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 측온회로, 고주파 방사센서, 온도-함수비 복합센서, 현장장기실험
Slope failure, Monitoring system, Temperaure-measuring circuit, Microwave emission sensor, Temperature-moisture combined sensor, Long-term field test

1. 서 론

현재 재난 재해의 피해 규모는 점점 집중화, 대형화되고 있으며 예측 가능한 태풍, 가뭄, 장마 등의 피해보다는 집중 호우나 산불과 같이 예측하기 힘든 재난 재해에 대한 피해규 모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Park, 2004; Roslan and Badiah, 2006; IPCC, 2007). 이와 같은 기후변화의 심화에 따른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지열, 수분의 연속적인 감지를 통한 수분의 증발 속도 분석 및 다양한 관측 지점을 연속적 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폭우로 인한 산사태나 사면의 붕괴 발생이 빈번하게 발 생함에 따라 사면 붕괴 위험 감지에 필요한 상시 계측의 관 리와 실시간 계측분석으로 붕괴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Park, 2005(a); Park, 2006(b); Jang et al., 2009; Kim et al., 2010; Kim, 2011 ; Shin and Song, 2012; Oh and Park, 2013; Kim et al., 2013). 하지만, 사면의 거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함수 비와 온도에 대한 복합적이고 정밀한 센싱 시스템 개발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센싱 정확도 향상기법 및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고주파 방 사형 센싱기술을 이용하는 온도 및 함수비 측정 센서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효율적인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 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토양 속 지온 및 수분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융복합 시스템 개발이다. 토 양의 수분 및 지온을 측정하는 기술은 국내외로 널리 연구가 되고 있으나 대부분 토양 속 수분 센서 또는 온도 센서로서 단일 센서이며, 지온감지를 포함한 복합 센서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기저항식 또는 텐션미 터와 같은 형태의 토양 수분센서는 장기 계측의 비안정성 및 비연속 측정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탐침형 센서의 한 계인 토양교란에 의한 정확도의 저하, 소모성 수분계측에 의 한 장기계측의 불안, 내구성이 낮은 계측 주변장치구성으로 장기측정에 많은 어려움을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주로 토양 내 수분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던 다공세라 믹이 현장에서의 토양용액 샘플링에 사용되고 있다. 이 장력 계 (Tensiometer)의 측정영역은 일반적으로 0~900mbar 이 므로 측정이 가능하려면 토양수분압력의 값이 이 범위 안에 들어야 한다. 그러나 주로 정밀한 과학적 연구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다공세라믹을 만드는 것은 고령토, 알루미나, 기타 등의 많은 재료를 다양한 비율로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 하다. 또한 이러한 비율의 차이로 인해 세라믹 내부의 수분 전도성에서 차이가 나게 되어 다공세라믹의 크기, 방향, 그 리고 세라믹 내의 기공 분포 등은 세라믹이 사용되는 동안의 계측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세라믹의 기공성은 제작 과정에서 생기는 기공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달라지고 포화 상태 하에서의 세라믹의 공기입력 값과 수분전도성 또한 기 공의 크기에 영향을 받으므로 토양 내 수분의 모니터링에 이 센서를 활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장기계측용 탐침형 센서가 갖 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주파 (Microwave)를 이용하여 토양 수분을 측정하는 방사형 센서 기술을 개발하여 안정적 이고 효율적인 계측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2. 온도-함수비 복합 센싱 모듈 구성

2.1 온도-함수비 센싱 원리

2.1.1 함수비 센싱

토양 내 존재하는 수분은 토양의 입자사이 공극에 액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물을 의미하며, 이는 공기 중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의 정도를 의미하는 습도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 다. 토양 수분의 형태는 크게 중력수, 모관수, 표층수 3종류 로 구분되는데 토양에 전계 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방사하 게 되면 수분의 정도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 용하여 토양 속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 1 에는 토질별 함수량 차이 및 유전율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정수압 (Hydrostatic Conditions) 상태에서 토질에 따른 함수 비 (Water Content) 및 전자파 속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알 수 있다. 수분을 많이 함유한 흙에서는 유전율이 높아져 전 자기파가 잘 투과되지 못하므로 이 관계를 정량화하면 토양 내의 수분함유정도를 추정해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양 의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저항을 이용하는 방법과 유 전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저항을 이용하는 방 법은 수십 KHz 미만의 측정 추파수가 이용되며 유전적 특성 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십 MHz 이상의 (~1GHz) 측정 주파 수가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 특성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하여 토양 내 수분을 측정하였으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토양 내 존재하는 수분, 즉 물 입자는 토양에 비하여 큰 유전율을 가진다. 산소와 수소 원자로 구성된 물 분자는 평상시에는 전기적 중성을 가지다가 주변 전계 (Electric Field)의 변화에 따라 산소와 수소의 구조가 바뀌면서 전기 쌍극자 (Electric Dipole)의 성격을 띠게 된다. 건조한 토양의 경우 유전율이 3~7 정도이며 물의 유전율은 80에 이른다. 고 주파는 매우 빠르게 교번하며 공간으로 방사되는 전자기적 파동이므로 물 분자를 지날 때 많은 감쇠와 지연을 경험하게 되고 토양이 수분을 포함한 정도에 따라 고주파는 비례적인 감쇠와 지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토 양의 수분 측정이 가능하다.

