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Export citation EndNote

  1.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2. 경기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부 건축공학전공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Rep. of Korea)
  3. (주)운진하이텍 연구소장 (Research Director, Woonjin Hightech Co., Ltd., Gimpo 10009, Rep. of Korea)
  4.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Incheon 22829, Rep. of Korea)



경량골재 콘크리트, 마이크로 강섬유, 잔류 휨 강도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micro-steel fiber, residual flexural strength

1. 서 론

2000년대 이후 사회・환경적 문제로 인한 국내 바닷모래 및 자갈 채취 제한이 강화됨에 따라 천연골재(normal-weight aggregate, NWA)의 수급은 계속 어려워지고 있다(Moon et al. 2019). 이에 따라 구조용 인공 경량골재(lightweight aggregate, LWA)를 사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에 대한 관심은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LWAC는 보통중량 콘크리트(normal-weight concrete, NWC) 대비 단위용적질량($\rho_{c}$)이 낮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적용 시 운반 및 양중에서의 장점이 있다(Oh et al. 2022). 한편, LWAC는 동일한 압축강도($f_{ck}$)를 갖는 NWC 대비 균열저항성 및 인장강도가 낮은 단점이 주로 제기된다(Gao et al. 1997; Altun and Aktaş 2013). 특히 LWAC에서 발생되는 균열은 주로 골재를 관통하여 진전하므로 NWC에 비해 더 취성적인 파괴특성을 보인다(Sim and Yang 2012). LWAC에서 과다한 균열 폭 진전 및 취성파괴 모드는 $f_{ck}$ 증가와 함께 더 현저하게 나타난다.

콘크리트 배합단계에서 강섬유의 혼입은 굳은 콘크리트의 인성 및 균열제어 향상에 효과적이다(Hassanpour et al. 2012). 특히 마이크로 강섬유는 일반 강섬유에 비해 콘크리트에서 분산성이 우수하고 균열제어에도 더 효과적이다(Kaplan et al. 2021; Son et al. 2021). Lee et al. (2022)은 마이크로 강섬유를 LWAC에 혼입하여 압축거동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 강섬유가 혼입된 LWAC는 일반 강섬유가 혼입된 LWAC에 비해 약 1.2배 높은 압축 인성지수를 보였다. Kim et al. (2023)은 마이크로 강섬유의 보강이 LWAC의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 및 휨 하중-변위 관계에서의 최대 내력 이후 하강부 기울기를 더 완만하게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보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설계기준압축강도($f_{cd}$)가 60 MPa 수준인 고강도 LWAC의 휨 인성 및 균열진전 저항성 향상에 대한 마이크로 강섬유의 효율성 평가이다. LWAC의 휨 인성은 fib 2010 (CEB-FIP 2013)에 따라 휨 응력–균열 폭(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 CMOD) 관계에서 산정된 잔류 휨 강도($f_{R,\: 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LWAC의 $f_{R,\: i}$는 섬유보강지수($\beta_{f}$)의 함수로 평가하고 fib 2010에서 제시된 등급 및 기존 제안모델(Venkateshwaran et al. 2018; Carrilo et al. 2021; Gondokusumo et al. 2021)들과 비교하였다.

2. 실험 상세

2.1 실험 변수

이 연구의 주요 변수인 마이크로 강섬유의 체적비($V_{f}$)는 0 %부터 1.5 %까지 0.25 % 간격으로 변화하여 혼입하였다. 마이크로 강섬유 혼입에 따른 LWAC의 유동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V_{f}$가 0.75 %까지는 후크형 강섬유를 사용하였으며, $V_{f}$가 1.0 % 이상일 때에는 후크형 강섬유의 $V_{f}$ 는 0.75 %로 고정하고, 나머지는 직선형 강섬유를 하이브리드하여 사용하였다.

