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찬유
(Chan-Yu Jeong)
1)
김 영식
(Young-Seek Kim)
2)
이 진섭
(Jin-Seop Lee)
3)
김 상우
(Sang-Woo Kim)
4)
김 길희
(Kil-Hee Kim)
5)*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고로슬래그 미분말, 전단, 철근콘크리트 보, 프리캐스트
키워드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Shear, RC Beam, Precast
1. 서 론
철강 산업은 공정에 따라 다양한 슬래그를 산업부산물로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른 처리비용도 증가하고 있는 실 정이다. 따라서 철강슬래그의 부가가치적인
사용을 위하여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철강슬래그 중에서 고 로슬래그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구성 성분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시멘트 원료,
콘크리트용 혼화재, 골재 등으로 사 용되고 있다. 특히 고로슬래그는 미분말 형태의 시멘트 대체 제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멘트 생산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고로슬래그는 시멘트 수화물을 촉매로 수화반응을 일으키 는 잠재수경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때문에 고로슬 래그를 시멘트 대체재로 다량 치환하더라도
콘크리트의 장 기강도와 내화학성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 (Shin and Choi, 2003). 기존 연구결과에서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30% 이하로 치환한 콘크리트의 경우 포틀 랜드 시멘트만을 사용한 콘크리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40% 이상 치환한 콘크리트는 고로슬 래그 미분말의 특성인 장기강도 발현, 저발열성, 내화학성 등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70% 이상으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저발열성과 화학 저 항성은 보통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증가하지만 강 도발현이 떨어지고 양생에
주의하지 않으면 소요 내구성을 얻기가 어렵다고 보고되고 있다 (Lee et al., 2000).
최근 시공성을 높여 공기를 단축하고 건설작업에 따른 환 경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공법이 많이 이용 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공법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부재는 공 장 제작의 이점이 있어 양생 초기에 증기양생을 통한 조기 강도 발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할 때 프리캐스트 구조부재에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고 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미발현에 관한 문제 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고로슬래그의
폭넓은 재활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 환율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 성능 평가를 수행하 여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구조부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2. 실험 계획
2.1. 사용재료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차이에 따른 프리캐스트 철 근콘크리트 보 부재의 전단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Table 1 과 같이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에 따라 배합강도 45MPa을 목표로 배합설계 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타설 이후 7일간 증기양생 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실험체 파괴 일에 KS F 2405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0)에 기초하여 시험한 결과 Table 2와 같이 45.2~ 56.9MPa을 나 타내었다. 각 실험체의 콘크리트 압축 응력-변형률 관계는 Fig. 1(a)에 나타내었다.
Table 1.
Specimens
|
Design strength (MPa)
|
W/B (%)
|
S/a (%)
|
Unit weight (kg/m3)
|
Water
|
Cement
|
*GGBS
|
Fly Ash
|
Aggregate
|
AE
|
AD
|
Fine
|
Coarse
|
S45-0
|
45
|
36.0
|
47.9
|
180
|
500
|
0
|
0
|
812
|
883
|
1.25
|
3.00
|
S45-4010
|
32.4
|
47.9
|
162
|
250
|
200
|
50
|
821
|
892
|
2.50
|
3.00
|
S45-50
|
32.4
|
47.9
|
162
|
250
|
250
|
0
|
827
|
899
|
2.00
|
3.00
|
S45-70
|
30.4
|
47.9
|
152
|
150
|
350
|
0
|
836
|
909
|
2.50
|
3.00
|
Table 2.
Specimens
|
ƒck (MPa)
|
Aggregate type
|
Replacement ratio (%)
|
Reinforcements
|
Fine
|
Coarse
|
Tension
|
Compression
|
S45-0
|
46.7
|
Natural
|
Natural
|
GGBS
|
0
|
3-D22 ƒy = 544 MPa
|
2-D10 ƒy = 496.6 MPa
|
S45-4010
|
56.9
|
GGBS + Fly ash
|
40+10
|
S45-50
|
53.1
|
GGBS
|
50
|
S45-70
|
45.2
|
GGBS
|
70
|
Fig 1.
