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섬유 보강 콘크리트, 휨 인성, 콘크리트 밀도, 섬유보강지수
fiber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toughness, concrete density, fiber reinforcing index

1. 서 론

저탄소에 대한 국제적 이슈 및 자원보전에 대한 환경보전의 요구 증가로 콘크리트 산업에서도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인공 경량골재의 관심과 적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Liapor 2022). 최근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경량화를 위하여 경량골재 적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다공성 구조의 경량골재는 천연골재에 비해 강도 및 강성이 낮은 구조적 단점이 있다. 더불어 경량골재 콘크리트(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는 보통 콘크리트(normal- weight concrete, NWC)에 비해 인장강도 및 균열 저항성이 낮고 균열의 진전은 주로 경량골재를 관통하여 진행되므로 연성도 낮다(fib 2000, ACI 2014). 이에 따라 경량골재 콘크리트 구조부재에서 균열 저항성 및 연성 향상은 사용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Yang et al. 2021).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향상 및 취성특성의 개선측면에서 섬유의 사용은 효율적이다(ACI 2018). 콘크리트 보강섬유들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등의 합성섬유, 셀룰로우스 및 바잘트 등의 천연섬유, 그리고 강섬유 등으로 구분된다(Shafei et al. 2021). 이들 중 강섬유는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에 비해 길이가 길고 단부에 훅크 등의 이형 처리를 통해 시멘트 메트릭스와의 부착성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계수도 높아 균열 면에서 가교작용을 통한 균열제어 효과가 좋다. 이에 따라 강섬유는 콘크리트 균열제어 및 연성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강재 중의 하나이다(Yang et al. 2015; Larsen and Thorstensen 2020). 하지만 강섬유 보강에 의한 인장강도 및 연성향상 효과는 주로 NWC에서 평가됨(Jeong et al. 2018)으로서 강섬유 보강 LWAC의 연성평가는 여전히 부족하다.

Hassanpour et al.(2012)은 쪼갬인장강도 및 휨강도의 증가에 대한 섬유 보강의 영향은 NWC에서보다 LWAC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남을 보였다. LWAC의 휨 인성 향상측면에서는 강섬유 단독 사용보다는 강섬유와 합성섬유의 조합사용을 추천하였다. Ye et al.(2020)은 마이크로 강섬유, 단부 훅크형 강섬유 및 물결형상 강섬유를 체적비 2 %까지 혼입한 LWAC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실험에서 마이크로 강섬유가 LWAC의 인장강도 및 휨 인성 향상에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Li et al.(2017)은 LWAC의 휨 인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강섬유 보강 체적비는 2 %로 제안하였다. 특히 이들은 강섬유 보강은 경량골재와 시멘트 매트릭스 사이의 낮은 계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LWAC의 휨 인성 향상측면에서 강섬유의 보강효과가 우수하다는 실험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 인성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및 밀도 그리고 섬유변수(형상, 형상비, 인장강도, 분산성, 시멘트 메트릭스와의 부착강도 및 체적비 등)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LWAC의 휨 인성 평가에 대한 경험적 또는 수치해석적 모델은 여전히 미흡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치해석을 통하여 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휨 하중-변위 곡선을 예측하고 그로부터 ASTM C1018(1997)에서 정의된 휨 인성지수를 평가하는 것이다.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 하중-변위 곡선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면분할법을 도입하였다. 이때 섬유 보강 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 FRC)의 압축 및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는 섬유 영향을 고려한 Lee et al.(2022)의 모델을 이용하였다. FRC 보의 소요 인성에 대한 섬유상세를 결정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고려한 변수연구를 통해 휨 인성지수를 단순 식으로 모델링하였다.

