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Ji Won Kim)
1aiD
이혜원
(Hye Won Lee)
2iD
이용석
(Yong Seok Lee)
3iD
최정현
(Jung Hyun Choi)
1b†iD
-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이화여자대학교 기후환경변화예측연구센터
(Center for Climate/Environment Change Prediction Research, Ewha Womans University)
-
한림성심대학교 보건환경과
(Department of Health and Environmen,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Correlation Analysis, North Han River, Serial Discontinuity Concept, Similarity Analysis, Water Quality Relationship
1. Introduction
하천은 상류에서 하류로, 지천에서 본류로 흘러가며 자연 스런 생태적 연속성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시스템이나, 하 천 구간에 댐이 건설되면 그 흐름이
인위적으로 조절됨으로 써 댐 유역과 하류 하천의 흐름, 수온, 수질 등이 변화하고 생태적 연속성 특성도 달라질 수 있다. 연속/불연속성 이론 (Serial
Discontinuity Concept)에 따르면, 댐 건설로 인하여 하천에 호수 구간이 형성되면, 댐의 물리적 특징(크기, 취수 위치, 방류량,
방류 위치, 방류 시기 및 지속 시간 등)과 그에 따른 댐 운영방식에 따라 하류 하천 십여 km에서 수백 km까 지 미치는 영향이 다양한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Baldwin et al., 2010; Park et al., 2018; Ward and Stanford, 1995).
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온 우리나라는 안정적인 수 자원 확보와 에너지 공급을 위해 대형 하천을 중심으로 저수 량 확보가 용이한 상류 산간 지역에
많은 댐을 건설하였다. 특히, 북한강은 수도권의 치수와 이수 대책에 주요 관심 대 상이었으며 댐 건설에 적합한 지리적,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북한강에는 DMZ 북측에 임남댐을 시작으로 평화의 댐, 화천댐,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이 순차적으로 위치해 있 고, 소양강 말단에 자리한 소양강댐이
춘천댐과 의암댐 사이 로 유입되고 있다. 북한강의 유량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강우와 집중호우로 하상계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2003년 완공된
유로변경식 임남댐 운영으로 최대 60 %까지 유량 감소도 나타나고 있다(KWRC, 2013; Lee, Lee, Kim 2019; Lee, Lee Lee et al., 2019). 상대적으로 상류 수질이 양호한 북한강의 유량 감소 추세와 큰 유량 변동성 증가는 댐 구간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희석효과를 줄여 수질 악 화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팔당호의 주요 수량 공급원인 북한강의 수질관리에서는 하천 구간에 존재 하는 댐들에 대해 댐 내부와 하류 하천
지점의 수질간에 영 향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 하천에 위치한 댐 관련 연구들은 주로 개별 댐 단위로 댐 내부 수질 변화에 국한된 내용들이 대부분이고, 댐 방류가 하류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수온, 생태계, 조류 변화 등 제한적 부분에 대해서만 이루어졌다(Kim and Park, 2012, 2013; Kim and Chung, 2011; Lee and Park, 2008; Noh et al., 2010; Park et al., 2012; Seo et al., 2008; Seo et al., 2009). 수질에 관한 연구는 수질 모델을 이용한 경 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북한강을 대상으로 CE-QUAL-W2 를 적용하여 하류 하천 수온 변화를
분석한 연구(Park, 2005), 강우 특성에 따른 화천댐에서 팔당댐까지 구간의 수질 변화 연구가 있다(Jun et al., 2012). 그러나 북한강 수계와 같이 댐 과 하천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수계에 대해 댐 내부와 댐 하 류 구간에 외부 영향이 없는 하천 지점 간에 장기
수질 자료 로 관계성을 통계방법으로 해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수계에 위치한 화천댐, 춘천 댐, 소양강댐, 의암댐 및 청평댐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 을 댐 내부의 경우, 상/중/하층의
수질에 대해 수직적인 관계 와 댐 내부와 방류 하천의 수질 비교를 통해 유하 방향에 따 른 수평적인 관계에 대해 각각 상관성과 유사성을 살펴보았 다.
상관성과 유사성은 수질항목별로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통계적 검정 결과에 기초하여 댐 내부 수층 간 그 리고 댐 내부와 하류 하천 간 수질항목별
관계성을 종합적으 로 해석하여 모니터링 자료의 대표성과 활용 가치를 파악하 고자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대상
