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 대림산업(주) ()
  2. 충북대학교 교수 ()


환경부하량, LCA, 토공사, 굴착작업
LCA, Earthwork, Environmental Load, Green House Gas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경제규모에 비하여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으며 이는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비중증가에 따른 것이다. 그 중 건설업은 다소비업종의 한 분야이며 건설공사에 대한 효율적인 에너지 절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시공단계는 토목공사가 대형화되면서 기계화시공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많아 에너지소비량 및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이 전체 공정 중 큰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시공단계에서 LCA(Life Cycle Assessment)를 산정할 경우 한 가지 장비로 통일하여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장비와 건설기계 크기 및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한 장비가 투입되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건설분야 에너지 절약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전과정(Life Cycle) 중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소비량, 환경오염물질 배출량, 환경비용 등에 관한 기본적인 DB구축 및 활용방안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일본 표준보괘의 경우 장비 별 대기오염물질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만 국내 표준품셈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에는 환경의 영향이 커지므로 표준보괘나 표준품셈에서는 대기오염물질 기준이 아닌 환경부하량 기준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지경부, 환경부에 의하여 에너지 소비에 대한 전과정 목록분석(Life Cycle Inventory, LCI) DB 작업이 많이 진행되었지만, 이를 활용하여 환경성을 평가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CI DB를 활용한 토공사의 환경성 평가와 환경오염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분석하여 현재 건설초기단계인 기획단계에서 환경성 분석을 통한 장비조합의 객관적인 의사결정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일반적으로 모든 토목공사의 기초는 토공사이며 총 공사비의 25~50%를 차지하는데 이는 대부분 기계화시공으로 이루어져 환경부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의 건설공사에서의 LCA산정 연구는 자재의 환경부하량 산출방법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수행되었다. 그리고 일부 연구에서는 시공단계에서의 환경부하량이 산정된 자료가 있다. 그러나 산정 방법이 이미 시공된 자료의 경유사용량이나 대한건설진흥회의 건설장비 작업량 데이타로 일괄적으로 환경부하량을 산정하였고 토공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범위를 표준품셈을 바탕으로 토공사의 불도저와 굴삭기의 환경부하량 산정을 연구범위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설계 토공량 4,000m3 작업 시 환경부하량을 산정하여 최적의 장비조합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굴삭작업 시 사용되는 경유에 대한 환경부하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LCA기법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공사 환경부하량산정 방법을 제시하고 토공사에서의 환경부하량을 기존의 연구보다 정확히 산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3 연구동향

국내・외에서는 건설분야 LCA관련하여 많은 연구는 진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일부 해체 및 폐기 단계에서의 환경부하량 산정 연구 또는 자재에 대한 환경부하량 산정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지만 아직 건설관련 LCA분석이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어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박광호(2000)는 고속도로 시공단계에서 투입되는 건설자재의 생산단계, 시공단계, 유지보수단계, 해체 및재활용단계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량을 평가하였다. 각 단계에서의 환경부하량은 단계별 에너지 소비량에 에너지원별 환경오염물질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LCA의 개념

LCA란 어떤 제품, 공정, 활동과 관련된 환경적 부담을 사용된 물질, 에너지 그리고 환경에 배출된 폐기물을 규명하여 정량화하고 이러한 에너지의 사용과 환경배출의 영향을 평가하여 환경개선을 위한 기회를 찾아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건설부문 LCA는 건설사업에 요구되는 자재들의 제조공정과 이들을 조합하여 공공시설물의 전 과정동안 발생되는 환경부하 즉, 오염, 폐수, 비산먼지 등을 정량화하여 환경성능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의사결정도구로서 건설환경에 대한 사후처리 개념이 아닌 사전예방을 통하여 오염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방법이며, 앞으로 ‘환경과 조화로운 지속 가능한 개발’의 이념을 실현시킬 수 있는 환경성 평가도구이다.

2.2 LCA 방법론

LCA는 ISO 14001의 환경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LCA의 순서는 목적 및 범위설정(Goal and Scope Definition), 목록분석(Inventory Analysis),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 결과해석(Interpretation) 등 4단계로 구성된다.

2.2.1 목적 및 범위설정

목적 및 범위설정은 LCA의 첫 번째 단계로 연구 목적이 무엇이며 결과를 어디에 적용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LCA는 사용목적에 따라 수집하는 자료의 분석방법, 결과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먼저 LCA를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연구의 범위에는 시스템 경계, 기능단위, 영향평가 방법, 데이터의 요구조건, 연구의 가정 및 제한요인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기능단위란 제품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중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단위를 말하며, 이 기능단위는 목록분석을 수행할 때 기준이 된다.

