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
  2. ()
  3. ()
  4. ()
  5. ()



Impact, blast, high strain rate, SHPB, UHPC, high speed camera
Impact, Blast, High strain rate, SHPB, UHPC, High speed camera

1. 서 론

일반적으로, 건설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금속 및 콘크리트 를 포함한 모든 재료는 역학적 물성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설계 및 시공에 적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재료는 온 도 및 습도 등과 같은 환경적 조건 이외에도 작용하는 하중 의 속도에 따라 재료적 특성치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특 히, 충돌 또는 폭발과 같은 순간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재료는 매우 높은 변형률 속도환경에 처하게 되며, 이러한 환경 하에서 가지는 재료의 물성은 일반적인 정적 하중조건 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된다(Bischoff P.H. et al., 1991).

이러한 충돌 또는 폭발하중과 같은 고변형률 속도 하의 재 료물성 특성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금속 재료 분야에서는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SHPB) 시 험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 콘크리트 재료분야 에 있어서도 해당 시험방법을 적용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 어지고 있다(Grote D.L. et al., 2001).

그러나, 콘크리트는 금속과 달리 취성재료이기 때문에 SHPB Test의 적용 적정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대다수의 연구 가 일반강도 수준의 콘크리트에 대한 것으로서, UHPC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와 같이 초고강도이면서 섬유가 혼입된 재료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상황이다.(Lai, J. and Sun, W., 2008, Rong, Z. et al.,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콘크리트 및 고성능 섬유보강 콘 크리트 재료에 대한 SHPB 시험을 수행함과 동시에, 초고속 영상촬영장비를 사용한 영상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고변형율 속도 하의 시험체의 파괴거동을 분석, SHPB Test의 콘크리 트 시험체에의 적용 적정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 본 론

2.1 콘크리트 시험체 제작

2.1.1 사용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콘크리트는 재령 28일 압축강도 60 MPa 급 일반 콘크리트와, 200 MPa급 강섬유보강 초고성능콘크 리트(Ultra high peroformance concrete, UHPC) 2종류로서, 기본 배합정보는 다음 Table 1 및 2와 같다.

Table 1.

Mixture proportions of Normal concrete (kg/m2)

W/B (%) S/a (%) C W BS1) Gravel Sand SP (B×%) AE (B×%)
44.2 48 304 168 76 898 839 1.2 0.003

[i] Note. 1) BS : Blast-furnace slag powder

여기서 시멘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일반 콘크 리트용 잔골재는 밀도 2.6 g/cm3, 조립율 2.43을 갖는 강모래 를, 굵은골재는 최대치수 25 mm, 밀도 2.65 g/cm3의 쇄석을 이용하였으며, UHPC 배합에는 입경 0.5 mm 이하의 잔골 재, 96% 이상의 SiO2를 포함하고 평균입경이 2 μm인 충전 재, 분말도 200,000 cm2/g의 노르웨이산 실리카퓸(SF)을 사용 하였다.Table 2

Table 2.

Specified mix of UHPC (weight ratio to C)

W/B (%) C Silicafume Sand Filler SP (B×%) Steel Fiber (Vf, %)
20 1 0.25 1.1 0.3 0.018 2%

한편, UHPC에 사용된 강섬유의 물리적 특성치는 Table 3 에 정리하였다.

Table 3.

Properties of steel fiber

Type of fiber Density (kg/cm3) Tensile strength (MPa) l ƒ 1) (mm) l ƒ/dƒ 2) (mm/ mm)
Straight 7.8 2,500 13 65

[i] Note. 1)lf : length of fiber, 2)df : diameter of fiber

2.1.2 시험체 제작

SHPB Test용 시험체는 직경 45 mm, 길이 45 mm를 기준 값으로 가진 원통형으로서, 시험체의 제작방식에 따른 측정 결과의 변동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몰드 제작방식과 코 어링 제작방식 두 가지를 병행하였다.

일반콘크리트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25 mm 이므로, 몰 드 제작방식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균일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코어링 제작방식만 제시하였다.

한편, SHPB 시험 특성상 시험체 형상의 높은 정밀도가 요구 되기 때문에, 시험체 재하 면과 모선 사이의 각도는 90°±0.5°, 하중 작용방향 진직도 0.5 mm 이내로 제작하였다. Fig. 34는 코어링 시험체 제작 과정에 투입된 장비 및 제작된 시험체를 보여주고 있다.

