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호
(Jeongho Choi)
a†iD
김홍수
(Hongsu Kim)
biD
조병욱
(Byunguk Cho)
ciD
박상현
(Sanghyun Park)
diD
이무규
(Mukyu Lee)
eiD
이병구
(Byeonggu Lee)
fiD
강우람
(Uram Kang)
giD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Key words
Mann-Kendall test, Sen’s Slope, Stream grouping method,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at Tributaries
1. Introduction
기존의 점오염원 위주의 배출수 규제만으로는 오염을 통제할 수 없어 수계의 환경기준을 달성하고 수질개선을 시키기 위한 새로운 개념으로 오염총량관리제(Total
Maximum Daily Load, TMDL)가 도입되었다(NIER, 2006).
배출부하량을 고려하지 않은 배출농도에 따른 규제방식은 개별배출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준수하더라도 개별배출시설의 개수가 많으면 수계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의
전체 총량이 높아져 하천에서 허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여 이용 가능한 수자원 이용에 장애를 초래하거나 깨끗한 하천을 유지 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유역관리를 위한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하여 해당 단위유역별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배출총량을 관리하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시행중이다.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에서는 유황시기별 목표수질을 설정하지 않고 기준유량을 과거 10년 저수량을 활용하여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있어 부하량관리를 통한
목표수질 달성이라는 규제 기준으로서 역할은 만족하지만 유역의 수환경개선을 위한 관리수단으로서의 역할은 미흡하다(Han et al., 2007). 또한 다양한 유역들의 수리수문학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해 기준유량 시점 때문에 지자체들과 마찰이 빚어지기도 한다(Kim et al., 2019).
현재 시행하고 있는 수질오염총량관리는 4대강 수계 내 모든 수체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유량 조건에 대해 동일한 대상물질을 관리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지류에서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오염물질의 총량관리가 어려우며, 총량관리유역인 단위유역의 면적이 넓어 단위유역 내 소유역(지류유역) 간의 개발과 삭감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어 대상물질의 다양화 및 관리유역의 크기 축소(소유역 관리) 등에 대한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대두되었으나 전 수계 적용을 위한 행정 재정적
한계로 개선이 어려운 현실이다(Hwang et al., 2016). 또한, 본류의 수질은 수질기준을 만족하면 수질오염총량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주민 집 앞에 흐르는 지류의 수질이 높더라도 수질개선 우선순위에서
제외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지류총량제는 일률적인 대상물질(BOD, T-P)에서 벗어나 소유역인 지류별로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오염물질을 맞춤형으로 관리하는 제도로 현재 대기천
등 3곳에서 환경부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지류총량제는 의무제가 아닌 임의제로서 지자체에서 지류총량제 도입이 필요한 유역(지류하천)을 선정하여
환경부에 신청하는 제도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류 유역 내에서 오염도가 높아 관리가 최우선시 되는 소유역을 추적하여 규명하고 수질이 가장 악화되는 환경조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Hwang et al., 2016).
유역 내 오염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고 오염하천의 수질개선을 위한 수질정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하천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자료의 축적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Park et al., 2016). 하천에서의 정기적인 수질 모니터링은 하천 수질 관리 및 유역에서의 오염원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모니터링을 통해 현재 하천의
수질 상태를 파악하여 수질관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장기간 축적된 자료는 유역의 수질 변화 경향을 분석하여 오염원 변화분석 및 장기적인 유역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Park et al., 2016).
또한 유역관리를 위한 수질정책의 수립 및 시행을 위해서는 하천의 수질⋅유량 모니터링을 통하여 해당유역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오염하천 유역을 선정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나, 수질⋅유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의 한계로 인해 유역특성을 고려한 수질개선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Park et al., 2016).
충청남도에서는 도내 위치한 지방하천에 대하여 생활환경기준 좋음(Ⅱ) 등급을 목표로 수질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물 관련 DB구축과 효율적인 수질관리
방안 제시 등 물 환경 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충남도 내 주요하천 대하여 2011년 부터 월1회 유량 및 수질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에서 측정중인 주요하천 수질⋅유량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별 수질변화 경향성을 평가하고, 하천등급화 방법을 통해 지류총량제
도입 대상하천을 선정하고자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유역구분
유역구분을 위하여 국가공간정보포털(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2)의 수자원 주제도를 사용하여 중권역, 소권역을 구분하였고, 수치지형도 및 연속지적도를 기초로 ArcGIS를 활용하여 수계망도를 중첩하여 모니터링
대상하천 125개의 소유역을 생성하였다(Fig. 1).
Fig. 1. (a) Watershed boundaries in the Chungchoengnam-do province and (b) water quality monitoring sites of the tributaries.
2.2 모니터링 자료
충청남도에서 수행한 ‘물관리 정보자료 구축 모니터링 사업(ChungNam Institute, 2023)’의 자료(2011년~2022년)를 활용하였다. 수질측정 지점은 총 125개소로(Fig. 2), 채수 및 유량조사는 충남연구원에서 수행하였고 수질분석은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수행하였다.
Fig. 2. Box plots of the water quality (BOD) concentration of the monitoring.
유량조사는 도섭법으로 실시하였으며, 현장에서는 측정장비(YSI pro DSS)를 사용하여 3개 항목(수온, pH, 전기전도도)을 측정하였으며, 수질분석은
충청남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5개 항목(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Nitrogen
(T-N), T-P, Suspended solid (SS))을 분석하였다.
2.3 수질경향성 분석
장기 추세 분석은 통계적 기법인 Mann-Kendall test와 Sen’s Slop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장기간 축적된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지점의 수질 변화를 분석하여 시기별 수질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Kal et al., 2022).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각 하천별로 수질이 악화되는지 개선되는지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Mann-Kendall test를 통해 수질변화의 경향성
여부를(p-value≥0.05) 판단하고, Sen’s Slope 방법을 통해 수질변동경향성이 악화되는지 개선되는지 평가한다.
2.3.1 Mann-Kendall test
Mann-Kendall 검정은 세계기상기구가 기상자료의 경향성 분석을 수행할때 권장하는 방법으로, 검정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정규성을 요구하지 않는
비모수적 검정방법이다(Lee et al., 2021).
시계열 자료 Xt (t = 1, 2, …, n)에 대하여 t′ = 1, 2, …, n-1과 t = t′+1, …, n 시점의 Xt에 대한 크기 비교를 통해 경향성의 존재 유무 및 경향의 방향성(상승 경향, 하강 경향, 무경향)을 식 (1)의 지시자 sgn(Xt − Xt′)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그리고 식 (1)을 이용하여 Kendall 통계량 S를 식 (2)와 같이 정의한다.