2.2.2 목록분석

목록분석은 연구범위에서 설정한 시스템을 대상으로, 시스템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모든 에너지, 원료, 제품, 부산물 및 환경오염물 등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여 목록화 하는 과정으로 환경부하를 계산하는 과정이다. 즉, 전과정목록분석은 시스템으로 투입되는 입력항목과 배출되는 출력항목을 정량화하는 과정이다.

목록분석 과정은 반복적이라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즉, 목표 및 범위 정의에 규정된 연구목적, 시스템 경계, 데이터 질 관련 제반 요건 등을 염두에 두고 목록분석이 이들 규정사항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목록분석 단계는 일반적으로 공정도 작성, 데이터 수집, 각 공정별 환경부하 계산 및 합산과정으로 이루어진다.

2.2.3 영향평가

영향평가는 목록분석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각 환경부하 항목에 대한 결과를 각 환경영향 범주로 분류하여 각 공정별, 카테고리별 에너지 및 자원소비량 그리고 환경오염 부하량 등을 평가하는 기술적, 정량적, 정성적 과정이다. 이러한 영향평가는 분류화, 특성화 및 가중화의 3단계로 구성된다.

2.2.4 결과해석

결과해석은 전 과정평가를 통해 도출된 목록분석과 영향평가의 결과를 단독, 종합하여 평가, 해석하는 단계이다.

3. 굴착작업 환경부하량 산출

3.1 굴착작업 토공량 및 에너지소비량 산출

토공사는 규모의 대형화로 대형 기계식 장비가 투입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직접적인 에너지 소비가 발생되어진다. 장비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는 장비의 연료소비에 의한 것으로 한정하며 토공사시 이용되는 장비의 에너지 소비량은 각 현장마다 이용되는 장비의 노후정도, 운전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다음은 표준품셈을 바탕으로 변수 값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변수에 대해 모두 고려하기는 불가능하므로 가장 일반적인 값을 적용하였다.

3.1.1 불도저 변수

Table 1. PIC808F.gif of Different Bulldozer Standard (Standard Estimate, 2009)

Ton

Type

4

7

10

12

13

19

32

Crawler Bulldozer

0.5

1.1

1.5

2.0

1.5

3.2

5.5

 

Table 2. E Value of Different Transportation Distance (Standard Estimate, 2009)

Distance (m)

10

20

30

40

50

60

70

80

E Value

1.00

0.96

0.92

0.88

0.84

0.80

0.76

0.72

 

Table 3. E Value of Different State of Soil (Standard Estimate, 2009)

Field 

Condition

Soil Name

Natural State

Disheveled State

Good

Normal

Bad

Good

Normal

Bad

Sand・Sandy Soil

0.80

0.65

0.50

0.85

0.70

0.55

Soil with Gravel・

Cohesive Soil

0.70

0.55

0.40

0.75

0.60

0.45

Cataclastic Rock

 

 

 

 

0.35

0.25

불도저 변수는 장비의 크기별로 Q값이 달라지므로 각 장비에 대한 Q값을 산정하기 위해 표준품셈을 바탕으로 변수를 제시하였다.

산출식 : PIC816B.gif       PIC818B.gif

PIC818C.gif : 1시간당 작업량(m3/h) PIC819D.gif: 1회굴착압토량(m3)

PIC81AD.gif : 토량환산계수               PIC81AE.gif: 작업효율

PIC81BF.gif: 사이클타임(min)    PIC81CF.gif: 배토판의 용량(m3)

PIC81E0.gif : 구배계수

3.1.2 불도저 에너지 소비량

LCA 수행을 위하여 불도저의 작업량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여야 하며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산출식 : PIC81F1.gif

여기서,  PIC8201.gif : 장비별 작업량 당 에너지 소비량

       PIC8212.gif: k 장비의 연료소비량

       PIC8222.gif : k 장비의 작업량

3.1.3 굴삭기 변수

굴삭기 변수는 장비의 크기별로 Q값이 달라지므로 각 장비에 대한 Q값을 산정하기 위해 표준품셈을 바탕으로 변수를 제시하였다.