Fig. 1.

Type of loads versus Strain rate (Bischoff et al., 1991)

JKSMI-19-83_F1.jpg
Fig. 2.

Strain rate dependent Strain-Stress Curves (Grote et al., 2001)

JKSMI-19-83_F2.jpg
Fig. 3.

Manufacturing process of testing specimen

JKSMI-19-83_F3.jpg
Fig. 4.

Specimens for SHPB test

JKSMI-19-83_F4.jpg

시험체의 실제 제작에 있어서 UHPC는 섬유의 방향성이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코어링 방식 시험체 제작시에는 섬유의 방향성을 고려, 충격하중의 직교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섬유가 배치되도록 시험체를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일반 콘크리트 코어제작(Plain), UHPC 코어제작 및 하중방향 대비 섬유 직교배열(UHPC (Core-V)), UHPC 코어제작 및 하중방향 대비 섬유 수평배 열(UHPC(Core-H)), UHPC 몰드제작(UHPC(Mold), 총 4가 지 시험체에 대하여 시험평가를 수행하였다.

2.2 SHPB 시험장비

SHPB 시험은 충격봉(striker), 입력봉(Incident bar), 출력 봉(Transmitter bar), 충격봉 발사를 위한 Air gun 및 데이터 계측용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Lee, Ouk Sub et al., 2004). Fig. 5는 SHPB 장비 구성 개요도로써, 충 격봉이 입력봉에 가하게 되는 충격파에 의해 시험체가 파괴 되며, 시험체의 파괴 시 발생하게 되는 반사파와 투과파를 각각 입력봉 및 출력봉에 부착한 스트레인게이지로 측정, 다음 이론식에 의해 변형률 속도와 응력-변형률 관계, 파괴시의 강 도 값을 구하게 된다.(Seo, Song Won et al., 1998, Lindholm, U.S., 1964)

Fig. 5.

Schematic diagram of SHPB (Marais S.T. et al., 1991)

JKSMI-19-83_F5.jpg
(1)
ε . t = - 2 C 0 L s ε R t
(2)
ε t = - 2 C 0 L s $\int$ 0 t ε R t dt
(3)
$\sigma$ t = E 0 A 0 A s ε T t

여기서, C 0 = E ρ (입력봉 및 출력봉의 탄성계수, 밀도 비의 제곱근값), Ls=시험체 길이, εR(t)=입력봉에서 측정된 반사파 변형률, εT(t)=출력봉 측정 변형률, A0=봉의 단면 적, As=시험체 단면적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Fig. 6과 같이 최대직경 50 mm 의 시험체 적용이 가능한 장비로서, 최대 공기압 7 Bar, 입 력봉 및 출력봉 길이는 각각 3 m로서, 콘크리트와 같은 구 조물용 복합재료의 시험평가를 위하여 제작된 SHPB 장비이 다. 입력봉과 출력봉에 부착된 변형률 게이지는 중앙부의 시 험체로 부터 각각 1,200 mm 씩 떨어진 위치에 부착하였다.Fig. 7

Fig. 6.

SHPB testing equipments

JKSMI-19-83_F6.jpg
Fig. 7.

Setup of high speed camera for SHPB Test

JKSMI-19-83_F7.jpg

2.3 영상분석 시스템

본 연구에서는 SHPB 시험을 수행함과 동시에, 시험체 파 괴시의 거동을 실제로 영상촬영하여 발생변위 및 변형률 산 출의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초고속 영상 촬영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SHPB 시험의 특성상 충격파가 시험체에 도달된 후 파괴 시까지 100 ㎲ 이내 구간에서 모든 현상 및 계측이 완료되 기 때문에, 해당 계측시간 동안 충분한 분석용 영상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여야 한다. (Kang, Myoung Soo et al., 2012)

또한, 일반적으로 초고속카메라의 경우, 해상도를 높일 경 우 초당 프레임 수(FPS)는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 문에 촬영 목적에 따라 FPS, 해상도, 촬영영역을 모두 고려 하여야 한다.(Kang, Myoung Soo et al., 2012, Chung, Dong Teak et al.,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카메라의 요구성능 확인을 위해 해상도 128×32 CMOS 기준 685,800, 840,000 및 1,000,000 FPS 성능을 각각 가진 VRI사의 Phantom V710, V1610 및 V2010을 사용하여 사전검토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 에서는 V2010을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만 나 타내었다.

