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Nakdong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Flow duration curve, Partially gauged watershed, Standard flow, Streamflow record extension technique

1. Introduction

우리나라는 수량과 수질로 이원화되어 1990년대부터 논란 이 되어왔던 물관리가 2018년 6월 정부조직법 개정을 통해 환경부로 통합되면서 바야흐로 새로운 물관리 일원화 시대 가 도래하였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는 원수 관리에 있어서 지금까지 획일적인 배 출농도 규제에서 벗어나 유역의 총배출부하량을 통제함으로 써 수질을 관리하는 보다 선진화된 물관리 정책이다. 미국은 1972년 청정수법(Clean Water Act)에 의해 배출수 수질기준 을 만족함에도 불구하고 수체의 수질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각 주에서 TMDL를 시행하고 있으며(Houck, 2002), 국내는 4대강수계법에 따라 2004년부터 오염총량관리를 시 작하였으며, 현재 2020년을 단계목표로 하는 3단계 오염총 량관리가 시행되고 있다(Hwang et al., 2018).

현재 TMDL은 최근 10년 평균 특정 유량조건인 기준유량 에서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해 오염총량관리 단위유 역의 허용총량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기 준유량 이외의 유량조건에서는 총량관리계획만으로 수질을 관리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특정 유량조건의 분석 한계점을 보완하고 오염원 및 강우량 변화 등에 따른 다양한 유량조건에서 수체 손상도를 분석하기 위해 부하지속곡선 (Load Duration Curve, LDC)을 이용한 평가방법이 활용되고 있다(Kim et al., 2015). LDC 방법은 계절별 유량변동에 따 른 수질 영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목표수질의 초과빈도와 삭감 및 허용부하량의 크기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해주는 방법 이다. 이미 미국의 많은 주에서는 LDC 방법을 이용한 TMDL 설정, 데이터 분석 및 유량 규모별 점·비점오염원의 부하량 관리기법으로 적용하고 있다(Nevada, 2003; U.S. EPA, 2007). 국내에서 LDC 방법은 오염총량관리의 대상물 질 선정, 광역시·도 경계지점 목표수질 설정 및 오염총량관 리 시행계획에 대한 이행평가 등에서 하천의 수질 손상 정도 및 원인분석에 따른 삭감계획의 적정성 등을 파악하는데 활 용하고 있다(ME, 2017; NIER, 2016).

LDC는 유량지속곡선(Flow Duration Curve, FDC)과 관리 목표수질(Target Water Quality, TWQ)을 이용하여 작성한다. 이때 FDC는 연속적으로 측정된 일평균유량을 이용하여 작 성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그러나 모든 하천 또는 유역에 유량관측소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런 경우는 수문학적으로 유사한 인근의 대표유역의 유량자 료를 활용하여 회귀식 또는 배수유역면적 등 유역특성 인자 나 기상학적 인자를 이용하거나 유역모형 등을 이용하여 일 평균유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일평균유량 산정방법으로 크게 계측유역과 부분/미계측 유역으로 나눌 수 있다. 계측유역의 경우는 장기간의 과거 관측 일유량자료를 분석한 연도별 FDC 구축을 통한 누적 유황분석법을 사용한다. 이와는 다르 게 부분계측 유역의 경우는 계측된 표본자료가 무작위로 추 출되었다고 가정하고 실측된 실측자료만을 가지고 분석하는 백분위법(Percentile Method)과 계측유역의 자료를 기준으로 부분계측 유역의 유량자료를 대수선형회귀식 분석을 통해 확장시키는 확장법(Extension Method)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미계측 유역의 경우는 유역특성 인자나 기상학적 인자 등을 분석하여 고려한 통계적 대안모형인 지역회귀법(Regional Regression Method)을 수립하여 예측하거나 수문모형인 Tank,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등 수문모 형을 이용한 장기유출 예측을 통해 기준유량을 산정하는 수 문모형화기법(Hydrological Model Method)을 이용한다 (Hwang et al., 2018; U.S. EPA., 2007).

국내 수문자료는 1999년 수문조사 선진화 5개년 계획과 2004년 수질오염총량제 본격 시행과 더불어 자료의 양과 질 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국내에서 측정·제공되는 유량자료 의 현황을 보면 환경부 홍수통제소는 자동수위국 지점 중 주 요하천들에 대한 일평균유량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나, LDC 방법을 활용하기 위한 수질 측정자료가 없다. 반면에 환경부 물환경연구소는 총량관리 목표수질 설정지점 및 이행평가 대상지점 등에서 평균 8일 간격으로 유량과 수질을 동시 측 정하고 있으나 연간 45개 이하의 실측유량을 제공하고 있어 이러한 부분계측 자료만을 이용한 FDC 결과는 그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DC를 이용한 수체손상 분석과정에 서 FDC 산정기준이 달라지면 수체손상 해석결과에 영향을 미쳐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이는 유역관리를 위한 적절 한 삭감방안 분석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FDC는 하천에서 발생하 는 전체 유량조건을 대변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보다 정확한 FDC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현재 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각 연구 주제별로 요 약하면 계측지점의 수위-유량곡선식 개발을 통한 기준유량 산정 연구(Park et al., 2013)와 부분계측 자료를 이용한 회귀 식을 도출하고 그 식으로부터 기준유량을 산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Kim, et al., 2017a; Kim et al., 2017b; Park and Oh, 2012; Park, Oh et al.; 2012). 다음으로 유역특성 인자와 기상학적 인자들을 이용한 지역회귀식을 개발하여 기준유량 을 산정하는 연구(Kim, 2008; Lee et al., 2016)들과 기 개발 된 유역모형을 이용하여 기준유량을 산정·비교하는 연구들 이 수행되었다(Hwang et al., 2018; Hwang et al., 2010; Kwon et al., 2017). 마지막으로 환경부 총량자료(부분계측) 에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확장기법 적용을 통한 기준유량 추 정연구들이 최근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그 확장 가능성 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다(Baek, 2014; Baek and Yim, 2012; GRI, 2010; Jung, 2011).

하천유량은 강우와 같은 자연적인 요인과 환경기초시설 방 류, 취수, 댐 방류와 같은 인위적 요인 등 유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수문년인 1년을 주 기로 매년 변동하고 반복된다. 최근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유역을 대표하는 FDC를 작성하기 위한 기간에 대한 연구로 Kim (2008)은 최소 15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라는 연구결 과가 있으나, 대표유량지속곡선 작성을 위한 유량자료 기간 등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TMDL을 목적으로 최초로 설치 운영 중인 낙본A 단위유역 자동수위국 계측자료를 활용하여 FDC를 작 성하고, 시계열 누적 변화에 따른 FDC의 차이를 Nash and Sutcliffe Efficiency (NSE)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 며, 유역을 대표하는 FDC 작성을 위한 최소 누적년 일평균 유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표유량지속곡선 대비 기 준유량(풍, 평, 저 및 갈수량) 결정에 있어서 유량의 불완전 계측이나 미계측으로 인해 발생 될 수 있는 불확실성을 파악 하고자 대표 기준유량 산정방법들을 비교·평가하였다.