Table 4. PIC8233.gif, PIC8234.gif Value of Caterpillar Type (Standard Estimate, 2009)

Division

Standard 

(ton)

Advance Speed (m/min)

Reverse Speed (m/min)

1st shift

2nd shift

3rd shift

4th shift

1st shift

2nd shift

3rd shift

4 (Ultra Wetlands)

7

10

12

40

43

42

40

57

67

64

55

100

92

88

75

-

116

116

107

63

53

50

48

85

78

75

70

-

107

105

100

13 (Wetlands)

19

32

40

40

40

55

55

52

75

75

70

-

103

91

48

46

43

70

70

58

-

98

79

 

Table 5. Main Fuel Mileage of Different Bulldozer Standard (Standard Estimate, 2009)

Division

Name

Standard (ton)

Main Fuel (L/hr)

Crawler Bulldozer

7

10

12

19

32

9.0

12.5

14.6

25

41.6

Wetland Bulldozer

4

13

5.4

14.6

 

Table 6. Energy Consumption of Bulldozer

Division

Variable

Amount of Earthwork Design : 4,000m3 (Assumption)

3

ton

7

ton

10

ton

12

ton

13

ton

19

ton

33

ton

PIC8273.gif

0.5

1.1

1.5

2.0

1.5

3.2

5.7

e

0.96

0.96

0.96

0.96

0.96

0.96

0.96

E

0.65

0.65

0.65

0.65

0.65

0.65

0.65

V1

40

43

42

40

40

40

92

V2

63

53

50

48

48

46

110

Earth Volume (m3/day)

112.24 

241.27 

319.15 

410.77 

308.08 

647.18 

2103.81 

Number of Bulldozer

36

17

13

10

13

7

2

Energy Consumption

(ton/day)

43.20 

72

100.

116.8

116.8

200

339.2

산출식  : PIC82F1.gif

PIC8302.gif : 1시간당 작업량(m3/h) PIC8312.gif: 버킷의 산적용적(m3)

PIC8323.gif: 버킷계수           PIC8324.gif: 토량환산계수

PIC8335.gif: 작업효율           PIC8345.gif: 사이클타임(sec)

3.1.4 굴삭기 에너지소비량

LCA 수행을 위하여 굴삭기의 작업량에 대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여야 하며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산출식 : PIC8356.gif

여기서,  PIC8366.gif: 장비별 작업량 당 에너지 소비량

        PIC8377.gif: k 장비의 연료소비량

        PIC8388.gif: k 장비의 작업량

3.2 토공작업 시 소요되는 경유에 대한 전과정 목록분석

Table 7. Bucket Coefficient (Standard Estimate, 2009)

Field Condition

K

Easy to excavate soft soil,

 The sand frequently full in the bucket, Normal soil

1.10

 

Table 8. E value of Different State of Soil (Standard Estimate, 2009)

Field 

Condition

Soil Name

Natural State

Disheveled State

Good

Normal

Bad

Good

Normal

Bad

Sandy Soil

0.85

0.70

0.55

0.90

0.75

0.60

Soil with Gravel・Cohesive Soil

0.75

0.60

0.45

0.80

0.65

0.50

Cataclastic Rock

 

 

 

 

0.45

0.35

 

Table 9. 1 Cycle Time of Different Standard (Standard Estimate, 2009)

   Angle of

Traverse

Standard (m3)

Cycle Time(sec)

45°

90°

135°

180°

0.12

0.2

0.4

0.7

1.0

2.0

13

13

13

16

17

22

15

15

15

18

19

25

18

18

18

20

21

27

20

20

20

22

23

30

Table 10. Main Fuel Mileage of Different Shovel Standard (Standard Estimate, 2009)

Standard (m3)

Main Fuel (L/hr)

0.12

0.2

0.4

0.7

1.0

2.0

3.2

5.0

9.9

11.6

19.5

32.8

 

Table 11. Energy Consumption of Shovel

Division

Variable

Amount of Earthwork Design : 4,000m3 (Assumption)

Standard

0.12 (m3)

0.20 (m3)

0.40 (m3)

0.70 (m3)

1.00

(m3

2.00 (m3)

q

0.12 

0.20 

0.40 

0.70 

1.00 

2.00 

K

1.10 

1.10 

1.10 

1.10 

1.10 

1.10 

f

0.80 

0.80 

0.80 

0.80 

0.80 

0.80 

E

0.70 

0.70 

0.70 

0.70 

0.70 

0.70 

Cm

15.

15

15

18

19 

25 

Earth Volume (m3/day)

141.93 

236.54 

473.09 

689.92 

933.73 

1419.26 

Number of Bulldozer

29

17

9

6

5

3

Energy Consumption

(ton/day)

25.6

40 

79.2

92.8

156

262.4 

비점이 약 200~370 범위에 속하는 선박, 기관차, 자동차 등의 각종 기계 및 디젤엔진에 이용되는 연료유 또는 기타 가공유 원료를 경유라고 정의하고 본 연구에서는 경유 생산에 대한 표준 전과정 목록분석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Crude Oil, Naphtha, NaOH, Hydrogen을 원료로 하는 경유는, 원유를 정제하여 나온 물질들을 원하는 품질을 가지는 비율로 섞어서 제품을 생산하며 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량은 문헌자료를 토대로 계산하였으며 그 데이터는 지식경제부 및 환경부에서 기 구축된 LCI DB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 적용한다.