Fig. 1.

Combined Temperature-Moisture Sensing Module

JKSMI-19-33_F1.jpg

2.1.2 온도 센싱

토양의 온도 (지열)을 층위별로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서 다음의 핵심적인 기술들을 적용하여 센서를 제작하였다.

우선, 고정밀도 온도 센서 유닛을 구성하기 위하여 온도 선 형성과 재현성이 우수한 백금온도센서를 사용하였으며, 높은 센서 정밀도 (A급, 0.15도)의 센서 유닛을 적용하였다. 온도 센서 유닛의 자체 발열로 인한 측정 오차를 억제하기 위하여 는 센서 유닛의 소모 전류를 최대 2mA 이하로 억제하며, 피 측정체 (토양)의 온도 전달 계수가 극대화 되도록 금속, 세라 믹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온도 전달 기판을 구성하였다. 한 편, 센서 유닛과 구동 (증폭, 처리) 회로간의 거리를 최소화 하며 구동 회로의 온도 의존성을 자체 보상하도록 하였으며, 측점 (연속)간의 온도전달계수가 낮은 소재 (우레탄, 화이버 글래스 등)를 적용하여 층위별 온도 측정의 변별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2.2 온도-함수비 센싱 정확도 향상기법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온도-함수비 복합센서는 기존 함수 비센서에 비해 온도측정 기능의 추가와 수분측정 기능의 정 밀도 향상에 대한 개선된 기능을 가지게 된다. 온도 측정 모 듈에서는 측온 저항체의 온도 비선형성과 비가역성을 극복 하기 위하여 측온 저항체를 병렬 보상 구조의 회로 결선으로 이중화하였으며, 인출선의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3선식, 4선식 등의 보상 선로를 적용하여 인출선의 저항 변화 요인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측정 회로 의 전류 소모와 자체 발열 등에 의한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측온 회로의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고, 토양의 온도 가 측온 저항체를 포함한 측온부에 긴밀히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 하였다. 수분 측정 모듈에서는 수분 측정의 정밀 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하나는 800MHz대의 고주파 신호를 토양에 방사하고 센서 주위를 주 회하여 돌아오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ADR (Alternative Dispute Resoltution) 방식의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고, 또 다 른 하나는 정전용량을 이용한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er) 방식으로 일반 FDR방식과 달리 회로 내부의 경로를 변경하여 공극오차 등의 측정 오차를 제거하는 것이 다. 이를 통해 ADR 및 FDR방식의 장점을 반영하게 되고, 수분 측정시 오차분을 보상하여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 게 된다.

2.3 온도-함수비 복합 센싱 모듈

본 연구에서는 토양 수분의 측정에 있어 층별 측정이 가능 해야 하고, 적용될 측정 환경이 실외의 토양에 설치되어 장 기적으로 안정적인 측정값의 획득이 가능하여야 한다는 점 을 고려하여 정전용량을 이용한 개선된 FDR 방식의 센싱 기술을 적용하여 함수비 센서 모듈을 설계하였다. 센서 모듈 은 층별 각 코어 센서부와 코어센서 모듈에서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 주회로부, 각 센서모듈의 센서배치를 조 정 및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부, 센서 설치를 위한 연결관으 로 구성되어 있다. Photo 1에 개발된 온도-함수비 센싱 모듈 을 나타내었다.

3. 온도-함수비 복합센서 검증 실험

3.1 실내 검증 실험

현장 적용 검증실험에 앞서 개발된 온도-함수비 복합 센서 모듈의 기본성능 검증시험을 수행하였다. 센서의 기본성능 검증시험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의한 표준시험을 의뢰하 였으며, 시험방법은 ISO 11461 (2001), ISO 16586 (2003) 의 시험규격에 따라 각각 다른 깊이의 층별센서에서 온도 및 함수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산정하였다. 함수비는 깊이에 따라 채취한 주문진 표준사 20cm3의 체적을 (105±1)°C 전기로에서 16시간 건조하여 얻 은 결과를 기준값으로 하였고, 온도는 센서를 항온조에 넣고 기준온도계와 비교하여 얻은 결과를 기준값으로 하였다. 시 험환경은 온도범위 23±2°C, 상대습도범위 50±20%로 유지 하도록 하였다. 센서의 기본성능검증 표준시험결과는 다음의 Table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Table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모듈의 온도 및 수분함량 측정 성능은 매우 양호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의해 검증된 센 서모듈의 기본성능을 바탕으로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Fig. 2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고 중량법을 이용한 토양의 함 수량을 측정하여 이를 센서의 측정값과 비교 하였다.

