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 변단면 커플러, 전조 가공 철근, 인장강도, 휨 실험, 구조성능
Taper type coupler, Rolling thread reinforcement, Tensile strength, Flexible loading test, Mechanical performance

1. 서 론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은 제작 및 운반을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생산, 공급되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 과정에서는 철근의 이음이 반드시 요구되며, 이러한 철근의 이음부에서도 작용하는 힘을 연속적으로 안 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겹침 이음과 용접, 그리고 기계적 이음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기계적 이음방 법은 1970년대 초반 일본과 유럽에서 개발되어 국내에서도 1995년부터 다양한 형태로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KEPCO Research Institute, 2005). 특히, 시공성이 요구되는 대규모 구조물 및 원전건설 을 중심으로 기계적 이음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Kwon et al., 2011), 건축구조설계기준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3)에서는 D35 이상의 대구경 철근에 대해서는 겹 침 이음을 제한하고 있어 기계적 이음의 활용도가 높다.

철근의 기계적 이음방법은 이음재료 및 제작, 연결, 조립 방법에 따라 나사마디 방식 이음, 단부 나사가공 이음, 강관 압착이음, 충진 이음, 병용이음 등이 있다. 이중 단부나사 가 공 이음은 제작을 위해서 특수한 기능공이 불필요하고 안정 적인 품질 확보가 가능하며, 체결력이 우수하여 현장에서 많 이 적용되고 있다. 단부 나사이음 방식은 다시 체결장치의 형태에 따라 평행 나사이음과 변단면 나사이음으로 나누어 지는데 국내에서는 평행 나사이음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평행 나사이음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기존의 변단면 나사이음의 제작 방법이 철근의 모재를 절삭하여 나 사부분을 가공하게 됨으로써 이음부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 인데 (KEPCO Research Institute, 2005), 기존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절삭에 의한 변단면 나사의 인장시험에서 항복하중 이후 나사파단 및 나사부가 이음매에서 탈락하는 현상이 발 생하여 급격한 하중의 감소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Yoon and Kim, 2012). 그러나 구조적으로 변단면 나사방식은 평행 나 사 방식에 비하여 체결 후 나사산 당 접촉 면적이 커서 진동 및 반복하중에 대하여 우수하고 대구경의 철근 체결 시 나사 단부의 크기가 이음매의 크기보다 작아 철근을 삽입하여 설 치하는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평행 나사이음의 경우 경제성 과 시공성의 장점을 가지나, 체결 구조가 체결 방향의 반발 력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 밀착되어 체결되므로 철근의 수 나사와 이음매의 암나사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게 되므로 체 결력 부족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 기 위하여 기존 변단면 나사 제작방식의 단점인 단순 절삭에 의해 변단면을 제작하지 않고 철근 단부를 전조하여 철근 강 재의 손실을 최소화 한 후 변단면을 제작하는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 방법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조 변 단면 나사이음에 대한 기계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 의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조 변단면 나 사이음을 통하여 연결된 철근의 인장강도 시험들이 실시되 었으며, 또한 이음 철근이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거동 특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 존 평행나사이음과 변단면 나사이음이 적용된 철근 콘크리 트 보를 대상으로 휨 하중을 재하하여 전조 나사이음의 종류 와 이음의 체결력 불확실성에 따른 콘크리트 보의 거동 특성 을 비교하였다.

2.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

본 연구에서 기계적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된 전조 평행 나사이음 및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의 형상은 Fig. 1과 같다.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의 경우, 구조적 특성상 응력이 집중되는 이음매 중앙부 단면적이 평행나사 이음매의 면적 보다 크므로 더 큰 인장력에 저항 할 수 있으며, 동일한 인 장력에 대하여 이음의 외경을 축소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철근 나사부의 끝단 직경이 이음매의 입구경보다 작아 철근 조립시 연속성 확보가 용이 하며 2~3개의 나사산이 시공 시 자동 체결되므로 시공성 향 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Fig. 2(a)와 같이 나사면 양쪽 에서 접촉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동일한 체결 토크 (torque) 에 대하여 평행나사이음보다 체결력이 우수하다 (Chu et al., 2014). Table 1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 의 제원을 철근지름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1.

taper type coupler

JKSMI-19-40_F1.jpg
Fig. 2.

