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연
(Sooyoun Nam)
aiD
임홍근
(Honggeun Lim)
biD
이기문
(Qiwen Li)
ciD
최형태
(Hyung Tae Choi)
d†iD
양현제
(Hyunje Yang)
eiD
김재훈
(Jaehoon Kim)
fiD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보전연구부 도시숲연구과
(Urban Forests Division, Department of Forest Conservation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Living environmental standard, Lowerland riv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Upland headwater stream, Water quality level
1. Introduction
최근 지구온난화, 엘니뇨, 라니냐 등 기후변화로 인하여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증가하는 추세이며(IPCC, 2007), 우리나라에서도 기온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Alexander, 2016; MOLIT, 2016). 이는 집중호우와 가뭄이라는 극한 기상현상의 발생빈도 및 강도를 증대시켜(Ahn, 2022; Kim et al., 2019; Westra et al., 2014), 안정적인 수자원 공급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Cho et al., 2018; Lee et al., 2012). 몇몇 선행연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하여 규조류, 질소 및 인 등의 물질이 다량 하천으로 유입돼 오염으로 인한 수질관리의 문제점을 보고하고 있다(Lee et al., 2007; NIER, 2005; Yim, 2017). 결국, 점차 심화되고 있는 기상현상은 이용 가능한 수자원 확보 및 관리를 더욱더 어렵게 만들 것이다(Chang et al., 2007; Lee et al., 2012; Lee and Kwon, 2015; MOLIT, 2016).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63.5%가 산림이고(KFS, 2019), 산림유역 내를 흐르는 계류 역시 전체 수계연장의 88.9% 이상(Kim and Han, 2008)을 차지하고 있어 전체 수계의 수자원 공급 및 관리 측면에서 산림유역 내 계류의 역할은 중요하다(Jun et al., 2007). Kim et al. (2011)은 산림유역 내 계류는 물과 토사 및 각종 영양염류⋅유기물의 근원지인 동시에 이들을 하류의 대하천까지 공급하는 중간지대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Meyer et al. (2007)도 산림유역 내 계류는 생물 종이 다양하고, 풍부하여 전체 수계의 건전한 계류생태계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더욱이 계류에서 흐르는
물, 즉 계류수는 하천수질기준 1급수로서, 하류의 하천이나 호수에 유입되어 식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Park and Lee, 2000). 따라서, 전체 수계의 맑은 물의 지속가능한 공급은 산림유역에서 유출되는 계류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Gomi et al, 2002; Meyer and Wallance, 2001; Sidle et al., 2000).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음에도, 계류수는 하천이나 호수와 비교하여 평상시에는 상대적으로 유량이 적거나 간헐천(ephemeral stream)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Kim et al., 2020), 긴 시간 동안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한적이다(Nam et al., 2021; Yoo et al., 2020). 그리하여 계류수질에 관련된 중⋅장기적 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Kim et al., 2003; Kim et al., 2005; Ma et al., 2011; Yur and Kim, 2005)로 국내에서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그 필요성이 충분히 고려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산림유역 계류의 중·장기적 수질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계류수질의 현황이 파악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계류수질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항목을 결정이 필요하다고 한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상수원로 사용되고 있는 하천 또는
호수에 대한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질의 분석항목인 pH,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질소(Total Nitrogen, T-N),
총인(Total Phosphorous, T-P) 등을 파악하여야 한다(Park et al., 1999; Park and Yang, 2001; ME, 2017; NIER, 2006). 특히, 7개의 분석항목 중 BOD, COD 및 TOC는 수질 중에 유기물이 농도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데 이용하는 수질기준 항목이며, T-N은
폐쇄성 수역의 조류를 증식시키는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질소의 양을 측정하는 항목이다. 이들 분석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활환경기준의 분석항목(pH,