Fig. 2.

Mock-up Test

JKSMI-19-33_F2.jpg
Table 1.

Performance Evaluation Test Results

Depth Moisture Temperature
Reference [%] Measurement [%] Error [%] Reference [°C] Measurement [°C] Error [°C]
10 cm 4.7 4.6 +0.1 -10.83 -10.86 +0.03
13.4 12.8 +0.6 0.41 0.49 -0.08
20.5 20.6 -0.1 19.90 20.07 -0.17
29.5 27.5 +2.0 40.19 40.21 -0.02
20 cm 6.1 6.4 -0.3 -10.83 -11.03 +0.20
11.9 12.0 -0.1 0.41 0.29 +0.12
15.5 17.3 -1.8 19.90 19.95 -0.05
32.8 28.9 +3.9 40.19 40.29 -0.01
30 cm 5.7 7.1 -1.4 -10.83 -10.74 -0.09
10.1 12.0 -1.9 0.41 0.42 -0.01
21.9 22.1 -0.2 19.90 19.98 -0.08
29.8 28.5 +1.3 40.19 40.23 -0.04
50 cm 4.7 4.7 0.0 -10.83 -10.58 -0.25
15.1 14.7 +0.4 0.41 0.51 -0.10
20.2 21.0 -0.8 19.90 19.97 -0.07
31.2 28.9 +2.3 40.19 40.11 +0.08

흙이 채워진 토조에 일정 조건을 설정하고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여 설치한 함수비 센서 모듈에서부터 데이터를 측정 하였다. 이후 중량법을 사용하여 토양의 함수비를 산출하고 센서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Table 2는 현 장적용성 평가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Fig. 3은 중량법 으로 측정한 함수비 값과 함수비에 따라 변화된 주파수의 측 정값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Fig. 3.

Correlation between Water Content and Pulse Count

JKSMI-19-33_F3.jpg
Table 2.

Mock-up Test Results

No. Weight method[%] Water [ml] Container [g] Dry Soil [g] Wet Soil [g] Dry Soil +Bin [g] Wet Soil +Bin [g] Water contents [%] Measurements [Pulse]
1 5 700 635 12000 12625 12635 13260 5.5 11248
2 10 1300 635 12000 13095 12635 13730 9.9 10557
3 15 2100 635 12000 13580 12635 14215 15.5 9803
4 20 3000 635 12000 14320 12635 14955 21.0 9301
5 25 4000 635 12000 15130 12635 15765 26.4 9201
6 30 5200 635 12000 16325 12635 16960 31.9 9145
7 35 6500 635 12000 17640 12635 18275 36.8 9060
8 40 8000 635 12000 19135 12635 19770 41.8 8982

Fig.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함수비가 증가함에 따라 센서 모듈의 발진주파수가 선형에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R2=0.9768)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센서의 측정값이 실제 함수비를 충실 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측정값과 함수비의 관계 가 완전한 선형이 아닌 것은 센서의 정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흙의 공극분포, 유기물함량, 전기전도도 등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흙의 성분분석과 영향인자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 등을 통하여 오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 영향 인자와 측정값간의 관계를 도출하여 센서의 정밀도로 인해 발생하는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함수비 센서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영향인자는 크게 공극 분포 (압밀), 유기물함량, 전류량 등인데, 이는 센서를 설치 할 토양 시료마다 각각 다르므로 시료에 대한 보정식이 필요하 다. FDR 수분센서들은 scaled 파장 (SF : Scaled Frequency)을 이용하며 그 수식은 Eq. (1)과 같다.

(1)
SF = F a - F s F a - F w

여기서, Fa는 공기 중에서 측정한 센서의 주파수이고, Fs는 토양 내에서의 측정한 센서의 주파수, Fw는 물에서 측정한 센서의 주파수이다.

Fig. 4에서는 실험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SF와 함수비의 관 계를 나타내었다. Fig. 3을 통해 일반적인 SF와 함수비간의 상관식을 Eq. (2)와 같이 제안하였으며, 이를 보정식으로 사 용할 수 있을 것이다.

Fig. 4.

Correlation between Scaled Frequency and VSWC

JKSMI-19-33_F4.jpg
(2)
SF = a × ln VSWS

여기서, VSWS는 용적토양수분함량, a는 상관계수를 나타 낸다.

