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호
(Hyun-Ho Lee)
1*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아라미드 시트, 유한요소 해석, 횡구속, 강재 댐퍼, 내진 보강
Key words
Aramid sheet, Fe analysis, Lateral confinement, Metallic damper, Seismic strengthening
1. 서 론
2015년 4월 25일 규모 7.9의 크기로 네팔에서 발생한 지진 및 여진으로 8,779명의 사상자와 22,200명의 부상자가 발생 하였다. 2008년
5월 12일 중국 쓰촨성에서 발생한 규모 8.0 지 진시에는 내진설계 되지 않은 학교건물이 붕괴하여 약 7만명 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상과 같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 하는 주된 이유는 비내진 구조물 또는 내진성능이 취약한 구 조물 등에 기인한 것이다.
2010년 국토일보는 경기도의 경우, 전체 2,946개의 학교 중 내진설계가 반영된 건물은 848개동(28.8%)으로, 71.2%의 건 물이 내진설계
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전체 2, 554개동 가운데 무려 91%가 내진설계 되지 않 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현실에 의하면 상 당수 학교건물의 내진보강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며, 지진 발생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예상된다.
학교 건축물은 Photo 1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골조로 건설 되는데, 사진에서 보듯이 임의의 층 또는 몇 개 기둥의 부족한 내진성능이 구조물 전체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
Photo 1
Intermediate story collapse at Hanshin-Awazi Great Earthquake (1995.1. 17)
이상과 같은 RC 골조를 보강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 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골조 내부에 강재프레임을 설치하 고 강재댐퍼를 부착하는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댐 퍼 대신 골조 내부에 강재프레임 또는 RC 외부 골조를 보강하 는 공법들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강공법은 대상 구조물
의 구조적 특성 및 부족한 내진성능의 수준에 따라 선택되고 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둥의 부족한 전단성능을 아리미드 시트로 손쉽게 횡구속하여 확보한 후, 골조의 연성적인 거동 이 가능하도록 강재 댐퍼를 보강하는
RC 골조 건축물에 적합 한 내진 보강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보강 목표를 강도뿐 만 아니라 연성확보도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보강 골조에 대한 수평 저항 성능을 기본으 로, 내진 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강공법을 제안하고자 한 다. 내진보강 공법은 기존 연구결과(Lee et al, 2012)를 토대로 아라미드 시트 및 에너지 소산 장치(강재 댐퍼)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강재댐퍼는 Fig. 1과 같으며, 기존연구(Lee, 2014(a), Lee, 2010(b) )에서 우수한 내진성능이 검증된 S형의 스트럿을 가지는 댐퍼이다. 또한 ABAQUS를 이용한 FE 해석 을 실시하여, 실험결과의 해석적 평가도 진행하였다.
Fig. 1
Metallic damper with S type strut
2. 성능 실험
2.1 실험 계획
실험 대상을 선정하는데 있어, 학교 골조에 대한 기존 연구 는 다수가 있어, 학교 골조와 유사하며, 지진발생시 더 많은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지하철
역사를 고려하였다. 대상 구조 물은 서울 소재 지하철 역사의 지상 2층을 선정하였으며, 실 구조물 수준으로 실험체를 Table 1과 같이 계획하였다. Table 1에서 BF는 순수 골조 실험체이며, ASD는 BF 실험체의 기둥 을 아라미드 시트로 횡 보강하고, S형 스트럿을 가지는 강재 댐퍼를 K형 가새에 부착시킨
것이다. ASD의 자세한 상세는 Photo 2와 같다.
Table 1
Name
|
Strengthening methods
|
BF
|
Not used
|
ASD
|
Aramid sheet + Metallic damper
|
골조 기둥의 크기는 300×300 mm이며, 주근은 8-D16이며, 띠철근은 D10@200이다. 가력보와 기초는 수평하중 가력시 문제 없도록 충분히
크게 설계하였다. 또한 콘크리트는 24 MPa, 철근은 400 MPa로 설계하였다. 기둥을 횡으로 구속한 아라미드 시트의 물성치는 Table 2와 같다. 아라미트 시트는 현장에서 에폭시 수지에 함침하므로, 부재를 감싸는 보강 효 과가 매우 우수한 재료이다. 강재 댐퍼는 Photo 2에 나타낸 것 과 같이 스트럿 폭은 30 mm이고, 각도는 30°, 스트럿의 수직 길이는 200 mm이다. 댐퍼는 SS400 강종을 사용하였으며,
재 료 특성은 Table 3과 같다.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 시험 결과 압축강도는 27.5 MPa로, 탄성계수는 23.3 GPa로 확인되었다. 사용된 D10 철근의 항복강도는
513 MPa로, 인장강도는 637 MPa로, 탄성계수는 177 GPa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된 D16 철근의 항복강도는 468 MPa로, 인장강도는
