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연구원 (Researcher,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2. 정우소재 기술연구소 부장 (General Manager, Jeong Woo Materials Co., Ltd., Buyeo 33171, Rep. of Korea )
  3.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교면포장, 보수재, 콘크리트, 역학적 특성, 경화촉진제
bridge deck pavement, repair material, concrete, mechanical property, hardening accelerator

1. 서 론

최근 제주도 및 남해안 연안에 5,000톤 이상의 괭생이모자반이 유입되어 양식장과 해상 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꾸준한 수요처가 확보되지 않아 사회, 경제적으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합성 폴리머가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수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 해양 폐기물인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적용하여 역학적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적이 있고, 바이오 폴리머의 최대 혼입률 결정과 부착강도 향상을 확인한 바 있다((Lee and Kim 2018(9)).

국내에서 교면포장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계열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Jeon et al. 2017(5)). 콘크리트 계열 포장은 아스팔트 계열 포장에 비하여 장기 경제성이 우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Cho et al. 2001(2); Won et al. 2005(12); Bang et al. 2017(1)). 콘크리트 교면 포장의 경우 균열, 박리, 철근부식으로 인한 교량 슬래브의 노후화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내구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Kim et al. 2001(7); Kim et al. 2014(8)). 교면포장재와 교면포장 보수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atex Modified Concrete, 이하 LMC)와 VES-LMC 재료는 콘크리트에 합성폴리머를 혼입하여 염화물 등과 같은 열화인자의 침투를 억제하고 휨강도가 우수하여 도로의 소성변형 억제 성능이 우수한 재료이다(Yun et al. 2001(13); Choi et al. 2008(3); Lee et al. 2018(10)). 그러나 합성폴리머의 사용으로 공사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콘크리트 경화 후 라텍스의 분리로 환경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건설용 교면 포장재료에 사용되는 합성폴리머를 바이오 폴리머로 대체할 수 있는지에 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콘크리트 교면포장 보수재의 요구 성능에 따른 재료 성능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사용 재료 및 배합

2.1 시멘트

본 연구에서는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보수재에 사용되는 밀도 2.94 g/cm3, 분말도 5,722 cm2/g의 아윈계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Table 1Table 2에는 초속경 시멘트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조성을 표기하였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URHC

Type

Setting time

Stability

(%)

Fineness

(cm2/g)

Density

(g/cm3)

Initial

(min)

Final

(min)

URHC*

30

45

0.06

5,722

2.94

* URHC : Ultra Rapid Hardening Cement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URHC

Type

Chemical composition (%)

CaO

SiO2

Al2O3

SO3

Fe2O3

MgO

TiO2

K2O

Ig.loss

URHC*

51.4

11.9

12.9

13.5

2.4

1.7

0.6

0.5

2.4

* URHC : Ultra Rapid Hardening Cement

2.2 골재

본 연구에 사용한 잔골재는 표건밀도와 흡수율이 각각 2.61 g/cm3, 1.58%이며 5 mm 강사를 사용하였다. 굵은 골재로는 표건밀도와 흡수율이 각각 2.67 g/cm3, 0.80%이며 20 mm인 부순골재를 사용하였다. 각 재료의 물리적 성질은 Table 3에 표기한 바와 같다.

Table 3. Mechanical properties of aggregates

Maximum size

(mm)

Surface-

dried specified gravity

(g/cm3)

Water absorption ratio

(%)

Fineness modulus

Fine aggregate

5

2.61

1.58

3.08

Coarse aggregate

20

2.67

0.80

6.90

2.3 합성폴리머

본 연구에서는 현재 콘크리트계 단면 보수재료에 초속경 시멘트와 함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형분 47%의 SBR(styren-butadien)계 액상 합성 폴리머를 사용하였다. 이 재료는 styrene과 butadiene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액상형 제품이다. 사용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Properties of synthetic polymer

Density (g/cm3)

pH

Viscocity (Pa·s)

Ratio (%)