2. FRC 보의 휨 하중-변위 관계

2.1 단면분할법

Mobasher et al.(2015)은 FRC 보의 하중-변위 관계를 평가하고 실험결과와의 비교로부터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역산정(inverse analysis)하는데 있어서 단면 분할법이 효율적임을 보였다. Fig. 1에는 휨을 받는 FRC 보의 변형률 및 응력 분포를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압축 및 인장응력 분포는 섬유 보강의 효과를 반영하였다. 따라서 인장측에서 콘크리트는 균열발생 이후에도 섬유의 가교작용에 의해 응력을 전달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단면분할법에서 고려된 기본 이론은 베르누이(Bernoulli)의 원리 및 압축과 인장 합력의 평형조건이다. 위험 단면에서 단면분할법에 의한 FRC 보의 하중-변위 산정 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Fig. 2): 1) 압축연단의 변형률을 증분한다; 2) 주어진 압축연단 변형률에 대해 중립축을 가정하고 변형률 선형 분포로부터 각 미소요소에서의 변형률을 산정한다; 3) 압축 및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로부터 각 미소 요소에서의 응력을 산정하고 압축 및 인장합력을 산정한다; 4) 압축 및 인장력의 평형조건이 만족하면 중립축을 결정하고, 만일 만족하지 않으면 단계 2)로부터 다시 반복 수행한다; 5) 결정된 중립축으로부터 곡률 및 모멘트를 산정한다; 6) 모멘트로부터 하중값을 산정하고 곡률값으로부터 보 경간 중앙에서 처짐을 산정한다. 이 연구에서 중립축은 이분법(bi-section method)으로부터 결정하였다. 위험단면에서 산정된 곡률로부터 보의 처짐은 모멘트 면적법으로부터 산정하였다(Fig. 3). 보의 위험단면에서 균열 발생 전까지는 보 길이를 따른 선형 곡률분포가 고려되었다. 초기 휨 균열 발생 후에는 균열집중 구간을 고려하여 비선형 소성 영역($l_{p}$)을 고려하여 처짐이 산정되었다(Soranakom and Mobasher 2007). 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에서 균열 발생 후 $l_{p}$는 인장연단에서부터 중립축까지 거리로 가정하였다(Vandewalle et al. 2002). 보 경간 중앙에서의 처짐($\delta_{i}$)은 Fig. 3에서 고려된 곡률분포에 대해 모멘트 면적법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산정될 수 있다.

(1a)
$\delta_{i}=\phi_{i}\left(\dfrac{L^{2}}{8}-\dfrac{a_{1}^{2}}{6}\right)$ for $\phi_{i}\le\phi_{cr}$
(1b)
$\delta_{i}=\dfrac{\phi_{cr}}{3}\left(a_{1}-l_{p}\right)^{2}+\dfrac{\phi_{i}}{2}\left\{\left(\dfrac{L}{2}\right)^{2}-\left(a_{1}-l_{p}\right)^{2}\right\}$ for $\phi_{i}>\phi_{cr}$

여기서, $\phi_{i}$는 보 경간 중앙에서의 곡률 값을, $L$은 보의 지점 간 길이를, $a_{1}$은 가력점부터 지점까지의 거리를, $\phi_{cr}$은 초기 휨 균열이 발생하는 시점의 곡률 값이다.

Fig. 1 Distribution of strains and stresses along beam depth at $i$ th loading stage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1.png
Fig. 2 Flow chart for section lamina analysis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2.png
Fig. 3 Typical curvature distribution along the beam length under four-point bending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3.png

2.2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에 대한 모델식은 여전히 부족하다. 특히 NWC에 비해 더 취성파괴 모드를 보이는 LWAC의 응력-변형률 관계에 대한 섬유 보강의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Liu et al.(2019)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에서 최대응력 이후 하강 기울기에 대한 강섬유의 영향은 NWC보다는 LWAC에서 더 현저하게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압축강도($f_{ck}$)와 기건밀도($\rho_{c}$) 그리고 섬유 보강의 영향을 고려한 Lee et al.(2022)의 모델을 이용하였다. Lee et al.(2022)은 콘크리트의 균열저항성 및 인성 향상에 미치는 다양한 섬유변수(길이, 형상비, 체적비, 분산성, 인장강도 및 시멘트 메트릭스와의 부착강도 등)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섬유보강지수($\beta_{f}$)를 다음과 같이 도입하였다.

(2)
$\beta_{f}=\sum_{i=1}^{n}g_{i}V_{f,\: i}S_{f,\: i}^{0.1}\sqrt{\tau_{i}/f_{ck}}$

여기서, $i$는 각 콘크리트에 혼입된 섬유 유형을, $g$는 불연속 섬유의 유효계수를, $V_{f}$와 $S_{f}$는 각각 섬유 체적비와 형상비를, $\tau$는 시멘트 매트릭스와 섬유의 계면접착강도를 나타낸다. 불연속성을 갖는 각 섬유의 유효계수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Li et al.(1996)의 제안 값에 따라 일반 강섬유 및 마이크로 강섬유에서 각각 2.9 및 2.0을 적용하였다.

Lee et al.(2022)은 FRC의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섬유 보강 없는 일반 콘크리트의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에서 $\beta_{f}$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3a)
$f_{c}=\left[\dfrac{(\beta_{1}+1)(\epsilon_{c}/\epsilon_{0f})}{(\epsilon_{c}/\epsilon_{0f})^{\beta_{1}+1}+\beta_{1}}\right]$
(3b)
$E_{cf}=\left(0.098\beta_{f}+1\right)E_{c}$
(3c)
$E_{c}=8470(f_{ck})^{1/3}\left(\dfrac{\rho_{c}}{\rho_{0}}\right)^{1.17}$
(3d)
$\epsilon_{0f}=\left(0.093\beta_{f}+1\right)\left[0.0016\exp\left\{240\left(\dfrac{f_{ck}}{E_{c}}\right)\right\}\right]$
(3e)
$\beta_{1}=0.15\exp(0.86\zeta)$ for $\epsilon_{c}\le\epsilon_{0f}$
(3f)
$\beta_{1}=0.34\exp(0.35\zeta)$ for $\epsilon_{c}>\epsilon_{0f}$
(3g)
$\zeta =\left(\dfrac{f_{ck}}{f_{0}}\right)^{0.47}\left(\dfrac{\rho_{0}}{\rho_{c}}\right)^{-0.8}\left(\beta_{f}\right)^{-0.18}$

