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성현
(Seong-Hyun Ko)
1)*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GFRP 보강근, 전단무보강, 파괴유형, 전단지간비, 전단강도, 유효보강근비
키워드
GFRP bar, Without stirrup, Failure mode, Shear span-depth ratio, Shear strength, Effective reinforcement ratio
1. 서 론
철근콘크리트 (Reinforced Concrete, 이하 RC)는 콘크리 트의 단점인 낮은 인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근을 인장부 에 배근하는 구조물이다.
하지만 사용연한이 증가함에 따라 화학적 침투, 건습의 반복, 기온의 변화, 염화물의 침투, 이 산화탄소와의 반응 등의 노출환경 및 내외부적 요인으로
인 하여 철근이 부식될 수 있다. Nanni (1993)는 미국에 있는 기존 교량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철근의 부식작용에 의 해 손상된 교량은 전체의 약 1/6에 해당되며 이로 인한 경제 적 손실은
매년 700억 달러에 달한다고 추정하였다. 이와 같 은 이유로 Fiber Reinforced Polymer (FRP)로 알려진 섬유 강화 복합체를
이용하여 철근을 대체할 수 있는 보강근을 개 발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Rostasy (1996)는 미국, 독일, 캐나다 등의 서구지역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과 같은 아시아 국가에서도 이미 건물 및 교량 구조물에 적용되 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Anronio et al. (2010)은 FRP 보강근 은 철근에 비해 경량이고 높은 인장강도를 보유할 뿐만 아니 라, 내부식성 (corrosion resistance)의 장점을 활용하여
해상 및 해안교량, 항만구조물, 화학적으로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 는 구조물 등에 적용시 유리함을 보고하였다. 또한 비자기성 및 비전도성 (electric
and magnetic transparency)의 물리적 역학적인 재료특징을 활용하면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와
같이 전자기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설비 또는 장비들이 있는 의료 구조물이나 산업 구조물에 적용시 유리 함을 Anronio et al. (2010)은 밝혔다.
캐나다 (CHBDC, 2002), 일본 (JSCE, 1997), 유럽 (IGDRCS, 1999), 미국 (ACI 440.1R, 2001), 이집트 (Egyptian Code Committee, 2005), 이탈리아 (CNR-DT203, 2007) 등의 국 가에서는 설계기준이 마련되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진행 중이며 국내에서 개발된 FRP 보강근의 성능에 적합한 설계 이론 정립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는 FRP 보강근 적용에 대한 실험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결과이기도 하지 만 파괴거동이 충분하게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해외의
설계기준들이 대부분 합리적인 이론적 접근보다는 실험결과에 대한 경험적 접근식을 채택하면서 RC 보의 전단 강도 설계식을 수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물론
RC 보에서 철 근 보강재 대신에 FRP 보강재로 변환되므로 이와 같은 방법 으로 접근할수도 있으나 파괴거동은 RC 구조와 다소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전단강도 추정에 대해 각 연구자들이 제각기 다른 접근법 (Matta et al., 2008; Nanni, 1993; Rostasy, 1966) 을 채택/주장하고 있다.
FRP로 휨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는 RC 보와 다르며 거동도 동일하지 않으 므로 전단보강을 배제하여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와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Noh et al. (2005), Jin et al. (2009), Park et al. (2008), Kim et al. (2007)은 FRP로 휨보강되고 스터럽이 없는 콘크 리트 보의 전단강도와 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국 내에서는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해 외의 경우에 비하면 축적된 실험 데이터가 매우 한정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터럽이 없는 FRP 콘크리트 보의 파괴거 동과 전단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4개의 보에 대한 실험적 연 구를 수행하였으며 하중-처짐,
파괴거동 등을 중심으로 서술 하였다.