이때 S의 분산은 식 (3)와 같이 주어진다. m은 데이터를 사계절로 분할하여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 것과 같이, 분석 범위에서의 그룹의 개수를
나타낸다.
표본의 수 n이 10보다 클 때(n > 10), S와 Var(S)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검정통계량 Z를 다음의 식 (4)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Mann-Kendall 검정에서는 식 (4)의 검정통계량 Z를 이용해 시계열 자료에 경향성이 존재하는지를 검정할 수 있으며, 검정 통계량값의 부호에 따라 경향의 방향성 또한 표현 가능하다(Lee et al., 2021). Mann-Kendall 통계 추정치 S-value이 양의 값을 가질 경우 시간에 따른 증가 추이를 의미하며, 음의 값을 가질 경우 시간에 따른
감소 추이를 의미한다(Kim, 2008). 그리고 Mann-Kendall 통계치 Z-value를 계산한 다음 p-value를 구하여 유의성을 검증함으로써 경향성을 판단하게 된다. 양쪽으로
95% 신뢰구간에서 유의수준 (α=0.05)에 대한 p-value≥0.05이면 경향성이 없다는 귀무가설을 수용하고, p-value<0.05일 때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경향성이 있다는 대립가설을 수용한다(Kal et al., 2022).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하천별(125개소), 항목별(BOD, T-P)로 Mann-Kendall 검정을 실시하고 수질변화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2.3.2 Sen’s Slope
Sen’s slope 방법은 추세 기울기의 정도를 평가하는 비모수적 방법으로, 추세 기울기의 추정을 위해 선형 모델을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한 추세
기울기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특이값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료가 누락된 경우에도 분석이 식 (5)와 같이 가능하다(Kal et al., 2022).
여기서 Xi, Xj는 각각 j와 k 시간에서의 데이터 값이다(j>k). 하나의 측정치에서 N=n(n-1)/2 이며 n은 자료기간의 수이다. 다수의
측정치에서 N<n(n-1)/2 이며 n은 측정치의 총 수이다. N값은 크기순으로 정렬가능하며, Sen’s slope 추정량의 중앙값 (Qmed)은 식 (6)과 같다.
Qmed는 데이터의 경향을 보여주며, 그 값들은 경향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결과에서 Sen’s slope는 Qmed 값이며 양의 값은 증가경향을 나타내고 음의 값은 감소경향을 나타낸다. Sen’s slope는 P≤0.05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P>0.05
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성은 없다고 판단한다(Kal et al., 2022). 본 연구에서는 Mann-Kendall 검정의 유의수준 (a=0.05)에 따라 신뢰구간을 계산하였다.
2.4 하천등급화 산정
하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질 개선이 필요한 하천유역을 선정하여 적합한 목표 수질을 시행할 수 있으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수질 개선방안이 수립⋅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한 하천 등급화 방법이 시행되어야 한다(Na et al., 2015).
본 연구에서는 수질 개선 대상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등급화 방법은 Na et al. (2015)과 동일하게 수질항목(BOD, T-P)는 활환경기준 II 등급 (약간좋음)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X축은 BOD의 경우 3.0 mg/L인 지점에, TP는
0.1 mg/L을 기준으로 할 때 Y축과 교차하도록 하였다. Y축은 지류하천의 평균 유량값과 건전한 수생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하천 유지유량을
고려하여 0.1 m3/s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Na et al., 2015). Y축은 유량을 로그(log) 형태로 X축은 수질 항목으로 하여 X축과 Y축의 교차지점 기준으로 하천을 4개 그룹(A~D)으로 구분하였다(Lim et al., 2010).
Group A는 하천에 유량이 많고 수질오염도(BOD, T-P)가 높아 수질 개선 대책이 우선으로 필요한 지점이며, Group B는 평균 유량을 유지하면서
수질오염도(BOD, T-P)가 낮아 물 환경 관리 측면에서 양호한 지점, Group C는 수질 측면보다는 평상시 평균 유량을 유지할 수 없어 수량(Water
Flow) 확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지점, Group D는 평상시 유량이 적고 수질(BOD, T-P)이 높아 수질 개선대책 및 수량 확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지점이다(Cho et al., 2018).
3. Results and Discussion
3.1 모니터링 결과
2011년부터 2022년까지 125개 하천에 대하여 수행한 모니터링 결과, BOD 항목은 하천생활환경기준 매우좋음(Ⅰa) 등급은 10개소(8.0%),
좋음(Ⅰb) 등급은 45개소(36.0%), 약간좋음(Ⅱ) 등급은 25개소(20.0%), 보통(Ⅲ) 등급은 30개소(24.0%), 약간나쁨(Ⅳ) 등급은
13개소(10.4%), 나쁨(Ⅴ) 등급은 1개소(0.8%), 매우나쁨(Ⅵ) 등급은 1개소(0.8%)로 나타났다.
T-P 항목은 매우좋음(Ⅰa) 등급은 3개소(2.4%), 좋음(Ⅰb) 등급은 18개소(14.4%), 약간좋음(Ⅱ) 등급은 52개소(41.6%), 보통(Ⅲ)
등급은 36개소(28.8%), 약간나쁨(Ⅳ) 등급은 7개소(5.6%), 나쁨(Ⅴ) 등급은 9개소(7.2%), 매우나쁨(Ⅵ) 등급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Fig. 3, Fig. 4).
