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주
(Gee-Joo Ha)
1)
이동렬
(Dong-Ryul Yi)
2)*
하재훈
(Jae-Hoon Ha)
3)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알카리활성 슬래그, 알카리 활성화제, 섬유보강콘크리트, 휨성능
Key words
Alkali-activated slag, Alkali activator, Fiber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performance
1. 서 론
1.1 연구의 목적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파괴와 자원고갈 위기 에 직면해 있다. 특히 CO2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는 다양한 재해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생태계의 파괴, 인류생존의 위협 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축자재 중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중심재료인 시멘트는 2010년 전 세계의 시멘트 생산량이 약 28억 톤으로 조사되 고 있으며, 2050년에는 전 세계
시멘트 생산 예상량은 약 56 억 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Park, 2010). 그리고 건설산업에 서 발생하는 CO2는 전 세계 CO2 발생량의 8%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시멘트의 생산 시 5%가 발생되며, 콘크리트 제조 및 시공 시 3%가 발생된다고 연구되고 있다. 시멘트의
1 톤을 생산할 때 CO2 발생량은 총 1.2 톤이며, 이 중 석회 석 광산에서 채석 후 시멘트 공장의 운반까지 약 550 kg, 석 회석의 소성에너지 약 300 kg, 시멘트
운반, 레미콘 제조 및 시공과정 약 350 kg이 발생되고 있다 (J. S. Damtoft, 2007). 이러한 측면에서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포틀랜드시멘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결합재의 개발 이 필요하다 (Gweok et al., 2007; Djwantoro, 2010; Son, 2009; Yang et al., 2007). 최근 국내·외에서 시멘트의 이 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 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등을 이용하여 시멘트를 대처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ho et al., 2012; Lee, 2006; Lee et al., 2009; Kim, 2010). 하지만,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재료의 기초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Ha et al., 2013; Lee et al., 200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재료 중 시멘트 사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획기적으로 저감하기 위하여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와
강 섬유를 혼입하여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 트를 개발하고 이를 철근콘크리트 보에 적용하여 구조성능 의 평가와 그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 강 콘크리트의 알칼리 활성화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알칼리 활성화제의 첨가량, 활성화제의 조합에
따른 특성, 혼화재의 종류에 따른 특성을 활용하여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 유보강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보의 하중-변위, 하중-변형도, 파괴형태,
최대내력, 연성능력 등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 알 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 보의 휨성능을 평가하여 기존 시 멘트 콘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에서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 의 주재료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수산화나트륨의 몰 (mol) 비에 따른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강도특 성 실험 및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 그 콘크리트의 구조성능 향상을 위하여 강섬유를 혼입하였 으며, 강섬유의
혼입율은 기존연구에서 0.5~1.5%의 강섬유 를 콘크리트에 혼입할 시 내력 및 연성 등의 구조성능이 개 선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 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 개발에서는 구조성능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체적의 0.75%의 강섬유를 혼입하였다. 그리고 개 발된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보를 제작하여 최대내력 및 연성능력 등의 구 조성능 평가를 하였다.
2.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특성
2.1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의 개념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의 무기화합물은 광물이 알카리 이 온과의 축중합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것으로 알칼리 활성화 제로서 소량의 수산화나트륨, 액상 규산나트륨
등이 존재하 면 슬래그에 수산화 이온 (OH-)을 흡착시켜 유리구조를 파 괴하여 이산화규소 (SiO2), 산화알루미늄 (Al2O3), 산화칼슘 (CaO), 산화마그네슘의 용출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액상중의 각 이온농도가 높아져 현저한 수경성을 나타내고 일단 반응 이 시작되면 자신이
용출하는 성분에 의해 용액의 높은 pH 를 발현하여 반응은 지속된다 (Lee, 2010).
하지만, 시멘트의 수화반응과 달리 알칼리 활성화반응을 유도한 알카리활성 슬래그는 구성성분 중 Ca의 양이 적어 산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내산성이 높으며,
사용재료의 종류 및 경화재료에 따라 수화반응의 특성이 달라진다고 보고되 고 있다 (T. Bakharev, 2003).
