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Rep. of Korea)
  2. 석재복합건설신소재연구소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Institute for 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Rep. of Korea )
  3. 강원종합기술연구원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Kangwon Institute of Inclusive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Rep. of Korea )
  4. (주)한국건설품질시험연구원 연구원 (Researcher, Korea Construction Quality Testing Institute, Anseong 17555, Rep. of Korea )



습식 숏크리트, 역학적 특성, 내구성, 자연 섬유, 광물성 혼화재
wet-mix shotcrete, physical property, durability, natural fiber, mineral admixture

1. 서 론

스케이트보드는 전 세계 청소년과 일반 동호인들에게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액션 스포츠로서 대한민국 최초의 공공 스케이트 파크가 시공된 곳은 고양시의 호수공원으로, 1999년도에 개최되었던 스케이트보드 경기는 여러 기물이나 난간을 놓고 화려한 기술을 펼쳐 충분한 볼거리를 제공하였다. 스케이트보드는 올림픽의 미래와 흥행, 젊은 세대의 동기 부여를 노리는 국제올림픽 위원회(IOC)의 ‘아젠다 2020’에 따라 처음으로 2020 도쿄 올림픽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2018년 자카르다・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20 도쿄 올림픽을 시작으로 2024년 파리 올림픽과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도 지속적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스케이트 파크는 Fig. 1과 같이 보울(bowl), 스트리트 파크(street park), 버트(vert), 그리고 메가 램프(mega ramp)로 구분되어지며, 플로우(하이브리드) 파크(flow(hybrid) park)는 보울과 스트리트 파크 스타일을 복합적으로 결합시켜 만든 형태이다(KSBA 2016)(17). 전 세계적으로 사용 중인 생활 체육 시설은 보울과 스트리트 파크, 그리고 플로우(하이브리드) 파크 형태가 보편화되어 있다.

국내 스케이트 파크는 대부분이 스트리트 파크 형태로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울, 단양, 동탄, 안산, 춘천, 의령, 김해 등 10곳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설은 철골, 목재, 압축 종이 등으로 시공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경기장 설치 후 단기간 내에 쉽게 파손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그 형상도 2차원의 단조로운 구성으로 국제 대회 경기장으로서는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현저하게 부족한 상황이다.

스케이트 파크는 현재까지 규정된 국제규격은 없으나 많은 국제 대회에서 사용되는 경기장은 콘크리트 일체 구조물로서 보울과 스트리트 파크가 결합된 형태의 플로우 파크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곡선 및 직선 등 다양한 구조형상이 3차원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비정형화된 단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Fig. 1. Type of skate park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png

일반적인 콘크리트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써 그 단면의 형상이 일률적인 구조물 시공에 가능하지만, 숏크리트 공법은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를 뿜어 붙이는 시공방법으로서 단면과 형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구조물에 시공이 가능하다. 스케이트 파크는 무수히 많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연속적으로 단면의 형상이 변화하므로 일반적인 콘크리트로는 타설이 불가능하며, 숏크리트 공법을 적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현재 북미 및 호주 등에서는 숏크리트 공법을 이용하여 스케이트 파크를 시공하고 있다.

스케이트 파크는 단면의 두께가 약 150~300 mm 내외이며, 스케이트보드의 바퀴직경은 52 mm 내외, 스케이트보드의 최고 속도는 32 km/hr 정도로, 일반적으로 몸무게 70 kg 정도를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스케이트보드는 작은 바퀴로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리기 때문에 재료의 마모저항성이 우수해야 하며, 넓은 면적이 대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시공 중과 준공 이후에도 소성수축과 건조수축 등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축에 대한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숏크리트 재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케이트 파크용 습식 숏크리트 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자연섬유와 광물성 혼화재를 혼입하여 이에 따른 숏크리트의 수축저항성 및 마모저항성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개요

스케이트 파크용 습식 숏크리트 개발을 위하여 숏크리트 합성입도를 고려하였으며, 자연섬유와 광물성 혼화재를 혼입한 습식 숏크리트의 숏팅 전 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으로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소성수축균열, 마모저항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2.2 실험재료

