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주)선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토목구조부 대리 (Assistant Manager, Structural Engineering Department, SUNJIN Engineering & Architecture Co., Ltd., Anyang 14057, Rep. of Korea)
  2.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Rep. of Korea)



700 MPa급 고강도 철근, 직선 철근 정착길이, 부착강도, 설계기준
Grade 700 MPa high strength steel, straight bar development length, bond strength, design codes

1. 서 론

철근콘크리트는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함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철근이 인장력 또는 압축력에 저항하면서 항복할 때까지 정착파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이형철근의 표면과 마디로부터 콘크리트에 전달되는 힘은 점착력, 마찰력, 지압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에서 포아송 효과에 의해 점착력과 마찰력에 의한 저항성능은 빨리 상실되어, 대부분의 힘이 마디의 지압에 의해 주변 콘크리트로 전달된다. 철근의 묻힘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철근이 뽑히는 정착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근이 항복할 때까지 힘이 전달되도록 충분한 정착길이가 확보되어야 한다.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은 ACI 318-08(ACI 2008)을 준용하여 정착길이 계산식을 규정하고 있는데, ACI(2008)의 인장 이형철근에 대한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은 Orangun 등(Orangun et al. 1975, 1977)의 제안식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Orangun 등의 제안식은 1970년대 미국에서 주로 사용하던 보통 강도의 철근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여 개발된 것으로, 항복강도가 520 MPa을 초과하는 철근에 대하여는 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국의 원전설계기준인 ACI 349-13(ACI 2013)는 고강도 철근에 대해서는 ACI 318-08의 정착길이 계산식을 수정하여 적용하도록 규정하였으며, ACI 318-19(ACI 2019)에서도 고강도 철근에 대한 수정계수를 도입하였다.

한편 한국의 철근표준 KS D 3504는 2007년판(KATS 2007)부터 항복강도가 700 MPa인 고강도 철근을 표준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설계기준의 적용에 관한 연구 자료가 축적되지 않은 상황으로 한국의 설계기준에서는 항복강도가 600 MPa인 철근까지만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항복강도가 700 MPa 이상인 고강도 철근을 대상으로 정착성능 실험을 수행하여 설계기준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에 대한 설계기준

2.1 ACI 318-19

ACI 318-19(ACI 2019)에서는 인장 이형철근의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에 철근 강도계수 $\psi_{g}$가 추가되어 식 (1)과 같이 개정되었다. $\psi_{g}$는 Table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Gr. 80(항복강도 80 ksi, 550 MPa) 철근에 1.15, Gr. 100(690 MPa) 철근에 1.3을 적용하여 고강도 철근의 설계정착길이를 증가시킨다. Gr. 60(420 MPa) 이하 철근에는 1.0을 적용하여 개정 이전의 기준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난다. 철근배치 위치계수 $\psi_{t}$는 하부철근에 1.0, 상부철근에 1.3을 적용한다. 철근 크기계수 $\psi_{s}$는 지름 19 mm 이하 철근에 0.8, 지름 22 mm 이상 철근에 1.0을 적용한다. $\lambda$는 경량콘크리트계수, $\psi_{e}$는 철근 도막계수, $c_{b}$는 철근 중심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 최단거리 또는 철근의 중심간 거리의 1/2 중 작은 값이다. 횡방향철근지수 $K_{tr}$은 식 (2)와 같고, $A_{tr}$은 정착된 철근을 따라 쪼개질 가능성이 있는 면을 가로질러 배치된 간격 $s$ 이내에 있는 횡방향 철근의 전체 단면적, $s$는 정착길이 구간 내에 있는 횡방향 철근의 최대 중심간 간격, $n$은 쪼개질 가능성이 있는 평면을 따라 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수이다. 식 (1)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압축강도가 더 증가하더라도 정착성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sqrt{f_{c}'}$ 값은 8.3 MPa(100 psi)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또 철근의 뽑힘에 대한 안전을 고려하여 $\left(c_{b}+K_{tr}\right)/d_{b}$의 값은 2.5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Table 1 Reinforcement grade factor for development of deformed bars in tension(ACI 2019)

Factor

Condition

Value

$\psi_{g}$

Grade 40 (280 MPa) or Grade 60 (420 MPa)

1.0

Grade 80 (550 MPa)

1.15

Grade 100 (690 MPa)

1.3

Table 2 Coefficients for ultimate bond stress(CEN 2004,2005;KIBSE 2015)

Factor

Condition

Value

$\eta_{1}$

Good for bond

1.0

Other

0.7

$\eta_{2}$

$d_{b}\le 32$ mm

1.0

$d_{b}>32$ mm

$\left(132-d_{b}\right)/100$

(1)
$l_{d}=\left[\dfrac{f_{y}}{1.1\lambda\sqrt{f_{c}'}}\dfrac{\psi_{t}\psi_{e}\psi_{s}\psi_{g}}{\left(\dfrac{c_{b}+K_{tr}}{d_{b}}\right)}\right]d_{b}$
(2)
$K_{tr}=\dfrac{40A_{tr}}{sn}$

2.2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은 콘크리트구조기준(KCI 2012)와 동일하게 인장 이형철근의 설계정착길이를 식 (3)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식 (3)에서 $\alpha$, $\beta$, $\gamma$, $c$, $K_{tr}$은 ACI (2019)의 $\psi_{t}$, $\psi_{e}$, $\psi_{s}$, $c_{b}$, $K_{tr}$과 같다.

