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Department of Statis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limate change, Soyanggang Reservoir, Stratification strength, Thermal stability, Uncertainty quantification

1. Introduction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이하 IPCC)의 4차 보고서(AR4)에서는 20세 기 동안 지구의 온도는 약 0.6±0.2 °C 상승하였으며, 금세기 안에 지구 표면 온도가 섭씨 1.8 ~ 4.0 °C 상승할 것이라고 전 망하였다(IPCC, 2007). 전 지구적 기온상승에 따른 기후변화 는 세계 곳곳에 이상가뭄(Kim et al., 2011; Sheffield and Wood, 2008; Trenberth et al., 2013), 극한홍수(Bronstert, 2003; Kundzewicz et al., 2014), 남조류 이상증식(Joung et al., 2013; Noh et al., 2014; Paerl and Huisman, 2009; Wagner and Adrian, 2009; Yu et al., 2014) 등의 재해를 초래하고 수 자원의 시공간적 분포와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전지구적이며 비가역적인 변화의 위험 은 미래로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IPCC, 2007, 2014; ISDR, 2007).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 강우패턴, 수온 등의 변화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상수원인 대형 다목적댐 저수지의 수량 및 물환경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기온 의 상승은 저수지 수체의 수온 상승과 수온 성층 강화를 초 래하여(Fang and Stefan, 2009; Jung et al., 2011) 수체의 물 리적 혼합 특성과 물질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식물플랑크톤 의 과잉 성장 등 수생태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Paerl and Paul, 2012). 이와 같은 영향은 대부분 이미 나타나고 있으 며, 따라서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을 위해서 미래 기후변화 에 따른 지역별 적절한 대책을 세우고 이를 하천관리 및 댐 저수지 운영에 반영하여 사회·경제적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할 것이다(Lee, 2016; Shin and Jung, 2015).

그 동안 기후변화로 인하여 수자원이 받는 영향에 대한 연 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다목적댐 저수지의 수온 및 수질 에 대한 전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기후변화에 의 한 저수지 수온의 지역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예측 (Bae et al., 2007)과 이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 는 매우 미흡하다(Lee and Kim, 2015). 미래의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을 전망하는 과정에는 기후시나리오와 전 지구기후모델(GCM)의 선택, 강우-유출 해석 과정에서 다양 한 불확실성이 개입하게 되므로 이러한 불확실성을 정량화 하여 발생 범위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제공하여야 한다(Lee and Kim, 2015). 일부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여 제 시하고 있는 연구들은 강수량 또는 유량변화를 불확실성 크 기로 가정하여 이를 비교하는 등 개별 수행단계의 불확실성 만을 나타내고 있어 모델링 전과정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 는데 한계가 있다(Kay et al., 2009; Lee and Kim, 2015; Paltsev, 2017; Parson et al., 2015; Trutnevyte et al., 2016). 기후변화에 따른 저수지 수온 변화의 장기적인 예측을 위해 서는 기후시나리오와 GCM 모델 선정, GCM 기후 자료의 지역상세화, 유역유출 모델링, 저수지 수리모델링 등의 복잡 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이 과정에 다양한 불확실성이 포함 되어 전파·누적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영향 예측은 결정 론적 모델링 방법을 지양하고, 모델링 단계별 불확실성을 정 량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Gillingham et al., 2015; Hwang, 2017; Jeong et al., 2004; Lee and Kim, 2015; Walker et al.,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가 미래 소양호(댐 앞 대표지 점)의 수온 및 수온성층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모 델링 단계별, 시나리오별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해 저수지 수리 동력학 모델(CE-QUAL-W2, 이하 W2) 을 이용하여 전망기간(2016년 1월 1일 ~ 2070년 12월 31일) 의 소양호 수온을 장기간 연속 모의하여 전망된 각 시나리오 별 미래 수온 및 성층구조 변화를 해석하였다. 또한 교호작 용 ANOVA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저수지 수온 예측 모델링의 단계별 및 시나리오별 불확실성을 정량화하 였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대상 지역

소양호(Fig. 1)는 최대 수심 약 120 m, 만수면적 약 70.0 km2, 수리학적 체류시간 약 0.75년, 총 저수용량 약 2,900백 만 m3의 국내 최대 규모 인공호이다. 소양강댐은 한강연안 및 서울을 비롯하여 수도권지역에 생·공용수, 농업용수 공 급, 홍수조절, 전력생산에 크게 기여하는 다목적댐이다. 소양 호는 전형적인 인공호의 지형적 특성을 보이며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반면 수심이 깊다. 중위도 온대지역에 위치하여 동절기에 한번 수직혼합이 일어나고 하절기에 성층이 형성 되는 온대 1순환형(monomictic lake) 특성을 보인다(Kim et al., 2001). 수온 성층 형성기간에는 저수지내 수온의 공간분 포가 수심별로 편차가 크며 수평방향으로는 편차가 작은 특 성을 보인다. 소양호의 전체 유입량 중 소양강(Sagumi bridge in Fig. 1)을 통한 유입량이 90 %를 차지한다(Kim and Jung, 2007).

Fig. 1. Locations of the study area and research point
../../Resources/kswe/KSWE.2020.36.1.14/JKSWE-36-14_F1.jpg

