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확대머리 이형철근, 철근콘크리트 보, 겹침이음, 정착, 구속상세
Headed reinforcing bar, Reinforced concrete beam, Lap splice, Anchorage, Confinement details

1. 서 론

콘크리트에 비하여 철근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재료비 절 감을 위하여 구조 설계자는 철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 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500MPa 이상의 고 강도 이형철근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국내 콘크리트 구조 물 설계에 적용되는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KCI, 2007)도 2012년에 콘크리트구조기준 (KCI, 2012)으로 개정되면서, 휨 철근과 전단철근에 대하여 각각 SD600철근과 SD500 철근 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부재에 사용된 철근이 고강도일수록 단면설계에 있어 철 근 총 단면적은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극한하중 에 대한 단면설계에서의 고강도 철근 사용에 따른 철근량 감 소가 전체적인 재료비 절감량과 비례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 유들 중 하나는 다양한 부재력 및 사용성능을 만족시키기 위 한 최소철근비 및 배근간격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큰 이유로서 사용되는 철근이 고강도일수 록 정착길이와 겹침이음길이가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는 것이다. 즉, 부재의 간격이나 배치 형태가 불규칙하거나 배근상세의 변화가 심할 경우, 정착부위 및 이음부위가 많이 발생되어 고강도 철근 사용의 효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 서 고강도 철근 사용에 따른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정착 및 이음이 적도록 설계하고 정착길이 및 겹침이음길이를 줄 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줄이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정착상세로 표준갈고리 이형철근을 들 수 있 다. 이러한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상세는 일자형 이형철근에 비하여 정착길이가 감소됨으로써 일자형 이형철근으로 정착이 불가능한 접합면적이 적은 부재간 접 합부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표준갈고리의 경우 구부 림의 최소 내면 반지름 확보와 함께 구부린 끝에서 철근직경 의 4배에서 12배 이상 확장하여야 하므로 정착길이가 감소 하더라도 전체 철근길이 감소효과는 크지 않다.

표준갈고리 이형철근 이외에 정착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 는 정착상세로 ACI318-11 (ACI, 2011) 및 콘크리트구조기 준 (KCI, 2012)부터 제시하고 있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정 착방법이 있다. 최근, 확대머리 생산 및 철근가공에 따른 제 조단가가 점차 낮아져 정착길이 감소와 시공성 향상에 따른 효과로 가격경쟁력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이용한 정착설계는 현재 400MPa까 지의 설계기준항복강도를 가지는 이형철근에만 적용이 가능하 다. 이러한 상한값에 대한 제한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를 초과하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시 실험 및 이론적인 정착성 능의 문제점 때문이 아니라, 기준 설계식 개발에 사용된 실 험 연구결과 (Thompson et al., 2005; 2006)에 따른 실험변 수범위에 의하여 결정되어진 것이다. 이러한 기존 실험연구 결과 부족으로 현행 기준은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 상세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확대머리 이형 철근의 적용성 확대를 위하여 겹침이음길이 산정을 위한 설 계식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사용한 겹침이음에 대해서도 국내에 서 생산되는 SD400의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하여 겹침이 음길이 및 보강상세를 변수로 한 실험들이 Lee (2008)에 의 하여 진행되었으며, 최근 보강상세가 없는 SD500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성능에 대한 실험 연구도 Kim (2014)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하지만 SD500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보 강상세가 있는 경우에 대한 평가는 이루지지 않고 있으며, SD400 이하의 확대머리 이형철근 또한 구속상세의 종류에 따라 기여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철근의 항복강도 및 배근 상세에 따른 보다 많은 평가가 진행될 필요가 있고 이를 통 한 상세한 기준 설계식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400MPa과 500MPa 설계기준항복강도를 가지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하여 겹침이음구간내의 보강 상세가 겹침이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기존 연구결과를 관련된 기준설계식과 비교·분석한 후, 보강상세의 종류와 이형철근 의 직경 및 항복강도 등을 변수로 한 단순보 실험을 실시하 였으며, 이를 휨강도와 변형성능의 비교를 통하여 겹침이음 성능을 평가하였다.

2. 기준 설계식 및 기존 연구고찰

2.1. ACI318-11 (2011) 및 콘크리트구조기준 (2012)

인장력을 받는 확대머리 또는 기계적으로 정착된 이형철 근에 대하여 ACI318-11 및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식 (1)과 같이 정착길이 (ldt )를 제시하고 있다. 식 (1)은 확대머리 이 형철근에 대한 Thompson (2005; 2006)의 연구결과를 바탕 으로 하고 있으며, ACI318-11 및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Table 1과 같이 적용범위에 대한 제한을 두고 있다.

