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 준
(Young-Jun You)
1)*
박기 태
(Ki-Tae Park)
2)
서동 우
(Dong-Woo Seo)
3)
황지 현
(Ji-Hyun Hwang)
4)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섬유보강 폴리머, GFRP, 보강근, 중공, 인장강도, 탄성계수
Key word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Rebar, Hollow section, Tensile strength, Elastic modulus
1. 서 론
1960년대부터 섬유강화폴리머 (Fiber reinforced polymer, FRP)를 이용하여 보강근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져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구조부재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ACI, 1996). 해외에서는 미국, 캐나다, 유럽 등지에서 FRP 보강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 중 몇 가지는 상용화되어 건설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다 (Photo 1 참조). 국내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2006)에서 Photo 2 와 같이 철근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유리섬유강화폴리머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보강근을 개발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GFRP 보강근은 건설 구조물에 소 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주부재로 적용된 사례는 많지 않 다. 많은 장점을 가졌음에도
GFRP 보강근이 건설 부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한 원인 중 하나로는 철근에 비해 고 가인 점을 들 수 있다.
Photo 1
Pultrall V-Rod, Aslan 100, and Schőck ComBAR (Left to Right) (Johnson, 2009)
GFRP 보강근의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재료나 제작비를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방법과 단가 대비 성능을 향상시키는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GFRP 보강근의 경우 후술할 전단지연 효과에 의해 직경 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소정의 직경 이 상인 경우에 중앙에 위치한 섬유는
보강근의 인장강도에 크 게 기여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중앙의 섬유를 제 거한 중공형 GFRP 보강근을 제작함으로써 섬유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GFRP 보강근의 단가 대비 성능을 효율화 하기 위해서 단면 중앙이 비어있는 중공형 GFRP 보강근의 인장성능 검토를 실시하였다. 직경이
19 mm인 세 개의 원 형 보강근과 네 가지 중공비율에 대해 각각 여섯 개의 인장 시편을 제작하여 인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 로 중공비율에
따른 GFRP 보강근의 인장특성 변화를 분석 하였으며 사용된 섬유량 대비 인장성능을 비교하여 효율적 인 단면 중공비율을 제안하였다.
2. 연구 배경
FRP 보강근의 인장특성은 섬유 함유량, 크기, 재하 그립 (Grip)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모든 조건이 동일하더 라도 철근과 달리 FRP
보강근의 인장강도는 직경에 따라 변 한다 (Bank, 2006). 그립을 통하여 인장력이 가해질 때 보강 근 단면에는 Fig. 1(a))와 같이 보강근의 표면을 통하여 하중 이 전달되게 된다. 철근과 같이 동질재료이면서 강성이 크면 전단변형이 크지 않기 때문에 표면의 변형은 거의
그대로 단 면 중앙에 전달된다. 그러나 복합체의 경우에는 강화섬유와 수지 등 다양한 재료가 혼합된 것이고 강성이 큰 재료 (예: 강화섬유)와 강성이
작은 재료 (예: 수지)로 구성된 경우에는 강화섬유와 수지 사이의 강성의 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단면 중앙으로 갈수록 전단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표면의
응력과 중앙의 응력이 다르게 된다 (Lee et al., 2007).
이와 같은 현상을 전단지연이라 한다. 이러한 전단지연으 로 인해 외측의 섬유들이 내측 섬유들보다 더 큰 응력을 받 게 되어 파괴시점이 중앙보다 빨라지기
때문에 보강근의 직 경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단 지연 현상 때문에 보강근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은 강도감 소와 비효율성을
유발하게 된다 (Rene´e and Yunping, 2003; Zenon and Kypros, 2004). Fig. 2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GFRP 보강근 (Hughes Brothers Inc.)의 인장강도로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2.
Change of tensile strength for diameters
GFRP 보강근의 가격은 철근에 비해 거의 2배 수준이기 때문에 GFRP 보강근의 활용 저해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대량 생산 설비를 통하여
GFRP 보강근을 제작하는 경 우 재료비는 GFRP 보강근의 단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일 것이다. GFRP 보강근이 크게 섬유와 수지로만 구성되는
경우 섬유와 수지의 가격비는 약 2:1 정도이고 수지량은 섬 유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되는 섬유량이 보 강근의 단가를 지배하게 된다.