여기서, $f_{c}$는 압축 변형률 $\epsilon_{c}$에서의 압축응력을, $\epsilon_{0f}$는 최대응력 시점에서의 변형률을, $E_{c}$는 무보강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E_{cf}$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beta_{1}$은 응력-변형률 관계의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의 기울기를, $f_{0}$와 $\rho_{0}$는 각각 콘크리트 압축강도(=10 MPa) 및 기건밀도(=2,300 kg/㎥)의 참고 값이다. FRC의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를 제시하기 위한 Lee et al.(2022)의 연구에서 주요 변수 범위는 다음과 같다: $f_{ck}$는 21 MPa에서 100 MPa; $\rho_{c}$는 1,500 kg/㎥에서부터 2,300 kg/㎥; $\beta_{f}$는 0.1에서부터 4.0이다. 위 식에 따르면 $\beta_{f}$가 증가할 때 최대응력 이전의 응력증가 기울기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최대응력 이후 응력감소 기울기는 완만하게 된다. 특히 최대응력 시점에서 발생하는 균열면에서 섬유의 가교작용에 의한 응력전달을 통하여 최대응력 이후 하강 기울기에 개선에 대한 $\beta_{f}$의 영향이 현저하다.

2.3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

콘크리트의 직접 인장 응력-변형률의 전체 거동에 대한 시험은 콘크리트의 분리파괴(separation failure)에 의한 급격한 취성파괴 특성으로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FRC의 인장-응력 변형률에 대한 일반화된 모델도 매우 부족하다. FRC의 인장-응력 변형률을 모델링하기 위하여 보의 휨 하중-변위로부터 역으로 인장거동을 산정하는 역해석(inverse analysis)이 주로 이용된다. RILEM TC 162(Vandewalle et al. 2002)는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인장 응력-변형률 및 인장-균열 폭을 산정하기 위한 역해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fib$ 2010(2010)은 FRC의 인장 응력-변형률 거동을 최대응력까지 2선형, 최대응력 이후 2선형인 전체 4선형으로 일반화하였다. 하지만 인장 응력-변형률 거동을 결정하는 각 선형의 교차점에 대한 특정 값들에 대해서는 명확한 언급이 없으며, 보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역해석으로 결정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Lee et al.(2022)은 FRC 보의 휨 하중-변위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험결과를 이용한 역해석으로부터 $fib$ 2010의 일반화된 인장 응력-변형률 거동에서 각 선형의 교차점에 대한 특정값을 결정하여 모델링하였다(Fig. 4).

