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용학
(Yong-Hak Lee)
1)*
이타
(Ta Lee)
2)
정 종현
(Jong-Hyeon Jeong)
3)
김 형주
(Hyeong-Ju Kim)
4)
박 건태
(Kun-Tae Park)
5)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강-콘크리트 계면,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구속효과, 탄-소성,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휨 실험
Key words
CFT conposite beam, Steel-concrete interface, Flexural beam test, Finite element analysis
1. 서 론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Concreteinfilled Steel Tube, CFT)은 강과 콘크리트의 각 재료가 갖 는
재료 및 구조적 단점에 대한 상호보완작용을 통해 구조적 성능이 향상된다. 이 CFT는 강관에 의한 충전콘크리트의 횡 방향 구속효과로 인해 축방향 저항성이
증가하며 또한 좌굴 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주로 축방향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 또한 축방향 거동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Hsuan et al., 2003; Ahmed and Shah, 1982; Lakshmi and Shanmugam, 2003; Yan et al., 2005; Jerome et al., 1997(a); Jerome et al., 1997(b), Hong et al., 2001; Susantha et al., 2001).
축부재로서 CFT의 활발한 적용 및 연구와는 대조적으로 휨부재로서 CFT에 관한 연구로서는 Mohamed et al. (2004)이 수행한 CFT 단면지름과 강관두께의 비에 따른 휨잔류강 도 및 연성도의 영향성 평가에 관한 실험과 같은 특수한 목 적의 연구 이외에는 매우 드물며,
국내의 경우에 2008년 강 원도 인제군의 지방도 453과 391에 각각 시공된 지간 28m 보도육교 및 35m 단경간 CFT 거더교량이 적용사례로서
보 고되는 정도로 그 적용 또한 극히 제한적이다. 휨부재로서 CFT의 이러한 제한성은 충전콘크리트에 대한 강관의 매우 낮은 구속효과로 인해 내부 콘크리트의
충전에 따른 단면강 도의 증가 이외에는 강관에 의한 충전콘크리트의 구속효과 와 같은 구조적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또한, 충전콘크 리트의 인장부에서
발생하는 균열과 이에 다른 강관과 충전 콘크리트 간의 계면슬립이 확인할 수 없는 문제 때문인 것으 로 이해된다.
이러한 이유로 CFT를 그 자체로서 보 혹은 거더로 사용하 는 대신에 CFT 내의 충전콘크리가 전 단면에 걸쳐 압축력을 받도록 함으로서 단면의 저항강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연 구가 최근에 진행되고 있다. CFT 내부의 충전콘크리트에 대 한 강관의 구속작용으로 초래되는 충전콘크리트의 강도증가 는 등압
(hydrostatic pressure)의 증가에 따라 최대응력이 증 가하는 콘크리트의 재료역학적 성질에 근거한다. 이러한 충 전콘크리트에 대한 강관의
구속효과에 관한 연구로서 Hong et al. (2001)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강관구속 압축 실험, Ahmed and Shah (1982)와 Saatcioglu and Razvi (1992) 의 CFT 내부의 충전콘크리트의 축방향 압축강도에 관한 실 험, Popovics (1973)와 Mander et al. (1988)에 의한 강관 구 속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관계의 제안, Tang et al. (1996) 와 Kent et al. (2002)의 강관 구속에 따른 충전콘크리트의 횡방향 구속응력 평가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 다. CFT 합성보는 축방향 부재로서의 CFT가 갖는
이러한 강도증진 효과를 휨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 으며, 국내에서도 Kang et al. (2005)와 Kang et al. (2006)이 콘크리트충전 강관을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거더의 정⋅ 부모멘트 거동성질 분석을 목적으로 실험 및 해석 연구를 수 행하였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CFT 부재에 관한 연구가 강관에 의한 충전콘크리트의 구속효과, 정적 및 동적하중 하에서 거동성 질, 축 및 휨 하중 하에서의 좌굴거동
등을 중심으로 수행되 어 왔으나 CFT 구조가 합성구조로서 휨하중에 대한 저항미 케니즘의 형성과정에서 강관과 콘크리트간의 계면거동에 관 한 연구는
관심밖에 있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에 강재 웨브와 하부플랜지를 부착하여 강관내의 콘크 리트 단면이 압축을 받도록 한 CFT 합성보에서
강관과 콘크 리트간의 계면거동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CFT의 양 단부가 개방된 경우와 폐쇄된 경우의 두 종류 CFT 합성 보를 제작하여
단부개방의 경우에는 강관과 내부 충전콘크 리간의 계면슬립을 측정하고 계면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하 여 거동을 예측하여 강관의 충전콘크리에 대한 횡방향
구속 에 따른 계면슬립을 분석하였다. 단부폐쇄의 경우에는 강관 의 구속작용에 의한 강도증가량을 계측하고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충전콘크리트의
구속효과를 검증하였다.