2.4 시험평가 수행 결과

2.4.1 SHPB 시험 결과

Fig. 8은 SHPB Test 수행 시 입력봉 및 출력봉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값 중 한 예를 보이고 있다. 계산식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입력봉의 경우 시험체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온 두 번째 피크치와 출력봉에서 계측된 최초 피크치이다. 이 때, 각 봉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의 위치 에 따라, 신호가 발생된 시간대에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출력봉에 신호가 감지된 시점에 맞추어서 출력 봉의 반사파 구간을 시간보정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Fig. 8.

Strains of incident and transmitted bars

JKSMI-19-83_F8.jpg

Fig. 9는 SHPB Test를 통한 각 시험체별, 식 (1)에 의거하 여 계산된 변형률속도 및 식 (3)에 의한 최대응력 계산값을 보이고 있다. Plain, UHPC(Core-V), UHPC(Core-H) 및 UHPC (Mold)의 정적 압축강도는 Fig. 9에 표기한 바와 같이 각각 60, 208, 204, 186 MPa 이었으며, UHPC의 경우 몰드제작 방식의 시험체가 코어제작방식의 시험체보다 약 10%정도 낮은 정적 압축강도를 보였다.

Fig. 9.

Test results of SHPB Test

JKSMI-19-83_F9.jpg

한편, UHPC(Mold) 시험체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험체에 대해 103 /s 수준까지 변형률속도를 증가시켜 실험을 수행하 였다.

Fig.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변형률속도 증가에 따른 강도 증가 기울기는 UHPC의 경우가 Plain 콘크리트보다 높음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200~500 /s 변형률속도 구간에서는 UHPC 의 섬유방향성 및 시험체 제작방식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음 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러한 고변형율 하의 정적 압축강도 대비 동적증가 계수(Dynamic Increase Factor, DIF)와 관련해서는 ACI-349 및 CEB가 제시한 경험식에 기반한 모델식이 존재하며, 모델 식은 식(4)와 같이 변형률속도(SR)를 변수로 한다.

(4)
DIF = 0.9 + 0.1(logSr + 5.0)
Fig. 10.

Strain rate dependent Dynamic Increase Factor (L.J. Malvar et al., 1998)

JKSMI-19-83_F10.jpg

ACI 349에서는 압축강도 28~42 MPa인 보통강도 콘크리 트의 실제 실험결과로부터 구하여진 경험식으로서, 단순히 변형률속도만을 변수로 하고 있기 때문에, UHPC와 같이 재 료의 강도범주 및 재료 특성이 다를 경우에는적용하기 어렵 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CEB 모델의 경우에 있어서는 변형률속도 이외에도 정적강도 특성을 동시에 변수로 주어주고 있으며, 변형률속 도 30 /s를 기점으로 Bilinear 공식을 제안하고 있으며, 식 (5~6)와 같다.

(5)
DIF = ε . ε . s 1.026 $lpha$ s For ε . 30 s - 1
(6)
DIF = $\gamma$ s ε . ε . s 1 / 3 For ε . > 30 s - 1

여기서, ε . = 30 × 10 - 6 s - 1 , $\gamma$ s = 10 6.156 $lpha$ s - 2.0 , $lpha$ s = 1 / 5 + 9 f cs / 10 이다.

다음 그래프는 각 시험체별 실험결과와 ACI 349 및 CEB 모델식을 비교한 것으로, X축은 변형률속도를, Y축은 DIF 를 나타낸다.

Fig.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모든 시험체의 실험결과는 CEB 모델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비록 CEB 모델이 일 반강도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한 경험식임에도 불구하고, UHPC 의 경우에도 유사한 예측결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1.