Table 1. Mean concentration and pollution grade of the water quality and flow rate of the monitoring results
Water shed
|
NO
|
Stream
|
Flow (m3/s)
|
BOD
|
T-P
|
|
Water shed
|
|
Stream
|
Flow (m3/s)
|
BOD
|
T-P
|
Water quality (mg/L)
|
Grade
|
Water quality (mg/L)
|
Grade
|
|
Water quality (mg/L)
|
Grade
|
Water quality (mg/L)
|
Grade
|
Geum River
|
1
|
Bangchuk
|
0.218
|
5.5
|
Ⅳ
|
0.248
|
Ⅳ
|
|
Sapgyo cheon
|
64
|
Maegok
|
0.239
|
5.4
|
Ⅳ
|
0.309
|
Ⅴ
|
2
|
Bonghoeng
|
1.989
|
1.3
|
Ⅰb
|
0.041
|
Ⅱ
|
|
65
|
Maenggot
|
0.191
|
2.4
|
Ⅱ
|
0.101
|
Ⅲ
|
3
|
Byeongcheon
|
0.878
|
2.0
|
Ⅱ
|
0.058
|
Ⅱ
|
|
66
|
Masa
|
0.035
|
2.7
|
Ⅱ
|
0.142
|
Ⅲ
|
4
|
Chiseong
|
0.470
|
2.3
|
Ⅱ
|
0.061
|
Ⅱ
|
|
67
|
Namwon
|
0.960
|
4.0
|
Ⅲ
|
0.171
|
Ⅲ
|
5
|
Chupung
|
0.541
|
1.0
|
Ⅰa
|
0.027
|
Ⅰb
|
|
68
|
Nojeon
|
0.057
|
1.1
|
Ⅰb
|
0.062
|
Ⅱ
|
6
|
Daegyo
|
0.275
|
1.4
|
Ⅰb
|
0.111
|
Ⅲ
|
|
69
|
Obong
|
0.433
|
3.6
|
Ⅲ
|
0.175
|
Ⅲ
|
7
|
Dansang
|
0.170
|
4.3
|
Ⅲ
|
0.130
|
Ⅲ
|
|
70
|
Omok
|
0.295
|
5.3
|
Ⅳ
|
0.128
|
Ⅲ
|
8
|
Dugye
|
0.612
|
1.1
|
Ⅰb
|
0.026
|
Ⅰb
|
|
71
|
Oncheon
|
0.161
|
10.5
|
Ⅵ
|
0.329
|
Ⅴ
|
9
|
Eocheon
|
0.354
|
1.3
|
Ⅰb
|
0.036
|
Ⅰb
|
|
72
|
Onyang
|
0.552
|
1.8
|
Ⅰb
|
0.048
|
Ⅱ
|
10
|
Eoryang
|
0.396
|
5.6
|
Ⅳ
|
0.327
|
Ⅴ
|
|
73
|
Pungseo
|
0.484
|
1.2
|
Ⅰb
|
0.037
|
Ⅰb
|
11
|
Eunsan
|
0.530
|
1.9
|
Ⅰb
|
0.046
|
Ⅱ
|
|
74
|
Sanjeong
|
0.127
|
1.7
|
Ⅰb
|
0.072
|
Ⅱ
|
12
|
Ganggyeong
|
1.510
|
4.7
|
Ⅲ
|
0.183
|
Ⅲ
|
|
75
|
Seogwo
|
0.449
|
2.6
|
Ⅱ
|
0.161
|
Ⅲ
|
13
|
Gapcheon
|
0.641
|
0.7
|
Ⅰa
|
0.019
|
Ⅰa
|
|
76
|
Seongri
|
0.383
|
3.0
|
Ⅱ
|
0.126
|
Ⅲ
|
14
|
Geomsang
|
0.193
|
1.4
|
Ⅰb
|
0.037
|
Ⅰb
|
|
77
|
Simog
|
0.050
|
1.3
|
Ⅰb
|
0.053
|
Ⅱ
|
15
|
Geumcheon
|
2.149
|
2.9
|
Ⅱ
|
0.059
|
Ⅱ
|
|
78
|
Sinchang
|
0.172
|
4.2
|
Ⅲ
|
0.208
|
Ⅳ
|
16
|
Geumsan
|
0.281
|
3.8
|
Ⅲ
|
0.109
|
Ⅲ
|
|
79
|
Singyeong
|
0.149
|
1.2
|
Ⅰb
|
0.061
|
Ⅱ
|
17
|
Gilsan
|
0.210
|
3.6
|
Ⅲ
|
0.077
|
Ⅱ
|
|
80
|
Sinheung
|
0.068
|
1.0
|
Ⅰb
|
0.327
|
Ⅴ
|
18
|
Gisa
|
0.433
|
1.2
|
Ⅰb
|
0.082
|
Ⅱ
|
|
81
|
Sinyang
|
1.071
|
1.5
|
Ⅰb
|
0.042
|
Ⅱ
|
19
|
Gwangam
|
0.033
|
1.8
|
Ⅰb
|
0.045
|
Ⅱ
|
|
82
|
Sujeong
|
0.066
|
1.0
|
Ⅰa
|
0.038
|
Ⅰb
|
20
|
Gwanggi
|
0.340
|
1.7
|
Ⅰb
|
0.070
|
Ⅱ
|
|
83
|
Tanbang
|
0.087
|
1.5
|
Ⅰb
|
0.050
|
Ⅱ
|
21
|
Hwasan
|
0.126
|
4.9
|
Ⅲ
|
0.143
|
Ⅲ
|
|
84
|
Wacheon
|
0.071
|
3.3
|
Ⅲ
|
0.119
|
Ⅲ
|
22
|
Hyeonnae
|
0.113
|
1.1
|
Ⅰb
|
0.056
|
Ⅱ
|
|
85
|
Yesan
|
0.098
|
1.8
|
Ⅰb
|
0.147
|
Ⅲ
|
23
|
Inghwa
|
0.401
|
1.1
|
Ⅰb
|
0.026
|
Ⅰb
|
|
86
|
Yongbong
|
0.236
|
1.6
|
Ⅰb
|
0.098
|
Ⅱ
|
24
|
Jemin
|
0.141
|
2.1
|
Ⅱ
|
0.086
|
Ⅱ
|
|
87
|
Yongdu
|
1.169
|
0.8
|
Ⅰa
|
0.040
|
Ⅱ
|
25
|
Jeongan
|
1.402
|
1.8
|
Ⅰb
|
0.052
|
Ⅱ
|
|
88
|
Yonggul
|
0.097
|
2.3
|
Ⅱ
|
0.125
|
Ⅲ
|
26
|
Jicheon
|
2.144
|
1.7
|
Ⅰb
|
0.041
|
Ⅱ
|
|
89
|
Yonggung
|
0.104
|
4.5
|
Ⅲ
|
0.143
|
Ⅲ
|
27
|
Jojeong
|
0.237
|
1.0
|
Ⅰa
|
0.040
|
Ⅰb
|
|
West Sea
|
90
|
Biin
|
0.039
|
1.9
|
Ⅰb
|
0.198
|
Ⅲ
|
28
|
Masan
|
0.559
|
4.0
|
Ⅲ
|
0.256
|
Ⅳ
|
|
91
|
Bongdang
|
0.104
|
4.4
|
Ⅲ
|
0.056
|
Ⅱ
|
29
|
Noseong
|
1.398
|
2.0
|
Ⅰb
|
0.068
|
Ⅱ
|
|
92
|
Cheongji
|
0.537
|
5.9
|
Ⅳ
|
0.254
|
Ⅳ
|
30
|
Okpo
|
0.064
|
2.0
|
Ⅰb
|
0.040
|
Ⅱ
|
|
93
|
Daecheon
|
0.647
|
3.2
|
Ⅲ
|
0.089
|
Ⅱ
|
31
|
Sadong
|
0.507
|
2.5
|
Ⅱ
|
0.074