2. 실험체 및 재하실험
2.1. 실험체 변수
전단철근은 전단강도에 기여함은 물론 압축부 콘크리트에 구속압력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거동의 변수를 최소화할 목 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다. 전단보강을
배제한 대신에 NGF1, NGF2, NGF3 실험체의 전단지간비 (a/d)를 6.5로 선정하였 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에서 전단지간비가 6.5인 경우에는 파 괴유형이 전단파괴의 유형이 아닌 휨 파괴 유형을 나타낸다. NGF4
실험체의 전단지간비를 2.5로 선정하였다. 전단지간 비가 2.5인 경우에는 전단파괴의 파괴유형을 나타내며 NGF1, NGF2, NGF3 실험체의 파괴유형과
비교하기 위해서 변수로 채택하였다. 각 실험체의 변수들을 Table 1에 정리하였다.
Table 1.
Variables of test specimens
Specimens
|
NGF1
|
NGF2
|
NGF3
|
NGF4
|
ƒcu(MPa)
|
25.17
|
Reinforcement
|
GFRP 1D13
|
GFRP 2D13
|
GFRP 3D13
|
GFRP 1D10
|
Ltotal (mm)
|
3,300
|
1,950
|
α (mm)
|
1,300
|
500
|
d (mm)
|
200
|
a/d |
6.5
|
6.5
|
6.5
|
2.5
|
ρf(%)
|
0.317
|
0.634
|
0.950
|
0.178
|
ρfb (%)
|
0.281
|
ρf/ρfb |
1.126
|
2.250
|
3.375
|
0.634
|
Cover
|
2.65db (33.7mm)
|
3.7db (35.2mm)
|
식 (1)과 (2)에 나타낸 ACI 440.1R-06의 보강근비와 균형 보강근비에 대한 보강근비를 Table 1에 나타내었으며 NGF4 실험체는 0.634이고 그 이외의 실험체는 1.126~3.375의 값 을 나타낸다.
여기서, As : 보강근 면적
β
1 :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중립축 위치에 관련된 계수
Ef : 보강근의 탄성계수
єcu : 콘크리트 극한변형률
ffu : 보강근의 설계인장강도
2.2. 실험체 제원
GFRP 보강근은 유리섬유 (glass fiber)와 고분자화합물인 비닐에스테르 (vinyl ester)를 함침재료로 사용하여 제작되었 다 (KICT, 2005). 본 연구에서 사용된 GFRP 보강근은 콘크 리트와 보강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부착강도를 증가시 킨 이형 (deformed) 보강근 형태이며
Fig. 1에 보강근 사진 을 나타내었다. 알칼리 저항성이 우수한 PVA (poly vinyl alcohol) 섬유로 제작된 나선형태의 돌기와 다수의 단섬유로
구성된 피복이 보강근 표면을 덮고 있다. 공칭지름이 12.7mm 인 보강근의 특성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시험 성적을 인 용 (KICT, 2005; You, 2012) 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공칭지름이 9.53mm인 보강근의 재료시험은 수행되지 않았 다. 보강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항복구간이 없고 파단까지 직선 형태로
증가되며 이를 철근 (SD400)과 비교하여 Fig. 2 에 나타내었다.
Fig 1.
GFRP reinforcing bars used in study
Table 2.
Material property of GFRP reinforcements
Reinforcement
|
GFRP
|
Name
|
D10
|
D13
|
Diameter(mm)
|
9.53
|
12.7
|
Sectional area(mm2)
|
71.33
|
126.7
|
Tensile strength(MPa)
|
-
|
1,130
|
Rupture strain(%)
|
-
|
2.3
|
Modulus of elasticity(GPa)
|
-
|
49
|
Fig 2.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GFRP reinforcement
콘크리트 타설 후 증기양생 (72시간)을 실시하였고 실험실 로 이동되어 상온에서 2주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KS F 2405 에 따라 압축강도를 계측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fcu)는 25.17MPa로 계측되었다.
2.3. 실험체 제작
GFRP 보강근으로 휨 보강된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사각형 단면이고 폭이 200mm이며 전체 높이는 240mm로 제작되었다. 각 실험체에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보강근이 1단으로 배근되었으며 보강근 배근위치는 유효깊이 (d) 200mm를 유지하도록 배근되었다. 따라서 실험 체의 인장연단부터 GFRP 보강근의 중심까지 간격은 40mm 이고 공칭지름이 12.7mm인 보강근이
배근된 NGF1, NGF2, NGF3 실험체들의 피복두께는 33.7mm (2.65db)이며 공칭지 름이 9.53mm인 보강근이 배근된 NGF4 실험체의 피복두께 는 35.2mm (3.7db)이다. 전단지간 길이는 NGF1, NGF2, NGF3 실험체는 1,300mm이고 NGF4 실험체는 500mm이다. 실험체의 단면치수, 보강근의 배근
위치를 Fig. 3에 나타내 었다.