2. 실험체의 제작 및 재료물성값
2.1. 실험체의 제작
실험체는 길이 1,060mm, 관경 ∅110mm, 두께 4.5mm인 강 관의 길이방향으로 두께 10mm의 강재판을 용접하여 웨브를 형성하고, 웨브하단에
두께 12mm의 강재플랜지를 용접하여 제작하였다. 강관내부의 콘크리트 구속효과에 따른 계면거동 의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Fig. 1(a)와 같이 양단부를 개방 하여 강관내부 콘크리트의 슬립거동을 허용한 경우 (단부개 방)와 Fig. 1(b)와 같이 양단부를 강재를 사용하여 봉함으로 써 강관내부 콘크리트의 슬립거동을 방지한 경우 (단부구속) 의 두 경우에 대해 각 2개씩 총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단부구속의 경우에는 관경 ∅245mm, 두께 10mm의 단부덮 개를 양단부에 볼트로 체결하여 (Fig. 1(b)) 단부가 구속되도 록 하였다. 하중점과 지점부에는 하중작용으로 인한 웨브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 6mm의 수직 보강재를 용접 하여 설치하였으며,
양단구속의 경우에는 단부구속판의 설치 로 인해 폭 20mm, 두께 8mm의 강판을 수직보강재로서 단 부에 추가로 설치하였다. 하중작용점에는 응력집중에
따른 국부변형을 방지하고 하중판 및 지점부 강재판을 고정하기 위해 D16 강봉을 Fig. 1과 같이 용접하였으며, Fig. 2(a)와 (b)는 단부개방 경우와 단부구속의 실험체에 대한 길이방향 단면제원을 보여준다.
실험실 벽체에 두께 10mm의 합판을 설치하고, 연질 철사 를 사용하여 강관의 하중판과 지점부를 합판에 고정시키고 강관을 연직방향으로 거치한 후에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믹서를 이용하여 직접 타설 하였으며 다짐봉을 사용하여 다짐을 수행하였다. 내부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비닐을 강관 상단부에 덮어 수 분의 증발을 방지하였으며 타설 후 1일 째에 비닐덮개를 제 거하고 부직포를 덮은 후에 살수함으로써 습윤
양생 조건이 되도록 하였다. Fig. 3과 4는 내부콘크리트 타설 전의 단부 개방 및 단부구속의 두 종류 강관 합성보의 형상과 타설 후 CFT 합성보의 양생 모습을 각각 보여준다.
Fig. 1.
Cross section of steel tube plate beam (unit:mm)
Fig. 2.
Longitudinal views of steel tube plate beams (unit : mm)
Fig. 3.
Steel tube composite beams
Fig. 4.
Curing of CFT composite beams
2.2. 재료물성값
Table 1과 2는 각각 강관 내부 충전콘크리트의 배합비와 물성값을 보여준다. 물성파악을 위한 강재시험편은 실험에 사용된 강관으로부터 재단하여 KS B 0801 (금속재료
인장 시험편)에 따라 제작하였다. Table 3은 강관과 강재 플레이 트의 두께에 따른 물성값을 보여준다.
