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
  2. ()
  3. ()
  4. ()



세굴, 교량세굴, 수위, 온도, 계측방법, 매질경계
Scour, Bridge scour, Water level, Temperature, Measuring method, Medium interface

1. 서 론

교량은 도로와 철도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구조물로써 대 부분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회기 반기설 중 하나이다. 그리고 보다 빠른 여객이동 및 물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기존 도로의 선형개선 사업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교량의 개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하고 규모는 대형화 되고 있으며,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 다 (Suh, 2013).

반면 우리는 2004년 성수대교 붕괴 및 2010년 부천고가교 화재사고 등 교량이 갑작스럽게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고귀 한 인명피해는 물론 막대한 사회적인 비용이 발생함을 경험 하였다. 따라서 교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철저한 유지관리 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교량 붕괴나 기능상실의 주요 원인은 앞서 사고처 럼 상부구조의 기능상실보다 교량 기초의 기능상실, 특히 세 굴이 주요 원인이다 (Hill, 2013). 미국의 경우 1970년 이후 파괴된 1,000개 이상의 교량에 대해 파괴원인을 분석한 결과 60%가 교량 세굴에 의한 파괴인 반면, 지진에 의한 파괴는 2%에 불과하다 (Shirhole and Holt, 1991). 그리고 우리나라 는 산이 많은 지형으로 하상경사가 크며 강수량이 하절기에 집중되고 있어 홍수시 교량 세굴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 로 인하여 매년 홍수시 교량 세굴 및 하천의 불안전성으로 인한 교량 피해사례는 매년 수십 건에서 많게는 수백 건에 이르고 있다 (Kwak, 2006). 따라서 교량의 안전을 위한 교 량세굴 감시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 내실정에 맞는 정확한 평가기준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Cha, 2000).

또한 홍수시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의 수위는 교량자체 안 전뿐만 아니라 교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도 반 드시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계측항목이다. 따라서 교량의 안 전은 교량 자체의 건전도 평가도 중요하지만, 세굴이나 홍수 위, 지진과 바람 등 교량의 주변의 환경적 영향인자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최근 계측기술의 개발로 교량수위 계측방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하고 있으나, 교량세굴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위계측과 달리 하천 바닥에서 발생하므로 하천의 유 속과 탁도에 영향을 크게 받는 환경이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다양하지 않다. 최근 초음파를 이용한 세굴량 측정 방법 (Shin et al., 2007)이 적용되고 있으나, 부 유물이 많이 발생하는 하천의 홍수 조건에서는 초음파의 특 성상 정확한 세굴량 측정이 어렵다.

2. 온도계측을 이용한 교량 세굴 및 수위 측정 방법

2.1. 온도계측을 이용한 교량 세굴 및 수위 측정 방법

온도계측을 이용한 교량 세굴 및 수위 측정방법 (Joo et al., 2009a)은 교각에 수직으로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일정간 격으로 설치된 온도 센서의 온도를 측정하여 수면 위치와 수 중 지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대기온도와 수온, 수온 과 수중 지온의 차이를 분석하여 수면 및 수중 지면의 위치 를 추정한다 (Fig. 1 참조). 그리고 개발된 방법은 절대적인 온도 차이뿐만 아니라 대기와 수중 그리고 지중의 일변화량 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수면의 위치와 수중 지면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하천에서 매질별 예 상 일간변화량 (기준점 좌측)과 계절별 (여름과 겨울) 낮 최 고기온일 때 예상 온도분포 (기준점 우측)를 Fig. 2에 나타내 었다. 일간 온도변화량은 지중이 가장 작고, 수중이 지중보 다 상대적으로 크며, 대기의 온도변화량이 가장 클 것이다. 또한 한낮기준으로 여름의 대기온도가 가장 높고 지중의 온 도가 가장 낮고, 반대로 겨울이면 지중의 온도가 가장 높고 대기의 온도가 가장 낮을 것이다. 특히 매질의 경계면인 수 면과 수중지면에서는 급격한 온도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이 와 같은 매질별 온도특성 (절대온도 및 일변화량)을 이용하 면 온도계측만으로 수면의 위치와 수중지면의 위치를 추정 할 수 있다. 개발된 교량 세굴 및 수위 측정방법은 분석방법 이 단순하고, 계측장치를 교각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측정하 므로 교량상시계측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홍수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도 세굴 및 수위 측정이 실시간으로 가능하여 세굴 및 수위 변화에 따른 위험징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이 는 재난상황에서 교량 안전관리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ig 1.

