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한경국립대학교 건축학과 석사과정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17579, Rep. of Korea)
  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and Design Converg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17579, Rep. of Korea)
  3. 한경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17579, Rep. of Korea)



휨 성능, 탄소섬유, FRCM, 단면해석, 보강
flexural performance, carbon fabric, FRCM, sectional analysis, strengthening

1. 서 론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구조물의 성능은 시간이 지나면서 내・외부적으로 인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저하되며, 이에 따라 보수 또는 보강이나 재건축이 필요하다(Cho et al. 2015). 노후화된 부재의 휨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방식에는 단면증설공법, 강판 및 섬유 시트 부착공법, 외부 프리스트레싱 공법들이 주로 사용되며, 경제성, 적합성 및 안정성 등에 따라서 적절한 보강방식으로 이루어진다(Ju et al. 2014, 2016). 그중에서 FRP(fiber-reinforced polymer) 시트 부착방식은 높은 강도에 대한 낮은 무게비, 부식 저항성 및 시공의 편리성에 대한 이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에폭시를 사용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습하거나 저온 환경에서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화재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 섬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Babaeidarabad et al. 2014).

최근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보강방식인 섬유 보강 시멘트 매트릭스(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FRCM)가 개발되었다(Choi et al. 2021). FRCM은 FRP 시트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계 에폭시 대신에 무기물인 모르타르(mortar)와 섬유로 구성된 복합체로 모르타르 사이에 섬유를 매립시켜서 만드는 방식이다. FRCM은 매트릭스에 섬유가 매립되어 있어서 높은 온도에서도 성능의 손상이 없으며, 다습환경 또는 습윤상태의 콘크리트 부재 표면에도 부착에 손실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섬유가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자외선 노출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Koutas et al. 2019; Hadad et al. 2020; Jo et al. 2022).

기존 연구자들은 섬유의 종류, 섬유의 격자간격간, 섬유의 레이어 수(number of layers), 콘크리트 모재의 표면처리 등에 따라서 FRCM으로 보강된 RC구조부재의 인장(Carozzi et al. 2017; Younis et al. 2019; Choi et al. 2021; Jo et al. 2022), 부착([13]D’Ambrisi et al. 2013; Awani et al. 2015; [14]D’Antino et al. 2015), 휨(Babaeidarabad et al. 2014; Napoli and Realfonzo 2015; Sneed et al. 2016; Hadad et al. 2020), 전단(Escrig et al. 2015; Tetta et al. 2015; Aljazaeri and Myers 2017) 및 비틀림(Alabdulhady et al. 2017)성능을 규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험적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Hadad et al.(2020)은 RC보의 압축강도와 탄소섬유 레이어 숫자를 변수로 FRCM으로 보강한 보의 휨 실험을 수행하여 변수에 따라 최소 30 %에서 최대 115 %의 강도 증진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AC 434(2016)ACI 549.4R-13(2013)에서 제공하는 휨 성능 평가모델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Babaeidarabad et al.(2014)은 RC보에 PBO(poly phenylene benzobisoxazole)섬유로 구성된 FRCM을 보강하여 기준실험체 포함 18개의 RC보를 제작하였으며, 1점 가력 휨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PBO 섬유 레이어 수와 RC 보의 압축강도 변수에 따라 기준실험체 대비 최소 13 %에서 92 %의 휨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RCM의 보강량에 따라 매트릭스 내 섬유의 미끄러짐 또는 RC보 부재와 FRCM 간의 박리에 의한 파괴모드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FRCM으로 보강된 일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성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계획을 수립하였으며, Fig.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일방향 RC 슬래브에 대한 FRCM의 보강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기준실험체 1개와 C-FRCM(carbon 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으로 보강된 3개의 일방향 RC 슬래브를 제작하여 휨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C-FRCM 보강 RC 슬래브의 주요 변수는 섬유의 레이어 수와 섬유 간의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Awani et al.(2017)의 연구에 따르면 FRCM 보강 부재의 휨 강도는 보강 섬유의 레이어 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섬유의 레이어 수와 겹침이음 상세에 따라 FRCM 보강 슬래브의 휨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섬유의 레이어 수 3겹까지는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3겹부터 변수를 설정하였고 C-FRCM 내부에 섬유의 층을 3층으로 나뉘어서 1겹 또는 2겹씩 보강하여 총 3겹, 4겹과 6겹으로 변수를 설정하였다. 또한, 1겹과 2겹으로 이뤄진 C-FRCM의 재료 모델을 반영하여 섬유의 층 간격에 따라서 단면해석을 진행하였으며, C-FRCM 보강 1방향 RC 슬래브의 휨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Fig. 1 Framework of the study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1.png