GFRP 보강근이 소정의 직경 이상을 갖게 되면 전단지연 으로 인해 중앙에 위치한 섬유들은 GFRP 보강근의 인장강 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중앙의 섬유를 일부 제거하여 중공형으로 GFRP 보강근을 제작함으로써 성능 대 비 재료비를 감소된 경제적인 단면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GFRP
보강근을 중공형으로 제작하며 보강근의 중량이 가벼 워지고, 중앙의 빈 공간에는 센서를 삽입함으로써 스마트 GFRP 보강근을 제작할 수 있고, 이 곳에
온수를 흘려보냄으 로써 필요시 구조물에 열기를 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 다. 보강근의 성능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보강비 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보강근 간격, 사용성 설계 등에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3. 중공형 GFRP 보강근의 성능 검토
3.1. 재료
GFRP 보강근은 E등급의 유리섬유 (Owens corning Korea) 와 비닐 에스터 수지 (Aekyung chemical, Ashland Inc.)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사용된 재료의 물성을 Table 1에 나타 내었다.
Table 1.
Material properties of GFRP rebar
Material
|
Nameof goods
|
Tensile strength (MPa)
|
Elastic modulus (MPa)
|
Resin 1
|
HETRON 922
|
86
|
3,170
|
Resin2
|
DION-9100
|
79
|
3,216
|
Core fiber
|
SE1200
|
2,600
|
81,000
|
3.2. GFRP 보강근 제작 방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2006)에서는 Ko et al. (1997) 이 제안한 브레이드트루젼 (Braidtrusion) 공정의 단점 중 하 나인 단면 내 공극 문제를 해결하고자 Fig. 3과 같이 개선된 브레이드트루젼 공정을 제안하였다. 이 공정은 기존의 브레 이드트루젼 공정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강화섬유다발과 돌기 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에 소정의 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섬유 배열 상태 호전과 공극감소를 통하여 인장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공정을 이용하여 GFRP
보강근 시 편을 제작하였다.
Fig. 3.
Modified braidtrusion process
3.3. 중공형 GFRP 보강근 시편 제작
GFRP 보강근 단면 내 중공비율에 따른 인장특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총 5종의 시편을 계획하였다. 먼저 중공관 이 삽입되지 않은 순수 GFRP
보강근을 제작하여 단면 내 중공 비율에 따른 인장특성치의 변화 비교를 위한 기준 시편 으로 설정하였다. 이외의 보강근은 모두 중공관이 삽입된 시 편으로
네 가지의 중공비율을 적용하였다. 시편의 자세한 제 원과 개수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Specimen
|
Diameter(mm)
|
Ratio of hollow section
|
Number of rovings
|
Name
|
Quantity
|
Inner
|
Outer
|
D19HD0
|
3
|
18.58
|
20.87
|
0%
|
217
|
D19HD6
|
6
|
18.63
|
20.97
|
10.4%
|
196
|
D19HD8
|
6
|
18.68
|
20.83
|
18.3%
|
180
|
D19HD10
|
6
|
18.75
|
20.78
|
28.4%
|
159
|
D19HD12
|
6
|
19.03
|
21.12
|
39.7%
|
133
|
전단지연 효과로 인해 중앙부의 섬유가 인장강도에 기여 하는 바가 미소한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큰 직경의 보강근을 제작하여 다양한 중공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갖춰진 설비에서 최대한으로 제 작할 수 있는 직경 19 mm의 GFRP 보강근을 제작하였다.
Table 2의 시편명에서 D19는 GFRP 보강근의 직경을 의 미하며, HD는 GFRP 보강근 내부의 중공관 직경을 의미한 다. 예를 들어 D19HD8는 GFRP
보강근 전체 단면의 직경 이 19 mm이고 외경이 8 mm인 중공관이 삽입된 시편을 의 미한다. Table 2에서 보강근의 내경은 돌기가 없는 부분에 대한 측정치이고 외경은 돌기를 포함한 측정치이다. 따라서 제작된 시편의 평균 돌기 높이는 약 1.1 mm이다.
GFRP 보강근 단면 내 중공을 형성하기 위해서 폴리우레 탄 튜브를 사용하였으며 Photo 3과 같이 섬유와 중공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치구를 이용하여 유리섬유 다발의 중 앙에 튜브가 위치하도록 하였다. 제작이 완료된 중공을 가진 GFRP
보강근의 단면을 Photo 4에 나타내었다.
