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



스터럿-타이 모델, 뼈대구조물, 강절점영역, 선형탄성유한요소해석, 보강철근
Strut-tie model, Rigid joints, Linear elastic finite element method, Reinforcement details

1. 서 론

뼈대구조물의 강절점영역은 흔히 설계과정에서 그다지 중요 하게 취급되지 않은 경향이 있다. 이것은 대부분의 설계자들 이 강절점영역에 인접한 부재의 단면을 적절히 설계하면, 이 들 부재보다 큰 단면제원을 갖는 절점영역 내의 조건은 문제 가 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가정 은 구조물 설계에 소성이론이 적용될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점 을 야기할 수 있다. 즉, 전체 구조시스템 중에서 오히려 절점 이 가장 취약한 부위가 될 수도 있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 (Park and Paulay, 1974)는 이미 오래전 전에 수행되었지만, 절점영역의 구조거동과 철근상세는 지금도 연구되어야 할 부 분이 많이 있다. 최근 스터럿-타이 모델 (ACI Subcommitee 445, 2002; Kim and Lee, 2003)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에 도입됨으로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내의 강절점 영역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필수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절점영역은 사용하중에 대해 그것이 속해져 있는 다른 부재들과 동등수준의 성능을 나타내어야 한다.

  2. 절점영역은 인접부재들이 지지할 수 있는 가장 최악의 하 중조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3. 절점영역의 강도가 구조물의 강도를 지배하여서는 안 되며, 절점영역의 거동이 인접한 부재가 완전한 성능을 발휘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4. 절점영역은 콘크리트의 치기 및 다짐을 위해 시공과 접 근성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절점영역이 가져야 할 구조적 요구조건은 작용하중 의 종류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절점에 작용하는 하중의 특성을 미리 고려한 설계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지하정거장 구조물은 지진하중과 같이 양 방향 (reversed loading) 하중 이 지배적인 지상에 위치한 뼈대구조물과는 달리 단조하중 에 대한 강도확보가 주된 설계기준이 되고, 모멘트의 작용방 향이 절점영역의 배근형태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절점 영역에 대한 현행설계규정에 대해 간략히 고찰 한 다음, 강절점 영역에 대한 선형탄성 유한요 소해석을 통하여 사용하중 상태에서 절점영역 내부에 생기 는 응력분포 및 응력흐름을 구한다. 그런 다음, 유한요소 해 석결과와 도로교 설계기준에 제시된 설계규정과 비교 검토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절점영역의 사용성과 극한하중상 태에서의 안정성을 검토할 수 있는 스터럿-타이 모델을 제안 하고, 제안된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라멘부재 절점부에 대한 적절한 보강방안을 결정하기로 한다.

2. 도로교 설계기준 및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도로교 설계기준 (2008)에서는 뼈대구조물의 강절점 영역 의 설계에 관한 구조상세로서 강절점 영역은 절점부에 외측 인장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Fig.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절점영역에 보강철근을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Fig 1.

Reinforcement details for closing knee

JKSMI-18-31_F1.jpg

절점부에 외측인장 휨모멘트 (closing moment)가 작용하 는 경우에는 격점 대각선 방향의 단면을 따라 Fig. 2에 나타 낸 것과 같은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인장응력에 저 항하기 위해서는 Fig. 1에 나타낸 보강철근 (Av)이 필요하다.

Fig 2.

Internal stress distribution

JKSMI-18-31_F2.jpg
Fig 3.

Section for inspection of stresses at joints

JKSMI-18-31_F3.jpg

도로교 설계기준에는 Fig. 2에 나타낸 인장응력의 최대값 (ft, max)을 다음 식에 의해 구해도 좋다고 규정하고 있다.

(1)
f t , max = 0 . 5M o R 2 ω

여기서, Mo : 절점 휨모멘트 (N∙mm) (=M + Pa/2 = M + Sb/2)

R : 절점부 대각선 길이 (mm, Fig. 3 참조)

w : 절점부의 구조물의 폭 (mm)

식 (1)로 부터 구한 ft, max가 콘크리트의 허용전단응력 0.08 f ck 을 초과할 때에는 다음 식에 의해 보강철근량 (Av1) 을 구한 다음, 그림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절점영역 내에 배치한다.