2. 실험적 연구

Fig. 2는 FRCM 보강 실험체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Fig. 2(a)~2(c)는 시멘트 매트릭스를 만들기 위해서 배합하고 섞는 과정이다. 배합이 끝나면 부재의 인장연단 즉, 바닥표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게 되는데 부재와 FRCM간의 부착이 중요하기 때문에 타설전에 Fig. 2(d)와 같이 그라인더를 통해서 거친면 처리를 하였다. 여기서, 실제 건축구조부재와는 다르게 슬래브 부재를 뒤집어 바닥표면에 FRCM을 보강하였다. Fig. 2(e)와 같이 기존 슬래브 부재 표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Fig. 2(f)와 같이 크기에 맞게 섬유를 부착시킨 다음 Fig. 2(g)와 같이 다시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조건에 맞게 양생을 하면 FRCM이 완성된다(Fig. 2(h)).

Fig. 2 The process of producing C-FRCM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2.png

2.1 C-FRCM

RC 슬래브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된 FRCM은 섬유직물과 시멘트 매트릭스로 이뤄진 혼합체이며, 이 연구에서는 섬유직물로서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소섬유를 사용하였다. FRP 시트 보강공법과 달리 FRCM은 시멘트 매트릭스 사이에 섬유가 매입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질재료 간의 부착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격자형 섬유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Kolsch 1998), 이 연구에서도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긴 다발을 수직으로 엮은 격자형 탄소섬유직물을 사용하였다. Table 1은 탄소섬유의 재료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RCM에 사용된 탄소섬유의 인장강도는 1,753 MPa이며, 탄성계수는 139,000 MPa이다. 길이 방향 섬유 다발 간의 간격은 25 mm이며, 섬유 다발 한 묶음의 단면적은 0.838 mm2이다. 이때, 섬유의 단면적($A_{f}$)은 식 (1)과 같이 계산하였다.

(1)
$A_{f}=\dfrac{w}{\rho l}$

여기서, $w$는 길이 방향 섬유 다발의 무게(g), $\rho$는 길이 방향 섬유 다발의 밀도(g/mm3), $l$은 길이 방향 섬유 다발의 길이(mm)이다. 탄소섬유의 인장실험은 ISO 10406-2(ISO 2015)을 참고하였으며, 50 kN 용량의 만능재료 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C-FRCM의 시멘트 매트릭스는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PF(polypropylene fiber)를 혼입하였으며, 시멘트(C), 실리카 흄(SF), 폐유리 미분말(WGP)을 결합재로 사용하여 물-결합재 비(W/B) 0.3으로 배합하였다. 또한, 직경 2.5 mm 이하의 잔골재(FA), 고성능 감수제(SP), 소포제(defoaming agent, DF)를 포함시켜 고성능의 시멘트 매트릭스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결합재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고강도 모르타르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실리카 흄을 폐유리 미분말로 일부 대체하였다(Choi et al. 2021). KS F 2403(KATS 2019)을 따라 제작한 시험체를 통해 시멘트 매트릭스의 강도를 측정한 결과, 28일 양생 압축강도는 54.6 MPa, 휨 인장강도는 9.8 MPa이었다.

Table 1 Material properties of the carbon fabric

Fiber

type

Area

(mm2)

Tensile strength

(MPa)

Ultimate

tensile strain

Elastic modulus

(GPa)

Carbon

0.419

1,753

0.0126

139

Table 2 Mix proportion for the cementitious matrix

C

(kg/m3)

SF

(kg/m3)

WGP

(kg/m3)

FA

(kg/m3)

W

(kg/m3)

SP

(kg/m3)

DF

(kg/m3)

PPF

(kg/m3)

W/B

550

27.5

110

1,487

206

6.88

0.007

18.2

0.3

Fig. 3 The carbon fabric used in experiment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3.png

2.2 실험체

이 연구에서는 슬래브의 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준 실험체 포함해서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각 실험체는 Fig.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폭이 600 mm, 높이가 210 mm인 단면이며, 길이는 2,300 mm인 일방향 RC 슬래브이다. 인장과 압축의 철근은 각각 4-D16와 2-D10로서 183 mm와 500 mm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며, 전단보강근으로서 D10 스터럽을 200 mm 간격으로 12개 배치하였다. Fig. 4(b)에 나타낸 SRC는 기준 실험체이며, Fig. 4(c)~4(e)에 나타낸 SC3, SC4 및 SC6은 탄소섬유가 각각 3겹, 4겹과 6겹이 포함된 FRCM으로 보강된 실험체이다.

