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순환굵은골재, 하이브리드섬유, 내진성능, 외부 보-기둥 접합부
Recycled coarse aggregate, Hybrid fiber, Seismic performance, Exterior beam-column joint

1. 서 론

현재 국내·외에서는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 되고 있으며, 각 국에서는 환경보존을 위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발전 가능한 친환경재료 및 친환경공법이 요구되고 있 다. 또한, 최근 사회적 요구에 따라 뉴타운개발, 재개발, 재 건축 등이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1970년대 이후 고도성장시기에 건설된 많은 공동주택과 업무용 건물 등이 노후화되기 시작하여 현재 재건축 및 재개발 단계에 이 르렀으며, 재개발 및 재건축 등의 건설공사의 증가로 인하여 건설부산물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건설부산물에 대한 적정처리 및 재활용 촉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부산물의 활용을 위한 국가적인 정책제안 및 기술개발 지원을 통하여 환경보존을 통한 지속발전 가능한 친환경 건 설재료 및 친환경공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ee et al., 2009; Korea Concrete Institute, 2010).

전체 건설부산물 중 폐콘크리트의 비중은 68.5%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재자원화로 인하여 순환골재 로 생산된다. 그리고 정부에서도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를 인 지하여 2003년 12월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안”을 제정 공포하여 순환골재 생산을 촉진시켜 천연골 재를 대체할 수 있도록 시행령 제 5조 (순환골재등 의무사용 건설공사의 범위)에 따라 일정규모 이상의 공사에 관하여 순 환골재 사용을 의무화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여 순환골재의 재활용률은 높다. 하지만 순환골재의 경우 대부분 도로보조 기층용, 성토용, 콘크리트용으로 사용은 되고 있으나 대부분 콘크리트 2차 제품 및 버림콘크리트용 등으로 비구조재료 적 용이 되고 있으며, 순환골재를 구조재료용으로 구조물에 적용 한 실적은 거의 미비한 상황이다. 국외의 경우 다수의 구조물 적용사례가 있으며,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고려하여 천연골 재와 순환골재를 혼합하여 콘크리트에 적용하였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그러나 순환굵은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 에 비해 시공성과 역학적 특성의 불리함과 불순물을 포함 할 수 있으며, 모르타르로 인한 높은 흡수율을 가지게 되면서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어 배합시 단위수량이 많이 소요된다. 이로 인하여 강도특성이 감소되고 탄성계수가 낮아지고 건 조수축 및 크리프가 증대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 여 인장강도와 탄성율이 높은 섬유복합재료를 적용하면 휨 강도, 인장강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 연성, 내충격성, 전단강 도 등의 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다 (Park, 199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환굵은골재와 고로슬래그미분말 을 치환한 콘크리트에 내력과 연성능력, 에너지 소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장강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 등의 장점 을 가진 강섬유와 PVA섬유를 활용한 하이브리드섬유를 철 근콘크리트 건축물에서 지진하중과 같은 횡력이 작용할 때 가장 취성적이고 응력 부담이 높은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 합부의 위험단면영역에 적용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증대시 키고자 한다. 따라서, 순환굵은골재 치환과 하이브리드섬유 혼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파괴양상 및 이 력거동, 에너지소산 등을 고찰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고 철 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순환굵은골재 치환과 하이브리드섬유 혼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실험

2.1 실험체의 형태 및 변수

지진하중과 같은 반복 주기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외 부 보-기둥 접합부에 순환굵은골재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치 환과 하이브리드섬유(강섬유+PVA섬유) 혼입에 따른 내진성 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구조물의 1/2정도의 크기로 축소 한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 부의 설계는 ACI Building code (318-11) 및 ACI-ASCE 352위원회의 권장안, 국토교통부 콘크리트 구조설계 규준의 권장안에 따라 설계되었다.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의 변수 및 내용은 Table 1과 같고, 각 실험체의 상세는 Fig. 1(a)~(b)에 나타나 있다.

Fig. 1.

Details of specimen (unit: mm)

JKSMI-19-160_F1.jpg
Table 1.