Photo 3
Insertion of plastic tube
Photo 4
Cross section of test specimens
제작이 완료된 GFRP 보강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에 실린더형 강관을 이용하여 그립을 제작하였다. 강관의 두 께는 7.1 mm, 길이는 1,000
mm이다. 강관의 앞뒤에는 마개 가 있으며 마개 중앙은 천공이 되어 있어 이 곳에 보강근을 삽입하면 보강근은 강관의 중심선에 위치하게 된다. Photo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근의 한 쪽에 대해 먼저 그립을 형 성하였다. 강관과 보강근 사이는 무수축 모르터로 충전하였 고 거치대를 이용하여 보강근의
수직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7 일간 양생을 실시하였다.
3.4. 실험방법
그립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강관의 한 쪽 끝에는 나사선을 두어 이 곳에 너트를 체결하여 시편을 거치함으로써 Photo 6 과 같이 그립의 양 끝을 인장하도록 하였다.
시편을 만능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에 거치한 후 보강근의 변형률 계측을 위하여 전기저항식 변형 률 게이지를
보강근 중앙에 부착하였다. 인장시험은 1,000 kN 용량의 UTM를 이용하여 2 mm/min의 변위제어 방식으 로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로거 (Data
logger)를 이용하여 보 강근의 변형률과 재하된 하중을 계측하였다.
4. 실험결과 분석
4.1. 인장거동 특성
UTM의 하중과 보강근 중앙 표면에서 계측된 변형률을 이 용하여 Fig. 4에 응력-변형률 곡선을 도시하였다. 그림에서 보듯이 시편의 응력-변형률 곡선은 하중 증가에 따라 응력과 변형률이 선형으로 증가하다가 최대 하중에서
일시에 파괴 되는 FRP의 전형적인 재료특성인 선형 증가 후 취성파괴 거 동을 나타내었다. 최대인장강도와 탄성계수가 중공면적 비율 에 따라 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중공면적 비율이 증가할수 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시편별로 계측된 최대인 장강도와 탄성계수 값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Fig. 4.
Response sample of tensile stress vs. strain
Table 3.
Specimen
|
Tensile strength (MPa)
|
Elastic modulus (MPa)
|
Measured
|
Mean (S.D.)
|
Increase ratio
|
Measured
|
Mean (S.D.)
|
Increase ratio
|
D19HD0
|
1,218
|
|
|
53,520
|
|
|
1,229
|
|
|
55,180
|
|
|
1,131
|
1,193 (54)
|
0%
|
56,519
|
55,073(1,502)
|
0%
|
D19HD6
|
1,016
|
|
|
59,276
|
|
|
1,147
|
|
|
55,623
|
|
|
1,106
|
|
|
56,681
|
|
|
1,131
|
|
|
57,229
|
|
|
1,029
|
|
|
55,190
|
|
|
1,117
|
1,091 (55)
|
-8.6%
|
57,505
|
56,917(1,464)
|
3.3%
|
D19HD8
|
-
|
|
|
-
|
|
|
863
|
|
|
52,641
|
|
|
898
|
|
|
49,577
|
|
|
873
|
|
|
50,036
|
|
|
908
|
|
|
50,267
|
|
|
843
|
877(26)
|
-26.5%
|
54,674
|
51,439(2,163)
|
-6.6%
|
D19HD10
|
746
|
|
|
49,664
|
|
|
741
|
|
|
45,073
|
|
|
-
|
|
|
-
|
|
|
722
|
|
|
46,453
|
|
|
736
|
|
|
44,988
|
|
|
738
|
736 (9)
|
-38.3%
|
45,080
|
46,252(2,003)
|
-16.0%
|
D19HD12
|
684
|
|
|
38,819
|
|
|
731
|
|
|
35,442
|
|
|
640
|
|
|
34,792
|
|
|
730
|
|
|
33,410
|
|
|
666
|
|
|
37,175
|
|
|
667
|
686(37)
|
-42.5%
|
32,999
|
35,439(2,233)
|
-35.7%
|
최대인장강도는 후술할 혼합법칙에 의해 제작에 사용된 섬유량에 비례하게 되므로 이상적인 경우라면 중공면적을 고려하여 최대인장강도를 산정하면 결국 동일한
값을 나타 내게 되어 비교가 불가하다. 따라서 중공비율에 따른 성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최대인장강도는 중공을 고려하지 않은 전체 단면적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Table 3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중공형 GFRP 보강근의 중 공면적 비율에 따른 인장특성 값 변화를 분석하였다.
