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인 석
(In-Seok Yoon)
1)*
남진 원
(Jin-Won Nam)
2)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전기저항, 염소이온, 내구성, 미세구조 특성
Key words
Electirical resistivity, Chloride ions, Durability, Micro-structure properties
1. 서 론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은 전도성의 역함수로서 공극내 이온 의 확산성과 유관된다 (Schießl and Breit, 1995; AASHTO Designation TP 95, 2011). 특히 전기저항은 Tuutti (1982) 가 제안한 내구수명의 2단계, 즉 철근부식 전후로 구분하여 콘크리트의 미세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잠복기 뿐만 아니 라 철근부식 진전기의 내구성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Buenfeld, 1986; Yoon, 2013; Romer, 2008; ; Simon 2012). 전기저항은 구조물에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는 비파괴 평가 기술로서, 측정비용의 절감, 실험시간 절약, 측정 실시간내 데이터 확인, 측정방법의
초간편성 등의 많은 장점을 갖는다 (Gjørv, 2009; Frederiksen et al., 1997; Liu et al., 2010).
그러나, 전기저항 측정은 데이터의 간섭효과를 유발하는 인자들이 많은데, 온도와 습도를 제외하고 콘크리트의 환경 적 영향요인 중 대표적인 영향인자로
탄산화와 염소함량을 논할 수 있다 (Yoon, 2013). 콘크리트의 탄산화가 진행되면, 시멘트 경화체내 전하량 이동의 주된 통로인 OH- 농도 및 미세구조가 변화되어 전도성이 약화되고 궁극적으로 전기저
항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Yoon, 2014). 또한, 콘크리 트내에 함유된 염소이온량도 전기저항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데 (Goni and Andrade, 1990),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전 기자장은 공극수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염소이온량에 의 존되므로 (Millard, 1991; 1992) 다양한 염소량이 함유된 콘 크리트에 대한 전기저항 데이터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 추 이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용액에서 전기전도성은 전자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전하의 이동 즉, 원자의 흐름 에 의존된다. 전해질 용액의 저항은
농도에 크게 의존하는데, 증류수는 대체로 절연체인 반면, 염수는 높은 전도체로 간주 된다 (Atkins and De Paulam, 2006). 그래서, 염소이온을 함 유한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은 낮은 수치를 갖는데, 높은 염소 농도는 수분량보다도 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 로
보고된 바 있다 (Saleem et al., 1996).
본 논문의 목적은 콘크리트내 존재하는 염소이온량에 따 른 전기저항 변화의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물-시멘트비가 다른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염소이온량을
다양하게 혼입한 후, 시간경과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기초로, 염소이온 함유량에 대한 영향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과 탄산화된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의 해석방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실험방법
2.1. 시험편의 제작 및 노출조건
Table 1과 같이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여, 물-시멘 트비 0.45, 0.50, 0.55의 수준에서 콘크리트를 배합하였다. 염소이온이 혼입된 콘크리트
시험편을 제조하기 위하여, 시 멘트 중량대비 0%, 0.5%, 1.0%, 1.5%, 2.0%까지 4단계로 변화시켜 염소이온을 배합수와 혼입하였는데,
이때 사용한 염화물의 종류는 염화나트륨이다. 완성된 시험편은 100 × 100 × 200 mm 크기이다. 시험편은 전기저항 측정 직전까지 초기 시험편
제작때 염화나트륨을 혼입한 배합수 농도와 동 일한 조건의 염수에 침지되었다.
Table 1.
Mixing proportion of concrete
Air (%)
|
Slump (cm)
|
W/C
|
Unit weight (kg/m3)
|
Water
|
Cement
|
Sand
|
Gravel
|
4.5 0.5
|
15 1
|
0.45
|
185
|
411
|
706
|
1001
|
4.5 0.5
|
15 1
|
0.50
|
185
|
370
|
720
|
1021
|
4.5 0.5
|
15 1
|
0.55
|
185
|
336
|
732
|
1038
|
2.2. 콘크리트의 전기저항
전기저항의 측정전, 수조에서 침지된 시험편 표면의 수분 은 제거하였으며, 기중 양생된 시험편은 표면의 수분을 살포 하고 수분 경과후 측정하였다. 동일배합
콘크리트에서 4회의 실험치를 획득하였다.
각 재령마다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의 측정을 위하여 Fig. 1 과 같이 Wenner 방식의 4전극 실험장비가 이용되었다. 콘크 리트의 전기저항은 인가된 전류 (I)와 반비례하는데, 전위차 (V)가 내부 안 전극에서 측정되며 오옴의 법칙에 의하여 겉 보기 전기저항이 다음 식에 의하여 측정된다.
Fig 1.
Measurement of electrical resistivity in concrete
여기서, ρ : 콘크리트의 전기저항
α : 전극사이 간격이다.
측정방법은 측정전 전극에 물을 접촉한 후, 전극을 콘크리 트 표면에 접지시켰다. 전기저항값은 시험편의 크기 및 형상 에 따라서 바뀔 수 있는데 Table
2는 염소이온 침투율에 준 한 전기저항의 기준치를 제시한 것이다.
Table 2.