역해석에서 FRC의 초기 기울기를 나타내는 인장 탄성계수는 압축 탄성계수($E_{cf}$)와 동일하게 있음을 고려하였다. FRC의 직접 인장강도($f_{t}$)는 초기 휨 균열강도의 함수($\lambda_{1}f_{cr}$)로 고려하였다. 인장강도의 90 % 지점에서 미세균열의 발생과 함께 초기 기울기가 감소되게 되는데, 이를 $\alpha_{1}E_{cf}$로 나타내었다. 최대 인장응력 이후에는 보강섬유 변수에 따라 연화(softening) 또는 경화(hardening) 거동이 관찰되게 된다. 보강섬유 양이 적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연화거동이, 보강섬유 양이 많은 경우에는 경화거동이 확인된다(Abdallah et al. 2018). 이를 고려하여 최대 인장응력 이후 2선형 거동을 $\alpha_{2}E_{cf}$와 $\alpha_{3}E_{cf}$로 변수화하였다. 다양한 변수조건의 FRC 보의 휨 하중-변위 관계에 대한 실험결과를 이용한 역해석으로부터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결정하는 변수들인 $\lambda_{1}$, $\alpha_{1}$, $\alpha_{2}$ 및 $\alpha_{3}$을 산정한 후 주요 영향변수들($f_{ck}$, $\rho_{c}$ 및 $\beta_{f}$)에 대해 회귀분석을 통하여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Lee et al.(2022)이 제안한 FRC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a)
$\sigma_{t}=E_{cf}\epsilon_{f}$ for $\epsilon_{t}\le\epsilon_{cl}\left(=\dfrac{0.9f_{t}}{E_{cf}}\right)$
(4b)
$\sigma_{t}=0.9f_{t}+\alpha_{1}E_{cf}(\epsilon_{t}-\epsilon_{cl})$ for $\epsilon_{cl}<\epsilon_{t}\le\epsilon_{t0}$
(4c)
$\sigma_{t}=f_{t}+\alpha_{2}E_{cf}(\epsilon_{t}-\epsilon_{t0})$ for $\epsilon_{t0}<\epsilon_{t}\le\epsilon_{ts}$
(4d)
$\sigma_{t}=f_{ts}+\alpha_{3}E_{cf}(\epsilon_{t}-\epsilon_{ts})$ for $\epsilon_{t}>\epsilon_{ts}$
(4e)
$\epsilon_{t0}=\dfrac{0.9f_{t}}{E_{cf}}+\dfrac{0.1f_{t}}{\alpha_{1}E_{cf}}$
(4f)
$f_{ts}=f_{t}+\alpha_{3}E_{cf}(\epsilon_{ts}-\epsilon_{t0})$
(4g)
$\epsilon_{ts}=\dfrac{\epsilon_{t0}+w_{k}}{3d_{a}}$
(4h)
$w_{k}=\dfrac{0.8G_{F}}{f_{t}}$
(4i)
$G_{F}=\left[G_{F}^{\infty}\left\{1+9\left(\dfrac{\rho_{c}}{\rho_{0}}\right)^{-0.35}\right\}^{-0.5}\right]\left(1+\beta_{f}^{0.75}\right)$
(4j)
$G_{F}^{\infty}=0.03\ln\left\{\xi_{a}(f_{ck})^{0.5}\right\}+0.135$
(4k)
$\xi_{a}=\min\left(d_{a}^{1.25},\: 13.45\right)$ for $\rho_{c}<\rho_{0}$
(4l)
$\xi_{a}=d_{a}$ for $\rho_{c}\ge\rho_{0}$
(4m)
$f_{t}=\lambda_{1}f_{r}$
(4n)
$\lambda_{1}=0.48\left\{\left(\dfrac{\rho_{c}}{\rho_{0}}\right)^{1.2}\beta_{f}^{0.2}\right\}^{-0.23}$
(4o)
$f_{r}=1.02\left(1+\beta_{f}^{0.75}\right)\left\{\left(f_{ck}\right)^{0.6}\left(\dfrac{d_{0}}{d_{a}}\right)^{0.1}\left(\dfrac{\rho_{c}}{\rho_{0}}\right)^{1.5}\right\}^{0.7}$
(4p)
$\alpha_{1}=0.38\left\{\left(\dfrac{f_{ck}}{f_{0}}\right)^{1.4}\left(\dfrac{\rho_{c}}{\rho_{0}}\right)^{1.1}\beta_{f}^{-0.1}\right\}^{-0.76}$
(4q)
$\alpha_{2}=0.029\ln\left\{\left(\dfrac{f_{ck}}{f_{0}}\right)^{-0.1}\left(\dfrac{\rho_{c}}{\rho_{0}}\right)^{1.1}\beta_{f}^{1.4}\right\}-0.037$
(4r)
$\alpha_{3}=-0.003\ln\left\{\left(\dfrac{f_{ck}}{f_{0}}\right)^{0.9}\left(\dfrac{\rho_{c}}{\rho_{0}}\right)^{-1.6}\beta_{f}^{-1.1}\right\}+0.0016$

여기서, $\sigma_{t}$는 인장변형률 $\epsilon_{t}$에서의 인장응력을, $\epsilon_{t0}$는 $f_{t}$에 해당하는 변형률을, $\epsilon_{ts}$와 $f_{ts}$는 각각 최대 인장응력 이후 변형률과 인장강도를, $\lambda_{1}$, $\alpha_{1}$, $\alpha_{2}$ 및 $\alpha_{3}$은 인장응력-변형률 각 구간에 도입된 매개변수를, $G_{f}$는 콘크리트 파괴에너지를, $G_{F}^{\infty}$는 콘크리트 극한 파괴에너지를, $w_{k}$는 인장 파괴면에서 균열 폭의 진전 변위(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 CMOD)를, $\xi_{a}$는 콘크리트 파괴에너지에서 골재직경($d_{a}$)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도입한 변수이다. FRC의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Lee et al.(2022)의 연구에서 주요 변수 범위는 다음과 같다: $f_{ck}$는 21 MPa에서 100 MPa; $\rho_{c}$는 1,500 kg/㎥에서부터 2,300 kg/㎥; $\beta_{f}$는 0.1에서부터 4.0이다.