(2)
A v = 200 M o R f sa
여기서, fsa : 보강철근의 허용응력 (MPa)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2007) 15.3에서는 스터럿-타이 모 델 등을 사용하여 산출된 인장응력의 크기가 f ck / 3 를 넘 는 경우에는 철근을 배치하여 인장응력으로 인해 생기는 균 열을 제어할 것을 규정하고는 있지만, 스터럿-타이 모델의 구축방법이나 철근량 산정방법에 대한구체적인 예시가 없어 실제 설계에 상기 조항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도로교 설계기준에서는 절점부에 내측인장 휨모멘트 (M)가 작용할 때 작용하는 경우에는 대각선과 평행한 방향 으로 휨모멘트의 우력 (M = C ∙ d = TH ∙ d)으로 인해 생 기는 인장력 (TH)을 구한 다음, 여기에다 2 배한 크기의 인장력 ( T = 2 T H )이 생기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보강철근을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뼈대구조의 강절점 영역에 발생되는 취성적인 파괴의 대부분이 내측인 장 휨모멘트가 작용할 때 발생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것에 대 한 설계규정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검토결과로부터, 식 (1)은 절점영역 양 경계면에 가해지는 부의 휨모멘트와 전단력으로 인해 절점영역에 생 기는 탄성상태에서의 사인장 응력의 크기를 구하고자 하는 것이며, 관련된 배근상세도 앞서 언급한 절점영역의 요구조 건 ➀항의 사용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절점영역의 요구조건 ➁항의 강도에 대해서는 별도 로 언급이 없으며, 다만 구조상세로서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절점영역에 인접한 단면에서 요구되는 주철근량의 1/2 이상을 절점영역에서 연속적으로 배치하고, 정모멘트가 작용할 때에는 인접단면에 배치된 주철근량의 1/2 이상을 헌 치를 따라서 추가적으로 배치할 것을 각각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절점영역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설계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 균열발생 전 응력상태 평가

3.1. 개요

절점영역에 대한 선형탄성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균열발 생 전 상태의 강절점영역 내부에 생기는 주응력의 크기와 응 력흐름을 파악하고, 모서리 안쪽에 설치된 헌치로 인한 응력 의 크기 및 흐름변화를 검토하기로 한다. 또한 모서리 접합 면을 따라 발생되는 탄성상태의 응력의 크기 및 분포형태를 구하고, 이것을 도로교 설계기준 산정식인 식 (1)에 의한 결 과와의 비교검토를 실시하기로 한다. 이 검토결과를 바탕으 로 사용상태에서의 사인장 균열에 대한 절점영역의 보강방 안을 고찰하기로 한다.

3.2. 대상단면 및 작용하중

선형유한요소에 적용된 강절점 영역 (우각부)의 위치를 Fig. 4에 나타내었다. Fig. 4에 나타낸 강절점 영역은 지하철 본 선박스구조물 (또는 정거장 구조물)의 상단 및 하단의 우각 부이다.

Fig 4.

Rigid frame joints in subway frame structure

JKSMI-18-31_F4.jpg

단면제원으로 상단 우각부는 인접한 상부슬래브 및 벽체의 두께가 각각 0.9m에 0.4×0.4m의 헌치가 설치된 경우 (Case 1), 상부슬래브 두께 0.9m, 벽체의 두께 1.0m에 0.9×0.3m의 헌치가 설치된 경우 (Case 2) 그리고 하부 우각부에 대해서 는 벽체 및 하부슬래브의 두께가 1.0m에 0.3×0.3m의 사각형 헌치가 설치된 경우 (Case 3)에 대해 검토한다 (Fig. 5).

Fig 5.

Dimensions of examined joints

JKSMI-18-31_F5.jpg

절점영역에 작용하는 외적하중으로는 휨모멘트 (M), 전단 력 (S), 그리고 축력 (P) 등이 있다. 휨모멘트로 인해 생기 는 사인장응력은 전단력과 축력의 작용으로 인해 그 크기가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도로교 설계기준에서도 전단 력과 축력의 영향을 무시한 산정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강절점에 작용하는 외적하중으로는 휨모멘트 만을 고려하기로 한다. 그리고 휨모멘트는 절점경계면에 직 각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방향 응력으로 변환하여 가하였다.

절점영역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는 2차원 뼈대구조 해석을 통해 구한 값을 사용하였고, 그 크기를 Table 1에 나 타내었다. Table 1의 단면력은 상부슬래브 내측면과 벽체의 내측면 또는 벽체의 내측면과 하부슬래브 상부면이 직각으 로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휨모멘트의 크기이다. 유한요소해석 시에는 이들 단면력이 벽체 내측면으로부터 0.9m안쪽에 위 치한 단면상에 등가응력 (equivalent stress)으로 작용하는 것 으로 가정하였다. 이것은 절점내부의 응력흐름이 실제 구조 물에서 생기는 것과 가능한 유사하게 되도록 함이다. 휨모멘 트의 경우에는 하중이 절점영역 바깥에만 위치하면 하중작 용위치에 따른 해석결과의 차이는 없기 때문이다.