Table 1.
Design strength (MPa)
|
Cement (N/m3)
|
Water (N/m3)
|
Fine aggregate (N/m3)
|
Coarse aggregate (N/m3)
|
W/C (%)
|
Slump (mm)
|
27
|
3,834
|
1,716
|
7,171
|
10,320
|
44.8
|
83
|
탄성계수는 각 인장 시험편에서 항복강도의 약 85% 범위 에서 응력-변형율 관계를 회귀분석하여 결정하였으며, 강재 의 포아송 비는 일반적인 강재의
포아송 비인 0.3을 적용하 였다.
3. 실험체의 휨 실험
3.1. 실험장비 및 계측센서
변위 및 하중제어가 가능한 1,000kN 용량의 UTM을 사용 하여 CFT 합성보 실험체에 대한 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총 84채널의
데이터 수집 장치를 갖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사용하여 수집 저장하였다.
실험체의 지간 중앙부에는 중앙하단에 LVDT를 설치하여 처짐량을 측정하였으며, 별도로 강관과 충전콘크리트 간의 계면에서 계면슬립 발생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강관의 양단 부 단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로부터 31mm 하단위치에 LVDT를 설치하였다. 실험체의 지간 중앙부에서 휨 거동으 로 인한 강관의
축방향 변형과 중립축의 변화 및 포아송 효 과에 의한 강관의 충전콘크리트에 대한 구속효과를 계측하 기 위해 강관의 상부, 중앙 및 하부에 로젵게이지를
각각 부 착하였다 (Fig. 5).
여기서 축 및 횡방향의 두 방향으로 변형률게이지를 부착 하는 대신에 로젵게이지를 부착함으로서 지간 중앙부에서 강관과 충전콘크리트 간의 계면슬립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 로 인한 전단변형을 계측하도록 하였다.
또한, 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부 충전콘크리트의 횡방 향 포아송효과가 발생하여 강관에 의해 억제되는지의 여부 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축방 향 및 횡방향 변형률 게이지를 추가로 부착하였다 (Fig. 5(b)). 결과적으로, Fig. 5(a)의 게이지 부착위치 ①로부터 ⑧에 서 종방향 변형률게이지는 CFT보의 지점부로부터 중앙부까 지 휨작용으로 인한 축방향 변형률의 변화경향을 계측하며,
대응하는 횡방향 변형률게이지는 실험체 길이방향으로 강관 에 의한 충전콘크리트의 구속정도와 경향을 관찰하도록 계 획하였다.
CFT 보의 강관에 부착된 게이지는 Fig. 5(a) 및 Fig. 6에 보인 바와 같이 표기하였다.
예로서, TF1-34-3의 계측게이지 표시에서 TF는 Tube with Flange의 약자이고 1은 단부콘크리트가 개방된 단부개방 실 험체를 의미하며,
3은 3번째 행을 4는 4번째열을 표시한다. 또한 3은 전단변형률을 의미한다.
Fig. 5.
Measuring gages attached on specimens
Fig. 6.
Identification of sensors
3.2. 실험 결과
실험은 최대하중 이후의 연화거동을 고려하여 변위제어로 서 진행하였고, 데이터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2초 간격으로 계측자료를 수집 및 저장하였다. 단부개방
실험체 TF1은 실 험체의 비선형 거동의 진행과 더불어 실험체의 오른쪽 단부 에서 콘크리트의 압출이 시작되었으며 (Fig. 8(a)), 처짐이 약 30mm 정도 진행된 후 왼쪽단부의 압출이 시작되었다 (Fig.8(b)).