콘크리트구조기준(KCI 2012)과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은 SD600 철근 적용을 위한 연구결과(KCI 2010)에 따라 $f_{y}$가 550 MPa을 초과하는 철근에 대하여 횡방향철근을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c/d_{b}$가 2.5 이상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횡방향 철근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K_{tr}/d_{b}$가 0.25 이상이면서 $\left(c+K_{tr}\right)/d_{b}$가 2.25 이상이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은 ACI(2008)과는 다른 부분이다.

(3)
$l_{d}=\dfrac{0.90d_{b}f_{y}}{\lambda\sqrt{f_{ck}}}\dfrac{\alpha\beta\gamma}{\left(\dfrac{c+K_{tr}}{d_{b}}\right)}$

2.3 Eurocode 2

Eurocode 2(CEN 2004, 2005)는 인장철근과 압축철근의 구분 없이 식 (4)의 기본정착길이와 식 (5)의 설계정착길이를 규정하고 있다. 계수 $\alpha_{1}$, $\alpha_{2}$, $\alpha_{3}$, $\alpha_{4}$, $\alpha_{5}$는 직선으로 정착되거나 표준갈고리를 가진 인장철근 또는 압축철근의 구분에 따라 다른 값을 적용한다.

(4)
$l_{b,\: rqd}=\dfrac{d_{b}}{4}\dfrac{f_{sd}}{f_{bd}}$
(5)
$l_{bd}=\alpha_{1}\alpha_{2}\alpha_{3}\alpha_{4}\alpha_{5}l_{b,\: rqd}$

여기서, $f_{sd}$는 철근의 설계응력, $f_{bd}$는 이형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발생하는 극한부착응력이다. 극한부착응력은 식 (6)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eta_{1}$은 부착조건에 따른 계수이고 $\eta_{2}$는 철근 크기계수로 Table 2의 값을 적용한다. $f_{ctd}$는 콘크리트 설계인장강도로 식 (7)과 같다. 여기서 $\alpha_{ct}$는 장기거동과 인장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고려하는 계수이고, $\gamma_{c}$는 콘크리트에 대한 재료부분안전계수이며, $f_{ctd}$의 값은 $f_{ck}$가 60 MPa일 때의 값 이하로 제한한다. 국가별 기준에서 달리 규정하지 않는다면 $\alpha_{ct}$는 1.0, $\gamma_{c}$는 1.5를 적용한다. 식 (8)에 적용하는 콘크리트 평균인장강도 $f_{ctm}$은 $f_{ck}$가 50 MPa 이하인 경우는 식 (9), $f_{ck}$가 50 MPa을 초과하는 경우는 식 (11)로 평균압축강도 $f_{cm}$을 구하고 식 (10)에 따라 결정한다.

(6)
$f_{bd}=2.25\eta_{1}\eta_{2}f_{ctd}$
(7)
$f_{ctd}=\alpha_{ct}f_{ctk,\: 0.05}/\gamma_{c}$
(8)
$f_{ctk,\: 0.05}=0.7f_{ctm}$
(9)
$f_{ctm}=0.3f_{ck}^{2/3}$
(10)
$f_{ctm}=2.12\ln\left(1+\left(f_{cm}/10\right)\right)$
(11)
$f_{cm}=f_{ck}+8$
(12)
$\lambda =\left(\Sigma A_{st}-\Sigma A_{st,\: \min}\right)/A_{s}$

Table 3에 나타낸 계수 $\alpha_{1}$, $\alpha_{2}$, $\alpha_{3}$, $\alpha_{4}$, $\alpha_{5}$는 직선으로 정착되는 인장철근에 적용하는 값이다. $c_{d}$는 철근 표면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 최단거리 또는 철근 순간격의 절반 중 작은 값이다. $K$의 값은 Fig. 1과 같이 정착되는 철근과 횡방향철근의 배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lambda$는 식 (12)로 결정한다. $\Sigma A_{st}$는 설계정착길이 내의 횡철근의 단면적, $\Sigma A_{st,\: \min}$은 최소 횡철근의 단면적, $A_{s}$는 최대 지름을 가진 정착철근 한 개의 단면적, $p$는 설계정착길이 내의 극한상태에서의 횡방향 압력이다. $\Sigma A_{st,\: \min}$은 보의 경우 $0.25A_{s}$, 슬래브의 경우 0으로 규정하고 있다.

