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
  2. ()
  3. ()
  4. ()



비파괴실험, 압축강도, 초음파속도법, 충격공진법
Compressive strength, Impact resonance method, Non-destructive test,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1. 서 론

콘크리트는 도로, 항만, 댐, 지하구조물, 건축물 등 수많은 구조물의 건설재료로 사용되어 현대 문명을 이루는 근간이 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 와 동시에 콘크리트구조물들은 준공 직후부터 열화가 시작 되어 정해진 사용수명이 점점 줄어들어 내구성과 구조안전 성도 감소된다. 이는 콘크리트의 화학적⋅물리적 특성이 수 분, 염분, 이산화탄소, 반복하중, 산성물질 등 여러 열화요인 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 화를 사전에 감지하고 보수하는 진단 및 유지관리는 시공과 정과 준공이후 전 사용주기에 걸쳐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 괴로 인적⋅물질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경험하였고, 1995년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특법)”의 제정과 “건 설기술관리법”개정을 통해 건설구조물 유지관리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시특법과 함께 고시된 “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지침”에는 구조물진단의 계획단계부터 점검방 법과 대책마련에 이르기까지 구조물진단에 대한 세부지침들 이 제시되어 있다. 이중 현장조사 및 시험 단계에서는 콘크 리트의 비파괴강도실험을 수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Park et al., 2003).

비파괴실험법은 구조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균열과 같 은 구조물의 결함이나 강도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유용 성을 인정받아 널리 쓰이고 있다. 비파괴실험을 통한 콘크리 트 압축강도 추정법에는 초음파속도법, 반발경도법, 충격반 향기법, 충격공진법 등이 있다. 그중 초음파속도법과 반발경 도법의 경우 그 간편성으로 인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파괴실험법을 통한 압축강도 추정의 가장 큰 문 제는 추정값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근본 적으로 콘크리트가 균질하지 않은 재료이기 때문에 갖는 불 확실성이 존재하고, 동시에 비파괴실험법의 측정방법이나 측 정환경, 측정자의 숙련도와 같은 재료 외적인 영향요인들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초음파속도법의 경우 초음파가 전파되는 경로에 콘크리트 내부 결함이나 공극이 있을 경우 파동에 회절이 일어나 전파 시간이 늘어나고 파의 속도가 낮게 측정되는 현상이 발견된 다 (John et al., 2012; ACI, 1998). 또한 초기재령 콘크리트 는 초음파속도의 변화폭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재령에 대한 고려도 포함되어야 한다 (Cho, 2008). 콘크리트의 함수율에 의 한 영향은 함수율 1% 변화에 따라 초음파속도가 약 60m/sec 의 증감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m and Kang, 2001). 공극과 재령, 함수율뿐만 아니라 사용된 골재도 초음파속도 법의 결과값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기존의 압축강도 추정식 적용이 적합하지 않다는 보고도 있다 (Kim et al., 2007).

따라서 대부분의 비파괴실험법들은 이론적인 배경을 가지 고 있다 할지라도 다양한 영향인자들을 고려한 많은 실험 데 이터 축적이 필수적이며, 이에 근거한 통계적 추정값을 제시 한다. 현재 비파괴실험에 관한 연구는 실제강도와 추정값 사 이에 상이한 결과값이 나오는 모순을 해결하여 비파괴실험 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집중되고 있으며, 신뢰성 평가와 검사법 규격화를 통해 비파괴실험의 현장적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Komlos et al., 1996). 또한 비파괴실 험의 결과값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정성적인 인식을 넘어 정량적으로 접근하는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 (Jain et al.,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적 분석을 통해 다양한 측정방식의 비파괴실험 결과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압축강 도 예측이 가능한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기존의 초음파 속도법 추정식과 비교를 통해 충격공진법을 통한 압축강도 예측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 실험개요

비파괴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비교를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비파괴실험법들이 적절한 수의 표본에 대해 각 각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각 결과값과 압축강도 값과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파괴실험 후에는 압축강 도 시험이 이루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종진동과 변형진동의 충격공진법, P파와 S파 초음파속도법의 총 4가지 비파괴실 험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측정된 압축강도 값과 비교 평가하 여 검증하였다.