Design parameters of test specimens

Specimen Replacement ratio of blast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 PVA fiber content (%) Steel fiber content (%) Design Methods and Parameter
BCJS (Standard specimen) - - - - -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ACI-ASCE 352, ACI 318-11
BCJGP 30% 0% 0.2% - - Blast furnace slag
BCJGPR1 30% 20% 0.2% - - Blast furnace slag
BCJGPR2 30% - Recycled coarse aggregate
BCJGPR3 40% - PVA fiber
BCJGPSR1 30% 20% 0.2% 0.75% -Beam-Column joint(1.5D)
BCJGPSR2 30% Hybrid fiber (Steel fiber+PVA fiber)

2.2 사용재료 특성

2.2.1 철근

실험체에 사용된 철근은 국내에서 생산된 SD400의 철근 을 사용하였으며, 보의 주근은 D19, 기둥의 주철근은 D16, D19, 전단보강근에는 D10을 배근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 사용된 철근의 재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KS B 0801 (금속재료 인장시험편)에 따라 시험편을 제작하였으며 KS B 0802의 금속재료 인장시험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Material properties of Reinforcing Bar

Bar size Yield strength (MPa) Tensile strength (MPa) Modulus of elasticity (MPa)
D10 478.8 605.7 2.1 105
D16 464.7 600.4 2.0 105
D19 473.8 614.9 2.0 105

2.2.2 콘크리트

본 실험체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27MPa이 며 콘크리트의 배합표는 Table 3과 같다. 각 실험체는 콘크 리트 타설과 함께 압축강도용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Table 3.

Mix proporti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MPa) W/C (%) S/A (%) Mix proportion (kg/m3) Slump (mm)
C W S A
27 43 42 395.35 170 723.27 1021.95 120

압축강도용 원주형 공시체는 Φ100×200mm 몰드를 사용 하여 KS F 2405에 따라 몰드를 3개 층으로 나누어 각 층을 25회씩 봉다짐하여 제작하였다. 공시체는 제작 후 즉시 비닐 을 덮어 수분 증발을 방지하였으며, 재령 28일까지 수중양생 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U.T.M으로 압축강도 시험을 하였다. Table 4에 나타난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압축강도용 원주 공 시체의 시험 결과에 대한 평균값이다. 각 실험체의 압축강도 실험결과, 순환굵은골재 치환율이 증가 할 경우 순환골재의 미립분 등으로 인하여 강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 나, 하이브리드섬유(PVA섬유+강섬유)를 혼입할 경우에는 하이브리드섬유가 균열과 균열사이에서 가교역할을 하여 콘 크리트의 강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Test result of concrete strength (unit:MPa)

Specimen 3 7 28
Age (day)
BCJS 18.9 25.1 34.2
BCJGP 14.8 20.3 27.8
BCJGPR1 14.5 19.5 26.5
BCJGPR2 14.2 19.3 25.9
BCJGPR3 15.5 22.6 30.4
BCJGPSR1 14.6 21.2 29.9
BCJGPSR2 15.6 20.2 29.4

2.3.3 굵은골재

콘크리트에서는 굵은골재의 입경이 작은 것이 강도 발현 에 유리하며, 골재의 입형은 골재와 시멘트페이스와의 부착 력 증대를 위해 둥근 골재보다는 다각형의 쇄석이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최대직경 25mm의 쇄석을 사용하였으며 물리 적 성질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Properties of coarse aggregate

Weight of unit volume (kg/m3) Finenss modulus (% Specific gravity Absorbing ratio (%) Maximum diameter (mm)
1,538 6.77 2.65 1.1 25

2.2.4 순환굵은골재

순환굵은골재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생산된 최대치수 25mm의 굵은골재를 사용하였다. 물리적 성질은 Table 6과 같으며, KS F 2573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에서 제한하고 있 는 순환굵은골재의 흡수율 3% 이하를 만족하고 있다.

Table 6.