2.2 구성재료
알카리활성 슬래그의 구성으로 주재료와 높은 pH의 알칼 리 활성화제가 있다. 주재료는 주로 산업부산물 또는 천연자 원으로 산업부산물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천연자원에는 포졸란 반응이 일어나 는 재료를 사용한다. 그리고 주재료와 알칼리 활성화제의 종 류에
따라 재료적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 분말의 잠재수경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화학촉진제가 필요하게 되며
Alkali 계통과 Sulfate 계통이 고려되고 있으며, Alkali자극제로는 NaOH, Na2CO3 등이 있고 Sulfate 자극제는 CaSO4, Na2SiO4 등이 있다.
3.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 보의 휨성능 실험
3.1 실험체의 형태 및 변수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를 활용한 철 근콘크리트 보의 휨성능을 평가하고 부재의 역학적 거동 특 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알칼리활성화제의
몰농도 (3M, 4M, 5M, 6M) 및 강섬유 혼입 (체적의 0.75%)을 변수로 실험체 를 제작하였다. 잔골재율 40%는 선행연구에서 고찰된 배합
설계 과정에서 잔골재율이 낮을수록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 을 확인하였으나 잔골재율이 40%에서 가장 높은 압축강도 나타났다. 그리고 바인더에 대한 전체
골재비를 A/B로 나타 내었다. 또한 각각의 변수에 따른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 여 실물크기의 1/4정도인 8개의 축소모델 실험체를 제작하 였다.
또한 실험체의 변수는 사전 실험에 의하여 선정을 하였으 며, 변수 및 내용은 Table 1과 같고, 실험체의 상세는 Fig. 1 에 나타나 있다.
Fig. 1.
Details of test specimen (unit: mm)
Table 1.
Design parameters of test specimens
Specimen
|
Alkaline activator
|
Binding material
|
Admixt -ures
|
W/B(%)
|
S/A (%)
|
A/B
|
Water glass
|
Sodium hydroxide
|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Silica fume
|
GA3 |
10 %
|
3M
|
80%
|
20%
|
45%
|
40%
|
4
|
GA3S0.75 |
GA4
|
4M
|
GA4S0.75 |
GA5
|
5M
|
GA5S0.75 |
GA6 |
6M
|
3.2 실험체의 제작
본 연구에 실험체는 ACI Building code (318-08) 및 국토 교통부 규준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구조 설계에 의하여 설계 하였으며,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의 휨 성능 평가를 위하여 제작한 실험체는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모든 철근콘크리트 보의 단면치수는 100 mm×200 mm, 유효 높이 (d=180 mm), 압축철근 2-D10, 스터럽은
D10 (@80 mm), 인장철근 2-D13, 길이 1.1 m, 순스팬길이 1 m로 제작 하였으며, 철근조립 시에는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피복두께 10
mm가 확보되도록 하였다.
3.3 사용재료
3.3.1 철근
본 연구의 실험체에 사용된 철근은 국내에서 생산된 SD400 의 철근이 사용되었으며, 보의 압축철근과 인장철근에 각각 D10, D13이 배근되었고
스터럽은 D10이 배근되었다. 그리 고 본 실험에 사용된 철근의 재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KS B 0801 (금속재료 인장시험편) 규격에 따라
시험편을 제작하였으며 KS B 0802의 금속재료 인장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을 하였고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Material properties of the reinforcing bar
Bar size
|
Yield strength (MPa)
|
Tensile strength (MPa)
|
Modulus of elasticity (MPa)
|
|
D13
|
414
|
600.5
|
2.04 105 |
D10
|
455
|
636
|
1.95 105 |
3.3.2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
알카리활성 슬래그
(1)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알카리활성 슬래그는 KS F 2563규격 에 부합되는 H사의 3종으로 분말도 (4,300 cm2/g)인 콘크리 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다. Table 3은 고로슬래그 미분말 의 화학적 구성성분을 나타내었다.
Table 3.
