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
  2. ()
  3. ()
  4. ()



좌굴모드형상, 고유치해석, 전체좌굴, 연성좌굴, 국부좌굴, 정현파형강판, 전단좌굴응력
Buckling mode shape, Eigenvalue analysis, Global buckling, Interactive buckling, Local buckling, Sinusoidal corrugated plate, Shear buckling stress

1. 서 론

파형강판이란 구조용 강판을 제형 (Trapezoidal), 정현형 (Sinusoidal) 등의 형상으로 가공한 것으로 박판의 파형강판 을 플레이트 거더의 웨브에 사용할 경우 두꺼운 평판 및 수 직보강재를 대신하여 높은 면외방향의 강성을 가지며, 박판 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구조물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Gill et al., 2004; Ibrahim et al., 2006; Shon et al., 2011). 또한 파형강판은 아코디언 효과와 같은 기하학적 특성으로 축방향 강성이 거의 없어 파형강판의 웨브는 전단력만을 부 담하고 휨모멘트는 플랜지가 부담하는 방법으로 설계하는데 유용하다 (Yi et al., 2005). 이러한 장점을 이용한 구조물은 항공기 디자인을 시점으로 건물 및 교량 등의 토목공학에 많 이 사용되었으며, 1960년대부터 파형강판의 좌굴 거동을 규 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Easley and McFarland, 1969).

파형강판을 플레이트거더 웨브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Abbas et al., 2006), 초기 연구는 1960 년대 Easley와 McFarland (1969)에 의해 파형 강판의 전단 좌굴 거동에 관한 연구로서 직교이방성 이론을 이용하여 전 체좌굴을 설명할 수 있는 해를 제시한 것에서부터이다. 그 후 1990년대 Elgaaly et al. (1996; 1997; 1998)에 의해 제형 주름웨브의 전단좌굴 거동과 강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 다. 이외에도 파형강판을 웨브로 갖는 거더의 전단좌굴에 관 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었으며, 영국의 Cafolla (1995)는 파형 웨브의 휨 및 유효전단강성을 제안하였으며, 스웨덴의 Luo 와 Edlund (1996)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해 제형웨 브의 전단성능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캐나 다의 El-Metwally (1998)는 파형웨브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합성 거더의 휨 및 전단거동을 실험적 연구로 분석하였으며, Yamazaki (2001)의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연성좌굴의 범위를 피해서 연성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Abbas et al. (2002)은 연성좌굴 특성을 해석적 으로 연구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 파형웨브를 갖 는 복합교량이 건설되기 시작하면서 파형강판의 영향에 대 한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Han, 2000; Hyun, 2002; Lee et al., 2003). Han, 2000는 원형주름판의 탄성전 단좌굴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고 전단좌굴강도식을 제안하였 으며, Hyun, 2002Gill (2003)의 연구에서는 제형파형강 판의 여러 파라메타에 따른 전단강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외에도 제형파형 강판의 연성좌굴에 대한 거동, 파형강판 의 강성산정과 전단좌굴강도에 관한 연구 및 파형강판의 이 음에 관한 연구 등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Yi et al., 2005; Kim et al, 2012; Ji, 2011; Oh et al., 2011; Sim et al., 2011), 정현파형의 전단좌굴강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파형에 따른 전단좌굴특성은 평판과는 달리 웨브의 높이, 주름의 폭 등에 영향을 받게 되며 아코디언 효과와 더불어 전단력에 대한 불안정한 현상은 국부좌굴 (local buckling), 전체좌굴 (global buckling) 그리고 연성좌굴 (interactive buckling)의 복잡한 좌굴현상으로 나타난다. 연성좌굴의 경 우 국부좌굴과 전체좌굴이 연동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 으나 연성좌굴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 고 있는 실정이다 (Yi et al., 2005Yi et al., 2005; Ji, 2011). 또한, 주름강 판을 웨브로 이용한 보에서 제형주름보다 정현파와 같은 매 끄러운 파형 주름을 웨브로 이용한 경우가 주름의 파고를 높 이기 용이하기 때문에 높은 전단강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Pasternak et al., 2004; Shon et al., 2012). 이것은 생산과정에서의 차이점으로 설명되어지는데 정현파 주름의 경우 자동생산 공정을 통하여 제작이 가능하며 높은 완성도 를 가지고 있다 (Shon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정현파형 강판의 전 단좌굴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해석적 접근이 필요하다 고 판단되어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전단좌굴강도 및 연성전단좌굴거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전단좌굴강도 산 정은 Timoshenko (1981), Easley (1969), Yi et al. (2008)이 제안한 식을 사용하였으며 주름강판은 Pasternak et al. (2004) 에서 다루어진 형상을 대상으로 보다 세분화 시켜 적용하였다. 전단좌굴강도를 구하기 위해서 상용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였으며, 고유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ABAQUS/CAE User’s Manual).