2.2.1 시멘트

시멘트는 국내 S사에서 생산・판매하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서 분말도는 3,800 cm2/g, 비중은 3.15 g/cm3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2.2.2 골재

잔골재는 천연강모래를, 굵은 골재는 최대치수 10 mm인 쇄석골재를 사용하였다. Table 1Fig. 2는 골재의 물리적인 특성과 숏크리트 합성입도에 따라 잔골재율을 70 %로 혼합한 골재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aggregates

Type

Gmax

(mm)

Density

(g/cm3)

Absorption

(%)

F.M.

Fine aggregate

-

2.62

0.61

2.82

Coarse aggregate

10

2.69

1.95

5.88

Fig. 2. Combined aggregate grading for shotcrete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2.png

2.2.3 자연섬유(NF)

자연섬유는 국내 S사에서 생산・판매하는 제품으로서 양마섬유 계열을 사용하였다. 양마섬유는 황마섬유에 비해 감촉과 빛깔이 뛰어나고, 우수한 역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보강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섬유는 숏크리트 배합 시 물을 흡수한 후 펌핑 중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흡수한 물을 배출함으로써 펌핑성을 향상시키며, 숏팅 후 타설면에서 다시 물을 흡수하여 부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경화되는 콘크리트에 물을 다시 배출함으로써 내부양생 효과로 인하여 소성수축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on et al. 2000, 2007)(18,19). 본 연구에서는 숏팅 후 마감성 확보를 위하여 5 mm의 자연섬유를 선택하였다.

Fig. 3은 숏크리트에서 자연섬유의 효과를, Table 2는 자연섬유의 물리적인 특성을, Fig. 4는 자연섬유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SEM 촬영을 보면 자연섬유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오히려 세로 방향으로 용마루 형태를 나타내므로, 숏크리트 내부에서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 3. Effect of natural fiber on shotcrete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3.png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 fiber

Type

Content

Lengh (mm)

5

Absorption (%)

6.0

Density (g/cm3)

1.34

Tensile strength (MPa)

400

Melting point (°C)

230

Fig. 4. Shape of natural fiber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4.png

2.2.4 광물성 혼화재

광물성 혼화재는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 CS), 실리카퓸(silica fume, SF), 플라이애시(flyash, FA), 그리고 고로슬래그 미분말(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S)을 사용하였다.

콜로이달 실리카는 국내 Y사에서 생산・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콜로이달 실리카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성능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성능과 내구성 측면에서 실라카 퓸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성능보다 우수함이 나타났다(Bergna et al. 2006; Ezgi Yurdakul et al. 2015)(3,4). 콜로이달 실리카 입자는 실리카퓸 입자보다 큰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수밀성 증가 및 포졸란 반응 촉진으로 인하여 초기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분말 형태의 실라카 퓸에 비하여 액상형의 콜로이달 실리카가 재료의 생산 및 품질관리 면에서 더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다(Han et al. 2017a, 2017b, 2019a, 2019b)(5-8). Table 3은 콜로이달 실리카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실리카퓸,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각각 KS F 2567(KATS 2019)(15), KS L 5405(KATS 2016a)(9) 그리고 KS F 2563(KATS 2020)(16)에 준하여 사용하였으며, 플라이애시는 2종을,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3종으로 선택하였다. 각각의 물리적은 특성은 Table 4와 같다.

Table 3.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lloidal silica

Average particle diameter

(nm)

pH

Density

(g/cm3)

Viscosity

(cps)

Na2O

(%)

SiO2

(%)

10~20

10.0

1.28

50

0.6

40

Table 4. Physical properties of mineral admixtures

Content

Type

Fineness

(cm2/g)

Density

(g/cm3)

Company

SF

220,000

2.22

J

FA

3,307

2.25

A

GS

3,978

3.04

A

2.2.5 혼화제

혼화제는 습식 숏크리트의 목표 슬럼프 및 공기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수제 대비 AE제가 0.15 % 혼입된 고성능 AE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2.3 배합설계