Chemical component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Type
|
SiO2 |
Al2O3 |
SO3 |
MgO
|
CaO
|
MnO
|
Fe2O3 |
TiO2 |
K2O
|
Slag
|
34.7
|
13.8
|
0.95
|
4.38
|
44.6
|
0.24
|
0.11
|
0.74
|
0.48
|
실리카 퓸
(2)
실리카 퓸은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충 전효과 및 강도증진 등의 혼화제로서 사용을 하였다. 본 연 구에 사용된 실리카 퓸은 KS F
2567 콘크리트용 실리카 퓸 의 품질에 만족하는 제품으로 화학적 구성성분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Chemical component of silica fume
Type
|
SiO2 |
Al2O1 |
Na2O
|
MgO
|
CaO
|
K20
|
Fe203 |
TiO2 |
Silica fume
|
94.0
|
0.3
|
0.2
|
0.4
|
0.3
|
0.8
|
0.8
|
0.35
|
물유리
(3)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에서 알칼리 활성화제로 사용 되는 물유리는 액상 규산나트륨이라고 하여 가용성 규산염 중 가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Y사 의 KS표시 인증제품인 3호를 사용하였으며, 화학적 구성성 분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Chemical component of water glass
Type
|
pH
|
Specific gravit (20°C)
|
Water insolution ratio (%)
|
Na2O (%)
|
SiO2 (%)
|
Fe2O3 (%
|
Mole ratio
|
Viscosity (20°C)
|
Water glass
|
12~13
|
1.3 or more
|
0.2 or less
|
9~10
|
28~30
|
0.3 or less
|
3.1~ 3.4
|
100 or more
|
수산화나트륨
(4)
수산화나트륨은 알칼리 활성화 반응을 유도하는 알칼리 활성화제로 많이 쓰고 있으며 pH가 12~13의 강알칼리성 재 료로 알카리활성 슬래그 생성에 기여하게
되며, 화학적 구성 성분은 Table 6과 같다.
Table 6.
Chemicophysical property of sodium hydroxide
Type
|
State
|
Hue
|
Melting point
|
Boiling point
|
Vapor pressure
|
Density
|
Water solutino ratio
|
NaOH
|
Solid
|
White
|
318°C
|
1388°C
|
55 hPa
|
2.13
|
520 g/L
|
강섬유
(5)
본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강섬유는 국내 C사에서 생산된 단면이 원형으로 양끝이 갈고리 (Hook)형의 치수가 ø8×50 mm로 강섬유가 각각 분리된
것을 사용하였다. 강섬유의 형 상 및 크기와 물리적 특성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Properties of Steel fiber
Type
|
Size (mm)
|
Aspect ratio (L/D)
|
Specific gravity
|
Yield strength (MPa)
|
Tensile strength (MPa)
|
Modulus of elasticity (MPa)
|
Hook
|
0.8 50
|
62.5
|
7.85
|
238
|
340
|
1.8 105 |
3.3.3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의 강도
각 실험체는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압축강도용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압축강도 실험용 원주형 공시체는 Φ100×200 mm 몰드를 사용하여 KS F 2403에
따라 몰드를 봉다짐하여 제작하였고, 재령 28일까지 기건양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1,000 kN용량의 U.T.M으로 일방향 압축강도 시험을 하였
다. Table 8에 나타난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각각 3개의 공시 체의 실험 결과에 대한 평균값이다.