북한강은 한강의 제1지류로 북한의 금강천을 발원지로 하 며 DMZ을 경유하는 유로연장과 유역면적이 각각 158.80 km 와 7,787.95 km2인 하천이다(MOLIT, 2013). 북한강은 유역면 적이 넓어 유량이 풍부하고 댐 건설에 유리한 지형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북한강에는 상류로부터 화 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 등 크고 작은 댐들이 연속하여 위치하고 있다. 북한강에 위치하고 있는 이들 댐으 로 인해 형성된 수역 구간은 수체의
흐름 특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화천호와 소양호는 담수량이 많 은 대형 호소로 상대적으로 긴 체류 시간을 가진다. 이에 반 해
상대적으로 저수량이 적은 춘천호, 의암호, 청평호는 짧 은 체류시간으로 하천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이처럼 북한강 에 위치한 댐들은 호소형과 하천형의
특성이 혼재되어 있어 수리 및 수질 변동이 댐별로 상이하고 계절적으로 변이가 크 다(Jun et al., 2012).
북한강 유역의 강우는 기상청 춘천관측소를 기준할 때 연 평균 약 1,142 mm이고, 여름철 집중강우 시에 약 60 % 이상 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
기후 변화로 국지성 강우와 집중호 우가 자주 발생하고 봄철 가뭄이 더 심화되는 등 하천 유량 은 시기별 변동 폭이 커지는 추세이다. 저수 용량이 큰
댐 수역과 하천은 유량 변동에 덜 민감하지만 저수 용량이 적은 댐 수역과 하천은 유량 변동에 민감하여 오염부하 특성에 따 라 수질도 다양하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북한강 의 주요 댐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 자료에 의하면 저수 용량 이 적은 댐 수역과 하천 구간에서 부영양화 현상이 우려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2.2. 자료 조사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에 위치한 5개의 댐, 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및 청평댐의 내부 지점과 가장 인접한 방 류하천의 측정망을 분석지점으로
선정하였다(Table 1). 댐 방류지점과 하류 하천지점까지의 구간에 유입천은 화천댐 구간에 풍산천만 존재하고 나머지 4개의 댐 사이에는 유입 천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화천댐의 경우는 방류지점과 하 천 측정지점간 이격거리는 약 7.5 km이며, 그 외 지점은 댐 방류 직후에 하천의 수질측정망이 위치하고 있다.
Table 1. Applied data conditions and status of 5 dams for the study in North Han River
Dam (Intake height)
|
Monitoring Location
|
Data Period (Number of Data)
|
Characteristic
|
Hwacheon (Mid)
|
Dam
|
Hwacheondam1
|
1999/01 ~ 2018/12 (542)
|
Inflow: Pungsan stream
|
Downstream
|
Hwacheon
|
1999/01 ~ 2018/12 (571)
|
Distance: 7.5km
|
Chuncheon (Mid)
|
Dam
|
Chuncheondam2
|
1999/01 ~ 2018/12 (487)
|
Inflow: No
|
Downstream
|
Chuncheon A
|
2008/01 ~ 2018/12 (469)
|
Distance: < 0.5km
|
Soyanggang (Mid)
|
Dam
|
Soyanggangdam1
|
1999/01 ~ 2018/12 (594)
|
Inflow: No
|
Downstream
|
Soyanggang2
|
1999/01 ~ 2018/12 (708)
|
Distance: 4.0km
|
Euiam (Mid)
|
Dam
|
Euiamdam1
|
1999/01 ~ 2018/12 (2213)
|
Inflow: No
|
Downstream
|
Euiam
|
1999/01 ~ 2018/12 (234)
|
Distance: < 0.5km
|
Cheongpyeong (Mid)
|
Dam
|
Cheongpyeongdam1
|
1999/01 ~ 2018/12 (496)
|
Inflow: No
|
Downstream
|
Cheongpyeong
|
2008/01 ~ 2018/12 (468)
|
Distance: < 0.5km
|
해당 지점의 수질과 댐방류량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과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된 것으로 1999년부 터 2018년까지 최근 20년 간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ME, 2019; MOLIT, 2019). 수질 자료는 매월 1회 또는 4회 를 주기로 조사되고 있으며, 2004년 이후부터는 댐 내부의 수층별 분석도 이뤄졌다. 댐방류량 자료는 일별
자료를 사용 하였다. 자료 분석은 강우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수질 자료가 측정된 동일 날짜의 방류량 자료를 기반으 로 평수기에 해당되는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통계 기법은 모수적 방법인 Pearson’s r과 t-test 방법을 적용하였 다. 수환경 데이터는 시간(계절)에 따른
주기적인 변화와 조 사 여건에 따른 결측치 발생 등으로 자료수가 많지 않으면 비정규 분포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정규성 검정을 통해 적절 한 통계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적절하다(Lim, 2019; Shin et al., 2013).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측정된 자료 수가 많아 중심극한정리를 적용하고 자료를 정규 분포로 가정하 였다(Shin et al, 2013).
수질 항목은 수온, 전기전도도, BOD, COD, TN, TP로 총 6개이다. 수온은 수체의 이동을 결정하고 댐 내부의 수질 관 리에 필수적인 항목이라
