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
  2. ()
  3. ()



강섬유 보강재, CSA 팽창재, 초기 균열 하중, 연성, 파괴에너지
Steel fiber reinforcement, CSA expansive admixture, Initial cracking load, ductility, Fracture energy

1. 서 론

콘크리트는 압축하중에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인장 하중에는 취약하므로 인장부에 보강재를 필요로 한다. 대표적 으로 철근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강재부식에 대한 피 해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보강재 (FRP: Fiber Reinforced Plastic/Polymer)와 같은 보강재료 들도 사용되고 있다 (Won et al., 2008; Oh and Moon, 2012). 또한 철근 대체재료 이 외에 인장부의 균열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섬유 (Steel Fiber) 또는 기능성 복합재 (ECC: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와 같은 섬유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Kang and Ryu, 2011; Li and Li, 2011). 이러한 섬유재를 혼입한 콘크 리트는 인장강도, 휨강도, 균열제어 성능, 연성 등 모든 역학 적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이며, 내진성능에도 우수함이 판명되었다 (Cho et al., 2012). 특히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대표적인 단점인 취성파괴의 단점을 개선하고 균열발생이후 미세균열이 넓게 분포하도록 하는 브리징효과 (Bridging effect)를 보인다.

콘크리트의 균열발생은 구속조건에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가 외부로부터 야기되는 인장응력보다 작을 경우 균열이 발 생한다. 다양한 혼화재 (팽창재, 건조수축 저감재) 등은 에트 린자이트의 생성 또는 표면장력의 감소를 통하여 수축을 보 상하고 팽창력을 야기하여 건조/자기 수축 균열과 같은 재료 물성에 기인한 균열에 우수하게 대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Yoo et al., 2012; Maltese et al., 2005). 팽창재를 사용함 으로서 건조수축 및 자기수축에 대한 수축보상에 대한 연구 는 최근까지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수축저감재를 같 이 혼입할 경우, 새로운 수화물 (Crystal lattice)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수축보상을 기대할 수 있다 (Maltese et al., 2005). 또한 크리프와 같은 장기변형에 대해서도 우수한 저항성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화학적 프리스트레싱 (Chemical Prestressing)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Sahamitmongkol et al., 2002; Park et al., 2001; Shim et al., 2004).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강도나 인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내구성, 내열성, 마찰저항 증진 등 구조용 재료로서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강섬 유 보강 콘크리트의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 멘트 페이스트량 및 단위수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재 매트릭스의 건조수축이 증가하므로 강섬유의 균열구속 효과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팽창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내부 강섬유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여 균열발생 이후 연 성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hn et al., 2003; Park et al., 2001). 본 연구는 CSA (Calcium sulfoaluminate) 팽창재 및 강섬유의 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노치 (Notch)를 준 콘크리트 보시편에 대한 균열저항성능 및 파괴 특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사용재료 및 배합특성

본 실험에서는 물-바인더비를 0.4로 하였으며, 팽창재 혼 입량은 시멘트 중량의 10%를 치환하였다. 강섬유는 전체 체 적의 1%와 2%를 혼입하였으며 섬유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 기 위해 멜라닌계 유동화제를 시멘트 중량의 0.15% 첨가하 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Table 1에서는 콘크리트 배합표를 나 타내고 있으며, Table 2 및 Table 3에서는 CSA 팽창재의 화 학성분과 강섬유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Fig. 1에서는 혼입된 훅타입 (Hook type)의 강섬유 사진을 나타낸다.

Table 1.

Mix proportions for concrete specimens

Types W/(C+E)(%) E/(E+C)(%) Unit weight (kg/m3)
W C E G S F
Control 40 0.0 220.0 550.0 0.0 646.0 840.0 0.0
CF-1 814.0 78.5
CF-2 788.0 157.0
SC 9.0 50.0 840.0 0.0
SC-1 814.0 78.5
SC-2 788.0 157.0

W : Water

G: Gravel

C: Cement

S: Sand

E: Expansive admixture

F: Steel fiber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CSA expansive admixture (Unit: %)

Ig.loss Insol. SiO2 Al2O3 Fe2O3 CaO MgO SO3 Sum F-CaO
0.8 1.4 4.0 10.0 1.2 52.5 0.6 30.0 99.1 16.0
Table 3.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ment

Type Length (mm) Width (mm) Thickness (mm) Aspect ratio (l/d) Tensile strength (Mpa)
hooked shape 30.00 0.55 0.47 54.5 1,000
Fig 1.

