어 공극이 감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8. The experiment filter PP media.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8.jpg
Fig. 9. The SEM images of the filter PP media before and after filtration.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9.jpg

본 파일럿 장치에 적용된 PP여재의 입장성물질 처리특성 을 분석한 결과 유입수 평균입경 범위는 4.6 ~ 40.1 μm(평균 21.2 μm), 처리수는 0.9 ~ 24.5 μm(평균 6.4 μm)로 나타나 약 10 μm 이하의 입자는 대부부분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미 세입자 물질이 주를 이루는 원수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보완 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6. 파일럿 장치의 역세척 특성 분석

역세척은 여과지내 여재기능을 재생하는 과정으로 여과장 치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 공정이다. 역세척을 2회 반복하 여 물질수지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역세척에 의한 여과 회복력을 분석하기 위해 파일럿 장치에 대한 고형물 물 질수지 Fig. 10과 같이 적용하였다.

Fig. 10. The backwashing effect analysis with solids mass balance.
../../Resources/kswe/KSWE.2019.35.5.409/JKSWE-35-409_F10.jpg

식(4)는 역세척 후 여재에 잔류된 고형물량(kg)을 산정한 식 으로, 운전시간 동안 유입된 고형물 총량에서 처리수와 역세척 후 하부로 배출된 고형물 총량에 대한 물질수지 식이며, 식 (5) 는 역세척 후 여재에 남아 있는 고형물질량을 유입 고형물질 총량으로 나누어 여재 여과 회복력(%)으로 표현한 것이다.

(4)
Redidual in media kg = Q I C I Δ T - Q O C O Δ T - C U 1 V U 1 + C U 2 V U 2
(5)
Recovery rate of media backwashing = 1 - Residual kg / Influent kg × 100 %

여기서, QI, QO=유입수와 유출수 유량(m3/day), CI,CO=유입 수와 유출수 SS농도(mg/L), ΔT=운전시간(hr), CU1,CU2=잔류 수의 SS농도(mg/L), VU1,VU2=여과조 잔류수 배출량(L) 이다.

유입수, 여과조, 여과조내 잔류수 배수, 역세척수 배수, 그 리고 유출수에 함유된 고형물질량 등 총 6회 역세척 분석자 료와 물질수지 산정 값 평균을 Table 4에 정리하였다. 1차 역세척 과정에서 유입수 SS(kg)에서 대한 잔류수 배수에 의 해 제거된 SS(kg)분율, SSBW1/SSIN(%)은 평균 39.0 %로 산정 되었다. 2차 역세척 과정에서 유입수 SS(kg)에서 대한 역세 척 잔류수 배수에 의해 제거된 SS(kg)분율, SSBW2/SSIN(%)은 평균 26.8 %로 산정되었다. 1차 역세척이 2차 역세척보다 여재내 고형물 제거가 많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과조 에 유입된 SS량(kg)에 대한 역세척 후 여과조내 SS잔량(kg) 백분율은 평균 15.5 %로 역세척 후 여재 여과 회복율은 84.5 %로 분석되었다.

Table 4. Summary of the SS load mass balance for the pilot device
Operation Parameter Unit Backwashing

1st 2nd 3rd 4th 5th 6th Mean

Influent Flowrate m3/hr 20.6 19.8 20.7 20.7 21.0 20.9 20.6
Operation Time hr 1.3 1.3 1.4 3.6 3.6 3.6 2.4
mg/L 226.8 224.8 133.8 216.0 260.8 315.3 229.6
SS kg 5.8 5.6 3.9 16.0 19.6 23.6 12.4
%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PP media Volume m3 1.4 1.4 1.4 1.4 1.4 1.4 1.4
Retention Time min 4.1 4.2 4.1 4.1 4.0 4.0 4.1
Filtration Area m2 1.0 1.0 1.0 1.0 1.0 1.0 1.0
Linear Velocity m/h 20.6 19.8 20.7 20.7 21.0 20.9 20.6
SS Load kg/m2 5.8 5.6 3.9 16.0 19.6 23.7 12.4
SOR m3/m2/day 494.4 476.3 496.3 495.7 502.9 500.9 494.4
Head Loss mm 80.0 73.0 64.0 110.0 145.0 155.0 104.5
Residual SS % 19.4 19.5 26.5 10.6 8.9 7.8 15.5
Recovery rate % 80.6 80.5 73.5 89.4 91.1 92.2 84.5

Backwash underflow 1 Air Flowrate m3/hr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ir Backwash time min 5.0 5.0 5.0 5.0 5.0 5.0 5.0
Air Volume m3 0.8 0.8 0.8 0.8 0.8 0.8 0.8
Air Injection Rate m3/m2/hr 10.0 10.0 10.0 10.0 10.0 10.0 10.0
Volume m3 1.9 1.9 1.9 1.9 1.9 1.9 1.9
SS mg/L 1054.0 990.0 598.0 3720.0 4820.0 5720.0 2,817.0
kg 2.0 1.9 1.1 7.1 9.2 10.9 5.4
SSBW1/SSIn % 34.3 33.7 29.0 44.2 46.8 45.9 39.0