Table 3 Coefficients for design anchorage length of straight tensile bar(CEN 2004,2005;KIBSE 2015)

Influencing factor

Value

Shape of bars: straight

$\alpha_{1}=1.0$

Concrete cover$^{1)}$

$\alpha_{2}=1-0.15\left(c_{d}-d_{b}\right)/d_{b}$

($0.7\le\alpha_{2}\le 1.0$)

Confinement by transverse reinforcement not welded to main reinforcement$^{1)}$

$\alpha_{3}=1-K\lambda$

($0.7\le\alpha_{3}\le 1.0$)

Confinement by welded transverse reinforcement

$\alpha_{4}=0.7$

Confinement by transverse pressure$^{1)}$

$\alpha_{5}=1-0.04p$

($0.7\le\alpha_{5}\le 1.0$)

Note: 1)The product $\alpha_{2}\alpha_{3}\alpha_{5}$ shall not be less than 0.7
Fig. 1 Value of $K$ for beams and slabs(CEN 2004,2005;KIBSE 2015)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1.png

2.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KIBSE 2015)은 기본적으로 Eurocode 2(CEN 2004, 2005)를 준용하고 있으나, KCI(2021)에 규정된 갈고리 철근 상세도 허용하여 수정계수 $\alpha_{6}$를 도입하였다. 설계정착길이 $l_{bd}$는 식 (13)으로, 기본정착길이 $l_{b}$는 식 (14)로, 극한부착강도 $f_{bd}$는 식 (15)로 결정하며 콘크리트 재료계수 $\phi_{c}$는 0.65를 적용한다. $\alpha_{1}$부터 $\alpha_{5}$까지의 수정계수는 Eurocode 2와 동일하다. 인장 이형철근이 직선으로 정착되는 경우에 $\alpha_{6}$는 1.0을 적용한다. 식 (15)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기준인장강도 $f_{ctk}$는 식 (16)으로 결정하지만 $f_{ck}$가 50 MPa일 때의 값 이하로 제한한다. 콘크리트 평균인장강도 $f_{ctm}$은 식 (17)로 결정한다. 이때 콘크리트 평균압축강도 $f_{cm}$은 식 (18)로 결정하며, $\Delta f$는 $f_{ck}$가 40 MPa 이하일 때는 4 MPa, $f_{ck}$가 60 MPa 이상일 때는 6 MPa을 적용하고, 40 MPa과 60 MPa 사이는 직선보간하여 적용한다.

(13)
$l_{bd}=\alpha_{1}\alpha_{2}\alpha_{3}\alpha_{4}\alpha_{5}\alpha_{6}l_{b}$
(14)
$l_{b}=\left(d_{b}/4\right)\left(f_{sd}/f_{bd}\right)$
(15)
$f_{bd}=\phi_{c}2.25\eta_{1}\eta_{2}f_{ctk}$
(16)
$f_{ctk}=0.7f_{ctm}$
(17)
$f_{ctm}=0.3f_{cm}^{2/3}$
(18)
$f_{cm}=f_{ck}+\Delta f$

2.5 ACI 408-03

ACI Committee 408 정착이음위원회의 ACI 408-03(ACI 2003)은 식 (19)와 같이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alpha$는 철근 위치계수이고 $\beta$는 철근 도막계수로 ACI 318-19에 규정된 값과 같다. $\lambda$는 ACI 318-19에 규정된 경량콘크리트계수의 역수에 해당된다. $\phi$는 부착강도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로, ACI 318-19의 고정하중계수 1.2와 활하중계수 1.6 및 인장지배단면의 강도감소계수 0.9를 적용하는 경우 0.82를 적용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 외의 변수들은 식 (20)~식 (24)으로 결정한다.

(19)
$l_{d}=\left[\dfrac{\left(\dfrac{f_{y}}{\phi f_{c}'^{1/4}}-57.4\omega\right)\alpha\beta\lambda}{1.83\left(\dfrac{c\omega +K_{tr}}{d_{b}}\right)}\right]d_{b}$
(20)
$c=c_{\min}+0.5d_{b}$
(21)
$\omega =0.1\dfrac{c_{\max}}{c_{\min}}+0.9\le 1.25$
(22)
$K_{tr}=\left(6.26t_{r}t_{d}A_{tr}/sn\right)f_{c}'^{1/2}$
(23)
$t_{r}=9.6R_{r}+0.28\le 1.72$
(24)
$t_{d}=0.03d_{b}+0.22$

(19)에서 $f_{c}'^{1/4}$의 값은 $f_{c}'$이 110 MPa일 때의 값인3.2 MPa(11 ksi) 이하, $\left(c\omega +K_{tr}\right)/d_{b}$는 4.0 이하로 제한한다. 식 (20)과 식 (21)에서 $c_{\max}$와 $c_{\min}$은 $c_{b}$와 $c_{s}$ 중에서 각각 큰 값과 작은 값이다. 여기서, $c_{s}$는 $c_{so}$와 $c_{si}+6.4$ mm 중에서 작은 값이다. $c_{b}$, $c_{so}$, $c_{si}$는 각각 정착되는 철근에 대한 하부 피복두께, 측면 피복두께, 철근 순간격의 절반이다.

2.6 재료 강도에 따른 설계정착길이 계산식 비교

Fig. 2는 항복강도가 각각 300 MPa과 600 MPa인 D25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KIBSE 2015), ACI 408-03(ACI 2003)의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을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변수로 하여 나타낸 것으로, $c/d_{b}$가 2.5인 경우이며 횡방향 철근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다.

