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석
(Ji-Seok Seo)
1iD
이봉춘
(Bong-Chun Lee)
2iD
김윤용
(Yun-Yong Kim)
3†iD
-
KCL 대전충남지원 주임연구원
(Junior Research Engineer, Daejeon & Chungnam Branch,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Daejeon 34113, Rep. of Korea)
-
KCL 내진센터 센터장
(Team Manager, Seismic Safety Center,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Ochang 28115,
Rep. of Korea)
-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4134, Rep. of Korea)
Copyright © Korea Concrete Institute(KCI)
키워드
3D 프린터, 흐름성, 간극비, 적층성, 두께 균일성
Key words
3D printer, flowability, void ratio, buildability, layer uniformity
1. 서 론
건설용으로 사용하는 3D 프린터는 주로 AM(Additive Manufacturing) 방식 중 ME(Material Extrusion) 방법으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현한다. 대표적인 건설용 재료인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는 시멘트 계열 결합재에 배합수를 첨가하여 비빔을 완료한 직후부터 실시간으로
유동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3D 프린터로 적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재료가 노즐까지 원활하게 이동하는 성능인 펌핑성(pumpability), 노즐에서
끊김이나 과다출력과 같은 이상 없이 출력되는 출력성(printability), 출력된 이후 형상 유지에 방해가 되는 하중에 저항하는 적층성(buildability)과
상기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가사 시간(open time)을 포함한 4가지 특성을 제어해야 한다(Sanjayan and Nematollahi 2018)(13).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사용하는 3D 프린터의 조건과 맞는 펌핑성, 출력성, 적층성, 가사 시간을 갖도록 콘크리트 배합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Seo et al. 2019; Tay et al. 2019)(9,17), 압출 시 노즐 폐색에 의한 끊김과 같이 출력의 불연속성 여부만을 평가한다. 그러나 3D 프린터로 출력된 결과물의 형상에 대한 품질은 출력 직후에
적층된 특성을 반영하여 평가될 필요가 있다(Yuan et al. 2019; Sun et al. 2020)(16,18).
이 연구에서는 모르타르와 ME 방식 3D 프린터를 이용해 제작한 실험체의 적층 품질을 적층 두께의 균일성 및 정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균일성 및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ME 방식으로 출력된 모르타르 실험체는 같은 조건에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한 후, 이미지 처리와 계산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Ghaffar et al. 2018)(3) 모르타르의 흐름성(flowability)과 간극비(void ratio)가 3D 프린터로 출력된 적층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만, 이
연구에서 의미하는 3D 프린터 출력물의 품질에서 재료의 역학적 특성은 제외된다.
2. 재료 및 장비
2.1 모르타르 재료
2.1.1 결합재
주결합재인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에 유동성 조절을 위해 플라이애시(FA)를 혼합하였다. 또한, 건조수축 저감과 내화학성 등의 내구성능 보완을 위해
에틸렌비닐클로라이드(EVCL, Etylenevinyl Chloride)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EVCL은 에틸렌과 비닐콜로라이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로서 난연성을 향상하며 폴리머 필름이 시멘트 수화물과 상호 간 형성됨에 따라 수축 저항성과 내구성을 개선하는 재료이다(Song
and Shin 2018)(15). 3D 프린팅용 모르타르 결합재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Binder for 3D printing mortar
Item
|
Average particle size (µm)
|
Density (g/cm$^{3}$)
|
OPC
|
20
|
3.15
|
FA
|
40
|
2.26
|
EVCL
|
130
|
0.4~0.5
|
Table 2.
Fine aggregate and admixture for 3D printing mortar
Item
|
Average particle size
(mm)
|
Density
(g/cm$^{3}$)
|
etc.