Fig 3.
Configurations and dimensions of specimens
유효깊이를 200mm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피복두께를 얻기 위해 기존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 Fig. 5(a)와 같이 거 푸집을 관통하는 철사를 횡방향으로 배치한 후 그 아래 면에 보강근이 위치되도록 제작하였다.
Fig 5.
Construction of specimens
2.4. 계측계획
축방향 보강근의 변형률을 계측하기 위해 Fig. 4와 같이 보강근의 하단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실험체의 중 앙부 압축연단에 2개, 복부에 3개의 콘크리트 게이지를 부착 하였다. 하중 진행에
따른 GFRP 보강근의 슬립 유무와 슬립 량을 계측하기 위해 GFRP 보강근의 전체길이는 실험체의 외부로 150mm 노출되도록 결정하였다. 보강근에
부착된 변 형률 게이지 선들은 실험체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였다.
Fig 4.
Location of potentiometers and strain gauges distribution
2.5. 재하실험
Fig. 6과 같이 1000kN UTM을 이용하여 하중을 2점 재하 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하중재하로 진행하였으며 가력속도는 1.3mm/min의 재하속도를
유지하였다. 가력기로 부터 전달되는 2점 재하 하중을 계측하며 처짐량은 중앙부 에서 계측되었다. 실험체의 상단면부터 100mm 간격으로 수 평선을
그렸고 최하단의 수평선은 보강근의 위치를 나타낸 다. 지점은 실험체 끝단으로부터 200mm인 위치로 유효깊이 (d)와 동일하다. 실험체 Fig. 4와 같이 실험체 외부로 노출된 GFRP 보강근에 LVDT를 부착하여 슬립량을 계측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실험체 내부에 보강근이 확실하게 정
착되었는지 검토할 목적이었다.
3. 실험결과
3.1. 균열 및 파괴거동
Fig 7에는 각 실험체의 실험종료 후의 균열양상을 나타내 었다. 모든 실험체는 휨균열이 발생되어 진행되다가 휨균열 이 안정화 상태에 돌입한 후 전단지간의
중앙 부근의 복부에 사인장균열이 45° 각도로 발생되었고 균열폭이 급속히 증가 되어 단면을 관통하는 전단균열에 의해 파괴되었다. 또한 NGF1~3
실험체들은 사인장균열 폭이 증대되면서 사인장균 열과 인접한 휨균열 구간에 지점방향으로 보강근을 따라서 피복이 탈락되었다.
Fig 7.
Failure mode of specimens
NGF1 실험체의 보강비는 1.126ρfb로 콘크리트 압축연단 의 파괴로 예상되었던 실험체이나 사인장균열에 의한 전단- 인장파괴 (shear-tension failure)의 유형을 나타내었다.
대표 적인 NGF1 실험체의 변형률-처짐 관계를 Fig. 8에 나타내었 다. 처짐이 44mm일 때 실험체 측면에 부착된 게이지에서 계측된 변형률은 최대 값 (10,153)에 도달하였고 처짐이 83.6mm일
때 실험체 압축연단에 부착된 게이지에서 계측된 변형률은 최대 값 (-3,864)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모 든 실험체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Fig 8.
8 Strain-deflection relationship
ACI 440.1R-06에서는 보강근비가 균형보강비보다 작으면 (ρf < ρfb) FRP 보강근 파괴가 지배적이고, 보강근비가 균 형보강근비보다 크면 (ρf > ρfb) 콘크리트 파괴가 지배적이 라고 서술하고 있다. 또한 CSA S806의 최소전단강도의 제 한식인 식 (3)의 조건이 만족되도록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나 전단인장파괴의 유형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Mr : 설계휨강도
Mcr : 콘크리트 파괴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균열 모멘트
NGF2와 NGF3 실험체들의 보강비는 2.250ρfb , 3.3755ρfb 로 콘크리트 압축연단의 파괴로 예상되었던 실험체이나 NGF1 실험체와 유사하게 사인장균열에 의한 전단-인장파괴 (sheartension failure)의
유형을 나타내었다. Table 3에 실험에서 계측된 하중, 중앙 처짐, 콘크리트와 보강재의 변형률 (중앙 부) 등을 정리하였다.