Fig.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인장연단 부분에 500 mm 폭의 C- FRCM을 길이 방향으로 2,000 mm만큼 보강하였다. C-FRCM을 보강하기 전에 보강 표면에는 그라인더를 활용하여 거친면처리를 하였으며, ASTM E965(2006)의 Sand patch method에 의해 1.21 mm의 평균 깊이를 갖는 거친면으로 평가되었다. SC3, SC4와 SC6에 적용된 FRCM의 각각 두께는 32 mm, 23 mm 및 23.7 mm이다. SC3은 탄소섬유 레이어를 한 겹씩 간격의 두어 시멘트 매트릭스에 매립시켰으며, SC4은 4개의 탄소섬유 레이어 중 가운데 두 겹을 간격 없이 배치하고, 나머지는 두 개의 레이어는 각각 위아래 간격을 두어 한 겹씩 매립시킨 FRCM으로 보강한 실험체들이다. 또한, SC6는 6개의 탄소섬유 레이어를 두 겹씩 3개 세트로 구성한 FRCM을 적용하여 보강한 실험체이다.

모든 슬래브 실험체에 사용된 콘크리트는 설계압축강도 30 MPa로서 동일한 배치(batch)에서 배합되었으며, 실험체 제작 시 같은 배치의 콘크리트로 실린더형 공시체를 제작하여 슬래브와 같은 조건으로 28일간 양생하였다.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압축강도($f_{c}'$)와 슬럼프는 시험 결과 각각 31.5 MPa와 225 mm로 나타났다. 철근의 인장시험 결과, D10과 D16의 평균 항복강도와 탄성계수는 각각 431 MPa과 480 MPa, 그리고 195 GPa과 186 GPa으로 측정되었다.

Table 3 Materi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and rebars

Concrete

Rebar

$f_{y}$

(MPa)

$f_{u}$

(MPa)

$E_{s}$

(GPa)

$f_{c}'$

(MPa)

Slump

(mm)

31.5

22.5

D10

431

543

195

D16

480

629

186

Fig. 4 Details of the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4.png

2.3 계측 및 가력

이 연구에서는 FRCM 보강 시 실험체들을 뒤집어서 제작하였으며, 슬래브 실험체의 양 끝단을 가력하고 부재의 중앙경간에 두 개의 지점을 배치하여 2점 가력하중 실험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가력 시 실험체의 인장연단이 위로 향하게 되므로 실험 중 균열의 발생 시점 및 균열진전 상황을 좀 더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지점 간의 간격은 850 mm이며, 지점과 가력점 간의 사이 간격은 650 mm이다. 부재의 수직 방향 처짐을 측정하기 위하여 슬래브 중앙경간 상단과 양단 가력점 하단에 LVDT(linear variable displacement transducer)를 설치하였다. 변형률 게이지는 인장 측에 배근 된 철근 4개 중에 안쪽에 배근 된 2개 철근의 중앙에 각각 2개씩 설치하였으며, 콘크리트에는 압축연단의 중앙경간 단면에도 2개의 콘크리트 게이지를 설치하였다. 마지막으로 C-FRCM 보강 이후 시멘트 매트릭스 표면에 Fig. 5와 같이 총 9개의 변형률 게이지를 설치하였다. 실험은 30톤 용량의 유압 실린더를 2개를 Fig. 5와 같이 부재 양 끝단에 설치하여 하중을 가하였다.

Fig. 5 Experimental scheme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5.png

3. 실험 결과

Fig. 6에는 RC 슬래브 실험체의 하중-처짐 곡선을 나타냈으며, Table 4는 RC 슬래브 실험체의 균열 발생 및 항복 시점 그리고 극한상태에서의 하중, 모멘트, 처짐 및 강도 증진 효과와 같은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기준실험체 SRC의 경우, 하중 13.74 kN에서 균열이 발생하였고, 하중 101.18 kN에서 철근이 항복했으며, 하중 117.66 kN에서 최대강도를 발휘하였다. C-FRCM으로 보강된 실험체(SC3, SC4, SC6)들의 경우, 균열 하중이 각각 21.32 kN, 27.44 kN, 38.57 kN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보강실험체들의 균열 이전 초기 강성과 균열 이후 강성이 기준실험체(SRC)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다만, 기준실험체 가력 중 실험장비의 오류가 발생하여 실험체에 균열이 발생하였음에도 하중을 제거하고 재가력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준실험체의 균열이전 초기 강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SRC 대비 SC3, SC4, SC6 보강실험체들의 균열 하중은 각각 55 %, 100 %, 181 % 증가하였으며, 최대 하중은 각각 21 %, 23 %, 44 % 증가하였다.