Table 1.

Moment and equivalent stress by frame analysis

Type Moment Equivalent stress (MPa)
M (N•m) Top Bottom
Case 1 –4.606×103 3.41 –3.41
Case 2 –8.054×103 5.97 –5.97
Case 2 –16.574×103 9.94 –9.94

3.3. 해석모델 및 경계조건

본 연구에 사용된 2차원 유한요소 해석모델을 Fig. 6에 나 타내었다. Fig.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한요소해석에는 강 절점영역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일부분만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에는 경계조건 및 작용하중의 처리가 중요하며, 본 연구 에서는 강절점영역의 한쪽 경계면 (자유면)에는 휨모멘트에 의한 등가응력을 가했으며, 다른 경계면 (구속면)에는 로울 러 및 힌지 지점을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절점영역 내에서 휨모멘트의 전달로 인해 생기는 내적인 응력의 흐름을 정확 히 파악할 수 있다.

Fig 6.

Finite element model

JKSMI-18-31_F6.jpg

구조해석에는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DINA (Ver 7.4) 를 사용하였고, 요소의 크기는 gauss point를 기준으로 한 응 력등고선과 이들 응력을 절점의 값으로 평균화 (smoothing) 한 응력등고선이 거의 같아지도록 하는 것을 기준으로 결정 하였다 (Fig. 7 참조).

유한요소해석에 사용된 요소는 8절점 (rectangular)과 6절 점 (triangle)을 갖는 평면변형률 (plane strain)요소이며, 해 석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8절점 요소에 대해서 는 3×3 gauss integration을, 6절점 요소에 대해서는 7-point gauss integration을 각각 사용하였다 (Fig. 8 참조).

Fig 7.

Comparison of stress contours

JKSMI-18-31_F7.jpg
Fig 8.

Elements and integration points

JKSMI-18-31_F8.jpg

3.4. 해석결과 및 분석

3.4.1. 주인장응력 (σ1) 및 주압축응력 (σ2)

부모멘트가 가해질 때와 강절점 내부에 생기는 주인장응 력 및 주압축응력 분포도를 Fig. 9에 나타내었다.

Fig 9.

Elements and integration points

JKSMI-18-31_F9.jpg

Fig. 9으로부터, 하중작용면과 경계지점면에서의 응력분포 가 서로 대칭분포를 나타내고 있어 본 해석에 적용된 하중재 하방법 및 경계조건이 적절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인장응 력 (σ1)은 강절점 내부에서의 넓게 분산되는 경향을 나타내 지만, 주압축응력 (σ3)은 내측 헌치면을 따라 거의 일정폭으 로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헌치와 구조물 본체가 만나는 점에서는 국부적인 응력집중현상으로 인해 외부에서 가해진 등가응력의 약 2배 정도의 응력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절점에 열림 모멘트 (+M)가 작용할 때에는 주인 장응력과 주 압축응력의 분포가 서로 반대가 되는데, 그럴 경우 내측 헌치부를 따라 큰 인장응력이 발생되므로 주인장 철 (As)근보다 많은 량의 경사철근이 헌치면을 따라 배치되 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4.2. 대각선면에 생기는 사인장응력

도로교 설계기준의 산정식을 이용하여 구한 사인장 응력 의 크기 및 이에 따른 보강철근량의 크기를 유한해석에 의한 결과와 비교검토하기로 한다.

Fig. 10에 대칭경계면을 따라 발생하는 주응력의 크기와 이것으로부터 도출한 경계면에 작용하는 인장응력과 전단응 력을 도시하였다. Fig. 10으로부터, 대칭경계면의 직각방향 으로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와 분포형상은 헌치의 형상에 따 라 다소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삼각형 형상의 Case 1이 Case 2 및 Case 3에 비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10.

Internal stress distributions along the diagonal line

JKSMI-18-31_F10.jpg

Table 2에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해진 대칭경계면을 따 라 발생되는 최대 사인장응력의 크기 및 사인장 응력의 합력 위치를 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동일조건에서 도로교 설계 기준의 산정식 (식 (1) 및 식 (2))을 적용한 경우의 결과도 함께 나타내었다.

Table 2.