Photo of hook type steel fiber

JKSMI-18-75_F1.jpg

Table 1에서 CF-A은 팽창재가 없는 감섬유 보강 A% 배 합을 의미하고 SC-B는 팽창재가 있는 강섬유 보강 B% 배 합을 의미한다. 또한 W/(C+E)는 물-결합재비로서 결합재에 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 (OPC: Ordinary Portland Cement) 와 CSA 팽창재 중량의 합을 나타내며, E/(E+C)는 팽창재 치환률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CSA 팽창재의 성분에 대한 팽창기구 및 화학식 등은 다음의 참고 문헌에 잘 정리되어 있다 (Andac and Glasser, 1994; Kim, 2003; Ahn, 2003; Nagataki and Gomi, 1998).

2.2.1. 기본물성시험 항목

본 절에서는 강섬유 CSA 콘크리트의 기본물성시험과 균 열저항성 평가에 대한 시험항목을 요약하였다. 기본물성시험 에서는 자유팽창률,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탄성계수, 포아 송비 등이 측정되었다. 또한 강섬유 CSA 콘크리트의 파괴특 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기 균열하중 및 노치를 가진 휨부재 의 파괴에너지가 평가되었다.

2.2.2. 역학적 성능시험 방법

자유 팽창률을 측정하기 위해 75×100×410mm 크기의 보 시편이 제작되었으며 내부 중앙에 매립게이지가 설치되었다. Table 1의 6가지 배합을 가진 시편이 각각 2개씩 제작되었 다. 재령 2일에 탈형을 하였으며, 20±2°C의 양생온도를 유지 하면서 내부에 매립된 게이지를 이용하여 자유팽창률을 측 정하였다. 바닥면은 비닐을 깔아 구속이 없도록 하였고 각 시편은 습윤포로 덮여져서 충분한 수분공급을 위한 습윤양 생을 수행하였다.

압축강도 평가를 위해 JIS A 6202에 따라 구속몰드를 체 결한 상태로 양생 및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팽창이 지나치게 되면 과팽창에 의해 강도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대 비하기 위해 구속몰드를 사용하였다. 시험 직전까지 양생온 도를 20±2°C의 양생온도를 유지하여 습윤양생을 수행하였 다. KS F 2483에 따라 탄성계수 및 포아송비를 측정하였으 며, 동일 양생조건을 거친 시편을 대상으로 KS F 2423에 따 라 쪼갬인장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 2에서는 압축강도 시험 및 제조된 시편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Fig 2.

Test setup of compressive strength and samples of expansion

JKSMI-18-75_F2.jpg

2.2.3. 균열진전 및 파괴특성을 위한 시험

파괴특성 시험용 시편은 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강섬 유와 CSA 팽창재를 혼입한 콘크리트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의 경우에 대해 3개씩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시편의 제원은 100×100×400mm으며 지간은 300mm로 하였고, 노치 깊이 는 시편 높이의 1/4인 25mm로 하였다. 강섬유는 Fig. 1과 같은 훅타입을 사용하였으며, 전체 체적비 1.0% 및 2.0%를 혼입하였다. 재령 2일째에 탈형하였는데 양생온도는 20±2°C 를 유지시키면서 재령 28일까지 습윤양생 후 시험을 수행하 였다. Fig. 3에서는 시험에 사용된 시편의 형상 및 제원을 나 타내고 있으며 Fig. 4에서는 실험장비의 개요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 3.

Geometry of concrete sample with notch

JKSMI-18-75_F3.jpg
Fig 4.