오른쪽 단부의 충전콘크리트 압출은 설치된 LVDT로부터 11.0mm를 계측하였으며, 왼쪽의 경우에는 0.7mm를 계측하 였다. 이러한 슬립거동은 휨
하중하에서 CFT 합성보의 강관 부가 휨 압축응력을 받아 이에 대응하는 압축변위가 발생할 때 강관과 내부충전콘크리트의 일체거동을 보장하는 계면상 의
부착력이 충전콘크리트의 축방향 압축력에 더 이상 저항 하지 못한 결과로서 이해된다. 이후 단부에서 충전콘크리트 의 강관내부 콘크리트의 슬립이 발생한
후에 하중점 부근에 서 압축응력에 의한 강관의 국부좌굴이 발생하였으며 (Fig. 8(c)), 강관의 팽창부위가 하중판과 접촉하여 실험을 중단하 였다. 단부구속 실험체 TF2는 처짐이 약 20mm 정도 진행하 는 동안 지점부 수직보강재에
좌굴이 발생하였고 강관과 웨 브의 용접부위가 분리되면서 하중 저항성이 급격히 감소하 여 재하하중 656kN에서 갑자기 파괴되었다 (Fig. 9(a)와 (b)). 이러한 파괴는 TF1 실험체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충전콘크리 트의 슬립거동이 단부구속에 의해 억제됨으로서 발생한 것 으로 이해된다.
Fig. 9.
Welding failure of TF2 specimen
4. 실험 결과의 분석
단부개방 TF1과 단부구속 TF2의 두 종류 CFT 합성보 실 험체에 대한 파괴거동을 계측하였으며, 단면해석법과 유한요 소해석법을 사용하여 각 실험체에
대한 저항강도와 거동을 예측하였다. 수치해석에서 단면해석법의 경우에는 CFT 합성 보 단면의 저항강도만을 계산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법의 경 우에는
강관과 충전콘크리트 간의 계면거동을 고려치 않는 완전부착 경우와 계면거동을 고려하는 경우의 두 경우에 대 해 CFT 합성보의 거동예측을 수행하고,
실험에서 계측된 결 과와 비교를 통해 실험결과로서 분석되지 않는 거동에 대한 관련자료로 활용하였다. 단부구속의 경우인 TF2 실험체는 최대하중 값에
도달하기 전인 656kN의 하중에서 단부의 웨 브와 강관과의 용접부위가 파괴됨으로 인해 수치해석결과와 는 비교하지 않았으며 경계요수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두 경우 유한요소해석결과를 사용하여 단부구 속 경우에 대한 거동분석을 수행하였다.
4.1. 단면해석법
단면해석법에 의한 CFT 보 단면의 저항강도는 압축부 충 전콘크리트의 횡방향 체적팽창으로 인한 강관의 구속효과가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계산하였다.
이 방법으로 계산된 단면 강도는 실험에서 계측된 단면저항능력과의 비교를 통해 강 관의 구속효과의 정도에 대한 예측근거자료로서만 사용하였 다. 이에
따라 단면강도는 직사각형 단면의 응력사각형 블록 개념과 유사하게 콘크리트의 압축부 전면적에 대하여 콘크 리트의 압축응력이 0.85fck 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고 계산하였으며, 또한, 강관 내부의 충전콘크리트가 없는 순수 강관단면의 저항하중을 계산하여 충전콘크리트로 인한 강도
증가 정도를 고찰하였다.
4.2. 유한요소해석
콘크리트와 강재의 재료 비선형성은 네계수 파괴포락선 (Lee, 1998)과 von Mises 파괴규준을 이용한 탄-소성 구성모델을 사용하여 각각 정의하였으며,
강관과 콘크리트간의 계면거동 은 Mohr-Coulomb 파괴규준에 근거하여 제안된 쌍곡선 파 괴포락선 (Lee et al., 2009(a); Lee et al., 2009(b))을 이용 한 탄-소성 구성모델을 사용하여 정의하였다.
