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계측관리기준, 모니터링 데이터, 통계적 접근방법, 재설정
Measurement control criteria, Monitoring data, Statistical approach, Reset

1. 서 론

시설물의 효과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시설물별로 계측 데 이터의 안전관리기준을 설정하고 시설물에서 계측되는 데이 터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분석하고 있다 (FIB, 2003; FWHA, 2003; Mufti, 2001). Joo et al. (2008)은 국내의 상시계측시 스템을 이용하여 유지관리 중인 교량들의 계측데이터 관리 기준이 다음 4가지 방법으로 설정됨을 정리하였다; (a) 구조 계산서 등의 설계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b) 실험을 통한 측 정값을 이용하는 방법, (c) 구조해석 결과값을 이용하는 방 법, 그리고 (d) 설계기준의 허용값을 이용하는 방법.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교량별, 계측항목별로 상시 유지관리를 위 한 기준치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일정 수준의 관리기준치 설 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계측 데이터의 합리적인 관리기준 설정을 위해 Cho et al. (2005)은 케이블 장력 데 이터의 누적 분포도를 이용한 신뢰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적합한 신뢰도지수를 선정하여 관리기준을 설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계측관리기준을 설정하고 적용하는 목 적은 시설물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였 을 때 이를 즉시 관리자에게 보고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하거나, 계측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설물의 건전상태를 평 가하고 차후 관리에 대한 사항들을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계측센서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기계적 이상이 발견되는 센서는 즉시 교체하고 영점조정을 통해 지속적으 로 시설물의 거동을 계측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도 계측관리기준을 설정하는 목적의 일부에 포함된다 (ISO 18649, 2004; KS B ISO 14963, 2007).

이러한 계측 데이터의 관리기준은 설계회사 혹은 시공회 사의 전문가가 수행한 구조해석을 통해 설정되거나 통상적 으로 적용되는 경험적 기준값을 준용하여 설정하고, 이를 현 장에서 적용하고 있다. 계측관리기준은 설계법에 따라 차이 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허용응력, 항복응력, 혹은 극한강도의 백분율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계측관 리기준은 센서 종류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센서의 위치까 지 고려한 구조해석을 통해 설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MOLIT, 2011).

건설교통부에서 표준안으로 제시한 “건설공사 및 유지관 리 계측표준시방서(안)” (MOCT, 2008)에 의한 계측관리기 준 결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실내실험, 이론 및 수치해석, 초기 시공실적 및 유사조건 을 갖는 계측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결정 하며, 설계·시공에 포함되는 많은 가정조건과 주변 환 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관리하기 쉽도록 여러 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함.

  • 방법[1] - 재료성질에 의한 방법으로 구조계산서를 참고 하여 결정함.

  • 방법[2] - 계측기간 중 계측값의 변화 (일일, 주간, 월간 의 절대량 및 변화속도) 등을 참고하여 지속성 또는 급 변성에 대해 각각 결정함.

그러나 실제 시설물에 적용하는 관리기준은 그 설정의 근 거가 대부분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단 일 수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관에서 관리 하는 토목시설물들 중 고가교량에 적용하고 있는 관리기준 은 Table 1과 같은 단일 기준으로 제시되어 있다.

Table 1.

Sample of control criteria for a bridge (IIAC, 2000)

Structure Sensor Safety Control Criteria
Girder Load 300~500 ton
Strain ±290 µradian
Acceleration ±112.0 gal
Deflection ±17 mm
Temperature -30 ~ +50°C
Joint displacement ±65 mm
Pier Tilt ± 3200 µradian

“건설공사 및 유지관리계측표준시방서(안)” (MOCT 2008) 에서는 관리수준에 따른 대응방안을 구분하여 Table 2와 같 이 4단계로 제시하고 있으며, 관리주체에 따라 상황별 다단 계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데이터 계측값에 따라 관리수 준의 한계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Table 1에 제시 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단일 수준의 계측관 리기준도 그 근거가 명확하지 않거나 적용에 대한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Table 2와 같이 다단계의 관리수준 에 따른 계측관리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관리주 체의 입장에서 적용할 수는 있지만 실제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Table 2.