Schematic diagram for 3-point bending test

JKSMI-18-75_F4.jpg

Fig. 4와 같이 JCI TC-992에서 제안한 방법에 의거하여 파괴 시험을 수행하였다. 노치를 준 보부재에 대해서 3점 휨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하중 재하 단계에 따라 클립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열개구변위 (CMOD: Crack Mouth Opening Displacement) 를 측정하였다. 또한 섬유보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변형량 이 커지기 때문에 클립게이지 만으로는 그 측정이 곤란하여 LVDT를 통해 처짐도 같이 측정하였다. 재하 속도는 안정적인 파괴를 유도하기 위해 하중점의 처짐 속도가 0.001mm/min가 되도록 제어하였으며, 하중-CMOD 관계를 통해 파괴에너지 를 도출하였다.

Fig. 5에서는 시편의 실험사진 및 균열 진전모습을 나타내 고 있다.

Fig 5.

Fracture test for concrete with notch

JKSMI-18-75_F5.jpg

3. CSA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특성 평가

3.1. 보통 및 팽창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평가

3.1.1. 자유 팽창률 시험결과

Fig. 6에서는 강섬유 보통콘크리트와 강섬유 CSA 콘크리 트의 자유팽창률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섬유 혼입량이 증 가할수록 팽창률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CSA 콘크리트의 경 우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2배 수준의 높은 팽창률을 나타 내었다.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Ahn, 2003; Kim, 2003), 강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 팽창량이 더욱 증가하는데, 이는 강섬유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내부구속이 커지고 자중이 증 가하기 때문이다. 보통 5일 정도까지 빠른 팽창률을 보이고 있으므로, 실제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 강섬유 혼입량 및 양 생조건에 따라 팽창재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보통 콘크 리트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건조상태에서는 수축하지만, 습윤 포로 덮혀지고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었으므로 전체적으 로 약간 팽창이 발생하였다.

Fig 6.

Expansion strain in CSA concrete with different steel fiber ratio

JKSMI-18-75_F6.jpg

3.1.2. 역학적 성능 시험결과

강섬유 혼입에 따른 보통 콘크리트와 CSA 콘크리트의 압 축강도 및 쪼갬인장강도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으며 Fig. 7에는 기준 시편과의 상대비율을 도시하였다. 압축강도 평가에서 강섬유가 없는 경우, CSA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 트에 비해 6.5% 정도 증가하였지만 큰 증가라고 할 수는 없 다. 강섬유 혼입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증진에 대해 많은 연 구가 있으나 설계시에는 압축강도의 증가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I, 1999). CSA 콘크리트에 강섬유 를 혼입한 경우 1%에서 최대강도가 평가되었는데, 보통 체 적비 1.0~1.5% 수준에서 최적 혼입량비가 (Adebar et al., 1997; Lee and Lee, 2004), 고강도 콘크리트인 경우는 0.5% 수준에서 최적 배합비가 도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ebar et al., 1997). 기존의 연구에서도 강도 30MPa수준에서는 0.69~0.84 수준의 강도감소를 나타내었으며 고강도 일 경우 압축강도가 일부 개선된다고 보고되었다 (Kim et al., 2008). 쪼갬 인장강도에서는 강섬유 혼입에 따른 브리징 효과로 인해 인장강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강섬유가 없는 CSA 콘크리트의 경우 10% 정도 일반콘크리트에 비해 인장강도 가 개선되었으며, 강섬유 혼입이 증가될수록 쪼갬 인장강도 가 증가하였다. 보통 콘크리트에서 강섬유를 1%, 2%를 혼입 한 경우 36.7%, 72.5%로 인장강도가 증가하였으며, CSA 콘 크리트의 경우 40.0%, 51.6%로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인 장강도는 팽창재의 효과보다는 강섬유에 의한 효과가 지배 적이었는데, 이는 원주형 시편의 체적이 비교적 작아서 화학 적 프리스트레싱이 효과적으로 도입 못하였으며, 강섬유 혼 입이 균등하지 않은 원인도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Table 4.