2. Material and Methods

2.1. 대상유역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낙본A 단위유역은 강원도와 경상북 도 시도 경계지점이면서, 낙동강 최상류 유역으로 강원도 태 백시의 일부이며, 황지천, 소도천, 철암천을 포함하고 있다 (Fig. 1). 유역면적은 201.3 km2이고, 토지이용현황은 임야 89.1 %, 대지 4.0 %, 농경지 3.7 %, 기타 3.3 % 순으로 대부분 의 토지이용은 임야와 농경지로 구성되어 있다. 유역 평균강 수량 산정을 위해 낙동강수계에 분포되어 있는 17개 기상청 강우관측소에 대한 강우관측망을 구성하고 지점강수량 자료 를 수집·분석하였다(Fig. 1). 대상유역 주변의 대표 기상청 지점 강우관측소로는 태백(1985 ~ 2018; 34년), 봉화(1988 ~ 2018; 31년) 및 안동(1983 ~ 2018; 36년)이 있으며, 이들 자료 를 이용한 공간 강우분석 수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간 강 우의 경향성까지 고려한 범용 크리깅 기법(Universal Kriging Method)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유역 말단지점인 대현교 좌안에는 오염총량관리 최초로 초음파 자동수위국(10 분 간격)이 신설되어 2011년부터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관리·운영되고 있다. 이 지점의 실시간 수위자료를 이용하 여 연도별 수위-유량곡선식 개발과 일평균유량 산정을 통한 유황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수위국은 2019년 1월 1일부 로 물관리 일원화 목적에 부합되게 운영을 낙동강홍수통제소 로 관리전환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도록 조치하였다. (Table 1).

Fig. 1. Study area and location of gaging stations used in the analysis.
../../Resources/kswe/KSWE.2019.35.6.481/JKSWE-35-481_F1.jpg
Table 1. KMA raingaging, ME unregulated and streamgaging stations
NO Station number Station name Period of record Drainage area (km2) Remarks

1 000216 Taebaek 1985-2018 - Rain gauging
2 000271 Bonghwa 1988-2018 - Rain gauging
3 000136 Andong 1983-2018 - Rain gauging
4 2001A35 Nakbon-A 2004-2018 201.3 Unit Watershed
5 2001615 Nakbon-A 2011-2018 201.3 Water Level Gauging
6 029100 Andong Dam 1966-2018 1,584.0 Dam Station

[i] Note.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Ministry of Environment)

2.2. 대표유량지속곡선 선정 및 분석

낙본A 단위유역에 대한 2011년부터 2018년까지(총 8년) 각 연도별 수위-유량곡선식 개발 및 일평균유량 산정을 통한 FDC를 구축하였다. FDC는 일정 주기로 측정된 유량을 시간 적 순위에 관계없이 크기순으로 배열한 곡선으로, y축은 유 량이며, x축은 y축 유량보다 큰 유량이 나타나는 빈도(이하 초과백분율)로서 식 (1)과 같이 계산하였다. FDC의 x축은 일정 기간의 유량을 크기순(0 ~ 100 %)으로 나타낸 것이므 로 하천의 유량변동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 현 가능하다.

(1)
Percent of Day Flow Exceeded % = Rank / Number of data × 100

이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된 8년의 일평균유량을 이용하여 매년 1월 1일부터 그해 12월 31일까지를 수문년(Hydrological year)으로 정하고, 가장 최근 해인 2018년을 기준으로 수문년을 누적시켰으며, 누적 일평균유량을 이용하여 8개의 FDC를 작 성하였다(Table 2).

Table 2. Flow duration curve (FDC) according to each cumulative water year
Name of FDC Cumulative water year Period of FDC Name of FDC Cumulative water year Period of FDC
FDC-I 1 2018 FDC-V 5 2014~2018
FDC-II 2 2017~2018 FDC-VI 6 2013~2018
FDC-III 3 2016~2018 FDC-VII 7 2012~2018
FDC-IV 4 2015~2018 FDC-VIII 8 2011~2018

생성된 8개의 FDC를 비교하기 위하여 NSE 분석기법을 이용하였는데, NSE 분석은 관측치와 예측치의 불일치 및 관 측치의 초기 분산을 비교하여 관측치와 예측치의 차이를 통 계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이다. 이 분석은 우선 관측치와 예측 치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wang et al. (2018) 연구결과를 응용하여 8개의 FDC 중 8년 누적 일평균 유량 자료를 이용한 FDC-VIII를 낙본A 단위유역 말단 수체 의 유량을 대표하는 FDC(이하 대표유량지속곡선)로 가정하 고, 대표유량지속곡선과 각각의 FDC(FDC-I ~ FDC-VII)의 초과백분율 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비교대상은 FDC의 모든 값(0 ~ 100 %)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FDC-VIII 를 대표유량지속곡선으로 선정한 이유는 본 지점이 계측화 된 시기가 2011년 이후라 최근 10년 FDC 산정이 불가능하 기 때문이다. 추후 이 지점의 계측자료가 추가로 확보된다면 10년 누적 대표유량지속곡선 선정 재산정하여 본 연구의 타 당성 검증에 대한 보강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NSE 분석은 수문·수질 모델링 분야에서 가장 널리 이용 되는 통계적 지표로 Nash and Sutcliffe (1970)가 제안하였다. NSE의 범위는 -∞ ~ 1.0이며 1.0에 가까울수록 예측치가 관 측치의 경향을 잘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음의 값을 나타나면 모의 결과를 이용하는 것보다 실측치의 평균을 사 용하는 것이 더 좋음을 의미한다. NSE는 모의결과가 불량하 더라도 선형관계가 나타나면 높은 일치율을 보이는 R2 의 단 점을 보완할 수 있고, 자료의 개수에 관계없이 절대적 평가 기준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동안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왔다(Hwang et al., 2018; Moriasi et al., 2007). 본 연구에서는 각 FDC별 비교를 위해 Oi 는 초과백분율에 따른 대표유량지속곡선(FDC-VIII)의 유량을 적용하였으며, Pi 는 각 FDC의 유량, Qavg 는 대표유량지속곡선의 유량 산술평균 을 적용하고 분석결과를 쉽게 표현하기 위하여 식 (2)와 같 이 백분율로 변환하였다.

(2)
NSE % = 1 - i n O i - P i 2 i n O i - O avg 2 × 100

여기서, Oi 는 관측값이고, Pi 는 예측값이 되며 Oavg 는 관 측값의 산술평균이다.

FDC는 홍수빈도 분석 등 수자원의 활용 측면에서는 최대 유량이 주요한 요인이나 하천의 수체손상 분석 등 수질관리 적 측면에서는 하천의 유량조건 중 어느 조건에서 수질이 악 화되는지가 중요하므로 극치값 유량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 적으로 떨어지므로 8개의 FDC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 한 1 %에서 99 %에 해당하는 유량값을 이용하여 NSE 분석 을 수행하였다. 특정 소유역에 특정한 기간동안 획득된 자료 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의 범용적 활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본 연구에 이용된 8년 자료에 대한 각 누적년별 최대 가능 조합수에 따른 NSE 분석을 추가 실시하여 통계적 표본 제한 성을 향상시켜 잘못된 적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3. 기준유량 산정기법

기준유량 산정방법으로 말단지점의 자동수위국이 존재하 는 계측유역일 경우는 수위-유량곡선식을 개발하고, 1년간 365개 매일 일평균유량을 산정한 후 유황분석을 통해 산출 하게 되고, 10년 평균 FDC는 이와 같이 개발된 일평균유량 에 대한 초과확률 분석을 통해 대표유량지속곡선을 산정한 후 유역을 대표하는 기준유량을 산정하게 된다. 반면 미계측 유역은 유량이 계측된 사례가 없어 유량자료가 전무한 유역 과 불완전한 계측(부분계측과 미계측)으로 정확한 유황분석 이 어려운 유역을 통칭하여 정의한다. 기준유량 산정기법의 분류를 명확히 하기 위해 부분계측 유역의 기준유량 산정기 법으로는 확장법과 백분위법이 있으며, 미계측 유역의 산정 기법으로는 면적비법과 지역회귀법이 있다(Baek, 2014).