BOD, COD, TOC, T-P)을 이용한 산지계류의 수질상태(Cho et al., 2021; Kang et al., 2019; Park et al., 2019)의 산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이 연구는 산림유역을 대상으로 계류수질의 변화를 계절별로 분석하였으며, 생활환경기준 수질항목의 자료(ME, 2017; ME, 2022)를 이용하여 수질등급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를 하류에 있는 하천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산림유역 계류수질의 관리 및 체계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대상지
연구대상지는 강원도(화천군, 인제군, 양양군, 평창군), 경상북도(봉화군, 울진군), 충청북도(괴산군), 전라북도(장수군), 경상남도(산청군) 및
전라남도(완도군)에 위치한 총 10개소의 산림유역(37.0~209.0 ha)이다(Fig. 1), 고도는 120~1,368 m이며, 평균경사는 21.1~34.9°, 모암은 화성암 및 변성암이며, 토성은 사질양토, 양토 및 미사질양토이다(Table
1). 임상은 대부분이 활엽수림 및 혼효림으로 구성된 천연림으로, 피복율은 99.0~100.0%이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sampled sites of upland headwater streams in forested catchments
Site
|
Region
|
Location
|
Latitude(°)
|
Longitude(°)
|
Area(ha)
|
Geology
|
Altitude(m)
|
Mean slope-angle (°)
|
Forest
|
Forest cover* (%)
|
F1
|
Wando-gun
|
Southern region
|
34.2136
|
126.4007
|
37.0
|
Igneous rock
|
120~515
|
21.1
|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
100.0
|
F2
|
Pyeongchang-gun
|
Central region
|
37.2835
|
128.3029
|
39.0
|
Igneous rock
|
962~1368
|
27.0
|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
100.0
|
F3
|
Hwacheon-gun
|
Central region
|
38.0317
|
127.2710
|
45.0
|
Igneous rock
|
680~936
|
24.1
|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
100.0
|
F4
|
Sancheong-gun
|
Southern region
|
35.2005
|
127.5302
|
75.0
|
Igneous rock
|
500~1000
|
32.0
|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
100.0
|
F5
|
Uljin-gun
|
Southern region
|
37.0013
|
129.1201
|
88.0
|
Metamorphic rock
|
472~915
|
28.9
|
Mixed forest
|
100.0
|
F6
|
Bonghwa-gun
|
Southern region
|
37.0342
|
128.4931
|
102.0
|
Metamorphic rock
|
861~1340
|
31.2
|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
100.0
|
F7
|
Inje-gun
|
Central region
|
38.0429
|
128.2257
|
105.5
|
Igneous rock
|
580~1155
|
29.6
|
Mixed forest
|
99.0
|
F8
|
Jangsu-gun
|
Southern region
|
35.3819
|
127.3542
|
190.0
|
Metamorphic rock
|
741~1235
|
34.9
|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
100.0
|
F9
|
Yangyang-gun
|
Central region
|
37.5610
|
128.4036
|
198.3
|
Metamorphic rock
|
210~600
|
27.3
|
Mixed forest
|
99.0
|
F10
|
Goesan-gun
|
Southern region
|
36.3835
|
127.5444
|
209.0
|
Igneous rock
|
325~901
|
27.7
|
Mixed forest
|
100.0
|
Asterisk (*) is percentage of forest cover cited by forest map (1:5,000), Korea Forest Service.
|
Fig. 1. Locations topographies of sampled sites from F1 to F10 in the forested headwater catchments.
2.2 조사항목 및 분석
산림유역 내 유량 부족 및 동결로 인하여 겨울철과 이른 봄철(12~3월)은 제외하고, 월별로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계절별(봄(4~5월), 여름(6~8월),
가을(9~11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의 채수방법, 보존 및 분석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을 준수하였다.
계류수질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하천 또는 호수의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분석항목인 pH, EC, BOD, COD, TOC, T-N 및 T-P를
이용하였다. 또한, 수중에 생분해성(biodegrad- able) 유기물 비중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생물학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유기물을 지시하는
BOD (Jouanneau et al., 2014)와 수층에서 유기적으로 결합된 탄소의 합을 의미하는 TOC (Matthews et al., 1990)의 비(BOD/TOC)를 산정하였다. 즉, BOD/TOC가 높다는 것은 수중에 생분해성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한다(Oh et al., 2015; Shim et al., 2015).