Classification of control level (MOCT, 2008)

Control level Action
Normal usual construction or operation
Care reinforcing visual observation; increasing measurement frequency; investigating surroundings; reviewing alternative processes; improving control criteria
Alert interrupting construction or oper ation; reinforcing visual observation; increasing measurement frequency; emergency measures; reviewing alternative processes
Evacuation stopping construction or operation; prohibiting evacuation pass; tight security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유지관리 초기에 시설물에 대한 구조해석 혹은 경험적 자료를 통해 설정되는 계측관리기준 의 타당성을 실 모니터링 계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하고, 현장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측관리기준을 보정 및 재설정하 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계측관리기준의 재설정을 위해 계측 데이터에 통계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계측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제거하지 않은 원데이터를 그대로 적용하여 계측관리기준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관리수준의 설정은 궁극적으로 관 리주체가 결정할 사안이므로, 관리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관 리기준 재설정을 위한 모니터링 데이터 한계치를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2. 현장 계측결과 분석 및 보정

2.1. 계측 데이터의 처리 및 보완

현장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는 센서가 작동을 하는 경우에 도 Table 3과 같이 일반적으로 운영상의 문제 등으로 계측 데이터가 손실된 기간이 포함된 형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경 우에 따라 특별한 이벤트가 있었거나 센서의 오작동으로 이 상치가 포함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는 통계적 처리를 통해 이상치를 제거한 후 삭제된 부분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Kim and Shin, 2010).

Table 3.

Sample of data processing and recovery

raw data JKSMI-18-105_T3-F1.jpg
elimination of outlier data JKSMI-18-105_T3-F2.jpg
recovered data JKSMI-18-105_T3-F3.jpg

본 연구에서는 이상치를 제거한 후 손실된 부분의 데이터 를 복원하기 위해 ARX모델을 적용하였으며, ARX모델 적 용을 위해 Table 3과 같이 이상치를 제거한 데이터와 온도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여 데이터를 복원하였다. 그 결과를 Table 3에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온도의 경우에도 Table 3과 같은 손실된 데이터와 이상치가 존재하지만 자체 적용을 통 해 온도 데이터를 복원한 후 입력값으로 적용하였다.

손실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ARX모델은 자기회귀 모 델의 하나로 다음의 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Shin et al., 2009).

(1)
A q y i t = B q x j t + v i t i = 1 , 2 , 3 , ..., m ; j = 1 , 2 , 3 , ..., p

식 (1)은 p개의 입력데이터(x)와 m개의 출력데이터(y)로 이루어진 MISO 모델이다. 식 (1)에서 입력신호의 성분은 출 력신호 이전의 시간에 대한 성분들의 조합으로 표현되어 있 다. 후진연산자를 사용하여 각각의 신호데이터에 곱해지는 계수항들은 식 (2)와 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A q = 1 + a 1 q - 1 + a 2 q - 2 + ... + a n a q - n a B q = 1 + b 1 q - n k + b 2 q - n k + 1 + ... + b n b q - n k + n b + 1
(3)
y i t + a 1 y i t - 1 + a 2 y i t - 2 + ... + a n a y i t - n a = b 1 x j t - n k + b 2 x j t - n k - 1 + ... + b n b x j t - n k - n b + 1 + v i t

식 (3)의 좌변은 순수하게 Auto Regressive Output만으로 이루어져, 현 단계의 Output y(t)에서부터 nα단계 이전 Output yi(t-nα)까지의 선형조합이다. 우변은 현 단계보다 nk 만큼의 시간차를 갖는 Input xj(t-nk)에서 단계 이전 Input xj(t-nk-nb+1) 까지의 선형조합과 white noise vi(t)의 합으로 구성된다. 이 때 nα는 회귀차수이며, nb는 외인성차수이다 (Kim et al., 2005).

Fig. 1은 Table 3에서 손실데이터 부분이 복원된 조인트변 위데이터와 복원에 사용된 온도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그린 것으로 이 경우 상관계수가 0.99로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Table 3의 데이터들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이미 조인트변위계의 거동이 크게 영향을 받음 을 알 수 있다.

Fig 1.

Correlation of temperature and recovered joint displacements

JKSMI-18-105_F1.jpg

2.2. 기설정된 계측관리기준의 검토

계측 데이터는 4년간 계측한 값의 10분단위 평균값을 대 푯값으로 하는 데이터로 온도의 영향을 제거하지 않고 ARX 모델에 의해 손실된 부분을 복원하였다. Fig. 2는 조인트변 위계 데이터를 빈도별 막대분포로 나타내고 이를 Table 1에 제시되어 있는 기설정된 계측관리기준치와 비교하였다. Fig. 2에서 조인트변위계 데이터에 대해 수직 점선으로 표현한 기설정된 계측관리기준은 어느 정도 적절하게 설정된 것으 로 보이지만, Table 2에 정리한 안전관리수준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설정된 것인지는 판단이 애매한 상황이다.

Fig 2.