2.3.1. 확장법(Extension Method)

1년 365일 매일의 유량자료 없이 부분적으로 계측이 진행 된 자료를 통해 유황분석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 른다. 왜냐하면 기준유량 중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 및 갈수 량은 1년 일 연속유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였을 때 각각 85, 185, 275 및 355번째에 해당하는 값으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만일 매일이 아닌 평균 8일 간격으로 유량을 계측했다면 외 삽이나 내삽을 통해 365개의 유량으로 확장해야 정확한 기준유 량 산정이 가능해진다. 미지질조사국(United State Geological Survey, USGS)과 국내에서는 연속 관측된 자료를 전이하여 수문학적으로 동일 혹은 유사한 유역에서 부분 계측된 유량 자료가 365일 연속유량자료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이를 현재 국내 상황으로 치환해 보면 환경부 홍수통제 소가 제공하는 일유량을 환경부 물환경연구소가 제공하는 평 균 8일 간격 유량으로 전이하여 일평균유량으로 만들 수 있 음을 의미한다. 이 기법 적용의 제한성은 기법 전이에 있어 두 유역간 수문학적 동질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 내 대부분의 유역은 강우와 유역특성 등 자연적인 요인에 의 존한 자연유역보다 자연적인 요인과 더불어 유역별로 복잡하 게 발생하는 물수지 영향을 받는 조절유역이 대부분으로 수 문학적 동질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확장법 적용을 통해 산 정된 기준유량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내포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irsch, 1982; Kim et al., 2017a; Ries and Friesz, 2000). 또한, 종속변수가 1개이며 회귀함수가 선형인 회귀모 형은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분포상태가 정규분포일 경우는 합리적인 추정치를 제공하지만, 분포가 평균대비 극대/극소 값이 커지는 비정규분포일 경우는 평균에서 편차가 커지는 극대/극소값 추정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오차를 발생하는 것 으로 보고하고 있다(Kim et al., 2017b).

2.3.2. 백분위법(Percentile Method)

이 방법은 평균 8일 간격 유량자료를 연속 일유량자료로 확장시키지 않고 계측된 약 45개 내외의 유량자료만을 가지 고 유황분석을 하는 기준유량 산정방식이다. 유황분석에서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 및 갈수량은 각각 백분위수 (Percentile)로 0.740, 0.493, 0.247과 0.027에 해당한다. 연속 유량(모집단)에서 45여 개 유량자료(표본)가 무작위로 추출 되었다는 가정하에 표본을 가지고 각각의 백분위수에 해당 하는 유량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간단한 절차와 방법을 통해 기준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에 모집단으로부터 무작위로 표본이 추출되었다는 가정하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나, 단지 1년의 평균 45여 개 자료만을 가지고 기준유량을 추정할 경우 표본이 편향 (Bias)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홍수량/갈수량과 같은 극 대/극소값에 편향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aek, 2014). 하지만 분석 자료연수 10년에 해당하는 총 450개 표 본에 대한 백분위법 FDC를 산정 후 대표유량지속곡선과 비 교·평가결과 상당히 유사한 곡선식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표본의 자료 수가 적을 경우 에는 통계의 대표성이 적어 편향된 추정결과를 제공하지만, 표본의 크기가 5년(약 45개×5년=225개) 이상인 경우 이 방 법으로 추정한 ‘표본 기준유량이 모집단의 기준유량을 대변 할 수 있다’라는 Hwang et al. (2018)의 연구성과로 볼 때 충 분히 적용 가능한 기법이라 판단된다. 최근 세계 이상기후로 국내도 국지적 돌발강우로 인한 도시침수 및 범람이 빈번히 발생하고, 주변 동일한 유역특성을 보이는 지점일지라도 기 상 특성에 따른 완전히 따른 유출특성을 보이는 경우도 발생 한다. 또한, 동일한 기상 및 유역특성을 가지더라고 유역 내 복잡한 물수지 영향으로 출구지점의 유출양상이 다른 경우 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기존에 알려진 미계측 유역 에 대한 통계적 확장기법보다 이 방법이 보다 합리적인 기준 유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3.3. 면적비법(Drainage-Area Method)

유량자료가 전무한 미계측유역에서는 인근의 계측유역자 료를 이용하여 기준유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을 사 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역에서 유출되는 자연유량은 강 우사상과 유역의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이 중 강우사상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유역의 특성 중 가장 유량에 민감한 인 자는 면적이라 할 수 있다. 유역의 면적만을 중요 변수로 간 주하여 인근 유역이나 특정 지점에서 계측된 유량값을 면적 비로 전이시키는 방법이 면적비법이다. 면적비법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식 (3)과 같다.

(3)
Q 1 = Q 2 A 2 A 1

여기서 Q1 은 미계측 유출량(m3/s), Q2 는 계측 유출량 (m3/s), A1 은 미계측 유역면적(km2), A2 는 계측 유역면적 (km2)이다. 면적비법의 장점은 인근 유역에 관측된 유량자료 가 있다면 유역면적만을 통해 간단히 유량을 추정할 수 있다 는 간편성에 있다. 또한, 유량이나 유역특성에 관한 정보가 전무한 경우에도 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하지 만 자연유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제반 요소들을 전부 무시하기 때문에 오차가 크게 발생할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Ries and Friesz (2010)는 면적비법을 사용할 때 유역간 면적 비가 0.3 ~ 1.5배 이내인 경우를 추천한 바 있다.

2.3.4. 지역회귀법(Regional Regression Method)

지역회귀법은 앞서 논의한 면적비법처럼 하나의 인자(유역 면적)에 비례하여 유량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고, 유량에 영 향을 미치는 유역특성 인자들을 조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경험식을 만들어 유량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유 역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는 유역의 면적을 차지하더라도 유 역길이, 경사, 고도, 하천의 수, 하천의 평균폭과 수심, 기저 유출지수 및 유출곡선지수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다. 이 중 특정 유황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인자만을 골라 경험식을 개발하게 되는데, Lee et al. (2016) 은 지형 및 기상학적 인자만으로 미계측 유역의 저유량부 유 황곡선을 추정할 수 있는 지역회귀곡선식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으로 기준유량을 산정할 경우 고유량보다는 주로 저유 량부분의 추정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Baek, 2014; Cho et al., 2007; Lee et al., 2016; Vogel and Kroll, 1992).

본 연구는 이 들 중에서 최근 Lee et al. (2016)의 연구에서 제안한 기준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유역면적, 유역평 균강수량, 유출곡선지수 3가지로 추정한 식 (4)를 이용하였 다. 이 식은 다른 제안식과 같이 단일 기준유량 추정이 아닌 전체 FDC 추정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4)
Q day = α A β R γ CN Δ 1 - 1.662 × ln day

여기서 Qday 는 초과 기준일에 해당하는 기준유량(m3/s), A 는 유역면적(km2), R는 유역평균강수량(mm), CN 는 유출곡 선지수, day는 일평균유량, α = 0.00015, β = 1.0886, γ = 0.6494, δ = 0.1349는 각각 회귀계수 값이다. 낙본A 유역에 적용하기 위해 Arc-GIS 10.6.1 내 Hydrology, Geostatistical Analyst, Spatial Analyst Tools을 이용하여 유역특성 인자들 을 추출하였으며, 도시결과는 Fig 2와 같으며, 그 주요 인자 값 추출결과는 Table 3에 산정하였다.

Fig. 2. Study area of Nakbon-A watershed.
../../Resources/kswe/KSWE.2019.35.6.481/JKSWE-35-481_F2.jpg
Table 3. Hydrological and geometric property of Nakbon-A watershed
Unit watershed Drainage area A (km2) Mean annual precipitation R* (mm) Runoff curve number CN (Non-dimension)
Nakbon-A 201.3 1,280.7 83.0

* Universal kriging method

낙본A 대표유량지속곡선 기준유량을 기준으로 4가지 기준 유량 산정기법 간의 비교·평가는 Jung (2011)Park, Hwang et al. (2012)에서 제안한 방법들로 관측치와 예측치 의 적합성과 상관성을 판단하기 위해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 및 상대오차( %Difference, %)를 사용하였으 며, 두 값의 효율성은 NSE 분석기법을 이용하였다.