3.2 현장 적용 실험

3.2.1 실험 setup

개발된 온도-함수비 복합 센서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추풍령 기상대에 test bed 적용실험을 수행하였다. 층별 토양수분과 지온을 측정하기 위해 지표면 이하 깊이별 10cm, 20cm, 30cm, 50cm의 4개 지점에서 함수비과 온도를 계측하 도록 설치하였으며, 각 위치에는 검증을 위한 별개의 함수비 센서와 온도센서를 설치하였다. 개발된 복합센서의 함수비는 함수비 센서 (EasyAG)와 온도는 온도 센서 (PT100)와 비교 하도록 하였다. 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데이터는 1시간 주기 로 데이터로거를 거쳐 CDMA 통신을 통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Photo 2에 추풍령기상대의 test bed 적용 전경과 시스템 데이터 수집을 위한 함체 구성 을 나타내었다.

3.2.2 실험 결과

온도-함수비 복합 센서의 장기적인 성능 검증을 위하여 2 개월 동안 (2013년 3월~4월) test bed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출력하여 Figs. 56과 같이 나타내었다.

Fig. 5는 측정 일자에 따른 함수비 데이터의 시간 이력을 나타낸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복합센서와 함수비 검증센서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Fig.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개발된 복합센서의 함수비 계측 데 이터와 비교 검증센서의 함수비 데이터의 경향은 일치하게 나타났다. 지표 깊이 30cm 및 50cm의 함수비는 계측일자와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지표 깊이 10cm 및 20cm의 경우에는 특정한 계측일자에 따라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기상청 자료를 통해 지표 깊이 10cm 및 20cm 함 수비 값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계측일에는 5mm~15mm 의 강우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cm 깊이의 함 수비값이 급상승하는 경우에는 계측 당시 강우가 발생한 것 을 나타내고, 이후 건조한 날씨가 유지될 경우에는 지표의 수분 증발로 인해 함수비 그래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지표 깊이가 깊을수록 적어지며, 이 는 지표 깊이 30cm 이하의 함수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ig. 5.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data

JKSMI-19-33_F5.jpg

한편, Fig. 6은 계측일자에 따른 지표 깊이별 지온 측정값 의 시간 이력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Fig.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발된 복합센서와 비교 검증센서의 온도 데이터 경향 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수비 측정결과와 마찬가지 로 지온 역시 측정 깊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0cm 및 20cm 깊이의 측정 데이터에서는 일교차 및 일변화 를 나타내는 주기파형을 명확하게 나타내었으며, 30cm 및 50cm의 경우에는 일교차의 영향보다는 측정지역 기온의 일 변화 및 월변화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Temperature measurement data

JKSMI-19-33_F6.jp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사면붕괴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는 온도- 함수율 복합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 었다.

  1. 온도 및 수분을 센싱할 수 있는 회로 개발, 센싱 정밀 도 향상을 위한 연구 등을 통해 흙의 온도와 함수율을 측정할 수 있는 복합센서 모듈을 개발하였고, 사면붕 괴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 하였다.

  2. 센서모듈의 기본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온도 및 수분함 량 측정에 대한 표준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센서의 측정 정확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개발된 센서모듈의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흙이 채워진 토조를 이용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흙의 공극분포, 유기물함량, 전기전도도 등으로 인해 센서의 정밀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 해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현장 적용 실험을 통해 개발된 온도-함수비 복합계측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함수비 측 정 데이터는 온도 및 함수비에 대해 각각 기존의 단독 센서들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5. 향후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험 시료의 성분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오차와 오차 발생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정확도를 향상시 킬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1988), Developing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Water Resources Research, 24(5), 755-769.
2 
(2007), Climate Change :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3 
(2001), Soil quality - Determination of soil water content as a volume fraction using coring sleeves - Gravimetric method
4 
(2003), Soil quality - Determination of soil water content as a volume fraction on the basis of known dry bulk density, Gravimetric method
5 
(2009), Constructio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hazard protection of highway slop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6 
(2013),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oad Icing Forecast and Snow Detection System using State Evaluation Algorithm of Multi Sensor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5), 113-121.
7 
(2010), Assessment on the Monitoring System for KURT using Optical Fiber Sensor Cable,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8(4), 293-301.
8 
(2011),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for landslide-triggeri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 28-35.
9 
(2013), Establishment of Landslide Rainfall Threshold for Risk Assessment in Gangwon Area, Journal of KOSHAM,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3), 43-51.Google Search
10 
(2004), Study on the monitoring and detection of slope failure: field investigation and case studie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1 
(2005), Study on the monitoring and detection of slope failure: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rainfall dat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2 
(2006), Study on the monitoring and detection of slope failure: focusing on the estimation methodology of standard precipit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3 
(2006), Landslide risk with regards to rainfal erositivity, Proceedings of the ICL Symposium, 32-36.
14 
(2012), Development of slope monitoring system using VW piezo-meter and inclinometer,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10(3), 3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