Properties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Weight of unit volume (kg/m3) Fineness mod lus (%) Specific gravity Absorbing ratio (%) Maximum diameter (mm)
1,446 6.74 2.29 2.37 25

2.2.5 고로슬래그 미분말

시멘트를 대체하기 위하여 철강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정하였다. 고로슬래그미분말은 콘크리트의 수밀성 및 장기강도 향상 및 화학저항성 증대를 도모한다. 본 실험 에서는 KS F 2563의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미분말 규정을 만족하는 국내 H사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3종을 사용하였으 며, 분말도는 4,000cm2/g이고, 성분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OPC)와 같이 주로 이산화규소 (SiO2), 산화알루미늄 (Al2O3), 산화칼슘 (CaO)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소량의 산화망간 (MnO), 산화철 (FeO), 황 (S), 알칼리 (Na2O, K2O)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화학성분은 철광석의 품질에 따라 차 이가 있다. Table 7은 고로슬래그미분말의 화학성분이다.

Table 7.

Chemical component of blast furnace slag

Type SiO2 Al2O3 SO3 MgO CaO MnO Fe2O3 TiO2 K2O
Slag 34.7 13.8 0.95 4.38 44.6 0.24 0.11 0.74 0.48

2.2.6 PVA섬유

실험체에 사용된 섬유는 Fig. 2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섬 유 중에서 분산성, 시공성,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K사에서 생산되는 길이가 12mm인 PVA섬유 REC15로 선정하였으 며, 사용된 섬유의 물리적인 특성은 Table 8과 같다.

Fig. 2.

PVA fiber

JKSMI-19-160_F2.jpg
Table 8.

Properties of PVA fiber

Diameter (μm) Length (mm) Nominal strength (MPa) Elongation (%) Oiling agent content (%) Young’s modulus (GPa)
39 12 1620 6 0.8 38.9

2.2.7 강섬유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강섬유는 국내 C사에서 생산된 단면 이 원형으로 양끝이 갈고리(Hook)형이며 치수는 ø8×50mm 로 강섬유가 각각 분리된 것을 사용하였다. 강섬유의 형상 및 크기와 물리적 특성은 Table 9와 같다.Table 10

Table 9.

Properties of Steel fiber

Type Size (mm) Aspect ratio (L/D) Specific gravity Yield strength (MPa) Tensile strength (MPa) Modulus of elasticity (MPa)
Hook 0.8 50 62.5 7.85 238 340 1.8 105
Table 10.

Comparison of load-carrying capacity as a function of displacement ductility

NO. BCJS BCJP BCJGPR1 BCJGPR2 BCJGPR3 BCJGPSR1 BCJGPSR2
1 45.2 46.6 49.2 49.6 48.3 47 52.2
2 68.4 82.4 78.8 76.8 75.6 78.7 85.7
3 86.4 98.8 100.6 98.4 99.1 101.3 109.2
4 98.6 113.8 114.1 109.8 113.9 117 120.6
5 112.7 117.2 117 112.5 118.8 120.5 122.4
6 125.5 121.2 118.8 113.2 117 120.2 121.9
7 122 125.5 121.6 115.3 116.7 122.7 122.7
8 122.4 128.8 124.2 117.8 113.5 126.3 126.4
9 121.7 126.4 122.3 111.3 108.8 130.6 127
10 114.5 118.9 113.5 104.4 99.7 129.5 125.6
11 107.6 109 100.9 94.3 91.1 123.1 118.1
12 100.4 101.3 92.1 86.6 83 115.8 108.1
13 94.3 93.2 84.4 79.6 - 106.4 96.3

2.3 실험방법 및 장치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실험을 위한 프레임을 제작하여 설치하였으며, 실험체의 설치상황과 각종 시험기기 및 장치는 Fig. 3과 같다. 실험체는 프레임에 기둥 부분을 수평으로 눕혀서 설치하였다. 또한, 7개의 실험체에 기둥의 허용 축하중의 30%를 기둥에 일정하게 가력하였다.

Fig. 3.

Test setup of test specimen

JKSMI-19-160_F3.jpg

수평하중의 가력은 보의 변곡점에서 변위제어로 하중을 작용시켰다. 반복주기하중의 형태는 Fig. 4와 같으며 반복주 기하중의 주기는 전 실험체를 T=70sec로 하였으며, 반복횟 수 2Cycle로 최대수평하중에 도달한 이후 최대하중이 80% 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4.

