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기주
(Gee-Joo Ha)
1)
하 영주
(Young-Joo Ha)
2)*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철근콘크리트 보,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CFRP 시트, 구조성능, 복합 보강
키워드
R/C beam, Groove and embedding FRP rod, CFRP sheet, Structural performance, Hybrid retrofitting
1. 서 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기간 동 안 발생하는 용도변경, 구조변경과 같은 하중증가 요인과 진 동 등에 의한 균열, 변형 등이 발생하여
구조성능, 사용성, 내구성 등이 저하된다. 따라서 노후화되고 결함이 발생된 철 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사용년한을 늘리기 위 해서는 적절한
진단과 적정 보강재료 및 기술를 이용하여 기 존 구조물을 보강하여야 한다 (Ha et al., 1997).
현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반적인 보강공법은 강판 보강공법과 FRP계 연속섬유 보강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강 판 보강공법은 보강 후 부재 단면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지만,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고 내부식성 및 내화성능이 취약하며, 취성적인 보강판 탈락현 상을 보인다.
그리고 FRP계 연속섬유 (탄소섬유시트, 탄소섬 유판 등) 보강공법은 강판보다 중량이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 고, 재료적으로 내부식성, 내화학성 및
내피로성이 우수하여 보강 공사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강판 보강공법과 같이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보강재의 부착성 능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로 부터 탈락되기 쉬 워 강판 만큼의 보강효과를 얻기 힘들고, 정확한 보강효과를 예측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Ha et al., 2008; Ha et al., 1997; Ha et el., 2002; Ryu et al., 2008; Kim et al., 2007).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FRP판, FRP봉 등을 표면에 매입하는 보강공법 (near surface mounted retrofitting)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공법은 보강재를 표면에 매 입함으로써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며, 외부적인 환경에 민감 하지 않고, 콘크리트 부착파괴의
영향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 그러나 표면매입공법은 기존공법과 같이 부착파괴 가 존재하고 일정크기의 홈을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Im et al., 2009; Kang et al., 2008; Kim et al.,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탄소섬유보강재와 재료역학적 인 성질은 동등하면서 내구성, 부착성능, 시공성 및 품질관 리가 우수한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적용한 공법을 개발하여, 이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을 평가하고, 향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성능 개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평가 실험
2.1.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공법은 Fig. 1과 같이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홈을 파서 보강재를 매입함으로서 보강재의 탈락현상을 방지하고 모재와의 충분한 부착성능 확보와 구조물과 보강재의
완전 일체화되는 효과가 우수하 다. 따라서, 본 공법은 기존 보강공법에 비하여 구조성능의 개선은 물론이고 시공과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보강후 구조
물의 고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보강재의 국산화로 수입산 보강재를 이용한 기존 탄소섬유 보강공법보다 경제 성이 우수하므로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공법은 기존 보강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한 매우 우수한 보강공법인 것으 로 사료된다.
Fig 1.
Strengthening method of Goove and Embedding FRP Rod
2.2. 실험계획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 트의 복합 보강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표준실험체에 대하 여 매입형 FRP봉의 보강량과 CFRP시트
연속보강 유무를 실험변수로 적용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체의 크기 는 폭 200mm, 춤 300mm, 유효춤 250mm, 스팬 2,200mm,
순스팬 2,000mm, 인장철근비 0.01이다. 설계강도는 24MPa이며, 인장측 철근은 2-HD16, 1-HD13, 압축측 철근은 2-HD13을
사용하였다. 매입형 FRP봉의 길이는 1800mm로 설계하였다.
2.3. 실험체의 형태 및 변수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는 ACI building code (318-11) 및 국토부 제정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설계되었고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의
형태 및 변수는 Table 1과 같고, 각 실험체의 상세는 Fig. 2에 나타나 있다 (ACI et al., 2011).
Table 1.
Design parameters of test specimens
Specimen
|
Main objectives and design parameters
|
NBS
|
-
ACI building code 318-11
-
KBC 2011
|
NER1
|
|
NER2
|
|
NER3
|
|
NER1L
|
-
Groove and Embedding FRP rod 1EA (Spacing 100mm, Embedded depth 20mm)
-
CFRP Sheet (Continuous lapping of a side and bottom : 1.8m)
|
NER2L
|
-
Groove and Embedding FRP rod 2EA (Spacing 70mm, Embedded depth 20mm)
-
CFRP Sheet (Continuous lapping of a side and bottom : 1.8m)
|
NER3L
|
-
Groove and Embedding FRP rod 3EA (Spacing 50mm, Embedded depth 20mm)
-
CFRP Sheet (Continuous lapping of a side and bottom : 1.8m)
|
Fig 2.