2.2.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전망 모델의 구성 절차

IPCC에서는 AR5에서 미래 기후변화를 전망하기 위해 인 간의 활동이 온실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기준으 로 대표탄소농도경로(RCP) 8.5, 6.0, 4.5, 2.6의 네 가지 시나 리오로 구분하였다. RCP 8.5는 현재와 같은 추세로 온실가 스가 배출되는 경우이며, RCP 6.0과 4.5는 온실가스를 저감 하는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된 경우, RCP 2.6은 현재의 상황 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최대한으로 저감되었을 경우를 나타 낸다. IPCC는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이하 CMIP5)를 통해 다양한 전 지구 기후모델(GCMs)을 이용하여 AR5에서 제시한 RCP 시나리오별 미래 기후 전망 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CMIP5에서 제공되는 기후자료는 공간해상도가 낮아 지역단위 연구에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지역 상세화(Down scaling) 과정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는 APEC 기후센터(APEC Climate Center, 이하 APCC)에서 BCSD(Bias-Correction / Spatial Disaggregation) 모델과 QDM(Quantile Delta Mapping)을 결합한 방법으로 GCMs 기후자료를 지역상세화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AR5에서 제시한 RCP 4.5와 RCP 8.5에 대해서 7개 GCM모델(CCSM4, CMCC-CM, FGOALS-s2, INM-CM4, MIROC-ESM-CHEM, HadGEM-ES, HadGEM2-AO)을 춘천 기상대(Chuncheon Wether stations in Fig. 1) 지점 자료를 이 용하여 지역상세화한 최저-최고 기온과 강수량 데이터를 제 공받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미래를 전망하는 기간은 2016년 1월 1일 ~ 2070년 12월 31일이다. 소양호의 미래 전망 기간 동안의 일 일 유입량은 SWAT모델을 이용하여 생산하였다. SWAT모델 은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USDA/ARS)에서 개발된 유역단 위 모델로써 GIS를 기반으로 장기 유량 및 수질을 모의할 수 있다(Arnold et al., 2012; Choi et al., 2007; Lee et al., 2011; Neitsch et al., 2009; Ye et al., 2008). 본 연구에서 사 용한 SWAT 모델은 선행연구(Han et al., 2017)에서 소양강 댐 유역에 대하여 보정된 매개변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저수지내 수리 및 수온 해석은 2차원 횡방향 평균(x-z) 모 델인 W2를 사용하였다. W2는 소양호와 같이 수심이 깊고 길이가 긴 반면 하폭이 좁은 수체에 매우 적합하며(Cole and Wells, 2017), 수온, 영양염류, 용존산소, 유기물, 퇴적물과 관계된 수질모델링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Borsuk et al,. 2001; Bowen and Hieronymus, 2003; Chung et al., 2011; Debele et al., 2008; Kim and Kim, 2004; Yi et al., 2016).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소양호의 미래 수온 예측에 있어서 모델링 단계별 불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R package인 UncDecomp (Kim et al., 2019)를 사용하였다. 미 래 수온 전망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으며, 기후시나리오 2 개(RCP 4.5, RCP 8.5), GCM 모델 7개, SWAT 모델, W2 모 델 풍속 시나리오 3개를 포함하여 총 42개의 시나리오를 모 의하고 모델링 4단계의 불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Table 1.

Table 1. GCM Models used to forecast future water temperature in the Soyanggang Reservoir.
GCM model Institution
CCSM4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CMCC-CM Centro Euro-Mediterraneo per I Cambiamenti Climatici
FGOALS-s2 LASG, Institute of Atmospheric Physic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INM-CM4 Institute of Numerical Mathematics
MIROC-ESM-CHEM Japan Agency for Marine - Earth Science and Technology, Atmosphere and Ocean Research Institute (The University of Tokyo), and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HadGEM-ES Met Office Hadley Centre
HadGEM2-AO Met Office Hadley Centre

2.3. 저수지 수온 예측 모델 구축

W2 모델의 상류 유량 경계조건은 SWAT 모델로 예측한 소양강댐의 유입부인 사구미교 지점의 유출 유량을 사용하 였으며, RCP 4.5 및 8.5 시나리오와 7개 GCM모델 자료로부 터 예측된 14개의 유입량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미래 전망 기간 동안의 소양강댐 방류량은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예 측한 저수지 유입량과 K-water (2005)에서 제공하는 소양강 댐 저수지 운영 제약조건(홍수기 제약수위 등)을 고려하여 물수지 분석을 통해 산정하였다.

수치격자는 선행연구(Chung et al., 2011)자료를 사용하였 다. Chung et al. (2011)은 소양강댐 저수지 퇴사조사측량용 역 보고서(K-water, 1994)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소양호의 유한차분 격자를 구성하였으며, 종방향으로 약 60 km인 수 체를 138 segment, 수심방향으로 134개 layer로 구분하였다. 모의된 수위-저수용량과 실측 비교 결과 Root Mean Square Error(RMSE) 16.48×106 m3, Absolute Mean Error(AME) 15.67×106 m3으로 오차가 저수용량대비 1 % 이내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미래 수온을 전망하기 위해 사용한 W2 모델은 소양호의 선 행연구(Yun et al., 2019)에서 2005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의 기간에 대하여 실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정된 모델을 사용하였다. 보정에 사용된 초기조건, 경계조건 등은 K-water 에서 제공한 수문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수심별 수온자 료를 이용하였으며, 기상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온 (°C), 이슬점온도(°C), 전운량, 풍속(m/s), 풍향(Radian)을 이용 하였다.

기온 및 이슬점온도와 유입수온간의 회귀식을 사용하여 입 력수온을 산정하였다(K-water, 2007). 평균 기온과 이슬점온도 는 식(3)과 식(4)을 사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소양호의 상류지점 사구미교(Fig. 1)에 유입되는 유량(300 m3/s)을 기준으로 식(1) 과 식(2)를 사용하여 유입 수온을 계산하였다.

(1)
WT IB = 0.32 T air + 0.34 T dew + 7.59 사구미교 지점 유입 유량 ≤  300 m 3 / s , R 2 = 0.8283 , p - value < 0.05
(2)
WT IB = - 0.02 T air + 0.24 T dew + 11.04 사구미교 지점 유입 유량 > 300 m 3 / s , R 2 = 0.8283 , p - value < 0.05

여기서 WTIB =댐 유입수의 온도(°C), Tair =일 평균 기온 (°C), Tdew =이슬점 온도(°C) 이다.

(3)
T dew = 0.965145 × T min + 0.059849 × T max - 1.740172 R 2 = 0.9498 , p - value < 0.05
(4)
T air = 0.5129 × T min + 0.4779 × T max - 0.14355 R 2 = 0.9955 , p - value < 0.05

여기서, Tmin = 일 최저온도(°C), Tmax = 일 최고온도(°C) 이다.

기온과 이슬점온도를 제외한 기상자료(풍속, 풍향, 전운량) 는 과거 10년간의(2006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 기 상 자료를 전망기간 동안 반복 입력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풍속은 저수지 수직혼합과 수온 성층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과거자료를 기준으로 풍속 50 %감소, 풍속 유지(과거 풍속 data), 풍속 50 % 증가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불확실성 해석을 추가하였다 (상세한 내용은 2.5절에 기술).

2.4. 저수지 수온성층 특성 평가

R package인 rLakeAnalyzer(Winslow et al., 2018)를 이용 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호의 수온 성층구조 및 수체 안정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W2 모델에서 예측한 일일 저수 위와 수심별 수면적, 풍속, 수온을 입력자료로 사용하였고, Schmidt stability(St)를 시계열로 산출하여(식 (5)) 수온 성층 구조와 안정성을 산정하였다. St는 수체 열 안정성의 척도로 서, 열의 첨가나 손실 없이 기계적으로 수체를 완전 혼합하 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한다. St가 클수록 수체가 열적으로 더 안정된 것을 의미한다.

(5)
S t = g A s 0 z D z - z v ρ z A z z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m/s2), As는 저수지 표면적(m2), Az 는 깊이 z에서의 저수지 면적(m2),

z D는 저수지 최고 깊이(m), ρz 는 깊이 z에서의 물의 밀도 (kg/m3), 그리고 zv는 호수 부피의 중간지점 깊이(m)로, 식 (6)과 같다.