Distribution of joint displacements and control criteria

JKSMI-18-105_F2.jpg

이와 같은 모호한 현상은 다른 종류의 센서에서 계측된 데 이터의 막대분포를 각각의 계측관리기준치와 비교한 Fig. 3 의 그림들에서 더 확연하게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의 처짐에 대한 계측관리기준과 계측된 처짐 데이터의 분포를 비교한 그림에서 보면, 설정된 계측관리기준은 실제 발생하는 4년간의 처짐분포에 비해 지나치게 과도하게 설정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의 하중에 대한 계측관리 기준치를 분포도와 비교한 그림에서도 설계에 의한 하중과 구조물의 프리스트레스트 텐던에 실제 작용하고 있는 하중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 경우 에는 구조해석에 의한 구조적 안전성 재검토 및 계측관리기 준의 재설정도 고려되어야 할 정도로 계측된 텐던 장력이 최 소 관리기준치에 걸쳐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Fig. 3의 변형률분포에서는 계측관리기준치 자체가 불합리하게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10분 단위로 계측된 동적변형률의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분포도를 그린 것과 계 측관리기준을 비교한 것이기 때문에 최대값에 대한 비교결 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관리기준을 설정할 때 이러한 부분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한 그림 자체만으로도 구조안전성 재검토 및 계측관리기준의 재설정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

Recovered data, comparison with control criteria, and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for each sensor

JKSMI-18-105_F3.jpg

Fig. 3의 센서별 복원된 데이터는 전반적으로 온도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온도와의 상관관계를 그 린 그림을 보면 센서의 종류에 따라 온도와의 상관관계가 좋 은 것도 있지만, 하중계와 같이 온도와의 상관관계가 다른 센서들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낮은 경우도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하중계의 경우는 오히려 복원된 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간에 따른 하중의 변화가 온도의 영향 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변형률의 경우는 온도의 영향이 클 것 으로 판단되지만 2011년 하반기에 어떤 이벤트가 발생한 후 1년간 변형률값이 상대적으로 크게 계측되었으며, 그 값들이 분포도에서 최대 계측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값들로 존재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조안전성 재 평가 및 계측관리기준의 재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3에서는 센서별 계측 데이터를 분석한 대푯값들의 분 포형태와 계측관리기준을 비교하였지만, Fig. 4와 Fig. 5에서 는 여러 개의 하중계와 변형률계의 계측 데이터에 대한 분포 도와 관리기준치를 전체적으로 비교하였다. Fig. 3과 같이 처짐은 관리기준이 과다하였고, 조인트변위는 적정하게 관리 기준이 설정되었기 때문에 비교를 생략하였다.

Fig 4.

Distribution of tendon force data and their pre-defined control criteria at each load sensor

JKSMI-18-105_F4.jpg
Fig 5.

Distribution of strain data and their pre-defined control criteria at each strain gage

JKSMI-18-105_F5.jpg

3. 계측관리기준의 재설정

3.1. 계측데이터의 통계분포도

Fig. 3 ~ Fig. 5의 계측데이터 막대분포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계측 센서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계측데이터의 통계 분포도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순하게 계측데이터의 통계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하고 분석을 하였으며, 관리수준에 따른 관 리기준은 정규분포도의 평균값에서 표준편자의 배수만큼 떨 어진 것으로 설정하도록 하였다.

3.2. 센서별 계측관리기준의 재설정

Table 4는 계측데이터에서 구한 정규분포에서 표준편차의 크기에 따른 관리범위와 초과확률을 Table로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초과확률은 정규분포도에서 설정한 상하한 관리기준 의 양쪽 바깥쪽에 있는 면적으로 정의하였다. 즉 정규분포도 에서 상하한 관리기준치 안쪽에 있는 면적을 신뢰도구간으 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주체에서 이를 근거로 Table 2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은 관리수준의 종류를 구분한 후, Table 4의 초과확률을 근거로 구분한 관리목적에 부합하도 록 관리수준에 적합한 관리기준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

Table 4.

Probability of exceedance for the control span

Control span Prob. of exceedance Pe (%)
m ± 2σ 4.5500×10-2
m ± 3σ 2.6998×10-3
m ± 4σ 6.3342×10-5
m ± 5σ 5.7330×10-7

3.3. 계측관리기준 재설정 예제

Fig. 4에서 통계분포도를 확인한 6개의 하중계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측관리기준의 재검토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Table 5에 표현하였다. Table 5의 각 그림들에 계측된 데이터의 최 소 및 최대값을 평균에서부터의 표준편차의 배수로 표시하 였다. 그리고 평균에서부터 3σ, 4σ, 5σ 떨어진 곳에 해당하 는 위치를 각 그림마다 표시하였다. Table 56개 하중데이 터 통계분포도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최소값은 Data 1 에서 구해진 –3.64σ이며, 가장 큰 최대값은 Data 2에서 얻어 진 3.50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계측된 하중 계의 특성에서는 m±3σ의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1차 수준의 관리기준을 m±3σ로 하는 것 이 관리주체가 선택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라 할 수 있다.

Table 5.

