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RHA, 코코넛 섬유, 균열, 압축강도, 성능개선
Rice ash husk, Coconut fiber, Crack, Compressive strength, Performance improvement

1. 서 론

콘크리트는 경제적이며, 고내구성을 가진 건설재료이므로 다양한 부재에 사용되어 왔다. 보통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의 1/8~1/12 정도로 매우 약하고 취성거동을 보이 므로 압축부에 주로 사용된다. 낮은 인장강도 및 취성파괴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섬유재 (Fiber)를 이용하여 균열저항 성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섬유가 가장 많이 활용되어왔는데, 이는 인장강도, 휨강도, 균열제어 성능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연 성거동을 유도하여 내진성능을 뛰어나게 향상시킨다 (ACI, 1999; Adsbar et al., 1997; Cho et al., 2012). 또한 고연성 복합재료 (ECC: Engineering Cementitious Composites)와 같은 섬유재는 인장연화뿐 아니라 RC 보강재와 같이 인장경 화성능을 유도하므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Lee, 2012; Li, 1998). 이러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취성파괴의 단점을 개선 하는데, 균열발생이후 미세균열이 넓게 분포하도록 하는 브 리징효과 (Bridge effect)가 주된 균열저항 기구이다. 이러한 섬유재는 하중에 의한 균열저항 뿐 아니라 수화열, 건조/소 성수축균열과 같은 재료적인 균열저항성에 더욱 효과적이다 (Choi et al., 2014a; Choi et al., 2014b).

또한 일부 수분을 포함한 섬유재를 활용하여 균열저항성 을 증가시키고 내부양생 (Internal curing)을 통해 수화물을 더욱 풍성하게 형성시키는 연구도 수행되었다 (Shah, 1992).

현재 공학적 화두중 하나인 CO2 저감 및 친환경 건설재료 개발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사회적, 공학적으로 많은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1톤의 시멘 트 생산시 0.9톤 정도 CO2가 발생하므로, 혼화재료 (Mineral admixture)의 사용을 통해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면서 콘크리 트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 인 혼화재료는 FA (Fly Ash)와 GGBF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가 있는데, 포졸란 반응 및 잠재수경성 반응을 통하여 장기 내구성 향상에 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 었다 (Song et al., 2005; Thomas and Bamforth, 1999; Kwon and Song, 2010).

최근 들어 왕겨회 RHA (Rcie Husk Ash)를 혼화재료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RHA 역시 소성과정과 Ca(OH)2과의 반응을 통해 CSH를 형성하므로 인도 및 동남 아 등지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Chindaprasirt et al., 2008; Ramznianpour et al., 2009; Rukzon et al., 2009). 특히, RHA의 뛰어난 포졸란 반응은 다량의 비정형 실리카 성분과 높은 비표면적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장점은 1] RHA의 작은 평균공극크기, 2] 80Å 정도의 평균공극분포와 다량의 meso-pore에 흡수되는 자유 수의 증가에 따른 실질적인 w/c 비의 감소효과, 3] 시멘트 수화반응의 활성화, 4] RHA내의 실리카 성분과 시멘트 내 의 Ca2+, OH-, Ca(OH)2의 수화반응에 따른 다량의 CSH의 형성 등으로 알려져 있다 (Sugita et al., 1997).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용되고 있는 RHA를 다양한 혼입비 로 투입하여 OPC 및 RHA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천연 섬유인 코코넛 섬유를 혼입하여 역학적 성능 변화를 고찰하 였다. 천연섬유를 혼입재로 활용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었으 나 (Ali and Chouw, 2013; Ali, 2014), RHA와 같이 결합재 특성을 고려한 배합에 코코넛 섬유를 혼입하여 실험한 연구 는 매우 제한적이다. OPC 콘크리트 이외에 RHA를 10%, 20% 혼입한 배합에 코코넛 섬유를 0.125~0.375% 혼입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쪼갬 인장강도, 내충격성, 부착성을 평가 하였으며, RHA 콘크리트의 연장거동 및 균열저항성이 평가 되었다.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사용재료 및 배합특성

본 연구에서는 OPC (Ordinary Portland Cement)가 사용 되었으며, IS 383-1970에 맞는 잔골재 및 굵은 골재가 사용 되었다. 배합수로는 적정 pH (7~8.5)를 가진 일반배합수가 사용되었으며, 열처리된 직경 12mm, 길이 70mm의 철근 (TMT: Thermo Mechanically Treated)이 부착성능평가를 위해 사용 되었다. Table 1에서는 잔골재 및 굵은골재 특성을 나타내었 으며, Table 2에서는 OPC 및 RHA의 화학적 성분을 나타내 었다.