(6)
z v = 0 z D z A z z / 0 z D A z z

2.5. 미래 수온 전망 불확실성의 정량화

기후변화로 인한 소양호의 수온 및 수온 성층구조의 변화를 모의하고, 모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R package UncDecomp (Kim et al., 2019)를 사용하였다. UncDecomp는 교호작용 ANOVA 모형을 사용하여 기후변화 각 전망 단계의 불확실성을 모델링 단계별 불확실성(stage uncertainty), 시나리오별 불확실성(scenario uncertainty), 누적 불확실성(cumulative uncertainty)으로 나뉘어 산출한다. 전망 단계별 불확실성 (식 7)은 주효과에 의한 불확실성 (식 8)과 해당 전망 단계가 관련된 모든 교호작용에 의한 불확실성 (식 9) 합의 절반을 더한 것으로 정의된다. 이렇게 정의한 전망 단 계별 불확실성은 전망 단계에 속한 시나리오별 불확실성(식 10)으로 다시 분해된다. 본 연구에서는 단계별 불확실성을 정 량화하는 stage_uncertainty() 함수와, 모의된 각 단계의 시나리 오별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는 scenario_uncertainty() 함수를 이 용하였다. 소양호 수온을 장기 모의하여 생성한 연속 수온 결 과값을 UncDecomp package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7)
U k STAGE = U k MAIN + 1 2 l k U k , l INT
(8)
U k MAIN = 1 n k x k M k β x k 2 = 1 n k x k M k Y ¯ x k k - Y ¯ 2
(9)
U l , m int = 1 n l n m x l M l x m M m Y x l , x m l , m ¯ - Y x l l ¯ - Y x m m ¯ + Y ¯ 2
(10)
U k , x k SC = 1 n k Y x k k - Y ¯ 2 + 1 2 n k l k 1 n l x l M l Y x k , x l k , l ¯ - Y x k k ¯ - Y x l l ¯ + Y ¯ 2

여기서, K : 기후변화 전망 단계의 수, Mk : K번째 단계의 시나리오들의 집합, nk : Mk의 원소의 수, Y : 각 시나리오의 전망값(projection), UINT : 교호작용에 의한 불확실성, UMAIN : 주효과에 의한 불확실성, USC : 시나리오 불확실성, USTAGE : 전망 단계별 불확실성

UncDecomp package는 기후변화 예측 모델링 단계별 불 확실성을 단일 모델(또는 시나리오)의 주효과에 의한 것과 모델(또는 시나리오)간의 교호작용에 의한 불확실성의 합으 로 산정된다. 또한 단계별 불확실성을 분해하여 각 단계의 시나리오별 불확실성을 산정하고, 시나리오간의 상대적인 불확실성 비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UncDecomp package는 모델 단계에 단일 시나리오만을 입력하면 해당 단계의 불확 실성을 산정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 유출모델의 경우에는 선행연구(Han et al., 2017)에서 보정된 SWAT 하나의 모델 에 대해 동일한 매개변수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므로 유출모 델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저수 지 수리와 수온모델링 단계에서는 과거 풍속자료를 반복 사 용한 것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W2 모델의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풍속 자료를 이용하여 풍속이 감소, 유지, 증가하는 세 가지 경우의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불확 실성 해석을 하였다. W2 풍속 시나리오는 과거 풍속 자료 를 그대로 입력한 시나리오 S(Standard)와, 50 % 저감한 시 나리오 L(Low Wind), 그리고 50 % 증가한 시나리오 H (High Wind)로 구성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소양호 미래 기온 변화 전망

춘천 기상대(Chuncheon Wether stations in Fig. 1)에서 관 측된 과거(1966 ~ 2015) 연평균 기온의 변화와 기후변화 전 망기간(2016 ~ 2070)의 예측 기온을 시계열 그래프로 제시 (Fig. 2)하고 온도 상승 속도를 비교하였다(Table 2).

Fig. 2. Comparing the annual mean air temperature for the forecast period due to future climate change with the annual mean air temperature observed for the past period.
../../Resources/kswe/KSWE.2020.36.1.14/JKSWE-36-14_F2.jpg
Table 2. Annual rising rate of air temperature by scenario.
Scenario Historical air temperature (°C/year) RCP 4.5 air temperature (°C/year) RCP 8.5 air temperature (°C/year)

CCSM4 0.025 0.031 0.045
CMCC-CM 0.040 0.068
FGOALS-s2 0.019 0.045
INM-CM4 0.018 0.026
MIROC-ESM-CHEM 0.044 0.071
HadGEM-ES 0.043 0.072
HadGEM2-AO 0.039 0.076
Average 0.033(±0.011) 0.058(±0.019)

Fig. 2에서 실측 기온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기온 모 두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과거 실측 기간 동안 기 온의 연 상승률은 0.025 °C/year였으며, RCP 4.5는 GCM평균 (±표준편차) 0.033(±0.011) °C/year, RCP 8.5는 GCM평균(±표 준편차) 0.058(±0.019) °C/year로써 과거 실측, RCP 4.5, RCP 8.5 순서로 기온의 연 상승률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소양호 미래 수온 변화 전망

전체 전망 기간(2016 ~ 2070)의 기온과 소양호의 상층(수 표면으로부터 5 m 깊이)수온 및 하층(지표면으로부터 5 m 높이)수온의 연 상승률을 비교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 Annual rising rate of upper and lower layer water temperature by scenario and ratio of upper and lower layer water temperature to air temperature.
RCP Scenario Upper temperature Lower temperature


°C/year % °C/year %

4.5 CCSM4 0.029 94.8 0.02 63.1
CMCC-CM 0.023 57.7 0.011 28.6
FGOALS-s2 0.018 95.6 0.014 74.1
HadGEM2-AO 0.031 79.4 0.016 41.3
HadGEM-ES 0.052 119.7 0.033 76.9
INM-CM4 0.016 86.7 0.003 17.3
MIROC-ESM-CHEM 0.036 82.7 0.017 39.2
Average 0.029(±0.012) 88.1 0.016(±0.009) 48.6

8.5 CCSM4 0.036 80 0.03 67.8
CMCC-CM 0.053 78.2 0.031 46.1
FGOALS-s2 0.047 104.6 0.025 56.2
HadGEM2-AO 0.062 81.1 0.03 39.7
HadGEM-ES 0.051 70.5 0.026 36
INM-CM4 0.025 97.8 0.006 24.4
MIROC-ESM-CHEM 0.062 88 0.038 53.7
Average 0.048(±0.014) 85.8 0.027(±0.010) 46.3