(5)
R 2 = SSR / SST = i = 1 n Y i - Y ¯ 2 / i = 1 n Y ˆ i - Y ¯ 2
(6)
SE = i = 1 n O i - P i 2 / N 0.5
(7)
% Diff . = i = 1 n O i - i = 1 n P i / i = 1 n O i × 100

여기서 결정계수 R2 은 잔차제곱합(Total Sum of Squares, SST) 중에서 회귀제곱합(Residual Sum of Squares, SSR)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SST는 종속변수 Yi 가 평균 Y로부터 떨 어져 있는 거리들의 제곱합의 총변동량을 의미하고, SSR은 회귀식에 의해 추정된 Y ˆ i 가 평균 Y 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 들의 제곱합을 나타낸다. 최소자승기준에 의해 추정된 YiYi와 최대한 가깝게 산출되므로 결정계수는 음수(-)값을 가 질 수 없으며,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추정된 회귀식이 적합성이 높으면 1에 가깝게 된다. SE와 %Diff는 값이 작을 수록 관측치와 예측치 사이의 오차가 작음을 의미하며, NSE 는 100 %에 가까울수록 효율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유량지속곡선 작성 및 분석

낙본A 단위유역에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연도별로 개 발된 수위-유량곡선식에서 산정된 일평균유량(환산유량)과 실측유량 사이의 도시결과는 Fig 3과 같고, 타당성 평가결과 는 Table 4와 같이 분석되었다. 평가결과 상대오차(%) = 1.3, R2 = 0.907, RMSE = 0.163, %DIFF. = -1.9, NSE(%) = 100 으로 나타나 개발된 곡선식으로부터 산정된 환산유량이 실 측유량값을 효율적으로 잘 재현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곡선식으로부터 확보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8 년의 2,922개 일평균유량자료를 이용하여 Table 2에 따라 8 개의 시계열 누적변화에 따른 FDC를 작성하고(Fig 4), 각각 의 초과확률에 따른 기준유량 산정결과를 정리하면 Table 5 와 같다. Table 5에는 대표유량지속곡선에서 산정된 기준유 량 대비 상대오차(%) 결과도 함께 수록하였는데, 분석결과 극대치(1 %)를 제외하고 FDC-VI 이후 누적유량지속곡선의 기준유량 분석결과가 대표유량지속곡선의 기준유량과 상대 오차가 10 % 미만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 히 FDC-III 이후 기준유량과 비교 시 저수량 구간인 60 ~ 90 % 구간의 일부 상대오차값이 10 %을 상회하는 결과를 보이 지만 최대 -16.8 %로 10 % 내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추정해 볼 때, 이 유역의 대표기준유량(2011 ~ 2018; 8년) 선정 시 변동성은 있지만, 최소 3년에서 최대 6년 이상의 누적 일평균유량 자료를 정확히 분석하면 유역을 대 변하는 대표유량지속곡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Fig. 3. Mean daily flow of Nakbon-A watershed.
../../Resources/kswe/KSWE.2019.35.6.481/JKSWE-35-481_F3.jpg
Table 4. Validation of mean daily flow of Nakbon-A watershed
Index Validation
Evaluated flow (m3/s) 5.692
Observed flow (m3/s) 5.801
Relative Error (%) 1.3
R2 0.907
RMSE 0.163
%DIFF. -1.9
NSE(%) 100
Fig. 4. Flow duration curves according to each cumulative water year.
../../Resources/kswe/KSWE.2019.35.6.481/JKSWE-35-481_F4.jpg
Table 5. Results of standard flows according to each cumulative water year
Name of FDC Period of FDC Cumulative water year Standard flow(m3/s)
1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99 %
FDC-I 2018 1 160.043 (74.2) 16.312 (64.9) 8.053 (46.1) 6.089 (60.2) 4.647 (58.1) 3.876 (60.9) 3.308 (58.6) 2.802 (60.9) 2.287 (55.0) 1.673 (40.0) 1.174 (33.4)
FDC-II 2017-2018 2 92.659 (0.9) 11.611 (17.4) 6.390 (15.9) 4.534 (19.3) 3.392 (15.5) 2.698 (12.0) 2.101 (0.8) 1.556 (-10.6) 1.245 (-15.6) 1.044 (-12.7) 0.841 (-4.5)
FDC-III 2016-2018 3 99.532 (8.3) 9.471 (-4.2) 5.510 (0.0) 3.953 (4.0) 3.005 (2.3) 2.349 (-2.5) 1.970 (-5.5) 1.556 (-10.6) 1.268 (-14.0) 1.056 (-11.6) 0.850 (-3.5)
FDC-IV 2015-2018 4 71.241 (-22.4) 8.920 (-9.8) 5.183 (-6.0) 3.736 (-1.7) 2.870 (-2.3) 2.256 (-6.3) 1.827 (-12.4) 1.506 (-13.5) 1.227 (-16.8) 1.028 (-14.0) 0.850 (-3.5)
FDC-V 2014-2018 5 69.051 (-24.8) 9.186 (-7.1) 5.246 (-4.8) 3.789 (-0.3) 2.907 (-1.1) 2.278 (-5.4) 1.879 (-9.9) 1.554 (-10.7) 1.284 (-13.0) 1.082 (-9.5) 0.861 (-2.2)
FDC-VI 2013-2018 6 67.300 (-26.7) 8.840 (-10.6) 5.089 (-7.7) 3.711 (-2.3) 2.938 (0.0) 2.340 (-2.8) 1.955 (-6.2) 1.616 (-7.2) 1.345 (-8.8) 1.119 (-6.4) 0.868 (-1.4)
FDC-VII 2012-2018 7 73.589 (-19.9) 9.501 (-4.0) 5.266 (-4.5) 3.714 (-2.3) 2.905 (-1.1) 2.307 (-4.2) 1.987 (-4.7) 1.671 (-4.0) 1.420 (-3.8) 1.155 (-3.4) 0.876 (-0.5)
FDC-VIII 2011-2018 8 91.863 9.892 5.513 3.800 2.938 2.409 2.085 1.741 1.475 1.195 0.880
Remarks : ( ) relative error (%)

FDC의 x축은 해당 y축 유량보다 큰 유량이 나타나는 빈도 (이하 초과백분율)를 의미하므로 FDC에서 추출된 ‘초과백분 율-유량’을 NSE를 이용하여 누적 수문년에 따라 도식된 8개 FDC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NSE는 관측치와 예측치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100 %에 가까울수록 두 값이 통계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외에서는 Donigian et al. (1983)는 NSE가 80 %보다 크면 ‘satisfactory’ 라 표현하였고, Singh et al. (2004)은 NSE가 65 %보다 크면 ‘satisfactory’라 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Hwang et al. (2018)이 비교되는 두 FDC의 NSE가 90%보다 큰 경우는 통계적으로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했으며, 본 연구결과에서는 Hwang et al. (2018)의 연구결과를 준용하였다. 낙본A 단위유역의 NSE 분석결과는 Table 6과 같으며, 이 결과를 살펴보면 FDC(FDC-II ~ FDC-VII)에서 NSE가 90 % 이상으로 나타났 으며, FDC-I만이 90 % 미만으로 분석되었다. Table 6에서 주 목할 점은 FDC-II ~ FDC-VII에서는 90 % 이상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NSE값을 보이지만, NSE값이 FDC-III에서 최대값(99 %)을 보이며, 그 보다 누적년이 많은 FDC-VI에서 최소값(94 %)을 보이는 누적년이 증가했지만 상대적으로 설명력이 떨어 지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Comparison of NSE analysis results
Unit Watershed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
FDC each scenario
FDC-I FDC-II FDC-III FDC-IV FDC-V FDC-VI FDC-VII FDC-VIII
Nakbon-A 36 97 99 96 95 94 97 100