Mechanical properties of CSA and normal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MPa)
Cases 1 2 3 average
Plain 46.0 48.4 46.1 46.8
SC 51.5 49.9 48.3 49.9
CF-1 47.2 44.4 46.5 46.0
CF-2 44.1 46.1 45.1 45.1
SC-1 45.6 45.5 46.7 45.9
SC-2 42.1 42.3 43.7 42.7
Split tensile strength (MPa)
Cases 1 2 3 average
Plain 4.0 4.2 3.9 4.0
SC 4.5 4.2 4.5 4.4
CF-1 6.1 4.9 5.4 5.5
CF-2 7.0 7.2 6.5 6.9
SC-1 5.8 5.5 5.5 5.6
SC-2 6.2 5.9 6.1 6.1

탄성계수 및 포아송비의 변화는 Table 5에 나타내었으며, 기 준 (Plain)과의 변화비를 Fig. 8에 도시하였다. 강섬유를 혼입한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탄성계수는 혼입량에 따라 95.2~110.2% 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CSA 콘크리트의 경우는 강섬유 혼 입에 따라 98.9~95.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포아송비의 경 우 강섬유 혼입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는데,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100.9~128.0% 까지, CSA 콘크리트에서는 109.1~112.2% 정도 증가하였다.

Table 5.

Elasticity and Poisson’s ratio in various conditions

Compressive strength (MPa)
Cases Elasticity (MPa) Poisson’s ratio (–)
Control 31,632 0.192
SC 29,476 0.198
CF-1 30,123 0.194
CF-2 34,871 0.245
SC-1 31,297 0.201
SC-2 30,167 0.215

CSA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할 경우, 탄성계수는 약간 감소되고 포아송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특성은 콘크리트 연성증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여겨진다. 횡방향 팽창이 증가하여 파괴시까지 내부에 에너지를 계속 축적할 수 있기 때문인데, 내부 강섬유의 브리징 효과가 주 된 원인이며, 강섬유가 프리스트레싱 되었을 때, 더육 효과 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습윤양생을 수 행하였는데, 기건양생보다는 충분한 수분공급을 통하여 CSA 팽창재의 팽창효과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화학적 프리스트 레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수중양생을 수행하였다 면, 팽창률은 더욱 증가하고 이로 인해 강도 및 탄성계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강섬유의 부식우려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습윤양생을 수행하였다.

3.2. 강섬유 혼입에 따른 보통 콘크리트와 CSA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 평가

3.2.1. 하중에 따른 균열개구 (CMOD)와 변위

본 절에서는 2절에서 언급한 강섬유 혼입유무에 따른 CSA 콘크리트 및 보통 콘크리트의 균열진전특성 및 파괴에 너지를 평가하도록 한다. Fig. 79에서는 노치를 가진 보통 콘 크리트와 CSA 콘크리트의 하중-처짐-균열개구변위 관계를 강섬유 혼입량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최대하중은 6.05KN을 보이면서 최대 변위 0.072mm를, 균 열폭은 0.074mm를 나타내었다 반면 CSA 콘크리트의 경우 최대하중 7.21KN, 최대변위 0.085mm를, 균열폭은 0.082mm 를 나타내었다. CSA 콘크리트는 강섬유를 혼입하지 않아도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더 큰 연성과 높은 휨강도를 확보하고 있었다.

Fig 7.

Strength ratio to control case

JKSMI-18-75_F7.jpg
Fig 8.

Ratio of Elasticity and Poisson’s ratio

JKSMI-18-75_F8.jpg

강섬유를 혼입한 경우 보통콘크리트와 CSA 콘크리트의 균열개구 및 처짐량의 변화는 Fig. 10에 나타내었다. 강섬유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최대하중이 증가하였으며, 최대 변위 도 따라서 증가하였다. 각 경우는 3개의 시편이 제조되었는 데, Fig. 10에서는 대표적인 하중-CMOD-변위곡선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각 경우에 대하여 시편번호를 기입하였으며, 여기에 해당하는 초기균열하중은 Table 6에 나타내었다.

Fig 9.

CMOD and displacement in normal and CSA concrete without steel fiber

JKSMI-18-75_F9.jpg
Fig 10.

CMOD and displacement in normal and CSA concrete with steel fiber

JKSMI-18-75_F10.jpg

Fig. 11에서는 보통 콘크리트의 하중-CMOD-변위곡선과 강섬유를 혼입한 경우 (CF-1, CF-2, SC-1, SC-2)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변형에 대한 스케일이 큰 차이가 나므로 0.5mm 까지의 변위만을 도시하였다. 강섬유 혼입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하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 강섬유 혼입시 SC-2 계열이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Fig 11.