Fig. 2 Design development length by $f_{ck}$ ($c/d_{b}=2.5$ without transverse reinforcement)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2.png

Fig.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50 MPa 이하인 경우,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을 $f_{ck}$의 1/2제곱으로 표현하는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과 $f_{ck}$의 2/3제곱으로 표현하는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은 설계정착길이가 유사하다.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은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상한 값을 70 MPa,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은 50 MPa로 제한하여 콘크리트 강도가 더 증가하더라도 설계정착길이는 감소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강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하면 응력 단위의 부착강도는 증가하지만 정착길이 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진 분포로 나타나므로 정착성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ACI 408-03에 따른 설계정착길이는 콘크리트 강도의 제한 없이 $f_{ck}$의 1/4제곱으로 표현하여, Fig. 2(a)와 같이 철근 항복강도가 300 MPa인 경우에는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과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의 설계정착길이와 유사하다. 그러나 철근 항복강도가 600 MPa인 경우에는 Fig. 2(b)와 같이 ACI 408-03에 따른 설계정착길이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과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3. 정착성능 실험

항복강도 700 MPa급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장철근을 겹침이음한 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착길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은 인장철근이 겹침이음부에서 정착파괴 되도록 연구자가 선정한 길이로 철근을 겹침이음하여 보 실험체를 제작하고, 순수휨모멘트가 작용하는 상태로 하중을 가하는 과정으로 수행한다. 실험결과로 정착파괴가 발생하는 철근의 응력을 구하면, 그 응력을 철근의 항복응력으로 취급하고 실험체의 겹침이음길이를 그 항복응력에 해당하는 정착길이로 결정한다.

3.1 실험 변수

국내 제강사가 연구용으로 제공한 항복강도 689~778 MPa의 D19와 D25 이형철근과 국내 레미콘 업체에서 생산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총 38개의 보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의 상대 마디 면적비 $R_{r}$을 측정한 결과 0.082~0.100의 범위를 보였다. 실험체의 변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겹침이음길이, 철근지름, 횡구속철근 유무, 피복두께, 철근간격 등으로 Table 4Fig. 3에 나타내었다. 실험 수행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33~74 MPa이었으며, 실험체 명칭에서 ‘NSC’는 콘크리트 강도가 55 MPa 미만인 실험체이고 ‘HSC’는 55 MPa 이상인 실험체이다. 또 ‘NT’는 겹침이음 구간에 횡방향 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실험체이며 ‘CT’는 횡방향 철근이 배치된 실험체이다.

Table 4 Properties of test specimens

Specimens$^{1)}$

$f_{ck}$

(MPa)

$l_{d,\: test}$

(mm)

$d_{b}$

(mm)

$f_{y}$

(MPa)

$R_{r}$$^{2)}$

Span length

Cross section

Cover and bar spacing

Stirrups within splice

$l_{n}$

(mm)

$l_{p}$$^{3)}$

(mm)

$b$

(mm)

$h$

(mm)

$c_{so}$

(mm)

$c_{si}$

(mm)

$c_{b}$

(mm)

$A_{tr}$

(㎟)

$s$

(mm)