3.2.1 경유의 특성화 환경영향 분석

경유에 대한 전과정 목록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된 환경영향을 분석한다. 특성화 환경영향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 환경영향범주는 자원고갈,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광화학산화물생성, 산성화, 부영양화 등이며 2009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자료에 의한 그 분석결과는 Table 12

Table 12. Environmental Impact of Diesel

Division

Unit

Characterization 

Environmental Impact

Environ-mental Cost (won)

Resource Depletion

kg Sb-eq/kg

2.80E+01

5,140

Global Warming

kg CO2-eq/kg

3.83E+02

15.13

Ozone Destruction

kg CFC11-eq/kg

1.28E-03

85,025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kg Ethene-eq/kg

1.90E-04

7,449

Acidification

kg SO2-eq/kg

2.96E+00

11,571

Eutrophication

kg PO43-eq/kg

1.27E-02

35,599

 

Table 13. Result of Normalization and Weighting of Diesel                                                                                                                             (unit:kg-eq/kg)

Division

Characterization Result

Normalization Factor

Normalization Result

Weighting Factor

Weighting Result

Resource Depletion

2.80E+01

2.49E+01

1.12E+00

0.250 

2.81E-01

Global Warming

3.83E+02

5.12E+03

7.48E-02

0.248 

1.86E-02

Ozone Destruction

1.28E-03

4.07E+01

3.14E-05

0.161 

5.06E-06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1.90E-04

1.03E+01

1.84E-05

0.024 

4.43E-07

Acidification

2.96E+00

3.98E+01

7.44E-02

0.058 

4.31E-03

Eutrophication

1.27E-02

1.31E+01

9.69E-04

0.035 

3.39E-05

와 같다.

3.3 경유의 정규화 및 가중화

경유에 대한 영향범주별 정규화 및 가중화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정규화값의 산출은 아래의 식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특성화를 통해 얻어낸 특성화결과를 산출된 정규화인자로 나누어줌으로써 특성 상황에 기준한 영향의 상대적 중요성을 보여주게 된다.

여기서, 정규화인자와 특성화인자는 지식경제부에서 제시한 값을 이용하였다. 정규화값 = (Ci / Ni)

3.4 굴착작업 LCA분석 및 결과

토공사의 굴착작업은 불도저와 굴삭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두 장비의 조합에 따른 환경부하량의 합을 산정하였다. 환경부하량이 높은 조합과 낮은 조합을 비교함으로써 환경부하량크기의 상대적인 크기를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토공량 4000m3시의 환경부하량을 계산함으로써 각 장비 크기 별 부하량 크기를 알 수 있었다.

3.4.1 설계토공량 4000m3시 각 장비 별 환경부하량 분석

각 장비별 환경부하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4. Environmental Load of Different Bulldozer Standard at Amount of Earthwork 4000m3                                                     (unit: kg-eq/kg)

 

4ton

7ton

10ton

12ton

13ton

19ton

32ton

Resource Depletion

3.72E+02

2.92E+02

3.11E+02

2.79E+02

3.63E+02

3.35E+02

3.18E+02

Global Warming

2.45E+01

1.93E+01

2.05E+01

1.84E+01

2.39E+01

2.21E+01

2.10E+01

Ozone Destruction

6.69E-03

5.27E-03

5.60E-03

5.03E-03

6.54E-03

6.03E-03

5.73E-03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5.85E-04

4.61E-04

4.89E-04

4.40E-04

5.71E-04

5.27E-04

5.01E-04

Acidification

5.70E+00

4.49E+00

4.77E+00

4.28E+00

5.57E+00

5.13E+00

4.88E+00

Eutrophication

4.49E-02

3.53E-02

3.75E-02

3.37E-02

4.38E-02

4.04E-02

3.84E-02

 

Table 15. Environmental Load of Different Shovel Standard at Amount of Earthwork 4000m3                                                          (unit: g-eq/kg)

 

0.12m3

0.2m3

0.4m3

0.7m3

1m3

2m3

Resource Depletion

1.77E+02

1.62E+02

1.70E+02

1.33E+02

1.86E+02

1.88E+02

Global Warming

1.17E+01

1.07E+01

1.12E+01

8.78E+00

1.23E+01

1.24E+01

Ozone Destruction

3.20E-03

2.93E-03

3.07E-03

2.40E-03

3.36E-03

3.39E-03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2.79E-04

2.56E-04

2.68E-04

2.10E-04

2.94E-04

2.96E-04

Acidification

2.72E+00

2.49E+00

2.61E+00

2.04E+00

2.86E+00

2.89E+00

Eutrophication

2.14E-02

1.96E-02

2.06E-02

1.61E-02

2.25E-02

2.27E-02

Table 14, 15 와 같다. 이는 각 인자 별 환경부하량을 모두 표현된 것이 며 이를 바탕으로 Table

Table 16. The Equipment Combination of a High Environmental Load at Amount of Earthwork 4000m3                                