2.2 재료 특성

배합에 사용된 주요 결합재는 KS L 5201(KATS 2021)을 만족하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를 사용하였다. LWAC의 낮은 단위용적질량($\rho_{c}$)에서 높은 압축강도 발현을 고려하여 실리카 퓸(silica fume, SF) 및 플라이애시(fly ash, FA)를 전체 결합재 중량 대비 각각 15 %와 10 %씩 OPC를 치환하여 사용하였다. 결합재로 사용된 OPC, SF 및 FA의 밀도는 각각 3.15 g/cm3, 2.20 g/cm3 및 2.20 g/cm3이다. 이들의 비표면적은 각각 3,360 cm2/g, 200,000 cm2/g 및 4,200 cm2/g이다.

배합에 사용된 LWA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굵은골재로는 점토를 약 1,200 °C에서 팽창시켜 제조한 최대 직경($d_{a}$) 13 mm의 인공 경량골재($C_{L}$)를 사용하였다. 잔골재로는 $d_{a}$가 4.75 mm인 소성 팽창점토 기반으로 제조된 인공 경량골재($F_{L}$)와 유리를 약 900 °C에서 발포하여 제조한 $d_{a}$가 1 mm인 발포 유리골재(expanded glass particles; $WG$)를 사용하였다. 인공 경량 잔골재와 발포 유리골재는 잔골재 표준입도분포를 고려하여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인공 경량 굵은골재, 잔골재 및 발포 유리골재의 절건밀도는 각각 1.75 g/cm3, 1.55 g/cm3 및 0.62 g/cm3이다. 이들 골재들의 흡수율은 각각 12.2 %, 15.5 % 및 21.2 %이다.

Table 2에는 마이크로 강섬유의 물리・역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 강섬유는 표면을 구리 코팅하여 외부 공기와의 접촉 시 부식을 방지하였다. 마이크로 강섬유는 양쪽 단부의 형상에 따라 후크(hooked-end) 및 직선(straight) 형상으로 구분하였다. 마이크로 강섬유의 길이($L_{f}$)는 각각 30 mm 및 13 mm이며, 직경($d_{f}$)은 각각 0.3 mm 및 0.2 mm이다. 이들 섬유의 형상비($S_{f}$)는 각각 100 및 65이다. 마이크로 강섬유 소선의 인장강도($F_{f}$)와 탄성계수($E_{f}$)는 각각 2,650 MPa 및 200,000 MPa이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used

Type

Shape

Maximum size (mm)

Bulk density

(g/cm3)

Specific density (g/cm3)

Water absorption (%)

Coarse aggregate

$C_{L}$

Round

13

0.88

1.75

12.2

Fine aggregate

$F_{L}$

Crushed

4.75

0.77

1.55

15.5

$WG$

Round

1

0.34

0.62

21.2

Table 2 Properties of micro-steel fibers

Type

$L_{f}$

(mm)

$d_{f}$

(mm)

$S_{f}$ $\tau$

(MPa)

$\rho_{f}$

(g/cm3)

$F_{f}$

(MPa)

$E_{f}$

(MPa)

Hooked-end

25

0.3

83

18.7

7.8

2,650

200,000

Straight

13

0.2

65

8.6

Notes: $L_{f}$, $d_{f}$, $S_{f}$, $\tau$, $\rho_{f}$, $F_{f}$, and $E_{f}$ refer to the length, diameter, aspect ratio, bond stress with cement matrix, density,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of fiber, respectively