Strain rate vs. DIF

JKSMI-19-83_F11.jpg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일부 한정된 변형률속도구간만을 확인하였으며, 실험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관계로 모델식의 검증에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4.2 초고속 영상촬영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적용된 초고속 영상 카메라의 적용 시 시⋅공 간 분해능은 130,232 fps, 해상도 384×304로서, 100㎲ 시간 에 13개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적 용된 해상도의 픽셀 당 실제 크기는 0.06×0.06 mm를 적용 하였다.

Fig. 12 및 Fig. 13은 Plain 콘크리트와 UHPC 시험체의 200~300/s 변형률속도구간에 해당되는 충격파 적용 시 측정 된 시간에 따른 파괴성상을 보여주고 있다. Plain 시험체의 경우는 초기균열 발생 이후 시험체 전체에 걸쳐 완전 취성파 괴의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UHPC의 경우에는 국부적인 양 단부 파괴가 시험체 전체로 전달되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Fig. 12.

Failure of Plain concrete by SHPB Test

JKSMI-19-83_F12.jpg
Fig. 13.

Failure of UHPC by SHPB Test (Red circle: Initial cracking zone)

JKSMI-19-83_F13.jpg

이는 취성재료인 Plain 콘크리트와 달리, UHPC는 매우 높 은 고강도 재료이며, 섬유가 혼입됨에 따라 파괴인성이 높기 때문에 초기균열의 진행이 억제된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14는 각 시험체별 초고속 영상 촬영 데이터로부터 구 하여진 시간에 따른 발생 변위 계측치로서, Plain 콘크리트 가 UHPC의 경우보다 큰 변위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충격하 중조건 하에서 Plain 콘크리트 시험체가 전체적으로 완전히 파괴되는 반면, UHPC는 국부파괴만 발생하였기 때문에 Plain 시험체의 경우, 보다 큰 변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다. 한 편, UHPC의 경우에는 최대변위 발생 후 일부 변위회복이 발생되었으며, 이는 UHPC 시험체의 파괴부위 외의 영역에 서 일부 탄성회복 거동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14.

Time vs. Displacement by image analysis

JKSMI-19-83_F14.jpg

Fig. 15 및 Fig. 16은 SHPB Test 수행 시 입력봉에 부착 된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치와 초고속카메라로 측정된 변위 발생 계측치를 비교한 것이다.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계측 변형률을 나타내는 입력봉의 반사파 최대 피크치 발생 이전에 영상분석을 통한 변위발생 최초 피크치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Plain 시험체는 변위증가 구간 중에, UHPC는 최대변위 발생시점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Fig. 15.

Reflected strain (Incident bar) vs. Displacement (Highspeed camera) (Plain concrete)

JKSMI-19-83_F15.jpg
Fig. 16.

Reflected strain (Incident bar) vs. Displacement (Highspeed camera) (UHPC)

JKSMI-19-83_F16.jpg

이러한 경향은 시험체에 따라, 시험에 따라 어느정도 변동 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보다 명확한 상관성을 검토하 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나, 계측 변형률 과 영상측정 변위거동의 상이성은 SHPB Test 자체가 가지 는 계측방식의 한계성이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즉, SHPB Test의 특성 상, 간접적인 신호분석을 통한 시 험체의 변형률을 계산하는 방식이 콘크리트와 같은 취성재 료에 직접 적용하는 데에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는 금속과 같이 충분한 인성과 연성을 가진 재 료에 있어서는 충격하중 전달 시 재료 자체의 파괴에 의해 소산되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큰 에너지의 손실 없이 입 력봉의 반사파 및 출력봉의 전달파로 에너지가 전달되기 때 문에 시험체의 물성을 간접 파악하는데 무리가 없는 반면, 콘크리트와 같은 취성재료의 경우에는 충격파에 의한 시험 체 파괴시의 소산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입력봉 및 출력봉에 서 계측되는 값과 실제 시험체의 거동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사료되며, 이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후속되 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Fig. 17 및 Fig. 18은 영상측정 변위와 출력봉의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된 변형률을 식 (3)에 대입하여 구해진 응력 값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최대응력 발생시점과 영상측정 변 위 초기 피크치가 거의 유사한 시점에서 발생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17.

Stress vs. Displacement (Plain concrete)

JKSMI-19-83_F17.jpg
Fig. 18.