(unit: kg-eq/kg)

 

Bulldozer 4ton

Shovel 2m3

Total

Resource Depletion

3.72E+02

1.88E+02

5.60E+02

Global Warming

2.45E+01

1.24E+01

3.69E+01

Ozone Destruction

6.69E-03

3.39E-03

1.01E-02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5.85E-04

2.96E-04

8.81E-04

Acidification

5.70E+00

2.89E+00

8.59E+00

Eutrophication

4.49E-02

2.27E-02

6.76E-02

16, 17

Table 17. The Equipment Combination of a Low Environmental Load at Amount of Earthwork 4000m3  

(unit: kg-eq/kg)

 

Bulldozer 12ton

Shovel 0.7m3

Total

Resource Depletion

2.79E+02

1.33E+02

4.12E+02

Global Warming

1.84E+01

8.78E+00

2.72E+01

Ozone Destruction

5.03E-03

2.40E-03

7.42E-03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4.40E-04

2.10E-04

6.49E-04

Acidification

4.28E+00

2.04E+00

6.32E+00

Eutrophication

3.37E-02

1.61E-02

4.97E-02

과 같은 결과 값이 도출 되었다. 분석 결과 불도저 4톤이 가장 환경부하량이 높았고 불도저 12톤이 가장 환경부하량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굴삭기에서는 2m3이 가장 높은 환경부하량을 나타내었고 0.7m3이 가장 환경부하량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LCA 평가를 통해 토공사 단계에서 설계토공량이 4000m3시 환경부하량이 높은 조합과 낮은 조합의 부하량의 차이가 약 1.36배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정은 장비가 큰 것일수록 환경부하량이 클 것이라 예상했지만 각 장비의 연비 차이가 환경부하량에 가장 영향을 크게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토공 장비의 조합에 따라 환경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3.4.5 굴착작업 환경비용환산

1) 설계토공량 4000m3 시 환경비용 산출

LCA를 통한 환경비용을 환산하기 위해 Table 1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환경비용분석 결과 Table18에서와 같이 불도저 4톤이 1,978,669원으로서 가장 환경비용이 높았고 12톤이 1,486,038원으로서 환경비용이 가장 낮았다. 또한 Table19에서 굴삭기는 2m3이 1,001,549원으로서 가장 환경비용이 높았고 0.7m3이 708,412원으로서 가장 환경비용이 낮았다.

Table 18. Environmental Cost Calculation of Bulldozer                                                                                                                                             (unit: won)

 

4ton

7ton

10ton

12ton

13ton

19ton

32ton

Resource Depletion

1,910,148 

1,503,357 

1,596,703 

1,434,576 

1,864,949 

1,719,526 

1,635,024 

Global Warming

371 

292 

310 

279 

362 

334 

318 

Ozone Destruction

569 

448 

476 

427 

556 

512 

487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Acidification

65,98 

51,92 

55,15

49,55

64,41 

59,39 

56,47 

Eutrophication

1,597 

1,257 

1,335 

1,199 

1,559 

1,437 

1,367 

Total

1,978,669 

1,557,286 

1,653,980 

1,486,038 

1,931,849 

1,781,209 

1,693,676 

 

Table 19. Environmental Cost Calculation of Shovel                                                                                                                                                  (unit: won)

 

0.12m3

0.2m3

0.4m3

0.7m3

1m3

2m3

Resource Depletion

911,84

835,19

875,48

683,88

958,02

966,86

Global Warming

177 

162 

170 

133 

186 

188 

Ozone Destruction

272 

249 

261 

204 

285 

288 

Oxide Generation Photochemical

Acidification

31,497 

28,849 

30,241 

23,622 

33,092 

33,397 

Eutrophication

762 

698 

732 

572 

801 

808 

Total

944,550

865,159

906,890

708,412

992,388

1,001,549 

광화학산화물생성 영향범주의 환경비용이 작은 이유는 특성화단계에서 특성화 결과값이 낮을 뿐 아니라 가중치 또한 낮아 금액으로 환산 시 작은 금액으로 환산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가 도출 되었다.

4.