이와 같은 결과는 최근 년부터 누적하여 분석한 표본 결과 의 대표성이 부족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이 유 역의 연도별 유량이 미래에도 이러한 순서대로 발생한다는 보장이 없기에 연도 순서에 상관없이 누적년별 가능한 최대 조합수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누적년별 최대 조합에 대한 상자그림 분석결과는 Fig. 5와 같으며, 이 그림에 대한 대표 통계량은 Appendix 12에 수록하였다. 여기에서 알 수 있 듯이 누적년이 증가할수록 초과확률별 기준유량과 상대오차 상자그림의 변동성이 점점 안정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특히 국내 총량관리에서 중요한 기준유량인 평수량(50.7 %)과 저수량(75.3 %)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상대오차 10 % 미만의 기준유량을 제공하는 최소 누적년은 전체 통계량 (max~min) 기준으로 살펴보면 7년 이상의 자료가 확보되어 야 하지만, 극대/극소 등 표본 통계량의 이상치들을 제외한 25 % ~ 75 % 범위 통계량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최소 3년 이 상의 누적년 자료가 확보되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안 전율 ±10 % 미만의 기준유량을 설정해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 말해 유역 내 복잡한 물수지 자료와 방대 한 기상자료 수집을 통한 유역 수문모형 구축 없이도 최소한 의 현장 모니터링 자료(평균 8일 간격; 표본 추출의 무작위 성 가정)만 확보된다면 충분히 그 유역을 대변할 수 있는 기 준유량을 설정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FDC 조합분석에 대한 NSE 상자그림 도시결과는 Fig. 6과 같으며, 분석 결과 값은 Table 7에 수록하였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상 자그림의 대표 통계량을 살펴보면 누적년이 증가할수록 예 측값의 통계적 설명력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되어 낙본A 표본에서 누적년이 증가하는데 설명력이 떨 어지는 부분은 표본 오차인 것으로 파악된다.

Fig. 5. Box-plot for each FDC scenarios.
../../Resources/kswe/KSWE.2019.35.6.481/JKSWE-35-481_F5.jpg
Fig. 6. Box-plot of NSE for each FDC scenarios.
../../Resources/kswe/KSWE.2019.35.6.481/JKSWE-35-481_F6.jpg
Table 7. Comparison of NSE results
Unit Watershed Statistic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
FDC each scenario
FDC-I FDC-II FDC-III FDC-IV FDC-V FDC-VI FDC-VII FDC-VIII
Nakbon-A max 95 100 100 100 100 100 100 100
75 84 96 99 99 99 100 100 100
50 73 89 94 97 98 99 99 100
25 54 78 82 92 95 98 99 100
min -204 26 33 65 81 94 97 100
ave 37 82 90 94 96 98 99 100

이상의 결과로부터 낙본A 단위유역의 대표유량지속곡선 (2011 ~ 2018; 8년) 작성을 위해서는 최소 3년(약 45개×3년 =135개)의 일평균유량을 누적하여 분석할 경우 대표유량지속 곡선을 대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성 과는 Hwang et al. (2018)이 한강수계 34개 총량관리 단위유 역에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수 문모형을 이용한 일평균유량의 시계열 누적 변화에 따른 FDC 차이 분석결과 단위유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최소 5년 의 일평균유량을 누적하여 적용할 경우 대표유량지속곡선 (2006 ~ 2015; 10년)을 대변할 수 있다라는 연구성과에 대한 타 수계 적용에 충분한 과학적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판단 된다. 기타 유역 적용성에 있어서 본 지점의 일평균유량은 유역모형에 의해 추정된 자료가 아닌 유역에서 실측된 관측 유량과 수위-유량곡선식에서 산출된 환산유량을 기준으로 분석된 결과라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2004년 부터 실측 조사된 TMDL 부분계측 유량자료의 확장 가능성 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이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성과로 판단된다.

3.2. 기준유량 산정기법간 비교·평가

환경부에서는 TMDL을 위해 단위유역 말단지점에 위와 같 이 자동수위국이 완전하게 일치하는 완전계측지점으로 기준 유량 산정이 불가능한 지점이 상당수 존재한다. 이와 같이 부분계측(평균 8일 간격)유역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한 기 준유량 산정기법인 확장법, 백분위법과 미계측 유역의 산정 기법인 면적비법과 지역회귀법 산정결과를 위 대표유량지속 곡선의 기준유량 산정결과와 4가지 기준유량 산정기법간의 관측치와 예측치간의 통계적 적합성, 상관성 및 효율성을 비 교·평가하여 그 적용성과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Table 8에는 대표유량지속곡선 기준대비 4가지 확장기법에 대한 통계적 기법들에 대한 분석결과를 수록한 결과이다. 분석 결과 최적의 확장기법으로 최소 RMSE를 보인 기법은 백분위 법이였으며, 그 다음 기법으로 확장법이 선정되었다. 완전미계 측 유역에 대한 확장기법 적용성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는 의외 로 면적비법이 지역회귀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 인 것은 본 연구의 주목할만한 점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계 측 유역의 기준유량 예측값을 복잡한 지역회귀식을 적용하여 산정하여도 유역면적비를 이용한 단순 비례식보다 우수한 예 측값을 제공해 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으로, 이 두 기법에 대한 단순 적용에 있어서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 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국내에서 분석되는 대부분의 하천이 자 연유역이 아닌 조절유역으로 환경기초시설 방류, 취수, 댐 방류 와 같은 인위적 요인 등 유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복잡한 물수지를 형성하여 정확한 유출 량 산정을 어렵게 한다. 이 유역 또한 말단지점에서 상류 약 4.5 km 우안에 위치한 태백하수처리장의 방류량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지점으로 평균방류량이 0.341 m3/s에 달한다(Kim et al., 2017b). 이 양은 FDC-VIII 초과확률 50 % 대비 기준유량 인 2.409 m3/s의 14.2 %에 해당하는 값이며, 99 % 기준유량인 0.880 m3/s의 43.2 %에 해당하는 값으로 최악의 가뭄이 발생 할 경우 이 유역 하천유량의 약 50%는 하수처리장 방류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Table 8. Comparison of four streamflow record extension techniques
Unit Watershed Items Partially recored Completely ungauged
Extension method Percentile method Drainage-area method Regional regression method
Nakbon-A R2 1.000 0.933 0.978 0.633
RMSE 3.1 2.9 6.1 10.5
%DIFF. 5.9 -2.5 47.3 68.9
NSE(%) 93 94 73 20
Remarks Δ
Remarks

○ The best extension method

Δ Alternative method

Table 9는 낙본A 단위유역에 대한 FDC-VIII 대비 확장기법 들을 이용하여 추정된 기준유량을 산정한 결과로, 백분위법 (Percentile method)으로 추정한 결과가 FDC-VIII대비 전체구 간에서 추정한 기준유량 결과와 비교할 때 상대오차 10 % 내외 로 추정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국내 TMDL를 위해 평균 8일 간격으로 조사된 45여 개 유량자 료(표본)가 어느 정도 자료연수가 확보되는 경우(여기서는 8년 에 총 310개 표본 유량자료를 이용) 표본의 무작위성이 확보되 어 모집단의 통계량 추정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국내와 같이 자연유역이 아닌 복잡한 물수지를 가지고 있는 유역에 대한 기준유량 추정에 있어서 평균 8일 간격으로 조사 된 총량유량이 통계적 무작위성을 확보한다는 가정에 위배되 지 않을 경우 다른 확장기법 보다 우수한 추정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9. Standard flows of four streamflow record extension techniques
Classification Method Standard Flow(m3/s)
Abundant Q95 (26.0 %) Ordinary Q185 (50.7 %) Low Q275 (75.3 %) Drought Q355 (97.3 %)
Partially gauged Extension method 4.358 (-0.8) 2.920 (23.1) 2.370 (48.0) 1.909 (100.1)
Percentile method 4.455 (1.5) 2.318 (-2.3) 1.431 (-10.6) 0.942 (-1.2)
Completely ungauged Drainage-area method 2.503 (-43.0) 1.080 (-54.5) 0.584 (-63.5) 0.191 (-80.0)
Regional regression method 2.238 (-49.0) 1.210 (-49.0) 0.613 (-61.7) 0.220 (-77.0)
gauged FDC-VIII 4.391 2.373 1.601 0.954
Remarks : ( ) relative error (%)