2. 탄성전단좌굴이론

2.1. 탄성국부좌굴이론

탄성국부좌굴은 반파장 (half-wave)의 패널 내에서 발생하 며 인접해있는 플랜지 또는 패널은 경계조건으로 작용한다 고 가정하여 기존의 평판 전단좌굴강도식을 이용할 수 있다. 국부 전단좌굴응력 (τcr,l)은 기존의 평판 좌굴 전단좌굴 응 력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Timoshenko, 1981).

(1)
T cr , L = k $\pi$ 2 E 12 1 - $\mathcal{V}$ 2 t b 2
국부전단좌굴계수 (kv)의 경우 형상비와 경계조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4변 단순지지의 경우 식 (2)와 같이 결정 된다.

(2)
k v = 5.35 + 4.0 a h 2 ; a h > 1
여기서, kv 는 단순지지조건의 국부전단좌굴계수, E 는 탄 성계수 (N/mm2), a 는 포아송비, t는 판형의 길이와 높이 중 작은 값 (mm), t는 판의 두께 (mm)이다.

2.2. 탄성전체좌굴이론

탄성전체좌굴은 파형영역 전체에 걸쳐 좌굴이 발생하며 파형 내에서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의 강성이 다르므로 직교이방성을 고려해야 한다 (Oh, 2010).

Easley (1969)는 파형강판을 직교이방성판으로 가정하여 전체 전단 좌굴 응력을 제안하였으며, 탄성 전체 전단 좌굴 응력은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T cr , G = 36 β D x 1 / 4 D y 3 / 4 th 2
여기서, Dx 는 주축방향 중립축에 대한 휨강성 (Nmm), Dy 는 주축직각방향 중립축에 대한 휨강성 (Nmm), h는 평 형의 높이 (mm), α는 경계조건에 따른 전체전단좌굴계수 (단순지지일 경우 1, 고정지지일 경우 1.9), t는 판의 두께 (mm)이다. 그리고 DxDy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4)
D x = Et 3 12 1 - $\mathcal{V}$ 2 ω s
(5)
D y = EI y ω

2.3. 탄성연성좌굴이론

연성좌굴은 전체 및 국부좌굴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 는 좌굴현상으로 현재 그 거동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으 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강도를 감소시키는 이론식을 연성 좌굴 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 Yi et al. (2008)의 연구에 서는 연성 좌굴은 재료의 성질과는 무관한 기하학적 문제이 므로 항복강도 항을 생략할 수 있으며, 1차 연성좌굴식이 파 형강판의 탄성 연성 좌굴 강도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고 제안하였으며, 1차 연성 전단좌굴식은 식 (6)과 같이 나 타낼 수 있다.

(6)
1 T cr , I = 1 T cr , L + 1 T cr , G
본 절에서 적용되는 평판의 이론 해에 대한 경계조건은 4 변 단순지지 평판으로 가정하였으며, 각각의 경계조건에 따 른 해석결과를 유한요소 해석과 비교하였다.

2.4. 고유치해석을 통한 전단좌굴강도의 산정

고유치해석을 통한 좌굴응력 산정은 이상적인 선형탄성 구조물의 임계하중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식 (7)과 같이 역 이 존재하지 않는 강성매트릭스 모델에서 고유벡터 ( v i M )가 영이 아닌 해를 가져야만 하는 조건으로 식 (8)과 같은 특성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7)
K 0 NM + λ i K NM v i M = 0
(8)
det K 0 NM + λ i K NM = 0
여기서 K 0 NM 는 시스템의 강성행렬, K NM 는 응력강성행 렬, λi는 고유치, v i M 는 좌굴모드를 나타내는 고유벡터를 나 타낸다. 따라서 탄성좌굴에서 임계하중은 다음 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식에서 QN은 고유좌굴을 예측하는 단계에 서 정의되는 하중벡터이다.