계류수의 등급별 수질 상태를 2022년 환경기준 제2조(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ME, 2022) 관련한 하천 및 호소 등의 생활환경기준 분석항목을 참고하여 Table 2와 같이 분석하였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수질등급체계의 수치형 등급(I, II, III 등) 명칭을 서술형 등급(“매우 좋음”, “좋음”, “약간 좋음”
등) 명칭으로 전환하였으며, 수질등급을 5단계에서 7단계로 세분화하였다(ME, 2017; ME, 2022).
Table 2. Living environmental standards of the rivers
Level
|
pH
|
BOD (mg/L)
|
COD (mg/L)
|
TOC (mg/L)
|
T-P (mg/L)
|
Ia
|
Very good
|
6.5~8.5
|
≤ 1
|
≤ 2
|
≤ 2
|
≤ 0.02
|
Ib
|
Good
|
6.5~8.5
|
≤ 2
|
≤ 4
|
≤ 3
|
≤ 0.04
|
II
|
Somewhat good
|
6.5~8.5
|
≤ 3
|
≤ 5
|
≤ 4
|
≤ 0.1
|
III
|
Fair
|
6.5~8.5
|
≤ 5
|
≤ 7
|
≤ 5
|
≤ 0.2
|
IV
|
Somewhat poor
|
6.0~8.5
|
≤ 8
|
≤ 9
|
≤ 6
|
≤ 0.3
|
V
|
Poor
|
6.0~8.5
|
≤ 10
|
≤ 11
|
≤ 8
|
≤ 0.5
|
VI
|
Very poor
|
-
|
> 10
|
> 11
|
> 8
|
> 0.5
|
The standards were referred to ME (2017) and ME (2022). |
산림유역의 계류와 하천의 수질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하천(수질측정망)의 수질현황 데이터(NIER, 2022)를 참고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19를 이용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산림유역의 계류수질 현황 및 특성 분석
2021년 4월 20일~11월 3일 동안 측정한 계류수질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측정한 계류수의 평균 pH는 6.6±0.4(범위: 5.7~7.5), 평균 EC(μS/cm)는 42.3±12.5 (24.0~75.0)로 나타났다.
평균 BOD의 농도(mg/L)는 0.9±0.6 (0.2~2.8), 평균 COD의 농도(mg/L)는 1.7±0.8(0.3~3.5), 평균 TOC의 농도는
1.1±0.5(0.3~2.7), 평균 T-N의 농도는 0.9±0.5 (0.1~2.0), 평균 T-P의 농도는 0.005±0.004(0.003~0.032)로
나타났다. 평균 BOD/TOC는 1.07±0.93(0.17~4.75)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Summary table for upland headwater streams water quality in forested catchments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
|
Spring (n=20)
|
|
Summer (n=30)
|
|
Fall (n=20)
|
|
All seasons
|
04/23~29
|
05/24~28
|
06/28~07/01
|
07/26~29
|
08/30~09/02
|
09/27~10/06
|
11/22~26
|
|
04/23~11/26
|
pH
|
|
6.5±0.2 (6.2~6.8)
|
6.8±0.3 (6.3~7.3)
|
|
6.5±0.5 (5.7~7.2)
|
6.4±0.4 (5.8~7.0)
|
6.2±0.3 (5.9~7.0)
|
|
6.7±0.3 (6.1~7.2)
|
7.1±0.3 (6.6~7.5)
|
|
6.6±0.4 (5.7~7.5)
|
EC (μS/cm)
|
45.4±12.2 (25.0~63.0)
|
41.5±10.3 (24.0~59.0)
|
45.5±16.0 (24.0~75.0)
|
43.0±12.4 (27.0~65.0)
|
34.5±7.7 (24.0~51.0)
|
42.4±11.2 (29.0~59.0)
|
43.6±12.7 (25.0~64.0)
|
|
42.3±12.5 (24.0~75.0)
|
BOD (mg/L)
|
0.7±0.3 (0.2~1.2)
|
0.4±0.1 (0.2~0.6)
|
1.0±0.3 (0.7~1.5)
|
0.5±0.2 (0.3~0.9)
|
1.0±0.2 (0.7~1.4)
|
0.7±0.2 (0.4~1.1)
|
2.0±0.3 (1.8~2.8)
|
|
0.9±0.6 (0.2~2.8)
|
COD (mg/L)
|
1.2±0.7 (0.3~2.4)