Fig. 7은 RC 슬래브 실험체들의 균열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C-FRCM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은 최대강도 이후에 FRCM 내의 탄소섬유가 파단 후에 박리됨에 따라서 Fig.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 후에 기준실험체와 유사한 수준의 하중 저항 능력을 유지하였다. 파괴는 전형적인 휨 파괴로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서 슬래브의 인장연단에 휨 균열이 발생한 이후 균열의 폭과 개수가 증가하면서 최대모멘트 구간의 콘크리트 압축연단이 압괴되면서 최종적인 파괴에 이르렀다. 하중-처짐 관계에서 전반적으로 탄소섬유 보강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강도와 초기 강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다만, SC3 실험체와 SC4 실험체의 최대강도의 증가량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SC4 실험체는 2매의 섬유가 직접 맞닿는 면에서 발생하는 미끌림과 동시에 SC3 실험체에 비해 얇은 FRCM의 두께에 의해 팔거리가 작기 때문에 휨 성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Fig. 8은 하중과 실험체들의 인장철근에 부착한 변형률 게이지로부터 측정한 변형률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인장철근의 항복강도($f_{y}$)는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0 MPa이며, 이때의 항복변형률($\epsilon_{y}$) 0.00267을 각 그래프에 수직선으로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체들은 극한 하중 이전에 모두 항복점 이상의 변형률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으로 보강된 FRCM 내의 섬유 레이어가 6개로 가장 많은 SC6 실험체의 변형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Fig. 9는 보강 실험체들의 FRCM 표면에 부착한 게이지로부터 측정한 변형률 분포를 슬래브 경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변형률 분포는 4개 하중 단계에 따라 나타내었는데, 각 실험체에서 측정한 최대 하중의 25 %, 50 %, 75 % 및 100 %이다. 각 실험체의 FRCM 표면에서 측정한 변형률은 하중의 단계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최대 하중의 75 %에서 최대 하중 사이에 변형률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SC3, SC4 실험체는 중앙에서 200 mm 떨어진 부분에서 최대 변형률을 보였으며, SC6 실험체는 실험체 중앙에서 최대 변형률을 보였다. SC3, SC4와 SC6 실험체들의 최대 변형률은 각각 0.010, 0.008 및 0.0093으로 Table 1에 나타낸 탄소섬유의 극한 인장 변형률 0.0126에는 다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슬래브 실험체에서 측정된 변형률은 섬유가 아닌 FRCM 시멘트 매트릭스에 부착된 게이지로부터 얻은 결과이며, C-FRCM의 파단으로 인해 보강 슬래브의 최대강도가 발현된 것으로 보아 FRCM 내의 탄소섬유는 극한 변형률에 도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Load-displacement curves of the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6.png
Fig. 7 Crack patterns at failure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7.png
Fig. 8 Load-reinforcement strain curves of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8.png
Fig. 9 Strain distribution of the C-FRCM specimens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9.png
Table 4 Test results

Specimen

Load

Moment

Deflection at loading point

Note

$P_{cr}$1)

(kN)

$P_{y}$2)

(kN)

$P_{\max}$3)

(kN)

$M_{cr}$4)

(kN・m)

$M_{y}$5)

(kN・m)

$M_{\max}$6)

(kN・m)

$\delta_{cr}$7)

(mm)

$\delta_{y}$8)

(mm)

$\delta_{\max}$9)

(mm)

Strength effect (%)

SRC

13.74

101.18

117.66

8.93

65.77

76.48

1.84

17.31

65.61

-

SC3

21.32

121.80

142.22

13.86

79.17

92.44

0.83

14.61

20.72

1.21

SC4

27.44

119.09

144.93

17.84

77.41

94.21

1.44

11.25

18.87

1.23

SC6

38.57

137.94

169.66

25.07

89.67

110.28

1.34

12.06

20.69

1.44

Note: 1)$P_{cr}$: cracking load; 2)$P_{y}$: yielding load; 3)$P_{\max}$: maximum load; 4)$M_{cr}$: cracking moment; 5)$M_{y}$: yielding moment; 6)$M_{\max}$: maximum moment; 7)$\delta_{cr}$: cracking deflection at mid-span; 8)$\delta_{y}$: yielding deflection at mid-span; 9)$\delta_{\max}$: maximum deflection at mid-span

4. C-FRCM 보강 슬래브의 휨 성능 평가

4.1 단면해석

이 연구에서는 C-FRCM으로 보강된 일방향 슬래브의 휨 거동에 대한 단면해석을 수행하여 FRCM의 휨 보강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단면해석은 힘의 평형, 변형률 적합성, 콘크리트 및 보강재의 재료 모델을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Fig. 10은 C-FRCM으로 보강된 슬래브의 변형률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C-FRCM과 슬래브의 완전 부착을 가정하였다. 먼저 압축연단의 변형률($\epsilon_{t}$)을 선택하고, 그에 상응하는 인장연단의 변형률($\epsilon_{b}$)을 가정하여 변형률 분포를 도출한다. 이에 따라 중립축 깊이($c$)를 결정하고, 등가압축응력블럭(Collins and Mitchell 1991)을 통한 압축력($C$)과 철근 및 FRCM의 인장력($T$)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력은 콘크리트 단면에 작용하는 압축력($C_{c}$)과 압축철근에 작용하는 압축력($C_{s}$)의 합으로 표현되며, 인장력($T$)은 콘크리트의 인장력($T_{c}$), 인장철근의 인장력($T_{s}$), 그리고 보강된 C-FRCM의 인장력($T_{frcm}$)으로 구성된다.