(9)
P N + λ i Q / N = 0
좌굴하중은 구조의 기본 상태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일반 적으로 좌굴모드형상 ( v i M )에 대한 임계하중변형은 실제 크 기가 아닌 가장 큰 변위 요소가 1.0의 값을 가지며 만약 모 든 변위 요소가 0이면, 최대 회전 요소 값은 1.0이 된다. 이 때 최저차 좌굴모드의 형상은 고유치문제에서 좌굴거동의 형태 를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BAQUS/CAE User’s Manual).

3. 경계조건 및 전단좌굴 해석모형

3.1. 평판의 해석과 경계조건의 가정

플랜지와 웨브는 사실상 단순지지와 고정지지의 중간상태 인 탄성적인 지지상태이나 Abbas (2002), Gill et al. (2003), Choi et al. (2009)Oh (2010)는 복부판의 경계조건을 안 전측인 단순지지로 가정하여 프로그램을 검증하였다. 본 연 구에서도 프로그램 검증을 위해 경계조건을 단순지지로 가 정하였으며 Fig. 1과 같이 순수전단좌굴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해석을 수행하였다.

Fig 1.

Shear stress distribution map of flat plate

JKSMI-18-10_F1.jpg

Fig. 1에서 판의 높이 (h)는 1000mm, 길이 (L)의 범위는 1000mm~5000mm으로 1000mm간격이며 판의 두께 (t)는 10mm로 모델링하였다. 파형강판의 재료적 성질인 탄성계수 (E)와 포아송비 (v)는 각각 2.1 × 105 MPa 및 0.3으로 가 정하였으며, 하중 (P)는 10N/mm의 분포하중이 작용하였다. 평판은 쉘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경계조건은 Table 1과 같다 (Yoo et al., 2013).

Table 1.

Boundary condition

Degree of freedom 1_Edge 2_Edge 3_Edge 4_Edge
B.C Translation X Fix Free Fix Free
Y Free Free Free Fix
Z Fix Fix Fix Fix
Rotation X Free Free Free Free
Y Free Fix Free Free
Z Free Fix Free Free

Table 2는 경계조건을 적용한 모델의 유한요소 해석결과 를 국부좌굴식인 식 (1)의 계산결과와 비교한 것이다. Table 2의 해석결과, 유한요소 해석 값이 판의 길이가 1000mm일 때를 제외한 나머지 결과에서 오차 1% 내외로 이론값과 상 당히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판의 가로세로 비율 에 따른 정밀도의 차이는 판의 형상, 요소의 분할 수 및 경계 조건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Yoo et al., 2013).

Table 2.

Shear buckling analysis result about B.C.

Exactsol.[N/mm2] FEAresults [N/mm2] Error [%]
tw[mm]\Lmm 5 10 5 10 5 10
1000 44.318 177.273 50.726 202.040 14.459 13.971
2000 31.32 125.268 31.356 125.123 0.115 -0.116
3000 27.996 111.982 27.852 111.150 -0.514 -0.743
4000 27.047 105.186 26.788 106.913 -0.958 1.642
5000 26.145 104.580 26.31 105.008 0.631 0.409

4. 두께변화에 따른 전단좌굴응력

정현파형강판의 형상파라메타는 Fig. 2와 같으며 주축의 단면 2차 모멘트 Iy 는 식 (10)과 같다. 파형형상은 Pasternak et al., 2004의 파형형상을 세분화하여 해석모델을 선정하였 으며, 반파장 길이 당 요소분할 수는 8개로 분할하였으며, 가로세로비는 약 4:1로 해석하였다. 해석을 위해 경계조건 및 재료적 성질은 앞 절에서 제시한 값을 동일하게 적용하였 으며 고유치 해석의 최저차 좌굴모드을 통해 좌굴거동을 예 측하였다. 해석을 위한 27가지 모델은 Table 3과 같으며 판 의 두께 (t) 0.2~5mm를 0.2mm간격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그래프 내의 범례는 a3_a(or b, c)_H1(or H2, H3)로 표기하 였다. 여기서 a3 는 주름의 파고, w 는 반파장의 길이, h는 판의 높이, L 은판의 길이, N 은 파장의 개수이다.

Table 3.

Analysis model parameter of sinusoidal corrugation

a3 (mm) w (mm) h (mm) L (mm) N (ea)
구분 치수 구분 치수
20, 30, 40 a 77.5 H1 500 2015 13
H2 1000 4030 26
H3 1500 6045 39
b 116.25 H1 500 2092.5 9
H2 1000 3952.5 17
H3 1500 6045 26
c 155 H1 500 1860 6
H2 1000 4030 13
H3 1500 5890 19
(10)
I y = 0 ω t 3 12 + t 2 a 3 2 sin $\pi$ ω x 2 dx

Fig 2.

