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부착강도, 외부보강, 스틸밴드
Splitting bond strength, Reinforced by external, Steel-band

1. 서 론

노후화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재료적인 화학적 반응과 외부요인에 따라 물리적 작용으로 내구성능이 저하된다. 성 능회복을 위하여, 많은 보강공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보강 방법에 따라 보강효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의 보강재로 섬유시트 및 강판을 사용하여 기존 구조물에 부 착 및 앵커를 통한 보강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 존 보강공법은 보강재의 성능보다는 이를 구체와 접합시키 는 에폭시의 성능과 시공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 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보강공사 완료 후 보강의 적합 성을 평가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과 보강의 효과는 보강 부재에 추가되는 하중이나 변형이 발생되어야 발휘되는 문 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 포스트텐션 공법의 일환 으로 Yamakawa et al. (1999), Yang et al. (1999), Hussain and Driver (2005) 등은 모재에 접착재를 사용하지 않는 비 부착형 기둥 보강기술들을 제시하였다. 이 공법들은 RC 기 둥의 연성이 매우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을 보였다. 하지만, 보 강재의 단가와 숙련된 기술자가 요구되는 고비용 시공법으 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공법의 시공성 및 보강 성능 확보에 대한 미비한 부분을 개선하여, 정확한 성능확보 및 평가를 위한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부착성능 실험을 통한 기초적 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 외부에 스틸밴드로 보 강하는 공법을 적용하여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부착파괴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부착실험을 위한 총 9개의 실험체 를 제작하여 주근의 수, 콘크리트 타설 방향, 주근의 위치에 따른 구속효과와 스틸밴드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변수로 실 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실험체에 발생된 최종 파괴양상과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주근의 위치에 따라 검토 를 하였으며, 기존 부착강도에 관한 제안 식을 검토하였다.

2. 공법의 개요

Fig. 1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포스트텐션 공법을 응용 하여 철근콘크리트 사각형 기둥의 네 모서리에 긴장력을 도 입하는 방식의 외부 보강공법을 간단히 보여주고 있으며, 스 틸밴드에 의한 기둥부재에 도입된 긴장력이 일정하게 분포 한다는 가정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점선으로 그려진 분포 도 선은 스틸밴드에 의한 긴장력 도입으로 주근의 위치에 각 각 다른 구속력을 갖는 형상을 나타냈다.

Fig 1.

RC member section stress distribution by steel-band

JKSMI-18-41_F1.jpg

이 보강공법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 속할 수 있으며,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스틸밴드의 긴장력에 의해 수동적인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본 보강공법은 지진 발생 전, 내진 보강공법으로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지진 재해 직후 신속성이 요구되는 지진 복구에도 유효한 응급 보강으로 적용 할 수 있다.

Photo 1은 스틸밴드를 이용한 외부 보강공법 순서를 나타 냈다. 보강과정은 ⌈(a) 표면 및 모서리 처리 ⇒ (b) 블록 위 치잡기 ⇒ (c) 긴장력 도입 ⇒ (d) 밴드고정」 순서로 진행되 었다. 실험체 표면 및 모서리를 글라인딩 작업을 실시하여 스틸밴드를 연결하는 코너블럭을 철근 콘크리트 기둥 모서 리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코너블럭의 크기는 15mm × 25mm × 35mm이며, 스틸밴드를 구부리는 모서리 부분은 라 운드 처리를 하여 스틸밴드의 접힘 파단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작하였다. 그리고, 스틸밴드는 콘크리트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부재의 표면과 15mm의 간격을 두었다. 스틸밴드의 긴 장력을 도입하는 방식은 에어펌프의 공기압의 조절로 목표 하는 긴장도 σr를 도입할 수 있으며, 스틸밴드의 고정클립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였다. Photo 2는 개발한 코너 블럭, 스틸밴드, 공기압으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구속장비와 스틸밴드를 고정하는 클립고정 장비를 나타냈다.

Photo 1

Reinforcement procedure of steel-band

JKSMI-18-41_P1.jpg
Photo 2

Steel-band equipments

JKSMI-18-41_P2.jpg

3. 실 험

3.1. 실험체 계획 및 제작

Fig. 2는 실험체의 형상·치수 및 배근 상태를 나타냈다.

Fig 2.