$N_{s}$$^{4)}$

NSC-NT1

34

850

19.1

778

0.085

5,050

2,050

300

500

33

79

34

-

-

-

NSC-NT2

34

1,050

19.1

778

0.085

5,250

2,250

300

500

27

85

39

-

-

-

NSC-NT3

34

1,250

19.1

778

0.085

5,450

2,450

300

500

32

80

35

-

-

-

NSC-NT4

46

1,000

25.4

706

0.095

5,000

2,000

300

500

42

57

43

-

-

-

NSC-NT5

46

1,150

25.4

706

0.095

5,200

2,200

300

500

44

55

38

-

-

-

NSC-NT6

46

1,300

25.4

706

0.095

5,400

2,400

300

500

43

56

43

-

-

-

NSC-NT7

33

45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47

65

47

-

-

-

NSC-NT8

33

55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45

67

53

-

-

-

NSC-CT1

46

620

19.1

778

0.085

4,800

1,800

300

500

40

72

40

143

300

3

NSC-CT2

46

620

19.1

778

0.085

4,800

1,800

300

500

40

72

40

143

200

4

NSC-CT3

46

620

19.1

778

0.085

4,800

1,800

300

500

40

72

40

143

100

7

NSC-CT4

37

740

25.4

706

0.095

4,800

1,800

300

500

40

59

40

143

300

3

NSC-CT5

37

740

25.4

706

0.095

4,800

1,800

300

500

40

59

40

143

200

4

NSC-CT6

37

740

25.4

706

0.095

4,800

1,800

300

500

40

59

40

143

100

8

NSC-CT7

37

450

19.1

711

0.098

4,800

1,400

300

500

35

77

40

143

90

5

NSC-CT8

37

500

19.1

711

0.098

4,800

1,400

300

500

33

79

40

143

100

5

NSC-CT9

37

550

19.1

711

0.098

4,800

1,400

300

500

33

79

40

143

110

5

NSC-CT10

37

58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37

75

40

143

290

2

NSC-CT11

51

65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40

72

40

143

325

2

NSC-CT12

37

72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35

77

40

143

360

2

NSC-CT13

33

40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35

77

40

143

200

2

NSC-CT14

33

40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38

74

40

143

135

3

NSC-CT15

33

40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37

75

40

143

100

4

NSC-CT16

33

50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37

75

40

143

250

2

HSC-NT1

74

35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43

69

41

-

-

-

HSC-NT2

74

350

19.1

711

0.098

4,600

1,600

300

500

50

62

48

-

-

-

HSC-NT3

73

400

19.1

689

0.100

4,200

1,200

300

500

42

69

49

-

-

-

HSC-NT4

73

500

19.1

689

0.100

4,300

1,300

300

500

43

68

51

-

-

-

HSC-NT5

73

600

19.1

689

0.100

4,400

1,400

300

500

40

72

40

-

-

-

HSC-NT6

73

650

25.4

714

0.100

4,400

1,400

350

500

53

72

46

-

-

-

HSC-NT7

73

775

25.4

714

0.100

4,500

1,500

350

500

54

71

41

-

-

-

HSC-NT8

73

900

25.4

714

0.100

4,600

1,600

350

500

52

72

44

-

-

-

HSC-CT1

66

300

19.1

689

0.082

4,200

1,200

300

500

36

76

40

143

200

2

HSC-CT2

66

300

19.1

689

0.082

4,200

1,200

300

500

36

76

40

143

140

3

HSC-CT3

66

350

19.1

689

0.082

4,200

1,200

300

500

39

73

40

143

300

2

HSC-CT4

66

400

25.4

714

0.082

4,400

1,400

300

500

36

63

40

143

140

3

HSC-CT5

66

500

25.4

714

0.082

4,400

1,400

300

500

35

64

40

143

240

3

HSC-CT6

66

600

25.4

714

0.082

4,400

1,400

300

500

35

64

40

143

350

2

Note: 1)NSC is normal strength concrete ($f_{ck}<55$ MPa), HSC is high strength concrete ($f_{ck}\ge 55$ MPa), NT is not confined by transverse reinforcement, CT is confined by transverse reinforcement; 2)Relative rib area of deformed bar; 3)Distance between loading points; 4)Number of stirrups within splice
Fig. 3 Beam test specimen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3.png

3.2 실험 방법

Fig. 4와 같이 2개의 단순 지점을 구성하고 2 mm/min의 속도로 변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2점 하중을 가하였다. 실험체 길이 방향 중앙부 하단에 변위계(LVDT)를 설치하여 실험체의 처짐을 계측하였고, 겹침이음 단부에 설치된 변형률 게이지로 철근의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부착파괴가 발생하거나 철근이 항복하여 하중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게 되면 실험을 종료하였다. 실험 후 탈락한 피복 콘크리트 두께를 계측하여 실제 값으로 분석에 반영하였다.

Fig. 4 Test setup of beam splice specimen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4.png

3.3 실험 결과

부착파괴가 발생하기 전에 철근이 항복한 실험결과를 제외하고, 부착파괴가 발생한 24개의 실험체에 대한 실험결과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f_{s}$는 정착파괴가 발생하는 철근 응력으로 정착강도를 나타내며, 463~735 MPa 범위의 값을 보였다. $A_{b}f_{s}$는 정착되는 철근에 작용한 힘, 즉 정착력이고, $A_{b}f_{s}/l_{d,\: test}$는 정착길이 내에서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응력 분포가 균일한 것으로 가정한 단위길이 당 정착력, 즉 단위 정착력이다. Fig. 5는 정착길이와 정착파괴가 발생하는 철근응력의 관계로, 정착길이가 300 mm에서 900 mm로 3배 증가하면 철근응력이 대략 1.2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정착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도 콘크리트 강도, 횡방향 철근 배치 유무 등의 변수에 따라 정착파괴가 발생하는 철근응력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Table 5 Test results of specimens with bond failure before steel yielding

Specimens

$d_{b}$

(mm)

$l_{d,\: test}$

(mm)

$f_{ck}$

(MPa)

$c/d_{b}$$^{1)}$

$c_{so}/d_{b}$

$c_{si}/d_{b}$

$c_{b}/d_{b}$

$\dfrac{A_{tr}}{snd_{b}}$

$f_{s}$$^{3)}$

(MPa)

$A_{b}f_{s}$$^{4)}$

(kN)

$A_{b}f_{s}/l_{d,\: test}$$^{5)}$

(N/mm)