Parameter of sinusoidal corrugation and number of mesh (mesh : 8)

JKSMI-18-10_F2.jpg

4.1. 전단좌굴응력변화의 변화

본 절에서는 판의 높이 별 두께 증가에 따른 응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앞의 Table 3의 조건을 바탕으로 판 높이 별 응 력변화그래프는 Figs 3, 45에 나타내었다. Figs 3, 45 의 그래프에서 공통적으로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단좌굴응력 이 증가하며 파고가 깊어질수록 전단좌굴응력이 더 크게 나 타나는 일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Figs 3, 45 그래프의 전단좌굴응력곡선에서 변곡점이 발생한 후 전단 좌굴응력 증가율이 감소하며,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변곡점 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해석변수가 전단좌굴에 영향을 미침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단좌굴응력의 증 가곡선으로는 전단좌굴거동을 예상할 수 없으므로 해석형상 을 통해 파형강판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Fig 3.

Changes in shear buckling stress (h = 500 mm)

JKSMI-18-10_F3.jpg
Fig 4.

Changes in shear buckling stress (h = 1000 mm)

JKSMI-18-10_F4.jpg
Fig 5.

Changes in shear buckling stress (h = 1500 mm)

JKSMI-18-10_F5.jpg

4.2. 파형강판의 좌굴형상 분석

해석결과 Fig. 6은 모델 20_a_H1의 결과, Fig. 7은 30_a_H1 모델의 결과이며 Fig. 8은 40_a_H1 모델의 결과이다. 좌굴 모드형상을 통해 얇은 판에서는 국부좌굴이 발생하고 두꺼 운 판에서는 전체좌굴이 발생하며 그 사이에서는 연성좌굴 이 발생하는 형상을 확인 할 수 있다. 두께에 따른 좌굴의 성질을 4.1절의 전단좌굴응력 그래프와 비교하였을 때 Figs 3, 45 그래프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부근에서 연성좌굴이 발생하였다. 또한 파고가 얕을수록 얇은 판에서 국부좌굴에 서 연성좌굴로 넘어가며 주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국부좌 굴에서 전체좌굴로 넘어가는 연성좌굴의 범위가 늘어나는 것을 형상의 변화를 통해 예상할 수 있었다.

Fig 6.

Changes shape in shear buckling stress (a3 = 20mm , ω = 77.5mm , h = 500mm)

JKSMI-18-10_F6.jpg
Fig 7.

Changes shape in shear buckling stress (a3 = 30mm , ω = 77.5mm , h = 500mm)

JKSMI-18-10_F7.jpg
Fig 8.

Changes shape in shear buckling stress (a3 = 40mm , ω = 77.5mm , h = 500mm)

JKSMI-18-10_F8.jpg

4.3. 전단좌굴거동의 경향

정현파형 강판의 두께 변화에 따른 전단좌굴거동을 고찰 하기 위해 τfe/τcr 값을 통하여 좌굴의 경향성에 대하여 해석 을 수행하였다.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Table 3의 형상을 이 용하였으며 정현파형 강판의 좌굴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변 수는 전체좌굴과 국부좌굴의 이론비 (τcr,G/τcr,L), 판의 두 께 (t), 판의 높이 (h), 파고 (a3), 반파장길이 (ω)를 선택하 였다.

좌굴 이론비에 대한 경향성은 Figs 9, 1011과 같으며 그래프에서 x축은 전체좌굴이론값 (τcr, G)을 국부좌굴이론값 (τcr, L)으로 나눈 값, y축은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전단좌굴강 도 값과 국부좌굴 및 전체좌굴의 이론값의 비를 나타낸 무차 원 좌굴강도이다 (Oh, 2010). y축에서 τcr, G/τcr, L > 1 일 때 유한요소해석의 전단좌굴강도 값을 국부좌굴 이론값으로 나누고, τcr, G/τcr, L <1 일 때 유한요소 해석의 전단좌굴강 도 값을 전체좌굴 이론값으로 나누어 그래프를 작도하였다 (Hyun, 2002).

Fig 9.