Table 20. Ownership Cost Coefficient of Bulldozer

Hourly 

Coefficient

(10-7)

Standard

Redemption Cost

Coefficient

Servicing Cost

Coefficient

Maintenance

Coefficient

Total

Bulldozer

4, 7, 10, 12, 13, 19, 32ton Common

750

583

430

1,763

굴착작업 공사비 산출

4.1 불도저, 굴삭기 공사비 산출 방법

불도저 공사비 산출 시 고려해야할 요소는 건설기계 가격(원), 상각비계수, 정비비계수, 관리비계수 등이 있으며 시간당 손료 계수는 각 계수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유는 리터당 1,6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4.1.1 불도저 공사비 산출

Table 21. Ownership Cost Coefficient of Shovel

Hourly 

Coefficient

(10-7)

Standard

Redemption Cost

Coefficient

Servicing Cost

Coefficient

Maintenance

Coefficient

Total

Shovel

0.12, 0.2, 0.4, 0.7, 1.0, 2.0 Common

900

700

288

1,888

불도저 공사비 산출결과는 Table22와 같으며 설계토공량이 4000m3 시 불도저의 공사비 산출결과 불도저 4톤의 장비가 가장 큰 공사비를 나타내었고 19톤 장비가 가장 낮은 공사비를 나타내었다.

4.1.2 굴삭기 공사비 산출

굴삭기 공사비 산출결과는 Table23과 같으며 설계토공량이 4000m3 시 굴삭기의 공사비 산출결과 굴삭기 0.12m3의 장비가 가장 큰 공사비를 나타내었고 0.7m3 장비가 가장 낮은 공사비를 나타내었다. 이는 공사기간에 가장 큰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5. 공사비와 환경비용을 고려한 장비선정

5.1 최적 장비조합 선정 방법

Table 22. Calculation of Bulldozer Construction Costs

 

4T

7T

10T

12T

13T

19T

32T

Hourly Rental fee (won)

5,311.91

9,740.57

21,525.48

25,392.66

21,305.62

25,040.77

33,257.23

8 Hours Rental fee (won)

42,495

77,925

172,204

203,141

170,445

200,326

266,058

Driver Unit Wage (won)

100,237

100,237

100,237

100,237

100,237

100,237

100,237

Rental fee

+Driver Unit Wage (won)

142,732

178,162

272,441

303,378

270,682

300,563

366,295

Construction Period (day)

36

17

13

10

13

7

4

Diesel Consumption (L)

1555 

1224 

1300 

1168 

1518 

614 

1400 

Diesel Price (won)

1,600

1,600

1,600

1,600

1,600

1,600

1,600

Diesel Cost (won)

2,488,320 

1,958,400 

2,080,000 

1,868,800 

2,429,440 

983,040 

2,240,000 

Total Cost (won)

7,626,685 

4,987,147 

5,621,731 

4,902,583 

5,948,306 

3,086,982 

3,705,179 

 

Table 23. Calculation of Shovel Construction Costs

 

0.12m3

0.2m3

0.4m3

0.7m3

1m3

2m3

Hourly Rental fee (won)

7,141.15

10,597.6

12,453.4

18,961.95

23,233.2

53,395.6

8 Hours Rental fee (won)

 57,129

84,781 

99,627 

151,696 

185,866 

427,165 

Driver Unit Wage (won)

100,237 

100,237 

100,237 

100,237 

100,237 

100,237 

Rental fee

+Driver Unit Wage (won)

157,366 

185,018 

199,864 

251,933 

286,103 

527,402 

Construction Period (day)

29

17

9

6

5

3

Diesel Consumption (L)

742.4

680

712.8

556.8

780

787.2

Diesel Price (won)

1,600

1,600

1,600

1,600

1,600

1,600

Diesel Cost (won)

1,187,840 

1,088,000 

1,140,480 

890,880 

1,248,000 

1,259,520 

Total Cost (won)

5,751,460 

4,233,303 

2,939,258 

2,402,476 

2,678,513 

2,841,725 

Table 18, Table 19에서 산정된 환경비용과 Table22, Table23에서 산정된 공사비의 합으로서 최적장비 조합을 선정하였다.

5.2 최적 장비조합 선정 결과

공사비와 환경비용의 합계로서 경제성측면과 환경성측면이 고루 갖춰진 장비를 도출하였다.