Styren

Butadien

1.01

8.1

24

66 ± 1.5%

34 ± 1.5%

2.4 바이오 폴리머

괭생이모자반을 바이오 폴리머로 원료화하기 위한 공정은 Fig. 1에 나타내었다. 해상에서 수거한 괭생이모자반은 민물을 이용하여 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하였다. 수분건조 과정을 거친 후 시료를 조분쇄 한 이후, 볼밀을 사용하여 평균입도가 60 µ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레이저 회절 입도분석장치를 활용하여 바이오 폴리머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세분쇄 시료의 평균 입도는 56 µm로 측정되었다. 분쇄 시 석회석 미분말을 약 1~5% 첨가하여 효율적인 분쇄와 재응집 현상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콘크리트에 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조된 바이오 폴리머의 입도 특성은 Table 5에 표기하였고, 시료 분석으로 분석한 바이오 폴리머의 화학성분 조성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Fig. 1. Bio-polymer production process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1.png

Table 5. Properties of bio-polymer powder

Item

Pulverization hour

Average

particle size

(µm)

Apparent density

(g/cm3)

pH

Appearance

Bio

polymer

2

≤ 60

0.85

6.5

Green

powder

Table 6. Chemical composition of bio-polymer

Element

Apparent Concentration

k Ratio

Wt.

(%)

Atomic

(%)

Standard Label

C

0.17

0.00170

9.60

15.97

C Vit

O

2.96

0.00995

45.55

56.89

SiO2

Mg

0.27

0.00182

2.68

2.20

MgO

Al

0.46

0.00331

4.30

3.18

Al2O3

Si

1.42

0.01129

13.10

9.32

SiO2

S

0.07

0.00057

0.67

0.42

FeS2

K

0.06

0.00053

0.55

0.28

KBr

Ca

2.52

0.02250

23.54

11.73

Wollastonite

Total:

100

100

2.5 혼화제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보수재의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분말형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사용 재료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Table 7에 표기하였다.

Table 7.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uperplasticizer

Appearance

Density

(g/cm3)

pH

Ingredients

Brown powder

0.5

5.5

Polycarboxylate

2.6 경화촉진제

포틀랜드시멘트에 사용되는 경화 촉진제로는 염화칼슘으로 대표되는 염소화합물, 초산염, 아초산염, 티오황산염, 티오시안산염 등이 있고, 이것들의 효과는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Ca염이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경제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화칼슘의 경우 시멘트 중의 Alite(C3S)의 수화 반응을 촉진한다. (Kim et al. 1996(6)). 시멘트에 염화칼슘을 첨가하면 C3S의 수화반응이 촉진되고 용액 중의 수산화칼슘(Ca(OH)2)의 과포화도가 높아져서, 시멘트겔(C-S-H gel)의 생성이 활발하게 되어 초기 강도가 증대하게 된다. 또한 염화칼슘은 C-S-H Gel의 결정 형태에 영향을 미쳐, 긴 섬유상 결정이 치밀하게 생성되어 강도를 증대시킨다. 단 한도량을 초과하는 염화물이 존재하면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철근을 부식시키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비교하여 초속경 시멘트에 사용되는 경화 촉진제인 리튬 카보네이트의 경우 C3A의 수화를 촉진하여 속경성을 발휘하는 에트린자이트(3CaO·Al2O3·3CaO·3SO3·32H2O) 형성에 관여함으로써 초기강도 증가의 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Li+ 이온은 시멘트 반응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Al3+ 이온이 채워지지 않는 빈 핵 자리를 채우는 구조적인 관여를 하기 때문에 가사시간 확보를 위한 지연제 증량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과도한 Li+ 이온은 리튬알루미네이트수화물을 형성하며 이는 강도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사용량의 선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카보네이트를 경화촉진제로 사용하였으며, 물리 화학적 특성을 Table 8에 나타내었다.