Table 1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nd coarse aggregate

F.M. Density(g/cm3) Absorption(%)
Fine Coarse 2.2 6.4 2.41 2.78 1.2 0.8
Table 2

Chemical composition of OPC and RHA

Compound(%) OPC RHA
SiO2 20~21 85.49
Al2O3 5.2~5.6 0.13
Fe2O3 4.4~4.8 0.45
CaO 62~63 3.68
MgO 0.5~0.7 1.55
SO3 2.4~2.8 0.05
Loss onignition 1.5~2.5 3.02
Na2O - 0.23
K2O - 0.19

RHA는 인도산으로 650°C에서 소성된 일반 RHA를 사용 하였다. Table 3에서는 코코넛 섬유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 었으며, Table 4에서는 본 실험을 위한 배합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3

Physical properties of coir fiber

Aspect ratio Diameter (mm)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400,800 0.48~0.50 0.87 210
Table 4

Mix proportions for RHA concrete with coconut fiber

Mixing cases OPC(%) RHA(%) CoconutFiber Vf(%) w/cratio
OPC 100 - 0.52
OPC+10 RHA 90 10
OPC+20 RHA 80 20
OPC+0.125% 100 - 0.125
OPC+10 RHA+0.125% 90 10 0.125
OPC+20 RHA+0.125% 80 20 0.125
OPC+0.250% 100 - 0.250
OPC+10 RHA+0.250% 90 10 0.250
OPC+20 RHA+0.250% 80 20 0.250
OPC+0.375% 100 - 0.375
OPC+10 RHA+0.375% 90 10 0.375
OPC+20 RHA+0.375% 80 20 0.375

W/C를 0.55로 고정하고 물: 잔골재: 굵은 골재의 비를 1: 1.8: 3.69로 혼입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RHA의 중량 치 환률을 0%, 10%, 20%로 변화시켰으며, 코코넛 섬유의 체적 비를 0.125%, 0.250%, 0.375%로 변화시켰다. 코코넛 섬유 는 일반 공학용으로 사용되는 섬유 (PE, PP)보다 엉김이 심 하여 작업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20mm, 40mm로 분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코코넛 섬유는 24시간동안 수 중 침지하였고, pH 8 이상을 만족하도록 NaOH 3% 처리를 하였으며 변색이 있는 섬유재의 경우는 실험에서 제외하였 다. Fig. 1에서는 사용된 코코넛 섬유 및 동종 섬유의 SEM 사진을 나타내었다.

Fig. 1.

Photo and SEM of coconut fiber (Abdullah et al., 2011)

JKSMI-19-117_F1.jpg

배합순서는 시멘트, 코코넛 섬유, RHA를 투입하고 이후 골재를 투입하여 건비빔을 수행하고 이후 정해진 배합수가 투입된 후 본 비빔을 수행하였다. 봉다짐 및 태핑을 하여 시 편을 제조하였으며, 24시간 기건 양생 후 몰드를 해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편제조 후 28일 수중양생을 거친 뒤 시험 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섬유재 혼입은 슬럼프를 저하시키 는 데, 강섬유와 비슷한 수준의 저하로 알려져 있다 (Sivaraja, 2010).

2.2 실험항목 및 개요

압축강도시험의 경우, 100mm×100mm×100mm의 육면체 몰드가 사용되었으며, 각 경우에 대해 세 개의 시편을 제조하 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하중인가속도는 140kN/m를 준수하 였다. 쪼갬인장강도 시험을 위해 지름 60mm, 높이 100mm가 제조되었고, 휨강도 평가를 위해서는 500mm×100mm×100mm 의 보 몰드를 제조 후 휨시험을 수행하였다. 최종 파괴후의 하중 및 변위를 측정하였으며, 파괴된 시편에 대하여 균열폭 이 측정되었다. 내충격성 시험 (Drop weight impact 시험)에 대해서는 높이를 500mm에서 시작하여 100mm씩 증가시키 면서 560g의 무게추를 시편 (300mm×230mm×10mm)의 중 앙에 낙하하여 균열 및 파괴양상을 평가하였다. 또한 Pull out test을 위해 100mm×100mm×100mm 시편이 준비되었으 며 몰드 바닥면으로부터 10mm의 거리를 두어 중앙에 철근 을 매립하였다. 시험을 위하여 60톤급의 UTM이 사용되었는 데 최종 인발길이가 0.25mm일 때의 하중을 부착응력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시편은 전술한대로 제조 후 1일 기건 양생 후 몰드를 해체하였으며 4주간의 수중양생을 거친 뒤, 시험을 수행하였 다. Table 5에서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험과 시험에 관련 된 따른 규격을 나타내었다.