할 수 있으며, 계절별 연직 수온 분 포와 성층현상이 나타난다(Park, 2005). 또한 보존성 물질로 대표적인 전기전도도와 함께 짧은 시간 내 변동되지 않는 특 성으로 댐과 하천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이점을 가지고 있 다.
BOD와 COD는 유기물에 의한 오염 정도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항목이다. 그 중 BOD는 국가에서 지정한 대 표 총량 지표이나 호소와 같이
정체된 수역에서는 조류에 의 한 영향으로 정확한 측정 결과를 예상할 수 없기에 COD 측 정값을 대체하여 사용한다. TN과 TP는 영양염류 항목으로
조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호소의 수질관리에 매우 중요한 항목이라 할 수 있다.
2.3. 분석 방법
2.3.1. 주성분 분석
수질 자료들은 여러 변수에 영향을 받지만 자료에서 의미 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모든 변인을 통제할 수 없다. 각각의 변수는 항상 독립적이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여러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는 다변량 분석을 적용하였다(Martin et al., 2005; Varmuza and Filzmoser, 2009). 복잡한 구조의 다변량 자료는 고차원 자료에 해당하므로 해석이 어려울 뿐만 아니 라 일반화시키는 데 많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고차원 자료를
저차원 공간에 투영시켜 자료 해석을 보다 단순화하 는 분석법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Yu et al., 2016). 주성 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은 다변량 분석 방법의 하나로 기존 변수들(X)을 선형 조합하여 자료
집합의 중복성을 제거하고 원본 정보의 대부분을 유지하면서 분석 과 관련된 정보 대부분을 포함하는 적은 수의 새로운 변수 (Principle component,
Latent variable)를 생성한다. 이렇게 자료의 차원을 축소하여 직관적으로 자료의 경향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주성분 분석에서 주요인의 수는 요인이 설명할 수 있는 변 수의 분산 크기를 나타내는 고유치(Eigenvalue)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적용한 고유치
기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0이 다. 회전 방법에는 요인간의 상관(correlation)을 허용하는 사 각(Oblique)회전과 요인들의 의미
파악 및 해석이 비교적 용 이하도록 하는 직교(Orthogonal)회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교회전에 해당하는 Varimax, Quartimax,
Equimax 방식 중 공분산의 합계를 최대한 높여 변수의 수를 줄여주어 결과해 석의 단순화가 용이한 Varimax 방식을 적용하였다(Bro and Smilde, 2014).
2.3.2. 상관성 분석
상관성 분석은 두 변수 간에 어떤 선형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댐 내부 상/중/ 하층 간 및 댐 내부와 방류 하천
구간에서 측정된 동일한 수 질 항목에 대하여 서로 연관성이 있는지를 보기 위해 적용하 였다. 상관성 분석법에는 두 개의 변수가 어느 정도 강한 관
계에 있는가를 측정하는 단순 상관분석과 3개 이상의 변수 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강도를 측정하는 다중 상관분석이 있으 며, 해당 연구에서는 단순 상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Pearson’s r은 두 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보편 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r은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와 X와 Y가 각각 변하는
정도의 비율을 의미한다. X와 Y가 완 전히 동일하면 r값은 +1, 전혀 다르면 0, 반대 방향으로 완전 히 동일하면 –1을 가진다. 연구에서 사용한
t검정 통계량(t*) 과 상관계수(r)는 각각 식(1)과 (2)와 같다(Helsel and Hirsch, 1992).
여기서, xi, yi = I 번째 관측치, x, y = 평균, n = 자료수
2.3.3. 유사성 분석
t-test는 하나 또는 두 개 집단의 분산과 표준편차를 통해 평균 의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댐 내부 상/중/하 층 간 및 댐 내부와
방류 하천 간에서 측정된 동일한 수질 항목 에 대하여 유사성 판단을 위해 적용하였다. t-test의 종류는 표 본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크게
1 표본(One-Sample), 독 립표본(Independent sample), 대응표본(Paired sample)으로 분 류되며, 독립표본 t-test(unpaired)는
두 집단의 분산 특성에 따 라 등분산인 경우 합동분산(Pooled), 이분산인 경우 비합동분 산(Unpooled)을 적용한다.
댐 내부 상/중/하층 간 관계 분석에서는 측정일이 동일한 일자의 자료로 대응표본을 구성하고, t-test를 수행하였다. 동 일한 일자로 대응표본의
수가 적은 경우, 동일한 월로 대응 표본을 구성하였다. 댐 내부 상/중/하층 간 및 댐 내부와 방 류 하천 간 관계 분석에서는 독립표본 t-test(Unpaired)를