2.1 공시체제작

2.1.1 재료 및 배합

강도에 따른 비파괴실험 결과값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 여 공시체의 목표배합강도를 30 MPa과 40 MPa로 달리 갖 게 하였다. 2가지 목표배합강도에 대하여 물-결합재비 (W/B) 를 각각 45%와 30%로 하였고,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를 각각 15%씩 혼입한 3성분계시멘트와 부순잔골재, 최대크기 25mm의 굵은골재, 혼화제로 AE감수제를 사용하였다. 배합 조건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Mix proportions

Mix fcr(MPa) Gmax (mm) Slump (mm) W/B (%) S/a (%) Unit mass (kg/m3)
C W S G FA Slag AE
30 30 25 150 45 45.9 259 173 777 934 58 69 2.32
40 40 30 45.6 357 165 714 868 94 99 3.58

[i] Note : fcr= the target strength; FA = fly ash; Slag = blast furnace slag and AE = air entraining agent

2.1.2 공시체 제작 및 양생

공시체는 KS F 2403에 의하여 φ150 × 300 mm의 실린 더형 압축공시체로 제작하였으며, 각각 90개의 공시체를 만 들었다. 공시체는 타설후 3일안에 탈형하여 20±2℃의 양생 온도로 수중양생을 하였다. 비파괴실험 24시간 전에 20±2℃ 의 공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2.2 실험방법

실험은 재령 3, 7, 28일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콘크리트 공시체에 대한 비파괴실험 후 압축강도와 변형률 측정을 통 해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비파괴실험은 충격공진법의 종진 동, 횡진동, 초음파속도법의 S파와 P파를 측정하는 순으로 실시하였다. 각 재령일별로 30개 공시체에 대해 시험을 수행 하였다.

2.2.1 충격공진법

공시체의 1차 공명진동수를 얻기 위해 KS F 2437에서 제시 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충격공진실험은 Fig. 1(a), (b) 와 같이 종진동 (longitudinal mode)과 변형진동 (transverse mode) 2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공시체에 진동을 주기위해 충격용 강봉으로 KS F 2437에서 지시한 가진위치에 타격을 가 하였다. 충격에 의한 공진 주파수 측정은 PCB PIEZOTRONICS 사의 5Hz~60kHz의 범위를 갖는 센서를 부착하였다.

Fig. 1.

Impact resonance method

JKSMI-19-18_F1.jpg

2.2.2 초음파속도법 (S파, P파)

초음파측정은 KS F 2731에서 제시하는 콘크리트의 초음 파속도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발진자와 수진자가 공시체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직접법을 사용하였다. 초 음파속도 측정 장비는 초음파를 보내는 송신탐촉자와 초음파 를 받는 수신탐촉자, 파동의 위상차로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펄스리시버로 구성되어서 Fig. 22(a), (b)와 같이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펄스리시버로 MKC NDT사의 Ultracon-170 을 사용하였고 52 kH의 탐촉자를 사용하였다. 시험전에 초 음파의 안정적인 전달을 위해 콘크리트와 탐촉자 사이에 그 리스를 도포하였다.

Fig. 2.

Ultra pulse velocity method

JKSMI-19-18_F2.jpg

2.2.3 압축강도측정

압축강도는 위의 비파괴실험이 수행된 후 바로 진행되었 다. Fig. 3과 같이 KS F 2405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측 정되었다. 재하속도는 KS에서 제시하는 범위에 맞추어 0.6 MPa/s이 되도록 하였다.

Fig. 3.