Stress vs. Displacement (UHPC)

JKSMI-19-83_F18.jpg

즉, 영상측정 변위 계측 결과와 응력 거동의 유사성을 볼 때 SHPB Test의 간접 계측방식에 대한 충분한 검증시험 방 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영상측정 방식의 경우, SHPB Test의 매우 짧은 측정시간을 고려할 때, 획득 가능한 초당 프레임 수 및 해상도에 따라 결과값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에, 충분한 시⋅공간 분해능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SHPB Test의 콘크리트에의 적용에 있어서 입력봉 반사파로부터 구하게 되는 변형률 계산치의 불분명성은 출 력봉 전달파로부터 구하여지는 응력 계산치에 있어서도 동 일하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향후 추가적인 연 구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충격 또는 폭발하중 하의 고변형률 환경 하 에서 일반 60 MPa급 Plain 콘크리트와 200 MPa급 초고성 능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 동적증가계수를 SHPB Test를 통해 시험평가 하였다. 또한,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SHPB Test 수행 시 실제 변위를 측정, 변형률 계산 이론식 결과와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Plain 및 UHPC 모두 ACI 349 모델식과는 다른 거동 을 보였으며, 이는 ACI 349 모델식이 변형률속도만을 변수로 가진 일반 콘크리트에 대한 경험식이기 때문이 다. 한편 CEB 모델식은 비록 일반 콘크리트에 대한 변형률속도 및 정적 압축강도를 변수로 가진 경험식임 에도 불구하고, Plain 및 UHPC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2. SHPB Test 수행 시 Plain 콘크리트는 시험체가 완전 히 파괴되었으며, UHPC의 경우에는 국부파괴만 발생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UHPC의 높은 강도대와 더불어 섬유의 보강효과로 인성이 강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3. 초고속카메라 영상분석 결과, Plain 콘크리트가 UHPC 보다 큰 변위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UHPC의 경우에는 최대변위 발생 후 일부 변위회복 현상이 발 생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UHPC 시험체에서 파괴가 발생하지 않은 건전부위에서 일부 탄성회복 거동을 가 진 것으로 판단된다.

  4. SHPB Test 수행 시 입력봉의 반사파로부터 구하여진 시험체 변형률과 영상분석 변위 간에 뚜렷한 상관성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는 콘크리트와 같은 취성재료의 파괴 시 시험체 자체에서 손실되는 에너지가 크기 때 문에, 시험체로부터 입력봉으로 전달된 반사파가 충분 히 해당 재료의 물성을 보여주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 음을 보인다고 사료되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 분이라고 판단된다.

  5. 영상분석 변위와 SHPB Test에서 출력봉 스트레인게 이지로부터 구하여진 응력발현과 거동의 유사성은 확 인되었으나 SHPB Test 방식의 간접적인 변형률, 응력 계산방식의 적정성에 대하여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 요하다고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 방호·방폭 연구단 (과제번호: 13건설연구S02)의 연구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 니다. 연구지원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13), “Development of Intelligent Multiple Camera System for High-Speed Impact Experiment”, Trans. Korean Soc. Mech. Eng. A, 37(9)
2 
(2012), “Experimental Study on Deformation and Failure Behavior ofLimestones under Dynamic Loading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22(5)
3 
(2004), “Dynamic deformation behavior of rubber and ethylene copolymer under high strain rate compressive load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21(6)
4 
(1998), “Size effect of aluminium compression specimen in SHPB test”, The Korean Socirty of Mechanical Engineering A
5 
(1991), “Compressive behaviour of concrete at high strain rates”, Journal of Materials and Structures, 24(6)
6 
(2001), “Dynamic behaviour of concrete at high strain rates and pressures: I.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25(9)
7 
(2008), “Dynamic Mechanical Behaviour of Ultra-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s”, Journal of Wuhan University of Technology-Mater, 23(6)
8 
(1964), “Seom experiments with the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Journal of the Mechanics and Physics of Solids, 12
9 
(1998), “Dynamic increase factors for concrete”, Twenty-Eighth DDESB Seminar, Orlando, USA
10 
(2004), “Material testing at high strain rate using the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Latin American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1
11 
(2010), “Dynamic compression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ement based compo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37(5)
12 
(2006), Code Requirements for Nuclear Safety-Related Concrete Structures,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3 
(1993), CEB-FIP Model Code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