Fig. 4 Generalization of the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4.png

2.4 실험결과와의 비교

Fig. 5에는 위에서 제시된 압축 및 인장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여 단면분할법에 의해 산정된 FRC 보의 휨 하중-변위 관계에 대한 예측값과 실험결과의 비교를 나타내었다. 비교에 이용된 실험결과는 $f_{ck}$, $\rho_{c}$, 및 $\beta_{f}$의 변화를 고려하여 Li et al.(2017)Feng et al.(2018)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들을 선택하였다. 전반적으로 해석결과는 주요 변수들의 변화에 관계없이 FRC 보의 최대내력 및 하중-변위 곡선의 상승부와 하강부 기울기에 대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일반적으로 보강 섬유양의 증가와 함께 FRC 보의 최대내력은 증가하며 최대내력 이후 하강 기울기는 완만해지면서 임의의 $\beta_{f}$값 이상에서는 연화현상에서 경화현상으로 바뀌기도 한다. 해석결과는 이러한 경향을 잘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Fig. 2에 나타낸 단면분할법은 FRC 보의 휨 하중-변위 관계의 평가에 합리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Fig. 5 Comparison of experimental flexural load-deflection curves and predictions using a section lamina approach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5.png

3. FRC 보의 휨 인성

3.1 휨 인성지수 개요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 인성 평가를 위한 ASTM C1018 (1997)는 2006년도 이후 더 이상 개정되지 않고 있으며, ASTM C1609(2012)가 추가로 제정되었다. ASTM C1609에서 제시하는 휨 인성은 보의 처짐 양이 경간의 $L$/150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하중-변위 곡선의 면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반면 ASTM C1018에서 제시하는 휨 인성 지수는 보의 하중-변위 관계에서 초기 휨 균열 발생 시까지의 면적대비 초기 휨 균열 발생 시 변위의 3배, 5.5배, 10.5배 및 15.5배까지 산정한 면적들의 비로서 상대적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Fig. 6). Fig. 6에서 A, B, C, D, E는 특정 변위까지 하중-변위 관계의 면적이다. 이 방법은 섬유가 휨 균열 발생 이후 균열면에서 가교작용에 의한 휨 응력 전달을 통하여 인성이 향상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FRC의 휨 인성지수를 상대 값 개념의 ASTM C1018에 따라 평가하였다.

Fig. 6 Flexural toughness index identified in ASTM C1018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6.png

3.2 변수연구(parametric study)

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 인성지수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을 평가하고 단순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단면분할법을 이용한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변수연구에서 FRC 보의 휨 인성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의 변화 범위는 다음과 같다: $f_{ck}$는 21 MPa에서 100 MPa; $\rho_{c}$는 1,500 kg/㎥에서부터 2,300 kg/㎥; $\beta_{f}$는 0.1에서부터 4.0; $d_{a}$는 13 mm에서부터 25 mm. 이들 변수의 변화에 따라 단면분할법에 의해 산정된 하중-변위 관계로부터 ASTM C1018에 의해 휨 인성지수를 평가하였다. ASTM C1018에 따라 보의 단면크기는 150×150 mm, $L$은 450 mm로서 $L$/3 위치에서 상부 2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이 변수연구의 전체적인 절차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되었다. 변수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FRC 보의 휨 인성지수에 대한 각 주요 인자들의 영향을 다음에 분석하였다. 이때 휨 인성지수는 대표적으로 $I_{20}$을 선택하여 각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3.2.1 콘크리트 압축강도 영향

콘크리트 압축강도 증가에 따른 $I_{20}$ 값들의 변화를 Fig. 7(a)에 나타내었다. 이 때 $\beta_{f}$와 $d_{a}$는 각각 1.85와 19 mm로 고정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으로서 $f_{ck}$가 증가할수록 $I_{20}$ 값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감소 기울기는 $\rho_{c}$에 의한 영향이 미미하였다. 콘크리트의 균열은 $f_{ck}$가 높을수록 더 급격하게 진전하며, 국부파괴 영역도 작게 있어 최대 내력 이후 하중감소 기울기가 더 급격하다(Sim et al. 2014). 이로 인해 콘크리트 인성향상에 대한 섬유 보강의 영향은 $f_{ck}$가 높을수록 다소 적게 나타났다.

Fig. 7 Effect of different parameters on flexural toughness indices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7.png

3.2.2 콘크리트 밀도 영향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d_{a}$가 각각 24 MPa와 19 mm일 때 $\rho_{c}$ 변화에 따른 $I_{20}$ 값들의 변화를 Fig. 7(b)에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밀도가 낮을수록 $I_{20}$ 값은 낮게 나타났다. 이때 콘크리트 밀도와 $I_{20}$ 값의 관계에 대한 기울기는 $\beta_{f}$가 클수록 약간 완만하였다. 일반적으로 LWAC에서 균열은 경량골재를 관통하면서 진전되기 때문에 균열 폭은 NWC에 비해 더 크다. 이로 인해 균열 면에서 섬유의 가교작용에 의한 응력전달은 $\rho_{c}$가 낮은 콘크리트에서 더 낮게 있다. 따라서 $\rho_{c}$가 낮은 LWAC의 휨 인성이 동일 압축강도를 갖는 NWC와 동등 수준으로 있기 위해서는 NWC에 비해 더 많은 섬유 양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향은 $\rho_{c}$가 낮을수록 현저하게 나타났다.