먼저 콘크리트의 압축력($C_{c}$)을 산정하기 위해서 Fig. 11(a)에 나타낸 Collins and Mitchetll(1991)의 콘크리트 압축응력-변형률 재료 모델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압축응력($f_{c}$)은 식 (2)와 같이 압축연단에서의 변형률($\epsilon_{c}$)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f_{c'}$는 재료 모델에 해당하는 최대 압축강도, $\epsilon_{c'}$는 그에 해당하는 변형률이다.

(2)
$f_{c}=f_{c'}\left[2\left(\dfrac{\epsilon_{c}}{\epsilon_{c'}}\right)-\left(\dfrac{\epsilon_{c}}{\epsilon_{c'}}\right)^{2}\right]$

콘크리트의 압축력($C_{c}$)은 Fig. 10에서 중립축($c$)위의 변형률 분포에 해당하는 힘을 적분하여 식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3)
$C_{c}=\alpha_{1}f_{c'}\beta_{1}cb$

여기서, $b$는 부재 단면의 폭, $\alpha_{1}$은 유효압축응력계수, $\beta_{1}$은 등가응력블럭의 중립축 계수이다. 또한 $\alpha_{1}$과 $\beta_{1}$은 식 (4), (5)와 같이 산정할 수 있다.

(4)
$\alpha_{1}\beta_{1}=\dfrac{\epsilon_{t}}{\epsilon_{c'}}-\dfrac{1}{3}\left(\dfrac{\epsilon_{t}}{\epsilon_{c'}}\right)^{2}$
(5)
$\beta_{1}=\dfrac{4-\epsilon_{t}/\epsilon_{c'}}{6-2\epsilon_{t}/\epsilon_{c'}}$

콘크리트의 인장력($T_{c}$)은 식 (6)과 같이 인장연단 변형률($\epsilon_{b}$)의 크기에 따라서 구분하여 산정한다.

(6a)
$T_{c}=E_{c}\epsilon_{b}b\dfrac{h-c}{2}$ for $\epsilon_{b}\le\epsilon_{cr}$
(6b)
$T_{c}=0.5 f_{cr}\dfrac{b}{2}(h-c)$ for $\epsilon_{b}>\epsilon_{cr}$

여기서, $\epsilon_{cr}$은 균열 시점에서의 인장 변형률, $E_{c}$는 콘크리트 탄성계수, $h$는 부재 단면의 높이, $f_{cr}$은 균열 시점에서의 인장응력 즉, 파단계수(modulus of rupture)이다.

철근의 재료 모델로서 Fig. 11(b)에 나타낸 이선형 경화 모델(bilinear hardening model)(Lee et al. 2016; Ju et al. 2020)을 사용하였다. 즉, 철근의 응력($f_{s}$)은 식 (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7a)
$f_{s}=E_{s}\epsilon_{s}\le f_{y}$
(7b)
$f_{s}=f_{y}+0.01E_{s}(\epsilon_{s}-\epsilon_{y})> f_{y}$

여기서, $E_{s}$는 철근의 탄성계수, $\epsilon_{s}$는 철근의 변형률, $f_{y}$는 철근의 항복응력, $\epsilon_{y}$는 철근의 항복응력에 해당하는 변형률이다. 또한, C-FRCM의 인장력($T_{frcm}$)을 산정하기 위해서 재료 모델이 필요하다. 다만, FRCM이 휨 성능에 기여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시멘트 매트릭스에 균열이 발생하여 인장저항성능이 미미한 것으로 가정하여 탄소섬유의 인장응력($f_{f}$) 기여분만을 재료시험 결과로부터 식 (8)과 같이 결정하였으며, Fig. 11(c)에 나타낸 바와 같다.

(8)
$f_{f}=E_{f}\epsilon_{f}=\dfrac{f_{fu}}{\epsilon_{fu}}\epsilon_{f}$

여기서, $f_{fu}$는 FRCM 내 섬유의 파단 응력, $\epsilon_{fu}$는 $f_{fu}$에 상응하는 인장 변형률, $\epsilon_{f}$은 섬유의 변형률이다. 따라서, C-FRCM의 시멘트 매트릭스 단면적을 무시하고 탄소의 길이 방향 단면적을 고려하여 C-FRCM의 인장 저항 성능을 산정하였다. 식 (8)에 사용되는 $\epsilon_{fu}$와 $f_{fu}$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여 단면해석에 적용하였다.

① 슬래브 실험체에 적용된 C-FRCM 내의 탄소섬유 겹침 방식에 따라 Fig. 12에 나타낸 탄소섬유 1겹과 2겹에 대한 C-FRCM 직접인장시험 결과(Choi et al. 2021)를 조합하여 결정(Analysis 1).