|
SS
|
0.1~0.17
|
2.6
|
SiO2 96~98 %
|
Ad
|
0.6
|
0.7
|
pH 7
|
Table 3. Specifications of 3D printer
Printing method
|
Printing scale
|
Printing speed (max)
|
Positioning
accuracy
|
Material
extrusion
|
500×500×500 mm
|
150 mm/sec
|
X: 40 micron
Y: 40 micron
Z: 12 micron
|
Fig. 1. 3D Printer used for printing mortar
Fig. 2. Specimen modeling for 3D printing
2.1.2 골재 및 혼화제
잔골재는 3D 프린터의 노즐 직경이 일반적인 골재와 비슷하거나 작은 것을 고려하여 인조규석을 파쇄 분체한 인조규사 8호(silica sand, 이하
SS)를 사용하였으며 혼화제는 모르타르의 3D 프린팅 적층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변학적 물성인 점성과 전단저항을 개선하는 메틸셀룰로오스계 증점제(thickener,
이하 Ad)를 사용하였다(Chen et al. 2018)(1). 3D 프린팅용 골재 및 혼화제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2.2 3D 프린터 및 프린팅 조건
출력에 사용한 3D 프린터는 출력 패널을 중심으로 노즐부가 X, Y, Z 축을 이동하는 갠트리(gantry) 타입의 ME 방식 프린터를 사용하였으며
출력재료인 모르타르의 출력성능을 고려하여 노즐 사이즈 직경 3.0 mm, 출력속도 20~25 mm/sec, 압출속도 125~165 e-step/mm로
설정하였다. 압출속도는 모르타르의 유동성에 따라 출력 중 조절이 가능하며 모르타르가 1 mm 출력될 때 회전하는 스텝모터의 회전에 대한 단위이다.
사용한 3D 프린터의 제원 및 전경과 모델링은 Table 3, Fig. 1 및 Fig. 2와 같다.
Table 4. Mix designs of mortar for 3D printing
Item
|
W/B (wt. %)
|
SS/B (wt. %)
|
1
|
47.5
|
100
|
2
|
45.0
|
100
|
3
|
42.5
|
100
|
4
|
40.0
|
100
|
5
|
50.0
|
80
|
6
|
50.0
|
90
|
7
|
50.0
|
110
|
8
|
50.0
|
120
|
9
|
50.0
|
130
|
3. 배합설계 및 방법
3.1 모르타르 배합설계
3D 프린팅 재료는 출력하여 적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3D 프린터에 사용하는 모르타르는 유변학적으로 특수한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 다수의 배합을
시험하고 직접 출력하여 성능을 검증해야 한다. 모르타르가 3D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으려면 압력에 의해서만 출력제어가 가능한 수준의 유동성이 필요하며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분리가 일어나거나 적층 높이에서 자중에 의한 낙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모르타르 배합의 유동성은 결합재
대비 잔골재량, 배합수량, 혼화제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재료의 비율에 영향을 받는다(Ding et al. 2020)(2). 선행 연구(Seo et al. 2019)(9)를 통해서 출력성과 적층성이 확보되는 배합의 범위를 결정하였고, 이 연구를 위해 선정된 배합은 Table 4와 같다. 각 배합이 가지고 있는 흐름성과 간극비를 실험적으로 구한 후, 이 특성이 3D 프린터로 출력된 적층 두께의 균일성 및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3.2 흐름성(flowability) 측정방법
3D 프린팅용 모르타르의 흐름성은 KS L 5105(KATS 2017), KS L ISO 679(KATS 2006)(6,7)를 준용하여 측정한 흐름값(flow)의 밑지름 증가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한 값이다. 흐름값은 표준 흐름몰드를 이용해서 성형한 모르타르를 흐름 테이블을
이용하여 12.7 mm 높이에서 15초간 25회의 속도로 낙하시킨 후 같은 간격으로 4회 측정한 값이다. 증점제를 첨가한 모르타르 배합의 경우 일반적인
모르타르에 비해 점성이 높아 표준 배합 시간보다 오랜 시간 동안 배합하여야 하며 셀룰로오스계 분말형 증점제를 다른 혼화재와 충분히 혼합하는 과정을
사전에 시행해야 같은 배합 내에서 일정한 흐름값을 측정할 수 있다. 흐름성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2회의 흐름값이 필요하므로 한 배합 당 측정한 4회의
흐름값의 평균을 1회의 흐름값으로 산정하여 같은 배합에 대해 2회의 흐름시험을 실시하였다. 흐름성은 흐름값의 변화량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값이며 계산하는
방법은 식 (1)과 같다(Kim et al. 2003)(5).
여기서, $\Gamma$는 흐름성, $D_{1}$, $D_{2}$는 각각 같은 배합에 대한 1회, 2회의 흐름값 평균(mm)을 나타내며 $D_{0}$는
흐름몰드를 모르타르로부터 제거했을 때 유의미한 밑지름 증가가 없다고 판단하여 흐름몰드 하단부의 내경(100 mm)으로 산정하였다.