|
1.5±0.7 (0.6~2.8)
|
1.7±0.6 (1.0~3.3)
|
1.8±0.7 (0.8~3.5)
|
1.9±0.7 (0.8~3.2)
|
2.1±0.8 (1.1~3.1)
|
1.5±0.7 (0.4~2.7)
|
1.7±0.8 (0.3~3.5)
|
|
TOC (mg/L)
|
0.8±0.4 (0.3~1.8)
|
0.9±0.5 (0.4~1.8)
|
1.3±0.5 (0.7~2.7)
|
1.0±0.5 (0.3~1.9)
|
1.4±0.5 (0.9~2.5)
|
1.0±0.4 (0.4~1.7)
|
1.0±0.4 (0.4~1.8)
|
1.1±0.5 (0.3~2.7)
|
|
T-N (mg/L)
|
0.9±0.5 (0.1~1.5)
|
1.0±0.6 (0.1~1.8)
|
1.0±0.5 (0.2~2.0)
|
0.8±0.4 (0.2~1.4)
|
0.7±0.5 (0.1~1.5)
|
0.8±0.5 (0.1~1.5)
|
0.8±0.6 (0.1~1.7)
|
0.9±0.5 (0.1~2.0)
|
|
T-P (mg/L)
|
0.005±0.002 (0.003~0.009)
|
0.005±0.002 (0.003~0.009)
|
0.004±0.001 (0.003~0.005)
|
0.005±0.001 (0.003~0.007)
|
0.005±0.001 (0.004~0.007)
|
0.008±0.008 (0.003~0.032)
|
0.005±0.001 (0.003~0.008)
|
0.005±0.004 (0.003~0.032)
|
|
BOD/TOC ratio
|
1.13±0.92 (0.39~3.33)
|
0.59±0.35 (0.17~1.25)
|
0.90±0.39 (0.30~1.67)
|
0.71±0.77 (0.27~3.00)
|
0.79±0.30 (0.48~1.56)
|
0.93±0.73 (0.40~2.75)
|
2.43±1.15 (1.00~4.75)
|
1.07±0.93 (0.17~4.75)
|
|
Note: ±: standard deviation, Bracket: minimum~maximum values, n: Number of sampled upland headwater
|
산림유역의 계류수질 현황 및 특성을 모암별(화성암, 변성암), 임상별(낙엽활엽수림, 상록활엽수림, 혼효림), 고도별(측정유역의 평균 고도(770.8
m) 기준), 지역별(중부지방, 남부지방), 유역면적별(측정유역의 면적(100.0 ha) 기준)로 Fig. 2와 같이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Fig. 2. Characteristics of upland headwater streams water quality in forested catchments for five categories, (a) geology, (b) forest, (c) altitude, (d) location, and (e) catchment area. (a) Geology is separated into an igneous rock (IR) and metamorphic rock (MR). (b) the forest is separated as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B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EF), and mixed forest (MF). (c) Altitude is separated as below and over the mean value of altitude (MA). (d) Location is separated as central region (CR) and southern region (SR). (e) The catchment area is separated as less and more than 100 ha. A two-sample Student’s t-test (pH, COD, and TOC in both geology and altitude, and pH and COD in both location and catchment area) with Mann-Whitney U test (res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four categori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in the forest (pH, COD, and TOC) with Kruskal-Wallis test (res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Differences in lowercase letters above the bar graph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p<0.05).