Fig. 1(a)와 (b)의 CFT 보는 종 및 횡방향으로 대칭성을 가지므로 전체형상의 1/4 만을 고려하여 콘크리트는 절점당 3개의 변위자유도를 갖는 8절점 3차원 육면체
요소로서, 강 재는 절점당 6개의 자유도를 갖는 4절점 3차원 쉘 요소로서 그리고 강관과 콘크리트 간의 계면은 0-계면깊이 (0-thickness)
8절점 계면요소로서 각각 유한요소 모델링하였다. 해석에 필 요한 강재와 콘크리트의 재료물성값은 강재 및 콘크리트 실 험에서 얻어진 Table 2와 3의 값을 적용하였고, 강관과 콘크 리트의 계면에 대한 물성값은 강-콘크리트 계면의 부착 및 비부착 실험 (Lee et al., 2009(a); Lee et al., 2009(b))을 통 해 결정된 Table 4의 계면구성계수 값을 적용하였다.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Age at test (day)
|
Compressive strength, fck (MPa)
|
Modulus of elasticity, Ec (MPa)
|
Poisson’s ratio, vc |
28
|
32
|
37,200
|
0.22
|
Table 3.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
|
Thickness (mm)
|
Strength
|
Elastic Modulus Es (MPa)
|
fy (MPa)
|
Tensile fu (MPa)
|
Steel tube
|
4.5
|
449
|
503
|
200,000
|
Steel plate
|
10.0
|
335
|
463
|
188,000
|
12.0
|
329
|
484
|
210,000
|
Table 4.
Interface parameter values
Parameters
|
Values
|
Parameters
|
Values
|
Φmaxu |
0.47
|
η (1/MPa)
|
6.5
|
Φres |
0.33
|
G If (N/mm )
|
0.2
|
bmax (MPa)
|
0.030
|
G IIfb (N/mm)
|
2.345σN + 0.012
|
Kmax (MPa)
|
0.015
|
G IIfu (N/mm)
|
0.203σN |
Fig. 10은 TF1 합성보 실험체에 대한 1/4 유한요소모델링 결과를 보여준다.
Fig. 10.
Quarter modeling of CFT beam
4.3. 실험 및 해석결과의 분석
4.3.1. 저항강도
Table 5는 두 실험체에 대한 실험으로부터 계측된 최대하 중과 단면해석법 및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예측된 최대하중 의 비교를 보여준다. 단면해석법 (sec.
anal.)의 경우에 with conc.와 w/o conc.은 각각 콘크리트를 충전한 경우와 강관만 의 경우를 의미하며, 유한요소해석의 경우에 w/o
int.와 with int.은 각각 계면요소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Table 5.
Comparison of measured and predicted resisting capacities
|
Max. load (kN)
|
Test
|
FEM
|
Sec. anal.
|
w/o int.
|
with int.
|
with conc.
|
w/o conc.
|
TF1
|
630
|
733
|
643
|
541
|
279
|
TF2
|
-
|
742
|
729
|
541
|
279
|
단부개방 TF1 실험체에 대해 계측된 최대하중은 내부콘크 리트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내부콘크리트를 고려하여 단 면해석법으로 계산한 최대하중보다 각각
125% 및 16%의 단면저항능력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계면요소를 고려한 유한요소해석의 경우에 예측된 최대하 중 값은 실험값과 비교해 2% 정도의 차이로서 크게 예측하 고 있으나 계면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강관과 충전콘크리트 간에 완전부착을 가정한 경우에는 실험값에 비해 16%의 차 로서 최대하중을 크게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최대하중의 비 교에서 실험값과
단면해석법에 의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강관 내부의 콘크리트가 전 단면에 걸쳐 압축응력을 받음으 로 인해 압축부 콘크리트가 강관에 의해 받는 구속효과가
있 음을 알 수 있다.