Table 3.
Specimens
|
NGF1
|
NGF2
|
NGF3
|
NGF4
|
Ultimate load Pu (kN)
|
17.73
|
23.17
|
25.98
|
30.53
|
Ultimate deflection Δ (mm)
|
83.6
|
68.2
|
46.6
|
35.6
|
Concrete εc (µε)
|
-3,864
|
-4,553
|
-3,177
|
-2,331
|
FRP bar εc (µε)
|
14,375
|
14,255
|
12,645
|
17,108
|
Axial rigidity of FRP, EA(MN)
|
6.21
|
12.42
|
18.62
|
3.50
|
Ratio of EA
|
1.0
|
2.0
|
3.0
|
0.56
|
Observed failure mode
|
Shear-tension failure
|
3.2. 하중-처짐 관계
Fig. 9는 실험변수에 따른 하중-처짐 관계를 나타내고 있 다. 처짐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콘크리트 탄성계수와 유효 단면 2차모멘트의 곱으로 이루어지는 유효
휨강성이 처짐량 을 결정하게 된다. 유효단면 2차모멘트는 휨 보강근의 영향 을 받게 되고 휨 보강근의 축강성은 균열단면에서 중립축 위 치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NGF1, NGF2, NGF3 실험체의 보강근 축방향 강성비는 Table 3에 나타나 있듯이 NGF1의 강성을 기준으로 증가함에 따라 부재강성은 증가하나 처짐 량은 감소하고 있다. NGF4 실험체는 보강근의 축방향 강성 은
감소되었으나 전단지간비가 2.5인 영향으로 부재강성이 크게 나타났다.
Fig 9.
Load-deflection relationship
4. 휨강도 및 전단강도
4.1. 휨강도
ACI 440.1R-06의 강도 산정식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수 행된 실험체들에 대한 파괴유형을 모두 전단파괴로 예측하 였다. Table 4에 실험결과와 ACI 440.1R-06, CSA S806-02, Canada Research Network of ISIS (Intelligent Sensing for Innovative Structures)의
설계 매뉴얼 ISIS-2007의 휨강도 및 전단강도 계산식에 의한 결과들을 정리하였다. ACI 440.1R-06 에서는 콘크리트 극한 변형률로 0.003을 채택하고 있으나 CSA S806-02와 ISIS-2007에서는 0.0035를 채택하고 있어 서 결과 값이 다소 다르게 산정된다.
Table 4.
Comparison of Test results and analysis results
Specimens
|
NGF1
|
NGF2
|
NGF3
|
NGF4
|
Test
|
Pu |
17.73
|
23.17
|
25.98
|
30.53
|
Failure mode
|
Shear failure
|
ACI 440.1R-06
|
Flexure Pfu (kN)
|
15.49
|
20.67
|
24.23
|
31.31
|
Shear Psu (kN)
|
8.65
|
11.95
|
14.37
|
6.59
|
Failure mode
|
Shear failure
|
CSA S806-02
|
Flexure Pfu (kN)
|
10.97
|
14.45
|
16.79
|
22.35
|
Shear Psu (kN)
|
20.07
|
20.07
|
20.07
|
20.07
|
(11.81)
|
(14.88)
|
(17.04)
|
(9.76)
|
Failure mode
|
Flexure failure
|
Shear
|
failure
|
ISIS-2007
|
Flexure Pfu (kN)
|
10.97
|
14.45
|
16.79
|
22.35
|
Shear Psu (kN)
|
11.92
|
11.92
|
11.92
|
11.92
|
Failure mode
|
Comp. failure
|
Ten. failure
|
Ten. failure
|
Comp. failure
|
단면 휨강도는 식 (6)~(8)과 같이 힘의 평형과 변형률 적 합조건에 근거한다. 직사각형 등가응력블럭 높이 산정식을 식 (4)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식 (5)를 얻을 수 있다. ACI 440.1R-06에서는 철근콘크리트와 동일하게 공칭휨강도를 산 정한다. 보강근비가 균형보강근비 이상인 경우에 부재의 파 괴는 콘크리트 파괴가 지배적이라는 가정에서