Table 1.

Application limits of headed bars

Subsection ACI318-11 KCI2012
Minimum value of ldt sd b 8 and 150mm 8 and 150mm
Maximum value of fy 420MPa 400MPa
Maximum value of fck 40MPa 40MPa
Maximum value of db 36mm 35mm
Minimum value of Abrg 4Ab 4Ab
Minimum value of Cb 2db 2db
Minimum value of sb 4db 4db ,2.5db

[i] Abrg : net bearing area under the head

[ii] Ab : area of the bar being developed

[iii] Cb : clear cover for the bars

[iv] Sb : clear spacing between bars

(1)
l dt = 0.19 β f y d b f ck mm

여기서, β 는 에폭시 도막철근의 경우 1.2이고 다른 경우는 1.0, db는 철근직경[mm], fy 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MPa], fck 는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MPa]이다.

두 기준의 큰 차이점은 철근 순간격 (sb)에 대한 제한으로, 국내 기준의 경우 상하기둥이 있는 보-기둥 접합부의 보 주 철근으로 사용되는 경우, 접합부의 횡보강철근이 0.3% 이상 이고 확대머리의 뒷면이 횡보강철근 바깥 면부터 50mm 이 내에 위치하면 sb는 2.5db 이상으로 할 수 있는 예외 규정을 둔 것이다.

식 (1)에서와 같이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설계기준항복강도를 420MPa로 제한하고 있어 420MPa 를 초과하는 철근에 대한 정착 및 겹침이음성능을 평가할 필 요가 있다.

현행 기준에서는 일자형 이형철근 및 표준갈고리 이형철 근의 정착길이식에서 횡보강근의 구속상세에 따른 보정계수 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경우 횡보강 근철근은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정착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 다는 Thompson et al. (2006)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횡보강 철근에 대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

2.2. 기존 실험적 연구 고찰

앞서 기준 설계식에 적용된 연구 이외에 국내에서 생산되 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사용한 겹침이음에 관한 실험연구 가 Lee (2008)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CI318-08 및 콘크리트구조기준에 확대머리 이형철근이 적 용되기 이전으로 분석내용도 과거의 선설치 앵커에 적용하 는 콘크리트 브레이크아웃파괴내력과 비교·평가하고 있다. 여기서 Lee는 겹침이음 실험결과로부터 횡보강근과 폐쇄형 Tie-down 철근 등의 구속상세는 겹침이음되는 헤드철근 주 위의 콘크리트를 구속시켜 지압응력을 증가시킴으로서 비구 속 실험체에 비하여 29~47% 겹침이음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ee (2008)의 연구결과에 의한 겹침이음강 도를 현행 기준식에 적용하여 비교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 다. 단, 순피복 두께 2db 미만인 실험체는 제외하였다.

Table 2.

Test results by Lee’s research (2008)

No Specimen B×H×L (mm) db (mm) ls (mm) eq Confinement details sb (mm) fck (Mpa) fy (Mpa) ldt (mm) eq MT (kNm) Mn (kNm) eq
1 HB1-10-C0-S1 600×250×4000 19.1 190 10 none 240 25.1 434.1 314.4 0.60 28.02 47.33 0.59
2 HB1-10-C1-S1 600×250×4000 19.1 190 10 stirrup 240 25.1 434.1 314.4 0.60 35.93 47.33 0.76
3 HB1-10-C2-S1 600×250×4000 19.1 190 10 stirrup+tie downbar 240 25.1 434.1 314.4 0.60 38.48 47.33 0.81
4 HB1-14-C0-S1 600×250×4000 19.1 266 14 none 240 25.1 434.1 314.4 0.85 38.03 47.33 0.80
5 HB1-14-C1-S1 600×250×4000 19.1 266 14 stirrup 240 25.1 434.1 314.4 0.85 44.03 47.33 0.93
6 HB1-14-C2-S1 600×250×4000 19.1 266 14 stirrup+tie downbar 240 25.1 434.1 314.4 0.85 47.28 47.33 1.00

Table 2에서 공칭휨강도 (Mn )는 겹침이음되기 전의 단면 에 대하여 콘크리트구조기준에 의하여 산정되었다. 실험 휨 강도 (MT)는 가력된 최대하중과 함께 자중을 고려하였다. Fig. 1은 실제 배근된 겹침이음길이 (ls)와 설계식 의 정착길 이 (ldt)의 비 (ls/ldt)와 실험 휨강도와 공칭휨강도의 비 (MT/Mn )를 비교한 것이다.