소양호의 상층 수온 상승 속도는 RCP 4.5에서 0.029 (±0.012) °C/year, 8.5에서 0.048(±0.014) °C/year로 각각 기온 상승속도의 88.1 %, 85.8 % 수준이었으며, 하층 수온은 RCP 4.5에서 0.016(±0.009) °C/year, 8.5에서 0.027(±0.010) °C/year 로 각각 기온의 48.6 %, 46.3 % 수준으로 전망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수온을 시나리오별로 미래 55년의 전망기간을 S1(2016년 ~ 2030년), S2(2031년 ~ 2045년), S3(2046년 ~ 2060년), S4(2061년 ~ 2070년) 총 네 기간 으로 구분하여 모의 및 분석하였다. 전체 시나리오가 전망하 는 소양호의 미래 전망기간(2016년 1월 1일 ~ 2070년 12월 31일)의 시나리오별 연평균 수온을 제시하였으며(Fig. 3), 시 나리오 각각의 기간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Table 4, Table 5). 전체 시나리오와 상·하층 모두에서 연 평균 수 온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미래 기간으로 갈수록 지속적 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3. Historical (2005-2015) and projected (2016-2070) yearly water temperature at upper and lower layers in the Soyanggang Reservoir.
../../Resources/kswe/KSWE.2020.36.1.14/JKSWE-36-14_F3.jpg
Table 4. Average water temperature at upper layer for each scenario
RCP Scenario S1 S2 S3 S4

4.5 CCSM4 16.16(±8.27) °C 16.83(±8.18) °C 17.08(±8.15) °C 17.44(±8.02) °C
CMCC-CM 16.78(±8.12) °C 17.07(±8.14) °C 17.41(±8.26) °C 17.68(±8.41) °C
FGOALS-s2 16.73(±8.31) °C 16.60(±8.70) °C 17.29(±8.38) °C 17.40(±8.11) °C
HadGEM2-AO 16.24(±7.57) °C 16.80(±7.46) °C 17.47(±7.79) °C 17.34(±7.75) °C
HadGEM-ES 16.59(±8.65) °C 17.43(±8.33) °C 17.71(±8.76) °C 18.30(±8.52) °C
INM-CM4 15.94(±8.19) °C 16.03(±8.19) °C 16.52(±8.11) °C 16.48(±8.35) °C
MIROC-ESM-CHEM 17.10(±7.65) °C 17.43(±8.11) °C 18.15(±8.13) °C 18.59(±7.90) °C

Average 16.51(±8.11) °C 16.88(±8.16) °C 17.38(±8.23) °C 17.60(±8.15) °C

8.5 CCSM4 16.73(±8.17) °C 17.11(±8.12) °C 17.97(±8.14) °C 18.13(±8.20) °C
CMCC-CM 16.98(±8.09) °C 17.50(±8.06) °C 18.57(±7.88) °C 19.19(±8.13) °C
FGOALS-s2 16.69(±8.27) °C 17.19(±8.84) °C 18.35(±8.06) °C 18.39(±8.42) °C
HadGEM2-AO 16.75(±7.69) °C 17.52(±7.86) °C 18.29(±8.27) °C 19.38(±8.25) °C
HadGEM-ES 17.19(±7.89) °C 17.71(±8.25) °C 18.56(±8.08) °C 19.40(±8.40) °C
INM-CM4 16.42(±7.99) °C 16.68(±7.93) °C 16.94(±8.26) °C 17.67(±8.02) °C
MIROC-ESM-CHEM 16.74(±8.19) °C 17.97(±7.90) °C 19.04(±8.01) °C 19.26(±8.31) °C

Average 16.79(±8.04) °C 17.38(±8.14) °C 18.25(±8.10) °C 18.77(±8.25) °C
Table 5. Average water temperature at lower layer for each scenario
RCP Scenario S1 S2 S3 S4

4.5 CCSM4 5.07(±0.40) °C 5.48(±0.59) °C 5.57(±0.65) °C 6.01(±0.65) °C
CMCC-CM 5.46(±0.61) °C 5.63(±0.65) °C 5.83(±0.56) °C 5.81(±0.56) °C
FGOALS-s2 5.26(±0.46) °C 5.12(±0.42) °C 5.56(±0.51) °C 5.85(±0.55) °C
HadGEM2-AO 5.39(±0.41) °C 5.80(±0.50) °C 5.96(±0.64) °C 6.03(±0.69) °C
HadGEM-ES 5.08(±0.58) °C 5.49(±0.63) °C 5.50(±0.66) °C 6.22(±0.75) °C
INM-CM4 5.18(±0.43) °C 5.18(±0.46) °C 5.35(±0.57) °C 5.20(±0.54) °C
MIROC-ESM-CHEM 5.81(±0.50) °C 5.79(±0.52) °C 6.17(±0.62) °C 6.51(±0.75) °C

Average 5.32(±0.48) °C 5.50(±0.54) °C 5.71(±0.60) °C 5.95(±0.64) °C

8.5 CCSM4 5.40(±0.49) °C 5.65(±0.58) °C 6.09(±0.50) °C 6.76(±0.56) °C
CMCC-CM 5.58(±0.55) °C 5.99(±0.50) °C 6.69(±0.74) °C 6.77(±0.55) °C
FGOALS-s2 5.39(±0.54) °C 5.32(±0.54) °C 6.32(±0.59) °C 6.09(±0.59) °C
HadGEM2-AO 5.54(±0.39) °C 5.83(±0.47) °C 6.15(±0.69) °C 6.88(±0.52) °C
HadGEM-ES 5.79(±0.56) °C 5.82(±0.52) °C 6.56(±0.66) °C 6.80(±0.79) °C
INM-CM4 5.38(±0.55) °C 5.59(±0.55) °C 5.41(±0.52) °C 5.84(±0.55) °C
MIROC-ESM-CHEM 5.39(±0.49) °C 6.22(±0.65) °C 6.97(±0.73) °C 6.85(±0.52) °C

Average 5.50(±0.51) °C 5.77(±0.54) °C 6.31(±0.63) °C 6.57(±0.58) °C

소양호 상층수온의 시나리오별 기간 평균 수온을 비교한 Table 4에서, RCP 4.5 시나리오의 평균 수온 및 표준편차는 S1에서 16.51 °C(±8.11 °C), S4에서 17.6 °C(±8.15 °C)로 첫 기 간평균과 마지막 기간평균의 차가 1.09 °C로 나타났다. RCP 8.5 시나리오의 평균 수온은 S1에서 16.79 °C(±8.04 °C), S4에 서 18.77 °C(±8.25 °C)로 첫 기간평균과 마지막 기간 평균의 차가 1.28 °C로 나타나 RCP 8.5 시나리오에서 미래 수온의 온도 자체도 더 높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기간에서 더 큰 폭 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FGOALS-s2 모델에서는 RCP 4.5에서 S1 16.73 °C(±8.31 °C), S4 17.4 °C(±8.11 °C)로 평균차가 0.67 °C이며 RCP 8.5에서는 S1 16.69 °C(±8.27 °C), S4 18.39 °C(±8.42 °C)로 평균차 1.70 °C로 세 배에 가까운 차 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정된 GCM 모델에 따라 저수 지 미래 수온 예측 결과가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시사한다.