Table 8
Test result of concrete strength
Age (day)
|
Concrete strength(MPa)
|
Specimen
|
3day
|
7day
|
28day
|
GA3 |
11.2
|
16.2
|
22.6
|
GA3S0.75 |
14.3
|
18.2
|
24.3
|
GA4
|
12.2
|
16.4
|
23.1
|
GA4S0.75 |
16.4
|
18.6
|
24.8
|
GA5 |
11.0
|
18.0
|
24.2
|
GA5SS
|
13.1
|
19.0
|
25.2
|
GA6 |
10.8
|
19.7
|
25.9
|
GA6S0.75 |
13.2
|
17.0
|
23.2
|
3.4 실험방법 및 장치
본 연구에서의 하중재하는 Fig. 2에서와 같이 유압잭으로 지간 중앙점에서 재하하였다. 재하 하중량을 측정하기 위하 여 유압잭에 하중계를 설치하였다. 하중재하는 극한하중에 도달할 때까지
0.5 mm 간격으로 변위를 제어하며 가력하였 다. 측정기기는 변위계를 사용하여 각 실험체의 지간 중앙의 실험체 하단면에서 각 하중 단계별 하중-처짐량을
측정하였 다. 압축철근 및 인장철근의 변형은 전기적 변형률 게이지 (strain gauge : 5 mm)를 압축철근 주근의 중앙부에 1개를 부착하고,
인장철근의 각 주근의 중앙부에 각각 1개씩 부착 하여, 하중단계에 따라 측정하였다. 콘크리트의 변형은 전기 적 변형률 게이지 (strain gauge
: 60 mm)를 사용하여 지간 중앙위치의 콘크리트 상단면으로부터 10 mm, 90 mm, 150 mm, 190 mm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Fig
.3-4
Fig. 2.
Test setup of test specimen
Fig. 3.
Location of steel strain gauges
Fig. 4.
Location of concrete strain gauges
4.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 보의 휨성능 평가
4.1 하중-변위 특성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와 강섬유를 보강한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는 Fig.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 5.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specimen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철근콘크리트 보의 알칼리 활 성화제 혼입률, 강섬유 혼입에 따른 실험변수들의 효과를 평 가하기 위하여 실험체를 제작 및 타설하여
파괴될 때 까지 가력하여 보의 거동을 관찰하였으며 각 실험체의 성능평가 결과로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는 전반적으로
휨 또는 휨-전단에 의하여 파괴되 었다. 초기균열은 30 kN~57 kN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변 위는 9.51 mm~15.8 mm로 측정되었다.
4.2 하중-변형도 특성
각 실험체의 하중재하에 따른 단계별 철근 및 콘크리트의 변형도를 분석하여 하중재하 단계별 전단성능 평가 및 항복 여부를 검토하였다.
Fig. 6(a))~(h)에서와 같이 하중 증가에 따른 인장 철근의 변형도 변화에서 알 수 있듯이 최대하중 가력시 모든 실험체 에서 보의 중앙부 인장철근에 부착한 철근의 변형도가
항복 변형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체의 설계개 념인 인장철근의 항복으로 인한 파괴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Fig. 6.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specimen
4.3 파괴형태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를 사용한 철 근콘크리트 보의 파괴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실험체를 파괴시까지 가력하여 각 하중단계에 따른
균열 진전상황을 분석하였다.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는 전반적으로 기존 시멘트 콘크리 트와 유사한 파괴양상을
보였으며, 가력시 인장철근의 항복 에 의한 전형적인 휨인장 파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중이 점점 증가하여 극한하중 작용시에는 휨인장 파괴와 함께
사 인장 균열이 발생하였다. 각 실험체의 균열도 및 최종 파괴 형태는 Fig. 7(a)~(h))에서 나타내고 있다.
Fig. 7.
Crack pattern and failure mode of each specimen
4.4 최대내력 특성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실험체 (GA3, GA4, GA5, GA6)는 알카리 활성화제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최대내력이 증가하 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6M을 혼입한 실험체 GA6은 최대내력이 149.31 k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M을 혼 입한 실험체 GA3보다 22% 향상된 내력을 나타내었다. 4M, 5M을 혼입한 실험체 GA4, GA5도 실험체 GA3보다 각각 6%, 9% 높은 내력을 발휘하였다.
알칼리 활성화제의 혼입률에 강섬유를 0.75% 혼입한 실험 체(GA3S0.75 GA4S0.75, GA5S0.75, GA6S0.75)도 알카리 활성화 제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최대내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 타내었다. 그리고 5M을 혼입한 실험체는 최대내력이 168.35 k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S0.75 보다 9% 향상된 내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6M을 혼입한 실험체 GA6S0.75는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S0.75보다 23% 감소하는 최대내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알카리 활성화제인 수산화나트륨이 6M 이상의 경우 알카리활성화제의 증가에 의한 급결과 강섬유 사용에
따른 뭉침 현상으로 타설시 콘크 리트의 충진이 정상적으로 이루지지 않아 구조성능이 감소 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9는 각 실험체의 최대내력과 표준실험체 (BSS)에 대한 각 실험체의 최대내력의 비 (CASE I/CASE 0)를 분석 한 것이다.