NSC-NT1

19.1

850

34

2.23

1.73

4.14

1.78

-

735

211

248

NSC-NT2

19.1

1,050

34

1.91

1.41

4.45

2.04

-

720

206

196

NSC-NT4

25.4

1,000

46

2.15

1.65

2.24

1.69

-

673

341

341

NSC-NT7

19.1

450

33

2.96

2.46

3.40

2.46

-

589

169

375

NSC-NT8

19.1

550

33

2.87

2.36

3.51

2.77

-

611

175

318

NSC-CT4

25.4

740

37

2.07

1.57

2.32

1.57

0.009

610

309

418

NSC-CT5

25.4

740

37

2.07

1.57

2.32

1.57

0.014

652

330

446

NSC-CT10

19.1

580

37

2.41

1.94

3.93

2.09

0.013

644

185

318

NSC-CT13

19.1

400

33

2.33

1.83

4.03

2.09

0.019

538

154

385

NSC-CT14

19.1

400

33

2.49

1.99

3.87

2.09

0.028

555

159

398

NSC-CT15

19.1

400

33

2.41

1.94

3.93

2.09

0.037

633

181

453

NSC-CT16

19.1

500

33

2.41

1.94

3.93

2.09

0.015

582

167

333

HSC-NT1

19.1

350

74

2.65

2.25

3.61

2.15

-

642

184

526

HSC-NT2

19.1

350

74

2.99

2.62

3.25

2.51

-

574

164

470

HSC-NT3

19.1

400

73

2.72

2.20

3.61

2.57

-

634

182

454

HSC-NT6

25.4

650

73

2.31

2.09

2.83

1.81

-

592

300

461

HSC-NT7

25.4

775

73

2.12

2.13

2.80

1.61

-

686

348

449

HSC-NT8

25.4

900

73

2.22

2.05

2.83

1.73

-

679

344

382

HSC-CT1

19.1

300

66

2.36

1.88

3.98

2.09

0.019

572

164

546

HSC-CT2

19.1

300

66

2.38

1.88

3.98

2.09

0.027

596

171

569

HSC-CT3

19.1

350

66

2.52

2.04

3.82

2.09

0.012

609

174

499

HSC-CT4

25.4

400

66

1.92

1.42

2.48

1.57

0.020

463

235

587

HSC-CT5

25.4

500

66

1.88

1.38

2.52

1.57

0.012

553

280

560

HSC-CT6

25.4

600

66

1.88

1.38

2.52

1.57

0.008

622

315

525

Note: 1)Minimum value of [($c_{so}/d_{b}+0.5$), ($c_{si}/d_{b}+0.5$), ($c_{b}/d_{b}+0.5$)]; 2)Flexural strength of specimen between load points at failure; 3)Steel stress developed beyond lap splice of bars at failure; 4)Anchorage force of a bar at failure; 5)Average anchorage force of unit development length
Fig. 5 Steel stress by tested development length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5.png

각 변수에 따른 경향을 추세선으로 정리하면, Fig. 6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35 MPa에서 70 MPa로 2배가 되면 단위 정착력은 대략 1.4배 증가한다. Fig. 7은 겹침이음 구간에 횡방향 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c/d_{b}$가 증가하면 단위 정착력도 증가하지만, 횡방향 철근이 배치된 경우에는 그 반대인 경향이 나타났다. 피복두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는 철근응력을 주변 콘크리트로 전달하는 효율이 떨어지는데, 횡방향 철근이 배치되면 횡구속 효과로 부착전달 성능이 증가하며, $c/d_{b}$보다 횡방향 철근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Fig. 8은 횡방향 철근 변수 $A_{tr}/snd_{b}$가 증가하면 단위 정착력도 증가하며, $A_{tr}/snd_{b}$가 대략 0.02를 초과하면 정착 성능 증가 효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Fig. 6 Influence of concrete strength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6.png
Fig. 7 Influence of cover thickness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7.png
Fig. 8 Influence of transverse reinforcement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8.png

4. 기존 설계정착길이 계산식 분석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와 기존 실험 자료(fib 2005; ACI 2014; Hwang 2016)를 이용하여 설계정착길이와 실제 정착길이를 비교하였다. 단,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설계 요건을 고려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총 412개의 실험 자료를 분석에 반영하였다. 412개 중에서 비횡구속 실험 자료가 155개, 횡구속 실험 자료가 257개이다.

1) 콘크리트 압축강도 : $f_{ck}\ge 18$ MPa

2) 철근의 정착강도 : $f_{s}\ge 300$ MPa

3) 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수 : $n\ge 2$

4) 정착되는 철근에 대한 측면 피복두께 : $c_{so}\ge d_{b}$

5) 정착되는 철근에 대한 하부 피복두께 : $c_{b}\ge d_{b}$

6) 정착되는 철근의 순간격 : $2c_{si}\ge d_{b}$

4.1 설계정착길이와 실험값 경향 분석

Fig. 9~Fig. 12는 ACI 318-19,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 도로교설계기준(KIBSE 2015), ACI 408-03의 계산식에 대하여 비횡구속과 횡구속의 구분 없이 모든 분석 자료를 나타낸 것인데, ACI 408-03은 Fig. 12와 같이 설계정착길이/실험값 대부분이 대각선을 중심으로 수직축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매우 보수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Fig. 9 Tested value and development length calculated byACI (2019)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9.png
Fig. 10 Tested value and development length calculated byKCI (2021)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10.png
Fig. 11 Tested value and development length calculated byKIBSE (2015)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11.png
Fig. 12 Tested value and development length calculated byACI (2003)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12.png