Concept of new measuring method for the scour and the water level using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medium interfaces

JKSMI-18-126_F1.jpg
Fig 2.

Temperature distribution in river by each medium for four seasons

JKSMI-18-126_F2.jpg

3. 검증 실험

3.1. 매질별 절대온도 확인

실제 하천조건에서 대기온도와 수중온도, 그리고 포화지중 온도를 계측하여 매질별 절대온도 차이와 경계면에서의 온 도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계측장치를 제작하고 현장계측을 실시하였다 (Joo et al., 2009b). 실험은 작은 하천에 설치된 인도교 (Photo 1 참조)에서 실시하였으며, 계측장치 (Photo 2, Photo 3, Fig. 3 참조)는 단위길이 (100mm)마다 온도센서 를 부착한 2,000mm 길이의 온도 계측장치로 고정지지대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FRP Bar를 사용하였다. 하천 현장계 측은 총 2회 실시하였으며, 첫 번째 계측조건은 기온이 약 18°C이고 수심이 약 600mm 인 조건이었고, 두 번째는 기온 이 약 29°C이고, 수심이 약 400mm인 조건에서 계측하였다. 두 계측 사이에는 세굴은 발생하지 않았다.

Photo 1.

Environments for field tests

JKSMI-18-126_P1.jpg
Photo 2.

Install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JKSMI-18-126_P2.jpg
Photo 3.

Measuring device for temperature

JKSMI-18-126_P3.jpg
Fig 3.

Measuring condition for field tests

JKSMI-18-126_F3.jpg

3.2. 세굴 발생에 따른 수중지면 주위 온도변화 확인

세굴 발생 환경에서 수중지면 주위의 온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실에서 단순하게 하천모형을 만들고 인위적으로 세 굴을 발생시키면서 수중지면 주위 온도변화를 계측하였다 (Joo et al., 2010). 이를 위하여 Photo 4와 같이 폭 1,400mm, 넓이 900mm, 높이 500mm의 수조에 약 350mm의 모래를 채우고, 약 100mm씩 2차례 세굴을 발생시키면서, 50mm 높 이 간격으로 설치된 온도 계측장치(Fig. 4, Photo 5 참조)를 이용해 위치별 절대온도의 변화와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패 턴을 확인하였다.

Photo 4.

Test environments for lab experiments

JKSMI-18-126_P4.jpg
Photo 5.

Measurements of scour

JKSMI-18-126_P5.jpg
Fig 4.

Measuring condition for lab experiments

JKSMI-18-126_F4.jpg

3.3. 실교량 환경에서의 수중지면 주위 온도변화 확인

실제 교량환경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패턴 분석방법 으로 수중지면의 위치 추정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수심이 약 6m인 환경에 위치한 교각 (Photo 6 참조)에 온도 계측장 치를 Fig. 5와 같이 설치하고 하루 동안 온도 변화량을 계측 하였다 (Joo et al., 2013). 교각에 설치된 온도 계측장치는 Photo 7과 같이 길이 8m, 지름 50mm인 FRP 재질의 봉형식 으로 제작되었으며, 선단부에 200mm 간격으로 10개의 FBG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최대 1.8m 높이의 온도를 200mm 간 격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Photo 8은 교각에 설 치된 온도계측장치의 사진이다.

Photo 5.

Measuring condition

JKSMI-18-126_F5.jpg
Photo 6.