콘크리트 압 축응력 분포는 ACI 직사각형 등가응력블럭과 유사하므로 평 형 및 적합조건을 적용하며 콘크리트 압축파괴시 FRP의 응 력은 ffu 보다 작기 때문에 식 (5)를 사용하며 식 (5)의 상한 값은 ffu 이다. 보강근비가 균형보강근비 보다 작으면 FRP 변형률이 극한 변형 값에 도달될 때 콘크리트의 압축 연단 최대 변형률이 극한 값 (0.003)도달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등가응력블럭을 적용할 수 없다. 이 경우, 어떤 특정한 변형 률에 도달했을때 콘크리트 응력분포를 근사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등가응력블럭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해석에서 파괴시 콘크리트 압축 연단 변형률과 중립축 깊이가 미지수 가 되고 식 (7)을 이용한다. 단순하며 보수적인 부재의 공칭 휨강도를 식 (8)과 식 (9)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Table 4에 실험 계측 강도와 공칭강도들을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4.2. 전단강도
ACI 440.1R-06에 규정된 식 (10), (11)은 균열단면에서의 중립축 깊이를 kd 변수를 사용하여 고려하고 있다. nf 는 보 강근의 탄성계수에 대한 콘크리트 탄성계수의 비이다. 이러 한 점은 다수의 제안자들이나 설계기준에서는 철근의 탄성 계수와의 비를 사용하고 있는데
ACI 기준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CSA S806에서는 유효높이가 300mm 이하이거나 300mm를 초과하더라도 최소전단보강이 되어 있는 경우,
콘 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를 식 (12)로 산정한다. 콘크리 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의 한계 값은 식 (13)로 주어진다. 본 연구에서의 전단강도는 식 (12)보다 식 (13)의 하한계 값 에 의해 결정되었다. 식 (13)에 의해 산정된 전단강도 값들 을 Table 4에 정리하였고 식 (12)에 의해 산정된 전단강도 값 들은 Table 4의 괄호 안에 정리하였다. 유효높이가 300mm 이상인 단면에 전단보강이 없거나 최소량 이하로 보강된 경 우에 식 (14)을 적용한다. ISIS에서는 콘크리트 전단강도 산 정에 있어서 식 (15)를 적용하며 보강근의 탄성계수와 철근 의 탄성계수의 비를 이용하여 전단보강이 없고 유효높이가 250mm 이하인 경우에 적용한다.
4.3. 실험결과에 대한 각 설계기준의 적용
실험결과와 ACI 440.1R, CSA S806, ISIS의 휨강도 및 전단강도 계산식들을 적용한 결과들을 Fig. 10과 Table 5에 나타내었다. 보강비가 1.126ρfb인 NGF1 실험체의 경우 ACI 440.1R의 전단강도 (Psu)는 실제강도 (Pu)와 비교하면 49% 로 매우 보수적이고 오히려 휨강도 (Pfu)가 87%로 예측하 고 있으나 파괴유형은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예측하였다. 보 강비가 각각 2.25ρfb, 3.375ρfb, 0.634ρfb인 NGF2, NGF3, NGF4 실험체의 경우 ACI 440.1R의 전단강도 (Psu)는 실 제강도 (Pu)와 비교하면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NGF1 실험 체의 경우와 유사하게 매우 보수적으로 예측하였고 오히려 휨강도 (Pfu)가 실제강도에 근접하게 예측하고 있으나 파괴 유형은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예측하였다. 축방향 보강근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의 예측 값도 증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4.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기여분에 콘크리트와 축방향 보강근의 강성비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Table 5.