하층수온의 시나리오별 기간 평균 수온을 비교한 Table 5 에서도 마찬가지로 RCP 8.5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하 는 경향을 보였다. RCP 4.5 S1에서 5.32 °C(±0.48 °C), S4에 서 5.95 °C(±0.64 °C)로 첫 기간평균과 마지막 기간평균의 차 가 1.09 °C로 나타났고, RCP 8.5 시나리오의 평균 수온은 S1 에서 5.5 °C(±0.51 °C), S4에서 6.57 °C(±0.58 °C)로 첫 기간평 균과 마지막 기간 평균의 차가 1.28 °C로 나타났다.

Table 6. Seasonal average water temperature for upper and lower layer.
Seasons Historical* temperature(°C) RCP 4.5(°C)** RCP 8.5(°C)***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Spring 8.03 5 12.08(+50.4 %) 5.26(+5.2 %) 12.19(+51.8 %) 5.63(+12.6 %)
Summer 22.13 5 26.76(+20.9 %) 5.53(+10.6 %) 27.19(+22.9 %) 5.91(+18.2 %)
Fall 21.07 5 20.66(-2.0 %) 5.78(+15.6 %) 21.89(+3.9 %) 6.16(+23.2 %)
Winter 8.67 5 8.47(-2.3 %) 5.78(+15.6 %) 9.32(+7.5 %) 6.19(+23.8 %)

* 2005 ~ 2015 Observed temperature

** Average of the seasonal forecast values for the 7 GCM models in the RCP 4.5 scenario

*** Average of the seasonal forecast values for the 7 GCM models in the RCP 8.5 scenario

3.3. 소양호 수온의 계절별 변화 전망

소양호 미래 수온의 계절별 변화를 전망하기 위하여 전체 모의기간(2016년 ~ 2070년)을 봄(3 ~ 5월), 여름(6 ~ 8월), 가을(9 ~ 11월), 겨울(12 ~ 2월)로 구분하고 계절별 평균 수 온을 확인하였다.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의 계절별 7 개 GCM 모델 평균수온을 비교하였다. 또한 과거기간(2005년 ~ 2015년)의 상층수온과 하층수온을 동일하게 계절별로 구분하여 계절별 수온 변화 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Table 6).

상층수온과 하층수온의 계절별 수온 변화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RCP 8.5 시나리오의 수온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모의되었으나, RCP 시나리오에 따른 계절별 수온 변화 추이 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상층수온의 경우 봄철의 수온은 RCP 4.5와 8.5 모두 실측 수온에 비하여 50 % 이상 증가하 여 봄철에 가장 큰 폭으로 수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여름철 수온은 마찬가지로 RCP 4.5와 8.5 모두 20 %가 량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과 겨울에 RCP 4.5에서 오히려 수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겨울수온의 감소율 이 가장 컸으며 RCP 8.5에서는 소폭 상승하였고 가을의 상 승률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층 수온은 RCP 4.5와 8.5 모두 봄에 가장 작은 폭으로 상승하고 겨울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는 동일한 추세를 보였다.

계절별 최저-최고 수온을 예측한 GCM 모델을 분석한 결 과(Table 7, Table 8), RCP 4.5 시나리오에서 HadGEM-ES 모델은 봄과 여름철의 상층수온을 가장 높게 예측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철에는 가장 낮게 예측하였다. 그 외의 대부분의 최저수온에 해당하는 모델은 INM-CM4모델이었으며, 최고 수온에 해당하는 모델의 대부분은 MIROC-ESM-CHEM모델 로 나타났다. 특히,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모든 계절에 INM-CM4모델은 상층과 하층의 수온을 가장 낮게 예측하였 고, MIROC-ESM-CHEM모델은 가장 높게 예측하였다.

Table 7. Seasonal minimum and maximum water temperatures of RCP 4.5 and corresponding models.
Seasons Position Min Max

Spring upper 10.51 INM-CM4 15.90 HadGEM-ES
lower 4.90 INM-CM4 5.68 MIROC-ESM-CHEM

Summer upper 25.75 HadGEM2-AO 28.45 HadGEM-ES
lower 5.18 INM-CM4 5.98 MIROC-ESM-CHEM

Fall upper 17.98 HadGEM-ES 21.79 MIROC-ESM-CHEM
lower 5.43 INM-CM4 6.23 MIROC-ESM-CHEM

Winter upper 7.20 HadGEM-ES 9.50 HadGEM2-AO
lower 5.41 INM-CM4 6.23 MIROC-ESM-CHEM
Table 8. Seasonal minimum and maximum water temperatures of RCP 8.5 and corresponding models.
Seasons Position Min Max

Spring upper 11.24 INM-CM4 12.76 MIROC-ESM-CHEM
lower 5.17 INM-CM4 5.99 MIROC-ESM-CHEM

Summer upper 26.19 INM-CM4 27.63 MIROC-ESM-CHEM
lower 5.46 INM-CM4 6.26 MIROC-ESM-CHEM

Fall upper 21.17 INM-CM4 22.05 MIROC-ESM-CHEM
lower 5.72 INM-CM4 6.49 MIROC-ESM-CHEM

Winter upper 8.61 INM-CM4 9.81 MIROC-ESM-CHEM
lower 5.76 INM-CM4 6.5 MIROC-ESM-CHEM

3.4. 수체의 안정도 및 수온성층 일수의 변화

rLakeAnalyzer를 이용하여 W2 보정기간(2005년~ 2015년) 과 미래 전망기간(2016년 ~ 2070년)동안의 연평균 St를 산정 하여 수체 안정도를 분석하였다(Fig. 4, Fig. 5). 보정기간 동 안의 St값의 범위는 2,077.6 ~ 3,256.3 J/m2로 나타났으며, 전 망기간 동안의 전체 GCM 모델에서 St값의 범위는 RCP 4.5 에서 1,777.56 ~ 4,026.32 J/m2, RCP 8.5에서 2,318.72 ~ 4,446.29 J/m2로 나타났다. Fig. 4와 Fig. 5에서 수온과 마찬 가지로 과거 실측과 RCP 4.5와 8.5 두 시나리오 모두 연평 균 St가 미래기간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추세이며, 특히 RCP 8.5에서 더 높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다.