스케이트 파크용 습식 숏크리트는 일반적인 고성능 숏크리트 배합을 기준으로 설계하였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10 mm로서 공기량은 6.0±1.5 %, 슬럼프는 130±20 mm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실리카퓸은 고성능 숏크리트에 주로 사용되나 배합수 흡수에 의한 초기 수축에 단점이 있으므로 콜로이달 실리카를 대안으로 선택하였으며, 수축 저감을 위하여 자연섬유를 혼입하였다. 또한, 경제성 확보를 위하여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대체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자연섬유와 광물성 혼화재의 혼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Table 5와 같이 구분하였다.

Table 5. Mixture design for wet-mix shotcrete used natural fiber and mineral admixtures

W/B

(%)

S/a

(%)

Unit weight (kg/m3)

W

C

CS

SF

FA

GS

S

G

AE

NF

OPC

40

70

184

460

1,119

492

4.6

-

OPC-NF

184

460

1,119

492

4.6

1.0

CS3-NF

158

446

35

1,163

512

8.3

SF7-NF

184

428

32

1,111

489

7.4

FA20-NF

184

368

92

1,097

483

5.1

FA10GS10-NF

184

368

46

46

1,107

487

5.5

FA20GS10-NF

184

322

92

46

1,096

482

4.8

FA20GS20-NF

184

276

92

92

1,095

482

4.6

FA20GS30-NF

184

230

92

138

1,094

482

4.8

FA30GS10-NF

184

276

138

46

1,086

478

4.8

2.4 시험방법

2.4.1 공기량 및 슬럼프 시험방법

공기량은 KS F 2421(KATS 2016b)(10)에 준하여, 슬럼프는 KS F 2402(KATS 2017a)(12)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2.4.2 압축강도 및 휨강도 시험방법

압축강도는 KS F 2405(KATS 2017b)(13)에 준하여 수행하였으며, $\phi$100×200 mm의 원주형 공시체를 적용하였다. 휨강도는 KS F 2408(KATS 2016c)(11)에 준하여 수행하였으며, 100×100× 400 mm의 각주형 공시체를 적용하였다.

2.4.3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방법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KS F 2711(KATS 2017c)(14)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phi$100×200 mm의 원주형 공시체를 50 mm 두께로 절단하여 시험 셀에 고정시키고 회로를 구성한다. 전원공급장치를 통하여 60±0.1 V의 직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전해질 용액(NaOH, NaCL)이 새지 않도록 방수제로서 고무제품을 사용하여 전극용기와 공시체 사이를 고정시켜 적용하였다.

Table 6은 통과전하량에 따른 염소이온 침투성 평가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통과전하량이 낮을수록 염소이온 침투성은 낮아지며,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높게 판정한다.

Table 6. Chloride ion penetrability by charge passed

Charge passed (coulombs)

Chloride ion penetrability

>4,000

High

2,000~4,000

Normal

1,000~2,000

Low

100~1,000

Very low

<100

Negligible

2.4.4 소성수축균열 시험방법

소성수축균열은 ASTM C 1579(2013)(1)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소성수축균열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증발, 침전 및 초기 자기 수축이 소성수축균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1) 시편 제작

시편은 길이 560±15 mm, 폭 355±15 mm, 두께 100±5 m로 제작하였다. 형틀 내부 좌우에는 각각 32±1 mm의 구속 장치를 만들고, 중앙에는 64±2 mm의 균열 유도 장치를 배치하여 시편의 중앙에서 소성수축균열이 발생하도록 유도하였다. Fig. 5는 소성수축균열 시편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2) 시험방비

시험장비는 시험 시작 후 36±3 °C로 온도 유지가 가능하며, 상대습도가 30 % 이상으로 올라가면 제습기를 가동하여 30±10 %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초기값을 설정하였다.

또한, 증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4.7 m/s 이상의 풍속을 낼 수 있는 팬을 설치하였으며, 이와 같은 조건에서 24시간 소성수축균열 시험을 수행 후 시험편에 발생된 균열 폭을 측정하였다. Fig. 6은 소성수축균열 시험에 사용된 장비를 나타낸 것이다.