|
Ⅱ
|
|
94
|
Dangjeong
|
0.017
|
1.0
|
Ⅰa
|
0.055
|
Ⅱ
|
32
|
Sanbang
|
0.325
|
2.2
|
Ⅱ
|
0.127
|
Ⅲ
|
|
95
|
Dangjjn
|
0.558
|
5.5
|
Ⅳ
|
0.293
|
Ⅳ
|
33
|
Sanggot
|
0.159
|
0.6
|
Ⅰa
|
0.020
|
Ⅰa
|
|
96
|
Dodang
|
0.614
|
2.1
|
Ⅱ
|
0.041
|
Ⅱ
|
34
|
Seokseong
|
1.354
|
3.4
|
Ⅲ
|
0.189
|
Ⅲ
|
|
97
|
Dundang
|
0.294
|
4.4
|
Ⅲ
|
0.097
|
Ⅱ
|
35
|
Seungcheon
|
0.464
|
4.0
|
Ⅲ
|
0.136
|
Ⅲ
|
|
98
|
Ganchi
|
0.156
|
1.3
|
Ⅰb
|
0.032
|
Ⅰb
|
36
|
Wangdae
|
0.296
|
1.0
|
Ⅰa
|
0.035
|
Ⅰb
|
|
99
|
Geumri
|
0.266
|
5.4
|
Ⅳ
|
0.160
|
Ⅲ
|
37
|
Wangpo
|
0.253
|
1.9
|
Ⅰb
|
0.053
|
Ⅱ
|
|
100
|
Gipo
|
0.031
|
2.4
|
Ⅱ
|
0.100
|
Ⅱ
|
38
|
Yeonsan
|
0.507
|
1.6
|
Ⅰb
|
0.067
|
Ⅱ
|
|
101
|
Gungchon
|
0.200
|
1.4
|
Ⅰb
|
0.040
|
Ⅱ
|
39
|
Yongdu
|
0.131
|
2.0
|
Ⅰb
|
0.085
|
Ⅱ
|
|
102
|
Gwangcheon
|
0.409
|
5.1
|
Ⅳ
|
0.126
|
Ⅲ
|
40
|
Yongsu
|
0.735
|
1.4
|
Ⅰb
|
0.033
|
Ⅰb
|
|
103
|
Haemi
|
0.117
|
1.3
|
Ⅰb
|
0.037
|
Ⅰb
|
41
|
Yudeung
|
1.011
|
0.8
|
Ⅰa
|
0.016
|
Ⅰa
|
|
104
|
Janggeom
|
0.124
|
3.5
|
Ⅲ
|
0.124
|
Ⅲ
|
42
|
Yugu
|
1.689
|
1.3
|
Ⅰb
|
0.026
|
Ⅰb
|
|
105
|
Jjnjuk
|
0.096
|
2.8
|
Ⅱ
|
0.037
|
Ⅰb
|
Sapgyo cheon
|
43
|
Bongnong
|
0.044
|
2.2
|
Ⅱ
|
0.127
|
Ⅲ
|
|
106
|
Jongcheon
|
0.232
|
1.1
|
Ⅰb
|
0.039
|
Ⅰb
|
44
|
Cheonan
|
2.817
|
7.9
|
Ⅳ
|
0.456
|
Ⅴ
|
|
107
|
Nampo
|
0.262
|
4.4
|
Ⅲ
|
0.072
|
Ⅱ
|
45
|
Daecheon
|
0.687
|
2.5
|
Ⅱ
|
0.408
|
Ⅴ
|
|
108
|
Pangyo
|
0.432
|
4.2
|
Ⅲ
|
0.097
|
Ⅱ
|
46
|
Deogsan
|
0.391
|
1.9
|
Ⅰb
|
0.087
|
Ⅱ
|
|
109
|
Sangji
|
0.243
|
4.5
|
Ⅲ
|
0.164
|
Ⅲ
|
47
|
Dogo
|
0.336
|
3.5
|
Ⅲ
|
0.112
|
Ⅲ
|
|
110
|
Seongyeon
|
0.683
|
2.0
|
Ⅱ
|
0.069
|
Ⅱ
|
48
|
Eumbong
|
0.165
|
3.5
|
Ⅲ
|
0.102
|
Ⅲ
|
|
111
|
Seowon
|
0.260
|
3.5
|
Ⅲ
|
0.113
|
Ⅲ
|
49
|
Gangchon
|
0.276
|
1.1
|
Ⅰb
|
0.031
|
Ⅰb
|
|
112
|
Sinjang
|
0.217
|
3.0
|
Ⅲ
|
0.119
|
Ⅲ
|
50
|
Gideog
|
0.059
|
1.1
|
Ⅰb
|
0.038
|
Ⅰb
|
|
113
|
Solri
|
0.058
|
3.0
|
Ⅲ
|
0.130
|
Ⅲ
|
51
|
Gungpyeong
|
0.020
|
1.1
|
Ⅰb
|
0.126
|
Ⅲ
|
|
114
|
Songnae
|
0.209
|
3.3
|
Ⅲ
|
0.091
|
Ⅱ
|
52
|
Gurye
|
0.049
|
2.3
|
Ⅱ
|
0.080
|
Ⅱ
|
|
115
|
Taean
|
0.088
|
5.6
|
Ⅳ
|
0.409
|
Ⅴ
|
53
|
Haengjeong
|
0.048
|
0.9
|
Ⅰa
|
0.022
|
Ⅰb
|
|
116
|
Ungcheon
|
0.481
|
2.4
|
Ⅱ
|
0.044
|
Ⅱ
|
54
|
Hagseong
|
0.154
|
4.6
|
Ⅲ
|
0.212
|
Ⅳ
|
|
117
|
Waryong
|
0.713
|
4.5
|
Ⅲ
|
0.075
|
Ⅱ
|
55
|
Hapo
|
0.076
|
2.4
|
Ⅱ
|
0.108
|
Ⅲ
|
|
118
|
Woncheon
|
0.024
|
2.2
|
Ⅱ
|
0.061
|
Ⅱ
|
56
|
Hoelyong
|
0.104
|
1.2
|
Ⅰb
|
0.070
|
Ⅱ
|
|
119
|
Yeokcheon
|
1.029
|
2.4
|
Ⅱ
|
0.085
|
Ⅱ
|
57
|
Hongseong
|
0.170
|
1.6
|
Ⅰb
|
0.104
|
Ⅲ
|
|
120
|
Yeomsol
|
0.240
|
1.5
|
Ⅰb
|
0.044
|
Ⅱ
|
58
|
Hwayang
|
0.254
|
1.6
|
Ⅰb
|
0.072
|
Ⅱ
|
|
Han River
|
121
|
Asan
|
0.271
|
5.3
|
Ⅳ
|
0.135
|
Ⅲ
|
59
|
Hyogyo
|
0.276
|
2.1
|
Ⅱ
|
0.062
|
Ⅱ
|
|
122
|
Dunpo
|
1.222
|
5.2
|
Ⅳ
|
0.229
|
Ⅳ
|
60
|
Jangjae
|
0.129
|
2.6
|
Ⅱ
|
0.057
|
Ⅱ
|
|
123
|
Ipjang
|
0.539
|
3.7
|
Ⅲ
|
0.114
|
Ⅲ
|
61
|
Jangjeon
|
0.035
|
1.2
|
Ⅰb
|
0.054
|
Ⅱ
|
|
124
|
Seonghwan
|
0.784
|
8.3
|
Ⅴ
|
0.347
|
Ⅴ
|
62
|
Jangseong
|
0.054
|
2.9
|
Ⅱ
|
0.064
|
Ⅱ
|
|
125
|
Sineon
|
0.104
|
6.1
|
Ⅳ
|
0.336
|
Ⅴ
|
63
|
Jonghyeon
|
0.031
|
3.0
|
Ⅲ
|
0.191
|
Ⅲ
|
|
|
|
|
|
|
|
|
|
Fig. 3. Box plots of the water quality (T-P) concentration of the monitoring
Fig. 4. Grade Classfication based on Water quality (BOD, T-P).