Table 5

Tests and the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Items Related standards
Compression test ASTMC109/C109M
Split tensile test ASTMC496-90
Flexural test ASTMC78-09 Crack width and pattern evaluation
Impact resistance test Nonstandard Still ball drop test
Pullout test IS 2770-67

Fig. 2에서는 pull out 시편의 제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IS 2700에서는 부착력 시편 제조시 국부파괴방지를 위해 내부 에 코일을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Fig. 2.

Specimens for pull-out test

JKSMI-19-117_F2.jpg

3. 천연섬유를 혼입한 RHA 콘크리트의 거동 평가

3.1 압축강도 평가

Fig. 3에서는 압축강도 시험 사진을 나타내고 있으며, Fig. 4에서는 RHA 첨가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 다. RHA를 많이 혼입한 배합은 포졸란 반응에 의해 수화가 지연되므로 장기강도는 우수하지만 초기재령에서는 낮게 평 가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RHA의 혼입비가 필요하다.

Fig. 3.

Photo for compressive strength test

JKSMI-19-117_F3.jpg
Fig. 4.

Compressive strength with varying RHA addition

JKSMI-19-117_F4.jpg

또한 Fig. 5 및 Fig. 6에서는 길이 20mm 및 40mm를 가 지는 RHA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Fig. 5에서 볼 수 있듯이 섬유재의 혼입률에 대한 영향은 OPC인 경우 0.125% 혼입할 경우 최대값을 보였으나 큰 영향은 없 었으며, RHA 10% 및 RHA 20%를 혼입한 경우 강도가 크 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섬유재의 길이가 40mm인 Fig. 6의 결과도 Fig. 5와 매우 흡사하다. 섬유재의 영향보다는 RHA의 첨가량이 지배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10% 혼입에서 40.0MPa 을 나타내었다. 이는 OPC만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강도보 다 1.7배 가량 증가하였는데, 포졸란 반응에 따른 강도개선 효과 및 높은 분말도에 따른 Packing 효과라고 할 수 있다 (Ramznianpour et al., 2009). 일반적으로 섬유재의 혼입은 압축강도 개선효과는 크지 않으며, 인장강도 증진에 효과적 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Choi et al., 2004a,b; Cho et al., 2012). Fig. 5~Fig. 6의 결 과에서 10%의 RHA 혼입은 강도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내 고 있으며, 20mm 섬유혼입이 40mm 섬유 혼입보다 강도개 선효과가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이는 섬유재가 긴 경우 엉김 현상이 크므로 콘크리트 믹싱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이며 특히 코코넛 섬유인 경우 흡수율이 매우 높으므로 짧은 섬유 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코코넛 섬유 혼 입에 따라 1.5% 혼입까지 약간의 선형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큰 수준은 아니었다 (Sivaraja, 2010).

Fig. 5.

Compressive strength of OPC and RHA concrete with fiber of 20mm length

JKSMI-19-117_F5.jpg
Fig. 6.

Compressive strength of OPC and RHA concrete with fiber of 40mm length

JKSMI-19-117_F6.jpg

3.2 쪼갬인장강도 평가

Fig. 7 및 Fig. 8에서는 20mm 및 40mm 코코넛 섬유를 혼입한 OPC 및 RHA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 결과를 나 타내었다. Fig. 7에서 알 수 있듯이 쪼갬 인장강도는 RHA 치환률에 의한 영향보다 섬유재의 혼입에 따른 영향이 지배적 임을 알 수 있다. 섬유재가 20mm의 경우 0.125%와 0.250% 의 혼입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0.375%인 경우는 편차가 증가하였다. 40mm의 경우 0.125%에서 최대값이 평 가되었으며, 4.28MPa의 인장강도를 나타내었다. 40mm 섬 유재의 경우 0.125% 혼입시 평균 3.64MPa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20mm 섬유재인 2.28MPa보다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0.250% 이상의 섬유재를 혼입할 경우 큰 인장강도 개선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인장강도의 개선은 초기균열제어에 효과 적인 섬유재의 브리징 효과 (Bridging effect)로 알려져 있다.

Fig. 7.

Tensile strength of OPC and RHA concrete with fiber of 20mm length

JKSMI-19-117_F7.jpg
Fig. 8.