Set-up for compressive strength test

JKSMI-19-18_F3.jpg

3. 실험결과 및 분석

먼저 측정값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표준편차는 자료의 분 산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나 본 연구의 측정값들은 배 합과 재령에 따라 범위의 차이가 커서 표준편차값을 서로 비 교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분산의 정도를 평균에 대비해 상대적으로 측정가능한 변동계수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변동 계수 (COV, coefficient of variation)는 식 (1)과 같이 구한다.

(1)
CoV ( % ) = σ $mu$ × 100

여기서, σ는 표준편차이고 μ는 평균을 나타낸다.

3.1 실험 결과

3.1.1 압축강도 측정결과

Table 2는 각 배합⋅재령별 압축강도의 평균값과 표준편 차, 변동계수이다. Mix 30의 변동계수는 4.05~4.58로 ACI 214에서 규정하는 압축강도 분포도 기준가운데 ‘좋음’ (4.0~5.0) 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I, 2011). Mix 40의 경우 변동계수가 3.09~3.60으로 ‘우수함’과 ‘좋음’의 사이에 해당 된다. 이는 Mix 40이 Mix 30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측정된 우수한 압축강도값의 분포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Table 2.

Summary of statistical analysis (fc )

Age Mix No. N μ COV
fc[MPa] 3 Mix 30 30 7.17 4.58
Mix 40 30 21.1 3.60
7 Mix 30 30 10.1 4.12
Mix 40 30 29.1 3.09
28 Mix 30 30 19.3 4.05
Mix 40 30 44.9 3.49

[i] Note: N=the number of accepted sample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μ=average strength of samples and COV=coefficient of variation

3.1.2 충격공진법 측정 결과

충격공진법을 통해 측정한 공시체의 1차 공명 진동수를 KS F 2437에서 제시하는 식에 대입하여 동탄성계수를 구하 였다. 종진동인 경우는 식 (2)를, 변형진동인 경우는 식 (3) 을 따른다.

(2)
E dl = 400 × 10 - 5 L A × W × f 1 2
(3)
E dt = 161 × 10 - 5 L 3 T d 4 × W × f 2 2

여기서, Edl 은 종진동시의 동탄성계수 (MPa), Edt 는 변형 진동시의 동탄성계수 (MPa), W 는 공시체의 질량 (kg), f1 은 종진동의 1차 공명진동수 (Hz), f2 는 변형진동의 1차 공 명진동수 (Hz), L 은 공시체의 길이 (mm), d는 원주공시체 의 지름 (mm), A 는 공시체의 단면적 (mm2), T 는 회전반지 름이다.

동탄성 계수의 계산결과는 Table 34에 나타난 바와 같 다. 먼저, 동탄성계수 측정값의 변동계수는 최소 2.18에서 최 대 5.37로 값을 가져 측정값의 분포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진동과 변형진동 간의 변동계수 차 이가 ±0.5 미만의 차이를 보여 진동방법에 따른 측정값의 안 정성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동탄성계수 측정값 중 변형진동 Mix 30의 재령 3일 측정값들이 변동계수 5.37 로 상당히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재령에서 콘 크리트의 경화가 아직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공시체 의 밀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충격공진법 실험결과 값과 실제 압축강도 값을 회귀분석 한 결과는 Fig. 4에 나타나 있으며, 압축강도 추정식은 식 (4)와 (5)와 같다. 종진동이 변형진동의 결정계수값이 비슷하 게 나타나 압축강도 예측에 대한 신뢰도 역시 비슷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elastic modulus and compressive strength

JKSMI-19-18_F4.jpg
Table 3.

Summary of statistical analysis (Edl)

Age Mix No. N μ COV
Edl [GPa] 3 Mix 30 30 13.2 3.98
Mix 40 30 23.3 2.47
7 Mix 30 30 17.5 4.37
Mix 40 30 25.9 2.10
28 Mix 30 30 23.7 3.67
Mix 40 30 30.3 2.18
Table 4.