Table 24. Sum of The Construction Costs and The Environmental Costs of Bulldozer                                                   (unit: won)

Division

Construction Cost

(Ranking)

Environmental Cost

(Ranking)

Total

Ranking

4t

7,626,685 (1)

1,978,669 (1)

9,605,354

1

7t

4,987,147 (4)

1,557,286 (6)

6,544,433

4

10t

5,621,731 (3) 

1,653,980 (5)

7,275,712

3

12t

4,902,583 (5) 

1,486,038 (7)

6,388,621

5

13t

5,948,306 (2)

1,931,849 (2)

7,880,155

2

19t

3,086,982 (7)

1,781,209 (3)

4,868,192

7

32t

3,705,179 (6) 

1,693,676 (4)

5,398,855

6

Table 24는 불도저 최적장비 선정결과 불도저 19톤이 공사비 측면과 환경성 측면에서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Table 25는 굴삭기 규격별로 공사비와 환경비용의 합계로서 경제성측면과 환경성측면이 고루 갖춰진 장비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 굴삭기 0.7m3이 공사비 측면과 환경성 측면에서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최적 장비조합은 불도저 19톤과 굴삭기 0.7m3의 장비조합이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조합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사비가 환경비용과 비교 했을 때 상대적으로 금액이 높아 순위가 공사비를 따라가는 양상을 보이는 한계를 보였다. 하지만 대규모 공사 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환경비용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 한다고 하면 경제성 및 환경성에 최적화 된 장비조합 선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6. 결 론

Table 25. Sum of The Construction Costs and The Environmental Costs of Shovel                                                         (unit: won)