Fig. 4. Annual average Schmidt-stability for each scenario of (a) RCP 4.5 and (b) RCP 8.5
../../Resources/kswe/KSWE.2020.36.1.14/JKSWE-36-14_F4.jpg
Fig. 5. Number of stratification formation days of (a) RCP 4.5 and (b) RCP 8.5
../../Resources/kswe/KSWE.2020.36.1.14/JKSWE-36-14_F5.jpg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호에서의 연간 수온 성층 형성 일수의 변화를 산정하기 위해 상층 수온과 하층 수온의 온도 차가 5 °C 이상 발생하는 일수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저 수지 수온성층 형성 판단은 수온약층의 온도경사가 0.1-0.15 °C/m일 때이며, 미국의 Lake Superior 연구(Piccolroaz et al., 2015)에서는 표층과 1 °C 차이가 발생하는 수심을 표층과 변 온층으로 구분하였다. Stefan et al. (1996), Foley et al. (2012), Woolway et al. (2013)은 수온성층 형성 기준을 표층 과 심층의 온도차가 1 °C 이상일 때로 제시한 바 있다. 본 연 구에서는 소양호에서 수온 성층이 충분히 형성되는 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수온 성층 형성 기준을 표층과 하층의 온도차 5 °C로 정하였다. 전망기간 동안 전체 시나리오에서 연간 성 층 형성 일수는 213일에서 307일 사이였으며, 미래기간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Fig. 4). 따라서 기후 시나리 오와 GCM 모델 선정에 따른 미래 예측의 불확실도를 고려 하더라도 소양호의 수온 성층강도는 미래로 갈수록 강해지 며, 성층 일수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3.5. 불확실성 정량화

기후변화에 따른 소양호의 미래 수온 예측에 사용된 모델 링 단계별, 시나리오별 불확실성을 산정하여 Fig. 6에 도시 하였다. RCP 2개 시나리오, GCM 7개 모델, W2 모델 입력 풍속 3개 시나리오로 총 42개 시나리오의 조합이 사용되었 으며, 2016년부터 2070년까지 모의된 수온의 각 단계 및 시 나리오별 월 평균 수온이 불확실성 정량화에 사용되었다. Fig. 6(a)는 GCM과 W2 모델의 21개 시나리오에 대한 RCP 4.5와 8.5 시나리오 상층 수온 모의 결과의 변동성을 보여 주고 있다. Fig. 6(b)는 RCP 시나리오와 GCM 모델의 14개 시나리오에 대한 W2 모델 풍속 시나리오별 수온예측 결과 의 변동성을 보여주며, Fig. 6(c)는 RCP 시나리오와 W2 모 델의 6개 시나리오 대한 GCM 모델 7개의 수온예측 결과에 해당한다.

Fig. 6. Projected upper water temperatures in the Soyanggang Reservoir based on (a) RCP scenarios, (b) Wind speed scenarios in W2, and (c) GCM models.
../../Resources/kswe/KSWE.2020.36.1.14/JKSWE-36-14_F6.jpg

단계별 불확실성(Table 8)에서, RCP 시나리오 단계((Fig. 6. (a))에 의한 불확실성은 30.8 %, GCM(Fig. 6. (c))) 55.8 %, W2(Fig. 6. (b))) 12.8 %로, 다수의 기후변화 불확실성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GCM모델 단계의 불확실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Bastola et al., 2011; Chen et al., 2011; Dessai and Hulme, 2011; Jackson et al., 2011; Kay et al., 2009; Minville et al., 2008; Prudhomme et al., 2009; Wilby and Harris, 2006). 시나리오별 불확실성(Table 9)에서 GCM모델 중 불확실성이 큰 모델은 INM-CM4로 29.6 %를 차지했으 며, MIROC-ESM- CHEM 모델이 12.1 %, HadGEM-ES모델 이 8.8 %로 뒤를 이었다. 3.3의 계절별 수온 변화 전망에서 의 계절별 최저-최고 수온에 해당되는 모델들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전망 수온이 극값인 모델들이 불확실성을 가중 시킨다고 판단된다. Table 10.

Table 9. Stage uncertainty
stage Main uncertainty Interaction uncertainty Stage uncertainty Prop (1) %

RCP 0.098 0.005 0.103 0.308 30.8
GCM 0.181 0.006 0.187 0.558 55.8
SWAT 0.000 0.000 0.000 0.000 0.0
W2 0.041 0.002 0.043 0.128 125.8
Internal(2) 0.000 0.000 0.002 0.006 0.6
Total 0.335 1.000 100.0

(1) Ratio of uncertainty in each stage to total uncertainty.

(2) internal variability

Table 10. Scenario uncertainty.
stage scenario Main uncertainty Interaction uncertainty Scenario uncertainty Prop(1) %

RCP 4.5 0.049 0.003 0.052 0.154 15.4
8.5 0.049 0.003 0.052 0.154 15.4

GCM CCSM4 0.009 0.000 0.009 0.027 2.7
CMCC-CM 0.005 0.000 0.005 0.014 1.4
FGOALS-s2 0.02 0.000 0.002 0.005 0.5
HadGEM-ES 0.028 0.001 0.029 0.088 8.8
HadGEM2-AO 0.000 0.002 0.003 0.008 0.8
INM-CM4 0.099 0.000 0.099 0.296 29.6
MIROC-ESM-CHEM 0.038 0.003 0.040 0.121 12.1

SWAT SWAT 0.000 0.000 0.000 0.000 0.0

W2 L 0.001 0.000 0.001 0.003 0.3
S 0.024 0.001 0.025 0.074 7.4
H 0.016 0.001 0.017 0.051 5.1

Internal(2) 0.002 0.006 0.6

Total 0.335 1.000 1.00.0

(1) Ratio of uncertainty in each stage to total uncertainty.

(2) internal variability

4. Conclusions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미래 소양호의 수온 및 수온성 층 구조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연속하여 전망하기 위하 여 2개의 기후시나리오(RCP 4.5와 8.5), 7개의 GCM 모델 (HadGEM2-AO, CMCC-CM, CCSM4, MIROC-ESM-CHEM, INM-CM4, FGOALS-s2, HadGEM-ES), 1개의 유역유출 모 델(SWAT), 그리고 저수지 수리-수온 모델(W2)의 풍속 조건 3개를 결합하여 총 42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예측 모델 링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교호작용 ANOVA 모형을 이용하 여 예측값의 단계별 불확실성과 각 단계의 시나리오별 불확 실성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소양호 미래 수온 전망결과, RCP 기후 시나리오, GCM 모델, 그리고 풍속 시나리오에 따른 편차가 있으나, 소양호 의 상층과 하층의 연 평균 수온은 미래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표준편차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수온 상승과 함께 변동성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 소양호의 상층 수온의 상승속도는 RCP 4.5에서 0.029 °C/year, RCP 8.5에서 0.048 °C/year로 각각 기온 상승속도의 88.1 %, 85.8 % 수준이었으며, 하층 수온은 RCP 4.5에서 0.016 °C/year, RCP 8.5에서 0.027 °C/year로 각각 기온의 48.6 %, 46.3 % 수준으로 나타났다.