Fig. 7과 Table 10은 낙본A 단위유역에 초과백분율-유량 도 시결과 및 1 ~ 99 % 초과백분율에 따른 FDC-VIII 대비 확장 기법별 기준유량 산정결과를 수록하였다. 산정결과 부분계측 에서는 전구간에서 추정한 기준유량의 상대오차가 10 % 미만 으로 우수하게 추정하는 기법으로는 백분위법이었으며, 확장 법은 초과백분율 20 ~ 30 % 구간을 제외하고 고유량에서는 과소 추정을, 30 % ~ 99 % 구간에서는 최대 110.9 %(초과백 분율 99 %)까지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완전 미계 측 기법인 면적비법과 지역회귀법은 FDC-VIII 대비 추정유 량이 전구간에서 -35.8 ~ -91.9 %까지 과소추정되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 확장기법인 면적비법과 지역회귀법을 이용한 기준유량 산정시 많은 오차가 수반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유역별 적용시 사용에 제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Flow duration curves according to each streamflow record extension technique.
../../Resources/kswe/KSWE.2019.35.6.481/JKSWE-35-481_F7.jpg
Table 10. Result of standard flows according to each streamflow record extension technique
Classification Method Standard Flow(m3/s)
1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99 %
Partially gauged Extension method 66.675 (-27.4 ) 8.276 (-16.3) 5.157 (-6.5) 3.937 (3.6) 3.323 (13.1) 2.945 (22.3) 2.715 (30.2) 2.469 (41.9) 2.280 (54.6) 2.081 (74.1) 1.856 (110.9)
Percentile method 67.804 (-26.2) 10.715 (8.3) 6.008 (9.0) 3.947 (3.9) 2.917 (-0.7) 2.369 (-1.7) 1.879 (-9.9) 1.514 (-13.0) 1.284 (-13.0) 1.089 (-8.9) 0.828 (-5.9)
Completely ungauged Drainage-area method 41.370 (-55.0) 6.353 (-35.8) 3.316 (-39.8) 2.109 (-44.5) 1.436 (-51.1) 1.093 (-54.6) 0.864 (-58.6) 0.661 (-62.0) 0.521 (-64.7) 0.394 (-67.0) 0.127 (-85.6)
Regional regression method 7.469 (-91.9) 3.695 (-62.6) 2.622 (-52.4) 2.013 (-47.0) 1.569 (-46.6) 1.234 (-48.8) 0.953 (-54.3) 0.722 (-58.5) 0.516 (-65.0) 0.340 (-71.6) 0.194 (-77.9)
gauged FDC-VIII 91.863 9.892 5.513 3.800 2.938 2.409 2.085 1.741 1.475 1.195 0.880
Remarks : ( ) relative error (%)

4. Conclusion

본 연구는 낙본A 단위유역 말단지점에 설치된 자동수위국 계측자료를 활용하여 FDC를 작성하고, 시계열 누적 변화에 따른 FDC의 차이를 NSE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 하였으며, 유역을 대표하는 FDC 작성을 위한 최소 누적년 일평균유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표유량지속곡선 (FDC-VIII) 대비 기준유량(풍, 평, 저 및 갈수량) 결정에 있 어서 유량의 부분계측이나 미계측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불확실성을 파악하고자 기준유량 산정방법들을 평가해 보았 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본A 단위유역에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연도별로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식에서 산정된 일평균유량(환산유량)과 실측유량 사이의 타당성 평가결과 상대오차(%) = 1.3, R2 = 0.907, RMSE = 0.163, %DIFF. = -1.9, NSE(%) = 100으로 나타나 개발된 곡선식으로부터 산정된 환산유량이 실측유량 값을 효율적으로 잘 재현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환 산유량에 대한 누적년 총 8년간의 FDC-VIII를 구축하였으 며, 곡선상의 대표 기준유량인 풍수량, 평수량, 저수량 및 갈 수량은 각각 4.391, 2.373, 1.601 및 0.954 m3/s인 것으로 분 석되었다.

  2. 현재 TMDL은 최근 10년 평균 특정 유량조건인 기준유 량에서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낙본A 단위유역도 가장 최근 해인 2018년을 기준으로 시계열 누적 변화에 따른 FDC를 작성하고 FDC-VIII 대비 FDC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유역의 대표유량지속곡선 작성을 위 해서는 NSE 분석결과 90 % 이상의 효율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 누적 일평균유량은 2년이상에서 나타났으며, 상대오 차 10 % 이내의 기준유량 산정결과를 요구할 경우 최소 3년 에서 최대 6년 이상의 누적 일평균유량 자료만 있으면 대표 유량지속곡선을 대변할 수 있는 FDC를 작성할 수 있는 것으 로 추정되었다.

  3. 이 유역의 최근 누적년 NSE 분석결과 누적년(FDC-VI) 이 증가했지만 상대적으로 설명력이 떨어지는 결과는 최대 가능 조합분석결과 표본 결과의 대표성이 부족하여 발생한 오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정 소유역에 특정한 기간동안 획득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의 범용적 활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본 연구에 이용된 8년 자료에 대한 각 누적년 별 최대 가능 조합수에 따른 NSE 분석을 추가하여 통계적 표본 제한성을 향상시켜 잘못된 적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낙본A 단위유역의 FDC-VIII 작성을 위해 서는 최소 3년(약 45개×3년=135개)의 일평균유량을 누적하 여 분석할 경우 FDC-VIII를 대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4. 이 연구성과는 Hwang et al. (2018)이 한강수계 34개 총 량관리 단위유역에 HSPF 수문모형을 이용한 일평균유량의 시계열 누적 변화에 따른 FDC 차이 분석결과 단위유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최소 5년의 일평균유량을 누적하여 적용할 경우 대표유량지속곡선(2006 ~ 2015년; 10년)을 대변할 수 있다라는 연구성과에 대한 타 수계 적용에 충분한 과학적 타 당성이 입증되었다고 판단된다. 기타 유역 적용성에 있어서 본 지점의 일평균유량은 유역모형에 의해 추정된 자료가 아 닌 유역에서 실측된 관측유량과 수위-유량곡선식에서 산출 된 환산유량을 기준으로 분석된 결과라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2004년부터 실측 조사된 TMDL 부분계측 유량자료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검증 차원에서 의의가 있다 고 판단된다.

  5. 이 유역에 대한 FDC-VIII 기준유량 대비 확장기법별 추 정유량에 대한 타당성 분석결과 백분위법(Percentile Method) 이 R2 = 0.933, RMSE = 2.9, %DIFF. = -2.5, NSE(%) = 94 로 최적의 추정기법으로 선정되었으며, 초과확률별 ±10 % 내외의 기준유량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대안기 법으로 확장법(Extension Method)이 R2 = 0.933, RMSE = 2.9, %DIFF. = -2.5, NSE(%) = 93으로 선정되었으나, 초과 확률 50 % 이상에서는 10 % 이상 초과하는 기준유량을 제공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계측 유역에 대한 확장기법인 면적 비법(Drainage-Area Method)과 지역회귀법(Regional Regression Method)으로 추정한 기준유량은 FDC-VIII 기준유량 대비 50 % 이상 과소 산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자연유출 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제반 요소들을 무시하고 기상 및 특정 유역특성 인자만 고려한 이 두 기법을 적용할 경우 상 대적으로 큰 오차를 수반할 수 있게 때문에 적용에 상당히 주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낙동강수계 유량측정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 였습니다(NIER-2019-01-01-078).

Appendices

Appendix 1. Standard flow for each FDC scenarios.