Detail and retrofitting method of each specimen
2.4. 사용재료 특성
본 연구에 사용된 콘크리트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와 최 대 골재크기가 25mm인 쇄석골재를 사용하였으며, 철근은 국내에서 생산된 SD400 철근이 사용되었으며,
철근의 재료 특성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Material properties of Reinforcing Bar
Bar Size
|
Yield strength
|
Maximum Strength
|
Ec (Mpa)
|
Extensibility (%)
|
f y (MPa)
|
ε y |
σ y (MPa)
|
εmax |
D10
|
478.8
|
0.00237
|
605.7
|
0.198
|
2.1×105
|
29.3
|
D16
|
464.7
|
0.00236
|
600.4
|
0.283
|
2.0×105
|
29.6
|
D19
|
473.8
|
0.00229
|
614.9
|
0.279
|
2.0×105
|
29.6
|
콘크리트의 배합표는 Table 3과 같다. 각 실험체는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압축강도 실험용 원주형 공시체 ф100×200mm 몰드를 사용하여 KS F 2405에 따라 몰드를 3개
층으로 나 누어 각 층을 25회씩 봉다짐하여 제작하였다. 그리고 재령 28일까지 수중양생을 실시하였으며, 압축강도 시험은 U.T.M 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결과는 5개의 공시체의 실험결과 에 대한 평균값으로 하였으며 Table 4와 같다.
Table 3.
Mix Proporti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MPa)
|
W/C (%)
|
S/A (%)
|
Unit Weight (kg/m3)
|
Slump (cm)
|
Cement
|
Water
|
Fine Aggregate
|
Coarse Aggregate
|
25.9
|
52
|
49.1
|
363
|
172
|
643
|
906
|
150
|
Table 4.
Test result of concrete strength
Age (day)
|
Slump (mm)
|
fck (MPa)
|
Ec (×104 MPa)
|
28
|
150
|
25.9
|
2.0
|
그리고, 사용된 CFRP시트, 표면요철이 있는 매입형 FRP Rod와 접착용 수지의 재료 특성 및 역학적 성질을 Table 5~Table 8과 같다.
Table 5.
Material Properties of CFRP Sheet
Index
|
Weight (g/m2)
|
Specific Gravity (g/cm3)
|
Thickness (mm)
|
Tensile Strength (MPa)
|
Tensile Elastic Ratio (MPa)
|
Damage Strain Ratio (%)
|
Average
|
200
|
1.82
|
0.11
|
2286
|
198869
|
1.11
|
Table 6.
Material Properties of CFRP Rod
Index
|
Tensile Strength (MPa)
|
Tensile Modulus (MPa)
|
Poisson’s Ratio
|
Damage Strain Ratio (%)
|
Average
|
2296
|
198785
|
0.32
|
1.11
|
Table 7.
Material Properties of Resin of CFRP Sheet
Index
|
Available Temperature (°C)
|
Available Time (min)
|
Drying Time (hours)
|
Curing Time (day)
|
Base Resin : Hardenr
|
Viscosity
|
Spec
|
Primer
|
15~25
|
60
|
9
|
-
|
10 : 5
|
1200 less
|
solvent free
|
Impreg nation Resin
|
15~25
|
60
|
-
|
7
|
10 : 5
|
3000 ~ 5000
|
solvent free
|
Table 8.
Material Properties of Resin of CFRP Rod
Index
|
Available Temperature (°C)
|
Available Time (min)
|
Drying Time (hours)
|
Epoxy
|
5~25
|
40 (35°C)
|
30 (35°C)
|
2.5. 실험방법 및 장치
2.5.1.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개선을 위하 여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조실험용
프레임을 제작하여 설 치하였으며, 실험체의 설치상태 및 가력장치는 Fig. 3과 같 다. 실험체에 작용하는 하중제어를 위하여 2점 가력하였다. 하중은 인장철근이 항복할 때까지는 하중제어로 재하를 하 였고, 인장철근이 항복한
이후에는 보 중앙부의 처짐으로 변 위제어를 하여 실험체가 최종 파괴시까지 재하하였다.
Fig 3.