  3. 계절별로는 소양호 상층수온은 봄철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RCP 4.5에서는 약간 감소, RCP 8.5에서는 소폭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하층 수온 은 겨울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고 봄에 가장 작은 폭으로 상승하여 상층과 하층의 계절 변동이 다르게 나타났다.

  4. 소양호의 성층강도는 미래 전망기간 동안 St값의 범위 가 RCP 4.5에서 1,777.56 ~ 4,026.32 J/m2, RCP 8.5에서 2,318.72 ~ 4,446.29 J/m2였으며, 미래기간으로 갈수록 연평균 St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상층수온과 하층 수온의 온도차가 5 °C일 때를 기준으로 연간 성층 형성 일수가 미래 기간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5. 기후변화 전망 단계별 불확실성을 정량화했을 때, RCP 시나리오는 30.8 %, GCM 모델 55.8 %, W2 모델 12.8 %로 GCM모델의 불확실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GCM 모델의 불확실성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3개의 모델은 INM-CM4 (29.6 %), MIROC-ESM-CHEM(12.1 %), HadGEM-ES(8.8 %) 로써 계절별 수온 예측에서 극값을 보인 모델과 일치하였다.

  6.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소 양호의 수온 상승과 수온성층 강화는 저수지의 물리적 혼합 특성뿐만 아니라 호 내의 물질순환, 1차생산성, 우점 조류종 의 변화 등 수질과 수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 므로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연구비지원(과제 번호 RE201901083)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rnold J G, Moriasi D N, Gassman P W, Abbaspour K C, White M J, Srinivasan R, Santhi C, Harmel R D, Griensven A V, Liew M W V, Kannan N, Jha M K, 2012, SWAT: Model use, calibration, and validation,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5, No. 4, pp. 1491-1508Google Search
2 
Bae D H, Jung I W, Kwon W T, 2007, Generation of high scenarios for climate impacts on water resources (I): climate scenarios on each sub-basin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3, pp. 191-204Google Search
3 
Bastola S, Murphy C, Sweeney J, 2011, The role of hydrological modelling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s of irish river catchment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34, No. 5, pp. 562-576Google Search
4 
Borsuk M, Clemen R, Maguire L, Reckhow K, 2001, Stakeholder values and scientific modeling in the Neuse River watershed, Group Decision and Negotiation, Vol. 10, No. 4, pp. 355-373Google Search
5 
Bowen J D, Hieronymus J W, 2003, A CE-QUAL-W2 model of Neuse Estuary for total maximum daily load develop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9, No. 4, pp. 283-294Google Search
6 
Bronstert A, 2003, Floods and climate change: interactions and impacts, Risk Analysi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23, No. 3, pp. 545-557Google Search
7 
Chen J, Brissette F P, Poulin A, Leconte R, 2011, Overall uncertainty study of the hydrological impacts of climate change for a Canadian watershed, W12509,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7Google Search
8 
Chung S W, Park H S, Yoon S W, Ryu I G, 2011, Effect of installing a selective withdrawal structure for the control of turbid water in Soyang reservoir,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7, No. 6, pp. 743-753Google Search
9 
Choi J, Ahn J, Kim K S, Lim K J, 2007, Evaluation of SWAT applicability to simulation of sediment behaviors at the Imha-Dam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3, No. 4, pp. 467-473Google Search
10 
Cole T M, Wells S A, 2017, CE-QUAL-W2: A two-dimensional, laterally 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version 4.1,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Portland State University
11 
Debele B, Srinivasan R, Parlange J Y, 2008, Coupling upland watershed and downstream waterbody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s (SWAT and CE-QUAL-W2) for bette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complex river basins, Environmental Modeling & Assessment, Vol. 13, No. 1, pp. 135-153Google Search
12 
Dessai S, Hulme M, 2011, Assessing the robustness of adaptation decisions to climate change uncertainties : A case study 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East of Engl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Vol. 17, pp. 59-72Google Search
13 
Fang X, Stefan H G, 2009, Simulations of climate effects on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and ice and snow covers in lakes of the contiguous US under past and future climate scenario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54, No. 6part2, pp. 2359-2370Google Search
14 
Foley B, Jones I D, Maberly S C, Rippey B, 2012, Long-term changes in oxygen depletion in a small temperate lak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eutrophication, Freshwater Biology, Vol. 57, No. 2, pp. 278-289Google Search
15 
Gillingham K, Nordhaus W D, Anthoff D, Blanford G, Bosetti V, Christensen P, McJeon H, Reilly J, Sztorc P, 2015, Modeling uncertainty in climate change: A multi-model comparison, No. w21637,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Working Paper 21637,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050 Massachusetts Avenue CambridgeGoogle Search
16 
Han J H, Lee D J, Kang B S, Chung S W, Jang W S, Lim K J, Kim J G, 2017, Potential impacts of future extreme storm events on streamflow and sediment in Soyang-dam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3, No. 2, pp. 160-169Google Search
17 
Hwang I C, 2017, A review on probabilistic climate-economy models and an application of FUND,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ol. 26, No. 3, pp. 359-398Google Search
1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Agenda, Vol. 6, No. 07, pp. 333Google Search
1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4,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p. 1454Google Search
20 
International Steategy for Disaster Reduction (ISDR), 2007, Risk Reduction: 2007 Global Review, International Steategy for Disaster ReductionGoogle Search
21 
Jackson C R, Meister R, Prudhomme C, 2011, Modell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its uncertainty on uk chalk groundwater resources from an ensemble of global climate model projec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99, pp. 12-28Google Search
22 
Jeong C S, Heo J H, Bae D H, 2004, Uncertainty analysis of GCM information in Korea using probabilistic diagnostic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7, No. 3, pp. 173-184Google Search
23 
Jung I W, Bae D H, Kim G, 2011,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Korean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1, No. 3, pp. 359-370Google Search
24 
Joung S H, Park H K, Lee H J, Lee S H, 2013, Effect of climate change for diatom bloom at winter and spring season in Mulgeum station of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9, No. 2, pp. 155-164Google Search
25 
Kay A L, Davies H N, Bell V A, Jones R G, 2009, Comparison of uncertainty sources for climate change impacts : flood frequency in England, Climatic Changes, Vol. 92, pp. 41-63Google Search
26 
Kim B C, Jung S M, 2007, Turbid storm runoffs in lake Soyang and their environmental effect,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9, No. 11, pp. 1185-1190Google Search
27 
Kim B C, Kim Y H, 2004, Articles: phosphorus cycle in a deep reservoir in Asian monsoon area(lake Soyang, Korea) and the modeling with a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37, No. 2, pp. 205-212Google Search