모암별로 측정한 계류수의 COD와 TOC는 화성암보다 변성암에서 높게 났으며, T-N과 BOD/TOC는 변성암보다 화성암에서 높게 나타났다(Fig.
2(a)). 임상별로 측정한 계류수의 EC는 상록활엽수림에서 TOC는 혼효림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T-N은 상록활엽수림에서 낮게 나타났다(Fig. 2(b)). 고도별로 측정한 계류수의 EC, COD 및 TOC는 평균 고도보다 낮은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T-N과 BOD/TOC는 평균 고도보다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평균 고도가 높은 조사지의 평균 유역면적은 96.3 ha로서 평균 고도가 낮은 조사지의 평균 유역면적 121.5 ha와
비교하여 작았으며, 이는 전체 수계의 상류의 V자곡 형태로 산림 내를 흐르며 주변의 비탈면과 접한 계류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Fig. 2(c))(Gomi et al., 2002; Nakamura, 1995). 지역별로 측정한 계류수의 T-N과 BOD/TOC는 남부지방보다 중부지방에서 높게 나타났다(Fig. 2(d)). 유역면적별로 측정한 계류수의 분석항목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Fig. 2(e)).
3.2 산림유역 계류수질의 계절적 변화
산림유역 계류수질의 분석항목을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Fig. 3(a)~(d)), 측정한 계류수의 pH는 봄철~가을철 동안 6.4 ~6.9(±0.2~0.4)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계절별 변동 특성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NiFoS (2021)는 전국 산림유역 강수의 평균 pH 5.8(pH 5.0~6.5)이며, 토양의 평균 pH 4.8(pH 4.2~5.9)의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NiFoS (2020, 2021)는 산림유역에서 수목의 적정 토양 상태(pH 5.5~6.5)와 서식하는 미생물의 적정 서식 조건(pH 6.0~7.0)과 비교하였을 때, 우리나라 산림토양은
낮은 pH의 특징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몇몇 선행연구에서도 산림유역에서 유출되는 계류수질의 변화는 산림으로 유입되는 강수를 포함하여 식생 및 토양의
성질 등 다양한 생태환경에 따라 그 영향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Jeong et al., 1999; Lee and Jun, 1996; Takahashi et al., 1996). 결국, Fig 3(a)에서 측정한 계류수의 pH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산림으로 도달한 강수 및 산림토양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Fig.
3(a)).
Fig. 3. Box plots for upland headwater the streams water quality in forested catchments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spring (SP), summer (SU), and fall (FA). (a) pH, (b) EC, (c) BOD/TOC ratio, and (d)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BOD, COD, TOC, T-N, and T-P). Lines within and adjacent to the box plots indic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pectively. Thick solid lines within the boxes indicate median values and the ends of the boxes represent the upper and lower quartiles. The whiskers represent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excluding outliers and dotted circles are outliers. Differences in lowercase letters above the box plo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Kruskal-Wallis post-hoc test;p<0.05) between each group. Values above each box indicate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반면에, 측정한 계류수의 BOD와 BOD/TOC는 봄철과 여름철 대비 가을철에 상대적으로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Fig. 3(c)). 이는 연구대상지 주변이 대부분 낙엽활엽수림으로서 가을철에 생엽이 낙엽이 돼서 떨어져 많은 생분해성 유기물이 계류로 유입되어 계류수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Hur and Kim, 2009; Jin et al., 2005; Jung et al., 2009; Oh et al., 2015). Yu et al. (2018)의 연구에서는 점오염원이 비교적 적은 경우, 강우로 인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입 또는 조류가 과다 발생할 때 계절적 영향과 유기물 항목 간의 변동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3.3 생활환경기준에 따른 계절별 계류수질 분석
하천의 생활환경기준을 참고하여(ME, 2017; ME, 2022), 10개의 산림유역에서 계절별 측정한 계류수질의 상태를 Fig. 4와 같이 등급별로 분석하였다. 봄철 측정한 계류수의 분석항목(pH, BOD, COD, TOC, T-P)에 대한 등급은 모두 “매우 좋음(Ia)”(BOD(≤