Comparison of CMOD and displacement of normal concrete and concrete with steel fiber

JKSMI-18-75_F11.jpg
Fig 12.

Initial cracking load in normal and CSA concrete with steel fiber

JKSMI-18-75_F12.jpg

3.2.2. 초기균열하중 검토

객관적인 연성효과 증진을 평가하기 위해, 3개 보시편에 대한 초기 균열하중을 비교하였다. Table 6에서는 각 경우에 대한 초기균열하중의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그 평균값을 Fig. 12에 도시하였다. Table 6에서 나타낸 초기균열하중에 대해 Fig. 10에 해당하는 시편의 경우는 굵은 글씨로 표기하였다.

Table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2%의 강섬유를 함유한 CSA 콘크리트에서는 최대 균열하중이 평가되었는데, 이는 CSA 팽창재에 의한 내부 강섬유의 화학적 프리스트레싱이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섬유 1%를 혼입한 경우는 보 통 콘크리트에 비해 CSA 콘크리트가 109.7%의 증가를, 2% 혼입시 136.0%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Table 6.

Initial cracking load in normal and CSA concrete with steel fiber

Cases Normal concrete (KN) CSA concrete (KN)
CF-1 CF-2 SC-1 SC-2
1 6.908 7.919 7.759 Fig. 10(b) 11.535
2 7.532 Fig. 10(a) 8.552 8.260 12.974 Fig. 10(d)
3 6.963 10.105 Fig. 10(c) 7.456 11.647
Average 7.134 8.859 7.825 12.052

3.2.3. 파괴에너지 평가 (Gf)

TC-992 (Yoshinori and Yuichi, 2002) 기준을 참고하여 부재의 높이 변화에 따른 파괴에너지를 각각 도출하였다. 식 (1) 및 식 (2)에서는 파괴에너지와 공시체의 자중과 제어장 치가 하는 일을 나타낸다.

(1)
G F = 0.75 W 0 + W 1 A lig
(2)
W 1 = 0.75 S L m 1 + 2 m 2 g CMO D c

여기서, Gf는 파괴에너지 (N/mm), W0 는 공시체 파단까 지의 하중-CMOD 곡선의 아래면적 (N∙mm), W1 은 공시 체의 자중 및 재하제어장치가 하는 일 (N∙mm), Alig 는 결 속장치 (ligament)의 면적 (mm2), m1 은 공시체의 질량 (kg), S 는 재하스팬 (mm), L 은 공시체의 전길이 (mm), m2 는 시 험기에 부착되지 않고 파단될 때까지 공시체에 부착된 제어 장치의 질량 (kg), CMODC는 파단시의 균열개구변위 (mm) 를 나타낸다. 부재의 높이를 D라고 할 때 0.02D, 0.04D, 그 리고 최종 파단시에 해당하는 파괴에너지를 산출하였다.

Table 7에서는 파괴에너지 결과를 도시하였으며, Fig. 13 에서는 강섬유 함유량에 따른 파괴에너지를 도시하였다.

Table 7.

Fracture energy of normal and CSA concrete with steel fiber

Cases CF-1 (KN/mm) CF-2 (KN/mm)
0.02D 0.04D Final 0.02D 0.04D Final
1 1.2343 2.2264 5.1047 1.4042 2.5155 6.1364
2 1.2777 2.3096 6.0105 1.5046 2.8326 7.0607
3 0.9080 1.8575 5.9729 1.7510 2.2702 6.6372
Average 1.140 2.131 5.696 1.553 2.539 6.611
Cases SC-1 (KN/mm) SC-2 (KN/mm)
0.02D 0.04D Final 0.02D 0.04D Final
1 1.0526 1.7968 3.9387 1.9999 3.9848 9.4497
2 1.1164 1.9115 5.3206 2.0539 3.7970 8.3895
3 1.4315 2.6686 3.4539 1.9487 3.4877 8.1184
Average 1.200 1.126 4.238 2.001 3.757 8.653
Fig 13.