2.3 배합 및 측정 상세

LWAC 배합의 $f_{cd}$는 60 MPa이다. 배합에 사용된 LWA는 표면건조 내부포화상태를 고려하여 배합 72시간 전 프리웨팅(prewetting)을 실시한 후 48시간 동안 그늘에서 건조하였다. LWA는 콘크리트 배합 직전 함수율을 측정하고, 이들은 단위수량($W$)에서 보정하였다. LWAC의 배합은 골재의 건비빔 이후 결합재를 투입하여 1분 이상 추가로 건비빔을 실시하였다. 이후 마이크로 강섬유는 배합수과 함께 투입되었다. 모든 배합은 20± 2 °C의 온도와 상대습도 60±5 %인 항온・항습실에서 재령 28일간 양생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S_{i}$) 및 공기량($\upsilon_{A}$)은 각각 KS F 2402(KATS 2022a) 및 KS F 2421(KATS 2016a)에서 제시된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굳은 콘크리트의 $\rho_{c}$ 및 $f_{ck}$는 𝜙100×200 mm 크기의 공시체를 이용하여 KS F 2405(KATS 2022b)에 따라 측정하고, 3개의 시험체에 대한 평균으로 산정하였다. 콘크리트의 휨강도($f_{r}$)는 100×100×400 mm 크기의 보를 이용하여 KS F 2408(KATS 2016b)에 따라 측정하고, 2개의 시험체에 대한 평균으로 산정하였다. 보의 휨 응력–CMOD 관계는 EN 14651 (CEN 2005)에 따라 150×150×550 mm 크기의 시험체 중앙에 폭 5 mm 및 깊이 25 mm의 노치(notch)를 도입한 후 3점 재하 조건에서 평가하였다(Fig. 1). 보에서 노치는 EN 14651(CEN 2005)에 따라 타설 후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습식 절단의 형식으로 도입하였다. 보 경간 중앙에서의 처짐은 25 mm 용량의 변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의 노치 하단 부에서의 균열 폭은 클립 게이지(clip gau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 1 Beam testing setup for measuring flexural stress–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 (CMOD) relationship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1.png

3. 실험 결과

3.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

Table 3에는 LWAC 배합의 $S_{i}$ 및 $\upsilon_{A}$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3에서 시험체 C(control concrete)는 마이크로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기준 시험체이다.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시험체들은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를 이용하여 명명하였다. 예를 들어 시험체 M-0.25는 마이크로 강섬유 체적비가 0.25 %인 LWAC를 의미한다. LWAC 배합의 $S_{i}$는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준 배합 C의 $S_{i}$는 145 mm로 측정되었다. 마이크로 강섬유가 보강된 배합 M-0.5, M-1.0 및 M-1.5의 $S_{i}$는 기준 배합 대비 각각 17.2 %, 31.0 % 및 41.4 % 낮은 수준이었다.

모든 배합에서 $\upsilon_{A}$는 3.7~4.3 %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마이크로 강섬유의 혼입이 $\upsilon_{A}$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또한 모든 배합에서의 $\upsilon_{A}$는 ACI 211.2(ACI 1998)가 제시하는 공기량 요구 범위(=2.0~7.5 %)를 만족하였다.

Table 3 Overview of test results

Specimen

Fresh concrete

Hardened concrete at 28 days

$S_{i}$

(mm)

$v_{A}$

(%)

$\rho_{c}$

(kg/m3)

$f_{ck}$

(MPa)

$f_{r}$

(MPa)

$f_{L}$

(MPa)

Residual flexural strength (MPa)

$f_{R,\: 1}/f_{L}$ $f_{R,\: 3}/f_{R,\: 1}$
$f_{R,\: 1}$ $f_{R,\: 2}$ $f_{R,\: 3}$ $f_{R,\: 4}$

C

145

3.8

1,777

62.7

3.9

1.7

-

-

-

-

-

-

M-0.25

130

4.3

1,799

65.6

6.8

2.1

3.9

4.9

3.3

2.3

1.9

0.8

M-0.5

120

4.1

1,816

67.8

7.8

2.3

4.6

5.9

4.1

3.3

2.0

0.9

M-0.75

110

4.0

1,838

68.7

8.7

2.5

7.5

6.7

6.0

4.1

3.0

0.8

M-1.0

100

4.1

1,851

69.8

9.8

3.2

8.4

8.7

7.7

6.3

2.6

0.9

M-1.25

95

3.9

1,870

79.5

11.2

3.6

9.3

9.6

8.1

7.3

2.6

0.9

M-1.5

85

3.9

1,884

80.5

11.7

3.8

9.5

11.2

9.8

9.0

2.5

1.0

Notes: $S_{i}$ and $v_{A}$ are the slump and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respectively; $\rho_{c}$, $f_{ck}$, and $f_{r}$ are the density,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hardened concrete at age of 28 days, respectively; $f_{L}$ and $f_{R,\: i}$ ($i$ = 1, 2, 3, & 4) are the limit strength the residual flexural strength, respectively, determined from the flexural stress / 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 (CMOD) curve of beams