4.2. 인장특성 값의 변화
Table 3에서 평균인장강도는 최대하중을 보강근 전면적으 로 나눈 값으로 중공면적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 향을 나타내었다. 이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최소자승법을 통한 2차 회귀곡선이 비록 더 큰 결정계수 값을 나타내지만 1차 회귀곡선에 의한 결정계수 값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Fig. 5에서 보듯이 GFRP 보강근의 인장강도는 중공 면적 비율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었다.
일반적으로 섬유복합체의 축방향 평균 인장강도는 Eq. (1)과 같이 ‘혼합법칙’으로 구할 수 있다 (Daniel and Ishai, 1994).
Fig. 5.
Tensile strength for hollow section ratio
여기서, σF RP , σf, σm 는 각각 복합체, 섬유, 수지의 평균 인장강도이고, V f, V m 는 각각 섬유와 수지의 부피율이며, E F RP , E f, E m 는 각각 복합체, 섬유, 수지의 탄성계수이다.
복합체 단면 내에 공극이 없다고 가정하면 V f+V m=1이 며, 혼합법칙을 이용하여 GFRP 보강근의 인장강도를 계산 할 경우 수지의 인장강도는 유리강화섬유에 비해 상당히 작 기 때문에 종종 무시된다.
따라서 FRP 보강근의 인장강도는 함유된 섬유의 양에 비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작된 시편에 대한 Burn-out test를 실시하 지 않아 정확한 섬유함유량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Table 1 에서 사용된 로빙 (Roving) 수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인 섬 유함유량을 유추할 수 있다. 중공을 가진 GFRP 보강근의 제 작에 사용된 로빙
수는 중공이 없는 보강근에 비해 중공면적 비율별로 각각 90%, 83%, 73%, 61%로 인장강도 비율과 거 의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보강근의 인장강도는
사용된 섬유 량과 비례하고 있다.
Fig. 6은 중공면적 비율에 따른 탄성계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인장강도 감소와 다르게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Fig. 6.
Elastic modulus for hollow section ratio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정계수 값 이 큰 이차곡선 식을 구할 수 있었다. Eq. (1)은 탄성계수 역 시 FRP에 함유된 섬유량에
비례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혼합법칙은 FRP 내에 공극이 없고 수지와 섬유의 재 료특성이 균질하고 등방성을 가지며 선형탄성 거동을 한다
는 가정으로부터 유도된 것으로 아직까지 재료특성 함수로 표현된 이론적인 예측식은 없다 (Bank, 2006). 본 실험결과 에 대해서도 혼합법칙을 적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4.3. 중공형 GFRP 보강근의 최적 설계
GFRP 보강근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최적화를 위한 목표 는 보강근의 인장강도, 탄성계수, 단가, 제작성 등 상황에 따 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본 절에서는 중공면적이 증가 함에 따라 인장강도와 탄성계수의 변화가 다르기 때문에 주 어진 조건 내에서 두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 중공비 율을
찾고자 한다.
중공비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본 인자는 섬유량이다. 섬 유량은 보강근 제작단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결국 주어진 조 건 내에서 성능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제작단가도 최소화하 기 위함이다.
Fig. 7은 회귀분석으로부터 구한 인장강도, 섬유량, 탄성계 수의 감소율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인장강 도는 사용된 섬유량의 감소율과 동일한
감소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인장강도 또는 섬유량의 감소율과 탄성계수의 감 소율을 비교하고자 한다.
Fig. 7에서 보듯이 중공면적 비율이 작을 때에는 탄성계수 감소율이 크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중공면적 비율 (약 30% 이후)이 되었을 때부터는 탄성계수가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탄성계수 감소율 (Fig. 7의 R E)과 탄성계수 감소율과 인장강도 감소율의 차가 (Fig. 7의 R ET) 같아지는 경우가 가장 최적인 상태로 고려하였다. 즉 위와 같은 상태 가 되는 중공면적 비율 이전에는 탄성계수는 많이 감소하지 않았으나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는 것이고, 반 대의 경우에는 탄성계수는 많이 감소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인장강도는 많이 감소하지 않은 것이다. 중공면적 비율 증가
에 따른 이들 값의 변화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Fig. 7.