3) 균열 측정 장비

소성수축균열 시험 종료 후 시편에 발생된 균열 폭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본 F사의 이미지 균열 측정 장비를 사용하였다. 측정 장비는 140만 화소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으며, 0.01 mm 단위로 최대 2.0 mm까지의 균열 폭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장비는 이미지 촬영장비와 프로그램으로 구분된다. 먼저 카메라를 이용하여 균열이 발생된 부위의 이미지를 촬영하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하여 프로그램에서 8×8 mm 단위 크기의 범위 안에서 균열 폭을 모두 확인하여 히스토리그램에 저장한다. 히스토리그램에서 최고치와 최소치의 균열 폭으로부터 각각 5 %를 제외한 값을 가지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나타낸다. 또한 측정자가 원하는 최고치 폭에 대한 계산도 가능하다. Fig. 7은 균열 폭 측정 장비와 측정 후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Fig. 5. Form of plastic shrinkage cracking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5.png

Fig. 6. Plastic shrinkage cracking test machine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6.png

Fig. 7. Cracking width measurement machine and measured data image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7.png

2.4.5 마모저항성 시험방법

마모저항성은 ASTM C 779(2019)(2) Procedure B - Dressing Wheels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Fig. 8은 3중 마모휠 시험장비와 시험 후의 시편을 타나낸 것이다.

Fig. 8. Dressing wheel abrasion test machine and specimen after testing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8.png

ASTM C 779(2019)(2) B(3중 마모휠 방법)는 Dressing wheel method로서 Rotate cutter형에 속하며, 총 30분간 마모가 진행된 시편의 마모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마모저항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교통량과 체인설치 타이어 및 스터드 타이어 등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고 포괄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시험방법이다.

시험방법은 $\phi$300×150 mm의 원주형으로 제작한 시편에 7.5 kg의 하중을 받는 세 개의 마모휠이 56 rpm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15분간 시편을 마모시킨다. 이후 브러쉬 또는 에어건을 이용하여 탈리된 미분을 제거한 후 다시 15분간 시편을 마모시킨다. 총 30분간 마모 시험이 진행된 후 시편의 마모 깊이를 측정하여 마모저항성을 평가한다. 마모 깊이는 0.01 mm까지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다(Yun et al. 2018)(20).

3. 시험결과 및 고찰

스케이트 파크용 습식 숏크리트 개발을 위하여 자연섬유와 광물성 혼화재를 혼입한 습식 숏크리트의 숏팅 전 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으로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소성수축균열, 마모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3.1 공기량 및 슬럼프 시험 결과

배합변수에 따라 측정된 공기량 및 슬럼프 시험 결과는 Fig. 9와 같으며, 모든 배합에서 목표 슬럼프와 목표 공기량을 만족하였다.

Fig. 9. Result of air content and slump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9.png

Fig. 10.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0.png

Fig. 11.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ratio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1.png

숏크리트는 작업성으로 펌핌성과 붙임성 확보를 위하여 공기량은 6.0±1.5 %, 슬럼프는 130±20 mm를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배합변수에 따라 고성능 AE 감수제를 Table 5와 같이 혼입하였다.

공기량의 경우 혼화재의 혼입에 따른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슬럼프의 경우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콜로이달 실리카와 실리카퓸을 혼입한 변수에서 목표 슬럼프를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다량의 고성능 AE 감수제를 혼입하였다. 다른 혼화재에 비해 높은 분말도를 갖는 콜로이달 실키라와 실리카퓸을 혼입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점성이 증가된 영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3.2 압축강도 시험 결과

배합변수에 따라 측정된 압축강도 시험결과는 Fig. 10과 같다. 재령 3일, 7일, 28일 그리고 56일에 측정한 압축강도와 변수별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를 OPC 기준으로 상대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모든 변수에서 고성능 숏크리트 배합기준인 재령 28일의 압축강도 35.0 MPa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령 28일을 기준으로 CS3-NF가 60.6 MPa로 가장 크게, FA30GS10-NF가 46.5 MPa로 가장 작게 측정되었다. OPC의 압축강도와 비교하여 CS3-NF, SF7-NF, FA20-NF, FA10GS10- NF, FA20GS20-NF, 그리고 FA20GS30-NF의 압축강도는 약 103 %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OPC-NF, FA20GS10, 그리고 FA30GS10-NF는 약 100 % 수준 이하로 감소하였다.