Test setup of test specimen
2.5.2. 측정장치의 부착위치
각 실험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표준 철근콘크리트 보 및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로 보강한 철근콘크 리트 보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트레인게이지를 Fig. 4와 같이 부착하였고, 하중작용점에 작용하는 하중과 보의 중앙부 처짐을 측정하기 위하여 변위계 (L.V.D.T)를 Fig. 3과 같이 설치하였다.
Fig 4.
Location of strain gauges
3.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평가 및 개선
3.1. 하중-변위 특성
3.1.1. 표준실험체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효과 를 규명하기 위하여 표준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 NBS가 최종 파괴될 때까지 재하하였으며,
표준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은 Fig. 5와 같다. 초기균열은 하중 43kN, 처짐 0.81mm 에서 보 중앙부에 발생하였으며, 이후 순수 휨 구간에서 다 수 발생되었다. 그리고 하중 103.1kN,
처짐 3.3mm에서 인장 철근이 항복하였고, 전단균열은 135kN에서 발생하였다. 최 대하중 241.8kN에서 콘크리트 탈락이 진행되면서 변형이 크
게 증가하였고, 균열폭이 확장됨에 따라서 실험체는 전형적 인 휨파괴 거동을 하며 최종 파괴되었다.
Fig 5.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each specimen
3.1.2.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실험체 (NER 시리즈)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보강량 (봉의 본수)에 따른 실 험체의 하중-변위 곡선은 Fig. 6과 같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 과 같다.
Fig 6.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specimen (NER series)
부착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을 보 강한 실험체 NER 시리즈의 최대내력은 매입형 FRP봉 2본 을 보강한 실험체 NER2가
가장 높았고, 매입형 FRP봉 3본,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 NER1의 순으로 나타났다. 매 입형 FRP봉 2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2와
매입형 FRP봉 3 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는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과 표준실험체 NBS에 비하여 내력이 큰 폭으 로 증가하였다.
이는 매입형 FRP봉의 표면요철로 인하여 모 재와의 부착성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매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는 매입형
FRP봉 2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2에 비하여 내력이 감소하였다. 이는 매 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의 경우, 매입형 FRP봉
사이의 순간격이 좁아 피복 콘크리트가 매입형 FRP 봉을 충분히 구속하지 못하고, 매입으로 인한 피복 콘크리트 의 단면결손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6과 같이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 이 가장 연성적으로 거동하였으며, 매입형 FRP봉 3본을 보 강한 실험체 NER3이 취성적으로
거동하였다. 특히,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의 경우, 봉을 둘러 싼 피 복이 충분하여 피복 콘크리트에 집중되는 응력이 상대적으
로 낮으며, 중앙부에 휨균열로 계면 탈락이 일어나며 파괴가 발생하였다.
3.1.3.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시리즈)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 체의 하중-변위의 특성은 Fig. 7과 같이 나타났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 7.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specimen(NERL series)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 체 NERL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와 비교한 결과, 최대내 력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1차파괴 시점까지의 변 형능력과 1차 슬립 이후의 보강효과도 훨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매입형 FRP봉 2본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 체 NER2L는 CFRP시트의 유무에 따른 내력이 증가하였고, 최종파괴될 때까지 변형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CFRP시트 를 연속보강에 따른
피복 콘크리트 구속효과로 피복분리 현 상을 감소시키고 연성능력을 증가시켰다. 표면요철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공법은 표면요철로
증대 된 부착성능과 피복 콘크리트를 충분하게 구속하고 파괴메 카니즘을 부착슬립으로 유도하기 때문에 연성능력 및 내력 이 증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3.2. 파괴형태
기존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착공법으로 인해 보강된 보 의 파괴양상에는 보강재의 파괴, 과다 보강으로 인한 압축측 콘크리트의 압축파괴 및 전단내력
부족으로 인한 전단파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보의 내력 및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 하여 인장부에 보강된 외부 보강재의 파괴형태는 1) 보강재 파 단,
2) 계면파괴 (interface debonding), 3) 피복분리 (rip-off), 4) 단부박리 + 피복분리로 대별할 수 있다.
보강재를 보 인장부에 매입하는 FRP봉 보강공법의 경우, 매입효과로 인해 계면파괴 및 단부박리+피복분리의 파괴형 태는 발생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탄소섬유봉과 에폭 시의 부착형태는 유지된체 보가 파괴되는 부착슬립이 발생 하였다. 즉,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보강공법의 파괴형태는 1) 보강재 파단,
2) 피복분리 (rip-off), 3) 부착슬립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범위에서 실험된 각 실험체의 균열진전 양상 및 최종 파괴형태를 Fig. 8에서 보여주고 있다.