Name of FDC Number of combination Cumulative water year Statistic Standard flow(m3/s)
1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99 %
FDC-I 8 1 max 274.872 16.312 8.151 6.089 4.647 3.876 3.308 2.802 2.287 1.783 1.503
Q75 160.645 13.996 7.428 4.462 3.109 2.677 2.309 1.988 1.769 1.525 1.252
Q50 112.729 9.388 5.045 3.608 2.767 2.280 2.049 1.790 1.553 1.346 1.155
Q25 47.908 7.172 4.257 3.221 2.430 2.064 1.763 1.499 1.287 1.052 0.955
min 43.878 6.110 3.964 2.479 1.981 1.541 1.273 1.149 1.044 0.931 0.819
ave 120.227 10.419 5.730 3.918 2.915 2.427 2.106 1.818 1.578 1.325 1.131
FDC-II 28 2 max 162.453 15.284 8.106 5.594 4.229 3.293 2.783 8.081 2.198 2.457 4.529
Q75 108374 11.422 .329 4.438 3.217 2.705 2.287 2.015 1.709 1.454 1.168
Q50 93.675 10.343 5.496 3.551 2.832 2.327 2.053 1.750 1.495 1.223 0.997
Q25 54.654 8.084 4.755 3.240 2.558 2.131 1.771 1.555 1.277 1.044 0.862
min 4.374 1.571 1.418 2.034 2.160 1.716 1.434 1.224 1.085 0.944 0.832
ave 87.032 9.811 5.480 3.782 2.932 2.428 2.053 1.992 1.520 1.296 1.130
FDC-III 56 3 max 160.043 14.747 7.757 5.298 3.741 2.995 2.613 2.244 1.906 1.624 1.248
Q75 123.376 11.396 6.243 4.369 3.279 2.646 2.199 1.910 1.628 1.350 1.003
Q50 94.691 9.965 5.514 3.731 2.917 2.386 2.085 1.740 1.481 1.203 0.880
Q25 75.559 9.168 4.827 3.399 2.624 2.208 1.892 1.627 1.347 1.103 0.850
min 43.878 6.601 4.022 2.939 2.249 1.879 1.573 1.304 1.119 0.995 0.839
ave 96.397 10.142 5.554 3.841 2.934 2.431 2.069 1.759 1.489 1.229 0.943
FDC-IV 70 4 max 148.493 13.649 7.356 4.941 3.471 2.895 2.469 2.131 1.809 1.533 1.216
Q75 102.989 11.013 5.980 4.180 3.175 2.582 2.186 1.855 1.581 1.316 0.905
Q50 94.691 9.997 5.516 3.801 2.946 2.410 2.087 1.740 1.469 1.194 0.872
Q25 75.664 9.211 5.092 3.453 2.714 2.245 1.946 1.644 1.364 1.110 0.856
min 43.878 7.039 4.171 3.089 2.318 1.991 1.673 1.421 1.214 1.027 0.847
ave 92.668 10.068 5.541 3.823 2.932 2.419 2.066 1.754 1.482 1.215 0.917
FDC-V 56 5 max 129.690 12.586 6.609 4.486 3.293 2.752 2.326 2.055 1.744 1.468 1.175
Q75 102.989 10.449 5.890 4.058 3.111 2.555 2.164 1.842 1.555 1.265 0.906
Q50 92.659 10.153 5.521 3.806 2.975 2.411 2.090 1.746 1.475 1.189 0.881
Q25 75.940 9.286 5.128 3.503 2.745 2.275 1.969 1.675 1.407 1.135 0.861
min 48.259 7.757 4.457 3.165 2.446 2.109 1.767 1.512 1.280 1.080 0.854
ave 90.260 10.051 5.546 3.819 2.931 2.413 2.068 1.754 1.481 1.212 0.898
FDC-VI 28 6 max 106.945 11.396 6.236 4.203 3.166 2.642 2.220 1.955 1.674 1.410 1.021
Q75 99.532 10.402 5.798 3.947 3.053 2.485 2.147 1.803 1.534 1.265 0.898
Q50 92.659 9.859 5.517 3.848 2.971 2.419 2.082 1.727 1.475 1.198 0.868
Q25 82.876 9.592 5.221 3.605 2.820 2.289 1.994 1.687 1.413 1.119 0.868
min 67.300 8.316 4.664 3.308 2.576 2.158 1.832 1.583 1.345 1.116 0.868
ave 90.923 9.988 5.521 3.802 2.927 2.402 2.068 1.749 1.478 1.205 0.887
FDC-VII 8 7 max 99.532 10.428 5.794 3.951 3.028 2.469 2.134 1.800 1.529 1.255 0.903
Q75 99.532 10.376 5.794 3.918 2.974 2.464 2.110 1.752 1.479 1.176 0.876
Q50 94.204 10.115 5.611 3.854 2.926 2.384 2.059 1.722 1.452 1.155 0.876
Q25 83.842 9.476 5.289 3.758 2.914 2.342 2.041 1.713 1.431 1.153 0.876
min 73.589 9.344 5.081 3.444 2.688 2.242 1.971 1.671 1.420 1.152 0.873
ave 90.793 9.957 5.531 3.803 2.918 2.384 2.062 1.730 1.460 1.176 0.879
FDC-VIII 1 8 91.863 9.892 5.513 3.800 2.938 2.409 2.085 1.741 1.475 1.195 0.880

Appendix 2. Relative error for each FDC scenarios.