Comparison of contact behaviors depending on coupler type

JKSMI-19-40_F2.jpg
Table 1.

Dimension of Taper typer coupler connection

Dimension of Rebar (No.) Pitch (mm) Diameter (D, mm) Length (L, mm) Clamping length (C, mm)
19.1mm(#6) 4 29 56 22.9
22.2mm(#7) 3.5 33 64 26.6
25.4mm(#8) 3.5 38 73 30.5
28.7mm(#9) 3 43 81 34.4
32.3mm(#10) 3 48 90 38.8
35.8mm(#11) 3 55 100 43
43.0mm(#14) 2.5 65 117 51.6
57.3mm(#18) 2.5 85 154 68.8

3. 전조나사 철근이음 인장강도 실험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의 인장하중에 대 한 구조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나사이음이 없는 철근의 인장강도와 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의 인장강도를 평가하 여야 한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평행나사이음과 비교 하여 그 적용성과 사용성 등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 연결 철근의 인장강 도를 사용 철근의 지름에 따라 분류하여 인장강도를 평가하 였다. 추가적으로 전조나사이음과 평행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에 대한 인장강도 실험을 체결력 수준에 따라 비교하여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의 인장부재로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3.1 변단면 전조나사 철근이음 인장 실험체 및 실험방법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 방법으로 연결된 철근의 인장성능 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음이 없는 철근 모재 상태의 인장강도 와 전조 나사로 연결된 철근의 인장강도를 철근의 지름에 따 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본 인장실험에서는 지름이 57.3mm (#18), 43.0mm (#14), 35.8mm (#11)인 ASTM A 615 grade 60 철근이 사용 되었다.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과 평행 나사 이음 철근의 인장강도 비교 실험의 경우에는 지름 22.2mm (#7)이 사용되었으며, 인장하중에 대한 나사이음부의 응력전 달을 확인하기 위하여 나사이음부와 철근에 변형률 게이지 를 설치하였다. 변형률 게이지는 이음매의 중앙, 이음매 단 부로부터 철근 직경의 1배, 2배인 위치에 설치하였다.

변단면 나사이음의 경우 나사산의 유격과 설치 여건상 필 요한 체결력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나사이음의 체결 수준을 설계 토크 이상으로 체결한 기준체결력 (Regulared clamping force) 경우와 설계 토크값 이하로 체결한 비기준체결력 (Unregulared clamping force) 경우로 구분하여 시공상 발생 할 수 있는 체결력의 불확실성에 의한 인장강도 변화도를 평 가하였다. 인장실험은 2,000 kN 용량의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KEPIC SNB 4330, KEPIC MDF A 370에 따라 철근이 파단 될 때까지 0.2 mm/sec의 속도로 인장하중을 재하 하였다. Fig. 3은 변단면 전조나사 연결 철근의 인장강도 평가 실험사진이다.

Fig. 3.

Test set-up of tensile strength test

JKSMI-19-40_F3.jpg

3.2 변단면 전조나사 철근이음 인장실험 결과

3.2.1 전조나사 이음 인장실험 결과 분석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 방식으로 체결된 철근의 인장실험 결과, 이음이 없는 철근의 인장파괴와 같이 나사 이음부가 아닌 철근 모재에서 파괴가 발생하였으며, 나사파단 및 나사 부의 이음매 탈락은 발생하지 않았다. Fig. 4는 인장강도 평 가 실험 후 철근이음 시험체 (#14)의 모습이다. Table 2는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의 인장강도 실험 결 과를 철근의 지름에 따라 나사이음이 없는 철근이음의 인장 강도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Table 2에서 WC는 이음없 는 철근을, C는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을 의 미하며, 실험에 사용된 철근 번호를 뒤에 나타내었다. Table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을 사용한 철근 의 항복강도와 인장강도는 나사이음이 없는 철근과 비교하 여 동일한 수준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철근지름의 변화 에 대해서도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 또한 그 영향이 거의 없 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의 기계적 이음으로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을 사용 하였을 경우, 이음이 없는 철근과 유사한 수준의 인장성능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 다. Fig. 5는 인장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항복강도와 인장강 도를 나사이음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4.