사 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판단에는 F검정을 사용하였다. t-test 에서 사용되는 t검정통계량(t*)은 식(3)과 같다. 차이의 표준 오차(SD)는 조건에 따라 다르며 각각 식(4)-(6)과 같고 x,y의 표준편차와 Sp2 는 각각 식(7)과 (8)로 산출하였다(Helsel and Hirsch, 1992).
여기서, D = x - y, SD = 차이의 표준오차, Sx2, Sy2 = x와 y의 분산, Sxy = x, y의 표준편차, nx, ny, nxy = 자료수, xi, yi =관 측치, x, y = 평균 이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북한강 주요 댐의 방류량 패턴 분석
북한강의 주요 댐인 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 평댐 등의 방류 특성을 파악하고자 20년간(1999 ~ 2018) 측정 된 총방류량과
저수위 일 자료를 시계열과 박스플롯(Boxplot) 그래프로 표시하였다(Fig. 1). 시계열 그래프에서는 시간에 따 른 총방류량과 저수위 변동을 확인하였으며, 전반적인 자료 에 대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총방류량 2,000 m3/s 이하의 데이터만 그래프 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박스플롯(Boxplot) 을 통해 실제 분석에서 활용된 평수기(Q60~90)에 해당하는 총 방류량의 범위를 확인하였다. 방류패턴은 소양강댐을 제외한 4개의 댐에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위 변동은 상류에 위치한 화천댐과
소양강댐에서만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 로 보였다. 소양강댐의 경우, 일상적 발전 방류를 제외하고 이상적인 폭우 현상이 기록되지 않는 이상 수문을
거의 개방 하지 않았고, 1999 ~ 2018년 기간 동안 2003, 2006, 2011, 2017년 총 4번의 홍수조절을 위한 수문 개방이 이루어졌다.
2003년에는 한반도에 매미가 강타하였고 2006, 2011, 2017년 에는 이상적인 폭우가 나타났다. 저수위 변동 그래프를 볼 때, 하류에 위치한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의 수위는 상류에서 유 입되는 양만큼 방류함으로써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 Discharged flow with surface elevation variation of major dam in North Han River.
댐별로 방류량 분포를 박스플롯으로 분석하였으며, 북한강 은 하류로 갈수록 방류량이 증가하여 수량이 증가하는 특징 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각 댐에서의
최소 ~ 최대 방류량 변동 범위는 화천댐 0.1 ~ 5,433.0 m3/s, 춘천댐 0.1 ~ 7,534.0 m3/s, 소양강댐 0.2 ~ 1,513.7 m3/s, 의암댐 0.5 ~ 10,481.0 m3/s, 청평댐 2.0 ~ 11,590.0 m3/s이다. 유량 변폭은 소양강댐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암댐과 청평댐에서 변폭이 가 장 큰 것으로 보였다. 소양강댐은 주로 수위 조절을 위한
방 류보다 발전을 위한 방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량 변동이 작은 것으로 판단되며, 의암댐은 춘천댐 방류에 영향을 받고 청평댐은 홍천강 유입의 영향으로
변폭이 크게 나타난 것으 로 판단된다.
3.2. 북한강 수질의 주성분 분석
북한강 수질의 주성분 분석을 위해 수온, 전기전도도, BOD, COD, SS, TN, TP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1999 년부터 2018년까지
20년간 수질측정망에서 모니터링 된 것 이다. 각 수질 항목들은 단위 및 측정 기준이 상이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각각 0과 1로 맞추는 auto scaling
방법으로 측정 자료 값을 정규화 시켰다.
6개의 수질항목의 요인에 대한 고유치와 수질에 미치는 기 여율을 비교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고유치 가 1보다 큰 요인을 주요인으로 추출한 후, 각 수질항목이 가지는 주성분분석 결과 PC1과 PC2를 Fig. 2에 제시하였다. 주성분 전체 수질 변동에 대하여 50.175 %를 설명하고 있으 며, 제 1요인은 28.925 %, 제 2요인은 21.250 %를
기여하고 있다. 제 1요인은 TN, TP, BOD, COD로 분류되었고 제 2 요인은 수온과 전기전도도로 분류되었다. 유기물 및 영양염 요인이 모두
1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강수량 및 유량 등 자 연적인 변화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온과 전기전도도 가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댐 상하류 간 관계성 분석을 각 그룹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Table 2. Initial Eigenvalue and selected factor loading after Varimax rotation
Component
|
Initial eigenvalue
|
Rotation sums of squared loadings
|
Total
|
% of variance
|
Cumulative %
|
Total
|
% of variance
|
Cumulative %
|
1
|
1.736
|
28.925
|
28.925
|
1.736
|
28.925
|
28.925
|
2
|
1.275
|
21.250
|
50.175
|
1.275
|
21.250
|
50.175
|
Fig. 2. Factor loading after varimax rotation for variables.
3.3. 북한강 주요 댐 상하류 간의 관계성 분석