3.2.3 섬유 보강 지수의 영향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d_{a}$가 각각 24 MPa와 19 mm일 때 $\beta_{f}$ 변화에 따른 $I_{20}$ 값들의 변화를 Fig. 7(c)에 나타내었다. 일반적 경향과 같이 $\beta_{f}$가 증가할수록 $I_{20}$ 값들은 증가하였다. 이들 증가 기울기는 선형비례보다는 비선형으로 나타났는데, 임의의 $\beta_{f}$ 값 이상에서 $I_{20}$ 값들의 증가 기울기는 완만하게 변하였다. 예를 들면, $f_{ck}$가 24 MPa인 NWC에서 $\beta_{f}$ 값이 1.35~1.75를 기점으로 휨 인성 지수 증가 기울기는 완만하게 변하였다. 이 경향에 대한 $\rho_{c}$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즉, 보강 섬유 양이 상당히 증가하여도 콘크리트 휨 인성지수 증가는 $\rho_{c}$와 관계없이 다소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3.2.4 골재직경의 영향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beta_{f}$가 각각 27 MPa와 1.85일 때 $d_{a}$ 변화에 따른 $I_{20}$ 값들의 변화를 Fig. 7(d)에 나타내었다. 섬유 보강 NWC 보에서 $I_{20}$ 값은 $d_{a}$가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LWAC에서는 $d_{a}$에 의한 영향이 미미하였다. Sim et al.(2014)은 무보강 콘크리트 파괴에너지는 균열면에서 골재 맞물림 작용으로 $d_{a}$가 클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FRC의 휨 인성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다. 반면, LWAC에서는 균열이 경량골재를 관통하면서 진전하기 때문에 골재 맞물림 작용에 의한 휨 인성 향상효과는 미미하게 있을 수 있다.

4. FRC 보의 휨 인성 지수 모델링

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소요 휨 인성지수에 대한 섬유 상세를 직접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2장의 단면분할법에서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변수조건에 따라 휨 하중-변위 관계로부터 산정된 휨 인성지수 값들은 회귀분석을 통하여 단순식으로 제시하였다. 이전 절에서 평가한 영향인자($f_{ck}$, $\rho_{c}$, $\beta_{f}$ 및 $d_{a}$)들이 휨 인성지수에 미치는 경향을 고려하면서 반복적 조합을 통한 비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ASTM C1018에서 규정하는 휨 인성지수 값들의 산정 절차를 고려하면 $I_{5}$에서부터 $I_{30}$까지 미치는 각 인자들의 영향은 비슷하게 있다. 단, 섬유 보강 양이 적을 경우 휨 하중-변위 관계가 취성적이라 $I_{30}$ 또는 $I_{20}$을 산정하지 못할 수 있다. FRC 보의 휨 인성지수와 주요 인자들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Fig. 8에 나타내었다. 변수연구 분석에서 나타내었듯이 FRC 보의 휨 인성지수는 $\beta_{f}$ 값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임의의 $\beta_{f}$ 값 이상에서는 그 증가 기울기가 상당히 완만해진다. 이에 따라 회귀분석에서 휨 인성지수 값들은 임의의 값에 수렴하는 포물선 형식을 보였다. 이 경향을 고려하여 FRC 보의 휨 인성지수 값들을 모델링하기 위한 기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5a)
$I_{f}=\exp\left\{A_{1}\left(1-\sqrt{\dfrac{B_{1}}{\xi}}\right)\right\}$
(5b)
$\xi =\left(\dfrac{f_{ck}}{f_{0}}\right)^{-1.25}\left(\dfrac{\rho_{c}}{\rho_{0}}\right)^{2.2}\left(\dfrac{d_{a}}{d_{0}}\right)^{0.5}\left(\beta_{f}\right)^{2.5}$