Failure of tensile strength test specimens (#14)

JKSMI-19-40_F4.jpg
Fig. 5.

Yield and tensile strength ratio of typer type coupler from tensile strength tests

JKSMI-19-40_F5.jpg
Table 2.

Tensile strength of coupler connected reinforcement rebar

Specimen Yield strength (MPa) Tensile strength (MPa)
D (mm, #) Type Test Avg. Test Avg.
57.3mm (#18) WC18 486 486(1.00) 688 688(1.00)
C18-1 484 486(1.00) 689 687.2 (1.00)
C18-2 489 688
C18-3 487 687
C18-4 481 682
C18-5 489 690
43.0mm (#14) WC14 508 508(1.00) 707 707(1.00)
C14-1 518 511.8 (1.01) 709 710.6 (1.01)
C14-2 514 713
C14-3 512 713
C14-4 513 714
C14-5 502 704
35.8mm (#11) WC11 470 470(1.00) 683 683(1.00)
C11-1 472 476.6 (1.01) 690 694.8 (1.02)
C11-2 474 692
C11-3 477 696
C11-4 481 699
C11-5 479 697

3.2.2 변단면 및 평행나사이음 인장실험 결과 분석

나사이음 한 철근의 경우 이음 연결의 편리성을 위한 나사 산의 유격과 설치 조건 등에 따라 나사이음에 도입되는 체결 력이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음 종류에 따른 인장강도 비교 실험과 함께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과 평행 나 사이음에 대하여 체결력 기준에 따른 인장강도 영향도 검토 되었다. Fig. 6과 Table 3은 각각의 이음 연결방법 및 체결력 수준에 따른 나사이음 연결 철근의 인장강도 실험 결과를 나 타낸 것이다. Fig. 6과 Table 3에서 NC는 이음이 없는 철근 을, PC는 평행 나사이음, TC는 변단면 나사이음을 나타내며, 규격 체결력이 도입된 경우 R, 도입되지 않은 경우 U로 나 타내었다. Fig. 6과 Table 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변단면 나 사이음과 평행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의 항복 및 인장강 도는 이음이 없는 철근의 항복 및 인장강도와 동일한 수준으 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변단면 나사이음과 평 행나사이음에 기준 체결력이 도입되지 않은 경우, 평행나사 이음의 경우 축방향에 대하여 이음을 위한 나사이음이 규칙 적으로 배열되어 그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기준 체결력이 도 입된 철근의 항복 및 인장강도와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 으며, 이와 비교하여 변단면 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에서 는 변단면 나사이음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체결력이 도입되 지 않은 경우 이음과 철근의 분리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평행나사이음과 동일한 수준의 철근의 항복 및 인장강도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나사이음 연결 철근의 인장실험에서 나사 이음부와 철근의 응력전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g. 7에 각 실험체별 하중-변형률 관계를 나타내었다. 변위 제어된 하중상태에서 동일 시간에 측정된 변형률을 조사한 결과 이음을 하지 않은 NC-R 실험 체에서는 1방향 변형률 게이지의 설치 오차 등을 고려하면 측정 위치에 따른 변형률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나사이음 방식에 따라 철근에 부착된 각 변형률 게이지 측정 결과에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평행 나사이음의 경우에서는 이음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변형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변단면 나사이음의 경우에는 이 음 단부에서 철근 직경의 2배인 위치까지 유사한 변형률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유일한 실험 변 수인 이음부 단면 형상의 영향에 기인한 것을 알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철근 이음의 성능 확인에 관심을 두고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그 원인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 다. 철근 이음부 및 나사이음에 대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 해석 등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 나사이 음부에서 계측된 변형률 관계에서 기준 체결력이 도입된 실 험체 Fig. 7(b)~(f)와 비교하여 기준 체결력이 도입되지 않은 인장시험체 Fig. 7(g)~(j) 나사 이음부의 변형률에는 거동의 차이가 없어 기준 체결력 도입 여부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Fig. 6.

Tensile test results depending on connection condition

JKSMI-19-40_F6.jpg
Fig. 7.

Load-Displacement-strain relationships depending on connection condition

JKSMI-19-40_F7.jpg
Table 3.