Reduction ratio of material properties
Table 4.
Ratio of hollow section
|
Tensile strength by fitted curve (MPa)
|
Elastic modulus by fitted curve (GPa)
|
Reduction ratio over tensile strength with solid section
|
Deviation
|
Remark
|
Tensile strength (A,RET)
|
Elastic modulus (B, RE)
|
C=|A-B|
|
|B-C|
|
0%
|
1,193
|
55
|
0.0%
|
0.0%
|
0.0%
|
-
|
|
10%
|
1,078
|
54
|
-9.7%
|
-2.7%
|
-6.9%
|
4.2%
|
|
20%
|
962
|
51
|
-19.3%
|
-7.1%
|
-12.2%
|
5.1%
|
|
30%
|
847
|
48
|
-29.0%
|
-13.1%
|
-15.9%
|
2.9%
|
|
34%
|
801
|
46
|
-32.9%
|
-15.9%
|
-17.0%
|
1.0%
|
|
35%
|
789
|
46
|
-33.8%
|
-16.7%
|
-17.2%
|
0.5%
|
|
36%
|
778
|
45
|
-34.8%
|
-17.4%
|
-17.4%
|
0.1%
|
MIN
|
40%
|
732
|
44
|
-38.7%
|
-20.7%
|
-18.0%
|
2.6%
|
|
45%
|
674
|
41
|
-43.5%
|
-25.0%
|
-18.5%
|
6.6%
|
|
50%
|
616
|
39
|
-48.3%
|
-29.8%
|
-18.5%
|
11.4%
|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탄성계수가 감소하는 비율과 탄성계 수와 인장강도 감소율 차이가 같아지는 상황은 중공면적 비 율이 36%일 때이다. 즉 중공면적
비율이 커질수록 인장성능 이 감소하지만 섬유량을 목적함수로 하는 경우 중공면적 비 율이 36%일 때가 감소된 섬유량 (=단가 감소)과 발현되는 인장성능이
최고인 경우이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직경이 증가할수록 인장성능이 감소하는 GFRP 보강근의 특성을 활용하여 단가 대비 성능을 효율화 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경이
19 mm이며 단면 중 앙이 비어있는 중공형 GFRP 보강근을 대상으로 하여 인장 성능을 검토하였으며 분석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속이 비어있는 중공형 GFRP 보강근의 응력-변형률 거동은 재료의 원래 성질과 동일하게 선형탄성 거동을 타내었다.
-
중공형 GFRP 보강근의 인장성능은 중공면적 비율의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탄성계수는 비선형적으 로 감소하였다.
-
사용된 섬유의 양, 즉 재료비를 목적함수로 하는 경우 최적의 인장성능은 중공면적 비율이 36%일 때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인 “FRP Hybrid Bar를 활용한 해양항만구조물 수명 향상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2009),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GFRP braid-pultruded composite
rods, eXPRESS Polymer Letters, 3(9), 560-568.
(1996), State-of-the-Art Report on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ACI 440R-96, Committee 440-3.
(2006), Composites for Construction: Structural Design with FRP materials
(1994), Engineering 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 72-85.
(2014), http://aslanfrp.com/aslan100/Resources/Aslan100a.pdf, confirmed at 2014.04.24
(2001), Design Manual 3: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with fiber reinforced polymers,
The Canadian Network of Centers of Excellence on Intelligent Sensing for Innovative
Structures
(2009), Investigation of glass fibre reinforced polymer reinforcing bars as internal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MSc Thesis
(1997), Fiber architecture based design of ductile composite rebars for concrete
structures-4.
(2006),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for concrete structures using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Interim report submitted to the Korea Research Council of Public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in Korean)
(2007), Composite materials-166.
(2003), THE BEHAVIOR OF FIBER-REINFORCED POLYMER REINFORCEMENT IN LOW TEMPERATURE
ENVIRONMENTAL CLIMATES, Report No. CDOT-DTD-R-2003-4
(1999), Bond strength of various types of fiber reinforced plastic rods, SP-188,
1127
(2004), Bond behavior of fiber reinforced polymer bars under direct pullout conditions,
Journal of composites for construction, 8, 173-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