3.3 간극비(void ratio) 측정방법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간극비는 입상재료의 체적비와 배합수의 체적비 간의 비율을 통해 산정한다. 물 막 두께 이론(Ng et al. 2016)(12)에서 시멘트 복합체의 유동성은 간극을 윤활하게 하는 과잉수에 기인한 것으로 가정한다.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경우 재료의 적층이 가능한 정도의 유동성
범위이므로 과도한 변형에 대한 영향 요인은 배제하였다. 간극비 $u$는 고체입상재료에 대한 물의 체적비율 $u_{w}$와 전체 체적에 대한 고체입상재료의
체적비율 $\phi$를 통해 구할 수 있다. 간극비를 계산하는 과정은 식 (2), 식 (3) 및 식 (4)와 같다.
여기서, $V_{w}$,$V_{c}$는 물 및 고체입상재료의 부피(cm$^{3}$)이다. $M$, $V$는 실험을 통해 측정한 굳지 않은 모르타르의
질량(g)과 부피(cm$^{3}$)이며 $\rho_{\alpha}$, $\rho_{\beta}$, $\rho_{\alpha}$는 물을 제외한 나머지
입상재료의 밀도(g/cm$^{3}$), $R_{\alpha}$, $R_{\beta}$, $R_{\gamma}$는 물을 제외한 나머지 입상재료 간 체적비율이다.
3.4 방향특성 별 균일성 및 정확성 측정방법
적층 두께 균일성 및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 같은 거리, 같은 화각, 같은 화질로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촬영한 이미지는 적층선을 1, 적층선
간 간격을 0으로 표현한 이진화 배열값으로 변환하였으며 0으로 출력한 화소의 개수를 세어 적층 두께를 수치화하였다. 균일성은 이미지로부터 산출된 두께
데이터에 대한 분산계수로 정량화하였는데, 1에 가까울수록 적층 간격 간 차이가 크지 않아 균일한 특성을 나타내며 0에 가까울수록 적층 간격 간 차이가
커 비균일한 특성을 나타낸다(Lee et al. 2012)(8). 정확성은 목표한 두께를 달성한 정도를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보다 정확하게 목표 두께를 달성한 것이다. 균일성 및 정확성을 산출하는 방법은
식 (5), 식 (6)과 같다.
여기서, $\alpha_{l}$은 적층 균일성, $x_{i}$는 적층 두께(화소수), $\overline{x}$는 방향에 따른 적층 두께 평균(화소수),
$n$은 측정 적층 두께 데이터의 개수이며, $\alpha_{a}$는 적층 정확성, $x_{t\arg et}$은 목표 적층 두께(화소수)이다.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한 3D 프린팅 모르타르의 적층 균일성은 2종류 방향에 대한 균일성을 검토하였다. 첫째로 같은 적층 내의 두께 데이터(Fig. 3의 행(row) 데이터)에 대한 균일성 $\alpha_{l}$을 구한 후, 그 값의 평균을 X축 균일성으로 취하여 분석하였다. 둘째로 서로 다른 적층의
두께 데이터(Fig. 3의 열(column) 데이터)에 대한 균일성 $\alpha_{l}$을 구한 후, 그 값의 평균을 Z축 균일성이라 정의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정확성은
실제 3D 프린터로 출력한 평균 적층 두께가 목표한 두께에 근접한 정도를 수치적인 달성률로 산출하였다. 균일성 및 정확성을 측정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출력한 실험체를 시점고정이 가능한 장비 또는 장소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연속 촬영
(2) 촬영한 실험체 이미지의 적층선을 별도로 작성하여 이미지로 다시 저장
(3)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지를 수치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이진화한 배열 데이터로 변환
(4) 적층선 간 간격을 화소단위로 계산한 후, 적층 두께 균일성 및 정확성 산출
Fig. 3. Measurement of uniformity and accuracy
Table 5.