4.3.2.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결과 분석
Fig. 11(a)는 계면요소를 고려치 않은 유한요소해석 결과 가 계면요소를 고려한 유한요소해석의 결과보다 큰 최대하 중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며, 단부개방의 경우의
유한요소해 석에서 계면요소가 고려된 경우는 실제 실험결과와 거의 일 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단부폐쇄 실험체는 실험 진행시 하중이 증가되면서 갑작 스런 파괴로 실험을 중단하였으므로 Fig. 11(b)는 비선형 유 한요소법에 의해 예측된 결과만을 보여주고 있다. Table 6은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실험체의 실험결과와 유한요소해 석 결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단부개방 실험체 TF1에 대한 실험 및 해석상의 최대하중값은
약 20.0mm의 처짐에 대응 하는 하중 값으로 취하였다. 계면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3차 원 유한요소해석결과는 실험값 보다 16% 크게 예측되었으
며, 계면요소를 포함한 유한요소해석 결과는 실험값과 거의 일치하였고 실험체 TF1의 단면해석법에 의한 단면검토결과 는 실험값 보다 14% 적게 예측되었다.
유한요소 해석과 실 험을 통해 계측된 최대하중의 비교를 통해 유한요소 해석법 이 비교적 정확하게 실험값을 예측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 으며, 계면요소가
고려되지 않은 경우의 유한요소해석 결과 는 강-콘크리트사이의 계면거동이 없으므로 양단이 구속된 경우의 해석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단부폐쇄 실험체 TF2의 경우는 실험결과를 취하지 못하였 으므로 단면해석법과 유한요소해석으로 비교하였고 그 결과 는 Table 7에 보여준다. 계면을 고려한 경우의 유한요소해석 에 의해 예측된 극한하중은 단면해석 결과보다 약 36% 크게 예측되었으며, 단부개방 실험체 TF1의
해석값도 단면해석 결과보다 17% 크게 예측되었다. 이것으로 양단이 열려있는 경우도 어느 정도의 구속효과가 발휘되었으며 양단이 막힌 경우는 구속효과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1.
Load vs. deflection curve
Table 6.
Comparison of resisting capacity of TF1 specimen
TEST Pu(kN)
|
3D FEM w/o Int.
|
3D FEM with Int.
|
Sec.Anoly/TEST
|
3D w/oInt./TEST
|
3D with Int./TEST
|
630.2
|
732.8
|
634.2
|
0.86
|
1.16
|
1.00
|
Table 7.
Comparison of resisting capacity of specimen
Specimen
|
Sec.Anoly.
|
3D FEM w/o Int
|
3D FEM with Int
|
3D w/o Int. /Sec.Anoly.
|
3D with Int. /Sec.Anoly.
|
TF1
|
541.4
|
732.8
|
634.2
|
1.35
|
1.17
|
TF2
|
541.4
|
736.6
|
738.51
|
1.41
|
1.36
|
4.3.3. 하중-축 방향 변형률
Fig. 12는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실험체 TF1의 축방 향 변형률을 보여준다.
계면요소를 고려한 유한요소해석결과 탄성영역은 비교적 실험값과 잘 일치하나 비선형 구간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또 한 단부개방 실험체 해석결과 중앙부를
제외한 측면부의 단 면상부는 실험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나 중앙부 단 면의 경우 다소 차이를 보이며 이는 중앙부 단면의 국부좌굴 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부개방 실험체 TF1의 경우에는 하중점 부근에서 압축응 력에 의한 국부좌굴이 발생하였고 이는 콘크리트가 강관 밖 으로 빠져나가고 강관은 안으로 들어오는
거동을 통해 발현 되었다. 이와 같은 국부좌굴과 계면의 슬립은 강과 콘크리트 의 합성효과를 신뢰할 수 없도록 하므로 강과 콘크리트의 합 성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단부를 폐쇄하거나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는 등의 슬립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Fig. 13은 실험체 TF1 중앙부의 상면에서 하면까지의 축 방향 압축 및 인장응력의 변화를 보여준다. 강재의 단면 중 간부에 부착된 변형률 게이지의 변형률이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으로 증가하는 것은 강관속 콘크리트의 대부분이 압축을 받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Fig. 12.
Load vs. axial strain curve for TF1 specimen
Fig. 13.
Load vs. axial strain curve for TF1 specimen at center
Fig. 14.