비횡구속인 경우와 횡구속인 경우를 분리하면, Table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 가지 기준에서 모두 횡구속 실험체에 대한 설계정착길이/실험값의 최댓값, 평균값, 최솟값이 비횡구속 실험체에 대한 값보다 크므로, 횡구속된 철근의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이 안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의 경우, 설계정착길이/실험값의 최댓값, 평균값, 최솟값이 횡구속 실험체는 각각 2.87, 1.29, 0.67로 비횡구속 실험체의 2.34, 1.21, 0.61보다 크며, 철근의 응력을 세 범위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인다. 이것은 철근응력 범위를 구분하여 정착길이 비율의 빈도분포를 나타낸 Fig. 13~Fig. 15에서 횡구속 실험체 결과를 표현한 짙은 색 막대그래프가 비횡구속 실험체 결과를 표현한 흰색 막대그래프보다 설계정착길이/실험값 비율이 큰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Table 6 Distribution of ratio of calculated development length and tested value

Design code

$f_{s}$

(MPa)

Test results without transverse reinforcement

Test results with transverse reinforcement

N$^{1)}$

Max

Mean

Min

SD$^{2)}$

CV$^{3)}$

N

Max

Mean

Min

SD$^{2)}$

CV$^{3)}$

ACI

(2019)

300~499

114

2.39

1.29

0.78

0.33

0.26

163

2.90

1.36

0.81

0.32

0.24

500~699

39

1.78

1.15

0.63

0.25

0.22

81

2.09

1.34

0.79

0.29

0.22

700~820

2

1.20

1.15

1.10

0.07

0.06

13

1.76

1.31

1.11

0.19

0.15

Total

155

2.39

1.25

0.63

0.31

0.25

257

2.90

1.35

0.79

0.30

0.22

KCI

(2021)

300~499

114

2.34

1.27

0.77

0.32

0.25

163

2.87

1.35

0.80

0.32

0.24

500~699

39

1.53

1.04

0.61

0.19

0.18

81

2.07

1.23

0.67

0.28

0.23

700~820

2

0.91

0.88

0.84

0.05

0.06

13

1.34

1.00

0.84

0.15

0.15

Total

155

2.34

1.21

0.61

0.31

0.26

257

2.87

1.29

0.67

0.31

0.24

KIBSE

(2015)

300~499

114

1.83

1.19

0.66

0.25

0.21

163

3.08

1.42

0.94

0.31

0.22

500~699

39

1.64

1.05

0.52

0.27

0.26

81

1.99

1.31

0.68

0.26

0.20

700~820

2

1.13

1.04

0.95

0.13

0.13

13

1.48

1.20

1.02

0.12

0.10

Total

155

1.83

1.15

0.52

0.26

0.23

257

3.08

1.38

0.68

0.29

0.21

ACI

(2003)

300~499

114

2.62

1.46

0.56

0.36

0.25

156

2.34

1.37

0.92

0.24

0.18

500~699

39

2.34

1.42

0.86

0.32

0.23

81

2.56

1.49

0.95

0.34

0.23

700~820

2

1.72

1.61

1.51

0.15

0.09

13

1.76

1.55

1.31

0.10

0.06

Total

155

2.62

1.45

0.56

0.35

0.24

250$^{4)}$

2.56

1.41

0.92

0.28

0.20

Note: 1)number of data; 2)standard deviation; 3)coefficient of variation; 4)test results of unknown relative rib area of bar were excluded

철근항복강도 550 MPa 이상일 때 수정계수를 적용하는 ACI 318-19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을 비교해 보면, 철근응력 500~699 MPa 범위의 비횡구속 실험체의 경우 설계정착길이/실험값의 최댓값, 평균값, 최솟값이 ACI 318-19는 각각 1.78, 1.15, 0.63으로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의 1.53, 1.04, 0.61로 모두 큰 값을 보였다. 또 철근응력 700~820 MPa 범위에서도 ACI 318-19는 각각 1.20, 1.15, 1.10으로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의 0.93, 0.88, 0.84로 모두 큰 값을 보였다. 횡구속 실험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보이지만, 두 기준간의 값 차이가 비횡구속 실험체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도로교설계기준(KIBSE 2015)과 ACI 408-03은 철근응력 500 MPa 이상인 고강도 철근에 대해서도 설계정착길이/실험값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는다.

4.2 철근 항복강도 증가에 따른 안전성 분석

철근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ACI 408-03을 제외하고, Fig. 13~Fig. 15의 세 가지 기준에 대한 설계정착길이/실험값 비율의 빈도분포를 기초로 하여 정리하면,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의 설계정착길이가 실험값보다 작게 나타날 확률은 비횡구속 실험체의 경우, 철근응력 300~499 MPa 범위에서 17 %, 철근응력 500~699 MPa 범위에서 38 %, 철근응력 700~820 MPa 범위에서 100 %로 증가한다. 횡구속 실험체의 경우에도 철근응력 300~499 MPa 범위에서 9 %, 철근응력 500~699 MPa 범위에서 21 %, 철근응력 700~820 MPa 범위에서 54 %로 비횡구속의 경우보다 작지만, 정착강도를 의미하는 철근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철근 강도계수가 추가된 ACI 318-19는 철근응력이 증가하더라도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설계기준(KIBSE 2015)은 정착되는 철근에 대한 최소 횡방향 철근량을 규정하고 있는데, 횡구속 실험체 중에서 설계정착길이가 실험값보다 작게 나타날 확률은 철근응력 300~499 MPa 범위에서 4 %, 철근응력 500~699 MPa 범위에서 11 %로 나타났으며, 철근응력 700~820 MPa 범위에서는 모두 설계정착길이가 실험값보다 크게 나타나서,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보다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13 Frequency of ratio of development length calculated byACI (2019)and tested value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13.png
Fig. 14 Frequency of ratio of development length calculated byKCI (2021)and tested value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14.png
Fig. 15 Frequency of ratio of development length calculated byKIBSE (2015)and tested value
../../Resources/KCI/JKCI.2022.34.4.365/fig15.png