Stress versus strain curves of materials
실험체에 사용된 각 철근의 기계적 성질을 알아보기 위하 여 KS B 0802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3)에 기 초하여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철근의 기계 적 성질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인 장철근은 항복강도가 544.0MPa, 탄성계수가 185GPa인 D22 이형철근을 사용하였으며, 압축철근은
항복강도가 496.6MPa, 탄성계수가 156GPa인 D10 이형철근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Fig. 1(b)에 나타내었다.
2.2 실험체
이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이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변수로 총 4체의
실험체를 제작 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보폭 200mm, 유효깊이 300mm, 인 장철근비 1.94%로 동일하며, 전단경간비는 전단의 영향이 지배적인
2.5로 계획하였다. 휨 변형과 휨 항복유무를 판별 하기 위하여 Fig. 2와 같이 인장 및 압축철근에 철근용 스트 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실험체 일람 및 배근 상세는 Table 2와 Fig. 2에 나타내었다.
2.3 실험방법
실험체의 가력방법은 Fig. 3에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체는 3점 가력을 받는 단순지지 보 형태로 계획하였으며, 가력은 2,000kN 용량의 UTM을 이용하였다. 하중은 최대내력의
80% 이하로 저하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가력하였다. 실험체의 처 짐은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체 중앙하단에 설치된 변위측정기 (LVDT) 2대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실험체의 전단변형은 보의 양옆 전단위험단면에 설치된
LVDT 5대로 각각 구성된 전단변형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체 콘크리트 압축영역의 변형상태는 Fig. 3과 같이 실험체 중앙의 가력지점 압축연단에서 각각 10mm, 30mm, 50mm 떨어진 지점에 부착된 콘크리트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및 분석
3.1. 전단력-처짐 관계
실험에서 계측된 전단력-처짐 관계는 Fig. 4에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체는 인장철근의 항복 이전에 전단 파괴가 선행하 였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에 관계없이 서로 유사 한 강성과 거동을
나타내었다. Fig. 5는 실험체의 인장철근 에 부착한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계측된 변형률을 나타낸 다. 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실험체의 인장철근은 실 험이 종료될 때까지 항복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4.
Shear force versus displacement relationships
Fig 5.
Measured strain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s
Fig. 4와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슬래그 미분말 을 치환하지 않은 S45-0 실험체의 최대전단력은 117.5kN을 나타내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50%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40% 및 플라이애쉬 10%를 각각 치환한 S45-50 실험체와 S45-4010 실험체의 최대전단력은 각각 110.2kN과 112.8kN 을
나타내어 S45-0 실험체와 약 5% 오차로 서로 유사한 전 단력을 나타내었다. 반면 고로슬래그 미분말 70%를 치환한 S45-70 실험체의 최대전단력은
89kN으로 가장 낮은 내력을 나타내었다.
Table 3.
Specimens
|
ƒck (MPa)
|
Initial flexural crack
|
Initial diagonal tension crack
|
Peak load
|
Vcr (kN)
|
τcr (MPa)
|
δcr (mm)
|
Vd (kN)
|
τd (MPa)
|
δd (mm)
|
Vu (kN)
|
τu (MPa)
|
δu (mm)
|
S45-0
|
46.7
|
34.5
|
0.58
|
0.514
|
52.6
|
0.88
|
0.864
|
117.5
|
1.96
|
3.254
|
S45-4010
|
56.9
|
35.4
|
0.59
|
0.478
|
49.4
|
0.83
|
0.758
|
112.8
|
1.88
|
3.128
|
S45-50
|
53.1
|
28.2
|
0.47
|
0.407
|
49.4
|
0.83
|
0.802
|
110.2
|
1.84
|
2.592
|
S45-70
|
45.2
|
26.7
|
0.45
|
0.388
|
38.2
|
0.64
|
0.603
|
89.0
|
1.48
|
2.058
|
3.2. 전단응력-전단변형률 관계
각 실험체의 전단응력-전단변형률 관계는 Fig. 6에 나타내 었다. 여기서 전단변형률은 Fig.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 구간의 전단위험단면에 부착한 LVDT 패널을 이용하여 구 하였다. Fig.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응력-전단변형률 관계는 대부분의 실험체에서 유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사인장 균열 발생 이전에는 전단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사인장 균열 발생과 동 시에 내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면서 전단변형이
증가하였다.