3.2 재령 28일 압축강도

모든 LWAC 배합의 재령 28일 $f_{ck}$는 $f_{cd}$를 만족하였다(Table 3). Fig. 2에는 마이크로 강섬유가 보강된 LWAC의 $f_{ck}$를 기준 시험체 C의 압축강도($f_{ck(0)}$)로 무차원하여 나타내었다. 시험체 M-0.5, M-1.0 및 M-1.5의 $f_{ck}$는 기준 시험체 C 대비 각각 1.1배, 1.1배 및 1.3배 높았다. 즉,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 증가와 함께 $f_{ck}/f_{ck(0)}$ 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압축하중을 받는 콘크리트는 포와송 효과로부터 횡 변형과 함께 균열의 진전으로 내력이 감소하는데, 이때 마이크로 강섬유의 횡 균열제어 효과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다소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Fig. 2 Effect of $V_{f}$ on compressive strength enhancement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2.png

3.3 압축강도-단위용적질량 관계

Fig. 3에는 LWAC의 $\rho_{c}$와 $f_{ck}$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동일 그림에는 fib 2010(CEB-FIP 2013)에서 제시하는 LWAC의 등급 관계를 함께 나타내었다.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0.25 %, 0.5 %, 1.0 % 및 1.5 %인 시험체의 $\rho_{c}$는 기준 시험체 C 대비 각각 22 kg/m3, 39 kg/m3, 74 kg/m3 및 107 kg/m3 높았다. 이들 값은 혼입된 마이크로 강섬유의 중량과 유사한 값이다.

Fig. 3 Relationship between $\rho_{c}$ and $f_{ck}$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3.png

Fig. 2의 결과와 함께 비교하면 LWAC의 $f_{ck}$는 $\rho_{c}$의 증가와 함께 선형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LWAC의 $\rho_{c}$ 및 $f_{ck}$가 마이크로 강섬유의 혼입양이 많을수록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fib 2010(CEB-FIP 2013)의 LWAC 등급과 비교하면 LWAC 시험체들은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0.5 %까지는 D1.8-L60을 보였으며, $V_{f}$가 0.75 % 이상에서는 D2.0-L80 수준을 보였다.

3.4 휨강도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의 $f_{r}$은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3). 시험체 M-0.5, M-1.0 및 M-1.5의 $f_{r}$은 기준 시험체 C와 비교할 때 각각 2.0배, 2.5배 및 3.0배 높았다. 일반적으로 섬유보강 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 FRC)의 인장저항성은 다양한 섬유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Yang (2011)은 FRC의 인장저항성과 인성 향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 식 (1)로 나타낸 섬유보강지수($\beta_{f}$)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때 식 (1)은 섬유가 혼입된 FRC에서 적용할 수 있다.

(1)
$\beta_{f}=\sum_{j=1}^{n}g_{j}V_{f,\: j}S_{f,\: j}^{0.1}\sqrt{\tau_{j}/f_{ck}}$

여기서, $j$는 각 콘크리트에 혼입된 섬유의 종류를, $g$는 불연속 섬유의 유효계수를, $S_{f}$는 섬유의 형상비를, $\tau$는 시멘트 메트릭스에 대한 섬유의 접착강도(MPa)를 의미한다. 마이크로 강섬유의 불연속 섬유 유효계수는 Li et al. (1996)이 제시한 값을 참고로 2.9를 적용하였다.