1 mg/L), COD(≤ 2 mg/L), TOC(≤ 2 mg/L), T-P(≤ 0.02 mg/L)로 나타났으며, 여름철 측정한 계류수 pH에 대한
등급은 “약간 나쁨(IV)”(pH 6.0~8.5)을 제외하고는 다른 분석항목(BOD, COD, TOC, T-P)에 대한 등급은 “매우 좋음(Ia)”으로
나타났다(Fig. 4). 가을철 측정한 계류수의 BOD에 대한 등급은 “좋음(Ib)”(≤ 2 mg/L)이 나타났으며, 다른 분석항목(pH, COD, TOC, T-P)에
대한 등급은 “매우 좋음(Ia)”으로 나타났다(Fig. 4). 이는 몇몇 선행연구(Cho et al., 2021; Kang et al., 2019; NIER, 2006; ME, 2022)와 유사한 경향으로서, 계절별 측정한 계류수질의 상태는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었으며,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하여 여과⋅살균 등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Fig. 4. Living environment standards of upland headwater streams in forested catchments with seasonal variations. The levels were referred to the river living environment standards.
한편, 여름철 측정한 계류수의 pH는 다른 분석항목과 비교하여 등급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낮은 pH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강수가 여름철(6~9월)에
편중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KMA, 2021; MOLIT, 2016; NiFoS, 2021).
계절별 계류수질의 등급별 분석 결과(Fig. 4)를 이용하여, 봄 ~가을철 동안 측정한 계류수의 분석항목(pH, BOD, COD, TOC, T-P)에 대한 등급별 분포를 Fig. 5에 제시하였다. 봄~가을철에 측정한 계류수의 분석항목에 대한 등급은 “매우 좋음(Ia)”이 80~100%로 나타났으며(Fig. 5(a)~(c)), 여름철과 가을철에 측정한 계류수의 pH와 BOD에 대한 등급은 “약간 나쁨(VI)”과 “좋음(Ia)”으로써 각각 20%씩 나타났다(Fig.
5(b) and (c)).
Fig. 5. Percentage distributions of living environmental standards (pH, BOD, COD, TOC, and T-P) for upland headwater streams in forested catchments with (a) spring, (b) summer, and (c) Fall.
3.4 계절별 하천과의 수질항목 비교를 통한 산림유역의 계류수질 특성
하천(수질측정망)의 수질현황 데이터(Table 4)를 이용하여, Fig. 6에서는 계절별 산림유역의 계류와 하천의 수질을 비교⋅분석하였다. 대부분 수질의 분석항목들은 계류가 하천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가을철의 BOD와 봄~가을철의
BOD/TOC는 계류가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Fig 6(a), (b), and (c)). 이는 산림에서 유래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양이 다른 유역에 비해 적은 것에 관하여 고찰한 Yoo et al. (2020)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Oh et al. (2015)의 연구에서는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번성할 수 있는 물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고, 인의 농도가 높아서 일사량만 충분하면 조류의 번성으로
인한 부영양화 진행으로 BOD/TOC의 값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계류와 비교하여 하천은 토지 이용도와 관련이 깊은 외부비점오염원(토양
및 식물 쇄설물 등)(Aiken, 1993) 및 퇴적물과 조류 등 내부생산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배출 등에 따른 원인(Jung et al., 2009)에도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Table 4. Summary table for lowerland rivers paired our upland headwater streams
Site name
|
Paired stream
|
Region
|
Latitude (°)
|
Longitude (°)
|
Watershed
|
Gunoecheon
|
F1
|
Wando-gun
|
34.3730
|
126.6453
|
Yeongsan River
|
Odaecheon 2
|
F2
|
Jeongseon-gun
|
37.4802
|
128.6055
|
Han River
|
Jichoncheon
|
F3
|
Chuncheon-si
|
38.0496
|
127.6094
|
Han River
|
Namgang 1
|
F4
|
Jinju-si
|
35.1610
|
128.0376
|
Nakdong River
|
Wangpicheon
|
F5
|
Uljin-gun
|
36.9624
|
129.4002
|
Nakdong River
|
Okdongcheon 3
|
F6
|
Yeongwol-gun
|
37.1166
|
128.5680
|
Han River
|
Naerincheon 2
|
F7
|
Inje-gun
|
38.0638
|
128.1934
|
Han River
|
Jangncheon
|
F8
|
Jinan-gun
|
35.8353
|
127.4546
|
Geum River
|
Yongcheon
|
F9
|
Yangyang-gun
|
38.0623
|
128.6126
|
Han River
|
Hwayangcheon
|
F10
|
Goesan-gun
|
36.6769
|
127.8053
|
Han River
|
The information with water quality database were referred to NIER (2022).