608 MPa로, 탄성 계수는 192 GPa로 확인되었다.
Table 2
Material properties of aramid sheet
Unit weight [g/m2]
|
Thk. [mm]
|
Width [mm]
|
Tensile strength [N/mm2]
|
Tensile modulus [N/mm2]
|
280
|
0.194
|
400
|
400
|
1.2 105 |
Table 3
Material properties of metallic damper
Yield strength [N/mm2]
|
Tensile strength [N/mm2]
|
Elastic modulus [N/mm2]
|
Elongation percentage [%]
|
305
|
478.7
|
1.98 105 |
43.4
|
2.2 가력 및 계측
수평하중 저항 능력 실험시, 지진하중에 대한 건축 구조물 의 복곡률(double curvature) 거동이 구현되도록 Photo 3과 같 이 실험장치를 계획하였다. 실험체 가력은 축력에 의한 구속 효과를 구현하고자 기둥 단면 10%에 해당하는 약 100 kN의 하중을 골조 기둥
각각에 일정하게 도입하였으며, 변위이력 에 해당하는 수평하중 로딩 싸이클을 Fig. 2와 같이 적용하였 다. 실험체 셋팅시 축력을 도입하는 액츄에이터의 상하단은 힌지를 달아 실험체의 회전 변형을 억제하고 수평 변형이 가 능하도록 설치하였다.
모든 실험체 철근 및 댐퍼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해 하중-이력에 따른 변형도를 측정하였으며, LVDT를 수직, 수평, 대각선 방향으로 실험체에
설치하여 실험 진행에 따른 변위도 측정하였다.
3. 실험 결과
3.1 BF 실험체
비보강 실험체로서 하중-이력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위를 증가시키면서 수평하중 가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아라미드 시트나 댐퍼 보강이 없어 매우 취약한
내진 성능을 나타내었 다. Fig. 3에 나타낸 하중-변위 곡선을 보면 정가력시 최대하 중 253.3 kN, 부가력시 최대하중 240.7 kN을 지나자 마자 급 격한 강성 저하를 나타내었다.
이는 Photo 4에서도 알 수 있는 데, 상하단 기둥에 소성힌지가 형성되어 최대하중 도달 후, 구 조적인 불안정으로 종국 파괴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Load-displacement curve of BF
Photo 4
Final failure shape of BF
3.2 ASD 실험체
ASD 실험체는 BF 실험체의 취성적인 기둥을 아라미드 시 트로 횡구속하고, K형 가새를 이용한 S형 스트럿 댐퍼로 보강 한 실험체이다. Fig.
4에 나타낸 하중-변위 곡선을 보면 BF 실험체보다 약 1.6배의 강도 및 변형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 으로 평가되었다. 정가력시 406.8 kN.
부가력시 393.8의 최대 하중을 나타내었다. 아라미드 시트 보강에 의하여 수평강성 이 확보되어 이력곡선은 점진적으로 상승하다가, 최대하중 이후 댐퍼에
변형이 집중되었다. Photo 5를 보면 아라미드 시 트 보강 기둥의 손상 없이 댐퍼 스트럿의 파단으로 실험이 종 료됨을 확인하였다. 즉 적절한 기둥 보강후, 에너지 소산 능력 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댐퍼를 설치하는 것이 내진성능이 부족 한 기존 건물에 적합한 보강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Load-displacement curve of ASD
Photo 5
Final failure shape of ASD
Fig. 5에 ASD 실험체에 설치된 댐퍼 스트럿 상부의 하중-변 형도 곡선을 나타내었다. 이에 의하면 약 215 kN에서 댐퍼가 항 복하여 점차로 변형도가
증가하다가 파단됨을 확인할 수 있어, 골조 시스템 항복후 댐퍼 거동이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5
Load-strain curve of strut in ASD's damper
4. 실험 결과 분석
4.1 포락선
3장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각 하중 스텝별 최대점만을 이은 포락선을 Fig. 6에 정리하였다. 이에 의하면 기존골조에 아라 미드 시트로 기둥을 횡구속한 후 댐퍼를 보강한 ASD 실험체 가 비보강인 BF 실험체 대비 강도 및 변형
능력이 우수한 것으 로 평가되었다. 비보강인 BF 실험체는 항복후 점차 강도가 증 가하다가 최대하중 이후 급격한 강도 저하가 확인되었다. ASD 실험체는
최대하중 이후 댐퍼의 S형 스트럿이 하나씩 끊어지 는 변형거동을 보여, BF 대비 연성적인 거동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6
Envelope curve comparison
4.2 강도 특성
RC 실험체는 콘크리트 혼합 재료의 특성상 항복강도가 명 확히 나타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항복변위는 1987년 Priestley가 제시한 최대하중의
75%에 해당하는 점을 항복, 이 때의 변위를 항복변위(δy)로 산정하였다. 이러한 강도 특성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이에 의하면 ASD 실험체의 강도 또한 비보강 대비 1.6배 증가하여, 기둥의 횡구속에 의한 아라미드 시트의 보강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4