3.2 수질 경향성 평가
모니터링 대상하천 125개소에 대하여 통계적 기법인 Mann- Kendall test와 Sen’s Slope를 이용하여 수질경향성을 평가하였다(Table
2).
Table 2. Trend analysis on the water quality indices (BOD and TP) of the monitoring
Stream
|
BOD
|
T-P
|
|
Stream
|
BOD
|
T-P
|
p
|
Slope
|
Trend
|
p
|
Slope
|
Trend
|
|
p
|
Slope
|
Trend
|
p
|
Slope
|
Trend
|
Bangchuk
|
0.103
|
-0.008
|
NO Trend
|
0.028
|
0.0003
|
Upward
|
|
Maegok
|
0.000
|
-0.038
|
Downward
|
0.000
|
-0.0032
|
Downward
|
Bonghoeng
|
0.000
|
-0.005
|
Downward
|
0.000
|
-0.0002
|
Downward
|
|
Maenggot
|
0.009
|
-0.025
|
Downward
|
0.008
|
-0.0010
|
Downward
|
Byeongcheon
|
0.029
|
0.006
|
Upward
|
0.000
|
0.0003
|
Upward
|
|
Masa
|
0.196
|
-0.012
|
NO Trend
|
0.772
|
0.0004
|
NO Trend
|
Chiseong
|
0.061
|
-0.004
|
NO Trend
|
0.647
|
0.0000
|
NO Trend
|
|
Namwon
|
0.002
|
-0.014
|
Downward
|
0.000
|
-0.0009
|
Downward
|
Chupung
|
0.430
|
-0.006
|
NO Trend
|
0.025
|
-0.0003
|
Downward
|
|
Nojeon
|
0.161
|
-0.006
|
NO Trend
|
0.036
|
0.0001
|
Upward
|
Daegyo
|
0.007
|
-0.007
|
Downward
|
0.065
|
0.0005
|
NO Trend
|
|
Obong
|
1.000
|
0.003
|
NO Trend
|
0.009
|
-0.0013
|
Downward
|
Dansang
|
0.323
|
-0.011
|
NO Trend
|
0.671
|
-0.0001
|
NO Trend
|
|
Omok
|
0.175
|
0.011
|
NO Trend
|
0.136
|
-0.0003
|
NO Trend
|
Dugye
|
0.258
|
-0.004
|
NO Trend
|
0.005
|
-0.0003
|
Downward
|
|
Oncheon
|
0.000
|
-0.046
|
Downward
|
0.000
|
-0.0017
|
Downward
|
Eocheon
|
0.002
|
-0.004
|
Downward
|
0.346
|
0.0000
|
NO Trend
|
|
Onyang
|
0.563
|
0.000
|
NO Trend
|
0.923
|
0.0000
|
NO Trend
|
Eoryang
|
0.017
|
-0.013
|
Downward
|
0.000
|
-0.0014
|
Downward
|
|
Pungseo
|
0.000
|
-0.007
|
Downward
|
0.004
|
-0.0001
|
Downward
|
Eunsan
|
0.047
|
-0.004
|
Downward
|
0.005
|
-0.0001
|
Downward
|
|
Sanjeong
|
0.045
|
-0.018
|
Downward
|
0.073
|
-0.0004
|
NO Trend
|
Ganggyeong
|
0.005
|
-0.015
|
Downward
|
0.011
|
-0.0005
|
Downward
|
|
Seogwo
|
0.187
|
-0.015
|
NO Trend
|
0.027
|
0.0008
|
Upward
|
Gapcheon
|
0.587
|
0.000
|
NO Trend
|
0.000
|
-0.0003
|
Downward
|
|
Seongri
|
0.014
|
0.009
|
Upward
|
0.917
|
0.0000
|
NO Trend
|
Geomsang
|
0.189
|
-0.002
|
NO Trend
|
0.024
|
-0.0001
|
Downward
|
|
Simog
|
0.071
|
-0.009
|
NO Trend
|
0.029
|
-0.0003
|
Downward
|
Geumcheon
|
0.007
|
-0.008
|
Downward
|
0.000
|
-0.0003
|
Downward
|
|
Sinchang
|
0.979
|
0.003
|
NO Trend
|
0.046
|
0.0006
|
Upward
|
Geumsan
|
0.000
|
-0.030
|
Downward
|
0.000
|
-0.0006
|
Downward
|
|
Singyeong
|
0.465
|
0.000
|
NO Trend
|
0.002
|
-0.0003
|
Downward
|
Gilsan
|
0.008
|
-0.011
|
Downward
|
0.006
|
-0.0002
|
Downward
|
|
Sinheung
|
0.089
|
-0.007
|
NO Trend
|
0.025
|
0.0044
|
Upward
|
Gisa
|
0.000
|
-0.006
|
Downward
|
0.000
|
-0.0003
|
Downward
|
|
Sinyang
|
0.387
|
-0.002
|
NO Trend
|
0.037
|
-0.0001
|
Downward
|
Gwangam
|
0.000
|
-0.027
|
Downward
|
0.010
|
-0.0004
|
Downward
|
|
Sujeong
|
0.587
|
0.000
|
NO Trend
|
0.417
|
-0.0001
|
NO Trend
|
Gwanggi
|
0.000
|
-0.008
|
Downward
|
0.000
|
-0.0003
|
Downward
|
|
Tanbang
|
0.131
|
-0.008
|
NO Trend
|
0.484
|
-0.0001
|
NO Trend
|
Hwasan
|
0.931
|
0.000
|
NO Trend
|
0.012
|
-0.0013
|
Downward
|
|
Wacheon
|
0.251
|
-0.007
|
NO Trend
|
0.892
|
0.0000
|
NO Trend
|
Hyeonnae
|
0.313
|
0.000
|
NO Trend
|
0.807
|
0.0000
|
NO Trend
|
|
Yesan
|
0.460
|
-0.002
|
NO Trend
|
0.005
|
-0.0004
|
Downward
|
Inghwa
|
0.005
|
-0.003
|
Downward
|
0.331
|
0.0000
|
NO Trend
|
|
Yongbong
|
0.284
|
0.007
|
NO Trend
|
0.001
|
0.0013
|
Upward
|
Jemin
|
0.000
|
-0.016
|
Downward
|
0.083
|
-0.0002
|
NO Trend
|
|
Yongdu
|
0.012
|
-0.006
|
Downward
|
0.075
|
0.0003
|
NO Trend
|
Jeongan
|
0.032
|
-0.005
|
Downward
|
0.032
|
-0.0001
|
Downward
