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연구배경 및 목적
기존 공동주택은 대부분 벽식구조로서 평면의 가변성이 부족하고, 벽체에 의해 층간소음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 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그
해결책으로 최근에는 벽체가 없는 라멘조, 무량판 구조 등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라멘조, 무량판 구조는 기존 벽 식구조가 내력벽에
의존했던 내진성능과 동등하거나 그 이 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지진하중은 건축물의 설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하 중으로서, 많은 연구를 통하여 지진에 의해 건축물에 발생하 는 지진피해정도, 동적거동 등이
실험 및 해석적으로 파악 가능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내진설계에 대한 필요성을 보다 명확하게 자각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는
내진설계기준을 채택, 제정하여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내진설계는 기본적으로 지반 가속도 의 크기나 구조물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허 용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진의 규모, 크기에 따 라 지진 발생 후 피해 및 복구비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내진기준 개정을 통해 적용대상구조물의 확대, 공동 주택, 학교시설, 병원 등과 같이, 인명 및 시설 안전에 대한 중요성에 따른 내진등급 상향에
의하여 기존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이 필요하며, 지진 시에도 기능이 온전히 지속되어 야 하는 중요 건축물에 대해서 내진설계 외에 별도의 강화된구조보강
및 내진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회적 요구와 지진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구 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최근 내진설계에 제진구조가 도입 활용되고 있다. 미국 ASCE7-10 (2010)에서는 제진시 스템과 지진 저항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제진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설계절차가 반영되어 있으며, 국내 KBC 위원회에 서도 면진·감쇠구조를
포함한 제진시스템을 구조설계시 반 영할 수 있도록 기준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건축, 토목 구조물과 같이 규모와 질량이 매우 큰 구조물 에 대해 적정 수준 이상의 제진효과와 내진성능개선을 보장 하기 위해서는 제진장치의 크기와
용량 또한 그에 비례해서 커져야한다. 하지만 대부분 제진장치 설치 위치가 매우 협소 한 공간으로 제약되기 때문에 크기 대비 고 효율성을 보유해 야한다.
또한, 지진 규모에 따라 구조물에 발생하는 수 밀리 미터 수준의 응답에서부터 대 변형에 대응하기 위한 제진장 치의 변위 대응 성능, 노화, 반복진동에
의한 피로에 대한 내 구성능, 제약된 설치공간에서의 적용성을 위한 제진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필요하다.
최근 Fig. 1에 나타낸 새로운 3차원 와이어 다공질 형태의 카고메 트러스 이력형 제진장치가 개발되어, 건축물의 내진 성능 개선을 위한 제진장치로서의 적용가능성,
즉 카고메 제 진장치 자체의 전단이력거동, 에너지 흡수능력, 피로에 대한 구조 안전성 등이 재료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여 제진장치로 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Hwang et al., 2013).
Fig. 1.
Configuration of Kagome truss damper
카고메 트러스 구조는 기계, 조선 항공분야에서 경량구조 적용 목적으로 샌드위치패널의 심재에 사용되는 트러스 구 조이다. 2000년대에 미국 프린스턴대
Evans교수를 중심으로 연구가 시작된 새로운 형태의 심재로, 건축, 토목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트러스 구조를 밀리미터 스케일로 축 소하여
규칙적인 셀을 갖도록 제조된 다공질 구조이다 (HNG et al., 2003). 피라미드, 옥테트 타입의 트러스 구조에 비하 여 경량이며, 유사한
휨, 압축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제조상의 문제점이 2000년대 중반 나선형으로 성형된 와 이어를 회전·삽입하여 3차원 카고메 트러스 구조로
직조 후 브레이징에 의해 와이어 교차점을 고정하여 심재를 완성 하는 방식으로 해결되었다 (Hwang et al., 2013).
본 연구는 상기 3차원 와이어 다공질 형태의 카고메 트러 스 이력형 제진장치를 철근콘크리트 (이하, RC) 라멘조 공동 주택에 외부접합 한 새로운
제진구조시스템을 제안과 동시 에 유사동적실험을 실시하여 내진성능 개선효과를 평가 및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방법
Fig. 2에는 카고메 트러스 제진장치 외부접합형 RC 라멘 조 공동주택 제진구조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다. 그림에 의 하면 외부접합형 제진구조시스템은 대상건물,
카고메 제진장 치, 지지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층간에 설치된 제 진장치 시스템과 달리 외부 지지 구조물과 대상 건축물의 상 호작용을 이용하여
제진장치가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형 태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에너지 흡수를 위해서는 지지구조 물의 역학적 특성, 그에 따른 최적화된 제진장치의 용량결정
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카고메 제진장치와 지지구조물의 역학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예비해석연구와 최종적으로 선별된 제진구조시스템에 대한 실험검증연구를
병행하여 수 행한다.
Fig. 2.
An external connection method using Kagome damper
예비해석연구에서는 Fig. 2에 나타낸 대상건축물-제진장치 -지지구조물로 연계된 시스템을 이용하며, 대상 건축물과 지 지구조물은 선형상태를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제진장치의 비
선형 이력거동에 의한 에너지 흡수능력을 고려한 경계비선 형 해석법을 수행하여 지지구조물의 강성을 변화시키면서 에너지흡수능력을 보장하는 최소강성비 (지지구조물
강성/대 상 건축물 1차 모드강성 비율)를 추정한다. 또한 지지 구조 물의 높이 (설치층수)를 변수로 하여 그에 따른 내진성능개 선효과를 시뮬레이션하여
적정 지지 구조물의 높이를 산정 한다. 최종적으로 대상건축물 및 지지 구조물의 실험체 제작, 제진장치 용량 및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게 된다.
한편, 실험연구에서는 예비해석 결과에 근거한 라멘조 공 동주택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에 대한 축소 실험체를 대상 으로 유사동적실험을 실시하여 제진구조시스템
적용 전과 후의 지진응답치, 즉 최대 전단력 및 변위, 시간이력 등을 검 토한다. 또한, 유사동적실험을 실시하기 전 유사동적실험을 위한 지진입력수준,
복원력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카고메 제진장치 보강골조와 비보강 골조의 비선형 이력거동, 에너 지 소산능력을 검토 할 목적으로 반복가력실험도 동시에
실 시한다.
실험을 통하여 구한 제진구조시스템의 적용 전과 후의 내 진거동을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카고메 제진장 치 외부접합형 공법을 이용한 RC 라멘조
공동주택 제진구조 시스템의 내진성능 개선 효과를 평가 및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