Tensile strength of coupler connected reinforcement rebar depending on clamping condition

Type Clamping force Yield load (MPa) Tensile strength (MPa)
NC-R - 478.56 702.68
PC-R Regulated C.F 470.10 705.29
TC-R Regulated C.F 485.43 701.21
PC-U Unregulated C.F 478.12 702.52
TC-U Unregulated C.F 478.05 703.97

4. 전조나사 철근이음 설치 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평가 실험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은 인장 응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휨하중 상태에서 작용하 는 휨인장응력에 저항하도록 설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조 나사이음 철근의 기계적 구조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는 직접 인장하중 상태뿐만 아니라 휨하중 상태에서 발생하 게 되는 인장하중에 대한 구조적 성능과 이에 따른 철근콘크 리트 보의 거동특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전조나사 철근이음이 설치된 콘크리트 보를 대상으로 휨 하중 상태에서 나타나는 거동 특성이 평가되었다.

4.1 철근이음 설치 휨 성능 실험체

전조 나사이음 철근을 설치한 콘크리트 보의 휨성능을 평 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Fig.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폭 300mm, 높이 450mm 단면의 길이 3,600mm의 철근콘크리 트 보에 이음의 형태와 체결력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체를 제 작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보에 설치한 인장철근의 이음 조건 으로 이음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NC-C serie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겹침이음을 적용한 경우 (NC-L series), 평나사 전 조이음을 적용한 경우 (PC-R)와 변단면 나사 전조이음을 적 용한 경우 (TC-R)를 고려하였다. 또한 인장강도 평가 실험 과 동일하게 나사이음의 체결수준을 기준으로 기준체결력과 비기준체결력으로 구분하여 휨하중에 대한 체결력의 불확실 성에 의한 영향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able 4와 같 이 각각의 실험조건에 따라 3 set의 철근콘크리트 보를 제작 하여 총 18 set의 휨 실험체를 대상으로 전조나사 철근이음 설치 콘크리트 보의 거동이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단면콘크리트 보 단면에는 항복강도가 400 MPa인 지름 22.2mm (#7) 철근이 사용되었으며, 전단보강 철근으로 지름 10mm 인 철근을 150mm간격으로 배치하였으며, 겹침이음과 전조 나사 철근이음은 철근 콘크리트 보의 중앙부 하면에 설시하 였다. 콘크리트는 24MPa의 설계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가 사용되었으며, 겹침이음을 적용한 철근콘크리트보 (NC-L series)의 경우 철근 이음의 겹침길이는 최소 50mm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8.

Flexible loading test specimen (unit : mm)

JKSMI-19-40_F8.jpg
Table 4.

Flexible loading test specimen with coupler connected reinforcement rebar

Specimen Connection coupler Clamping force Number of specimen
NC-Cseries w/o coupler - 3
NC-Lseries w/o coupler - 3
PC-Rseries Parallel coupler Regulated C.F 3
TC-Rseries Tapered coupler Regulated C.F 3
PC-Useries Parallel coupler Unregulated C.F 3
TC-Useries Tapered coupler Unregulated C.F 3

Table 4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휨 성능평가 실험체를 요약 하여 나타낸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보에 설치한 인장철근의 이음 조건으로 이음이 없는 실험체는 NC-C, 겹침이음을 적 용한 경우는 NC-L, 평나사 전조이음을 적용한 경우는 PC, 변단면 나사 전조이음을 적용한 경우는 TC로 나타내었으며, 규격 체결력이 도입된 경우 R, 도입되지 않은 경우 U로 구 분하여 나타내었다.

4.2 철근이음 설치 휨 성능 실험방법

전조 나사이음으로 연결된 철근이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철근이음 종류에 따른 휨 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 중앙단면에 동일한 휨 모멘트를 도입하기 위하여 최대하 중 1,000 kN의 UTM을 이용하여 Fig. 9와 같이 대상 철근콘 크리트 보 실험체 중앙단면을 기준으로 800 mm 구간에 휨 하중을 재하 하였다.