Table 8. Characteristic of hardening accelerator

Type

Color

Main component

Density (g/cm3)

Hardening accelerator

White

Li2CO3

0.8

2.7 사용배합

이 연구는 괭생이모자반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비용이 높은 LMC용 합성라텍스를 대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Table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라텍스를 혼입한 콘크리트인 L12BP0를 기본 배합으로 하고, 바이오 폴리머를 혼입한 다양한 콘크리트 배합을 설계하였다.

Table 9. Mixture proportions of concrete

Mix.

W/C

(%)

S/a

Unit weight (kg)

Ad.

(%, by weight of C)

H.A.

(%, by weight of C)

W

URHC

S

G

Latex

Bio polymer

L12BP0

38

55

137

360

939

786

43.2

-

-

-

L0BP4-1

38

55

137

360

986

825

-

14.4

0

-

L0BP4-2

38

55

137

360

986

825

-

14.4

0

0.2

L0BP6-1

38

55

137

360

980

820

-

21.6

0.04

-

L0BP6-2

38

55

137

360

980

820

-

21.6

0.04

0.2

L0BP8-1

38

55

137

360

973

814

-

28.8

0.06

-

L0BP8-2

38

55

137

360

-

28.8

0.06

0.2

W : Water, URHC : Ultra Rapid Hardening Cement, S : Sand, G : Gravel, Ad. : Admixture, H.A : Hardening accelerator

기존 연구에서는 바이오 폴리머를 구조물 보수용 모르타르에 적용하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Lee et al. 2018(9)). 기존 연구에서는 12%를 바이오 폴리머의 적정 혼입률로 결정한 바 있다. 바이오 폴리머를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저감, 강도 감소 등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바이오 폴리머의 최대 혼입률을 8%로 결정하였다. 또한,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으로 발생하는 강도감소 효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화촉진제로 리튬카보네이트를 혼입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경화촉진제의 첨가량을 시멘트 중량비 1.2%를 적용한 바 있다(Min et al. 2014(11)).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경제성을 확보하고 경화촉진제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예비배합 실험을 통하여 0.2% 첨가량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바이오 폴리머를 결합재의 4%, 6%, 8% 각각 혼입한 L0BP4-1, L0BP6-1, L0BP8-1배합과 이들 배합에 경화촉진제인 리튬카보네이트를 0.2% 혼입한 L0BP4-2, L0BP6-2, L0BP8-2배합을 이용하여 바이오 폴리머 콘크리트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Table 9에서 L은 라텍스의 혼입률이고, BP는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률을 의미한다.

3. 시험 방법

3.1 슬럼프 및 공기량

슬럼프 시험은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공기량 시험은 KS F 242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함유량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Fig. 2).

Fig. 2. Concrete slump and air content test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2.png

3.2 압축 및 휨강도

압축강도 시험은 Φ 100 × 200 mm 원주형 공시체를 KS F 2405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방법」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고,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 방법」기준에 따라 100 mm × 100 mm × 400 mm 각주형 공시체를 제작하여 수행하였다. 압축강도 및 휨강도 공시체는 각 배합별로 9개씩 제작한 후, 재령 4시간, 7일, 28일 동안 기건 양생을 실시하였고, Fig.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강도측정을 수행하였다.

Fig. 3. Compressive test and flexural test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3.png

3.3 부착강도

교면포장 보수재로는 기존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수재료간의 부착 성능 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착강도 측정을 위하여 300 mm × 500 mm × 200 mm 크기의 배합강도 45 MPa급 콘크리트를 모체를 제작하였다. 콘크리트 모체는 50 mm 두께로 각각 제작된 보수용 콘크리트로 덧씌우기하여 실제 시공조건을 모사하여 제작하였다. 성능 평가는 ASTM C 1583-04 「Test Method for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Surfaces and the Bond Strength or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Repair and Overlay Materials by Direct Tension (Pull-off Method)」에 따라 P사의 부착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Fig. 4).