Loading history

JKSMI-19-160_F4.jpg

3. 순환굵은골재 치환과 하이브리드섬유 혼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

3.1 이력거동 특성

지진지역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해석을 위 하여 비탄성 범위에서 부재의 특성, 즉 부재의 연성, 에너지 소산능력, 강성저하 등을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부 재의 이력거동 특성을 정확히 규명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 설계변수에 따른 실험체의 이력거동을 규명하 기 위하여 각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에 반복주 기 하중을 변위제어방식으로 최종파괴시까지 가력하여 이력 거동곡선을 Fig. 5(a)~5(g))와 같이 나타내었다.

각 실험체의 이력거동곡선은 표준실험체에 PVA섬유를 0.2% 혼입한 실험체 BCJGP는 표준실험체보다 강도 및 에 너지 소산능력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순환굵은골재를 치환 한 실험체시리즈 BCJGPR은 순환굵은골재의 치환율이 증가 함에 따라 강도 및 에너지 소산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하지만, PVA섬유의 혼입으로 인하여 강도 및 에너지 소산능력이 표준실험체와 유사한 거동을 보였다. 그리고 순 환굵은골재에 치환에 따른 강도 및 에너지 소산능력 감소에 따라 실험체 보강을 위하여 접합부영역 1.5d 범위에 하이브 리드섬유 (강섬유+PVA섬유)를 보강한 결과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 BCJGPSR시리즈는 강섬유 0.75% 보 강으로 인하여 균열에 대한 저항성 향상으로 인하여 실험체 BCJGPR시리즈보다 강도 및 에너지 소산능력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표준실험체 BCJS보다 강도 및 강성, 에너지 소산능 력이 증가 되었으며, 하중 재하시 전 영역에 걸쳐 안정적인 이력거동을 나타내었다.

Fig. 5.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each specimen

JKSMI-19-160_F5.jpg

3.2 파괴형태

3.2.1 표준실험체

본 연구의 표준실험체 BCJC는 반복 주기하중이 진행되는 동안 보와 기둥의 접합면에 균열이 발생하였고, 변위연성이 클수록 보의 내측으로 균열이 확산되었다. 초기균열은 변위 연성 0.5범위에서 발생하였다. 보-기둥 접합면의 균열은 변 위연성 1.5에서 접합부 균열이 발생하였다. 실험이 진행됨에 따라 접합면에 균열집중 현상을 나타내며 보의 압축측과 인 장측의 콘크리트가 박리, 탈락, 철근이 노출되는 현상을 나 타냈었다. 최종파괴형태는 Fig. 6(a))와 같다.

3.2.2 순환굵은골재 치환과 하이브리드섬유 혼입에 따른

실험체 (BCJGP, BCJGPR시리즈, BCJGPSR시리즈) 고로슬래그미분말 치환과 PVA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CJGP 는 보 내측에 초기 균열이 발생하였고, 변위연성 2~3에서 접 합부영역에서 사인장균열과 접합면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하 중이 증가됨에 따라 접합면에 이격, 콘크리트 박리·박락, 균열폭이 증대 되었다.

순환굵은골재 치환율 변화에 따른 실험체 BCJGPR시리즈 는 변위연성 2~3에서 접합면 균열과 접합부영역에서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였다. 변위연성 5~8에서 균열의 폭이 급격히 증대되었다. 최종파괴시 콘크리트 압괴, 박리·박락으로 파 괴되었다.

순환굵은골재 치환과 하이브리드섬유 혼입에 따른 실험체 BCJGPSR 시리즈도 변위연성 2~3에서 초기균열, 접합면, 접 합부영역에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이 폭이 크게 증가하지 않고 이미 발생되어진 균열 의 주변으로 미세균열들이 발생하였다. 이는 하이브리드섬유 (강섬유+PVA섬유)가 균열과 균열의 가교역할에 의한 것으 로 판단된다.

각 실험체의 최종파괴형태는 Fig. 6(b)~(g))에 나타내었다.

Fig. 6.

Crack pattern and failure mode of each specimen

JKSMI-19-160_F6.jpg

3.3 강도변화 특성

순환굵은골재 치환과 접합부 영역에 하이브리드 섬유 혼 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각 실험체의 이력거동 및 균열상태를 근거로 각 실험체의 강도변화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변위 연성과 각 실험체 강도 관계를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

Comparison of load-carrying capacity as a function of displacement ductility

JKSMI-19-160_F7.jpg

각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표준실험체 BCJS와 실험체 BCJGP, BCJGPR시리즈는 변위연성 5~8, 실험체 BCJGPSR시리즈는 변위연성 9에서 나타났다.