자연섬유의 혼입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보다는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량에 따라 압축강도가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1은 배합변수에 따라 재령 3일, 7일, 28일 그리고 56일의 압축강도 비율로, 재령 28일 OPC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대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재령 3일에는 OPC를 기준으로 OPC-NF, CS3-NF, SF7-NF, 그리고 FA10GS10-NF가 크게 측정되었으며, 재령 7일에도 동일한 경향이 발생되었다. 재령 28일에는 FA20GS10-NF와 FA30GS10-NF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OPC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재령 56일에는 FA30GS10-NF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OPC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재령 7일과 28일 사이에서 FA20-NF, FA20GS20-NF, 그리고 FA20GS30-NF는 상대적으로 압축강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량에 따른 광물성 혼화재의 활성도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3.3 휨강도 시험 결과

배합변수에 따라 측정된 휨강도 시험결과는 Fig. 12와 같다. 재령 28일과 56일에 측정한 휨강도와 변수별 재령 28일의 휨강도를 OPC 기준으로 상대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모든 배합에서 재령 28일의 목표 휨강도 4.5 MPa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령 28일을 기준으로 FA20-NF가 9.2 MPa로 가장 크게, FA30GS10-NF가 7.0 MPa로 가장 작게 측정되었다. OPC 휨강도와 비교하여 OPC-NF, CS3-NF, SF7-NF, FA20-NF, FA20 GS10-NF, FA20GS20-NF, 그리고 FA20GS30-NF의 휨강도는 약 102 %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FA10GS10-NF, FA30 GS10-NF는 약 98 % 수준 이하로 감소하였다.

Fig. 12. Result of flexural strength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2.png

자연섬유의 혼입에 따른 영향은 OPC와 OPC-NF를 통하여 알 수 있으나 약 5 % 정도로 그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자연섬유는 강섬유와 달리 콘크리트의 휨강도 및 휨인성 증진에는 영향을 크게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광물성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량에 따라 휨강도의 변화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4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시험 결과

배합변수에 따라 측정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결과는 Fig. 13과 같다. 재령 28일과 56일에 측정한 통과전하량과 변수별 재령 28일의 통과전하량을 OPC 기준으로 상대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재령 28일의 통과전하량을 기준으로 염소이온 침투성이 OPC-NF는 ‘높음’으로 나타났으며, OPC, CS3-NF, FA20-NF, 그리고 FA10GA10-NF은 ‘보통’으로, 다른 5개의 변수 SF7-NF, FA20GS10-NF, FA20GS20-NF, FA20GS30-NF, FS30GS10-NF는 ‘낮음’으로 나타났다.

OPC 통과전하량과 비교하여 OPC-NF와 CS3-NF는 각각 122 %와 104 % 수준으로 통과전하량이 증가하여 염소이온 침투성이 증가하므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다른 변수는 최소 66 % 수준에서 최대 29 % 수준으로 통과전하량이 감소하여 염소이온 침투성이 감소하므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3. Result of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3.png

일반적으로 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통과전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해질이 끓는 경우가 생기며, 시험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유사하게 OPC에 자연섬유를 혼입한 경우에도 자연섬유가 염소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줘서, 통과전하량이 증가하여 기준 변수 OPC에 비하여 OPC-NF의 염소이온 침투성이 증가하므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S3-NF의 경우에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3 % 혼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과전하량이 증가하여 염소이온 침투성이 증가하므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혼입량에 비하여 자연섬유의 혼입량이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더욱 다양한 시험을 통하여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혼화재 혼입에 따른 영향으로 2성분계는 SF7-NF가 염소이온 침투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CS3-NF를 제외하면 FA20-NF가 염소이온 침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성분계는 FA20GS30-NF가 염소이온 침투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FA10GS10-NF가 염소이온 침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라이애시의 경우에는 혼입량이 10 %에서 30 %로 증가할수록 염소이온 침투성이 낮아지므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FA20-NF와 비교 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의 혼입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말도 등의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플라이애시 20 %를 기준으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이 10 %에서 30 %로 증가할수록 염소이온 침투성이 낮아지므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5 소성수축균열 시험 결과

배합변수에 따라 측정된 소성수축균열 시험결과는 Table 7Fig. 14와 같다.