Fig. 4. Bonding test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4.png

4. 시험 결과 및 분석

4.1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 결과

Fig. 5에 바이오 폴리머 혼입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공기량 측정 결과를 도시하였다. 현재 교면포장용 보수재로 사용되는 LMC 콘크리트 배합을 모사한 L12BP0배합의 슬럼프는 210 mm로 측정되었다. 이 값은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보수재의 슬럼프 기준인 190 ± 30 mm를 만족하는 값으로 우수한 유동성 성능을 나타내는 값이다.

Fig. 5. Test results of slump and air content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5.png

이 결과는 합성폴리머 혼입에 의하여 발현되는 볼베어링 효과를 통하여 우수한 유동성능을 발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합성 폴리머의 혼입 없이 바이오 폴리머가 각각 4%, 6%, 8% 혼입된 L0BP4-1, L0BP6-1, L0BP8-1 시험체의 슬럼프는 각각 185 mm, 175 mm, 175 mm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 배합의 슬럼프가 L12BP0과 비교하여 25 mm에서 최대 35 mm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바이오 폴리머가 6% 이상 혼입될 때 슬럼프 손실이 급격하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바이오 폴리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보수재 기준의 최소값인 160 mm를 만족하였지만, 현장 작업성을 고려할 때 충분한 슬럼프 값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으로 발생하는 강도저감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화촉진제로 리튬카보네이트(Li2CO3)를 각 배합에 0.2%씩 혼입하였다. 그 결과 L0BP4-2, L0BP6-2 배합은 L0BP4-1, L0BP6-1 배합보다 10 mm의 슬럼프가 향상되었고, L0BP8-2 배합은 L0BP8-1 배합보다 15 mm의 슬럼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경화촉진제 사용으로 바이오 폴리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합성폴리머를 사용한 L12BP0 배합보다는 15~25 mm 작게 측정되었지만 현장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Min et al. 2014(11))에서도 리튬카보네이트 경화촉진제 사용으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이 향상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리튬카보네이트 혼입으로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향상되는 메커니즘은 추후 보완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을 진행한 결과, 모든 콘크리트 배합에서는 6% 이하의 공기량이 측정되어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 기준인 6% 이하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12BP0 배합의 공기량은 4.8%로 측정되었다. 바이오 폴리머를 각각 4%, 6%, 8% 혼입한 L0BP4-1, L0BP6-1, L0BP8-1 배합의 공기량은 각각 4.5%, 4.7%, 5.6%로 측정되었다. 경화촉진제인 리튬카보네이트를 0.2% 혼입한 L0BP4-2, L0BP6-2, L0BP8-2 배합의 공기량은 4.3%, 4.5%, 5.5%로 측정되어 L0BP4-1, L0BP6-1, L0BP8-1 배합보다 각각 0.2%, 0.2%, 0.1%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공기량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지만, 경화촉진제를 혼입할 경우, 콘크리트의 유동성 증가로 인하여 수밀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2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 결과

바이오 폴리머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압축 및 휨강도 시험결과를 Figs. 6, 7에 도시하였다.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보수재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 요구 성능은 4시간 기준 각각 21 MPa, 4.5 MPa 이상을 만족하여야 한다.

Fig. 6. Average compressive strengths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6.png

Fig. 7. Average flexural strengths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7.png