Fig 6.
Shear stress versus shear strain relationships
각 실험체의 전단응력은 Fig. 6과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하지 않은 S45-0 실험체가 1.96MPa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50% 를 치환한
S45-50실험체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40% 및 플라 이애쉬 10%를 치환한 S45-4010 실험체의 전단응력은 각각 1.84MPa과 1.88MPa으로
유사하였다. 반면 고로슬래그 미분 말 70%를 사용한 S45-70 실험체는 초기 경사균열과 최대 전단응력 모두 0.64MPa와 1.48MPa으로 가장
낮은 응력을 나타내었다.
3.3. 균열 및 파괴양상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에 따른 각 실험체의 균열양 상을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 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에 따른 균열양상의 차이는 거의 발 견할 수 없었다. 모든 실험체는 가력초기에 휨모멘트가 최대 인
실험체 중앙 하단에서 최초 휨 균열이 발생하였다. 각 실 험체의 최초 휨 균열 발생시 전단력은 Table 3에서 보는 바 와 같이 26.7~35.4kN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Fig 7.
Crack patterns of specimens after failure
휨 균열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실험체 중앙 상단부에 위 치한 가력점을 향하여 진행하였으며, 반력지점으로 새로운 휨 균열 및 휨-전단균열이 확장되어
발생하였다. 모든 실험 체의 사인장 균열은 38.2~ 52.6kN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내 력 이후 최대내력의 80% 이하로 하중이 급격히 떨어지는
취 성적인 파괴양상을 나타내었다.
3.4. 기존 실험결과와 비교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 여 기존 문헌에서 총 89개의 전단강도 실험결과 (Kani, 1967; Sneed and Ramirez, 2010; Elzanaty et al., 1986; Walraven and Lehwalter, 1994; Zarzris and Papadakis, 2001; Ghannoum, 1990; Mphonde and Frantz, 1984; Krefeld and Thurston, 1996)를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존 실험결과의 각 변수별 범위는 유효깊이 150~482mm, 보 폭 100~400mm, 인장철근비
0.01~0.035, 콘크리트 압축 강도 19.3~101MPa, 전단경간비 2.5~4.2이다.
Fig. 8은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제곱근과 전단강도에 대하 여 기존 실험결과와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를 비교하 여 나타낸 것이다. Fig.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는 기존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단강도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인장강도의 변수인 압축강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제곱근에 따른 기존 실험결과를 나타낸 Fig. 8과 같이 전단강도는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도 기존 실험결과의 실험군 안에 포함되어
있어 기존 실험결과 경향 에 잘 부합함을 확인 할 수 있다.
Fig 8.
Shear strength versus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relationships using previous results
3.5. 전단강도 예측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프리캐스트 보의 전단강도를 현행 규준 및 제안식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체 의 전단강도 예측을 위하여 ACI 318-11
(ACI, 2011)과 CEB-FIP MC90 (CEB-FIP, 1990), JSCE (JSCE, 1986), Zsutty (1968)에서 제안 및 규정하고 있는 전단강도식을 사 용하였다.
3.5.1. ACI 318-11
ACI 318-11에서 콘크리트의 전단강도 기여분은 콘크리트 인장강도만을 고려한 단순식으로 계산하거나 인장철근의 장 부작용과 전단경간의 효과를 고려한
상세식을 사용하여 계 산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세식을 이용하여 실험체의 전단강도를 예측하였으며, 그 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Vud/Mu ≤ 1이어야 하며, Vu 는 보의 최대전단력, Vc는 콘크리트에 의한 공칭 전단강도, fck는 콘크리트 압축 강도 (MPa), ρst 는 인장철근비, bw 는 단면의 폭 (mm)이다.