Test specimen with three sets of external steel-band

JKSMI-18-41_F2.jpg

그리고 Table 1에 실험체 일람표를 나타냈다. 실험체의 길이 는 500mm이고, 단면 치수는 250mm × 250mm (B×D)이며 두께 32mm 철판에 CO2 용접으로 주근을 고정하였다. 각 실 험체를 세워서 타설하였으며, 타설방향과 동일한 방향 (S방 향)으로 인발되는 주근군과 이와 반대방향 (O방향)으로 인발 되는 주근군의 두 쌍으로 제작하였다. 부착길이는 HD13을 이용한 시험체의 경우는 195mm (15db), HD10을 이용한 시 험체는 130mm (13db)이다. 여기에서 db는 주근 지름을 의 미한다. 비 부착구간은 주근에 Φ13mm PVC 파이프를 이용 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실험구간 사이에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정확한 파괴양상을 보기위하여 250mm × 25mm × 30mm 홈을 만들었다. 그리고, 실험체에 불필요한 파괴를 억제하기 위하여 D13 철근을 활용하여 보 강근을 배근하였고, 횡 보강근은 Φ4를 2단 배근하였다.

Table 1.

List of test specimens

Specimen fck db n pw(%) pws(%) σr (MPa) ns
No.1 S 21 D13 4 0.10 0.21 0 3
O
No.2 S 0.95
O
No.3 S 1.55
O
No.4 S 3s 0
O
No.5 S 1.55
O
No.6 S D10 4 0.15 0.31 0 2
O
No.7 S 1.55
O
No.8 S 3 0
O
No.9 S 1.55
O

여기에서 Eq. (1)은 긴장도 σr 은 스틸밴드의 초기 긴장력 이 부착부분의 콘크리트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간주한 경우의 평균 긴장도 σr 를 나타내었다. Fig. 1에는 긴 장도 σr 을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1)
σ r = E s s 0 2 a s n s bL

Es 는 스틸밴드의 탄성계수, εs0는 스틸밴드의 초기 긴장 력 (스트레인게이지), as는 스틸밴드의 단면적, ns 는 보강재 수, b는 부재 폭, L 은 부착 길이이다. Table 2는 스틸밴드의 역학적 성질을 나타냈다. 스틸밴드의 프리스트레스를 재료 인장강도의 최대 40% (40%= 2450μ, 최대강도시의 변형률 고려)로 하였으며, 보강재의 긴장력 측정은 스틸밴드에 부착 한 스트레인 게이지 값으로 측정하였다. ±10% 허용 오차범 위 내에서 긴장력을 도입하였다. Table 3은 사용된 철근의 역학적 성질을 나타냈다.

Table 2.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band

Name Thickness width (mm2) Tensile Strength (MPa) Elongation (%)
Steel band 1.0×25 206 2 Over
Table 3.

Mechanical properties of re-bar

Bar size Cross-sectional area (mm2) Yield strength (MPa) Tensile Strength (MPa)
D13(SD500) 127 855 924
D10(SD500) 71 849 895
4Φ 13 501 549

3.2. 실험방법

실험체의 가력방법은 Fig. 3과 같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0kN 용량의 엑츄레이터를 사용하여 단순인발 방식 으로 0.5mm/sec씩 변위제어 방식으로 자유단 최대변위가 6mm가 될 때까지 진행하였으며, S방향으로 실험 후 실험체 를 다시 설치하여 O방향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 3.

Loading apparatus

JKSMI-18-41_F3.jpg

실험체의 가력방법은 Fig. 3과 같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0kN 용량의 엑츄레이터를 사용하여 단순인발 방식 으로 0.5mm/sec씩 변위제어 방식으로 자유단 최대변위가 6mm가 될 때까지 진행하였으며, S방향으로 실험 후 실험체 를 다시 설치하여 O방향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변위의 증가에 따라 실험체에 발생되는 균열은 실시간으 로 실험체에 표시하였으며, 사진으로 기록을 남겼다. Fig. 4 와 같이 실험체를 설치하였다.

Fig 4.

Splitting bond Failure Mode

JKSMI-18-41_F4.jpg

4. 실험 결과

4.1. 균열상황 및 최종파괴

Fig. 4에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쪼갬파괴 (Splitting Failure) 모드를 일반화 시켜 나타냈다. 부착파괴 양상을 총 3가지 양 상으로 나누어 나타냈으며 본 실험체에 발생된 파괴양상은 같은 메카니즘을 보였다.

Fig. 5에 S방향으로 인발한 실험체의 최종파괴 양상을 나 타낸 바와 같이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력 상실 이후 철근 리브에 의한 콘크리트의 지압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초과하여 리브마디 간격으로 미세한 사균열이 발생 한 시점의 부착응력을 부착강도라 정의하며 철근과 콘크리 트간의 부착파괴상황을 상세검토를 위하여 Photo 3과 같이 부착구간 내부를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부착실험구간을 파단 시켜 검토하였다.

Fig 5.

Final Crack (S Direction

JKSMI-18-41_F5.jpg
Photo 3

Internal cross-section final crack

JKSMI-18-41_P3.jpg

모든 실험체의 부착구간의 콘크리트 표면은 매끄러운 표 면으로 나타났으며, 철근의 리브 표면에는 콘크리트가 붙어 있는 양상을 보였다. 이것으로부터 철근과 콘크리간의 부착 파괴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 실험 구간에 홈을 만든 표면에서는 Fig. 5의 전체 쪼갬파괴 양상과 같은 형태 를 나타냈다. 그리고, 도입된 긴장도가 클수록 균열의 수와 폭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4.2. 주근군과 주근의 위치에 따른 부착강도

본 실험에서 계산한 부착강도 식은 다음과 같다.