Fig. 4에는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에 따른 LWAC의 $f_{r}$을 $f_{ck}$의 루트승($\sqrt{f_{ck}}$)으로 무차원하여 나타내었다. 마이크로 강섬유의 콘크리트 인장저항성 향상을 통하여 LWAC의 $f_{r}/\sqrt{f_{ck}}$는 $V_{f}$ 증가와 함께 선형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0.5 %, 1.0 % 및 1.5 %일 때 $f_{r}/\sqrt{f_{ck}}$는 경량 콘크리트 계수($\lambda$) 값을 적용한 KDS 14 20 30(KCI 2021)의 예측 $f_{r}/\sqrt{f_{ck}}$ 값(=0.47) 대비 각각 2.0배, 2.5배 및 2.8배 높은 수준이었다. Fig. 5에는 시험체들의 $f_{r}$을 0.63$\lambda\sqrt{f_{ck}}$로 무차원하여 나타내었다. KDS 14 20 30의 휨강도 모델로 무차원한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의 $f_{r}$은 $\beta_{f}$ 값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실험결과들의 회귀분석으로부터 마이크로 강섬유로 보강된 고강도 LWAC의 $f_{r}$은 다음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f_{r}=1.98\left(\beta_{f}\right)^{0.29}\left[0.63\lambda\sqrt{f_{ck}}\right]$
Fig. 4 Influence of $V_{f}$ on $f_{r}/\sqrt{f_{ck}}$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4.png
Fig. 5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f_{r}$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5.png

3.5 휨 응력-CMOD 관계

Fig. 6에는 마이크로 강섬유로 보강된 고강도 LWAC 보의 휨 응력–CMOD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때 보의 휨 응력은 EN 14651(CEN 2005)에 따라 작용 모멘트를 단면계수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섬유 무혼입 보는 휨 균열의 진전과 함께 파괴됨으로서 급격한 응력 감소가 나타났다. 반면 마이크로 강섬유로 보강된 보들은 초기 휨 균열 발생 이후에도 내력이 향상되는 경화현상을 보이고, 최대 휨 내력 이후에도 응력감소가 서서히 나타나는 비교적 연성거동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은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0.25 %인 보에서도 명확하게 나타났다. 더불어, 초기 휨 균열 발생 이후의 경화역의 증가는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증가할수록 더 컸다.

일반적으로 FRC의 휨 응력–CMOD 관계에서 최대응력은 CMOD 값 0.05 mm 이후에 도달한다(Kim et al. 2023). EN 14651(CEN 2005)은 휨 응력–CMOD 관계에서 CMOD 값이 0.05 mm일 때의 응력을 비례한도(limit of proportionality) 휨강도($f_{L}$)로 제시하였다. 휨강도 분석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의 $f_{L}$은 $V_{f}$가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체 M-0.5, M-1.0 및 M-1.5의 $f_{L}$은 기준 시험체 C와 비교할 때 각각 1.4배, 1.9배 및 2.2배 높았다.

Fig. 6 Flexural stress– 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 (CMOD) curve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beams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6.png

3.6 잔류 휨 강도

fib 2010(CEB-FIP 2013)은 보의 휨 응력–CMOD 관계에서 CMOD 값이 0.5 mm 및 2.5 mm일 때를 각각 사용한계상태와 극한한계상태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fib 2010에서 FRC 보의 잔류 휨 강도($f_{R,\: i}$)는 CMOD 값이 각각 0.5 mm(=$f_{R,\: 1}$), 1.5 mm(=$f_{R,\: 2}$), 2.5 mm(=$f_{R,\: 3}$) 및 3.5 mm(=$f_{R,\: 4}$)일 때의 휨 응력으로 산정한다. Fig. 7에는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에 따른 LWAC의 $f_{R,\: i}$를 $f_{r}$로 무차원한 값을 나타내었다. $f_{R,\: 1}/f_{r}$ 값은 $V_{f}$가 0.75 %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V_{f}$가 1.0 % 이상에서는 마이크로 강섬유의 영향이 미미하였다. $f_{R,\: 2}/f_{r}$ 값은 $f_{R,\: i}/f_{r}$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대 휨 응력 이후 응력의 하강 기울기가 완만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CMOD 값이 1.5 mm까지는 $V_{f}$가 증가함에 따라 $f_{R,\: 2}$도 함께 증가하였다. $f_{R,\: 3}/f_{r}$과 $f_{R,\: 4}/f_{r}$ 값은 $f_{R,\: 1}/f_{r}$ 값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이들 값은 $V_{f}$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증가함에 따라 고강도 LWAC 보의 인성도 증가하였다. Fig. 8에 따른 실험결과들의 회귀분석으로부터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고강도 LWAC의 $f_{R,\: i}$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Fig. 7 Influence of $V_{f}$ on $f_{R,\: i}/f_{r}$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7.png
Fig. 8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f_{R,\: i}$ of micro-steel fiber-reinforc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AC)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8.png
(3)
$f_{R,\: i}=A_{1}\exp\left[B_{1}\left(\beta_{f}\right)\right]·f_{r}$