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의 상하류 간 관 계 분석 결과는 Fig. 3와 같은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댐을 기 준으로 우측에 댐 내부 상/중/하층 간 관계를 죄측에 댐 내부 와 하류 하천 간 관계를 표시하였다. 댐 내부는
상층과 중층, 중층과 하층에 대한 관계를, 하류 하천은 댐 내부 상/중/하층 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각각 댐 수층 사이 또는 댐 수층 과 하류
하천 사이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관성 결과는 상관관계 여부에 따라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미한 상관계수 이하의 값을 갖는 r은 숫자로 표시하였다.
유사성 결과에서 는 평균의 차이 여부에 따라 “같다(=) 혹은 같지 않다(≠)”로 제시하였다.
Fig. 3. Schematics of the proposed diagram (= and ≠ : t-test results and Arabic numerals : Pearson’s r).
3.3.1. 수온과 전기전도도
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에서 댐 내부 상/ 중/하층 간 및 댐 내부와 하류 하천의 수온과 전기전도도에 대한 상관성 및 유사성 분석
결과를 Fig. 4의 (a)와 (b)에서 제시하였다. 수온의 경우, 댐 내부 수층 간 상관성 결과인 상 관계수(r)는 화천댐과 소양강댐이 각각 0.176 ~ 0.819, 춘천 댐, 의암댐
및 청평댐이 0.882 ~ 0.978의 범위에 있어, 수심이 깊은 소양강댐과 화천댐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가 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사성
분석으로 수행된 t-test결과 에서는 의암댐의 중-하층을 제외하고 수층 간에 수온이 유사 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계절에 따라 나타나는
성층현상의 영향으로 판단되며(ME, 2013), 수온이 다르게 나타난 경우는 수심이 깊고 체류 시간이 큰 댐에서 더욱 뚜 렷하였다. 댐 내부와 하류 하천 간의 관계에서는 춘천A, 의 암, 청평
지점의 수온은 댐 내부의 상/중/하 모든 수층과 유 사성과 상관성이 높은 반면에 화천과 소양강2 지점은 댐 내 부와 비교적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특히, 심층의 경우에는 하류 하천과 유사성, 상관성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 천A, 의암 및 청평 지점의 r값 범위는 각각 0.879 ~ 0.979이
고, 화천과 소양강2 지점은 0.203 ~ 0.942이다.
Fig. 4. The results of Pearson r and t-test between surface, mid and bottom layers of the dam, and downstream in study area (α= 0.05). (a) Temperature, and (b) Electrical Conductivity
전기전도도의 경우, 댐 내부 상/중/하층 간의 상관성은 수온 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화천댐과 소양강댐의 r값은 0.494 ~ 0.921로 춘천댐,
의암댐 및 청평댐 보다 낮은 상관성을 보 였으며 중층부와 하층부의 전기전도도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천댐과 소양강댐이 대용량 다목적댐으로
수심이 깊어 하층부까지 물질이동 및 확산이 상대적으로 어 려웠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수층 간 상관성이 높은 나머지 댐 에서 상층과 중층의 전기전도도
특성이 상이한 이유는 수온 이 다른 외부 유입수로 표층과 중층이 구분되는 시기의 영향 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대상 댐 대부분에서 하류 하
천의 전기전도도는 댐 내부 상층 및 중층부와 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수온 및 전기전도도는 댐 내부 상/중/하층 수 직적인 분포에서 상관성이
있으며, 댐 내부와 하류 하천 수평 적인 분포에서는 유사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3.2. BOD와 COD
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에서 댐 내부 상/ 중/하층 간 및 댐 내부와 하류 하천의 유하 방향의 BOD와 COD 상관성 분석 결과를
Fig. 5의 (a)와 (b)에 각각 제시하 였다. BOD와 COD는 모두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한강 수계에서는 두 항목의 장기 변화 경 향성을 살펴보면
BOD는 감소, COD는 증가하는 서로 반대 되는 변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Lee and Choi, 2009). 댐 내부 수층 간 관계에서는 BOD와 COD가 유사성 및 상관성 결과에서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연구대상 댐에서 수층 간 상관계수(r)값은 BOD,
COD에서 각각 0.028 ~ 0.904, 0.371 ~ 0.905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청평댐의 경우만 상층과 중층 에서 상관성이 없었다. 유사성에서
화천댐은 상층, 소양강댐 및 의암댐은 중층에서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것으로 분 석되었다.
Fig. 5. The results of Pearson r and t-test between surface, mid and bottom layers of the dam, and downstream in study area (α= 0.05). (a) BOD and (b) COD.