Results of calculating flowability and void ratio for 3D printing mortar mix designs
W/B (wt. %)
|
SS/B (wt. %)
|
flow (mm)
|
flowability
|
$\phi$
|
$u$
|
47.5
|
100
|
171.06
|
1.93
|
0.583
|
0.714
|
45.0
|
100
|
160.08
|
1.56
|
0.595
|
0.680
|
42.5
|
100
|
146.92
|
1.16
|
0.615
|
0.627
|
40.0
|
100
|
126.93
|
0.61
|
0.623
|
0.606
|
50.0
|
80
|
203.08
|
3.12
|
0.565
|
0.769
|
50.0
|
90
|
191.19
|
2.66
|
0.574
|
0.742
|
50.0
|
110
|
170.12
|
1.89
|
0.587
|
0.702
|
50.0
|
120
|
162.70
|
1.65
|
0.591
|
0.692
|
50.0
|
130
|
155.03
|
1.40
|
0.594
|
0.684
|
Fig. 4. View of flow test
4. 실험결과 및 고찰
4.1 3D 프린팅용 모르타르의 흐름성 및 간극비
사전 시험을 통해 설계한 3D 프린팅 출력 가능 모르타르 배합의 흐름성 범위는 0.61~3.12로 나타났으며 간극비 범위는 0.61~0.77로 나타났다.
Table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수에 대한 고체입상재료의 체적 비율인 $\phi$가 증가할수록 흐름성과 간극비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i$는
W/B에 반비례하고 SS/B에 비례하므로, 이를 고려한 배합설계를 하여 간극비와 흐름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간극비는 W/B와
SS/B와 같은 고체입상재료만 고려하기 때문에 증점제와 같은 혼화제에 의한 유동성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흐름성의 분석을 통해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 4는 모르타르 흐름 시험의 전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4.2 3D 프린터로 출력된 실험체의 외관 특성
적층 외관 특성과 간극비 및 흐름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ME 방식 3D 프린터로 배합한 모르타르를 출력하였다. 출력모델은 50×50×50 mm
정육면체이며 압출 실린더가 적정 압력에 도달하기 위한 여유를 주기 위해 출력 기준 위치로부터 30 mm 떨어진 거리에 스커트 라인을 설정하였다. 시험
상의 편의를 위해 채움조건을 설정하지 않았으며 출력 중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셸(shell) 두께를 이중으로 출력하였다. 또한, 층간 부착을 저하하는
자유낙하에 의한 적층을 방지하기 위해 실제 노즐 두께보다 낮은 위치에서 출력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같은 조건으로 출력하였으나 가사시간을 고려해서 추가압력이
필요할 경우는 3D 프린터 자체의 e-step을 조절해서 출력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변경하였다.
Fig. 5. 3D printing mortar specimens
3D 프린팅 모르타르 배합의 흐름성 및 간극비에 따른 출력물 외관 특성의 차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흐름성과 간극비가 적은 배합일수록 표면조도가
더욱 거칠어지는 특성을 나타냈다. 표면조도가 거칠면 과도한 표면공극을 생성하여 층간 접착을 감소시키는 부착 저하 요인이 된다(Nerella et al.
2017, 2019; Lee et al. 2019)(9-11).
흐름성 1.8 이하이고, 간극비가 0.7 이하일 때 표면조도가 거칠게 출력되었으며 흐름성과 간극비가 큰 배합일수록 하부 적층의 폭이 크게 보임을 알
수 있다. 흐름성 2.0 이상이고, 간극비가 0.75 이상일 때 상층부와 하층부의 폭이 크게 차이 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높은 유동성으로 인하여
자중의 영향으로 균일한 폭을 유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한 실험체의 외관과 흐름성 및 간극비는 Fig. 5와 같다.
4.3 3D 프린터된 실험체의 균일성 및 정확성
3D 프린터로 출력한 실험체의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적층 두께 균일성 및 정확성과 간극비 및 흐름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적층 균일성은 X축과 Z축의
2종류 방향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고, 정확성은 이미지에서 획득한 모든 두께 데이터를 갖고서 산출하였다.
4.3.1 같은 적층 내의 균일성(X축 방향)
같은 적층 내 두께 데이터에 대한 균일성을 나타내는 X축 균일성은 0.79~0.89로 측정되었다. Fig. 6과 Fig.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흐름성과 간극비가 증가할수록 X축 균일성이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최댓값에 도달한 이후, 흐름성과 간극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흐름성이 0.61에서 1.89까지 증가할수록 X축 균일성이 비례 증가해 최댓값인 0.89를 나타내었고, 흐름성이 1.89를
초과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 7에 보인 바와 같이, 간극비 또한 0.61에서 0.70까지 증가하면서 X축 균일성이 비례 증가해 최댓값 0.89를 나타내었고 0.70을 초과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출된 X축 균일성의 최솟값은 0.79이다.