Load vs. lateral strain curve of longitudinal direction for TF1 specimen
4.3.4. 하중-횡 방향 변형률
Fig. 14는 실험체 TF1에서 계측된 횡방향 변형률과 계면 요소가 고려된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예측변형률의 비교를 보여준다.
실험체의 중앙부와 하중판 부근에 부착된 변형률 게이지 에서는 하중 500kN 정도에서 횡방향 변형률이 급격히 증가 하며 팽창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하중판과 하중판 사이 중 앙부 구간의 횡방향 변형률은 거의 동일하게 균일한 팽창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4.3.5. 단부 콘크리트 슬립 및 하중-전단 변형률
Fig. 15는 단부개방 콘크리트 충전 강관 합성보 실험체 TF1이 하중이 증가하여 소성영역에 들어서면서 콘크리트가 양쪽으로 밀려나오는 슬립현상을 나타낸다.
계면을 포함한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결과 슬립거동의 발 생하중은 실험체의 오른쪽단부의 슬립거동과 같은 하중수준 인 것을 볼 수 있다. 해석결과 단부의
슬립량은 약 0.9 mm 이고 실험체의 콘크리트 최소 슬립량은 왼쪽 단부에서 약 0.7mm 최대 슬립량은 오른쪽 단부에서 약 11.0mm이다. 이
처럼 슬립량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양쪽 단부의 강-콘크리트 사이의 계면물성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소성거동시 부착저항 이 작은쪽이 먼저 계면파괴가 일어나게
되고 계면파괴가 일 어난 쪽의 슬립거동이 계속 진행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Fig. 15.
Slip displacement curve of TF1 specimen
4.4. 실험결과의 고찰
단부개방 실험체 TF1은 비선형 거동이 어느 정도 진행되 어 단부에서 강관내부 콘크리트의 슬립이 발생한 후에 하중 점 부근에서 압축응력에 의한 강관의
국부좌굴이 발생하였 으나 전반적으로 실험이 잘 진행되었다. 단부폐쇄 실험체 TF2는 실험이 진행되는 도중에 지점부 수직보강재에 좌굴이 발생하였고 강관과
웨브의 용접부위가 분리되면서 하중 저 항성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파괴되었다. 이는 강관의 단부가 구속에 의해 강관내부의 슬립파괴를 방지하므로 강관의
국 부좌굴이 방지되고 강관의 구속효과에 의해 강성이 증가되 어 강관에 작용하는 모멘트 차이에 의한 전단파괴가 강관과 웨브의 접합부에서 발생한 것이다.
단부개방 실험체의 경우 계면요소가 고려되지 않은 유한요소해석은 강과 콘크리트간 계면의 거동이 없으므로 계면이 고려된 경우보다 발생하중 이 크게 예측되었으며,
이는 계면요소를 고려한 유한요소해 석에서는 콘크리트의 슬립으로 인해 구속효과가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체의 실험결과와 계면이 고려된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결과는 거의 일치하였으며, 단면해석법에 의한 결과는 실험결과의 84% 수준에 머물렀다. 이것은 실험 수행 시 콘크리트충전 강관에서 구속효과가
발휘되어 16%의 강 도증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부폐쇄 실험체 TF2의 경우는 계면이 고려된 경우와 고 려하지 않은 경우의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과 단면해석 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계면요소를
고려한 유한요소 해석은 단면해석법에 의한 결과에 비해 35% 크게 예측되었 으며, 강관전체의 구속효과에 의해 강도가 커진 것으로 판단 된다.
5. 결 론
콘크리트 충전 강관의 비선형 거동규명을 위해 콘크리트 충전 강관 실험체의 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체의 거동 예측을 위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체에 대하여 계 면요소가 포함된 유한요소해석과 계면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 었다.
-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는 내부 콘크리트가 없는 경 우에 비해 약 두배의 하중 저항능력이 있음을 단면해 석과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
단부개방 실험체의 경우 강관 중앙부의 압축력으로 인 해 콘크리트 슬립이 발생하여 콘크리트는 빠져나가고 강관은 들어오면서 국부좌굴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 해 강-콘크리트의 합성효과는 신뢰할 수 없게 되므로 단부구속이나 전단 연결재 설치 등의 슬립방지대책을 수립하여 강관의 국부좌굴을 방지하여야 한다.