하천 지점과의 관계에서 BOD는 화천, 춘천A, 소양강2, 청 평 지점과 각 댐 내부 수층은 상관성이 없고, COD는 화천과 춘천A 지점을 제외하고
상관성 및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보 였다. 하류 하천 지점은 댐 내부 수층과 뚜렷한 관계가 파악 되지 않았다. 이는 유기물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특 징이 있으며 댐 내와 하천 지점의 시료채취 시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 존재한 결과로 사료된다. BOD와 COD 가 동일한 유기물 지표임에도
댐 내부와 하류 하천 간 관계 에서 상이한 결과에 대해 동일지점에서 측정된 두 항목 간 상관성 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3.3.3. TN과 TP
TN과 TP에 대한 연구 대상지의 댐 내부 상/중/하층 간 및 댐 내부와 하류 하천의 유하 방향의 TN과 TP 상관성 분석 결과를 Fig. 6의 (a)와 (b)에 각각 제시하였다. TN은 댐 내부 수층 간 r값에서 0.745 ~ 0.941의 범위로 나타나 상관성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성 분석 결과에서
대상 댐의 대부분 은 상/중/하층이 유사하며 화천댐 하층과 의암댐 상층에서의 농도는 다른 수층과 상이한 것으로 보였다. 하류 하천과의 상 관관계는
소양강댐과 청평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r값이 0.141 ~ 0.662의 범위로 비교적 낮았다. 유사성에서도 대부분 의 댐과 하천에서 상이했으며 소양강2
지점의 경우 소양강댐 의 표층, 청평 지점의 경우 청평댐의 중하층과 유사했다.
Fig. 6. The results of Pearson r and t-test between surface, mid and bottom layers of the dam, and downstream in study area (α= 0.05). (a) TN and (b) TP.
TP에서 댐 내부 수층 간 r값은 춘천댐을 제외하고 0.8 이 상의 범위로 나타났다. 유사성에서 화천댐과 의암댐은 표층 을 제외하고 수층 간에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댐과 하 류 하천간의 상관관계에서 r값은 소양강2 지점과 소양강댐의 중하층에서 0.890 ~ 0.911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대 부분의 댐은 r값이 0.5 이하로 낮거나 상관성이 없었다. 유사 성에서 대부분의 하천 지점은 상부 댐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 으며, 화천
지점은 상부 댐의 표층 및 하층, 춘천A 지점은 중층과 유사했다.
4. Conclusion
자연 하천에서 흐름에 따른 이화학적 경향은 외부 영향이 없을 경우 대부분 완만한 변화를 한다는 원리를 기초로, 북 한강 본류의 연속한 댐에 대해 취수구
근접 댐 내부 지점과 방류구 하류 하천 지점 간에 수질측정망 장기간 자료에 통계 방법을 적용하고 하류 하천 지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 하였다.
이에 연구는 하천의 연속성 이론에 부합하도록 평수 기 자료를 선별하여 급격한 유량 변화로 인한 수질 영향을 배제하였다. 북한강에서 댐으로 인해 댐
내부의 상층수와 하 부 수층 간 수온은 성층으로 인한 일반적인 현상으로 상이하 게 분포하며 수심이 깊은 화천댐과 소양강댐에서 뚜렷하였 다. 전기전도도의
경우는 수온과 유사하나 기타 수질 항목의 경우에서는 상하층 간 연관적 특징을 확인할 수 없었다. 특 히 중층이라는 채수 수심이 기준이 명확치 않아
수온약층이 형성되는 깊이가 아닐 수 있다는 점과 의암댐과 같이 수질과 유량조건이 상이한 유입으로 혼합 패턴이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은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댐 내부 지점과 직 하류 하천 지점 간의 관계에서는 수온과 전기전도도를 제외한 대 부분의 수질 항목에서 상관성과 유사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대상 자료들은 댐 내부 지점과 하류 하천 지점의 채 수 일자가 동일하지 않거나 수일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았다. 두 지점 간 수질
관계를 월 자료로 가정하여 적용할 때는 조사 일자 및 채수 시간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부분을 연구결과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가
전제 하는 연속성 개념을 전반적인 관계성에 적용하면 북한강에 서 댐은 하천 수질에 연속성을 단절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판 단할 수 있다. 특히, 수질측정망에서
얻어진 모니터링 자료 가 대표성을 가지고 수질관리에 보다 실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재 측정망의 운영 체계에 대한 재검토와 수정 보 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강수계관리위원회 환경기초조사사업 및 한국 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NRF-2018R1D1A1B07049419)의 진 행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Baldwin D. S., Wilson J., Gigney H., Boulding A, 2010, Influence of extreme drawdown
on water quality downstream of a large water storage reservoir,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6, pp. 194-206