Table 2와 Fig. 1에서 구속상세가 없을 경우 ls/ldt 값이 MT/Mn 값과 유사하긴 하지만 적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구 속상세가 있는 실험체들은 모두 MT/Mn 값이 ls/ldt 값에 비하여 크게 평가되어 겹침이음길이에 비하여 보강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Fig. 1.

MT/Mn versus ls/ldt by Lee’ test data

JKSMI-19-62_F1.jpg

구속상세별로 살펴보면, 겹침이음구간내에 횡보강철근이 배근된 실험체를 배근되지 않은 실험체와 휨강도를 비교한 결과, ls/ldt가 0.6과 0.85 인 경우 각각 28%, 16%의 휨강도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횡보강근과 함께 횡보강근에 대하여 Tie-down 철근으로 구속한 실험체의 휨강도는 구속 상세가 없는 실험체에 비하여, ls/ldt가 0.6과 0.85 인 경우 각각 37%, 24%의 휨강도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ls/ldt가 0.6에서 0.85로 증가됨에 따른 횡보강근에 의한 겹침이음성능 증가효과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ls/ ldt의 비율을 포함한 다양한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배근 상세 와 재료 강도 등에 대한 구속상세 보강효과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구속상세 설계방법 및 보정계수가 기준식에 도입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부재간의 접합부의 크기가 협소할 경우 구속상세에 의한 보 정계수를 도입함으로써 정착 및 겹침이음길이 축소로 접합 부 설계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행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B급이음된 일자형 이형철근에 대하여 인장력에 대한 겹침이음길이를 정착길이의 1.3배로 산정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 음길이도 정착길이의 1.3배 또는 다른 증가계수 도입을 통하 여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 근 보강상세가 없는 SD500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 성능에 대한 실험 연구가 Kim (2014)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SD400 및 SD500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길이를 기준에 의한 정착길이의 1.3배로 할 경우 겹 침이음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만약, 앞선 Lee (2008)의 실험결과에서와 같이 구속상세의 종류에 따라 겹침이음성능 향상이 가능하다면, 겹침이음길이 를 정착길이의 1.3배 이하로 줄일 수 있는 겹침이음 설계가 가능할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 이에 대한 실험을 계획하였다.

3. 겹침이음 실험

3.1. 실험 개요

구속상세의 종류에 따른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성 능평가 실험을 위하여 Table 3과 같이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 fy), 철근의 직경 (db), 구속상세 등을 변 수로 한 총 6개의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Fig. 2는 실험체 상 세를 나타낸다.

Fig. 2.

Details of specimen

JKSMI-19-62_F2.jpg
Table 3.

List of specimens for all lap splice tests

No Specimen B×H×L (mm) db (mm) ls (mm) eq sb (mm) fck (Mpa) fy (Mpa) ldt (mm) eq Confinement details
1 S19-L16-C1 380×300×3800 19.1 306 16 120 24 400 296.3 1.03 stirrup+tie downbar
2 S19-L16-C2 380×300×3800 19.1 306 16 120 24 400 296.3 1.03 stirrup
3 S25-L16-C1 460×300×3800 25.4 406 16 160 24 400 394.0 1.03 stirrup+tie downbar
4 S25-L16-C2 460×300×3800 25.4 406 16 160 24 400 394.0 1.03 stirrup
5 HS19-L20-C1 380×300×3800 19.1 382 20 120 24 500 370.4 1.03 stirrup+tie downbar
6 HS19-L20-C2 380×300×3800 19.1 382 20 120 24 500 370.4 1.03 stirrup