Chloride ions penetrability (AASHTO TP 95)
Chloride ion penetrability
|
100mm ×200mm Cylinder (KΩ·cm)
|
150mm ×300mm Cylinder (KΩ·cm)
|
High
|
< 12
|
< 9.5
|
Moderate
|
12 ~ 21
|
9.5 ~ 16.5
|
Low
|
21 ~ 37
|
16.5 ~ 29
|
Very low
|
37 ~ 254
|
29 ~ 199
|
Negligible
|
> 254
|
>199
|
3. 결과 및 고찰
3.1.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의 전기저항
Fig. 2 ~ Fig. 4는 물-시멘트비 조건에 따라 염소이온 혼입 량에 따른 전기저항값의 추이를 보인 것이다. 시간이 경과됨 에 따라 콘크리트의 수화도가 진행됨에 따라 수화물의
생성 및 공극구조의 발현으로 전기저항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재령초기에는 전기저항치가 낮게 나타났으며, 물-시멘트비에 따른 차이도 크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되면서 콘크리 트의 미세구조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전기저항은 상승하는 추이를 분명히 보였다. 또한, 염소이온 혼입량에 따라서도 뚜
렷한 추이를 보였는데, 염소이온 혼입량이 높을수록 전기저항 이 작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RESI 비저항 측정 기준에 의하면 12 KΩ·cm 이상,
Broomfield (1997)는 20 KΩ·cm 이상이면 철근부식에 대한 우려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제안하 였는데, 두 제안치의 공통 제안치는 12 KΩ·cm 으로서 염 소이온
2.0%가 함유된 물-시멘트비 0.55인 콘크리트를 제외 하고 전 콘크리트가 이 수치를 초과하였다.3
Fig 2.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with W/C 0.45
Fig 4.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with W/C 0.55
Fig 3.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with W/C 0.50
동일배합 콘크리트에서 4회의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여 평 균값을 산정하여 염소이온이 함유되지 않은 콘크리트의 전 기저항 대비 전기저항 비율을 보인 것이
Fig. 5 ~ Fig. 7이 다. Presuel-Moreno (2010)에 의하면 시멘트 중량대비 2%의 염소이온량을 함유한 콘크리트는 전기저항이 50~6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또한, 염소이온량이 전기저
항에 대한 영향은 다른 요인들과 비교할 때 비교적 높지 않 으나, 염수의 건습작용에 의하여 높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의 염소이온량이 무혼입 콘크리트 대비 65 ~ 71% 수준에서 측정되었으며 물-시멘트 비에 따른 추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Fig 5.
Electrical resistivity ratio of concrete with W/C 0.45
Fig 7.
Electrical resistivity ratio of concrete with W/C 0.55
3.2. 시간 대비 염소이온량의 영향
Fig. 5 ~ Fig. 7과 같이 염소이온량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 화를 관찰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특별한 추이를 도 출하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시간 대비 염소이온량이
미치는 경시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염소이온이 혼입되지 않은 콘 크리트를 기준으로 염소혼입에 따른 전기저항 비율을 시간 별 선형 회귀분석하여 결정계수값의
변화추이를 보인 것이 Fig. 8이다. 추세의 정확도가 높지는 않으나 염소혼입량과 전기저항 비율의 상관성이 결정계수 0.70을 상회하여 염소이 온이 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콘크리 트 재령 초기에는 결정계수가 다소 낮았으나 재령이 경과하 면서 증가하되, 물-시멘트비 구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 았다. 재령초기에는
콘크리트의 수화가 잘 진행되지 않은 상 태에서 염소이온 함량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가 다소 불규 칙적인데서 발생한 혼동상태 때문에 결정계수가 낮게
나타 난 것으로 생각된다6.
Fig 8.
Correlation coefficient in linear regression deriving from resistivity ratio vs. chloride
content
Fig 6.
Electrical resistivity ratio of concrete with W/C 0.50
Fig. 9는 염소이온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를 기준으로 한 전기저항 비율과 염소혼입량과의 시간별 선형 회귀분석 식의 기울기를 보인 것이다. 재령초기에서 선형
회귀분석식 의 기울기가 낮으나, 50일 내외의 재령이 경과하면서 특별한 변화없이 일정한 추이를 보였다. 즉, 염소 혼입량에 따른 전 기저항의 감소는
재령 50일까지 다소 낮지만 지속적으로 상 승하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재령에서는 추이없이 높은 기울 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재령초기 에서 염소함량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추이가 경미하지만 50일 이상의 장기재령에서 염소함량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 화는 뚜렷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대한 영향요인은 두가지를 생각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염소이온의 흡착이다. 염소이온 의 흡착에 큰 영향을 미치는 C-S-H와 칼슘 알루니노 모노설
페이트의 생성이다 (Yoon, 2015). 재령초기에 수화물의 생 성량이 작아서 염소이온의 흡착이 활발하지 않으며, 선혼입 된 수용성 염소이온 농도차는 염소이온의 흡착이 활발해지 는 장기
재령에서 더욱 뚜렷할 것으로 생각된다. 염소이온이 혼입된 수용성 용액에서 전기저항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 졌으므로 초기재령에서 염소농도차에 따른 변화율이
적은 본 그림과는 다소 다른 결과이다. 두번째 영향요인은 염소이 온의 혼입에 따른 시멘트 경화체의 미세구조의 변화이다. 일 반적으로, 염화나트륨의
혼입은 콘크리트의 세공용액의 pH를 높히고 알칼리 성분이 증가하면서 시멘트 경화체내 C-S-H 조직이 불균질하게 된다 (Dehwah et al., 2002). 결과적으로 모세관공극이 남아 있어, 큰 공극의 비율이 증가되어 전기저 항값이 낮아지는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첫번째 요인인 염소이온의 흡착과
두번째 요인은 미세구조가 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는데, Fig. 9의 초기에 염소농도에 따 른 기울기가 낮았다가 높아지는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해보 면 시멘트 경화체의 미세구조가 염소이온의 흡착보다 전기 저항에 더
큰 영향요인으로 추정된다.