|
|
Yonggul
|
0.850
|
0.000
|
NO Trend
|
0.421
|
-0.0003
|
NO Trend
|
Jicheon
|
0.001
|
-0.008
|
Downward
|
0.254
|
-0.0001
|
NO Trend
|
|
Yonggung
|
0.673
|
0.014
|
NO Trend
|
0.037
|
0.0002
|
Upward
|
Jojeong
|
0.005
|
-0.002
|
Downward
|
0.440
|
0.0000
|
NO Trend
|
|
Biin
|
0.629
|
-0.004
|
NO Trend
|
0.021
|
0.0008
|
Upward
|
Masan
|
0.000
|
-0.020
|
Downward
|
0.041
|
-0.0004
|
Downward
|
|
Bongdang
|
0.819
|
-0.012
|
NO Trend
|
0.509
|
-0.0001
|
NO Trend
|
Noseong
|
0.004
|
-0.006
|
Downward
|
0.000
|
0.0003
|
Upward
|
|
Cheongji
|
0.433
|
-0.005
|
NO Trend
|
0.022
|
0.0002
|
Upward
|
Okpo
|
0.005
|
-0.021
|
Downward
|
0.001
|
-0.0005
|
Downward
|
|
Daecheon
|
0.000
|
-0.016
|
Downward
|
0.000
|
-0.0005
|
Downward
|
Sadong
|
0.515
|
0.000
|
NO Trend
|
0.002
|
0.0002
|
Upward
|
|
Dangjeong
|
0.003
|
-0.011
|
Downward
|
0.956
|
0.0001
|
NO Trend
|
Sanbang
|
0.000
|
-0.013
|
Downward
|
0.495
|
-0.0002
|
NO Trend
|
|
Dangjjn
|
0.000
|
-0.043
|
Downward
|
0.000
|
-0.0027
|
Downward
|
Sanggot
|
0.000
|
-0.008
|
Downward
|
0.000
|
-0.0003
|
Downward
|
|
Dodang
|
0.247
|
-0.002
|
NO Trend
|
0.003
|
-0.0001
|
Downward
|
Seokseong
|
0.000
|
-0.018
|
Downward
|
0.000
|
-0.0016
|
Downward
|
|
Dundang
|
0.027
|
0.004
|
Upward
|
0.603
|
-0.0001
|
NO Trend
|
Seungcheon
|
0.127
|
-0.006
|
NO Trend
|
0.021
|
-0.0003
|
Downward
|
|
Ganchi
|
0.031
|
-0.014
|
Downward
|
0.069
|
-0.0002
|
NO Trend
|
Wangdae
|
0.026
|
-0.009
|
Downward
|
0.000
|
-0.0004
|
Downward
|
|
Geumri
|
0.046
|
0.013
|
Upward
|
0.221
|
0.0002
|
NO Trend
|
Wangpo
|
0.016
|
-0.008
|
Downward
|
0.003
|
-0.0003
|
Downward
|
|
Gipo
|
0.453
|
-0.007
|
NO Trend
|
0.826
|
0.0000
|
NO Trend
|
Yeonsan
|
0.002
|
-0.007
|
Downward
|
0.628
|
0.0000
|
NO Trend
|
|
Gungchon
|
0.043
|
-0.014
|
Downward
|
0.000
|
-0.0007
|
Downward
|
Yongdu
|
0.012
|
0.008
|
Upward
|
0.000
|
0.0011
|
Upward
|
|
Gwangcheon
|
0.046
|
-0.010
|
Downward
|
0.001
|
-0.0005
|
Downward
|
Yongsu
|
0.014
|
-0.010
|
Downward
|
0.000
|
-0.0005
|
Downward
|
|
Haemi
|
0.033
|
-0.003
|
Downward
|
0.034
|
-0.0001
|
Downward
|
Yudeung
|
0.000
|
-0.007
|
Downward
|
0.000
|
-0.0003
|
Downward
|
|
Janggeom
|
0.398
|
0.002
|
NO Trend
|
0.342
|
-0.0001
|
NO Trend
|
Yugu
|
0.000
|
-0.005
|
Downward
|
0.001
|
-0.0001
|
Downward
|
|
Jjnjuk
|
0.342
|
-0.010
|
NO Trend
|
0.022
|
-0.0002
|
Downward
|
Bongnong
|
0.178
|
-0.012
|
NO Trend
|
0.209
|
-0.0004
|
NO Trend
|
|
Jongcheon
|
0.000
|
-0.006
|
Downward
|
0.087
|
-0.0001
|
NO Trend
|
Cheonan
|
0.001
|
-0.028
|
Downward
|
0.000
|
-0.0027
|
Downward
|
|
Nampo
|
0.044
|
0.027
|
Upward
|
0.909
|
-0.0001
|
NO Trend
|
Daecheon
|
0.011
|
-0.007
|
Downward
|
0.000
|
-0.0019
|
Downward
|
|
Pangyo
|
0.000
|
-0.017
|
Downward
|
0.002
|
-0.0003
|
Downward
|
Deogsan
|
0.000
|
-0.011
|
Downward
|
0.000
|
-0.0005
|
Downward
|
|
Sangji
|
0.443
|
0.005
|
NO Trend
|
0.000
|
-0.0007
|
Downward
|
Dogo
|
0.002
|
-0.011
|
Downward
|
0.000
|
-0.0008
|
Downward
|
|
Seongyeon
|
0.054
|
-0.004
|
NO Trend
|
0.000
|
-0.0003
|
Downward
|
Eumbong
|
0.091
|
-0.007
|
NO Trend
|
0.001
|
-0.0007
|
Downward
|
|
Seowon
|
0.169
|
-0.006
|
NO Trend
|
0.093
|
-0.0003
|
NO Trend
|
Gangchon
|
0.002
|
-0.015
|
Downward
|
0.029
|
-0.0002
|
Downward
|
|
Sinjang
|
0.008
|
0.015
|
Upward
|
0.040
|
-0.0004
|
Downward
|
Gideog
|
0.126
|
-0.006
|
NO Trend
|
0.095
|
-0.0002
|
NO Trend
|
|
Solri
|
0.136
|
-0.014
|
NO Trend
|
0.074
|
-0.0005
|
NO Trend
|
Gungpyeong
|
0.160
|
-0.007
|
NO Trend
|
0.018
|
-0.0014
|
Downward
|
|
Songnae
|
0.360
|
-0.013
|
NO Trend
|
0.048
|
-0.0005
|
Downward
|
Gurye
|
0.244
|
-0.009
|
NO Trend