Backwash underflow 2 Air Flowrate m3/hr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ir Backwash time min 5.0 5.0 5.0 5.0 5.0 5.0 5.0
Air Volume m3 0.8 0.8 0.8 0.8 0.8 0.8 0.8
Air Injection Rate m3/m2/hr 10.0 10.0 10.0 10.0 10.0 10.0 10.0
Volume m3 1.9 1.9 1.9 1.9 1.9 1.9 1.9
SS mg/L 920.0 868.0 494.0 2050.0 2540.0 3510.0 1,730.3
kg 1.7 1.6 0.9 3.9 4.8 6.7 3.3
SSBW2/SSIn % 29.9 29.6 24.0 24.4 24.6 28.2 26.8

Effluent Volume m3 23.7 22.8 27.3 72.0 73.1 72.8 48.6
SS mg/L 40.3 42.0 29.6 46.1 52.8 58.9 44.9
kg 1.0 1.0 0.8 3.3 3.9 4.3 2.4
SSOut/SSIn % 16.4 17.2 20.6 20.8 19.7 18.1 18.8
SS Removal Efficiency % 83.6 82.8 79.4 79.2 80.3 81.9 81.2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매뉴얼을 바탕으로 연구실 실험에 근거하여 제작한 파일럿 장치를 현장에 적용하여 CSO처리 특성과 역세척 특성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과선속도 20.0 m/hr 범위를 유지하면서 실험한 결과 파일럿 장치의 CSO 처리효율은 탁도 0.4 ~ 76.1 %(평균 49.0 %), SS 51.4 ~ 91.6 %(평균 77.8 %), COD 22.2 ~ 59.4 %(평균 38.3 %), TP 14.5 ~ 52.6 %(평균 38.1 %) 범위로 나타났다. 환경부 설계기 준 SS 80 % 처리효율을 달성하지 못한 것은 역세척 미실시 에 대한 처리성능을 알아보고자 한 실험이 포함되어 있어 이 에 대한 영향으로 처리효율에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해당 실험을 제외하면 SS처리효율 80 %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운전시간과 역세척에 따른 누적고형물부하량 변화와 수두 손실의 상관계수는 0.85로 Hwang 등의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처리에서 제시한 누적고형물제거율 및 공극률과 손 실수두의 상관계수 0.898 ~ 0.951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손실수두는 여재의 처리효율 회복을 위한 역세척 시점 과 처리공정의 자동화를 위한 주요한 운영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한국연구재단(NRF-2017R1D1A1B03033724)과 2019년 한국교통대학교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References

1 
Amirtharajah A., McNelly N., Page G., McLeod J., 1990, Optimum backwash of dual media filters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 filter adsorbers with air scour, AWWA Research Foundation, pp. 5-83
2 
Choi S. I., Lee H. S., 1996, Comparison of cleaning effect according to the different backwashing metho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18, No. 12, pp. 1521-1534Google Search
3 
Flint K. R., Davis A. P., 2007, Pollutant mass flushing characterization of highway stormwater runoff from an ultra-urb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133, No. 6, pp. 616-626Google Search
4 
Hwang Y. H., Seo Y. G., Kim H. W., Roh K. W., Shin H. S., Kim D. G., 2017, Optimization of operation and backwashing condition for an upflow stormwater filtration system utilizing ceramic medi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9, No. 8, pp. 478-488Google Search
5 
Kim S. H., Gwon E. M., Park S. S., Joh S. J., Lim C. H., Kang S. H., 2010, Identific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in auto-discharging filter system for treatment of urban storm wate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 Society Waste Management, Vol. 24, No. 4, pp. 377-386Google Search
6 
Lee J. H., Bang K. W., 2012, Performance evaluation of backwash hydrodynamic separator filter for treatment of micro particle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4, No. 10, pp. 694-701Google Search
7 
Lee J. H., Bang K. W., Choi J. S., Ketchum L. H., Cho Y. J., 2003, The vortex separator for suspended solids treatment,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47, No. 9, pp. 335-341Google Search
8 
Lee J. H., Bang K. W., Hong S. C., 2000, Combinded sewer overflow control using the swirl concentrato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3, No. 1, pp. 21-30Google Search
9 
Lee J. H., Bang K. W., Ketchum L. H., Choe J. S., Yu M. J., 2002, First flush analysis of urban storm runoff,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293, pp. 163-175Google Search
10 
Lim C. S., Kim D. G., Ko S. O., 2012, Evaluation of downflow granular media filtration for stormwater treatment,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4, No. 10, pp. 684-693Google Search
11 
Leem J. S., Park N. S., Kim S. H., Park H. K., 1999, The effect of bubble size on backwashing efficiency of biomass filter with air scou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1, No. 12, pp. 2321-2328Google Search
1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Korean Literatur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operation manuals, Ministry of Environment, pp. 8
13 
Pitcher S. K., Slade R. C. T., Ward N. I., 2004, Heavy metal removal from motorway stormwater using zeolit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pp. 1334-1335Google Search
14 
Rice E. W., Baird R. B., Eaton A. D., 2017,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WWA
15 
Sansalone J. J., Kim J. Y., 2008, Suspended particle destabilization in retained urban stormwater as a function of coagulant dosage and redox conditions, Water Research, Vol. 42, No. 4-5, pp. 909-922Google Search
16 
Shimazu R., Matsushima O., Meguro T., 2008, Study on the simplified fiber filtration for CSO control, pp. 1-10
17 
Shimadzu Corporation, 2019, https://www.ssi.shimadzu.com , Particle Size Analyzers, C060-E005A
18 
Tchobanoglous G., Stensel H. D., Tsuchihashi R., Burton F., 2014,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and resource recovery, Metcalf & Eddy Aecom, pp. 8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