-
단부폐쇄 실험체의 경우 강관의 단부가 구속에 의해 강관내부의 슬립파괴를 억제하므로 강관의 국부좌굴 이 방지되고 콘크리트를 구속하는 효과에 의해 강성이
증가되므로 강관에 작용하는 모멘트 차이에 의한 전단 파괴가 강관과 웨브의 접합부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므 로 단부가 폐쇄된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경우
강관과 웨브 접합부의 연결에 유의하여 구조물의 취성파괴를 방지하여야 한다.
-
단부개방 콘크리트 충전 합성강관의 경우에는 구속효 과에 의해 약 16%의 강도증진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단부를 폐쇄하여 구속효과를 키운 경우의 콘크리트
충 전 합성강관의 경우에는 35% 정도의 더욱 큰 강도증 진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과 수치해석 을 통해 얻은 이러한 결과는 플랜지와
웨브가 없는 콘 크리트 구속강관의 경우와는 달리 웨브와 플랜지의 설 치를 설치하여 중립축이 강관하단으로 내려간 경우에 는 콘크리트의 충전에 의한 구속효과가
확실히 존재함 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나 장지간 건축용 거더에서의 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과학시룰진흥원에서 지원하는 국토교 통기술촉진연구사업 (12기술혁신B04)의 지원으로 수행되었 습니다.
References
(1982), Stress-Strain Curves of Concrete Confined by Spiral Reinforcement, ACI Journal,
79(46), 484-490.
(2002), Nonlinear Analysis of In-Filled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8(7), 922-933.
(1996), Concrete-Steel Plate Interface Characteristics for Composite Construction,
Computing Developments in Civil and Structural Engineering, 35-40.
(2001), Confinement Effects on High-Strength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98(4),
548-553.
(2003), Nonlinear Analysis of Axially Loaded Concrete-Filled Tube Columns with Confinement
Effect,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29(10), 1322-1329.
(1997), A Cyclic Nonlinear Model for Concrete-Filled Tubes. I: Formulation,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736-744.
(1997), A Cyclic Nonlinear Model for Concrete-Filled Tubes. II: Verification,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3(6), 745-754.
(2006), Flexural Behaviors of PSC Composite Girders in Negative Moment Region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18(2), 169-176.
(2006), Flexural Behaviors of PSC Composite Girders in Positive Moment Region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18(3), 313-320.
(2002), Behavior and Modeling of Concrete subject to Variable Confining Pressure,
ACI Material Journal, 99(2), 180-189.
(2009), Determination of Steel-Concrete Interface Parameters Bonded and Unbonded
Slip Tes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1(6), 773-780 .
(2009 ), Determination of Steel-concrete Interface Parameters: Me chanical Properties
of Interace Paramete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1(6),
781-788 .
(1999), Development of Four Parameter Failure Envelope for Three-Dimensional Constitutive
Modeling of Concrete, KSCE, (in Korean), 19(I-1), 79-88.
(1988), Theoretical Stress-Strain Model for Confined Concret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14(8), 1804-1826.
(2004), Concrete-filled steel circular tubes subjected to constant amplitude cyclic
pure bending, Engineering Structures, 2125-2135.
(1973), A Numerical Approach to the Complete Stress-Strain Curve for Concrete, Cement
Concrete Research, 3(5), 583-599.
(1992), Strength and Ductility of Confined Concret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118(6), 1590-1607.
(2001), Uniaxial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concrete confined by various shaped
steel tubes, Engineering Structures, 1331-1347.9.
(1996), Modeling of Stress-Strain Relationships for Steel and Concrete in Concrete
Filled Circular Steel Tubular Columns, Steel Construction Engineering, JSSC, 3(11),
35-46.
(2005), Confined Concrete-Filled Tubular Colum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31(3), 488-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