Comparison of upper and lower limit through analysis of statistical distribution and probability of exceedance for reset measurement control criteria

Data 1 Data 2
JKSMI-18-105_T5-F1.jpg JKSMI-18-105_T5-F2.jpg
Data 3 Data 4
JKSMI-18-105_T5-F3.jpg JKSMI-18-105_T5-F4.jpg
Data 5 Data 6
JKSMI-18-105_T5-F5.jpg JKSMI-18-105_T5-F6.jpg

Table 5의 각 하중계별 계측된 하중값들을 통계 분석한 것 을 토대로 Table 6에 표준편차 (초과확률)에 따른 상·하한 치를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Table 6의 하중계별 관리기준치 설정을 위한 초과확률별 상하한값에서 6번째 하중계에 대한 하한치들이 음(-)의 값을 보이는 이유는 계측데이터의 통계 분포에서 표준편차의 값이 다른 하중계에 비해 유난히 크기 때문이며, 이는 일반적인 경우 하중계 자체가 계측기능을 제 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한 경우로 분석된다. 그러나 해당 하 중계의 기능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관리주 체가 임의로 최소관리기준치를 양(+)의 하중값 중 최소값으 로 설정하고, 임시적으로 관리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Upper & lower limits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of exceedance (ton)

data measured data (tendon force)
Avg. σ Min. Max. Min. Max. Min. Max. Min. Max.
1 321.5 8.8 289.5 333.0 295.1 348.0 286.3 356.8 277.4 365.7
2 380.9 18.3 344.1 445.0 325.8 435.9 307.5 454.3 289.1 472.6
3 338.4 8.9 307.7 355.9 311.6 365.2 302.7 374.1 293.8 383.0
4 393.8 4.9 380.6 407.0 379.1 408.5 374.2 413.4 369.3 418.3
5 309.9 11.6 272.4 327.5 275.0 344.9 263.4 356.5 251.7 368.1
6 201.2 100.3 27.9 325.2 (-99.7) 502.1 (-200.0) 602.4 (-300.3) 702.7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운영 중인 시설물의 거동을 모니터링한 센 서별 계측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기설정된 계측관리 기준을 재설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그 절차는 Fig. 6 에 제시한 절차도에 따라 수행하도록 하였다.

Fig 6.

Procedure of resetting measurement control criteria

JKSMI-18-105_F6.jpg

Fig. 6에서 제안한 절차에 따라 본 논문에서 ○○기관에 서 다년간에 걸쳐 계측한 데이터에 적용하였으며, 다음과 같 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시설물을 준공하고 운영을 시작하였을 때, 시공사 혹 은 설계사에 의해 제시된 계측관리기준은 시설물에서 계측되는 시설물의 거동계측값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계측값에 의한 계측관리기준 재검토가 필요함

  2. 일반적으로 계측관리기준은 구조해석을 통해 설정되 기 때문에 과도하게 안전한 값으로 제시될 가능성이 높음

  3. 관리주체에서 관리목적에 부합하도록 관리수준에 따 른 계측관리기준을 초과확률에 근거하여 통계적으로 재설정하고 시설물을 관리하는 재조정 작업이 필요함

본 연구에서 계측데이터는 온도의 영향을 배제하지 않은 것을 적용하도록 한정하였다. 그리고 계측관리기준은 시설물 의 사용목적과 관리주체의 관리목적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계측관리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관리주체가 계측관리기준을 선택할 수 있는 근거를 초과확률의 개념으로 제시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공항시설 안전관리 통합계측운영시스템 기획연 구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 연구를 가능케 한 인천국제공항공 사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05), Reliability-based managing criteria for cable tension force in cable-stayed bridg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9(3), 129-138.
2 
(2003), Monitoring and safety evaluation of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3 
(2003), Development of a model health monitoring guide for major bridges
4 
(2000), Comprehensive report for long-term measurement system of elevated roadway construction (A-7 tool)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5 
(2004), Mechanical vibration - Evaluation of measurement results from dynamic tests and investigation on bridges
6 
(2008), Propose standardizing the existing determination method of the management criteria in bridge monitoring system, The Proceeding of KSCE 2008, 3329-3332.
7 
(2010),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nder varying environmental effects, Proceeding of KSCE 2010, 1369-1373.
8 
(2005), Analysis of long-term monitoring results of a cable-stayed bridge using ARX model, Proceeding of KSCE 2005, 928-931.
9 
(2007), Mechanical vibration and shock- Guidelines for dynamic tests and investigations on bridges and viaducts
10 
(2005), Mechanical vibration-Evaluation measurement results from dynamic tests and investigations on bridge
11 
(2008), Standard measurement specification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12 
(2011), Guideline for safety inspection and detailed safety diagnosis
13 
(2001), Guideline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14 
(2009), Local Damage Detection Using Acceleration ARX Model, Journal of KISM, 13(2), 11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