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연구지역 및 자료수집
연구지역은 북한강과 임진강 유역의 본류를 중심으로 북한강 4개 지점(BW-A, BW-B, BW-C, BW-D), 임진강 2개 지점(IW-A, IW-B)을
선정하였다(Fig. 2). 각 지점은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로 운영하는 총량측정망 지점에 해당하며 각각 북한강과 임진강의 본류에 위치한다. 북한강의 BW-A는 북한강
발원지에서 화천댐까지, BW-B는 화천댐부터 춘천댐까지, BW-C는 춘천댐에서 가평천 합류점까지, BW-D는 가평천 합류점에서 청평댐까지, 임진강의
IW-A는 임진강 발원지부터 한탄강 합류점, IW-B는 한탄강 합류점부터 한강 합류점까지의 수질을 대표한다. 연구지역에 해당하는 국내 유역 면적은
북한강이 4,766.59 km2, 임진강 유역이 2,986.70 km2다.
Fig. 2.Location of station for long-term monitoring of water quality in the Bukhan and Imjin river basins.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 유역의 도시화 및 산업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불투수 면적률, 토지이용 면적, 인구, 산업폐수 방류량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중권역 평균 불투수 면적률은 북한강 유역의 춘천댐이 2.0%, 소양강이 2.0%, 의암댐이 6.5%, 청평댐이 4.4%이며 임진강 유역의 한탄강이
7.0%, 임진강 하류가 6.3%로 임진강 유역이 더 높다. 토지이용 면적은 북한강 유역이 산림 80.57%, 대지 3.23%, 농지 8.26%,
임진강은 산림 57.99%, 대지 6.81%, 농지 22.22%로 임진강의 대지 및 농지 이용 비율이 더 높다(NIER, 2019b). 대지 면적은 북한강이 2008년 122 km2에서 2017년 154 km2로 32 km2 증가하였고, 임진강은 2008년 160 km2에서 2017년 205 km2로 45 km2 중가했다(NIER, 2020).
유역별 총인구는 북한강이 2008년 487,204명에서 2017년 549,415명으로 62,211명 증가하였고, 임진강은 2008년 603,102명에서
2017년 649,615명으로 46,513명 증가하였다. 산업폐수 방류량의 경우 북한강은 2008년 8,183 m3/day에서 2017년 6,315 m3/day로 1,868 m3/day 감소하였으나 임진강은 2008년 157,484 m3/day에서 2017년 204,019 m3/day로 46,535 m3/day 증가하였다(NIER, 2020).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 유역의 중권역별 가축 사육두수 변화량과 해당 유역 시ㆍ군의 가축분뇨 발생량을 조사하였다(ME, 2020). 북한강 유역 총 사육두수는
2008년 118,373두에서 2017년 119,844두로 총 1,471두가 증가하였다. 중권역 중 가축 사육두수가 가장 많은 곳은 춘천댐 유역이며
2008년 46,281두에서 2017년에는 52,126두로 증가하였다. 북한강 유역에 해당하는 7개 시ㆍ군은 춘천, 가평, 화천, 인제, 남양주,
양구, 양평이며 이 지역의 가축분뇨 발생량은 2008년 3,789 m3/day에서 2017년 3,321 m3/day로 감소하였다. 임진강 유역 중권역 중 가축두수가 가장 많은 곳은 한탄강 유역이며 2008년 410,206두에서 2010년 834,658두로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고 2017년에는 총 689,566두였다. 임진강 유역 6개 시ㆍ군은 철원, 동두천, 파주, 포천, 양주, 연천이며
가축분뇨 발생량은 2008년 5,956 m3/day에서 2017년 11,871 m3/day로 증가하였다(Fig. 3).
Fig. 3.Status of heads of livestock and manure production (2008~2017) in (a) Bukhan river basin and (b) Imjin river basin (ME 2020).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 유역에 해당하는 시ㆍ군 지역의 연간 가축분뇨 발생량과 각 가축분뇨 처리 방법을 이용하는 농가 수를 비교하였다(ME, 2020;
Fig. 4). 북한강 유역의 전체 가축분뇨 처리 농가 수는 2008년에 1,890개소였으며 2011년에는 11,062개소로 증가했고 이후 감소하여 2017년에는
6,847개소였다. 가축분뇨 처리 방법은 개별 자원화 처리 방법이 2008년 2,061개소, 2017년 6,760개소로 가장 많고 공공처리 및 위탁처리는
2008년 79개소에서 2017년 311개소로 다음으로 많았다. 2017년 북한강 유역 총 가축분뇨 처리량은 1,950.4 m3/day이며 자원화 처리 방법은 1,604.7 m3/day로 가장 많고 공공처리 및 위탁처리는 279.0 m3/day, 정화처리는 66.7 m3/day였다(ME, 2020).