|
0.042
|
0.0003
|
Upward
|
|
Taean
|
0.000
|
0.039
|
Upward
|
0.285
|
0.0007
|
NO Trend
|
Haengjeong
|
0.039
|
-0.005
|
Downward
|
0.002
|
-0.0002
|
Downward
|
|
Ungcheon
|
0.000
|
-0.017
|
Downward
|
0.000
|
-0.0002
|
Downward
|
Hagseong
|
0.592
|
0.014
|
NO Trend
|
0.048
|
0.0003
|
Downward
|
|
Waryong
|
0.032
|
0.004
|
Upward
|
0.085
|
-0.0001
|
NO Trend
|
Hapo
|
0.024
|
0.004
|
Upward
|
0.799
|
0.0001
|
NO Trend
|
|
Woncheon
|
0.055
|
-0.018
|
NO Trend
|
0.015
|
-0.0004
|
Downward
|
Hoelyong
|
0.958
|
0.000
|
NO Trend
|
0.051
|
-0.0006
|
NO Trend
|
|
Yeokcheon
|
0.826
|
0.000
|
NO Trend
|
0.002
|
-0.0003
|
Downward
|
Hongseong
|
0.709
|
0.000
|
NO Trend
|
0.452
|
-0.0002
|
NO Trend
|
|
Yeomsol
|
0.000
|
-0.015
|
Downward
|
0.000
|
-0.0003
|
Downward
|
Hwayang
|
0.247
|
-0.010
|
NO Trend
|
0.647
|
-0.0001
|
NO Trend
|
|
Asan
|
0.045
|
0.006
|
Upward
|
0.006
|
-0.0004
|
Downward
|
Hyogyo
|
0.486
|
-0.002
|
NO Trend
|
0.305
|
-0.0001
|
NO Trend
|
|
Dunpo
|
0.000
|
-0.019
|
Downward
|
0.000
|
-0.0009
|
Downward
|
Jangjae
|
0.834
|
0.000
|
NO Trend
|
0.399
|
-0.0001
|
NO Trend
|
|
Ipjang
|
0.048
|
0.001
|
Upward
|
0.001
|
0.0003
|
Upward
|
Jangjeon
|
0.087
|
-0.006
|
NO Trend
|
0.286
|
-0.0002
|
NO Trend
|
|
Seonghwan
|
0.025
|
0.008
|
Upward
|
0.000
|
-0.0023
|
Downward
|
Jangseong
|
0.685
|
0.009
|
NO Trend
|
0.556
|
-0.0002
|
NO Trend
|
|
Sineon
|
0.000
|
-0.020
|
Downward
|
0.023
|
0.0006
|
Upward
|
Jonghyeon
|
0.045
|
-0.021
|
Downward
|
0.357
|
-0.0007
|
NO Trend
|
|
|
|
|
|
|
|
|
p는 p-value를 의미하며 Mann-Kendall test를 통해 산정하였으며 유의수준 5%를 초과하면 경향성(Trend)이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p-value<0.05일 때 Sen’s Slope 이용하여 기울기(Slope)를 산정하였으며, 기울기가 양수(+)이면 수질오염도는 악화되고, 음수(-)이면
수질오염도는 개선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BOD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수질이 개선되고 있는 하천은 56개소(44.8%),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하천은 13개소(10.4%)로 나타났으며, T-P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수질이 개선되고 있는 하천은 64개소(51.2%),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하천은 16개소(12.8%)로 나타났다(Table 2).
Slope 값이 클수록 수질 악화 속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Slope 값이 작을수록 수질 개선 속도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BOD 항목의 경우
Slope 값이 태안천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남포천, 신장천순으로 나타났다, T-P 항목은 신흥천, 용봉천, 용두천 순으로 나타났다.
3.3 하천그룹화 평가
현재 운영중인 수질오염총량제는 수계 내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수질(BOD, T-P), 유량(단일 공통유량 조건), 오염원 등의 요인을 평가한 후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목표수질달성을 위한 삭감계획 수립 등의 절차를 거쳐 의무제로 수행된다. 이에 반해 지류총량제는 기존 획일적관리에서 벗어난 맞춤형제도로 지방정부,
민간단체, 지역주민,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자발적으로 수질개선이 필요한 지역(지류)을 대상으로 목표수질을 선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이행하는 제도이다.
지류총량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수질 개선이 필요한 하천유역을 선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모니터링(유량&수질) 결과에 기초한 하천
그룹화 방법이 시행되어야 한다(Cho et al., 2019).
제한적인 재정여건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수질개선이 필요한 하천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 관리대상물질(BOD, T-P)을
대상으로 Mann-Kendall test와 Sen’s Slope를 이용하여 총 125개 하천에 대하여 수질경향성을 평가하였고, 평가결과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하천은 BOD 13개소, T-P 16개소로 나타났다. 수질이 악화되는 하천을 대상으로 하천그룹화 기법을 적용하여 수질오염도가 높고,
유량이 많은 A그룹을 지류총량제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였다(Table 2).
유량은 하천유지를 위한 최소 유지 유량 0.1 m3/s를(Na et al., 2015). 기준으로, 수질은 각 항목별로 충청남도에서 목료포 삼고 있는 하천생활환경기준 약간좋음(Ⅱ)등급(BOD: 3 mg/L이하, T-P: 0.01 mg/L이하)을
기준으로 하였다.