|
Fig. 6. Water quality between upland headwater streams (F) (this study) and lowerland rivers (R) (ref.,NIER, 2022) with seasonal variations, (a) spring, (b) summer, and (c) fall.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pH, EC, BOD/TOC ratio, and BOD, COD, TOC, T-N, and T-P concentrations. A two-sample Student's t-test (pH in spring, TN and TOC in summer, and pH, COD, and TOC in fall) and Mann-Whitney U test (res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are indicated in separate bold letters (a and b) above the bar graph (p<0.05).
Fig. 7에서는 생활환경기준에 따른 계절별 수질등급을 계류와 하천으로 분리하여 산정하였다. 계절변화에 따른 산림유역의 계류와 하천의 수질 등급은 상대적으로
“매우 좋음” 또는 “좋음”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결과적으로 두 지점의 수질등급은 모두 “좋음” 이상이었다(Fig. 7(a)~(c)).
Fig. 7. Living environment standards between upland headwater streams (this study) and lowerland rivers (ref., NIER, 2022) during (a) spring, (b) summer, and (c) fall.
4. Conclusion
이 연구는 산림유역 계류수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10개의 산림유역 내 수계에서 측정한 계류수의 pH, EC, BOD, COD, T-N, T-P
및 BOD/TOC의 변동을 계절별로 확인하고, 하류에 있는 하천의 수질과 비교·분석하였다. 총 70개 계류수질을 봄(4~5월), 여름(6~8월),
가을(9~11월)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류수의 pH는 봄철~가을철 동안 6.4~6.9로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산림으로 도달하는 강수 및 산림토양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 계류수의 BOD와 BOD/TOC는 봄철과 여름철 대비 가을철에
상대적으로 2배 정도 높았는데, 이는 가을철에 생엽이 낙엽이 돼서 떨어져 많은 생분해성 유기물이 계류로 유입되어 계류수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3) 생활환경기준의 수질 등급에 따른 계절별 계류수질의 상태는 여름철 계류수의 pH를 제외하고는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었으며,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하였다고 할 수 있다. (4) 대부분 수질의 분석항목들은 계류가 하천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가을철의 BOD와 봄~가을철의 BOD/ TOC는
계류가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5) 계절별로 두 지점 간 수질등급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결과적으로 두 지점 모두 “좋음”
이상이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림유역 계류수질의 특성을 계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하류에 있는 하천과 비교함으로써, 수질의 통합적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다만 이 연구는 시⋅공간적인 면에서 제한적으로 진행되었으므로, 지속적인 수질 분석항목의 자료수집 및 종합적 수질지표를
산정하여 산림유역의 계류를 포함한 전체 수계의 수질관리에 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향후 집중호우와 장기가뭄 등 극한 기후현상의 심화로
인하여 수자원 공급 및 이용에 대한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좀 더 많은 산림유역의 특성 및 더욱 정확한 자료에 근거한 계류수질에 대한 중·장기적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