Fig 8.
Crack pattern and failure mode of each specimen
3.2.1. 표준실험체
보강에 따른 각 실험체의 파괴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표 준실험체 NBS를 최종 파괴시까지 가력하여 각 하중 단계에 따른 균열 진전상황을 고찰한 결과,
순수 휨 구간에서 휨 균 열이 먼저 발생하였고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스팬 구간 에 휨 균열 및 휨전단 균열이 발생하여 진전된 다음 변형이 상당히
증가한 후 압축부 콘크리트가 파괴되는 전형적인 휨 인장파괴가 발생하였다.
3.2.2.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 NERL 시리즈)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보강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을 보강한 실험체 NER 시리즈의 파 괴형태는 보강재와 접착재의 계면에서
부착균열이 발생하였 으나, 최대하중은 표면요철로 부착력이 증가되었다.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은 부착성능의 증진으로 접착재와
콘크리트의 탈락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매입형 FRP봉 2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2 경우, 재하시 매 입형 FRP봉의 내력이 충분히 발휘된
이후 최종파괴시 피복 분리와 함께 파괴되었다. 매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 체 NER3는 재하시 순간격이 좁아 피복분리가 선행되고 최 종 파괴가
일어났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 체 NERL 시리즈는 모두 CFRP시트를 보 측면 및 하부에 연 속보강을 하여 모재와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부착균열 과 부착슬립을 충분하게 구속함으로써 최대내력이 증가하고 실험체의 1차 파괴 후 2차 보강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3. 최대내력
각 실험체의 최대내력 및 표준실험체에 대한 각 보강 실험 체의 최대하중 증가량 및 증가비율을 Table 9와 Fig. 9에 나 타내고 있다.
Table 9.
Load carrying capacity of each specimen
Specimen
|
Pmax (kN)
|
ΔP (kN)
|
Pmax[Retrofitting]/ Pmax[Standard]
|
NBS
|
241.8
|
-
|
-
|
NER1
|
270.1
|
28.2
|
1.12
|
NER2
|
353.6
|
111.8
|
1.46
|
NER3
|
328.8
|
87
|
1.36
|
NER1L
|
294.2
|
52.4
|
1.22
|
NER2L
|
402.9
|
161.1
|
1.67
|
NER3L
|
427.0
|
185.2
|
1.77
|
Fig 9.
Load carrying capacity of each specimen
3.3.1.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실험체 (NER 시리즈)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을 보강한 실험체 NER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 최대내력과 비교하면, 매입형 FRP봉 1본 을 보강한 실험체 NER1은
12%, 매입형 FRP봉 2본을 보강 한 실험체 NER2는 46%, 매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 체 NER3는 36%의 내력증진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량 2본까지는 매입형 FRP봉 보강 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내력이 선형적으로 증가 하였으나, 매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는 실 험체 매입형 FRP봉 2본을 보강한 NER2보다 최대내력이 7%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앞서 3.1.2에서
언 급한 바와 같이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사이의 순간격이 너 무 좁아 하중 증가시 매입형 FRP봉 사이의 콘크리트가 탈락 하면서 매입형 FRP봉의
내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했기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적정 순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효과적인 보강을 할 수
있 을 것으로 사료된다.
3.3.2.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 최대내력을 비교하면, 매입 형 FRP봉 1본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1L의 내력 증가량은 52.4kN으로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 험체 NER1보다 24.2kN, 매입형 FRP봉 2본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2L의 내력 증가량은 161.1kN으로 매입형 FRP봉 2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2보다 49.3kN, 매
입형 FRP봉 3본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3L 의 내력 증가량은 185.2kN으로 매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보다
98.2kN으로 각각 9~58%의 내력증가량을 보였고, 최대내력은 매입형 FRP봉을 보강한 실험체 NER 시 리즈보다 9~30%, 표준실험체 NBS보다
22~77% 내력이 증 가되었다. 이는 표면요철로 인한 부착성능의 증진과 CFRP 시트를 보강함으로써 피복콘크리트가 구속되어 내력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순간격이 좁아 피복 콘 크리트의 조기 탈락이 예상되는 경우는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하면 피복 콘크리트 부분을
구속하여 피복 콘크리트가 조기 탈락하는 현상을 막아주고, 표면요철의 마찰력에 의한 부착력이 충분히 발휘되어 내력증진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 을 것으로
판단된다.