28 
Kim B S, Kwon H H, Kim H S, 2011,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risk,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Wetlands Researh, Vol. 13, No. 1, pp. 1-11Google Search
29 
Kim Y, Ohn I, Lee J K, Kim Y O, 2019, Generalizing uncertainty decomposition theory in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s, Journal of Hydrology X, Vol. 3, pp. 100024Google Search
30 
Kim Y H, Kim B C, Choi K S, Seo D I, 2001, Modeling of thermal stratification and transport of density flow in Soyang reservoir using the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18, pp. 96-105Google Search
31 
Kundzewicz Z W, Kanae S, Seneviratne S I, Handmer J, Nicholls N, Peduzzi P, Mechler R, Bouwer L M, Arnell N, Mach K, Muir-Wood R, Brakenridge G R, Kron W, Benito G, Honda Y, Takahashi K, Sherstyukov B, 2014, Flood risk and climate change: global and regional perspective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9, No. 1, pp. 1-28Google Search
32 
K-water, 1994, [Korean Literature], Research Report on the Reservoir of Soyang River Dam, K-water
33 
K-water, 2005, [Korean Literature], Multipurpose Dam Operation Practice Manual, K-water
34 
K-water, 2007, [Korean Literature], Multipurpose dam (four dams including Soyanggang Dam) Establishment of turbid water reduction plan (Soyanggang Dam), K-water
35 
Lee J K, Kim Y O, 2015, Verification of bias corrected simulations of climate models using entro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5, pp. 25-35Google Search
36 
Lee J W, Eom J S, Kim B C, Jang W S, Ryu J C, Kang H W, Kim K S, Lim K J, 2011, Water quality prediction at Mandae watershed using SWA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 vegetated filter strip,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3, No. 1, pp. 37-45Google Search
37 
Lee K H, 2016, Prediction of climate-induced water temperature using nonlinear air-water temperature relationship for aquatic environments,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5, No. 6, pp. 877-888Google Search
38 
Minville M, Brissette F, Leconte R, 2008, Uncertainty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hydrology of a Nordic watershed, Journal of Hydrology, Vol. 358, pp. 70-83Google Search
39 
Neitsch S L, Arnold J G, Kiniry J R, Williams J R, 2009,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9,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40 
Noh S, Park H, Choi H, Lee J, 2014, Effect of climate change for cyanobacteria growth pattern in Chudong station of lake Daechung,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0, No. 4, pp. 377-385Google Search
41 
Paerl H W, Huisman J, 2009, Climate change: a catalyst for global expansion of harmful cyanobacterial blooms, Environmental Microbiology Reports, Vol. 1, No. 1, pp. 27-37Google Search
42 
Paerl H W, Paul V J, 2012, Climate change: links to global expansion of harmful cyanobacteria, Water Research, Vol. 46, No. 5, pp. 1349-1363Google Search
43 
Paltsev S, 2017, Energy scenarios: The value and limits of scenario analysis,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Energy and Environment, Vol. 6, No. 4, pp. e242Google Search
44 
Parson E, Burkett V, Fisher-Vanden K, Keith D, Mearns L, Pitcher H, Rosenzweig C, Webster M, 2015, Global change scenarios: Their development and use, (Elizabeth L. Malone), Synthesis and Assessment Products, 2.1b, U.S. 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
45 
Piccolroaz S, Toffolon M, Majone B, 2015, The role of stratification on lakes' thermal response: The case of Lake Superio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1, No. 10, pp. 7878-7894Google Search
46 
Prudhomme C, Davies H, 2009, Assessing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impact analyses on the river flow regimes in the UK. Part1: baseline climate, Climatic Change, Vol. 93, pp. 177-195Google Search
47 
Sheffield J, Wood E F, 2008, Projected changes in drought occurrence under future global warming from multi-model, multi-scenario, IPCC AR4 simulations, Climate Dynamics, Vol. 31, No. 1, pp. 79-105Google Search
48 
Shin Y, Jung H, 2015, Assessing uncertainty in future climate change in Northeast Asia using multiple CMIP5 GCMs with four RCP scenario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4, No. 3, pp. 205-216Google Search
49 
Stefan H G, Hondzo M, Fang X, Eaton J G, McCormick J H, 1996, Simulated long-term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characteristics of lakes in the north-central United States and associated fish habitat limi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41, No. 5, pp. 1124-1135Google Search
50 
Trenberth K E, Dai A, Van Der Schrier G, Jones P D, Barichivich J, Briffa K R, Sheffield J, 2013, Global warming and changes in drought, Nature Climate Change, Vol. 4, No. 1, pp. 17-22Google Search
51 
Trutnevyte E, Guivarch C, Lempert R, Strachan N, 2016, Reinvigorating the scenario technique to expand uncertainty consideration, Climatic Change, Vol. 135, No. 3-4, pp. 373-379Google Search
52 
Wagner C, Adrian R, 2009, Cyanobacteria dominance: quantify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54, No. 6part2, pp. 2460-2468Google Search
53 
Walker W E, Harremoës P, Rotmans J, Van Der Sluijs J P, Van Asselt M B, Janssen P, Krayer von Krauss M P, 2003, Defining uncertainty: a conceptual basis for uncertainty management in model-based decision support, Integrated assessment, Vol. 4, No. 1, pp. 5-17Google Search
54 
Wilby R L, Harris I, 2006, A framework for assessing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impacts : Low-flow scenarios for the River Thames, UK,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2, No. 2, pp. W02419Google Search
55 
Winslow L, Read J, Woolway R, Brentrup J, Leach T, Zwart J, Albert S, Collinge D, 2018, Available online: https://zenodo.org/record/1003169#.Ws82F9NubEY (accessed on 6 October 2018), Zenodo
56 
Woolway R I, Maberly S C, Jones I D, Feuchtmayr H, 2014, A novel method for estimating the onset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lakes from surface water measuremen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0, No. 6, pp. 5131-5140Google Search
57 
Ye L, Yoon S W, Chung S W, 2008, Application of SWAT for the estimation of soil loss in the Daecheong dam basin,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2, pp. 149-162Google Search
58 
Yi H S, Kim D S, Hwang M H, An K G, 2016, Assessment of runoff and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under RCP climate change scenario in Yongdam dam watershed,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2, No. 2, pp. 173-182Google Search
59 
Yu J J, Lee H J, Lee K L, Lyu H S, Whang J H, Shin L Y, Chen S U, 2014,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Korea, [Korean Literature],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Vol. 47, No. 4, pp. 247-257Google Search
60 
Yun Y J, Park H S, Chung S W, 2019, Projec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stratification strength with climate change in Soyanggang Reservoir in South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35, No. 3, pp. 234-247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