L12BP0 시험체의 경우 4시간 기준 압축강도가 26.4 MPa로 측정되어 가장 큰 압축강도가 측정되었다. 바이오 폴리머가 4%, 6%, 8% 혼입된 L0BP4-1, L0BP6-1, L0BP8-1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각각 25.1 MPa, 24.3 MPa, 23.2 MPa로 측정되었고, 경화촉진제를 0.2% 혼입한 L0BP4-2, L0BP6-2, L0BP8-2 시험체는 각각 25.5 MPa, 25.1 MPa, 23.7 MPa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바이오 폴리머를 혼입할 경우, 기준시험체인 L12BP0 시험체보다 압축강도가 약 5%, 8%, 12%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경화촉진제를 혼입한 L0BP4-2, L0BP6-2, L0BP8-2 시험체의 경우, L0BP4-1, L0BP6-1, L0BP8-1 시험체의 압축강도보다 각각 2%, 3%, 2% 개선되어 초기재령에서의 콘크리트 경화가 촉진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교면포장 보수재의 요구 성능을 모두 만족하였다. 재령 28일 기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또한, 재령 4일 압축강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바이오 폴리머가 8%로 가장 많이 혼입된 L0BP8-1 시험체는 L12BP0 시험체와 비교할 경우 약 8%의 압축강도 저하를 실험결과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콘크리트 휨강도 실험결과에서는 L12BP0 시험체의 4시간 기준 휨강도가 6.2 MPa로 가장 큰 값으로 측정되었다. L12BP0의 휨강도가 큰 값으로 측정된 이유는 합성폴리머 사용으로 시멘트 매트릭스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 공극을 충진하고, 골재를 둘러싼 폴리머 필름막 형성으로 인하여 재료들간의 부착력 증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Hyun et al. 2017(4)). 바이오 폴리머가 혼입된 L0BP4-1, L0BP6-1, L0BP8-1 시험체는 각각 4.4 MPa, 4.5 MPa, 4.6 MPa로 측정되었다. L12BP0 시험체와 비교할 경우 4시간 기준 휨강도가 26~29%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L0BP4-1의 경우는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초기 강도 개선을 위하여 0.2% 혼입한 경화촉진제는 콘크리트 시험체의 휨강도를 개선하였다. L0BP4-2, L0BP6-2, L0BP8-2 시험체의 경우 L0BP4-1, L0BP6-1, L0BP8-1 시험체와 비교할 경우 평균 3%의 휨강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 기준을 만족하였다. 리튬카보네이트를 경화촉진제로 사용할 경우 초기강도 개선효과가 있지만, 콘크리트에 과량 혼입할 경우 강도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휨강도 개선을 목적으로 경화촉진제의 적정 혼입률 검토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4.3 부착강도 시험 결과

Fig. 8에 바이오 폴리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시험결과를 도시하였다. 부착강도 성능은 콘크리트 보수재료의 중요한 시험 항목 중의 하나이다.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의 요구 성능은 재령 4시간 기준 1.4 MPa 이상이다. 재령 4시간 콘크리트의 부착강도를 측정한 결과 L12BP0 시험체가 1.6 MPa, L0BP4-1, L0BP6-1, L0BP8-1 시험체는 1.4 MPa, 1.2 MPa, 1.2 MPa로 각각 측정되어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부착강도 성능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L0BP6-1, L0BP8-1 시험체는 요구강도 1.4 MPa보다 작은 값으로 측정되어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리튬 리튬카보네이트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L0BP4-2, L0BP6-2, L0BP8-2 시험체의 부착강도는 1.5 MPa, 1.6 MPa, 1.7 MPa로 측정되어 부착강도가 향상되었고,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였다.

Fig. 8. Average bond strengths

../../Resources/kci/JKCI.2019.31.2.191/fig8.png

재령 28일 기준 부착강도를 L12BP0 시험체와 비교할 경우,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L0BP4-2, L0BP6-2, L0BP8-2 시험체의 부착강도는 1.9 MPa, 2.1MPa, 2.0MPa로 측정되어 L12BP0 시험체 대비 93~97% 수준까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휨강도 시험결과와 마찬가지로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은 부착강도 저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저하를 보완하기 위하여 리튬카보네이트 경화촉진제를 0.2% 혼입하여 슬럼프가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 효과에 대한 연구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바이오 폴리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성능을 보완할 수 있는 적절한 혼합재와 경화촉진제의 최대 혼입률 결정 등에 대한 방향으로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국내 해안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괭생이모자반을 처리하여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콘크리트의 혼화제인 바이오 폴리머로 활용하는 방안을 시도하였다. 특히,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합성 폴리머를 대체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바이오 폴리머 대체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괭생이모자반으로 만든 바이오 폴리머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기존의 합성 폴리머 콘크리트에 비하여 강도가 저하되고, 작업성이 악화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적정량의 리튬카보네이트 경화촉진제를 혼입함으로써 이러한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였고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로서 성능이 확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바이오 폴리머가 4~8% 혼입된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기준 배합과 비교할 경우 최대 35 mm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화촉진제를 0.2% 혼입할 경우 슬럼프 감소량이 15~25 mm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3)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바이오 폴리머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기준 실험체 대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기강도 개선을 위하여 리튬카보네이트를 혼입한 경우, 4시간 기준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평균 3% 개선되었고, 교면포장 보수용 콘크리트 기준인 4시간 압축강도 21 MPa, 휨강도 4.5 MPa을 만족하였다.