Tensile strength of OPC and RHA concrete with fiber of 40mm length

JKSMI-19-117_F8.jpg

인장강도 역시 코코넛 혼입률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데 (Sivaraja, 2010), 기존의 식과의 비교를 Fig. 7 및 Fig. 8 에 나타내었다.

Fig. 7에서는 비교적 기존의 연구와 비슷한 값의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Fig. 8에서는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비교적 형상비 (l/d)가 작은 코코넛 섬유 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3.3 휨강도 평가

3.3.1 휨강도 및 변위

본 절에서는 휨하중 재하에 따라 최대하중과 파괴시의 최 대 변위를 분석하였다. Fig. 9에서는 휨파괴 시험시의 사진 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결과를 섬유재 길이 20mm 인 경우 는 Fig. 10에, 40mm인 경우는 Fig. 11에 나타내었다. 처짐 의 측정은 UTM의 재하지점에서 자동적으로 측정되는 값을 평균하여 사용하였다.

Fig. 9.

Photo for compressive and tensile test

JKSMI-19-117_F9.jpg
Fig. 10.

Load and displacement with varying fiber reinforcement (l=20mm)

JKSMI-19-117_F10.jpg
Fig. 11.

Load and displacement with varying fiber reinforcement (l=40mm)

JKSMI-19-117_F11.jpg

Fiber 길이가 20mm일 경우에는 코코넛 섬유의 첨가량에 따라 휨강도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0.125%~0.250% 수 준에서 처짐이 크게 증가하여 연성을 크게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PC 및 10 RHA에서는 0.125%에서 최대 처짐 이, 20RHA에서는 0.250%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하였다. 그 러나 첨가량이 0.375%에서는 모두 처짐의 감소가 발생하였 다. 코코넛 섬유의 길이가 40 mm인 경우는 0.375%에서 10 RHA에서 강도 저하가 발생하였으며, 처짐에서는 비슷한 양 상을 보이고 있다. 섬유재의 품질변동에 따라 성능변화가 발 생하기도 하지만, 0.125~0.250% 첨가에 따라서 콘크리트의 취성파괴를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3.3.2 섬유재 길이에 따른 효과

섬유 길이에 따른 하중비 및 처짐비를 분석하면 Fig. 1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 12에서는 OPC에 대한 최대 하중 비 및 변위비를 섬유재의 길이에 따라 비교한 것이다. 하중 비에서는 큰 차이는 없으나 40 mm의 경우 0.375% 첨가시 강도저하가 상당히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20 mm의 경 우 안정적인 보이고 있다. 변위의 경우 20 RHA의 경우 40 mm에서 큰 변위가 발생하였으나, 20 mm 경우 OPC와 10 RHA에서 안정적인 변위 증가를 보이고 있다.

Fig. 12.

Comparison of load and displacement ratio

JKSMI-19-117_F12.jpg

실험후 휨 구간 저면에서의 균열폭 측정결과는 Fig. 13(a) 에 길이 20 mm를, Fig. 13(b)에 길이 40 mm의 결과를 나타 내었다. 본 실험에서 코코넛 섬유를 넣지 않은 경우는 지나 친 취성파괴이므로 휨 균열폭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Fig. 13.

Crack width after flexural test

JKSMI-19-117_F13.jpg

최소 균열폭은 섬유재 첨가량이 많은 0.375% 그룹과 길이 40 mm에서 평가되었는데, 0.075 mm (20 RHA)와 0.082 mm (10 RHA) 수준이었다. 최대 균열폭은 섬유재 첨가량이 적은 길이 20 mm, 0.125% 그룹에서 평가되었고 20 RHA에 서 1.802 mm가 측정되었다. 균열폭 특성만 보면 섬유재 첨 가량이 많고 (Vf=0.375%), 길이가 긴 섬유재 (40 mm)가 효 과적임을 알 수 있다.

3.4 내충격성 평가

Fig. 14에서는 20 mm 섬유를 혼입한 시편의 내충격성 결 과를 나타내고 있다. OPC + 0.250% 경우가 0.03 Nm로 가 장 큰 에너지를 저항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10 RHA 및 20 RHA에서는 0.250% 이상의 섬유혼입비가 우수한 특성을 나 타내었다. 충격에너지는 RHA 혼입 유무보다 섬유재의 혼입 이 더욱 지배적인데, 이는 충격에 의한 초기 균열억제 효과 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섬유 혼입비 0.250%에서 모든 배합이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Fig. 14.