Table 1에 나타낸 탄소섬유의 인장시험 결과를 직접 사용($\epsilon_{fu}=0.0126$, $f_{fu}=1,\: 753$ MPa)(Analysis 2).

Fig. 12(a)에 나타낸 C-FRCM의 초기 강성과 Table 1에 나타낸 탄소섬유의 인장강도를 사용($\epsilon_{fu}=0.006$, $f_{fu}=$$1,\: 753$ MPa)(Analysis 3).

특히, 첫 번째 방법(Analysis 1)은 C-FRCM이 휨 성능에 기여하는 시점에서 시멘트 매트릭스에 이미 균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기여분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Fig. 12의 Analysis 1로 나타낸 재료 모델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FRCM 보강 슬래브에 적용된 섬유의 레이어 배치를 고려하여 탄소섬유 1겹과 2겹의 경우를 조합하였다. 예를 들어, SC3의 경우 탄소섬유가 서로 독립적으로 모르타르에 매입되어 있기 때문에 Fig.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epsilon_{fu}=0.016$와 $f_{fu}=2,\: 593$ MPa을 식 (8)에 적용하였고, SC4의 경우 4겹의 탄소섬유 중 내부에 위치한 2겹이 서로 겹쳐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Fig. 12(b)에 나타낸 Analysis 1과 Fig. 12(a)에 나타낸 Analysis 1의 평균 강성을 고려하여, $\epsilon_{fu}=0.0173$과 $f_{fu}=2,\: 360$ MPa을 식 (8)에 적용하였다. 또한, SC6의 경우, 6겹의 탄소섬유가 2겹씩 3세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Fig. 12(b)의 Analysis 1을 참고하여, $\epsilon_{fu}=0.0173$와 $f_{fu}=2,\: 127$ MPa을 식 (8)에 적용하였다. 이외에 두 번째 방법은 오로지 Table 1의 탄소섬유의 물성치만을 고려한 경우(Analysis 2)이다. 세 번째 방법은 Fig. 12(a)에서 모르타르에 대한 C-FRCM의 초기 강성은 고려하되 최종 파괴 시점에서 모르타르의 기여분을 무시하여 Table 1의 탄소섬유 인장강도만을 반영하고 이를 Fig. 12(a)에 투영하여 극한변형률을 얻은 경우(Analysis 3)이다. 따라서, 0.006은 C-FRCM의 직접인장강도 결과에서 섬유의 극한강도에 해당하는 변형률이며, C-FRCM의 인장응력-변형률 관계에서 강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시점과 일치한다.

앞선 재료 모델을 고려하여 산정한 압축력 및 인장력이 힘의 평형을 만족할 때, 휨모멘트($M$)와 곡률($\phi$)을 식 (9), (10)과 같이 산정한다.

(9)
$M = C_{s}d^{'}+C_{c}\dfrac{\beta_{1}c}{2}+ T_{s}d+T_{c}\left(\dfrac{h+c}{2}\right)+T_{frcm}\left(h+\dfrac{t_{f}}{2}\right)$
(10)
$\phi =\dfrac{\epsilon_{b}}{h-c}$

여기서, $d^{'}$는 콘크리트 부재 압축연단에서 압축철근 중심까지의 거리, $d$는 콘크리트 부재 압축연단에서 인장철근 중심까지의 거리, $t_{f}$는 FRCM의 두께이다. 단면해석은 압축연단 변형률 $\epsilon_{t}$을 증가시키면서 극한변형률 0.0035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였다.

Fig. 10 Strain distribution of FRCM strengthened slab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10.png
Fig. 11 Material models for flexural analysis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11.png
Fig. 12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C-FRCM(Choi et al. 2021)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12.png

4.2 실험체들의 휨 성능 평가

Fig. 13은 기준실험체와 C-FRCM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의 실험 결과와 해석 결과를 모멘트-곡률 곡선으로 표현하여 비교한 것이다. Analysis 1에서 C-FRCM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의 최대모멘트 시점에서의 곡률이 실험 결과보다 다소 큰 값으로 산정되었는데, 이는 C-FRCM 인장시험에서 측정된 파단 변형률이 상대적으로 큰 값이기 때문이며, C-FRCM의 인장시험 시 섬유와 모르타르 간의 미끌림으로 인해 파단변형률이 크게 측정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Choi et al. 2021).