실험체명에서 S와 HS는 각각 이형철근의 fy가 각각 400MPa, 500MPa임을 나타내며, 그 뒤의 숫자는 이형철근의 직경이 다. 그리고 L뒤의 숫자는 ls/db로서 겹침이음길이가 이형철 근 직경의 몇 배수로 계획되었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본 연 구에서는 겹침이음길이를 철근 직경의 배수로서 식 (1)에 의 하여 산정된 ldt가 되도록 ls/db 값을 계획하였다. 이는 겹침 이음길이 산정에 필요한 기본 정착길이일 뿐 아니라, 기존 Kim (2014)의 실험결과에서 겹침이음길이가 ldt일 경우 실 험에 의한 휨강도가 공칭휨강도에 1~10% 부족하게 나타나 구속상세 보강효과에 대한 검증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겹침이음 구간의 구속상세로는 C1과 C2 두 가지 형태로 계획하였다. C2의 경우 겹침이음 구간에 대하여 SD400의 D10 이형철근을 사용한 폐쇄형 스터럽을 100mm 간격으로 배근하였다. C1은 겹침이음 구간 양단의 확대머리 지압면에 서 50mm 떨어진 부위부터 50mm 간격으로 두 개의 폐쇄형 스터럽을 설치하고 이들 스터럽으로 구성된 평면에 직각으 로 스터럽을 둘러싸는 폐쇄형 스터럽을 4개씩 설치한 보강 상세이다. 이때 사용된 철근의 종류는 C1과 동일하다.

Fig. 2에서와 같이 D19의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사용한 S19 및 HS19 시리즈 실험체들은 폭×높이×길이가 380mm×300mm× 3800mm이며, D25의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사용한 S25 시리 즈 실험체들의 크기는 460mm×300 mm×3800mm이다. 실험 체 폭의 차이는 실험체의 겹침이음되는 확대머리 이형철근 들에 의하여 발생가능한 수평적인 쪼개짐을 방지하기 위하 여 겹침시키는 철근의 순간격 (sb)을 4db 이상 확보하도록 배근하였기 때문이다. 실험체 순피복은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기준으로 57.5~60.5mm가 되도록 하여 기준에 의한 최소 순 피복 두께 2db 이상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압축측 철근으로 SD400의 D16 이형철근 3 개를 배근하였으며, 중앙부 1000mm 구간을 제외한 보 양단 부에 D10의 스터럽을 100mm 간격으로 배근하여 전단보강 하였다.

3.2. 재료시험

실험체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4 MPa 이며, KS F 2405에 따른 공시체의 압축강도 시험에 의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fck1 )는 21.69 MPa로 평가되었다. Table 4는 실험체에 사용된 철근의 재료시험결과를 정리하여 나타 낸 것이다. Table 3에서 A s 는 공칭단면적, fy, fu 는 각각 재료시험에 의한 항복강도, 인장강도 등을 나타낸다. fy는 400MPa 이상의 항복강도를 가지고 뚜렷한 항복점과 항복마 루가 나타나지 않는 철근에 대해서는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제시된 변형률 0.0035에 상응하는 응력 값을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Table 4.

Mechanical properties of reinforcing bars

Typeofreinforcingbars As (mm2) f y (MPa) f y (MPa)
D10 (SD400) 71.3 484.5 597.6
D16 (SD400) 198.6 482.9 613.0
D19 (SD400) 286.5 464.4 582.8
D19 (SD500) 286.5 547.0 713.0
D25 (SD400) 506.7 378.5 582.8

3.3. 실험체 설치 및 가력

실험체는 Fig. 3에서와 같이 인장력을 받는 겹침이음부위 가 상부면이 되도록하여, 하중 가력에 따른 겹침이음되는 부 위의 균열 및 파괴상황을 관측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험체 중앙부 1000mm 구간의 하단에 힌지 지지점을 두고, 실험체 양단부에서 100mm되는 지점에 하중을 가력하여, 자 중에 의한 영향과 겹침이음구간의 전단력을 최소화하였다. 하중가력은 2000 kN 만능구조시험기 (UTM)를 사용하여 변 위제어방식으로 단조 가력하였다. 하중가력에 따른 수직변위 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체의 경간 중앙에 변위계 (LVDT)를 설치하였다. 또한,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변형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겹침이음이 시작되는 부분에 철근 변형게이지를 부 착하였다.

Fig. 3.

Test setup

JKSMI-19-62_F3.jpg

4. 실험결과 분석

4.1. 균열 및 파괴모드

균열도의 위는 상부면의 균열상황, 아래는 입면의 균열상황 을 나타낸 것이다.

하중 가력에 따른 초기단계의 균열은 대부분의 실험체에 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초기균열은 겹침이음이 시작되는 확 대머리 바깥 쪽 부근에서 휨 균열 형태로 나타났으며, 하중 가력에 따라 초기균열 폭이 증가하고 이후 양 단부 방향으로 휨 균열 수가 많아지면서 확대되었다. 이후 균열은 겹침이음 구간내 보강상세에 따라 다른 파괴양상을 나타내었다.