3.5.2. CEB-FIP Model Code 90
CEB-FIP MC90에서는 전단강도가 전단경간비의 1/3제곱 에 반비례하고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1/3제곱에 비례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유효깊이
d에 대한 크기효과를 고려하고 있다.
여기서 αυ 는 전단경간, ς는 크기효과를 반영하는 계수로
1
+
200
/
d
이다.
3.5.3. JSCE
JSCE에서는 압축강도의 1/3제곱에 비례하며 유효깊이의 1/4제곱에 반비례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압축강도와 단면 의 기여분을 작게 고려하고 있다.
3.5.4. Zsutty 제안식
Zsutty는 전단보강되지 않은 보의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적 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전단강도 계산식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와 기존 전단강도식을 활용한 해석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Table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존 전단예 측식의 경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50%까지 치환하더라도 실험결과를 약 35% 안전측으로 예측하여 소요성능을 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70% 이 상으로 치환하는 경우 해석결과가 실험결과를 1.13배로 안전 측으로 예측하였으나 실제
구조부재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수를 기반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Table 4.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for shear strength of tested specimens
Specimens
|
ƒck (MPa)
|
Experimental results
|
Analytical results
|
Experimental results /
Analytical results
|
Vtest (kN)
|
τtest (MPa)
|
τACI (MPa)
|
τCEB (MPa)
|
τJSCE (MPa)
|
τZsutty (MPa)
|
T
test
T
ACI
|
T
test
T
CEB
|
T
test
T
JSCE
|
T
test
T
Zsutty
|
S45-0
|
46.7
|
117.5
|
1.96
|
1.32
|
1.30
|
1.21
|
1.55
|
1.48
|
1.51
|
1.62
|
1.27
|
S45-4010
|
56.9
|
112.8
|
1.88
|
1.43
|
1.39
|
1.29
|
1.65
|
1.31
|
1.35
|
1.46
|
1.14
|
S45-50
|
53.1
|
110.2
|
1.84
|
1.39
|
1.36
|
1.26
|
1.61
|
1.32
|
1.36
|
1.46
|
1.14
|
S45-70
|
45.2
|
89.0
|
1.48
|
1.30
|
1.29
|
1.19
|
1.53
|
1.14
|
1.15
|
1.24
|
0.97
|
Mean
|
1.32
|
1.34
|
1.44
|
1.13
|
COV (%)
|
10.8
|
10.9
|
10.9
|
10.9
|
Fig. 9는 기존 전단평가식을 활용한 해석결과와 기존연구 자에 의한 실험결과 비를 나타낸다. Fig. 9에서 확인할 수 있 듯이 ACI 318-11, CEB-FIP MC90, JSCE 규준식은 기존 실 험결과를 약 1.3배로 예측하였으며, Zsutty 제안식은 약 1.1 배로 모두 안전측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고로슬래그 미분
말을 사용한 프리캐스트 보에 기존 전단평가식을 적용하더 라도 안전측으로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9.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
4. 결 론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부재에 적용하기 위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실험체는 고로슬래그 미 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실험체와 유사한 전단거동 및 균열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각 실험체의 전단위험단면에 부착된 LVDT 패널을 이 용하여 전단변형률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실험체는 고 로슬래그 미분말 치환율에 관계없이 유사한
전단변형 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전단력-처짐 관계에 서도 유사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70%까지 사용한 실험체의 전단 강도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에 관계없이 현행 전단 기준식에 의한 해석결과를 상회하여 전단강도에
대한 소요 성능을 모두 만족하였으나 나머지 실험체에 비하여 내력저하가 관찰되며, 다양한 변수를 기초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3년 공주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