Table 9.
Comparison of the load-carrying capacity for each specimen
CASE
|
Specimen
|
Maximum strength (kN)
|
Maximum strength (kN)
|
1
|
GA3 |
122.55
|
1.00
|
2
|
GA3S0.75 |
154.11
|
1.26
|
3
|
GA4 |
129.37
|
1.06
|
4
|
GA4S0.75 |
162.90
|
1.33
|
5
|
GA5 |
133.76
|
1.09
|
6
|
GA5S0.75 |
168.35
|
1.37
|
7
|
GA6 |
149.31
|
1.22
|
8
|
GA6S0.75 |
116.91
|
0.95
|
4.5 연성능력
본 연구에서의 연성능력은 항복변위에 대한 변위연성비 (μ = δu/δy )로 정의하였으며, 부재항복시 (δy )의 처짐량을 기준으로 하여 부재 최대하중시의 변위와 최대하중 이후의 최대하중의 80%에서의 변위 (δu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부재 항복변위 (δy )는 극한강도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극한강도의 75%점을 지나는 활선강성선 (secant stiffness line) 과의 교점으로 하는 Fig.
9에 나타난 Park Method로 정하였다.Fig .8
Fig. 8.
Comparison of the load-carrying capacity for each specimen
각 실험체의 연성능력은 Table 10에 나타냈다.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알칼리 활성화제의 혼입률 (3M, 4M, 5M, 6M)에서 알카리 활성화제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연성능력 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6M을 혼입한 실험 체 GA6는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보다 1.83배, 4M, 5M을 혼입한 실험체 GA4, GA5도 실험체 GA3보다 각각 1.41배, 1.68배 높은 연성능력을 발휘하였다.
Table 10.
Comparison of displacement ductility for each specimen
Specimen
|
δy (mm)
|
Py (kN)
|
δu
|
Pu (kN)
|
μ = p |
GA3 |
2.7
|
91.9
|
16.79
|
98.04
|
6.22
|
GA3S0.75 |
3.96
|
115.6
|
47.97
|
123.288
|
12.11
|
GA4 |
4.72
|
97.0
|
41.32
|
103.496
|
8.75
|
GA4S0.7575
|
3.97
|
122.2
|
49.62
|
130.32
|
12.50
|
GA5 |
3.98
|
100.3
|
41.62
|
107.01
|
10.46
|
GA5S0.75 |
3.61
|
126.3
|
51.42
|
134.68
|
14.24
|
GA6 |
4.01
|
112.0
|
45.7
|
119.448
|
11.40
|
GA6S0.75 |
4.07
|
87.7
|
8.5
|
93.528
|
2.09
|
알칼리 활성화제의 혼입률에 강섬유를 0.75% 혼입한 실험 체도 알카리 활성화제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연성능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5M을 혼입한 실험체 GA5S0.75는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S0.75보다 2.29배, 4M, 5M을 혼입한 실험체 GA4S0.75, GA5S0.75도 실험체 GA3보다 각각 2.01배, 1.95배 증가한 연성능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6M에 강섬유 (0.75%)를 혼입한 실험체 GA6S0.75는 몰의 증 가에 따른 급결과 강섬유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취성적인 파괴를 나타내었다.