4) 부착강도 시험에서는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오 폴리머가 각각 6%, 8% 혼입된 L0BP6-1, L0BP8-1 시험체는 4시간 기준 부착강도 1.4 MPa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경화촉진제를 혼입한 L0BP6-2, L0BP8-2 시험체의 경우 1.6 MPa, 1.7 MPa로 측정되어 4시간 기준을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15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o. 2015R1A5A1037548).

References

1 
Bang J.W., Lee B.J., Kim Y.Y., 2017, Development of a Semirigid Pavement Incorporating Ultrarapid Hardening Cement and Chemical Admixtures for Cement Grouts,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rticle ID 4628690, 9 pages.Google Search
2 
Cho H. N., Choi H. H., Jung P. K., Lim J. K., 2001, A Study on Life Cylcle Cost Analysis of Latex Modified Concrete Pavement for Bridges,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Vol. 5, No. 4, pp. 195-195. (In Korean)Google Search
3 
Choi S. Y., Yun K. K., Choi S. S., 2008, Strengthen Effect of RC Beam Overlaid or Repaired by VES-LMC,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4, pp. 423-430 (In Korean)DOI
4 
Hyun J. H., Noh J. H., Kim H. S., Kim Y. Y., 2017,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Latex Modified Concrete for Bridge Deck Pavement Produced with CSA-based Admixture for Traffic Opening at the Age of 24 Hou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9, No. 6, pp. 625-631 (In Korean)DOI
5 
Jeon S. I., Yun K. K., An J. H., Choi P. G., 2017, A Study on Crack Self-Healing of Concrete Overlay for Bridge Deck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9, No. 1, pp. 11-19DOI
6 
Kim K. H., Kim S. H., Lee J. H., 1996, Retarder, Accelerator and Expansive Admixtur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8, No. 2, pp. 32-40. (In Korean)Google Search
7 
Kim K.H., Lee J. M., Hong C. W., Yun K. K., 2001, Permeability and Freeze-Thaw Resistance of Latex Modified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3, No. 5, pp. 484-490. (In Korean)Google Search
8 
Kim Y. Y., Kim J. M., Bang J. W., Kwon S. J., 2014, Effect of Cover Depth, W/C ratio, and Crack Width on Half Cell Potential in Cracked Concrete Exposed to Salt Sprayed Condi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54, pp. 636-645DOI
9 
Lee B. J., Kim Y. Y., 2018, Durability of latex modified concrete mixed with a shrinkage reducing agent for bridge deck pa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Vol. 12, No. 2, pp. 259-267DOI
10 
Lee S. M., Hyun J. H., Kwon K. S., Kim Y. Y., 2018, Mechanical Properties of Repair Mortar Incorporated with Bio Polym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22, No. 6, pp. 97-104. (In Korean)DOI
11 
Min T. B., Cho I. S., Lee H. S., 2014, Experimental Study on the Early Strength Development Mechanism of Cement Paste Using Hardening Accelerator and High-Early-Strength C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8, No. 1, pp. 84-92. (In Korean)DOI
12 
Won J. P., Seo J. M., Lee C. S., Park H. K., Lee M. S., 2005, Optimum Mix Design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for Bridge Deck Overlay by Statistical Method,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7, No. 4, pp. 559-567. (In Korean)DOI
13 
Yun K. K., Lee J. H., Choi S. L., Kim K. H., 2001, Bond Strength Properties of Latex Modified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3, No. 5, pp. 507-515. (In Korean)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