Impact energy in OPC and RHA concrete with fiber

JKSMI-19-117_F14.jpg

3.5 부착력 평가

섬유재 혼입이 0.125%일 모든 배합에서 부착력이 최대로 평가되었으며, 10 RHA 일 경우, 평균 부착력이 9.615 MPa 로 OPC (8.890 MPa) 및 20 RHA (8.118 MPa)보다 큰 수 준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10%의 RHA 첨가인 경우 가장 큰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Fig. 15에서는 부착력실 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 15.

Pull-out strength in OPC and RHA concrete with fibers

JKSMI-19-117_F15.jpg

4. 결 론

코코넛 섬유 혼입률에 따른 RHA 및 OPC 콘크리트의 역 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섬유재의 혼입률에 대한 영향은 OPC인 경우 0.125% 혼입시 최대값을 보였으나 큰 영향은 없었으며, RHA 10% 및 RHA 20%를 혼입한 경우 압축강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섬유재의 영향보다는 RHA의 첨가량이 압축강도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10% 혼입에서 압축강도는 OPC 대비 171% 증가하였다.

  2. 쪼갬 인장강도 평가에서는 섬유재 40 mm를 사용할 경우 0.125% 치환시 최대값이 평가되었으며, 그 이상 의 혼입에 따라서 뚜렷한 강도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휨강도에서는 섬유재 증가에 따라 하중개선효 과는 뚜렷하게 없었으나, 연성이 확보되어 처짐의 증 가 및 균열폭 감소 등이 평가되었다. 내충격성 평가에 서는 혼입량의 영향이 지배적이었으며, 0.125%에서 최대값이 평가되었다. 부착력 평가에서는 동일한 섬유 혼입비에서 강도가 최대로 평가되었으며, 10% RHA 치환한 배합에서 최대값이 평가되었다. 부착력의 경우 압축강도가 지배적인 영향인자이기 때문이다.

  3. 전반적으로 천연섬유 혼입은 0.125% 수준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10% RHA를 치환한 경우 가장 효과 적인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천연섬유와 RHA의 사용을 통한 건설재료의 개발은 친환경성 뿐 아니라, 콘크리트의 취성과 같은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판 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 (FRP Hybrid Bar를 활용한 해양항만구조물 수명향상 기술 개발)의 연구 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저자는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11), Composite cement reinforced coconut fiber: Physical and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e behavior, Australian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ce, 5(7), 1228-1240.
2 
(1999), Design Consideration for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544.4R, 12-24.
3 
(1997), Shear tests of fiber concrete beams without stirrups, ACI Structural Journal, 94(1), 68-76.
4 
(2008), Strength, porosity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ernary blend Portland cement, rice husk ash and fly ash morta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2(8), 1601-1606.
5 
(2012),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by applying steel fiber-reinforced mortar at plastic hinge reg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 (in Korean), 24(3), 241-248.Google Search
6 
(2014a), Experimental Study on Tension-Hardening and Softening Characteristics in Reinforced Mortar with CSA Expansion Ag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in Korean), 18(1), 101-110.Google Search
7 
(2014b),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Crack Resistant Performance in Concrete with Steel Fiber Reinforcement and CSA Expansive Admixtu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8(1), 75-83.
8 
(2010), Analysis of carbonation behavior in concrete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carbonation modelin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40(1), 119-127.
9 
(2012), 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Low Viscosity Suitable for Grouting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6(1), 55-63.
10 
(1998),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 Tailored Composites through Micromechanical Modeling, Fiber Reinforced Concrete Present and the Future, 64-97.
11 
(2014), Seismic performance of coconut-fibre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different reinforcement configurations of coconut-fibre rop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 70(15), 681-690.
12 
(2013),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coconut-fibre rope tensile strength and pullout from coconut fibre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41, 681-690.
13 
(2009), The effect of rice husk ash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sustainable concr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7(2), 83-91.
14 
(2009), Effect of grinding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rice husk ash, International Journal of Minerals Metallurgy and Materials, 16(2), 242-247.
15 
(1992),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16 
(2010), Application of Coir Fibers as Concrete Composites for Disaster Prone Structures - R&D Project Report, Kongu Engineering college, Perundurai
17 
(2005), A Study on analytical technique of chloride diffus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ixture design for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mineral admixture, Journal of KSC, (in Korean), 25(1A), 213-223.Google Search
18 
(1997), The Concrete Way to Development, FIP Symposium 1997, Johannesburg, South Africa, 2, 621
19 
(1999), Modeling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Effect of fly ash and sla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9(4), 487-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