Influence of τcr, G/τcr, L on shear buckling stress (a3 = 20 mm)

JKSMI-18-10_F9.jpg
Fig 10.

Influence of τcr, G/τcr, L on shear buckling stress (a3 = 30mm)

JKSMI-18-10_F10.jpg
Fig 11.

Influence of τcr, G/τcr, L on shear buckling stress (a3 = 40mm)

JKSMI-18-10_F11.jpg

Fig. 9는 주름깊이 (a3) 20mm, Fig. 10은 주름깊이 (a3) 30mm의 결과이며 Fig. 11은 주름깊이 (a3) 40mm의 결과이다. 그림에서 τcr, G/τcr, L 가 가장 작은 영역 (Case1), τcr, G/τcr, L = 1 인 영역 (Case4), τcr, G/τcr, L 이 가장 큰 영역 (Case7), τcr, G/τcr, L < 1 영역에서의 변곡점 (Case2), τcr, G/τcr, L > 1 영역에서의 변곡점 (Case6), τcr, L/τcr, L < 1 영역과 τcr, L = 1 사이의 중간 영역 (Case3), τcr, L > 1 영역과 τcr, L = 1 사이의 중간 영역 (Case5)으로 나누 어 7가지 영역을 Figs 9, 1011의 그래프에 표현하였다.

해석결과 공통적으로 Case7에서는 국부좌굴이 발생하며 Case1에서는 전체좌굴이 발생을 고유모드의 형상을 통해 확 인하였다. Case4 부근에서 국부좌굴에서 전체좌굴로 넘어가 는 연성좌굴이 나타났다. Case6에서 Case4사이에서는 국부 좌굴의 형상이 나타나며 유한요소해석의 전단좌굴강도값과 이론값의 차가 점차 감소하였다. Case4에서 Case2로 국부좌 굴에서 연성좌굴로 파형 형상이 변해가는 과정에서 유한요 소해석의 전단좌굴강도값과 이론값의 차가 점차 증가하였다. Case3에서는 국부좌굴에서 연성좌굴로 넘어가는 형상을 확 인 할 수 있었다. 또한 Case2의 변곡점에서 연성좌굴에서 전 체좌굴로 넘어가는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모델에 서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국부좌굴에서 전체좌굴로 바뀌는 양상이 나타나며 그 사이에 연성좌굴이 발생한다. 연성좌굴 대상 모델의 경우 Case3과 Case2사이에서 좌굴모드 형상의 변화과정이 나타났다. 또한, 그림에서 τcr, L가 1.0에 근접할 때, Fig. 9의 20_b_H1 및 20_c_H1, Fig. 10의 30_b_H1, 30_c_H1, Fig. 11의 40_a_H1, 40_b_H1 및 40_c_H1의 7개 모델에서 이론전단좌굴강도보다 더 작은 해 석의 전단좌굴강도 (τfe/τcr < 0)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그러나 모든 모델에서 1차 연성전단좌굴강도보다 크게 나오며, 1차 연성좌굴이론이 정현파형 강판을 설계하는데 충 분함을 예상할 수 있다. τcr, G/τcr, L > 1 인 국부좌굴이 지 배적인 범위에서 판높이 (h)와 판너비 (L)가 길어질수록 이 론값과 해석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만 τcr, G/τcr, L < 1 인 전체좌굴이 지배적인 범위에서 변곡점이 발생한 이후 그래프 가 역전된다. 이 결과로부터 판의 두께 (t), 판높이 (h)와 판너 비 (L)가 좌굴 형상에 민감하게 작용함을 예상할 수 있었다.