본 연구의 경우 전조 나사이음에 종류와 체결력 불확실성 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성능에 대한 철근 연결이음의 성능과 이에 다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파괴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 보 내부 인장철근과 콘크리트 보 중앙부 상면에 변형률 게이지를 그리고 중앙부 하면에 변위계 (LVDT, Linear Variable Displacement Transducer)를 설치하고 철근 콘크리트 보의 철근이 항복하중에 도달할 때까지 20kN의 하 중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최대하중이후의 최종 균열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하중은 변위제어에 따라 분당 1mm의 정적하중을 재하하였다. Fig. 9는 본 휨 성능평가 철근콘크리트 보에 설치된 변형률 게이 지와 변위계 및 하중재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 9.

Loading and instrumentation condition of flexible loading test specimen (unit: mm)

JKSMI-19-40_F9.jpg

4.3 휨 성능 실험결과

4.3.1 휨 파괴 및 균열 특성

전조 나사이음 철근을 비롯한 다양한 철근이음이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하중 상태에서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 한 휨 실험결과, 철근 이음의 종류와 관계없이 Fig. 10과 같 이 모든 실험체에서 하부 인장균열 발생 및 진전으로 인한 휨파괴 특성이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이음 없는 철근콘크리 트 보에서 균열발생하중의 크기가 크고, 균열분포도 가장 균 등하게 나타났다. 겹침이음 철근콘크리트 보의 경우, 최대하 중 이후 Fig. 10(c)와 같이 겹침이음 부분 콘크리트 피복의 탈락이 발생하였다. 전조 나사이음 철근이음 콘크리트 보의 균열 또한 나사이음의 형태 및 체결력 조건에 관계없이 유사 한 균열 양상 및 파괴양상이 나타났다. Fig. 11은 휨실험 결 과 나타난 철근이음 형태별 철근콘크리트보의 균열분포를 균열하중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Fig. 10.

Flexible failure of specimens

JKSMI-19-40_F10.jpg
Fig. 11.

Flexible crack distribution of specimens

JKSMI-19-40_F11.jpg

4.3.2 이음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 보의 거동

전조 나사이음 철근을 비롯한 다양한 철근이음이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하중-처짐 및 변형률 관계를 Fig. 13에 나타내었다. Fig. 12(a)는 철근이음 종류별 하중-처짐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철근 이음이 없는 철근콘크리트가 철근이음 이 설치된 콘크리트 보다 상대적으로 큰 휨 성능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전조 나사이음을 사용한 경우와 동등한 수준으 로 판단된다. 전조 나사이음이 설치된 콘크리트 보에서 파괴 에 대한 연성효과로 처짐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나, 겹이음 철근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대 하중에 대한 인장철근의 연성 효과의 감소로 휨파괴에 대한 처짐이 작음을 알 수 있다. 또 한, Fig. 12(a)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휨하중 재하로 인하여 Table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인장균열이 발생하게 되면서 하 중-처침 관계가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2(a) 의 하중-처짐 관계로부터 철근이음이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하중 및 최대하중을 Table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 다. Table 5와 Fig. 14에 정리하여 나타낸 것과 같이 이음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와 비교하여 겹침이음 및 전조 나사이 음 철근을 설치한 콘크리트 보의 균열하중, 항복하중, 최대 휨하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겹침이음 철근콘크리트 보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겹 침이음 길이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보의 중앙부에 설치된 철 근 단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철근의 부착 및 정착 응력이 허 용하는 한도 내에서 하중이 증가하나, 하중 증가에 따라 이 음부가 파괴되고 철근이 인장하중을 전달하지 못하게 되어 연성능력이 크게 떨어져 항복과 동시에 파괴가 발생하여 그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Fig. 12(b)는 철근콘크리트 보 단면 상부에 부착된 변형률 게이지의 하중-변형률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콘크리트 보에 인장균열 발생으로 인하여 하중-처짐 관계에서와 같은 변형률 변화가 나타났으며, 겹침이음 철근 콘크리트 보의 압축변형률 변화는 나사이음이나 무이음 철 근보의 거동과 비교하여 그 변화가 작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 인 할 수 있다. 전조나사이음 철근의 경우 무이음 철근보의 압축 변형률 변화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 다. Fig. 12)(c)의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하중에 저항하는 인장 측 철근에서 계측된 하중-변형률 관계로 겹침이음 철근의 경 우 연속적이지 않은 철근배치로 인하여 전조 나사이음이나 이음이 없는 철근의 경우와 비교하여 하중 증가에 대한 변형 율 변화가 작게 나타나고 있다.Fig .13

Fig. 12.