스터럽과 Tie-down 철근으로 겹침이음부위를 보강한 C1 계열 실험체는 겹침이음되는 구간 경계선 바깥쪽에서 발생 한 기존 균열의 폭이 점차 커지면서 겹침이음된 상부면에 할 렬균열이 진행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휨파괴와 유사한 균열 형태를 나타내며 파괴되었다. 스터럽만으로 보강된 C2 계열 실험체는 C1 계열 실험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휨균열 수 및 폭이 적게 나타났으며 할렬균열의 폭이 크고 프라이아웃 파괴 양상도 나타내면서 최종파괴되었다.

4.2. 하중-변위 및 하중-변형률 곡선

실험에 의한 가력하중과 중앙부 처짐 (수직변위)과의 관계 곡선을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종류별로 정리하여 Fig. 5에 나 타내었다. 그리고 Table 5에 실험에 의한 각종 하중 및 처짐 과 단면해석에 의한 이론적인 휨균열 모멘트 및 공칭휨강도 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 5에서 이형철근의 종류에 관계없이 스터럽만으로 보 강한 C2 계열 실험체들은 최대하중에 도달 후 급격히 하중 이 감소하는 취성적인 거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Fig. 5와 Table 5에서 나타나듯이 최대하중에 도달하는 시점은 겹침이음되 지 않은 단면에 대한 공칭 휨강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5.

Load-deflection curves

JKSMI-19-62_F5.jpg
Table 5.

Test results

Specimen Pcr (kN) s cr (mm) Mcr (kNm) P y (kN) s y (mm) M y (kNm) P max (kN) s max(mm) M max (kNm) M cr–t (kNm) M n (kNm) eq
S19-L16-C1 31.9 6.3 19.17 102.9 39.3 61.74 115.2 75.6 69.09 18.9 56.1 1.23
S19-L16-C2 28.7 4.1 17.23 - - 0 86.2 32.7 51.74 18.9 56.1 0.92
S25-L16-C1 34.7 3.8 20.82 129.0 31.2 77.38 148.0 70.2 88.79 23.3 79.5 1.12
S25-L16-C2 32.1 3.4 19.29 - - 0 119.2 29.7 71.5 23.3 79.5 0.90
HS19-L20-C1 26.9 4.4 16.11 121.1 48.5 72.68 127.2 63.7 76.32 18.9 65.1 1.17
HS19-L20-C2 26.8 3.9 16.05 - - 0 103.0 37.3 61.8 18.9 65.1 0.95

Pcr : cracking load by test

δcr : deflection due to Pcr

Mcr : cracking moment by test(=moment due to Pcr)

Py : yielding load by test

δy : deflection due to Py

My : moment due to Py

Pmax : maximum load by test

δmax : deflection due to Pmax

Mmax : maximum moment by test(=moment due to Pmax)

Mcr–t : cracking moment by section analysis

Mn : nominal flexural strength by section analysis or ACI318

스터럽과 Tie-down 철근으로 보강된 C1 계열 실험체들의 경우, 공칭 휨강도보다 큰 내력을 나타내었고 항복이후 연성 적인 거동으로 최대하중에 도달하였다. 최대하중시의 변위는 63.7~75.6mm로서 중앙부 처짐을 중앙부에서 지점까지의 거 리로 나눈 부재각으로 환산할 때 약 3.7~4.4%의 부재각을 나타내었다.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종류별로 구속상세에 따른 초기강성 및 이후 할선강성의 차이는 미비하였다.

Fig. 6에 철근게이지에 의하여 측정된 확대머리 이형철근 의 변형률과 하중과의 관계곡선을 나타내었다. Fig. 6에서 스터럽으로 보강된 C2 계열 실험체들은, 최대하중 시까지 확대머리 이형철근이 항복하지 않았으며, 스터럽과 Tie-down 철근으로 보강된 C1 계열 실험체는 실험체의 항복하중과 유 사한 하중에서 항복강도에 도달하고 이후 최대하중에 도달 하기까지 큰 변형률을 보이면서 소성변형을 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C1 계열실험체에 대하여 식 (2)를 이용하여 변위연성비 (μ) 를 산정한 결과, S25-L16-C1, S19-L16-C1, HS19-L20-C1 실 험체의 순으로 각각 2.2, 1.9, 1.3으로 변위연성비가 평가되 었다.

Fig. 6.