(2)
T bu = P max n L
(3)
T b = ε a n = 1 4 ε n P max

Eq. (2)에서 τbu 는 주군의 부착강도, P max는 로드셀의 최 대하중, n 은 주근의 수, φ는 주근의 둘레, L 은 실험구간의 부착 길이며, Eq. (3)에서 τb는 주근의 위치에 따른 부착강 도, n = 1 4 ε n 은 각 주근의 변형 값의 합, εa 는 임의에 위치한 주근의 변형 값, Pmax는 로드셀의 최대하중이다.

4.3. 부착응력도-변위 곡선

Fig. 6은 S방향 실험체에 관한 각 주근의 부착응력 τb와 고정단의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냈다. 여기에서, 각 주근의 부착응력 τb는 Eq. (3)에 의한 계산 값이며 고정단의 변위는 각 주근에 배치한 변위 값이고 ○는 Eq. (2)에 의한 계산 값 으로 주근군의 부착강도 τbu를 나타냈다.

Fig 6.

Bond stress-displacement curve (S Direction)

JKSMI-18-41_F6.jpg

Fig. 6에서 긴장도 σr 를 변수로 한 실험체 No. 1, No. 2와 No. 3은 보강재의 긴장도 σr 가 클수록 각 주근의 부착강도 와 주근군의 부착강도 τbu는 커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긴장도 σr 가 클수록 각 외부에 위치한 주근의 부착강도 τb 가 내부에 위치한 주근의 부착강도 τb 커짐을 알 수 있다.

무 보강된 실험체 No. 1, No. 4, No. 6과 No. 8은 주근의 위치에 따른 부착응력 τb의 차이점은 보이지 않았으며, 주근 군의 부착강도 τbu 는 각 주근의 부착강도 τb와 유사한 양상 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보강된 실험체 No. 2, No. 3, No. 5, No. 7과 No. 9는 내부에 위치한 주근보다 외부에 위치한 철근의 부착강도 τb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주근군 의 부착강도 τbu 는 각 주근의 부착강도 τb와 다른 양상을 나 타내고 있다. 이것은 외부 스틸밴드의 긴장력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근의 수 n을로 한 실험체 No. 1과 No. 4 그리고 실험체 No. 3과 No. 5는 주근의 수가 적은 실험체군의 주근군의 부 착강도 τbu 는 각 주근의 부착강도 τb가 높게 나타났다.

주근의 크기 db를 변수로 한 실험체 No. 5와 No. 9는 주 근의 크기가 작은 실험체 No. 9의 주근군의 부착강도 τbu보 다 15% 높게 나타났다.

4.4. 부착강도 τbu 와 긴장도 σr의 관계

Fig. 7은 주근군의 부착강도 τbu와 긴장도 의 관계를 나 타냈다. 긴장도 σr이 클수록 주근군의 부착강도 τbu는 높아 지는 경향이 보였다. 주근의 수가 적고, 주근의 크기가 작을 수록 주근군의 부착강도 τbu는 높아졌다. 이것으로부터 부착 강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부합하는 실험결과를 얻었다고 판단된다.

Fig 7.

Variation of τbu with

JKSMI-18-41_F7.jpg

4.5. 콘크리트 타설 방향에 따른 부착강도 τbu의 관계

Fig. 8은 콘크리트 타설 방향에 따른 주근군의 부착강도 τbu 의 관계를 나타냈다. 콘크리트 타설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인발한 주근군의 부착강도 oτbu 는 콘크리트 타설 방향과 동 일한 방향으로 인발한 주근군의 부착강도 sτbu 보다 약 10% 높은 부착강도 τbu 를 나타냈다.

Fig 8.

Variation of concrete casting direction

JKSMI-18-41_F8.jpg

4.6. 주근의 위치에 따른 부착강도

Fig. 9는 주근군의 위치에 따른 각 주근의 부착강도 τb를 비교하여 나타냈다. 여기에서 Tmax.c는 실험체 단면 외부에 위치한 2개의 철근에서의 최대부착강도를 나타냈으며, Tmax.i 는 실험체 내부에 위치한 철근 중의 최대 부착강도를 의미한 다. 무 보강된 실험체 No. 1, No. 4, No. 6과 No. 8은 주근 의 위치에 따른 부착강도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보강 된 실험체의 경우는 외부에 위치한 주근의 부착강도 Tmax.c 가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Fig 9.