Measuring environments of the existing bridge

JKSMI-18-126_P6.jpg
Photo 7.

Measuring device for temperature

JKSMI-18-126_P7.jpg
Photo 8.

Install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on a pier

JKSMI-18-126_P8.jpg

4. >실험 결과

4.1. 매질별 절대온도 확인 결과

계측위치에 따른 온도 계측결과를 Fig. 6에 나타내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수면과 수중지면의 위치도 함께 표시 하였다. 매질의 경계면인 수면과 수중지면 주위에서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중의 온도 패턴, 수중의 온도 패턴 그리고 대기의 온도 패턴에 차이가 있어 위치에 따른 온도 계측만으로도 수중지면의 위치와 수 면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수심이 1m 미만의 낮은 하천에서는 수심에 따른 온도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리고 지 중의 온도는 특정온도 (10°C)로 수렴하는 경향을 확인하였 다. 실제 교각주변의 온도변화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은 하천 수면의 위치와 수 중 지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Fig 6.

Result of measured temperature by position

JKSMI-18-126_F6.jpg

4.2. 세굴에 따른 수중지면 주위 온도변화 확인 결과

세굴에 따른 수중지면 주위 온도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기 하천조건에서 세굴을 2차례 발생시켰다. 1차 세굴량은 약 100mm, 2차 세굴량은 약 50mm로 총 150mm의 세굴조 건을 만들었다. Fig. 7(a)는 세굴 발생에 따른 위치별 온도를 나타낸 그림으로 수면과 수중지면 부근에서 온도변화가 크 게 일어남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다. 본 실험 조건은 물 의 흐름이 없고 지중의 두께가 얇아 실제 하천 조건과 비교 하여 수중과 지중온도 변화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조건 임에도 수중지면에서 온도변화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체 하천에서는 본 실험결과보다 더욱 명확할 것으로 예상 된다.

Fig 7.

Result of temperature measurement under scour condition in the lab

JKSMI-18-126_F7.jpg

Fig. 7(b)는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패턴을 나타낸 그림으 로 매질의 종류 (대기, 수중, 지중)별로 시간에 따른 온도변 화의 패턴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매질별 열전도율 의 차이로 인하여 일출 (오전 6시)이후부터 정오까지 대기온 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지중온도는 반대로 감소하 였고, 수온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오전 6시의 온도와 정오의 온도가 비슷하였다. 이처럼 위치별 절대온도뿐만 아 니라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추이를 분석해도 수면의 위치와 수중지면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에 따른 절 대온도 경향 분석과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패턴 분석방법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보다 정확하게 수중지면과 수면의 위치 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4.3. 실교량 환경에서 수중지면 주위 온도변화 확인 결과

하천에 위치한 교량 교각에 온도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시 간에 따른 온도 변화량을 계측한 결과를 Fig. 8에 나타내었 다. 계측 시작점을 기준 (0)으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량을 약 24시간 측정하였다. 시범 제작된 세굴센서는 보호덮개에 대한 검⋅교정을 실시하지 못하고 현장에 설치되어 계측결 과는 위치별 온도의 상대적 변화패턴 비교에 한정하였다. 측 정결과, 포화지중의 온도변화 패턴과 수온변화 패턴 그리고 수중지면 부근의 온도변화 패턴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중온도와 수온 그리고 경계부분의 온도변화 패턴을 그림 에 각각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시간에 따른 지중의 온도변화 는 거의 없으며, 수온변화는 지중의 온도변화와 비교하여 상 대적으로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특히 수중지면 부근의 온도 변화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실험조건에서의 시간에 따 른 온도 변화 패턴 분석결과 수중지면은 No.3과 No.5 사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수면으로부터 약 6.4~6.8m 정도의 위치로 실제 수심 (약 6.5m)과 유사한 결과이다. 따 라서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량 분석방법만으로 실제 교량 환 경의 수중지면 추정도 가능하나 정밀도 향상을 위해 추가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Result of temperature measurement under scour condition in the field (river)