Table 7은 소성수축에 의하여 발생된 균열 폭을 나타낸 것으로, 상위 5 %, 상위 10 %, 상위 40 %에 해당하는 균열 폭을, 그리고 상위 5 %와 하위 5 % 제외한 평균 균열 폭을 나타낸 것이다.

OPC는 소성수축에 의하여 발생한 상위 5 %, 상위 10 %, 상위 40 %, 그리고 상・하위 각각 5 %를 제외한 평균 균열 폭이 0.50 mm, 0.46 mm, 0.32 mm, 0.29 mm로 모든 경우에서 가장 크게 측정되었으며, OPC-NF는 각각 0.46 mm, 0.40 mm, 0.25 mm, 0.23 mm으로, FA20GS20-NF은 0.19 mm, 0.17 mm, 0.12 mm, 0.11 mm로 모든 경우에서 가장 작게 측정되었다. FA20GS20-NF은 상위 5 %의 경우에도 0.19 mm로 OPC에 비하여 37 % 수준이며, OPC-NF에 비하여도 41 % 수준에 해당된다. 또한, 상・하위 5 %를 제외한 평균 균열 폭도 0.11 mm로 OPC의 37 % 수준이며, OPC-NF의 47 % 수준에 해당된다.

Fig. 14는 소성수축에 의하여 발생된 균열 폭 중 상・하위 각각 5 %를 제외한 평균 균열 폭과 변수별 균열 폭을 OPC 기준으로 상대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평균 균열 폭을 기준으로 OPC의 균열 폭이 0.29 mm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OPC-NF는 0.23 mm로 나타났고 FA20GS20-NF은 0.11 mm로 가장 작에 나타났다.

자연섬유 혼입에 따라 소성수축으로 발생된 평균 균열 폭의 감소 효과는 OPC와 비교하여 OPC-NF는 약 80 %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OPC에 비하여 모든 시편에서 자연섬유를 혼입함에 따라 소성수축으로 발생된 균열 폭이 최소 89 %에서 최대 37 %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물성 혼화재의 혼입에 따른 영향 또한 반영된 것이며, 본 실험에서는 별도의 양생제 살포 없이 자연섬유와 광물성 혼화재의 영향을 평가하였으나, 양생제 살포와 함께 진행된다면 소성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을 확연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Table 7. Result of crack width

Crack width (mm)

5 %

10 %

40 %

Ave.

OPC

0.50

0.46

0.32

0.29

OPC-NF

0.46

0.40

0.25

0.23

CS3-NF

0.41

0.38

0.28

0.25

SF7-NF

0.36

0.34

0.23

0.22

FA20-NF

0.46

0.40

0.25

0.23

FA10GS10-NF

0.34

0.30

0.22

0.21

FA20GS10-NF

0.45

0.42

0.28

0.26

FA20GS20-NF

0.19

0.17

0.12

0.11

FA20GS30-NF

0.50

0.45

0.28

0.26

FA30GS10-NF

0.41

0.37

0.25

0.23

Fig. 14. Result of average crack width and relative crack width ratio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4.png