변수연구 결과들의 회귀분석으로부터 식 (5)에서 $A_{1}$ 값은 $I_{5}$, $I_{10}$, $I_{20}$ 및 $I_{30}$에서 각각 1.75, 2.65, 3.45 및 3.90으로, $B_{1}$ 값은 모든 $I_{f}$ 값들에서 0.001로 제시될 수 있었다. 위 제안모델은 FRC의 휨 인성지수를 평가한 기존 연구들(Yang 2011; Li et al. 2017; Feng et al. 2018; Guler 2018; Ye et al. 2020; Li et al. 2021)에서 얻은 실험값과 비교하였다(Fig. 9). FRC의 역학적 특성 평가에 대한 연구들은 다수 진행되었지만 휨 인성지수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자료는 비교적 많지 않다. 특히 섬유 보강 LWAC의 휨 인성 평가 자료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이에 따라 제안 모델의 검증을 위한 실험결과 비교에서 실험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기존 연구들로부터 정리한 실험 변수 데이터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f_{ck}$는 22 MPa에서 95 MPa; $\rho_{c}$는 1,178 kg/㎥에서 부터 2,300 kg/㎥; $\beta_{f}$는 0에서 부터 4.0; $d_{a}$는 4 mm에서 부터 25 mm이다. 기존 85개 FRC 보의 실험결과에서 얻은 $I_{f}$ 값들에 대해 식 (5)로부터 예측된 값은 매우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Table 1에는 $I_{f}$에 대한 실험결과 대비 예측값 비들의 평균($\gamma_{m}$), 표준편차($\gamma_{s}$) 및 변동계수($\gamma_{v}$)를 나타내었다. 섬유 보강 NWC 보들에서 결정된 $\gamma_{m}$, $\gamma_{s}$와 $\gamma_{v}$ 값들은 $I_{5}$에서는 각각 0.97, 0.08과 0.08, $I_{10}$에서는 각각 0.95, 0.06과 0.07, $I_{20}$에서는 각각 0.95, 0.07과 0.07, $I_{30}$에서는 각각 0.97, 0.1과 0.1이었다. 섬유 보강 LWAC 보들에서 $I_{5}$에서는 $\gamma_{m}$, $\gamma_{s}$와 $\gamma_{v}$는 각각 0.96, 0.07과 0.07, $I_{10}$에서는 각각 0.96, 0.06과 0.06, $I_{20}$에서는 각각 0.96, 0.06과 0.07, $I_{30}$에서는 각각 0.98, 0.08과 0.08이었다. 즉, 제안모델은 보강섬유양 및 콘크리트 밀도에 관계없이 $I_{f}$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Table 1 Statistical values determined from the comparisons of experimental $I_{f}$ values and predictions

Statistical value

$I_{5}$ $I_{10}$ $I_{20}$ $I_{30}$

NWC

LWAC

NWC

LWAC

NWC

LWAC

NWC

LWAC

$\gamma_{m}$

0.97

0.96

0.95

0.96

0.95

0.96

0.97

0.98

$\gamma_{s}$

0.08

0.07

0.06

0.06

0.07

0.06

0.10

0.08

$\gamma_{v}$

0.08

0.07

0.07

0.06

0.07

0.07

0.10

0.08

Fig. 8 Regression analysis for $I_{f}$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8.png
Fig. 9 Comparisons of experimental $I_{f}$ values and predictions by the proposed equations
../../Resources/KCI/JKCI.2023.35.1.049/fig9.png

5. 결 론

이 연구에서는 FRC 보의 휨 인성지수를 평가하기 위한 수치해석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콘크리트 휨 인성향상에 대한 섬유 보강의 영향은 콘크리트 밀도($\rho_{c}$)가 낮을수록 다소 적게 나타났다.

2) 섬유보강지수($\beta_{f}$)가 증가할수록 휨 인성 값들은 증가하는데, 임의의 $\beta_{f}$ 값 이상에서 그 증가 기울기는 완만하게 변하였다.

3) 섬유 보강 NWC 보에서 휨 인성 값들은 골재 크기($d_{a}$)가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LWAC에서는 $d_{a}$에 의한 영향이 미미하였다.

4) 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에 대한 ASTM C1018의 휨 인성지수 값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었다:

$\left.\left. I_{f}=\exp\left\{A_{1}\left(1-\dfrac{\sqrt{0.001}}{\xi}\right.\right.\right)\right\}$;

$\xi =\left(\dfrac{f_{ck}}{f_{0}}\right)^{-1.25}\left(\dfrac{\rho_{c}}{\rho_{0}}\right)^{2.2}\left(\dfrac{d_{a}}{d_{0}}\right)^{0.5}\left(\beta_{f}\right)^{2.5}$