순환굵은골재를 10% 치환한 실험체 BCJGPR1은 표준실 험체 BCJS와 실험체 BCJGP의 최대내력을 각각 99%, 96% 를 나타났다. 그리고 순환굵은골재 20%, 30% 치환한 실험체 BCJGPR2, BCJGPR3는 표준실험체 BCJS와 실험체 BCJGP 의 최대내력을 각각 94%, 95% 및 91%, 91%의 내력을 나 타내었다. 따라서 순환굵은골재 치환율의 변화에 따라 내력 이 최대내력이 감소하였으나 큰 폭으로는 감소하지 않은 것 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균열이 발생되어진 이후에는 더 이상 인장력을 전달하지 못하고 파 괴되지만, PVA섬유와 강섬유를 융합 보강하여 섬유의 가교 역할에 따른 균열의 제어와 강도개선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체 BCJGPSR시리즈는 표준실험체 BCJS, 실험체 BCJGP 와 비교한 결과 1.01~1.04배, 0.99~1.01배의 내력을 나타냈 다. 또한, 실험체 BCJGPSR1은 실험체 BCJGPR1 보다 1.05 배, 실험체 BCJGPSR2는 실험체 BCJGPR2 보다 1.08배 내 력이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하이브리드섬유의 PVA섬유와 강섬유의 균열에 대한 저항으로 인한 역학적 거동으로 내력 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3.4 강성변화 특성

각 실험체의 변위연성별 강성 (Stiffness, k)의 변화를 Fig. 8에 도시하였고, 실험체의 강성은 Fig. 8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였다. 여기서 강성 k는 각 하중의 싸이클에서 정방향과 부방향에서의 최대하중과 최대변위가 만나는 점의 기울기로 산정하였다.

Fig. 8.

Calculation of stiffness

JKSMI-19-160_F8.jpg

초기강성은 표준실험체 BCJS가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실 험체 BCJGPSR1이 하이브리드섬유 (PVA+강섬유) 보강으로 인하여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체 BCJGPSR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BCJS, 실험체 BCJGP 보다 각각 초기 강성이 1.06~1.16배, 1.03~1.12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순환굵은골재의 치환에 따른 취약성에도 불구 하고 PVA섬유와 강섬유를 융합 보강하여 섬유의 가교역할 에 따른 균열의 제어와 강도개선으로 구조적 성능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험이 진행됨에 따라 강성이 점차 감소하여 초기강성의 약 15%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순환굵 은골재의 치환 증가로 인하여 순환굵은골재가 초기강성 저 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이러한 감소는 모든 실험체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이것은 접합부 영역 의 콘크리트의 균열, 철근의 미끄러짐 등에 의한 것으로 판 단된다.Fig .9

Fig. 9.

Comparison of stiffness for each specimen at various displacement ductilities

JKSMI-19-160_F9.jpg

3.5 에너지 소산능력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함에 있어 에너지 소산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시 높은 에너지 소산능력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일 반적으로 에너지 소산능력은 부재 또는 구조물의 이력거동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에 의하여 산정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영역을 하이브리드 섬유 (강섬유+PVA섬유)를 적용한 실험체 BCJPSR시리즈의 이력거동 곡선을 고찰하여 보면 재하 후반부 연성능력과 내 력이 크게 증대하였고, 지진하중 작용시 에너지 소산능력이 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각 실험체는 Fig. 10, Fig. 11에서와 같이 변위연성 5까지 는 비슷한 에너지 소산능력을 보였으나, 변위연성 6에서부터 실험체 BCJPSR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BCJS보다 1.06~1.29 배 증가하였다. 특히, 실험체 BCJPSR1은 최대강도를 확보한 변위연성 9에서 실험체 BCJS, BCJP, BCJGPR 시리즈 보다 최대에너지 소산능력이 1.33~1.65배, 누적에너지 소산능력은 1.25~1.42배 증가하였다.