Flexible behaviors of specimens depending on connection coupler type

JKSMI-19-40_F12.jpg
Fig. 13.

Yield and ultimate load and ratio depending on connection coupler type

JKSMI-19-40_F13.jpg
Table 5.

Flexible strength of RC beam with coupler connected reinforcement rebar depending on connection coupler type

Specimen Crack load (kN) Yield load (kN) Ultimate load( kN)
Test value Avg. Test value Avg. Test value Avg.
NC-C1 74.7 71.2 261.5 266.4 275.9 279.1
NC-C2 68.7 267.3 280.6
NC-C3 70.1 270.3 280.7
NC-L1 70.9 69.4 271.8 258.1 284.6 267.3
NC-L2 66.7 254.1 273.4
NC-L3 70.7 248.3 243.8
PC-R1 53.3 61.2 237.3 244.1 253.8 263.4
PC-R2 53.9 248.3 269.1
PC-R3 76.3 246.7 267.5
TC-R1 65.7 77.3 253.4 256.1 263.4 270.8
TC-R2 85.9 256.3 275.7
TC-R3 80.1 258.5 273.3
PC-U1 53.3 57.5 254.0 248.1 264.8 261.6
PC-U2 58.8 251.8 264.2
PC-U3 60.4 238.6 255.8
TC-U1 57.7 55.1 243.1 234.5 262.2 256.9
TC-U2 54.5 231.3 256.3
TC-U3 53.1 229.1 252.2

4.3.3 체결력 불확실성에 따른 콘크리트 보의 거동

나사이음 철근의 이음 체결력 불확실성에 따른 철근콘크 리트 보의 거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중-처짐 및 변형률 관 계를 비교하여 Fig. 14, Fig. 15와 Table 5에 나타내었다.

Fig. 14.

Flexible behaviors of specimens depending on clamping condition

JKSMI-19-40_F14.jpg

Fig. 14, Fig. 15와 Table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콘크리트 보의 항복 및 최대 하중은 나사이음의 연결 철근의 종류에 관계없이 기준 체결력이 도입된 경우 3%~8%로 유사한 수 준을 나타내었으나, 기준 체결력이 도입되지 않은 변단면 나 사이음 실험체 (TC-U series)에서는 이음이 없는 실험체 및 평행 나사이음 실험체에 비하여 항복이 12%, 최대하중이 8%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Fig. 15에 나타낸 것 과 같이 상대적으로 평나사의 경우와 비교하여 그 차이는 상 대적으로 미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변단면 나사이음 의 경우 휨하중에 저항하는 부재로 적용할 경우 나사이음의 충분한 체결력 확보가 구조물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

Fig. 15.

Yield and ultimate load and ratio comparison depending on clamping condition

JKSMI-19-40_F15.jpg

4.3.4 이음 철근의 연성거동 효과

휨 인장하중 상태에 있는 전조 나사이음 철근의 거동특성 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철근의 항복하중에 대한 변위와 최대변위의 관계를 이용하여 연성거동 효과를 분석 하였으며, 연성비는 최대변위에 대한 철근의 항복하중변위의 비로 정의되었다. Table 6은 본 실험결과 나타난 철근의 항 복하중과 항복하중 변위 및 최대 변위를 정리하여 연성비를 표현하여 나타낸 것이다. Table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음 형태별 철근의 항복하중은 이음이 없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겹침이음과 전조 나사이음연결의 항복하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겹침이음의 경우 철근의 겹침 부분으로 인한 인장균열과 상대적인 철근변형 의 제한으로 철근콘크리트 보에서의 연성거동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나사와 변단면 나사이 음 철근의 경우 체결력에 관계없이 이음 없는 철근의 경우와 유사하거나 큰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 성거동 효과는 이음이 있는 철근콘크리트보의 경우 Table 5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이 낮은 하중에서 발생하게 됨으로 상대적으로 콘크리트 보의 강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발생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연성효과는 나사 가공 방법 및 체결력 도입 여부와 관계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변단면 나사 이음 방법 의 인장시험 결과에서는 이음의 존재 유무에 따른 연성 능력 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도 철근 이음매 를 설치한 경우에 급격한 단면 변화부의 응력집중 발생으로 연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콘크리트 내부에서 철근의 기계적 이음의 역학적 거동은 철근 이음의 기계적 성질에만 의존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Ductility ratio of flexible loading test RC beam