여기서, $A_{1}$값은 $I_{5}$, $I_{10}$, $I_{20}$ 및 $I_{30}$에서 각각 1.75, 2.65, 3.45 및 3.90이다. 실험결과와 제안모델에 의하여 예측한 $I_{5}$, $I_{10}$, $I_{20}$ 및 $I_{30}$ 값들의 비교 결과 그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들은 각각 0.95 이상과 0.1 이하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1학년도 경기대학교 학술연구비(일반연구과제)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Abdallah, S., Rees, D. W. A., Ghaffar, S. H., and Fan, M. (2018)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Hooked-End Steel Fibre Geometry on the Uniaxial Tensile Behaviour of Self-Compacting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78, 484-494.DOI
2 
ACI Committee 213 (2014) Guide for Structur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CI 213R-14).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53.URL
3 
ACI Committee 544 (2018) Guide to Design with Fiber-Reinforced Concrete (ACI 544.4R-18).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39.URL
4 
ASTM C1018 (1997) Standard Test Methods for Flexural Toughness and First Crack Strength of Fibre Reinforced Concret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5 
ASTM C1609/C1609M-12 (2012)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West Conshohocken, PA; ASTM International.URL
6 
Feng, H., Chen, G., Hadi, N. S., Sheikh, M. N., and Zhou, B. (2018) Mechanical Behaviour of Micro-Fine Steel Fibre Reinforced Sulphoaluminate Cement Composi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70, 91-100.DOI
7 
fib (2000)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fib Bulletin 8).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URL
8 
Guler, S. (2018) The Effect of Polyamude Fibers on the Strength and Toughness Properties of Structur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73, 394-402.DOI
9 
Hassanpour, M., Shafigh, P., and Mahmud, H. B. (2012)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Fiber Reinforcement: A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7, 452-461.DOI
10 
Jeong, G. Y., Jang, S. J., Kim, Y. C., and Yun, H. D. (2018) Effects of Steel Fiber Strength and Aspect Ratio on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2), 197-205.URL
11 
Kim, H. Y., Yang, K. H., and Lee, H. J. (2021) Stress-Strain Model for Fiber-Reinforc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Proceedings of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259-260. (In Korean).URL
12 
Lapor (2022) https://www.liapor.com/en.html.Accessed 30 May 2022.URL
13 
Larsen, I. L., and Thorstensen, R. T. (2020) The Influence of Steel Fibres on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A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56, 1-15.DOI
14 
Lee, H. J., Kim, H. Y., and Yang, K. H. (2022) Toughness Evaluation Model of Steel Fiber-Reinforc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Proceedings of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215-216. (In Korean).URL
15 
Li, J. J., Wan, C. J., Niu, J. G., Wu, L. F., and Wu, Y. C. (2017) Investigation on Flexural Toughness Evaluation Method of Steel Fiber Reinforc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31, 449-458.DOI
16 
Li, J. J., Zhao, E. J., Niu, J. G., and Wan, C. J. (2021) Study on Mixture Design Method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Self-Compacting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67, 1-15.DOI
17 
Li, V. C., Mihashi, H., Wu, H. C., Alwan, J., Brincker, R., Horii, H., Leung, C., Maalej, M., and Stang, H. (1996) Micromechanical Models of Mechanical Response of HPFRCC, In: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RILEM Proceedings, 43-100.URL
18 
Liu, X., Wu, T., and Liu, Y. (2019) Stress-Strain Relationship for Plain and Fibre-Reinforc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25, 256-272.DOI
19 
Mobasher, B., Yao, Y., and Soranakom, C. (2015) Analytical Solutions for Flexural Design of Hybrid Steel Fiber Reinforced. Engineering Structures 100, 164-177.DOI
20 
Shafei, B., Kazemian, M., Dopko, M., and Najimi, M. (2021) State-of-the-Art Review of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Polymer and Glass Fibers Used for Fiber-Reinforced Concrete. Materials 14(2), 1-44.DOI
21 
Sim, J. I., Yang, K. H., Lee, E. T., and Yi, S. T. (2014) Effect of Aggregate and Specimen Sizes on Lightweight Concrete Fracture Energy.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ASCE 26(5), 845-854.DOI
22 
Soranakom, C., and Mobasher, B. (2007) Closed-Form Solutions for Flexural Response of Fiber-Reinforced Concrete Beam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133(8), 933-941.DOI
23 
Vandewalle, L., Nemegeer, D., Balázs, G. L., and Barr, B. (2002) RILEM TC 162 - TDF: Test and Design Methods for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 Design of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Using the Sigma-W Method: Principles and Applications. Materials and Structures 35(249), 262-278.URL
24 
Yang, I. H., Kim, K. C., and Joh, C. B. (2015) Flexural Strength of Hybrid Steel Fiber-Reinforced Ultra-High Strength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7(3), 280-287.DOI
25 
Yang, K. H. (2011) Tests on Concrete Reinforced with Hybrid or Monolithic Steel and Polyvinyl Alcohol Fibers. ACI Materials Journal 108(6), 664-672.URL
26 
Yang, K. H., Mun, J. H., and Im, C. R. (2021)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s for Lightweight Concrete Beams. ACI Structural Journal 118(6), 33-45.URL
27 
Ye, Y., Liu, J., Zhang, Z., Wang, Z., and Peng, Q. (2020) Experimental Study of High-Strength Steel Fiber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Toughness Index.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2020, 1-1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