Name of FDC Number of combination Cumulative water year Statistic Relative error(%)
1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99 %
FDC-I 8 1 max 199.2 64.9 47.9 60.2 58.1 60.9 58.6 60.9 55.0 49.2 70.7
Q75 74.9 41.5 34.7 17.4 5.8 11.1 10.7 14.2 19.9 27.6 42.2
Q50 22.7 -5.1 -8.5 -5.1 -5.8 -5.3 -1.8 2.8 5.3 12.6 31.2
Q25 -47.8 -27.5 -22.8 -15.2 -17.3 -14.3 -15.4 -13.9 -12.8 -12.0 8.4
min -52.2 -38.2 -28.1 -34.8 -32.6 -36.0 -39.0 -34.0 -29.3 -22.1 -6.9
ave 30.9 5.3 3.9 3.1 -0.8 0.7 1.0 4.5 6.9 10.9 28.4
FDC-II 28 2 max 76.8 54.5 47.0 47.2 43.9 36.7 33.5 364.3 49.0 105.6 414.4
Q75 18.0 15.5 14.8 17.6 9.5 12.3 9.7 15.8 15.9 21.6 32.6
Q50 2.0 4.6 -0.3 -6.6 -3.6 -3.4 -1.5 0.6 1.3 2.3 13.2
Q25 -40.5 -18.3 -13.8 -14.8 -12.9 -11.6 -15.1 -10.7 -13.4 -12.7 -2.1
min -95.2 -84.1 -74.3 -46.5 -26.5 -28.7 -31.2 -29.7 -26.4 -21.1 -5.5
ave -5.3 -0.8 -0.6 -0.5 -0.2 0.8 -1.5 14.5 3.1 8.5 28.3
FDC-III 56 3 max 74.2 49.1 40.7 39.4 27.3 24.3 25.3 28.9 29.2 35.9 41.8
Q75 34.3 15.2 13.3 15.0 11.6 9.9 5.5 9.7 10.3 13.0 13.9
Q50 3.1 0.7 0.0 -1.8 -0.7 -1.0 -0.1 -0.1 0.4 0.7 0.0
Q25 -17.7 -7.3 -12.4 -10.6 -10.7 -8.3 -9.3 -6.5 -8.7 -7.7 -3.5
min -52.2 -33.3 -27.1 -22.7 -23.5 -22.0 -24.6 -25.1 -24.1 -16.7 -4.7
ave 4.9 2.5 0.8 1.1 -0.2 0.9 -0.8 1.0 1.0 2.8 7.1
FDC-IV 70 4 max 61.6 38.0 33.4 30.0 18.1 20.2 18.4 22.4 22.6 28.3 38.1
Q75 12.1 11.3 8.5 10.0 8.1 7.2 4.8 6.5 7.2 10.1 2.8
Q50 3.1 1.1 0.1 0.0 0.2 0.1 0.1 0.0 -0.4 -0.1 -0.9
Q25 -17.6 -6.9 -7.6 -9.1 -7.6 -6.8 -6.7 -5.6 -7.5 -7.1 -2.8
min -52.2 -28.8 -24.3 -18.7 -21.1 -17.4 -19.8 -18.4 -17.7 -14.1 -3.8
ave 0.9 1.8 0.5 0.6 -0.2 0.4 -0.9 0.8 0.4 1.6 4.1
FDC-V 56 5 max 41.2 27.2 19.9 18.0 12.1 14.2 11.5 18.0 18.2 22.8 33.5
Q75 12.1 5.6 6.8 6.8 5.9 6.1 3.8 5.8 5.4 5.8 2.9
Q50 0.9 2.6 0.2 0.1 1.3 0.1 0.2 0.3 0.0 -0.5 0.1
Q25 -17.3 -6.1 -7.0 -7.8 -6.6 -5.6 -5.6 -3.8 -4.6 -5.0 -2.2
min -47.5 -21.6 -19.2 -16.7 -16.7 -12.5 -15.3 -13.2 -13.2 -9.6 -3.0
ave -1.7 1.6 0.6 0.5 -0.3 0.2 -0.8 0.7 0.4 1.4 2.1
FDC-VI 28 6 max 16.4 15.2 13.1 10.6 7.8 9.7 6.4 12.3 13.5 17.9 16.0
Q75 8.3 5.2 5.2 3.8 3.9 3.2 3.0 3.6 4.0 5.8 2.0
Q50 0.9 -0.3 0.1 1.2 1.1 0.4 -0.2 -0.8 0.0 0.2 -1.4
Q25 -9.8 -3.0 -5.3 -5.1 -4.0 -5.0 -4.4 -3.1 -4.2 -6.4 -1.4
min -26.7 -15.9 -15.4 -13.0 -12.3 -10.4 -12.1 -9.1 -8.8 -6.6 -1.4
ave -1.0 1.0 0.1 0.0 -0.4 -0.3 -0.9 0.5 0.2 0.8 0.7
FDC-VII 8 7 max 8.3 5.4 5.1 3.9 3.0 2.5 2.3 3.4 3.6 5.0 2.6
Q75 8.3 4.9 5.1 3.1 1.2 2.3 1.2 0.6 0.3 -1.6 -0.5
Q50 2.5 2.3 1.8 1.4 -0.4 -1.0 -1.3 -1.1 -1.6 -3.4 -0.5
Q25 -8.7 -4.2 -4.1 -1.1 -0.8 -2.8 -2.1 -1.6 -3.0 -3.5 -0.5
min -19.9 -5.5 -7.8 -9.4 -8.5 -6.9 -5.5 -4.0 -3.8 -3.6 -0.9
ave -1.2 0.7 0.3 0.1 -0.7 -1.0 -1.1 -0.6 -1.0 -1.6 -0.2
FDC-VIII 1 8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References

1 
Baek K.O., 2014,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ng low-flow in ungauged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1, pp. 31-36Google Search
2 
Baek K.O., Yim D.H., 2012, Extension techniques of 8 day interval recorded stream-flow,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1, pp. 91-99Google Search
3 
Cho T.G., Kim Y.O., Lee K.S., 2007, Improving low flow estimating for ungauged basins in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2, pp. 113-124Google Search
4 
Donigian A.S.J., Imhoff J.C., Bicknell B.R., 1983, Predicting water quality resulting from agricultural nonpointsource pollution via simulation-HSP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Water Quality, Iowa State University Press, pp. 200-249
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GRI), 2010, Study on evaluating low flow in ungauged basin, [Korean Literature], Policy Report 2010-33,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p. 1-37Google Search
6 
Hirsch R.M., 1982, A comparison of four streamflow record extension techniqu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4, pp. 1081-1088Google Search
7 
Houck O.A., 2002, The clean water act TMDL program: Law, policy, and implementation, Environmental Law Institute
8 
Hwang H.S., Rhee H.P., Seo J.Y., Choi Y.J., Park J.H., Shin D.S., Lee S.J., 2018,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flow duration curve according to the cumulative variation of daily average flow in unit watershed for TPLC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60, No. 6, pp. 97-109Google Search
9 
Hwang H.S., Yoon C.G., Kim J.T., 2010, Application load duration curve for evaluation of impaired watershed at TMDL unit watershed in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6, No. 6, pp. 903-909Google Search
10 
Jung Y.H., 2011, [Korean Literature], Estimating of ungauged watershed streamflow using downstream discharge data.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8-19
11 
Kim E.K., Ryu J.C., Kim H.T., Kim Y.S., Shin D.S., 2015, Application of the load duration curve (LDC) to evaluate the achievement rate of target water quality in the han-river watershe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1, No. 6, pp. 732-738Google Search
12 
Kim G.H., Kwon H.K., Ahn J.M., Kim S.H., Im T.H., Shin D.S., Jung K.Y., 2017a, Development of long term flow duration curves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 in the Nakdong river basin -,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6, No. 8, pp. 939-953Google Search
13 
Kim G.H., Kwon H.K., Im T.H., Lee G.D., Shin D.S., Na S.M., 2017b, Construction of long-term load duration curve using MOVE.2 extension method and assessment of impaired waterbody by flow condition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3, No. 1, pp. 51-62Google Search
14 
Kim K.H., 2008, [Korean Literature], Estimation for TMDLs design flow at ungaged small watershed. Ph. 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p. 1-276
15 
Kwon P.J., Han J.H., Ryu J.C., Kim H.T., Lim K.J., Kim J.G., 2017, Influence analysis of temporal continuity change of flow data on load duration curve,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3, No. 4, pp. 394-402Google Search
16 
Lee T.H., Lee M.H., Yi J.E., 2016, Development of regional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flow duration curves in ungauged basin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6, No. 3, pp. 427-437Google Search
17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7, [Korean Literature], Public announcement of implementation standards, Ministry of Environment
18 
Moriasi D.N., Arnold J.G., Van Liew M.W., Bingner R.L., Harmel R.D., Veith T.L.,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 for 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 simulations,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Vol. 50, No. 3, pp. 885-900Google Search
19 
Nash J.E.,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Google Search
20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6, [Korean Literatur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andards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for the major river basins(I),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al Research
21 
Nevada, 2003, Load duration curve methodology for assessment and TMDL, Development Nevada Divi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p. 1-3
22 
Park J.D., Oh S.Y., 2012, Methodology for the identification of impaired waters using LDC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5, pp. 693-703Google Search
23 
Park J.D., Oh S.Y., Choi Y.H., 2012, Development of a flow duration curve with unit watershed flow data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2, pp. 224-231Google Search
24 
Park J.H., Hwang H.S., Rhew D.H., Kwon O.S., 2012, Estimation of delivery ratio based on Basin/HSPF Model for total maximum daily loa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6, pp. 833-842Google Search
25 
Park J.W., Kim K.S., Hwang K.S., Lee Y.W., Lim B.J., 2013, Application of load duration curve and estimation of delivery ratio by flow durations using discharge-load rating curve at Jiseok stream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9, No. 4, pp. 523-530Google Search
26 
Ries K.G., Friesz P.J., 2000, Methods for estimating low-flow statistics for Massachusetts streams,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00-4135,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North-borough, pp. 1-81Google Search
27 
Singh J., Knapp H. V., Demissie M., 2004, Hydrologic modeling of the Iroquois river watershed using HSPF and SWAT, ISWS CR 2004-08, Illinois State Water SurveyGoogle Search
28 
United State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2007, An approach for using load duration curves in the development of TMDLs, EPA 841-B-07-0006, United State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pp. 1-68
29 
Vogel R.M., Kroll C.N., 1992, Regional geohydrologicgeomorphic relations for the estimation of low-flow statistic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No. 9, pp. 2451-2458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