혼화재 혼입에 따라 소성수축으로 발생된 균열 폭의 감소 효과는 2성분계의 경우에는 85 %에서 75 % 수준으로 OPC- NF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3성분계의 경우에도 FA 20GS20-NF를 제외하고는 소성수축에 의한 균열 폭의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오히려 2성분계 중 CS3- NF, 3성분계 중 FA20GS10-NF와 FA20GS30-NF는 OPC-NF에 비하여 평균 균열 폭이 증가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Fig. 15는 소성수축으로 발생된 균열 폭에 대하여 상위 5 %, 10 %, 40 %, 그리고 상・하위 각각 5 %를 제외한 평균 균열 폭을 각각의 OPC를 기준으로 상대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Fig. 15. Result of relative crack width ratio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5.png

각각 OPC에 발생한 균열 폭과 비교하여 OPC-NF, FA20- NF, 그리고 FA20GS30-NF는 균열 폭의 크기에 따라 감소율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다른 변수에서는 그 차이가 크지 않다. OPC-NF의 경우 상위 5 %에 해당하는 균열 폭에 있어서는 약 92 %의 수준으로, 상위 10 %는 약 87 %의 수준으로, 상위 40 %에서는 약 77 %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는 약 80 %의 수준으로 균열 폭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균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FA20-NF와 FA20GS30-NF의 경우에도 OPC-NF와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 변수에서는 균열 폭의 크기에 상관없이 유사한 균열 폭 감소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3.6 마모저항성 시험 결과

배합변수에 따라 측정된 마모저항성 시험결과는 Fig. 16과 같다. 평균 마모 깊이와 변수별 마모 깊이를 OPC 기준으로 상대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한국도로공사는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마모저항성 기준을 ASTM C 779(2019)(2) Procedure B 시험방법에 준하여 마모 깊이 2.0 mm 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며, 모든 변수에서 기준을 만족하므로 마모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OPC는 0.51 mm로 최대 마모 깊이를 나타냈으며, SF7-NF가 0.14 mm로 최소 마모 깊이를 보여주고 있다.

자연섬유의 혼입에 따른 마모저항성은 OPC의 마모 깊이와 비교하여 OPC-NF의 마모 깊이가 약 63 % 수준으로 감소되어 마모저항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OPC에 비하여 모든 시편에서 마모 깊이가 최소 73 %에서 최대 27 % 수준으로 감소하여 마모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물성 혼화재의 혼입에 따른 영향 또한 반영된 것이다.

혼화재의 혼입에 따른 마모 깊이는 평균 약 53 % 정도의 수준으로 감소되어 마모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2성분계는 SF7-NF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3성분계는 FA20GS 30-NF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라이애시의 경우에는 혼입량이 10 %에서 30 %로 증가할수록 마모 깊이가 증가되어 마모저항성이 감소하지만, 플라이애시 20 %를 기준으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혼입량이 10 %에서 30 %로 증가할수록 마모 깊이가 저감되어 마모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6. Result of abrasion resistance

../../Resources/kci/JKCI.2021.33.2.145/fig16.png

4. 결 론

스케이트 파크용 습식 숏크리트 개발을 위하여 자연섬유와 광물성 혼화재를 혼입한 습식 숏크리트의 숏팅 전 역학적 특성과 내구성으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소성수축균열, 마모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모든 변수에서 목표 공기량 6.0±1.5 %와 목표 슬럼프 130±20 mm를 만족하므로 숏크리트의 작업성으로서 펌핑성과 붙임성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압축강도는 모든 변수에서 고강도 숏크리트의 기준인 35.0 MPa 이상을, 휨강도는 목표 휨강도 4.5 MPa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섬유의 혼입에 따른 영향보다는 광물성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량에 따른 영향이 더 크게 작용된 것을 알 수 있다.