Fig. 6. Relations between X-axis uniformity and flowability
Fig. 7. Relations between X-axis uniformity and void ratio
Fig. 8. Relations between Z-axis uniformity and flowability
Fig. 9. Relations between Z-axis uniformity and void ratio
4.3.2 서로 다른 적층 간 균일성(Z축 방향)
서로 다른 적층의 두께 데이터에 대한 균일성을 나타내는 Z축 균일성은 0.75~0.83으로 측정되었다. Fig. 8과 Fig.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흐름성과 간극비가 증가할수록 Z축 균일성이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최댓값에 도달한 이후, 흐름성과 간극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X축 균일성의 경향과 같으며, Z축 균일성이 최댓값을 나타내는 흐름성과 간극비는 각각 1.89, 0.70으로 X축 균일성의 결과와
같다.
3D 프린팅 모르타르 출력물의 Z축 균일성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각 0.83, 0.75로 측정되어 상대적으로 X축 균일성보다 작았다. 이는 자중의
영향으로 상부 적층의 두께보다 하부 적층의 두께가 얇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3.3 목표 두께를 달성한 정확성
모든 적층의 두께 데이터를 갖고서 산정한 목표 두께를 달성한 정확성은 0.86~0.94로 측정되었으며, 정확성과 흐름성의 관계, 정확성과 간극비의
관계는 각각 Fig. 10과 Fig. 11에 나타내었다. 정확성은 흐름성과 간극비가 각각 1.89, 0.70인 배합에서 최댓값을 나타내며, 그 값은 최소 정확성을 보이는 배합과 비교하여 약
9.3 %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최대 균일성을 보여준 배합과 동일한 것이다. 한편, 3D 프린팅 모르타르 출력물의 정확성이 균일성보다
큰 값을 보이면서, 흐름성과 간극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이유는 목표 두께와 적층 두께 평균값의 차를 기준으로 정확성을 산정하였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Fig. 10. Relations between accuracy and flowability
Fig. 11. Relations between accuracy and void ratio
실험체의 균일성과 정확성을 분석한 결과, 그 성능이 최대인 모르타르 흐름성과 간극비가 존재하였다. 이를 통하여 ME 방식 3D 프린터의 출력 품질
평가를 위하여 균일성과 정확성을 정량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모르타르 흐름성과 간극비를 조절함으로써 출력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출력물 이미지의 적층 간 경계를 검사자가 직접 도시하여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Kim
et al. 2019)(4).
3. 결 론
이 연구에서는 3D 프린터로 출력된 모르타르 출력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모르타르의 흐름성과 간극비가 출력물 적층 두께의 균일성과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전 시험을 통해 설계한 3D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 모르타르 배합의 흐름성 범위는 0.61~3.12로 나타났으며 간극비 범위는 0.61~0.77로
나타났다. 흐름성 및 간극비에 따른 출력물 외관 특성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흐름성 1.8 이하이고, 간극비가 0.7 이하일 때 표면조도가 거칠게
출력되었으며 흐름성과 간극비가 큰 배합일수록 하부 적층의 폭이 크게 보임을 알 수 있다. 흐름성 2.0 이상이고, 간극비가 0.75 이상일 때 상층부와
하층부의 폭이 크게 차이 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유동성이 큰 모르타르는 적층된 상부의 자중으로 인하여 균일한 폭을 유지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2) 같은 적층 내 두께 데이터에 대한 균일성을 나타내는 X축 균일성과 서로 다른 적층의 두께 데이터에 대한 균일성을 나타내는 Z축 균일성은 각각
0.79~0.89, 0.75~0.83으로 측정되었다. 두 균일성 모두 흐름성과 간극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최댓값에 도달한 이후, 흐름성과
간극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X축 균일성보다 Z축 균일성이 작은 것은 자중의 영향으로 상부 적층의 두께보다 하부 적층의
두께가 얇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X축과 Z축 균일성이 최댓값을 나타내는 흐름성과 간극비는 같았으며 각각 1.89, 0.70이다.