5. 결 론

본 연구는 정현파형 주름강판의 전단좌굴거동특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현파형 강판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파형이 가지는 좌굴특성을 여러 형상 파라 메타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정현파형 강판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전단좌굴응력이 증가하고 파고가 깊을수록 전단좌굴강도가 크게 나타 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두께에 따른 좌굴강도곡 선은 변곡점이 발생한 이후 전단좌굴응력의 증가율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판의 두께가 증가할수 록 국부좌굴에서 연성좌굴로, 연성좌굴에서 전체좌굴 로 좌굴경향이 변화하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2. 정현파형 형상에서 파고가 얕을수록 얇은 판에서 국부 좌굴에서 연성좌굴로 변화하며, 반파장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연성좌굴의 범위가 늘어남을 고유좌굴모드의 형상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대상예제의 이러한 결과 로부터 형상의 파라메타가 전단좌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민감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파형강판의 두께 변화에 따른 전단좌굴 거동을 파악하 기 위한 좌굴응력의 이론비에 대한 경향성 분석 결과 는 이론식에 의한 전단좌굴강도가 고유치해석을 통한 전단좌굴강도보다 낮으며, 모든 해석대상 모델에서 1차 연성전단좌굴이론식의 곡선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 첨단도시개발사업의 연구비지원 (12 첨단도시C15)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02), Shear strength and stability of high performance steel corrugated web girders, 361-388.
2 
(2006), Behavior of corrugated web I-girders under in-plane load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132(8), 806-814.
3 
(1995), Corrugated webs and lateral restraints in plate girders for bridges, PhD thesis
4 
(2009), Behavior of PSC Girder with Partially Corrugated Web, Proceeding of Korea Concrete Institute, 21(1), 47-48.
5 
(1969), Buckling of light-gage corrugated metal shear diaphragms,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95(12), 1497-1516.
6 
(1996), Shear strength of beam with corrugated web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22(4), 390-398.
7 
(1997), Bending strength of steel beams with corrugated web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3(6), 772-782.
8 
(1998), Steel Built-up Girder With Trapezoidally Corrugated Webs, AISC Engineering Journal, First Quarter, 1-11.
9 
(1998), Prestressed composite girders with corrugated steel webs, Master thesis
10 
(2004), Shear buckling strength of trapezoidally corrugated steelwebs for bridg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1A), 197-202.
11 
(2003), A Study on the Geometric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Shear Buckling of Trapezoidally Corrugated Web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5(5), 591-602.
12 
(2000), Elastic shear buckling characteristics of corrugated plates, Ph.D. thesis
13 
(2002), Elastic Shear Buckling Characteristics of Circularly Corrugated Pla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4(4), 529-539.
14 
(2002), Shear Buckling Strength of Trapezoidally Corrugated Steel Webs for Bridges, Master thesis
15 
(2006), Behavior of bridge girders with corrugated webs under monotonic and cyclic loading, Journal of Engineering Structures, 28(14), 1941-1955.
16 
(2011), Buckling Behaviors of Plate Girder with Corrugated Steel Web,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3(2), 221-228.
17 
(2012), Torsional and Warping Constants of I-shaped Plate Girders with a Sine Corrugated Web,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6A), 347-354.
18 
(1996), Shear capacity of plate girders with trapezoidally corrugated webs, Journal of Thin Walled Structures, 26(1), 19-44.
19 
(2011), An experimental assessment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bolt connected deep corrugated steel plate, Journal of KSMI, 15(3), 79-87.
20 
(2011), An experimental assessment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bolt connecteddeep corrugated steel plate, Journal of KSMI, 15(3), 79-87.
21 
(2010), Shear buckling analysis for various geometrical shapes of partially corrugated web, Master thesis
22 
(2004), Stahlbau-Kalender 2004-3 Schlanke stabtragwerke, 461-469.
23 
(2011), Optimum structural design of sinusoidal corrugated web beam using real-valued genetic algorith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3(5), 581-593.
24 
(2012), Characteristics of cross-section of sinusoidal corrugated web girder in accordance with minimum weigh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8(10), 73-80.
25 
(2012), Discrete optimum design of sinusoidal corrugated web gird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4(6), 671-682.
26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sign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improved deep corrugated steel plate, Journal of KSMI, 15(3), 155-162.
27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sign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improved deep corrugated steel plate, Journal of KSMI, 15(3), 155-162.
28 
(2012), ABAQUS/CAE User’s Manual, ABAQUS Version 6.12 : abaqus.me.chalmers.se/v6.12/
29 
(1981), Theory of Elastic Stability
30 
(2001), Buckling strength of corrugated web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47A(1), 19-26.
31 
(2008), Interactive shear buckling behavior of trapezoidally corrugatedsteel webs, Journal of Engineering Structures, 30(6), 1659-1666.
32 
(2005), Elastic Interactive Shear Buckling Behavior of Trapezoidally CorrugatedSteel Web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7(6), 707-715.
33 
(2005), Elastic interactive shear buckling behavior of trapezoidally corrugated steel web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7(6), 707-715.
34 
(2013), Boundary condition of sinusoidal corrugated plate, Proceeding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3(1), 349-350.
35 
(2013), A study on shear buckling analysis and boundary condition of sinusoidal corrugated plate by using ABAQU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1),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