3)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은 변수에 따라 높음부터 낮음의 수준으로 각각 다르게 측정되었다. 자연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광물성 혼화재의 추가적인 혼입이 요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3성분계인 FA20GS30-NF가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소성수축으로 발생된 균열은 상・하위 각각 5 %를 제외한 평균 균열 폭을 기준으로 최대 0.29 mm 이하로 측정되었다. 자연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소성수축에 의한 균열 폭은 약 80 %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3성분계인 FA20GS20-NF가 소성수축에 의한 균열 폭 감소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마모 깊이는 모든 변수에서 한국도로공사 기준을 만족하므로 마모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섬유를 혼입함으로써 마모 깊이는 약 63 %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성분계인 SF7-NF가 마모저항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스케이트 파크용 습식 숏크리트의 숏팅 전 역학적 특성과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소성수축균열, 마모저항성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OPC, OPC-NF, CS3-NF, SF7-NF, FA20GS10-NF, 그리고 FA20GS20-NF를 최종배합으로 도출하였으며, 추후 현장 적용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제번호: 20POQW-B152671-02) 및 2015년도 강원대학교 대학회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STM C1579-13 , 2013, Standard Test Method for Evaluating Plastic Shrinkage Cracking of Restrained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a Steel Form Insert),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2 
ASTM C779 / C779M-19 , 2019, Standard Test Method for Abrasion Resistance of Horizontal Concrete Surfaces,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Google Search
3 
Bergna H. E., Roberts W. O., 2006, Colloidal Silica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Taylor and Francis Group,LLC. Boca Raton, US.Google Search
4 
Ezgi Yurdakul Rieder K.-A., Vicencio B., Staforelli G., Granell D., 2015, A Case Study on the Impact of Pozzolanic-Based Rheology Control Agent on Wet-Mix Shotcrete Performance in Underground Applications, Proceeding in Shotcrete for Underground Support. XII Singapore Metro Consulting Eds, ECI Symposium SeriesGoogle Search
5 
Han S. Y., Yun K. K., Yoon H. J., 2019a, Analysis for Pumpability of HIgh-Performance Shotcrete with Mixing Ration of Colloidal Silicat, KCI 2019 Spring Conference. 8-10 May 2019. Je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 Vol. 31, No. 1, pp. 569-570Google Search
6 
Han S. Y., Yun K. K., Yoon H. J., 2019b, Analysis for Pumpability of High-Performance Shotcrete with Particle Size of Colloidal Silica, KCI 2019 Spring Conference. 8-10 May 2019. Je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In Korean), Vol. 31, No. 1, pp. 571-572Google Search
7 
Han S. Y., Yun K. K., Park K. T., Lee K. R., 2017a, Effect of Solid Fraction of Colloidal Silica on the Abrasion Resistance of Concrete, KCI 2017 Fall Conference. 10-12 May 2017. Je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In Korean), Vol. 29, No. 2, pp. 671-672Google Search
8 
Han S. Y., Yun K. K., Park K. T., Lee K. R., 2017b, Initial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Solid Content of Colloidal Silica, KCI 2017 Fall Conference. 10-12 May 2017. Jeju,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fean), Vol. 29, No. 2, pp. 669-670Google Search
9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6a, Fly Ash (KS L 5405),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0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6b, Standard Test Method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the Pressure Method (Air Receiver Method)(KS F 2421),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1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6c,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8),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2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7a, Standard Test Method for Concrete Slump (KS F 2402),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3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7b,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4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7c, Standard Test Method for Resistance of Concret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by Electrical Conductance (KS F 2711),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5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19, Silica Fume for Use in Concrete (KS F 2567),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6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 2020, Ground Granulated Blast - Furnace Slag for Use in Concrete (KS F 2563), Seoul, Korea: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7 
KSBA , 2016, Type of Skatepark, https://www.koreaskateboard.or.kr/ Korea SkateBoard Association (KSBA) (in website)Google Search
18 
Won J. P., Park C. G., 2000, Effects of Specialty Cellulose Fibers on Improvement of Flesural Performance and Control of Cracking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In Korean), Vol. 12, No. 2, pp. 89-98Google Search
19 
Won J. P., Park C. G., Kim H. H., Lee S. W., 2007, Effect of Recycled PET Fiber Geometry and Length on the Plastic Shrinkage Cracking of Cement Based Composit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In Korean), Vol. 19, No. 2, pp. 233-239DOI
20 
Yun K. K., Son Y. C., Lee K. R., Han S. Y., 2018, Analysis of Abrasion Resistance of Concrete Mixing Silica Fume and Polymer Powder Using Dressing Wheel Abrasion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20, No. 6, pp. 1-9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