Variation of re-bar location

JKSMI-18-41_F9.jpg

Fig. 9로부터, 스틸밴드의 긴장력으로 외부에 위치한 주근 에 더 많은 구속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규준식 및 제안식 검토

5.1. ACI 408 제안식 (콘크리트강도 고려)

(4)
$\mu$ = 20.23 f ck d b

Eq. (4)에서, μ는 철근의 부착응력이고, db는 철근의 직경 이고, fck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이다.

Fig. 10에 긴장도 σr에 따른 주근군의 실험값과 ACI 408 Eq. (4) 값과의 비를 나타냈다. 콘크리트 강도만을 고려한 ACI 408 Eq. (4)과의 검토에서 실험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 다. 이것은 실험값에 영향을 끼치는 횡 보강근과 긴장도 σr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Fig 10.

Variation of Exp..τbu /Cal..τbu with (ACI 408 equation)

JKSMI-18-41_F10.jpg

5.2. Fuji 제안식 (콘크리트강도 및 횡보강근 고려)

(5)
T bu = T co + T st = 1.22 0.307 b i + 0.427 + 24.9 p w b n d b σ B

Eq. (5)에서, σB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db는 철근의 직경, pw는 횡 보강근 비, b는 부재 폭, n은 주근의 수, τco는 콘 크리트에 관한 영향을 τst는 횡 보강근의 영향을 고려한 식 을 의미한다. Fig. 11은 긴장도σr 에 따른 주근군의 실험 값 과 Fuji Eq. (5) 값과의 비를 나타냈다.

Fig 11.

Variation of Exp.τbu /Cal.τbu with (Fuji equation)

JKSMI-18-41_F11.jpg

콘크리트 강도와 횡 보강근을 고려한 Fuji Eq. (5)과의 검 토에서 실험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철 밴드에 의 한 긴장도 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5.3. Matsuno제안식 (콘크리트 강도, 횡보강근과 긴장도를 고려)

(6)
T bu = 0.086 b i σ B + 0.11 σ B + k st + $\alpha$ σ r

Eq. (6)에서, 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는 횡 보강근을 고려, α 는 긴장도 σr의 효과를 표기한 계수를 의미한다. 그 리고 Fig. 12에는 Eq. (6)은 철근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지만 각 주근의 부착강도 τb실험결과와 계산 값을 비교하여 나타 냈다. 긴장도 σr가 커질수록 실험값이 커지는 양상을 나타났 다. 하지만, Fig. 12(b)에서는 비부착 실험결과에서 나타 날 수 있는 실험값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으로부 터 본 실험의 결과와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

Fig 12.

Variation of Exp.τbu /Cal.τbu with (Watanabe equation)

JKSMI-18-41_F12.jpg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외부 스틸밴드로 보강된 부착실험체를 제 작하여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에 관한 실험결과 및 제안식에 관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서술하였으며, 차후 스틸 밴드로 외부보강된 RC 부재에 관한 명확한 부착강도식 제안 을 위하여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 긴장도가 클수록 주근군의 부착강도는 높아지는 경향 을 보였으며, 주근이 4개인 실험체군이 3개인 실험체 군 보다 낮은 부착강도를 나타냈다.

  2. 콘크리트 타설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인발한 부착강도 는 콘크리트 타설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발한 부착 강도보다 약 10%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냈다.

  3. 무 보강된 실험체는 주근의 위치에 따른 부착강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보강된 실험체는 내부에 위 치한 주근보다 모서리에 위치한 주근의 부착강도가 높 은 경향을 보였다. 이것으로부터, 스틸밴드의 긴장력으 로 인한 모서리에 위치한 주근이 더 많은 구속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4. 무 보강된 실험체는 주근의 위치에 따른 부착강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보강된 실험체는 내부에 위 치한 주근보다 모서리에 위치한 주근의 부착강도가 높 은 경향을 보였다. 이것으로부터, 스틸밴드의 긴장력으 로 인한 모서리에 위치한 주근이 더 많은 구속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본 연구는 중소기업청에서 지원하는 2013년도 산 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No. 과제번호 C01247910100402315) 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2002),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318-02) and commentary (318R-02), 443
2 
(1983), SPLITTING BOND CAPACITIES OF DEFORMED BARS, Part 2 A proposed ultimate strength equation for splitting bond failure, Transaction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324, 45-53.
3 
(2005),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xternal Confinemen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by Hollow Structural Section Collars, ACI Structural Journal, 102(2), 242-251.
4 
(199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and the Ductility of Concentric Loaded High-Strength R.C Column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 289-294.
5 
(2001), BOND SPLITTING STRENGTH OF RC MEMBERS CONFINED WITH FRP SHEETS, Part 1 Proposal of bond strength equ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548, 95-100.
6 
(199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eismic retrofit technique for RC columns confined with PC bar prestressing as external hoops,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526, 14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