Ratio of experimental and predicted strengths
Specimens
|
NGF1
|
NGF2
|
NGF3
|
NGF4
|
Test
|
Pu |
1
|
1
|
1
|
1
|
ACI 440.1R-06
|
Flexure Pfu |
0.87
|
0.89
|
0.93
|
1.03
|
Shear Psu |
0.49
|
0.52
|
0.55
|
0.22
|
CSA S806-02
|
Flexure Pfu |
0.62
|
0.62
|
0.65
|
0.736
|
Shear Psu |
1.13
|
0.87
|
0.77
|
0.66
|
ISIS-2007
|
Flexure Pfu |
0.62
|
0.62
|
0.65
|
0.736
|
Shear Psu |
0.67
|
0.51
|
0.46
|
0.39
|
Fig 10.
Experimental versus predicted strength results
반면에 CSA S806과 Canada Research Network of ISIS 의 설계 매뉴얼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실험 체의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 기여분이 동일하다. CSA S806에서는 NGF1 실험체에 대해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 기여분을 실제강도보다 높게 예측하였고
NGF2~4 실험 체에 대해서는 87~66%로 예측하였다.
휨강도는 모든 실험체에 대하여 62~73%로 예측하였고 NGF1~3 실험체에 대해서는 휨파괴, NGF4 실험체에 대해 서는 전단파괴를 예측하였다.
ISIS에서는 모든 실험체의 콘 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 기여분을 39~67%로 예측하였다. NGF1과 NGF4 실험체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압축파괴,
NGF2 와 NGF3 실험체에 대해서는 인장파괴로 파괴유형을 예측하 였다.
5. 결 론
본 연구는 스터럽이 없는 FRP 콘크리트 보의 파괴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하중-처 짐, 파괴거동, 휨강도, 전단강도
등의 자료를 제공하며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실험체 Fig. 4와 6과 같이 실험체 외부로 노출된 GFRP 보강근에 LVDT를 부착하여 슬립량을 계측하였다. 실 험이 진행되는 동안 실험체 내부에 보강근이 확실하게 정착되었는지
검토할 목적이었고 모든 실험체에서 슬 립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
축방향 보강근비와 전단지간비를 변수로 실험적 연구 를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체의 변형률-처짐 관계에서 실험체 측면에 부착된 게이지에서 계측된 변형률이
먼 저 한계 변형률 (0.003 이상)에 도달하였고 그 이후 실 험체 압축연단에 부착된 게이지에서 계측된 변형률이 한계 변형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모든 실험 체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전단지간 중앙부의 복부 에 발생된 사인장균열에 의한 전단파괴의 파괴유형을 나타내었다. 향후에 추가적인
실험결과둘이 수행되고 이에 따른 적합한 휨/전단강도 산정식에 대한 제시와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ACI 440.1R은 보강근비가 균형보강비보다 작으면 (ρf < ρfb) FRP 보강근 파괴가 지배적이고, 보강근비 가 균형보강근비보다 크면 (ρf > ρfb) 콘크리트 파괴 가 지배적이라고 서술하고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콘크 리트 압축연단의 압괴가 발생되지 않았다.
-
스터럽이 없는 FRP 콘크리트 보의 파괴유형의 예측은 설계기준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ACI 440.1R은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파괴유형을
예측 하였으나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 기여분에 대해서 는 매우 보수적인 결과를 예측하였다. CSA S806, ISIS에서도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
기여분을 대부 분 보수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각 국가들에서 생산되는 FRP 보강근의 특성과 성능은 각각 다르며 이에 따른 설계이론이 정립되는 단계이 다. 이는 FRP 보강근 적용 및 파괴거동에
대한 실험적 근거 또는 이론적 이해가 완벽하지 않은 결과이기도 하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철근들의 성능에 대한 분 산보다 FRP 보강근 성능에 대한
분산이 더 큰 것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외의 설계기준들 이 대부분 합리적인 이론적 접근보다는 실험결과에 대 한 경험적 접근식을 채택하면서
RC 보의 전단강도 설 계식을 수정하여 적용하고 있는 점도 각 기준에서 제 시하는 식에 따른 결과가 다르게 산정되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향후 보다
다양한 실험결과들이 축적되고 이론적 입증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면 보다 합리적인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의 2013년도 연구개발사 업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