FRCM에서 모르타르의 기여분을 무시하고 섬유의 물성치만을 반영한 Analysis 2의 경우, 탄소섬유의 강도와 변형률은 C-FRCM의 직접인장시험에서 측정된 것보다 다소 낮기 때문에 Analysis 2의 최대모멘트와 그에 해당하는 곡률은 Analysis 1의 경우보다 작은 값으로 산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FRCM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의 실험 결과에 비해 Analysis 2의 최대모멘트와 곡률이 여전히 큰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RCM에서 모르타르의 초기 강성을 반영한 재료 모델을 사용한 Analysis 3의 모멘트-곡률 곡선의 경우, 최대 강도 시점의 모멘트와 곡률을 실험 결과와 가장 근사하게 추정하였으며, FRCM의 파단으로 인한 강도 저감 이후 철근의 항복으로 인한 소성구간 역시 상당히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FRCM으로 보강된 슬래브는 최대강도 시점에서 FRCM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 이후 섬유의 파단으로 인해 강도가 감소하였으며, FRCM과 슬래브 부재 간의 부착성능이 충분히 발휘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RCM을 구성하는 시멘트 매트릭스는 극한상태에서 균열로 인한 손상으로 인해 최대강도에 대한 기여분이 미미한 것으로 보이나, FRCM 내의 섬유가 파단되는 시점까지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에 대한 추가적인 해석 및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충분한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13 Comparison of the analyses and experimental results
../../Resources/KCI/JKCI.2023.35.1.037/fig13.png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C-FRCM으로 보강된 일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휨 성능을 고찰하고자 섬유의 레이어 수와 매트릭스 내 섬유 레이어간의 간격을 보강실험체의 주요 변수로 설정하고 기준실험체 포함 4개의 슬래브를 제작하였으며, 2점 가력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해석적 평가를 위해 단면해석을 진행하였으며, 도출한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C-FRCM으로 보강된 일방향 슬래브들은 기준실험체에 비하여 섬유의 레이어 수에 따라서 최대 하중이 21~44 % 정도 증가함을 보였다. SC3와 SC4는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며, SC6는 SC3 및 SC4보다 더 큰 보강 효과를 나타냈다.

2) 섬유의 레이어 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최대 하중뿐만 아니라 초기 강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열 하중 이후에도 보강된 실험체들은 기준실험체와 비교하여 우수한 휨 성능을 나타냈다.

3) C-FRCM으로 보강된 일방향 슬래브들은 최대 하중에서 섬유의 파단으로 인한 급격한 하중 감소를 보인 이후 기준실험체와 비슷한 소성 거동을 나타냈으며 최대모멘트 구간에서 콘크리트 압괴로 최종 파괴되었다.

4) C-FRCM 재료 모델로서 인장강도($f_{fu}$)와 인장강도 시점에서의 변형률($\epsilon_{fu}$)을 변수로 세 가지 해석방법을 적용하여 실험체들의 휨 거동을 평가하였다. FRCM의 모르타르를 무시하고 상대적으로 큰 $f_{fu}$와 $\epsilon_{fu}$을 반영한 경우, 섬유의 파단 시점이 실험 결과보다 과도하게 평가되었으며, 모르타르를 고려한 FRCM의 초기 강성과 탄소섬유만으로 결정되는 인장강도를 반영한 해석방법이 실험 결과를 가장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이 연구에서 수행한 C-FRCM 보강 슬래브에 대한 실험 및 해석 결과에 따르면, FRCM과 슬래브 부재 간의 부착성능이 충분하여 FRCM 내의 섬유 파단 시점까지 강도가 충분히 증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RCM을 구성하는 시멘트 매트릭스의 최대강도 기여분은 미미하나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매트릭스 내의 섬유 간격, 섬유의 종류, 두께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추가적인 해석 및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 이 연구에서 고려한 C-FRCM 보강 슬래브는 실제 구조물과 달리 부재를 뒤집어서 제작되었기 때문에 하부에서 상부로 타설되어 보강되는 부재와는 상이한 보강성능을 나타낼 우려가 있으며, 추후 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연구가 면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1R1C1C2093437 & No. 2021K1A3A1A200017221112582071420101).