Maximum diagonal stress and required reinforcement

Model Maximum stress (MPa) Resultant position(mm) Av(mm2)
Eqa. (1) FEM Spec. FEM Spec. FEM
Case 1 1.56 (1.15) 0.95 0.4R (R=1556) 0.56R 4907(3619) 3349
Case 2 2.03 (1.65) 1.51 0.4R (R=1414) 0.53R 7038 (5729) 5811
Case 3 4.15 (3.13) 2.96 0.4R (R=1414) 0.43R 14992 (11324) 11264

* Value in the parenthesis is when using M instead of Mo

Table 2로부터, 도로교 설계기준식을 이용한 해석결과와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결과는 다소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 을 알 수 있다. 양자간의 해석결과 차이는 주로 절점경계면 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크기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즉 유한요소해석에는 Table 1에 나타낸 휨모멘트 (M) 를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도로교 설계기준식에서는 절점경계 면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고려한 Mo 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하중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Mo 대신에 M 을 식 (1)에 대입하여 구한 결과를 Table 2의 괄호 값으로 나타 내었다. Table 2로부터 M 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도로교 설 계기준과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중상태에 대한 강절점영역의 설계는 도로교 설계기준의 산정식인 식 (1)을 적용하여도 좋 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다만 이때의 작용 휨모멘트는 전단력 의 영향을 고려한 Mo 대신에 M 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절점영역에 열림 모멘트 (+M)가 작용할 때에는 Fig. 10에 나타낸 경사면 직각방향의 응력 값의 부호가 서로 반대 가 된다. 즉 압축영역이 인장영역으로, 인장영역이 압축영역 으로 바뀌게 되지만, 내력의 평형조건으로부터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의 합이 서로 같아져야 하므로 사인장응력에 저항 하는데 필요한 철근량은 Table 2에 나타낸 것과 같아진다. 다만, 인장철근의 배치위치는 인장영역의 분포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지만. 본 해석결과를 고려하면 강절점 경계영 역에서 배치된 주인장철근과 거의 같은 덮개를 갖도록 배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 철근량도 주인장 철근보다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절점영역내의 경사경계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응력도 발생 하게 되는데, 이것의 크기 및 분포는 Fig. 10에 나타낸 절점 경계면에의 전단응력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 10으로부터, 이들 전단응력은 압축상태이며 그 크기는 -3MPa 미만이기 에 콘크리트만으로도 충분히 저항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강절점영역에 열림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면 이들 전 단응력은 인장상태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경계면에 평행한 인장응력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그 합력의 크기도 경사경계면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사인장응력의 합 보다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강절점영역에 열림 모 멘트가 작용할 때에는 도로교 설계기준의 규정을 그대로 적 용하기보다는, 헌치의 형상 과 크기 그리고 작용모멘트의 크 기 등을 고려한 별도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스터럿-타이 모델에 의한 단면해석 및 설계

4.1. 개요

스터럿-타이 모델은 주로 균열이 발생된 후의 구조물의 안 전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대상구조에 대한 선형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알고 있을 때에는 사용하중 상태에서 구조물 내에 생기는 응력분포 및 합력의 크기를 구하는데 사 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연성이 큰 철근에 의한 타이부재 대신에 콘크리트 인장타이를 사용하게 된다. 즉 작용하중으 로 인해 콘크리트 인장타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구한 다 음, 이들 힘으로부터 콘크리트 인장타이에 생기는 응력을 검 토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이에 생기는 인장응력이 콘크리트 의 인장강도를 초과하게 되면 콘크리트 타이의 파괴가 발생 하는데, 이로 인한 구조물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균열 발생 전에 콘크리트 타이에 작용하는 힘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들 철근의 배치는 균열발생 전 탄성상태에서의 내력의 흐름을 근거로 결정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인장균열과 같이 취성적인 파괴의 원 인이 되는 균열은 구조물의 연성능력 (균열발생 후의 내력의 재분배 능력)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탄성상태의 응력경로에 서 크게 벗어나게 보강철근을 배치하게 되면, 배치된 철근이 외력에 저항하기도 전에 구조물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기 때 문이다.

4.2. 스터럿-타이 모델 구축

균열발생전 응력흐름을 기준으로 스터럿-타이 모델을 구축 할 때는 주응력벡터의 흐름도가 매우 유효하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도 앞서 실시한 유한요소해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사용하중상태에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스터럿-타이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3가지 형태의 강절점영역에 대한 스터 럿-타이 모델을 Fig. 11에 제안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 이, 제안된 스터럿-타이 모델은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절점 영역의 경사경계면을 따라서 생기는 사인장 응력으로 인한 균열제어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Fig 11.

Strut-tie models for rigid joints

JKSMI-18-31_F11.jpg

제안된 스터럿-타이 모델을 이용해 사인장 응력에 저항하 는데 필요한 철근량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절점영역에 대한 단면제원으로부터 그림에 나타낸 트 러스 모델을 구축한 후, 사용하중 (휨모멘트)에 의한 내 력의 합력 (C1, T1 또는 C2, T2)을 먼저 구한다.