JKSMI-18-126_F8.jpg

그리고 수중지면 부근의 수온변화량이 일반 수온변화량 보다 크게 나타난 것은 교각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세굴홀 (Scour hole)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하천에 위치하는 교각 주 변은 난류가 발생하여 반드시 세굴홀이 발생하게 되는데, 세 굴홀에서 일어나는 난류의 영향으로 시간에 따른 일반적인 수중온도 변화패턴과 상이한 결과가 계측된 것으로 추정된 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교각 주변, 특히 세굴홀에서의 온도 변화 패턴이 일반적인 수온 변화 패턴과 상이함을 확인하였 다. 향후 실제 하천 교각에서 발생하는 국부세굴 환경 (세굴 홀)에서 수중지면 부근의 온도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 연 구가 필요하다.

5. 결 론

온도계측을 통한 교량 세굴 및 수위 측정방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검증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온도계측을 통한 교량 세굴 및 수위 측정방법은 교량 의 세굴과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2. 대기와 수중 그리고 포화지중은 상호 절대온도의 분포 와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량에 차이가 있으며 각각의 경계면에서 온도 변화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3. 본 연구에서 수면과 수중지면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검토한 절대온도 분포 분석방법과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량 분석방법은 모두 세굴과 수위를 추정하는데 효 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세굴홀을 포함하는 국부세굴 환경에서의 온도변화 패 턴은 평수위에서의 온도변화 패턴과 상이한 것으로 확 인되어 향후 하천에 위치한 교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부세굴 조건에서의 매질별 온도변화에 대한 추가적 인 연구와 현장계측이 필요하다.

6. 고 찰

매질별 온도 차이 및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매질의 경계면 을 찾아 수면과 수중지면의 위치를 찾는 본 연구의 기본 개 념은 교량의 세굴과 하천의 수위를 계측하는 효과적인 방법 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수중지면 부근의 온도측정을 위한 계측장치 제작에 한계 (대형 온도센서의 검∙교정 문제)가 있어 실제 교량환경 검증실험에서 절대온도의 분포를 확인 하지 못하였고, 세굴홀에 대한 현장검증을 수행하지 못하였 다. 향후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온도 계측장치 (세굴센서) 시 작품의 제작기술 개발연구과 홍수위에서의 국부세굴 (세굴홀 등) 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하천 에 위치하는 교각 주위의 수중 온도에 대한 장기적인 계측과 분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위와 수중지면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연구도 필요하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의 지원으로 수행된 “국가 주요시설물 안전관리 네트워크 시범 구축 및 운영시스 템 개발”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원으로 수행하고 있는 “건축/대형구조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내외피용 IT기반 고정밀도 패치/임플란트 시스템 기술 개발” 과제의 결과물입 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00), Evaluation and prevention of bridge scour, Korea Infrastructure Safety & Technology Corporation, (in Korean), 4, 85Google Search
2 
(2013), Scour: Why Most Bridges Fall, Scientific American(Online), Available at: http://blogs.scientificamerican.com/but-not-simpler/2013/05/24/scour-why-most-bridges-fail/ (11 Dec. 2013)
3 
(2009a), New measuring method for the scour and the water level by temperature measur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53-554.Google Search
4 
(2013), New measuring method for the scour and the water level by temperature measurement, SMAR 2013 Istanbul Proceedings, CD, 51
5 
(2010),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new measuring method for the scour and the water level by temperature measur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Korean), 219Google Search
6 
(2009b), Field verification of new measuring method for the scour and the water level by temperature measur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Korean), 2425-2428.Google Search
7 
(2006),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xtended duration of bridge foundations (Final repor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215-222.Google Search
8 
(2007),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scour monitoring system using a profiling sonar,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Korean), 727-730.Google Search
9 
(1991), Planning for a Comprehensive Bridge Safety Assurance Progra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90, 137-142.
10 
(2013), Yearbook of Road Bridge and Tunnel Statistic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