References

1 
AC 434 (2016) Proposed Acceptance Criteria for Masonry and Concrete Strengthening Using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FRCM) Composite Systems. Whittier, CA; ICC- Evaluation Service.URL
2 
ACI Committee 549 (2013) Guide to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abric-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FRCM) Systems for Repair and Strengthening Concrete and Masonry Structures (ACI 549.4R-13).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URL
3 
Alabdulhady, M. Y., Sneed, L. H., and Carloni, C. (2017) Torsion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PBO-FRCM Composite - An Experimental Study. Engineering Structures 136, 393-405.DOI
4 
Aljazaeri, Z. R., and Myers, J. M. (2017) Strengthening of Reinforced-Concrete Beams in Shear with a Fabric-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21(5), 04017041.DOI
5 
ASTM E965-96 (2006)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Pavement Macrotexture Depth Using a Volumetric Techniqu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6 
Awani, O., El-Maaddawy, T., and Ismail, N. (2017) Fabric-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A Promising Strengthening Technique for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32, 94-111.DOI
7 
Awani, O., Refai, A. E., and Maaddawy, T. E. (2015) Bond Characteristics of Carbon Fabric-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in Double Shear Tes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01, 39-49.DOI
8 
Babaeidarabad, S., Loreto, G., and Nanni, A. (2014) Flexural Strengthening of RC Beams with an Externally Bonded 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18(5), 04014009.DOI
9 
Carozzi, F. G., Bellini, A., D’Antino, T., Felice, G., Focacci, F., Hojdys, L., Laghi, L., Lanoye, E., Micelli, F., Panizza, M., and Poggi, C. (2017)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ensile and Bond Properties of Carbon-FRCM Composites for Strengthening Masonry Elements. Composites Part B 128, 100-119.DOI
10 
Cho, H. C., Lee, D. H., Ju, H., Kim, K. S., Kim, K. H., and Monteiro, P. J. M. (2015) Remaining Service Life Estim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Based on Fuzzy Approach. Computers and Concrete 15(6), 879-902.URL
11 
Choi, D., Vachirapanyakun, S., Ochirbud, M., Naidangjav, U., Ha, S., and Kim, Y. (2021) Tensile Performance, Lap-Splice Length and Behavior of Concretes Confined by Prefabricated C-FRCM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15(45), 761-778.DOI
12 
Collins, M. P., and Mitchell, D. (1991)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Prentice-Hall, 766.URL
13 
D’Ambrisi, A., Feo, L., and Focacci, F. (2013) Experimental Analysis on Bond between PBO-FRCM Strengthening Materials and Concrete. Composites Part B 44, 524-532.DOI
14 
D’Antino, T., Sneed, L. H., Carloni, C., and Pellegrino, C. (2015) Influence of the Substrate Characteristics on the Bond Behavior of PBO FRCM-Concrete Join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01, 838-850.DOI
15 
Escrig, C., Gil, L., Maso, E. B., and Puigvert, F. (2015)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Reinforced Concrete Beams Shear Strengthened with Different Types of Textile-Reinforced Morta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 83, 248- 260.DOI
16 
Hadad, H. A., Erickson, B., and Nanni, A. (2020) Flexural Analysis and Design of FRCM-Strengthened RC Beam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44, 118371.DOI
17 
ISO/TC 71/SC6(2015) Fibre-Reinforced Polymer (FRP) Reinforcement of Concrete - Test Methods - Part 2: FRP Sheet (ISO 10406-2:2015).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35.URL
18 
Jo, M., Kim, H., Lee, Y., Kim, D., and Kim, K. (2022)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Flexural Behavior of FRCM System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Textile Grid and AL Powd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23, 126552.DOI
19 
Ju, H., Han, S. J., Cho, H. C., Lee, D. H., and Kim, K. S. (2016) Flexural Performance of Slabs Strengthened by Fiber-Reinforced Polymer Sheet with Hydrophilic Epxoy.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8(1), 85-94.DOI
20 
Ju, H., Han, S. J., Kim, K. S., Strauss, A., and Wu, W. (2020) Multi-Potential Capacity fo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nder Pure Torsion.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75(3), 401-414.URL
21 
Ju, H., Lee, D. H., Cho, H. C., Kim, K. S., Yoon, S., and Seo, S. Y. (2014) Application of Hydrophilic Silanol-Based Chemical Grout for Strengthening Damaged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Material 7(6), 4823-4844.DOI
22 
KATS (2019) Standard Test Method for Making and Curing Concrete Specimens (KS F 2403).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 Standard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23 
Kolsch, H. (1998) Carbon Fiber Cement Matrix (CFCM) Overlay System for Masonry Strengthening.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2(2), 105-109.DOI
24 
Koutas, L. N., Tetta, Z., Bournas, D. A., and Triantafillou, T. C. (2019)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with Textile Reinforced Mortar: State-of-the-Art Review.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23(1), 03118001.DOI
25 
Lee, D. H., Han, S. J., and Kim, K. S. (2016) Dual Potential Capacity Model for Reinforced Concrete Beams Subjected to Shear. Structural Concrete 17(3), 1443-1456.DOI
26 
Napoli, A., and Realfonzo, R. (2015)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SPG/SRG Systems: Experimental Investiga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93, 654-677.DOI
27 
Sneed, L. H., Verre, S., Carloni, C., and Ombres, L. (2016) Flexur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Steel-FRCM Compostie. Engineering Structures 127, 686-699.DOI
28 
Tetta, Z. C., Koutas, L. N., and Bournas, D. A. (2015) Textile- Reinforced Mortar (TRM) Versus Fiber-Reinforced Polymers (FRP) in Shear Strengthening of Concrete Beams. Composites Part B 77, 338-348.DOI
29 
Younis, A., Ebead, U., and Shrestha, K. (2020) Tensile Characterization of Multi-Ply 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Strengthening Systems. Structural Concrete 21, 713-723.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