  2. 평면 트러스 해석을 위하여 더미 (dummy)부재, 즉 강 성이 “0”인 추가부재를 배치하여 삼각망을 구성하고, 하중이 작용하는 면과 반대면에 경계지점을 설치한다.

  3. 부재 단면력을 구해지면, 미리 산정된 부재의 유효폭을 이용하여 부재에 생기는 등가응력을 계산한다.

  4. 구해진 등가응력이 콘크리트의 사인장 강도를 초과할 때에는 보강철근을 배치한다.

4.3. 보강철근량 산정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터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하 중 작용시의 사인장 응력에 대한 보강철근량을 구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사인장 응력에 대한 보강철근량이 필 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각선 인장타이 (TD)에 생기는 합력의 크기를 구한 다음 (Fig. 12 참조), 이 것을 해당 타이부재의 유효폭으로 나누어 등가인장응력을 구하 였다. 이 등가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사인장강도 0.08 f ck 를 초과하면, 인장타이의 합력 TD 에 저항할 수 있는 보강철근 량은 다음 식에 구한다.

Table 3.

Resultant tensile force and required reinforcement

Model Tensile force (TD, kN) Av2 (mm2)
FEM STM FEM STM
Case1 602.76 592.18 3349 3290
Case2 1045.88 960.12 5811 5334
Case3 2027.54 2038.20 11264 11323
Fig 12.

Truss models to calculate member forces

JKSMI-18-31_F12.jpg

(3)
A v 2 = T D f sa
여기서 fsa 는 보강철근의 허용인장응력 (MPa)이다.

Table 3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터럿-타이 모델에 의한 해석결과와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압축스터럿에 대한 응력검토는 본 연구에서 생략하 고 있지만, 이것은 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결과에서도 잘 나 타나 있듯이 (Fig. 9), 사용하중이 작용할 때 생기는 압축응 력은 거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허용압축응력인 9.6MPa (=0.4 fck) 이하이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의 특 성상 계수모멘트의 크기가 사용하중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는 거의 없으므로,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은 사용하중에 대한 안전성 (2.5의 안전율)이 확보되어 있으면 계수하중에 대해 서도 안전하게 된다. 물론 헌치 모서리에서 국부적으로 큰 압축응력이 발생되고 있지만, 이들 구간에서 허용응력을 초 과하게 된 주된 원인은 단면변화때문이다. 따라서 작용하중 이 매우 클 경우에는 이들 구간에서 일부콘크리트 박리가 발 생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이것이 절점영역의 전체거동에 미 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뼈대구조물의 강절점영역을 설계하기 위한 현행의 도로교 설계기준 및 콘크리트구조설계 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강절점 영역에 대한 2차원 선형탄성유한요 소해석을 수행하여 도로교 설계기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 고, 이를 바탕으로 라멘구조물의 강절점 영역을 설계를 위한 스터럿-타이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1. 강절점 영역에 외부인장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 는 현행 도로교 설계기준에 제시된 산정식을 이용하면 사용하중상태에서 절점내부에 생기는 사인장응력의 크기를 5~20% 범위 이내에서 비교적 잘 추정할 수 있 는 것을 알 수 있다.

  2. 도로교 설계기준 산정식을 이용하여 강절점 영역에 생 기는 사인장응력을 구할 경우, 절점에 작용하는 휨모 멘트로 전단력의 영향을 고려한 Mo를 사용할 경우에 는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추가 의 연구가 필요하다.

  3. 강절점 영역에 내부인장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 는 현행 도로교 설계기준만으로는 실제 구조거동을 적 절히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헌 치면에 따라 배치되는 주인장철근량은 인접단면에 배 치한 휨모멘트에 대한 주인장철근 이상을 배치하여야 한다.

  4. 강절점 영역에 내부인장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경우에 는 대칭경사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제안한 스터럿-타이 모델을 이용하면 선형탄성유한요 소해석과 동등한 수준으로 강절점 내부에 생기는 인장 력과 압축력을 구할 수 있다.

References

1 
(2002), Examples for the Design of of Structural Concrete with Strut-and-Tie Models, ACI SP-208, 242
2 
(2008), ADINA Theory and Modeling Guide, 11-27.
3 
(2007), Design Standard for Highway Bridges and Commentary, 205
4 
(2003), A Study on Shear Strength Prediction foe Reinforced High-Strength Concrete Deep Beams Using Softened Strut-and-Tie Mod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7(4), 159-169.Google Search
5 
(2008), Design Standard for Highway Bridges and Commentary, 715-722.
6 
(1974),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716-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