Specimen Yield load [kN] Displacement at yield load [mm] Maximum Displacement [mm] Ductility ratio Avg
NC-C1 261.5 14.4 39.1 2.7 2.7
NC-C2 267.3 13.3 39.5 3.0
NC-C3 270.3 13.2 33.4 2.5
NC-L1 271.8 11.2 26.5 2.4 2.0
NC-L2 254.1 11.2 30.7 2.8
NC-L3 248.3 12.5 12.5 1.0
PC-R1 237.3 11.2 53.5 4.8 4.0
PC-R2 248.3 16.6 51.7 3.1
PC-R3 246.7 12.8 50.4 4.0
TC-R1 253.4 17.4 49.7 2.9 3.1
TC-R2 256.3 15.1 43.6 2.9
TC-R3 258.5 12.6 46.5 3.7
PC-U1 254.0 12.6 26.8 2.1 3.6
PC-U2 251.8 12.3 44.7 3.6
PC-U3 238.6 12.1 59.4 4.9
TC-U1 243.1 13.0 50.8 3.9 3.9
TC-U2 231.3 15.5 53.4 3.4
TC-U3 229.1 12.8 55.7 4.4

기존의 실험 및 연구결과들이 대부분 철근 이음방법의 기 계적 특성만을 확인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이 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내에서의 거동을 정확히 파악한 연 구결과는 많지 않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된 철근 이음의 구조적 거동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철근의 기계적 이음 방법 중 기존의 철근 모재 단부를 절삭에 의해 변단면 나사로 제작하는 방식을 개 선하여 모재 단부를 전조 한 후 나사 가공한 전조 변단면 나 사이음의 구조적 성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조 변단 면 나사이음을 통하여 연결된 철근의 인장강도 실험과 이를 적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휨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변단면 전조나사 이음방법을 적용한 ASTM A 615 grade 60의 #11 (35.8 mm), #14 (43 mm), #18 (57 mm)철 근 시편의 인장실험결과, 각 실험체의 인장강도가 이 음하지 않은 철근의 인장실험 결과와 유사하였고, 모 든 파괴가 철근 모재에서 발생하여 전조 변단면 나사 이음 방법이 기존의 평행 나사 이음방법과 유사한 수 준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평행 나사 이음과 변단면 전조나사 이음의 인장실험에 서 평행나사이음과 비교하여 변단면 나사이음으로 연 결된 철근에서는 변단면 나사이음의 형상적인 특징으 로 체결력이 도입되지 않은 경우 이음과 철근의 분리 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평행나사이 음과 동일한 수준의 철근의 항복 및 인장강도를 가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평행 나사이음과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 한 경우에서는 이음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유사한 거동 양상이 나타났으나, 이음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3~8%의 휨 강도 저하가 발생하였고 특히, 기준 체결력을 도입하 지 않은 전조 변단면 나사이음에서는 약 12%의 강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4. 철근콘크리트 보의 내부에서 평행 및 변단면 전조 나 사 이음을 한 경우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이 낮은 하 중에서 발생에 따른 상대적 콘크리트 보의 강성 감소 로, 연성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 한 연성효과는 나사 가공 방법 및 체결력 도입 여부와 관계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변단면 전조나사 이음 철근의 연결성능이 평가되었으나, 전조나사이음을 적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내 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계적 이음에 의한 강도 평가 및 연 성능력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동 남지역사업평가원”의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육성사업”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

References

1 
(2013), Korean Building Code-Structural
2 
(2014), Structural Analysis of Taper-Threaded Rebar Couplers, Transaction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Spring Meeting
3 
(2005), A study on development of mechanical rebar anchorage and splices
4 
(2011), Experimental evaluation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large diameter reinforcing steel bars with spliced sleev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5(1), 180-187.
5 
(2012), A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Change depending on the Taper Thread Mechanical Splices with Manufacturing Method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1), 205-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