Summary of statistical analysis (Edt)

Age Mix No. N μ COV
Edt [GPa] 3 Mix 30 30 14.1 5.37
Mix 40 30 23.0 2.52
7 Mix 30 30 17.0 4.93
Mix 40 30 25.2 2.30
28 Mix 30 30 22.9 3.81
Mix 40 30 29.5 2.35
(4)
f c = 1.37 e 0.12 E dl ( R 2 = 0.97 )
(5)
f c = 1.63 e 0.11 E dt ( R 2 = 0.97 )

여기서,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고 EdlEdt 는 각각 종진동과 변형진동으로 수행한 충격공진법으로 구한 동탄성 계수이다.

P파와 S파의 속도측정값에 대한 각 재령별 평균과 변동계 수 값은 Table 56에 나타난 바와 같다. 각 측정값의 변동 계수는 전반적으로 ACI 214R에서 규정된 ‘좋음’과 ‘우수함’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P파 변동계수의 최대값은 재령 3일 에 대하여 2.57로 나타났고 최소값은 0.81로 재령 28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S파의 변동계수의 값도 재령 3일에 2.4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최소값은 0.81로 재령 28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재령이 높아질수록 변동계수 값이 낮아지 는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초음파속도의 측정값은 재령이 높아질수록 더욱 밀집되고 안정된 분포를 보이고 있 다. 한편, S파와 P파를 비교 했을 때, S파의 변동계수가 P파 에 비해 더욱 낮게 나타나 S파의 측정값이 더욱 안정적임을 보였다.

Table 5.

Summary of statistical analysis (Vp)

Age Mix No. N μ COV
Vp [m/s] 3 Mix 30 30 3150 2.57
Mix 40 30 3839 1.38
7 Mix 30 30 3407 2.25
Mix 40 30 4056 1.01
28 Mix 30 30 3967 1.41
Mix 40 30 4300 0.81
Table 6.

Summary of statistical analysis (Vs)

Age Mix No. N μ COV
Vs [m/s) 3 Mix 30 30 1553 2.42
Mix 40 30 1911 0.91
7 Mix 30 30 1700 2.15
Mix 40 30 2039 0.84
28 Mix 30 30 1934 1.38
Mix 40 30 2190 0.81

배합에 따라서는 Mix 30보다 Mix 40이 더 낮은 변동계수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콘크리트가 경화됨에 따 라 조직이 치밀해지고 고밀도화되어 파동이 더욱 안정적으 로 전달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앞서 취득한 실험결과 값을 바탕으로 압축강도와 초음파 속도와의 관계를 Fig. 5에 나타냈다. 회귀 분석을 통해 얻은 압축강도의 추정식은 식 (6)~(7)과 같으며 S파의 결정계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5.

Relationship between ultra pulse velocity and compressive strength

JKSMI-19-18_F5.jpg
(6)
f c = 0.079 e 0.0029 V s ( R 2 = 0.97 )
(7)
f c = 0.060 e 0.0015 V p ( R 2 = 0.94 )

여기서,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고 VpVs 는 각각 P파와 S파로 수행한 초음파속도법의 초음파속도이다.

3.2 결과 분석

3.2.1 변동계수 비교

Fig. 6은 비파괴실험의 변동계수 값들을 비교한 결과이다. 비파괴실험법들 중에서 변동계수 값이 가장 낮은 S파 측정 값의 신뢰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동탄성계수의 변 형진동이 가장 불안정한 측정값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6.