여기서, $i$가 1, 2, 3 및 4일 때 실험상수 $A_{1}$는 각각 0.51, 0.44, 0.08 및 0.01로, $B_{1}$은 각각 0.21, 0.13, 0.27 및 0.39로 평가될 수 있었다. fib 2010(CEB-FIP 2013)은 구조부재의 극한한계상태에서 식 (4)를 만족하는 FRC를 전단 보강재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섬유보강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4a)
$f_{R,\: 1}/f_{L}>0.4$
(4b)
$f_{R,\: 3}/f_{R,\: 1}>0.5$

이 연구에서 수행한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고강도 LWAC의 $f_{R,\: 1}/f_{L}$은 1.9~3.0 수준이며, $f_{R,\: 3}/f_{R,\: 1}$은 0.8~1.0 수준이다(Table 3). 이는 고강도 LWAC 부재의 전단 보강재로서 마이크로 강섬유를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7 실험결과와 기존 제안모델과의 비교

Fig. 9에는 FRC의 잔류 휨 강도에 대한 실험결과[$(f_{R,\: i})_{\exp .}$]와 기존 제안모델들(Carrilo et al. 2021; Venkateshwaran et al. 2018; Gondokusumo et al. 2021) [$(f_{R,\: i})_{{pre}.}$]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하였다. FRC의 $f_{R,\: i}$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NWC에 대해 평가되었으며, 특히 마이크로 강섬유 LWAC 보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평가한 $f_{R,\: i}$ 값들은 기존 모델들과의

Fig. 9 Comparisons between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esent tests and predicted residual flexural strengths
../../Resources/KCI/JKCI.2024.36.4.289/fig9.png

비교를 통하여 마이크로 강섬유의 인성향상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Venkateshwaran et al. (2018) 모델은 $\beta_{f}$가 1.8 이하에서 LWAC 보의 $f_{R,\: i}$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과대평가 정도는 $f_{R,\: 1}$과 $f_{R,\: 2}$보다는 $f_{R,\: 3}$과 $f_{R,\: 4}$에서 더 증가하였다. Carrilo et al. (2021) 모델은 $\beta_{f}$와 관계없이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과대평가 정도는 Venkateshwaran et al. (2018) 모델과 비슷하게 $f_{R,\: 1}$과 $f_{R,\: 2}$보다는 $f_{R,\: 3}$과 $f_{R,\: 4}$에서 다소 증가하였다. 반면, Gondokusumo et al. (2021) 모델은 $\beta_{f}$와 관계없이 $f_{R,\: 1}$, $f_{R,\: 2}$ 및 $f_{R,\: 3}$ 값에서 과소평가하였으며, $f_{R,\: 4}$ 값에 대해서는 $\beta_{f}$가 1.8 이하에서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able 4에는 실험결과와 기존 제안모델들에 의한 예측 비[$(f_{R,\: i})_{\exp .}/(f_{R,\: i})_{{pre}.}$]의 평균($\gamma_{m}$)과 표준편차($\gamma_{s}$)를 나타내었다. 전체 $(f_{R,\: i})_{\exp .}/(f_{R,\: i})_{{pre}.}$ 비에 대한 $\gamma_{m}$와 $\gamma_{s}$ 값은 Venkateshwaran et al. (2018) 모델에서 각각 0.98 및 0.28, Carrilo et al. (2021) 모델에서 각각 0.64 및 0.15, Gondokusumo et al. (2021) 모델에서는 각각 1.21 및 0.23이었다. 따라서 일반 매크로 강섬유 보강 NWC 보의 실험결과에 기반하여 제시한 기존 모델들은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 보의 잔류 휨 강도 평가에 있어서 다소 큰 편차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모델들은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 보의 $f_{R,\: i}$ 평가에 대해 보완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할 수 있는 수치적 모델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모델의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Table 4 Statistical comparisons of experimental residual flexural strengths and predictions