Bro R., Smilde A. K., 2014,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alytical methods, Vol.
6, No. 9, pp. 2812-2831

Helsel D. R., Hirsch R. M., 1992, Statistical Methods In water Resources, Elsevier,
pp. 209-218
Jun H. W., Choi J. W., Ahn K G, 2012,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 at various
stream of Han-river watershed and empirical models of serial impoundment reservoirs,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45, No. 4, pp. 378-391

Kim E. J., Park S S, 2012, Multi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temperature modeling
of Han river system,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6, pp. 866-881

Kim E. J., Park S S, 2013, Multidimensional dynamic water quality modeling of organic
matter and trophic state in the Han river system,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5, No. 3, pp. 151-164

Kim Y. K., Chung S W, 2011, Laterally-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turbidity
modeling for the downstream of Yongdam dam,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7, No. 5, pp. 710-718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RC), 2013, [Korean Literature], A stud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algae ocurance mitigation at the downstream reach considering
to the Imnam dam of DMZ upstream and Soyang dam located in the North Han river, KIWE-CHR-13-13,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pp. 1-7
Lee G., Lee H. W., Lee Y. S., Choi J. H., Yang J. E., Lim K. J., Kim J, 2019, The
effect of reduced flow on downstream water system due to the Kumgangsan dam under
dry conditions, Water, Vol. 11, pp. 739