Load-strain curves

JKSMI-19-62_F6.jpg
(2)
$mu$ = max y

HS19-L20-C1 실험체의 변위연성비가 1.3으로 적은 이유 는 SD500의 고강도 철근이 사용됨으로써 철근의 항복강도 에 도달하기 위한 항복변형률이 SD400 철근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이에 따른 항복변위가 증가하였고, 최대하중 시 콘크 리트 응력분담 또한 커져 상대적으로 적은 최대변위에서 실 험체가 파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4.3. 실험 휨강도 및 이론 휨강도

Table 5에서 C1 계열 실험체가 C2 계열 실험체에 비하여 실험에 의한 휨균열모멘트 (Mcr )가 소폭 크게 나타났지만, 그 영향은 미비하다. 또한 해석에 의한 휨균열모멘트 (Mcr - t) 와도 많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C1 계열 실험체의 경우, 최대하중에 의한 실험 최대휨강 도 (Mmax)가 공칭휨강도 (Mn )에 비하여 12~23% 크게 나 타나 휨강도 측면에서 겹침이음 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사 료된다. 하지만 평가된 변위연성비를 고려하면 변형성능 측 면에서 충분한 연성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없어 이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C2 계열 실험체의 경우, Mmax/Mn 이 0.90~0.95로 나타 나 요구되는 휨강도를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Kim (2014)의 연구결과에서 겹침이음 구간에 구속상세가 없는 실험체의 경우 Mmax/Mn 이 0.90~0.99로 평가되었음을 비추어 볼 때 횡보강근에 따른 강도 증진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2장에서 밝힌 기존 Lee 및 Thompson 결과와 종합하여 분석하면, 스터럽으로만 이루어진 겹침이음 보강 상세는 ls/ldt가 0.85 이하일 경우 효과가 있지만 0.85를 초 과하는 ls/ldt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400MPa과 500MPa 설계기준항복강도를 가지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하여 겹침이음 구간내의 보 강상세가 겹침이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두 가 지 형태의 구속보강상세에 대하여 겹침이음실험을 실시하였 으며, 제한된 실험체 수의 실험결과에 의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스터럽만으로 보강한 실험체들은 항복하중없이 최대 하중에 도달 후 급격히 하중이 감소하는 취성적인 파 괴거동을 나타낸 반면, 스터럽과 Tie-down 철근으로 겹침이음부위를 보강한 실험체는 뚜렷한 항복하중을 보였으며, 이후 연성적인 거동을 하다가 휨균열 폭의 큰 확장과 함께 할렬균열을 보이면서 최종적으로 휨파 괴에 가까운 파괴 거동을 나타내었다.

  2. 겹침이음 구간 구속상세에 따른 초기강성 및 균열이후 강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실험에 의한 휨균열모멘 트도 이론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3. 하중-변형률 관계곡선에서 스터럽만으로 보강한 실험 체들은 확대머리 이형철근이 항복변형률에 도달하지 않았지만, 스터럽과 Tie-down 철근의 보강상세를 가 진 실험체들은 철근이 항복 이후 소성 변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스터럽만으로 보강한 실험체들은 실험 휨강도가 공칭 휨강도에 비하여 적게 평가되었으며, 겹침이음 구간에 구속상세가 없는 실험체에 대한 기존 실험결과와 비교 할 시, 겹침이음길이가 정착길이로 산정된 경우 스터 럽에 의한 겹침이음강도 증가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5. 스터럽과 Tie-down 철근의 보강상세는 실험 최대휨강 도가 공칭휨강도에 비하여 12%이상 증가하여, 휨강도 측면에서 겹침이음 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충분한 연성능력을 보유하기 위한 스터럽과 Tie-down 철근의 배근량 및 간격 등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NRF- 2013R1A1A2013485)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2011),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nd Commentary, 318-11.
2 
(2007), Korean Concrete Structure Code
3 
(2012), Korean Concrete Structure Code
4 
(2014), Experimental Study on Lap Splice of H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in Tension, Journal of KSMI, 18(5 ), 59-67 (in Korean).
5 
(200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ap Splice Performance of Headed Steel Reinforcements with Confinement Details, Journal of AIK, 24(5 ), 59-66 (in Korean).
6 
(2006), CCT Nodes Anchored by Headed Bars-Part 2: Capacity of Nodes, ACI Structural Journal, 103(1 ), 65-73.
7 
(2006), Lap Splices Anchored by Headed Bars, ACI Structural Journal, 103(2 ), 271-279.
8 
(2005), CCT Nodes Anchored by Headed Bars-Part 1: Behavior of Nodes, ACI Structural Journal, 102(6 ), 808-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