Fig. 4.Status of manure production and livestock manure treatment (2008~2017) in (a) Bukhan river basin (7 cities) and (b) Imjin river basin (6 cities) (ME 2020).
임진강 유역의 전체 가축분뇨 처리 농가 수는 2008년 1,983개소에서 이후 증가하였으나 2015년 대규모 농장 증가와 소규모 농가의 폐업 때문에
2,298개소로 감소하였다. 2016년에는 수도권의 축사들이 주변 민원으로 경기 북부 지역 등으로 이전하고 무허가축사적법화로 인한 무허가 농장들이
포함됨에 따라 11,871개소로 증가하였다. 가축분뇨 처리 방법은 개별 자원화 처리 방법이 2008년 1,610개소에서 2017년 8,088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공공처리 및 위탁처리는 2008년 236개소에서 2017년 3,332개소로 다음으로 많았다. 임진강 유역 2017년 총 가축분뇨 처리량은
11,558.9 m3/day이며 자원화 처리 방법은 7,810.1 m3/day, 공공처리 및 위탁처리가 3,301.6 m3/day, 정화처리가 447.2 m3/day였다(ME, 2020).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산정한 2015년도 전국 시군별 양분수지 중에서 연구지역 유역에 해당하는 시군의 양분수지를 표로 정리하였다(NIER, 2018;
Table 1). 북한강 유역 7개 시ㆍ군의 질소수지는 168∼431 kg-N/ha, 인수지는 37∼86 kg-P/ha 범위로 산정되었다. 임진강 유역 6개 시ㆍ군은
질소수지가 304∼819 kg-N/ha, 인수지가 59∼165 kg-P/ha 범위로 산정되었으며 북한강 유역보다 각 양분수지가 높았다. 전국 154개
시군의 평균은 질소수지가 240 kg-N/ha, 인수지가 38 kg-P/ha이며 OECD가 발표한 우리나라 2017년 양분수지인 질소수지 212 kg-N/ha,
인수지 46 kg-P/ha와 비슷하다.
Table 1.Nutrient balance in the cities in the Bukhan River and Imjin river basins 2015 (NIER 2018)
Area
|
City
|
Nitrogen (kg-N/ha)
|
Phosphorus (kg-P/ha)
|
Bukhan River basin
|
Chuncheon
|
226
|
39
|
Gapyeong
|
431
|
86
|
Hwacheon
|
336
|
50
|
Inje
|
340
|
51
|
Namyangju
|
168
|
37
|
Yanggu
|
227
|
39
|
Yangpyeong
|
232
|
38
|
Imjin River basin
|
Cheorwon
|
425
|
80
|
Dongducheon
|
541
|
97
|
Paju
|
304
|
59
|
Pocheon
|
553
|
110
|
Yangju
|
819
|
165
|
Yeoncheon
|
437
|
84
|
Domestic (154 cities)
|
Maximum
|
819
|
225
|
Minimum
|
-37
|
-14
|
Average
|
240
|
38
|
위 유역별 환경 현황조사 결과 북한강 유역은 임진강 유역보다 면적은 넓으나, 불투수 면적률, 대지 면적, 인구, 산업폐수 방류량이 적으므로 임진강
유역보다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수질 영향은 미미하다. 유역별 가축 사육두수 또한 임진강 유역이 북한강보다 2017년 기준 5.7배 이상 많으며
가축분뇨 발생량도 3.5배 이상 많다. 따라서 유역 환경이 다른 두 유역 간의 해양투기 금지 전후 수질 경향성을 비교하면 가축분뇨 발생량 증가와 처리
방법으로 인한 수질 변화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두 유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수질항목은 대표적인 현장수질 항목 및 농업 비점오염원 항목인 EC(전기전도도), T-N(총질소), T-P(총인),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로
선정하였다. 각 지점의 수질 자료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해양투기가 금지된 2012년 말을 기준으로 전후 각각 5년으로
하여 이전(2008∼2012년)과 이후(2013∼2018년)의 수질 변동 경향성을 비교하였다. 수질 자료는 해당 지점에서 평균 8일 간격으로 채수하여
수질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에는 월평균 값을 사용하였다. 결측 자료의 경우 전후 자료의 평균값을 대입하여 결측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