Lee H. W., Choi J H, 2009, Temporal analysis of trends in dissolved organic matter
in Han river water, [Korean Literature],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14, No. 4, pp. 256-260

Lee H. W., Lee Y. S., Kim J., Lim K. J., Choi J H, 2019, Contribution of internal
nutrients loading on the water quality of a reservoir, Water, Vol. 11, pp. 1409

Lee H. W., Park S S, 2008, Long-term trend analyses of water qualities in Mangyung
watershed,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4, No. 4, pp. 480-487

Lim J M, 2019, [Korean Literature], Statistical comparison of water quality changes
during the drought and non-drought periods caused by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
and the weir gate ope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p. 1-41
Martin M. Z., Labbé N., Rials T. G., Wullschleger S D, 2005, Analysis of preservative-treated
wood by multivariate analysis of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spectra, Spectrochimica
Acta - Part B Atomic Spectroscopy, Vol. 60, No. 7-8, pp. 1179-1185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3, [Korean Literature], Study on environmental standards
for lakes and rivers, Ministry of Environment, pp. 9-15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 http://water.nier.go.kr/waterData/generalSearch.do
(accessed Feb. 2019),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3, [Korean Literature],
Summary of Korean rivers, 11-1613374-000036-0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p. 64-9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9, http://wamis.go.kr:8080/wkd/mn_dammain.do
(accessed Feb. 2019),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Noh J. W., Kim S. H., Shin J K, 2010, Modeling of water temperature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reservoir using 1-D dynamic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6, No. 2, pp. 356-364

Park J. C., Yoon J. H., Jung Y. M., Son J. Y., Song Y I, 2012, Simul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downstream according to withdrawal types of dam using EFDC model,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1, No. 5, pp.
715-724

Park J E, 2005, [Korean Literature], A modeling study for the impact prediction of
serial impoundments on downstream temperature distribution, 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855-856
Park J. H., Nayna O. K., Begum M. S., Chea E., Hartmann J., Keil R. G., Kumar S.,
Lu X., Ran L., Richey J. E., Sarma Vedula V. S. S., Tareq S. M., Xuan D. T., Yu R,
2018, Reviews and syntheses: Anthropogenic perturbations to carbon fluxes in Asian
river systems - concepts, emerging trends, and research challenges, Biogeosciences,
Vol. 15, No. 9, pp. 3049-3069

Seo D. I., Seo M. J., Koo M. S., Woo J M, 2009, Serial use of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of the Geum river using EFDC-Hydro and WASP7.2,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3, No. 1, pp. 15-22

Seo D. I., Yun J. U., Lee J W,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QUAL2E, QUAL2K and CAP
steady state water quality modeling results in downstream areas of the Geum river,
Korea,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2, No. 1, pp. 121-129

Shin Y. N., Lee S. W., Kang T. G., Kim K. H., Yoo M. K., Kim M. A., Lee B. N., Hong
J. Y., Kim S B, 2013, [Korean Literature],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assessment
using statistical methods, NIER-RP2013-298, Ministry of Environment (ME), pp. 1-45
Varmuza K., Filzmoser P, 2009, Introduction to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chemometrics, CRC press
Ward J. V., Stanford M J A, 1995, The serial discontinuity concept: extending the
model to flood plan rivers,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Vol. 10, pp.
159-198

Yu K. Q., Zhao Y. R., Liu F., He Y, 2016,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coupled
with multivariate chemometrics for variety discrimination of soil, Scientific Reports,
Vol. 6, No. 1, pp. 275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