실제 거동에서는 국부적인 부착응력이 발생하지만, 설계기준에서는 국부 응력 계산이 어려운 관계로 평균 부착응력을 이용하여 정착길이를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철근 항복강도가 증가하면 실제 부착응력 분포와 설계 가정의 차이가 커져서 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에서 항복강도 700 MPa급 철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장 이형철근에 대한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도로교설계기준(KIBSE 2015)의 계산식은 정착 철근에 대한 최소 횡방향 철근 규정을 따르는 경우 전반적으로 안전측이며, 횡방향 철근의 횡구속 효과로 부착응력 분포가 한쪽으로 치우쳐지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5. 결 론

1) 철근 강도계수가 추가된 ACI 318-19(ACI 2019)의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은 고강도 철근에 대한 안전율이 일반강도 철근의 경우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CI 2021)의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은 철근 항복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율이 감소하였으며, 항복강도 700 MPa급 철근에 대하여 비안전측으로 나타났다. 항복강도 700 MPa급 철근을 적용하는 설계를 허용하기 위해서는 인장 이형철근에 대한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도로교설계기준(KIBSE 2015)의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은 철근의 항복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안전측으로 나타났다.

4) ACI 408R-03(ACI 2003)의 설계정착길이 계산식은 철근의 항복강도와 무관하게 전체적으로 안전측으로 나타났는데, 항복강도 700 MPa급 철근에 대하여는 설계정착길이가 실제 필요한 정착길이보다 1.5배 수준으로 과도하게 크게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산업기술혁신사업-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사회 안전 확보를 위한 700 MPa급 철근 활용 내진용 철근콘크리트 개발”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과제번호: 10063488),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CI Committee 318 , 200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08) and Commentary (ACI 318R-08),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473Google Search
2 
ACI Committee 318 , 2019,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19) and Commentary (ACI 318R-19),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624.Google Search
3 
ACI Committee 349 , 2013,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Related Concrete Structures (ACI 349-13) and Commentary,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196.Google Search
4 
ACI Committee 408 , 2003, Bond and Development of Straight Reinforcing Bars in Tension (ACI 408R-03),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49.Google Search
5 
ACI Committee 408 , 2014, Anchorage Database Referenced in 408 R-03,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www.concrete.orgURL
6 
CEN , 2004,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 Part 1-1: General Rules and Rules for Buildings (BS EN 1992-1-1: 2004), London, UK;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British Standards Institute (BSI).Google Search
7 
CEN , 2005,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 Concrete Bridges - Design and Detailing Rules (BS EN 1992-2: 2005), London, UK;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British Standards Institute (BSI).Google Search
8 
fib Task Group 4.5 , 2005, Database_Splicetest Stuttgart Sept 2005, fib TG 4.5 Bond Tests Database, http://fibtg45.dii.unile. it/files%20scaricabili/Database_splicetest%20Stuttgart%20sept%202005.xls Accessed 22 August 2017.URL
9 
Hwang D. K., 2016, Anchorage and Lap Splice of Large Diameter and High Strength Steel Reinforcement, Ph.D. Thesis.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Google Search
10 
KATS , 2007,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KS D 3504),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Google Search
11 
KCI , 201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ltra-Bar (SD 600) for Flexural-Compression Steel and Ultra-Bar (SD 500 and 600) for Stirrups and Ties, Seoul, 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KCI-R-10-006. (In Korean)Google Search
12 
KCI , 2012, Concrete Design Code and Commentary,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Google Search
13 
KCI , 2021, Concrete Design Code and Commentary, Seoul, Korea;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Google Search
14 
KIBSE , 2015, Korea Highway Bridge Design Code-Limit State Design Method (KBDC-LSD) and Commentary, Seoul, Korea; Gunsulbook Publishing Company. Korea Institute of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s (KIBSE), Korea Bridge Design and Engineering Research Center (KBDERC). (In Korean)Google Search
15 
Orangun C. O., Jirsa J. O., Breen J. E., 1975, The Strength of Anchor Bars: A Reevaluaion of Test Data on Development Length and Splices, Austin, Texas; Center for Highway Research,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No. 154-3F.Google Search
16 
Orangun C. O., Jirsa J. O., Breen J. E., 1977, A Reevaluaion of Test Data on Development Length and Splices, ACI Journal Proceedings, Vol. 74, No. 3, pp. 114-122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