Division

Construction Cost

Environmental Cost

Total

Ranking

0.12m3

5,751,460

944,550

6,696,010

1

0.2m3

4,233,303

865,159

5,098,461

2

0.4m3

2,939,258

906,890

3,846,148

3

0.7m3

2,402,476

708,412

3,110,888

6

1.0m3

2,678,513

992,388

3,670,901

5

2.0m3

2,841,725

1,001,549

3,843,274

4

본 연구에서는 토공사시 환경오염물질을 적게 배출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 토공사시 환경영향평가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하였다. 불도저, 굴삭기의 사례를 근거로 정량적인 환경부하량을 전과정평가에 적합한 프로세스를 통하여 산출하였고 이를 통한 장비선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설계토공량이 같을 경우 장비의 조합에 따라 환경부하량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LCA분석을 통하여 최소화된 환 경부하량 장비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2) 환경부하량과 공사비를 고려한 굴착작업 최적 장비 조합 선정결과 불도저 19톤과 굴삭기 0.7m3의 장비조합이 가장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장비 조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지금까지의 건설사업 진행 시 사업비절감 방안만 고려하였다. 앞으로 환경 친화적인 건설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환경적인 요인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사업계획 시 엔지니어들은 타당성분석과 경제성 분석 뿐 아니라 LCA분석을 통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성도 좋은 최적의 공사수행을 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1년도 충북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비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Ahn, J.-P., Park, K.-H., Seo, J.-W. (2005). “A case study on the value engineering & life cycle cost for the life cycle assessment.” KSCE Conference & Civil Expo, KSCE, pp. 2217-2220 (in Korean).Ahn, J.-P., Park, K.-H., Seo, J.-W. (2005). “A case study on the value engineering & life cycle cost for the life cycle assessment.” KSCE Conference & Civil Expo, KSCE, pp. 2217-2220 (in Korean).Google Search
2 
Beom, S.-W., Kim, M.-H., Park, T.-G. (2003). “A study on the case study LCA analysis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building of S university.”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465-468 (in Korean).Beom, S.-W., Kim, M.-H., Park, T.-G. (2003). “A study on the case study LCA analysis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building of S university.”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465-468 (in Korean).Google Search
3 
Cha, C., Kwon, S.-H., Kwon, S.-Y. Lim, B.-S., Park, H.-C. (200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sing LCA (life cycle assesment) methodolog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53, No. 6, pp. 62-69 (in Korean).Cha, C., Kwon, S.-H., Kwon, S.-Y. Lim, B.-S., Park, H.-C. (200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sing LCA (life cycle assesment) methodolog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53, No. 6, pp. 62-69 (in Korean).Google Search
4 
Choi, Y.-K. (2007). A study on the GIS based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for route alignment, MSc Thesis, Ajou University, Korea (in Korean).Choi, Y.-K. (2007). A study on the GIS based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for route alignment, MSc Thesis, Ajou University, Korea (in Korean).Google Search
5 
Hwang, Y.-W., Park, K.-H., Seo, S.-W. (2000). “Assessment of CO2 emissions from road construction activitie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20, No. 1B, pp. 113-121 (in Korean).Hwang, Y.-W., Park, K.-H., Seo, S.-W. (2000). “Assessment of CO2 emissions from road construction activitie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20, No. 1B, pp. 113-121 (in Korean).Google Search
6 
Jeon, M.-H., Lee, H.-S, Park, M.-S., Shin, J.-H. (2009). “Analysis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 factors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260-265 (in Korean).Jeon, M.-H., Lee, H.-S, Park, M.-S., Shin, J.-H. (2009). “Analysis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 factors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260-265 (in Korean).Google Search
7 
Jo, K.-H., Kim, Y.-S., Park, B.-Y. (2005).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of external wall system by using the full scale life cycle assessment.”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53, No. 6, pp. 62-69 (in Korean).Jo, K.-H., Kim, Y.-S., Park, B.-Y. (2005).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of external wall system by using the full scale life cycle assessment.”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53, No. 6, pp. 62-69 (in Korean).Google Search
8 
Jung, Y.-S., Choi, K.-S., Kang, J.-S., Lee, S.-E. (2008). “Development of life cycle assessment program(K-LCA) for estimating environmental load of building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magazine, AIK, Vol. 24, No. 5, pp. 259-266 (in Korean).Jung, Y.-S., Choi, K.-S., Kang, J.-S., Lee, S.-E. (2008). “Development of life cycle assessment program(K-LCA) for estimating environmental load of building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magazine, AIK, Vol. 24, No. 5, pp. 259-266 (in Korean).Google Search
9 
Kang, M.-H. (2011). The selection method for excavation equipments using the environmental loads and costs, MSc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Kang, M.-H. (2011). The selection method for excavation equipments using the environmental loads and costs, MSc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10 
Kim, C.-Y., Kim, H.-K. (2009). “BIM-based green house gas emission accounting for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processes.”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751-756 (in Korean).Kim, C.-Y., Kim, H.-K. (2009). “BIM-based green house gas emission accounting for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processes.”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751-756 (in Korean).Google Search
11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9). Construction standard estimat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Korean).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9). Construction standard estimat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Korean).Google Search
12 
Kwon, S.-H., Jung, W.-J., Kim, S.-G., Kim, S.-B. (2006). “The life cycle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considering environmental load.”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519-522 (in Korean).Kwon, S.-H., Jung, W.-J., Kim, S.-G., Kim, S.-B. (2006). “The life cycle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considering environmental load.”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519-522 (in Korean).Google Search
13 
Kwon, S.-H., Kim, K.-J., Kim, B.-S., Kim, S.-B. (2008).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conomics on dismantling projects using LCI DB.”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207-212 (in Korean).Kwon, S.-H., Kim, K.-J., Kim, B.-S., Kim, S.-B. (2008).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conomics on dismantling projects using LCI DB.”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pp. 207-212 (in Korean).Google Search
14 
Lee, S.-Y., Byun, S.-J., Jo, G.-H., Park, S.-G. (2008). “Environmental assessment at public facilities using the LCA”, KSCE magazine, KSCE, Vol. 56, No. 5, pp. 47-53 (in Korean).Lee, S.-Y., Byun, S.-J., Jo, G.-H., Park, S.-G. (2008). “Environmental assessment at public facilities using the LCA”, KSCE magazine, KSCE, Vol. 56, No. 5, pp. 47-53 (in Korean).Google Search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3). The study of LCA application schemes on construction industry areas, No. 000863, KICT (in Korean).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3). The study of LCA application schemes on construction industry areas, No. 000863, KICT (in Korean).Google Search
16 
Moon, J. -S. (2009). LCA analysis and case study of environment factors for highway construct project, MSc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Moon, J. -S. (2009). LCA analysis and case study of environment factors for highway construct project, MSc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17 
Park, K.-H., Hwang, Y.-W., Park, J.-H., Seo, S.-W. (2000). “Environmental load evaluation through the life cycle of highwa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20, No. 3, pp. 311-321 (in Korean).Park, K.-H., Hwang, Y.-W., Park, J.-H., Seo, S.-W. (2000). “Environmental load evaluation through the life cycle of highwa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20, No. 3, pp. 311-321 (in Korean).Google Search
18 
Pascal S. (2004). “LCA for site remediation.” Soil and Sediment Contamination, Soil & Contamination, Vol. 13, No. 4, pp. 415-425.Pascal S. (2004). “LCA for site remediation.” Soil and Sediment Contamination, Soil & Contamination, Vol. 13, No. 4, pp. 415-425.Google Search
19 
Seo, S.-W., Ji, J.-S. (2000). “LCA methodology appli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SCE magazine, KSCE, Vol. 48, No. 1, pp. 19-26 (in Korean).Seo, S.-W., Ji, J.-S. (2000). “LCA methodology appli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SCE magazine, KSCE, Vol. 48, No. 1, pp. 19-26 (in Korean).Google Search
20 
Yue H. (2008). “Development of a life cycle assessment tool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asphalt pavement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Cleaner Production, UK, Vol. 17, pp. 283-296.Yue H. (2008). “Development of a life cycle assessment tool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asphalt pavement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Cleaner Production, UK, Vol. 17, pp. 283-296.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