BOD 항목 도입대상 하천은 A그룹(아산천, 둔당천, 금리천, 입장천, 남포천, 성환천, 와룡천) 7개 하천이 선정되었으며, T-P 항목 도입대상은
A그룹(방축천, 청지천, 입장천, 석우천, 신창천, 신언천, 용궁천) 7개 하천이 선정되었다(Table 3, Fig 5).
Table 3. Selection of target by stream grouping method
Group
|
Stream
|
Flow (m3/s)
|
BOD (mg/L)
|
|
Group
|
Stream
|
Flow (m3/s)
|
T-P (mg/L)
|
A
|
Asan
|
0.271
|
5.3
|
|
A
|
Bangchuk
|
0.218
|
0.248
|
Dundang
|
0.299
|
4.4
|
|
Cheongji
|
0.541
|
0.254
|
Geumri
|
0.274
|
5.4
|
|
Ipjang
|
0.539
|
0.114
|
Ipjang
|
0.539
|
3.7
|
|
Seogwo
|
0.449
|
0.161
|
Nampo
|
0.269
|
4.4
|
|
Sinchang
|
0.172
|
0.208
|
Seonghwan
|
0.784
|
8.3
|
|
Sineon
|
0.105
|
0.336
|
Waryong
|
0.718
|
4.5
|
|
Yonggung
|
0.104
|
0.143
|
B
|
Byeongcheon
|
0.883
|
2.0
|
|
B
|
Byeongcheon
|
0.883
|
0.058
|
Seongri
|
0.383
|
3.0
|
|
Noseong
|
1.398
|
0.068
|
Sinjang
|
0.219
|
3.0
|
|
Sadong
|
0.507
|
0.074
|
Yongdu
|
0.131
|
2.0
|
|
Yongbong
|
0.236
|
0.098
|
C
|
Hapo
|
0.076
|
2.4
|
|
Yongdu
|
0.131
|
0.085
|
D
|
Taean
|
0.088
|
5.6
|
|
C
|
Gurye
|
0.049
|
0.080
|
|
|
|
|
|
Nojeon
|
0.057
|
0.062
|
|
|
|
|
|
D
|
Biin
|
0.039
|
0.198
|
|
|
|
|
|
Sinheung
|
0.068
|
0.327
|
Fig. 5.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at Tributaries of Unit Watershed.
Group B는 유량이 기준(0.1 m3/s) 이상이나, 수질(BOD, T-P)은 기준이하인 하천으로 비교적 유량이 많고 수질농도가 낮아 본류의 수질농도를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어
유역관리 차원에서 지향해야 하는 그룹으로 BOD 항목은 4개소(병천천, 성리천, 신장천, 용두천), T-P 항목은 5개소(노성천, 병천천, 사동천,
용두천, 용봉천)으로 나타났다.
Group C는 수질은 양호하나 유량이 적어 필요에 따라 수량 확보에 관심을 기울어야 하는 하천들로 BOD 항목은 1개소(하포천), T-P 항목은
2개소(구례천, 노전천)이며, Group D는 하천 유량이 적은 반면 수질농도는 높아 수질개선 뿐만 아니라 수량 확보에도 관심을 기울어야 하는 대신에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단시간에 수질개선이 가능한 하천들로 BOD 항목은 1개소(태안천), T-P 항목은 2개소(비인천, 신흥천)으로 나타났다.
4. Conclusion
4.1 결론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내 위치한 지방하천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천별로 Mann-Kendall test와 Sen’s
Slope을 이용하여 변동계수와 수질 추세의 경향성을 평가하고, 하천그룹화 방법을 통해 지류총량제 우선도입 대상하천을 선정하였다.
1) 충청남도는 크게 4개(금강, 삽교천, 서해, 한강)의 수계으로 나눌수 있는데, BOD 항목의 약간좋음(Ⅱ등급)을 만족하는 하천 비율이 높은 수계는
금강수계로 총 42개 하천 중 약간좋음(Ⅱ등급)을 만족하는 하천은 32개소(76.2%) 가장 높았으며, 삽교천수계 34개소(72.3%), 서해수계
14개소(45.%), 한강수계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강수계에 해당하는 5개 하천은 모두 보통(Ⅲ등급) 이상 수질로 나타났다. T-P 항목에서도
금강수계가 31개소(73.8%)로 가장 높았으며, 서해수계 20개소(64.5%), 삽교천수계 22개소(46.8%), 한강수계 0개소(0.0%) 순으로
나타났다.
2) 각 하천(125개소)에 대하여 수질항목(BOD, T-P)별 수질경향성 평가 결과, BOD 항목은 56개소(44.8%)가 수질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13개소(10.4%)가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수계별로는 금강수계 42개 대상하천 중 29개소(69.0%) 하천의
수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소(4.8%)만 악화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P 항목은 64개소(51.2%) 하천의 수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6개소(12.8%) 하천은 수질이 악화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3)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하천(BOD: 13개소, T-P: 16개소)에 대하여 하천그룹화 기법을 사용하여 A~D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유량이 많고, 수질오염도가 높은 A그룹은 우선 관리가 필요한 하천으로 지류총량제 도입대상 하천으로 선정하였다. BOD 항목에 도입이 필요한 하천은
7개소(아산천, 둔당천, 금리천, 입장천, 남포천, 성환천, 와룡천)이며, T-P 항목의 도입이 필요한 하천은 7개소(방축천, 청지천, 입장천, 석우천,
신창천, 신언천, 용궁천)이다.
4)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2011년~2022년) 축적된 유량⋅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현재의 수질경향성을 평가하였다.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함에 따라 향후 수질개선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도 충청남도에서는 주요하천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각 하천별⋅연도별 수질경향성을 분석하여, 충남도 및 지자체에서 수질개선사업을 추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4.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시행중인 수질오염총량제의 대상항목(BOD, T-P) 항목에 대하여 수질변동성 경향을 평가하고,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으로 평가된
하천을 대상으로 지류총량제 도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지류총량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수질 및 유량 뿐만 아니라 삭감여력, 목표달성가능성, 시행가능성
등을 충분히 검토되어야 함에도 BOD, T-P 항목만 대상으로 수질변동성 경향을 평가한 것은 한계로 사료된다.
지류총량제는 수질오염총량제의 대상항목(BOD, T-P) 항목 이외에 다양한 항목을 대상물질로 지정할 수 있음으로, 2022년 이후 모니터링 결과를
추가로 반영하고 대상물질을 수질측정대상 항목(BOD, COD, SS, T-N, T-P)로 확대 및 그 외 시행가능성(삭감여력, 목표달성도, 참여의지
등)을 반영한 연구를 진행하여 각 지류별 관리가 필요한 물질을 선정하여 지류총량제 도입 대상하천을 제안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