Statistical

value

Residual flexural

strength

Prediction model

Venkateshwaran et al. (2018)

Carrilo et al. (2021)

Gondokusumo et al. (2021)

$\gamma_{m}$ $f_{R,\: 1}$

1.13

0.71

1.36

$f_{R,\: 2}$

1.06

0.71

1.34

$f_{R,\: 3}$

0.91

0.60

1.13

$f_{R,\: 4}$

0.80

0.54

1.03

Total

0.98

0.64

1.21

$\gamma_{s}$ $f_{R,\: 1}$

0.27

0.14

0.20

$f_{R,\: 2}$

0.25

0.18

0.19

$f_{R,\: 3}$

0.28

0.14

0.22

$f_{R,\: 4}$

0.33

0.16

0.30

Total

0.28

0.15

0.23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설계기준압축강도($f_{cd}$)가 60 MPa 수준인 고강도 경량골재콘크리트(LWAC)의 잔류 휨 강도($f_{R,\: i}$)에 대한 마이크로 강섬유의 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의 휨강도($f_{r}$)는 KDS 14 20 30(KCI 2021)의 설계 식에서 $1.98\left(\beta_{f}\right)^{0.29}$의 증가율을 고려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beta_{f}$는 섬유보강지수이다.

2)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 보들은 마이크로 강섬유의 $V_{f}$가 0.25 %일 때에도 초기 휨 균열 발생 이후 내력이 향상되는 경화현상을 보이고, 최대 휨 내력 이후에도 응력감소가 서서히 나타나는 비교적 연성거동을 보였다.

3)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의 $f_{R,\: i}$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f_{R,\: i}=A_{1}\exp\left[B_{1}\left(\beta_{f}\right)\right]·f_{r}$; 여기서 $i$가 1, 2, 3 및 4일 때 실험상수 $A_{1}$는 각각 0.51, 0.44, 0.08 및 0.01로, $B_{1}$은 각각 0.21, 0.13, 0.27 및 0.39로 평가될 수 있었다.

4)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고강도 LWAC의 $f_{R,\: 1}/f_{L}$은 1.9~3.0 수준이며, $f_{R,\: 3}/f_{R,\: 1}$은 0.8~1.0 수준이다. 이들 값은 fib 2010(CEB-FIP 2013)에서 제시하는 콘크리트 부재에서 전단 보강재를 대체할 수 있는 기준을 만족하였다.

5) 일반 매크로 강섬유 보강 NWC 보의 실험결과에 기반하여 제시한 기존 모델들은 마이크로 강섬유 보강 LWAC 보의 잔류 휨 강도 평가에 있어서 다소 큰 편차를 보였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o. 2022R1A2B5B0 3002476)입니다.