3.4. 연성능력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 체의 변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실험체의 연성비를 Table 10에 나타냈다. 표준실험체의 연성비는 최대하중 시점 의 변위 (δf)와 항복시점 변위 (δy)의 비로 정의하였으며, 보 강 실험체의 연성비는 보강재가 모재로부터 박리되거나 슬 립이 발생한 이후의 변위 (δf)로 연성비를 평가하였다.
Table 10.
Comparison of displacement ductility for each specimen
Specimen
|
δy(mm)
|
δƒ(mm)
|
Ductility (δy / δƒ)
|
NBS
|
4.4
|
18.26
|
4.15
|
NER1
|
5.45
|
24.49
|
4.49
|
NER2
|
6.36
|
21.92
|
3.45
|
NER3
|
5.19
|
14.63
|
2.82
|
NER1L
|
4.5
|
26.87
|
5.97
|
NER2L
|
5.38
|
32.23
|
5.99
|
NER3L
|
6.09
|
29.56
|
4.85
|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을 보강한 실험체 NER 시리즈에 서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은 연성비는 4.49, 매입형 FRP봉 2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2의 연성비 는 3.54로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에 대 비하여 77%, 매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의 연성비는 2.82로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 에 대비하여 63%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보강 재 단위면적당
보강효과가 동일한 경우라도 보강재량이 증 가하면 연성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 체 NERL 시리즈의 경우, 매입형 FRP봉 1본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1L는
매입형 FRP봉 1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1보다 약 33%, 매입형 FRP봉 2본과 CFRP시트 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2L는 매입형 FRP봉
2본을 보강 한 실험체 NER2보다 약 74%, 매입형 FRP봉 3본과 CFRP 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3L는 매입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보다 약 72% 연성능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표준실험체 NBS와 비교하여도 1.17~1.4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을 3본 보강한 경우, 보강 간격이 좁고 부착슬립으로 파괴되기에 연성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 한 경우에는 3본일 때 보강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FRP시트를 연속 보강함으로써 피복콘크리트를 구속하는 효과가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와 CFRP시트를 사용한 복합 보강공법을 적용하여 매입형 FRP봉의
사용량, CFRP시트 보강 유무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 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실험체의 파괴메카니즘 은 부착슬립 또는 피복분리 형태로 나타났는데, 보강 된 매입형 FRP봉의 순간격이 충분히 넓거나
CFRP시 트를 복합 보강한 경우에는 부착슬립, 그렇지 못한 경 우에는 피복분리 형태로 나타났다. 보의 내력 및 연성 확보 측면에서 보강시 매입형
FRP봉의 파괴메카니즘 은 부착슬립 파괴가 피복분리 파괴에 비하여 더욱 바 람직한 형태이다. 따라서,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매입간격이 좁을 경우
(7cm 이하), 구조물의 구조성능 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을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실험체 NER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와 최대내력을 비교하면 12~46% 증 가하였다. 그리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보강량
2본 까지는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내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표면요철 매입 형 FRP봉 3본을 보강한 실험체 NER3는
실험체 NER2보다 최대내력이 7%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사이의 순간격이 너 무 좁아 하중 증가시 매입형 FRP봉
사이의 콘크리트 가 탈락 하면서 매입형 FRP봉의 내력이 충분히 발휘 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표면요 철 매입형 FRP봉의 적정
순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와 최대내력을 비교하면 22~77%, 실험체 NER
시리즈보다는 9~30% 증가하였다. 이는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순간격이 좁아 피복 콘크리트의 조기 탈락이 예상되는 경우는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하면 피복 콘크리트 부분을 구 속하여 피복 콘크리트가 조기 탈락하는 현상을 막아주 고, 표면요철의 마찰력에 의한 부착력이 충분히 발휘 되어 내력증진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물 복합보강 기술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내에 표면요 철이 있는 FRP보강재를 매입함으로써 표면요철로
인 한 보강재의 충분한 부착성능이 확보된 것으로 사료된 다. 그리고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함으로써 구조물과 보강재와의 완전 일체화를 구현할 수 있었다.
이는 기 존 보강공법에 비하여 구조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시공 및 품질관리가 용이하므로 보강후 구조물 및 보강부분 내구성 확보 측면에서도 대단히 유리하여
구조물 보강 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3년도 정부 (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 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과제번호 : 2013-035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