Fracture energy in normal and CSA concrete with steel fiber

JKSMI-18-75_F13.jpg

SC-1에서는 CF-1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으나, 2% 강섬유 혼입인 경우 CF-2에 비해 130.9%의 파괴에너지 증가를 나 타내었다. CSA 팽장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혼입된 강 섬유에 프리스트레싱을 인가하여 보통 강섬유 콘크리트에 비해 뛰어난 연성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팽창재와 강섬유를 시공조건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면 보통 강섬유 콘크리트에 비 해 우수한 역학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CSA 팽창재를 혼입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 능 및 균열 저항성능 평가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강섬유와 팽창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에서 압축강도는 큰 증 가를 보이지 않았으나, 쪼갬인장강도는 크게 개선되었다. 보통 콘크리트에서는 강섬유 혼입에 따라 136.7%~172.5% 의 증가를, CSA 콘크리트에서는 140.0%~151.6%로 쪼갬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2. 3점휨 시험에 따라 초기 균열하중을 평가하였는데, 강섬 유 1%를 혼입한 경우는, 강섬유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CSA 콘크리트가 109.7%의 증가를, 2% 혼입시 136.0% 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CSA 콘크리트의 경우 매트릭 스 내의 강섬유에 유효한 내부구속을 인가하여 더 큰 균열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다.

  3. 2% 강섬유 혼입인 경우 보통 강섬유 콘크리트 보다 CSA 콘크리트에서 130% 증가된 파괴에너지를 도출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최적 강섬유 혼입 비가 아니며, 연성 극대화를 위해 최적의 강섬유 및 CSA 팽창재의 배합비가 필요하다. 팽창재과 강섬유를 적절히 사용하면 일반 콘크리트에 비하여 개선된 파괴 거동을 확보할 수 있다. 다량의 시멘트가 사용되어 건 조수축이 크게 발생할 때, 팽창재와 강섬유의 혼용은 재료적, 구조적 균열방지에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 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 (FRP Hybrid Bar를 활용한 해양항만구조물 수명향상 기술 개발)의 연구 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1999), Design Consideration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544.4R, 12-24.
2 
(1997), Shear tests of fiber concrete beams without stirrups, ACI Structural Journal, 94(1), 68-76.
3 
(2003), A Study on Evaluation of Crack Resistance in Chemically Prestressed Mortar,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4 
(2003), A study on fracture characteristics of chemically prestressed mortar, KCI Spring Conference, (in Korean), 15(1), 828-832.Google Search
5 
(1994), Polymorphism of Calcium Sulfoaluminate (Ca4Al6O16·O3) and its solid solution, Advances in Cement Research, 22(6), 57-60.
6 
(2012),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by applying steel fiber-reinforced mortar at plastic hinge reg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4(3), 241-248.Google Search
7 
(2011), The effect of steel-fiber contents on the compressive stress-strain relation of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UHPCC),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3(1), 67-75.Google Search
8 
(2008), Influence of Steel Fiber Volume Ratios on Workability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teel Fiber Reinforced High-Strength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in Korean), 8(3), 75-83.Google Search
9 
(2003), A Study on Evaluation of Crack Resistance in Chemically Prestressed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in Korean)Google Search
10 
(2004), Characteristic strength and deformation of SFRC considering steel fiber factor and volume fr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16(6), 759-766.Google Search
11 
(2011), High-early-strength ECC for rapid durable repair: Material properties, ACI Materials Journal, 108(1), 3-12.
12 
(2005), Combined effect of expansive and shrinkage reducing admixtures to obtain stable and durable morta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2), 2244-2251.
13 
(1998), Expansive admixtures (mainlyettringi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20(2-3), 163-170.
14 
(2012), A degradation characteristic of FRP rebar attacked by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6(3), 1-10.
15 
(2001), Chemically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with expansive additiv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13(1), 43-51.Google Search
16 
(2002), Cracking Behaviors of chemical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members, 5-13.
17 
(2004), A Study on Crack Behavior of Chemically Prestressed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KCI Fall Conference, (in Korean), 16(2), 121-124.Google Search
18 
(2008), The effect of exposure to alkaline solution and water on the strength-porosity relationship of GFRP rebar,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39(5), 764-772.
19 
(2012), Analysis technique for autogenous shrinkage on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mineral and chemical admix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4(9), 1-10.
20 
(2002), Test methodfor fracture property of concrete, Concrete Journal, (in Japanese), 40(2), 8-15.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