알칼리 활성화제에 강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연성능력이 증 가하였고, 적정한 알칼리 활성화제의 혼입율은 연성능력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알칼리 활성화제 (물유리, 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한 친환경 알카리활 성 슬래그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보강하여
친환경 알카리활 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를 개발하여, 철근콘크리트 보에 적용하여 휨성능 평가를 하였다. 주요변수는 알칼리 활성화 제의 혼입비율 및
강섬유의 혼입유무 등이며, 총 8개의 실험 체를 제작하였으며, 재료 및 구조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의 파괴 형태는 전반적으로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와 유사한 파 괴양상을 보였으며, 가력시 인장철근의 항복에 의한
전형적인 휨인장 파괴를 나타내었으며, 하중이 점점 증가하여 최대하중 작용시에는 휨인장 파괴와 함께 사 인장 균열이 발생하였다.
-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에서 수산화나트 륨의 혼입률을 비교한 실험체에서 6M을 혼입한 실험 체 GA6은 최대내력이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보다 22% 향상된 내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에 강섬유 를 0.75% 혼입한 실험체도 알카리 활성화제의 혼입률 이 증가할수록 최대내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 다. 그리고 5M을 혼입한 실험체 GA5S0.75는 최대내력 이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S0.75보다 9% 향상된 내력 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6M을 혼입한 실험체 GA6S0.75 는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S0.75보다 23% 감소하는 최대내력을 나타내었다.
-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에 수산화나트륨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연성능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 타내었다. 그리고 6M을 혼입한 실험체 GA6는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보다 1.83배, 4M, 5M을 혼입한 실 험체 GA4, GA5도 실험체 GA3보다 각각 1.41배, 1.68 배 증가한 연성능력을 발휘하였다. 그리고 강섬유를 0.75% 혼입한 실험체의 경우 알카리 활성화제의 혼입 률이 증가할수록
연성능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 었다. 그리고 5M을 혼입한 실험체 GA5S0.75는 3M을 혼입한 실험체 GA3S0.75보다 2.29배, 4M, 5M을 혼입 한 실험체 GA4S0.75, GA5S0.75도 실험체 GA3보다 각각 2.01배, 1.95배 증가한 연성능력을 발휘하였다. 그러 나, 6M을 혼입한 실험체 GA6S0.75는 몰의 증가에 따른 급결과 강섬유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최대내력이 감 소하였다.
-
친환경 알카리활성 슬래그 섬유보강콘크리트는 기존 보통포틀랜트 시멘트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와 유사 한 거동을 보였으며, 강섬유를 보강한 실험체의 경우
최대내력 및 연성능력 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하지만 알카리 활성화제인 수산화나트륨의 6M 이 상의 경우 알카리활성화제의 증가에 의한 급결과
강섬 유 사용에 따른 뭉침 현상으로 구조성능이 감소한 것 으로 판단되며, 이는 알칼리 활성화제의 적정한 양이 내력증진 및 강도발현에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사 료된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의 일부 임 (과제번호: 2013R1A1A2011529, 2010-0017812).
References
(2012), Strength Development of Blended Sodium Alkali-Activate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S) Mort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4(2),
137-145.
(2010), Fly Ash-Based Geopolymer Mortar Incoporating Bottom Ash, Modern Applied Science,
4(1), 44-52.
(2007),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Secondary Product of Concrete
Contained Alkali-Activated Sla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 121-128.
(2013),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of Eco-Friendly Inorganic Binding Material
R/C Beams using Sodium Activato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5(3),
261-269.
(2007),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itiative
(2010),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of non-cement concrete using GGBS binder activated
by sodium silicat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ing Graduate Sch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13.
(2006), Experimental study on strength properties of alkali activated slag mortars
with different activator type and curing temperatur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he Hanyang University, 25
(2006), The Improv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of Non-Sintered Cement Mortar with
Alkali activator,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1), 677-680.
(2010), New material sufficing modern social demands-Geopolym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0(6), 27-31.
(2009), A Study on Optimum Mixing Derivation of the Enviroment-friendly high performance
geopolymer paste,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9(2),
107-110.
(2010), Asian Concrete Federation, presentation material of business presentation
(2009), Low Temperature Synthesis of Forsterite Powders by the Geopolymer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6(3), 242-248.
(2003), Resistance of Alkali-Activated Slag Concrete to Acid Attack,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3, 1607-1611.
(2007), Th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Alkali-Activated Concrete with No Cement,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9(2), 4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