3) 정확성은 0.86~0.94로 측정되었는데, 흐름성과 간극비가 증가할수록 정확성이 증가하다가 최댓값에 도달하였다. 최대 정확성보다 높은 흐름성과
간극비 범위에서는 흐름성과 간극비가 증가할수록 정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균일성의 경향과 같으며, 정확성의 최댓값이 나타나는 흐름성과
간극비는 각각 1.89, 0.70으로 균일성의 결과와 같다.
4) ME 방식 3D 프린팅 모르타르 출력물의 균일성 및 정확성을 측정한 결과, 배합에 따라 최적값을 나타내는 구간이 있음을 확인하여 평가를 위한
정량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화상처리 과정을 자동화하여 개선할 계획이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 도시건축연구사업 연구비지원(20 AUDP-B121595-05)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Chen M., Li L., Zheng Y., Zhao P., Lu L., Cheng X., 2018,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dmixtures Modified 3D Printing Sulphoaluminate Cementitious Material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89, pp. 601-611
Ding T., Xiao J., Qin F., Duan Z., 2020, Mechanical Behavior of 3D Printed Mortar
with Recycled Sand at Early Ag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48
Ghaffar S. H., Corker J., Fan M., 2018,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Its
Implementation in Construction as an Eco-innovative Solu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93, pp. 1-11
Kim B. H., Kim G. S., Jin S. M., Cho S. J., 2019,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Models for Vision-based Concrete Crack Detection According to Model
Typ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afety (In Korean), Vol. 34, No. 6, pp. 50-57
Kim Y. Y., Kong H. J., Victor C. L., 2003, Design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Suitable for Wet-Mixture Shotcreting, ACI Materials Journal, Vol. 100, No. 6, pp.
511-518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06, Methods of Testing Cements-Determination
of Strength (KS L ISO679),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7, Testing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 Cement Mortars (KS L 5105),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
Lee B. Y., Han B. C., Cho C. G., Kim Y. Y., 2012, Flexural Performance and Fiber Distribution
of an Extruded DFRCC Panel, Computers and Concrete, Vol. 10, No. 2, pp. 105-119
Lee H. J., Kim J. H. J., Moon J. H., Kim W. W., Seo E. A., 2019, Correlation between
Pore Characteristics and Tensile Bond Strength of Additive Manufactured Mortar Using
X-ray Computed Tomograph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26, pp. 712-720
Nerella V. N., Hempel S., Mechtcherine V., 2017, Micro- and Macroscopic Investigations
on the Interface between Layers of 3D-Printed Cementitious Elements,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Construction Materials and Systems (ICACMS
2017). Chennai, 3-8. 9.
Nerella V. N., Hempel S., Mechtcherine V., 2019, Effects of Layer-Interface Properties
on Mechanical Performance of Concrete Elements Produced by Extrusion-Based 3D-Printin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05, pp. 586-601
Ng P. L., Kwan A. K-H., Li L. G., 2016, Packing and Film Thickness Theories for the
Mix Design of High-performance Concrete,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SCIENCE A,
Vol. 17, No. 10, pp. 759-781
Sanjayan J. G., Nematollahi B., 2019, Chapter 1 -3D Concrete Printing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In Sanjayan, J. G., Nazari, A., Nematollahi, B. (Eds.) 3D Printing Technology.
Kidlington, UK; Butterworth-Heinemann, pp. 1-11
Seo J. S., Lee B. C., Kim Y. Y., 2019, The Effects of Void Ratio on Extrudability
and Buildability of Cement-based Composites Produced by 3D Print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Vol. 23, No.
7, pp. 104-112
Song H., Shin H. W., 2018, High Temperatur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Using EVA,
EVCL Redispersible Polymer Powder and Fly Ash,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In Korean), Vol. 6, No. 4, pp. 365-372
Sun X., Wang Q., Wang H., Chen L., 2020, Influence of Multi-walled Nanotubes on the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of a 3D Printing PVA Mortar Ink,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47
Tay Y. W. D., Qian Y., Tan M. J., 2019, Printability Region for 3D Concrete Printing
Using Slump and Slump Flow Test,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Vol. 174
Yuan Q., Li Z., Zhou D., Huang T., Huang G., Jiao D., Shi C., 2019, A Feasible Method
for Measuring the Buildability of fresh 3D Printing Morta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