References

1 
ACI Committee 211.2 (1998) Standard Practice for Selecting Proportions for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ACI 211.2- 98). Farmington Hills, MI: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URL
2 
Altun, F., and Aktaş, B. (2013) Investig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Behavior of Steel Fiber Added Lightweight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8, 575-581.DOI
3 
Carrillo, J., Vargas, J. D., and Alcocer, S. M. (2021) Model for Estimating the Flexural Performance of Concrete Reinforced with Hooked End Steel Fibers Using Three-Point Bending Tests. Structural Concrete 22(3), 1760-1783.DOI
4 
CEB-FIP (2013) fib Model Code for Concrete Structures 2010 (fib 2010).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Structural Concrete (fib), Comite Euro-International du Beton (CEB).URL
5 
CEN (2005) Test Method for Metallic Fibre Concrete - Measuring the Flexural Tensile Strength (Limit of Proportionality (LOP), Residual) (EN 14651:2005). London, UK: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British Standards Institute (BSI).URL
6 
Gao, J., Sun, W., and Morino, K. (1997)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 Fiber-Reinforced,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19(4), 307-313.DOI
7 
Gondokusumo, G. S., Venkateshwaran, A., Tan, K. H., and Liew, J. Y. R. (2021) Unified Equations to Predict Residual Flexural Tensile Strength of Lightweight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Concrete 22(4), 2202-2222.DOI
8 
Hassanpour, M., Shafigh, P., and Mahmud, H. B. (2012)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Fiber Reinforcement - A Review.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7, 452-461.DOI
9 
Kaplan, G., Bayraktar, O. Y., and Memis, S. (2021) Effect of High Volume Fly Ash and Micro-Steel Fiber on Flexural Toughness and Durability Properties in Self-Compacting Lightweight Mortar (SCLM).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07, 124877.DOI
10 
KATS (2016a) Standard Test Method for Air Content of Fresh Concrete by the Pressure Method (Air Receiver Method) (KS F 242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1 
KATS (2016b)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8).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2 
KATS (2021) Portland Cement (KS L 5201).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3 
KATS (2022a) Test Method for Concrete Slump (KS F 2402).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4 
KATS (2022b)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S F 2405). Seoul, Korea: 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A). (In Korean)URL
15 
KCI (2021) Concrete Structure Usability Design Standards (KDS 14 20 30: 2021).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In Korean)URL
16 
Kim, H. Y., Yang, K. H., and Lee, H. J. (2023) Toughness Performance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Reinforced with Steel Fibers. ACI Materials Journal 120(5), 3-14.DOI
17 
Lee, H. J., Kim, H. Y., Yang, K. H., and Lee, J., Y. (2022) Evaluation on Compressive Strength and Toughness Index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ith Expanded Waste- glass Particles and Micro steel Fib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8(5), 251-258. (In Korean)DOI
18 
Li, V. C., Mihashi, H., Wu, H. C., Alwan, J., Brincker, R., Horii, H., Leung, C., Maalej, M., and Stang, H. (1996) Micromechanical models of mechanical response of HPFRCC. In High Performance Fibre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Michigan 11-14 June 1995. Ann Arbor: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Workshop. 43-100.URL
19 
Moon, K. T., Park, S. Y., and Kim, S. E. (2019)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Due to Moisture Condition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s and Curing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9(4), 485-492. (In Korean)DOI
20 
Oh, N. K., Yang, K. H., and Moon, J. H. (2022) Flexural Ductility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hear Walls with Boundary El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4(4), 345-351. (In Korean)DOI
21 
Sim, J. I. and Yang, K. H. (2012) Influence of Specimen Geometries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4(3), 333-340. (In Korean)DOI
22 
Son, M. J., Kim, G. Y., Lee, S. K., Kim, H. S., and Nam, J. S. (2021) Tensile Properties of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According to the Hooked & Smooth Steel Fiber Blending Ratio and Strain Ra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3), 31-39. (In Korean)URL
23 
Venkateshwaran, A., Tan, K. H., and Li, Y. (2018) Residual Flexural Strength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Multiple Hooked-End Fibers. Structural Concrete 19(2), 352-365.DOI
24 
Yang, K. H. (2011) Tests on Concrete Reinforced with Hybrid of Monolithic Steel and Polyvinyl Alcohol Fibers. ACI Materials Journal 108(6), 664-672.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