이는 PVA섬유와 강섬유를 융합 보강하여 섬유의 가교역 할에 따른 균열의 제어와 강도가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실험체 BCJPSR1은 실험체 BCJGPR1 보다 1.39배, 실험체 BCJPSR2는 실험체 BCJGPR2 보다 1.17배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최종파괴시까지 변위연성별 에너지 소산능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10.

Comparison of energy dissipation capacity for each specimen at various displacement ductilities

JKSMI-19-160_F10.jpg
Fig. 11.

Comparison of cumulativ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for each specimen at various displacement ductilities

JKSMI-19-160_F11.jp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과 같은 횡력이 작용할 때 가장 취 성적이고 응력 부담이 높은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위험단면영역에 하이브리드섬유(PVA섬유+강섬유)를 적용한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7개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 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순환굵은골재 치환율의 변화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 기둥 접합부의 위험단면영역에 하이브리드섬유를 적 용한 실험체 BCJGPSR시리즈는 표준실험체 BCJC와 실험체 BCJGPR시리즈보다 하중 재하시 전 영역에 걸 쳐 안정적인 이력거동과 충분한 내력을 확보하였다.

  2. 순환굵은골재 치환율의 변화에 따라 BCJGPSR시리즈 는 변위연성 9에서 최대내력이 나타났으며, 표준실험 체 BCJS와 비교한 결과 1.01~1.04배 내력이 증가하였 다. 또한, 실험체 BCJGPSR시리즈는 PVA섬유와 강섬 유를 융합 보강하여 섬유의 가교역할에 따른 균열의 제어와 강도개선으로 실험체 BCJGPR 보다 1.05배~1.08 배 내력이 증가하였다.s

  3. 순환굵은골재를 치환하고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한 BCJGPSR시리즈와 표준실험체 BCJS를 비교한 결과 초기강성이 1.06~1.16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 험이 진행됨에 따라 강성이 점차 감소하여 초기강성의 약 15%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순환굵은골재가 초기강 성 저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된다.

  4. 순환굵은골재 치환 및 PVA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CJGPR 시리즈와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CJGPSR 시리즈는 변위연성 2~3에서 접합부영역에서 사인장균 열과 접합면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표준실험체 BCJC 는 반복 주기하중이 진행되는 동안 보와 기둥의 접합 면에 균열이 발생하였고, BCJGP는 보 내측에 초기 균 열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변위연성 2~3에서 접합부영 역에서 사인장균열과 접합면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5. 순환굵은골재 치환율 변화와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 한 실험체 BCJPSR시리즈는 표준실험체 BCJS보다 1.06~1.29배 에너지 소산능력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체 BCJPSR시리즈는 실험체 BCJGPR시리즈보다 1.39배~1.17배 증가하였으며, 최종파괴시까지 변위연 성별 에너지 소산능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6.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위험단면영역 에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한 결과 순환굵은골재 치환 율을 증가하여도 내진성능이 표준실험체 보다 향상된 수준의 내력과 에너지 소산능력을 보였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의 일부 임 (과제번호: 2012R1A1A2007346, 2010-0017812).

References

1 
(2009), a white paper on Recycling
2 
(2013),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Beam-Column Joints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5(4), 419-428.
3 
(1999),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Early Ag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3(3), 129-137.
4 
(2010),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Mortar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14(6), 142-152.
5 
(1994),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use of Demolished Concret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6), 51-65.
6 
(1992), Problems i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Recycled Waste Concrete, The Annual Conference for KCI, 4(2), 44-49.
7 
(2010), Concrete and Environment, Kimoondang Publishing Company, 123-144.
8 
(2008), To Promote the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in Accordance with the Act Revised Regulatory Impact Analysis, 32-35.
9 
(2009),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according to Recycled Aggregate Type, The Annual Conference for AIK, 29(1), 259-262.
10 
(2002), Comprehensive Measures to Promote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1-16.
11 
(2008), Promote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Enforcement Regulations Environmental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Act No. 281
12 
(2009),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No. 772 of the Act on Palpation of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Regulations Based on Article 35 of the Quality Standards for Recycled Aggregates Announcement, 1-82.
13 
(1999), Engineering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Using Waste Concretes,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1-55.
14 
(2009),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eam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1(4), 431-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