Fig 9.
Gradient in linear regression deriving from resistivity ratio vs. chloride content
3.3 염소이온량이 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
Fig. 10은 염소이온 종류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율을 보 인 것으로 물-시멘트비에 따른 추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다 만, 염소이온이 증가함에 따른 전기저항
비율의 변화가 다소 감소 추이를 보였다.
Fig 10.
Chloride content vs. resistivity of concrete
각 염소이온 함량별 평균치를 구하여 이를 전기저항의 변 화율과 관계성을 보인 것이 Fig. 11이다. 결정계수 0.97의 높 은 수준으로서 물-시멘트비에 따라 콘크리트내 염소이온 함 량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를 대략적이지만 결정적으로 추 정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Fig 11.
Effect of chloride content on resistivity of concrete
여기서,
ρCl : 염소이온이 내재된 콘크리트의 전기저항
ρwat : 염소이온이 없는 콘크리트의 전기저항
CCl : 콘크리트중의 염소이온 (시멘트 중량대비 %)이다.
4. 결 론
-
콘크리트의 전기저항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지속적 으로 상승하였는데 염소이온 2.0 %가 함유된 물-시멘 트비 0.55인 콘크리트를 제외하고 전 콘크리트가
12 KΩ·cm 이상의 전기저항값을 보였다.
-
염소이온이 함유되지 않은 콘크리트 대비 전기저항 비 율을 관찰한 결과, 2%의 염소이온량인 콘크리트가 무 혼입 콘크리트 대비 65 ~ 71% 수준의
전기저항값을 가졌다.
-
염소이온이 혼입되지 않은 콘크리트를 기준으로 염소 혼입과 전기저항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염소혼입 량과 전기저항 비율의 상관성이 결정계수 0.70을
상회 하여 염소이온이 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한 것 으로 나타났다.
-
재령초기에 염소 혼입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율은 낮 으나, 장기재령일수록 특별한 변화없이 다소 안정적인 추이를 보였다. 이러한 영향요인은 염소이온의
흡착과 미세구조 발현을 들 수 있는데, 시멘트 경화체의 미세 구조가 염소이온의 흡착보다 전기저항에 더 큰 영향요 인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과제로 수행 된 결과로서 이에 감사드립니다 (과제번호 2013R1A1A2060227).
REFERENCES
(2011), Standard Method of Test for Surface Resistivity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2006), Physical Chemistry
(1997), Steel Corrosion in Concrete
(1986), The Resistivity of Mortar Immersed in Sea Water,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6
(2002), Effect of Cement Alkalinity on Pore Solution Chemistry and Chloride Induced
Reinforcement Corrosion, ACI Materials Journal, 99(3)
(1997), The Effect of the W/C Ratio on Chloride Transport into Concrete: Immersion,
Migration, and Resistivity Tests, HETEK Report No.54. Danish Road Directorate
(2009), Durability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in Severe Environments
(1990), Synthetic Concrete Pore Solution Chemistry and Rebar Corrosion Rate in the
Presence of Chlorid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
(1985), Corrosion and Electrical Impedance in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5
(2010), Characterization of New and Old Concrete Structures Using Surface Resistivity
Measurements, Final Report
(1991), Reinforced Concrete Resistivity Measurement Techniques, Proceedings of Civil
Engineers. Part 2, 91
(1992), Resistivity Assessment of In-Situ Concrete: the Influence of Conductivity
and Resistivity Layers, Proceedings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nd Building,
94
(2010), Final Report: Characterization of New and Old Concrete Structures Using Surface
Resistivity Measurements,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search Center
(2008), Recommendation of RILEM TC 189-NEC,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the Concrete
Cover: Comparative Test - Part I - Comparative Test of Penetrability Methods, Materials
and Structures, 38(284)
(1996), Effect of Moisture, Chloride, and Sulphate Contamination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Portland Cement Concrete, Construction Building and Materials, 16(3)
(2012),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Concrete Structures
(1982),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2013), Influence of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on Electrical Resistiv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6)
(2014), Influence of Carbonation of Concrete on Electrical Resistiv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8(5)
(2015), Theoretical Analysis for Adsorption Rate & Adsorption Behaviour of Chloride
Ions with Cement Hydrates,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