Analytical results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JKSMI-19-18_F6.jpg

3.2.2 결정계수 비교

회귀분석에서 두 개의 변수간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결정 계수 값은 한 변수의 값을 통해 다른 한 변수의 값을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며, 결정계수가 높다는 것은 더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ng and Tang, 2007). 비파괴실험의 결정계수 값들 중 S파를 통한 강도예측 식이 실제강도와 가장 높은 결정계수 값을 가져 가장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파를 통한 압축강도 예측의 결정계수가 가장 낮아 신뢰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변동계수 값을 통해 평가한 측정값의 안정성은 압축 강도 예측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3.2.3 정규성 검정

통계적 분석값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수행 하였다. 정규성 검정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χ2검정을 사용하였다. P-value가 유의수준보다 크고 통계량 이 임계값 이내로 들어올 때 귀무가설이 채택되고 비파괴실 험값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실험결과에 대한 정규성 검정결과를 Table 7에 나타냈으며, 각각의 실험값들 은 임계값 (c0.95, 4=9.49)과 유의수준 (α=0.05)에 대한 조건 을 만족하여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Result of normality test of data

Mix No. fck Vp Vs Edt Edl
i = 1 k n i - e i 2 e i Mix30 2.55 3.18 4.74 2.38 5.69
Mix40 6.96 5.10 3.45 4.44 7.96
P-value Mix30 0.64 0.53 0.31 0.67 0.22
Mix 40 0.14 0.28 0.47 0.35 0.093

4. 결 론

이 연구에서는 초음파속도법의 P파와 S파, 충격공진법의 종진동과 변형진동 측정값에 대한 통계적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측정값의 안정성과 압축강도 예측의 신뢰성을 평가하 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가지의 비파괴실험과 압축강도에 대한 변동계수를 구 한 결과 재령 3일의 변형진동으로 구한 동탄성계수의 변동계수를 제외하고 변동계수값이 ACI 214R에서 제 시한 ‘좋음’ 이내의 범위에 들었다.

  2. 변동계수값이 가장 낮은 시험방법은 S파를 통한 초음 파속도법으로 가장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 타났다.

  3. Mix 30보다 Mix 40이 더 낮은 변동계수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콘크리트의 고강도화에 따라 조직이 치밀해지고 고밀도화되어 파동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를 통해 배 합에 따른 측정 신뢰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 변동계수값은 재령이 증가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 여 재령이 증가할수록 측정값의 분포가 안정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5. 비파괴실험결과와 실제강도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식 (4)~(7)과 같은 추정식을 얻었고 S파로 측정한 초음파 속도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파 에 의한 초음파속도법의 추정식이 실제강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의 연구비 지원 (11기술혁신F04)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게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03),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Concrete, 21-27.
2 
(2012), Detection of delamination in concrete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test,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26), 574-582.
3 
(1998), Nondestructive test methods for evaluation of concrete in structures, Report ACI 228 2R-98,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 5-7.
4 
(2008), Calculation of Aging Effects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in Concrete by Non-Destructive Tes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12(6), 173-179.
5 
(2001), Estimating Compressive Strength of High Strength Concrerte by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in Korean), 3(5), 123-130.Google Search
6 
(2007), A Study on the Strength Prediction of Crushed Sand Concrete by Ultra-sonic Velocity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4(11), 71-78.
7 
(1996), Ultrasonic pulse velocity test of concrete properties as specified in various standard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18(5), 357-364.
8 
(2013), Combined Use of Non-Destructive Tests for Assessment of Strength of Concrete in Structure, Proceeding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habilitation and Maintenance in Civil Engineering Procedia Engineering, 54, 241-251.
9 
(201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F 2403 Standard test method for making and curing concrete specimens, (in Korean), 1-3.Google Search
10 
(201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F 2437 Standard test method for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rigidity and dynamic Poisson s ratio of concrete specimens by resonance vibration, (in Korean), 1-5.Google Search
11 
(200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F 2731 Testing method for velocity of ultrasonic pulses to conclud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 Korean), 1-8.Google Search
12 
(20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F 2405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 Korean), 1-3.Google Search
13 
(2011), ACI committee 214 ACI 214R-11 Guide for Evaluation of Strength Test Results of Concrete,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 16
14 
(2007), Probability Concepts in Engineering Emphasis on Applications to Civil and Engineering, 306-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