Yield and max. strength comparison
Specimen name
|
Loading direction
|
Yield strength [kN]
|
Yield disp. [mm]
|
Max. strength [kN]
|
Max. disp. [mm]
|
|
BF
|
(+)
|
191.8
|
11.5
|
255.7
|
33.4
|
ASD
|
(+)
|
305.1
|
15.5
|
406.8
|
50.2
|
BF
|
(-)
|
180.5
|
11.6
|
240.7
|
29.9
|
ASD
|
(-)
|
295.4
|
15.7
|
393.8
|
39.8
|
4.3 강성 저하
각 실험체별 정․부 싸이클의 평균 강성 저하를 Fig. 7에 나타 내었다. 이에 의하면 아라미드 시트로 기둥을 횡 구속한 ASD 실험체의 경우, 수평변위 50 mm 이상 변위가 증가하여도 강 성 저하율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어 최대하중 이후의 연성적인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보강 BF 실험체 의 경우, 강성저하 기울기는 ASD 실험체와
유사한 것으로 평 가되었지만, 수평변위 45 mm 이상에서는 급격한 파괴를 보 여 실험이 중지되었다.
Fig. 7
Stiffness degradation comparison
4.4 에너지 소산능력
Fig. 8에 각 실험체별 에너지 소산능력을 나타내었는데, BF 실험체는 최대하중 이후 급격한 파괴로 에너지 소산능력이 수평변위 50 mm까지 발휘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하여 아라 미드 시트로 기둥을 횡구속한 후 강재 댐퍼 보강한 ASD 실험 체는 수평변위 70 mm 이상까지 에너지 소산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수평하중 가력 엑츄에이터의 가력 길 이 제한 때문에 실험체 파괴시까지 에너지 소산능력을 확인 하진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ASD 실험체의
에너지 소산능력 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Photo 5의 파괴 양상 에서 확인하면, 아리미드 시트 보강 기둥의 파괴 없이 댐퍼 스 트럿의 파단으로 파괴가 진행된 것으로 ASD 실험체의 에너 지 소산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8
Energy dissipation area comparison
5. FE 해석
5.1 해석 모델
앞장에서 진행한 골조 구조물의 수평하중 성능 평가 실험 을 해석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비선형 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한 FE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시 콘크리트 는 Fig. 9와 같이 일축 압축 모델 및 인장 연화 모델을 사용하 였다. 철근 및 강재는 Fig. 10과 같이 변형경화를 고려한 완전 탄소성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아라미드는 전단잠김현상을 제 거한 선형 취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콘크리트는 전단 잠김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20개 절점 을 갖는 고체 요소로 모델링하였으며, 축소적분을 수행하도 록 하였다. 아라미드는 쉘요소로
모델하였으며, 아라미드와 콘크리트는 완전부착으로 가정하였다. 철근은 별도 요소로 모델링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또한 철근 및 강재는
콘크리트와 완전부착으로 가정하였다.
5.2 BF 실험체
2장의 실험조건에 근거한 BF 실험체의 모델링은 Fig. 11과 같다. Fig. 12에는 골조실험체의 파괴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Photo 4와 마찬가지로 상하단 기둥에 소성힌지가 형성되면서 최종 파괴에 도달함을 ABAQUS를 이용한 FE 해석에서도 확 인할 수 있었다. Fig. 13에는 BF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을 실험결과와 같이 나타내었는데, 해석결과의 강도가 275 kN으 로 실험결과인 255.7 kN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또한 최대 하중 이후 해석결과의 발산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의 해석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전반적인 실험 및 해석 거동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ABAQUS를 이용한 FE 해석으로 비보강 골조의 수평하중에 대한 이력거동 평가가 가능한 것 으로 판단된다.
Fig. 13
Load-displacement curve comparison
5.3 ASD 실험체
ASD 실험체의 골조와 철근 모델은 BF 실험체와 동일하며, Fig. 14에 S형 강재 댐퍼 및 K형 가새의 해석모델을 나타내었 다. Photo 5의 실제 실험결과와 마찬가지로 아라미드 시트로 횡구속된 기둥은 수평 응력을 충분히 저항하면서, 댐퍼에 응 력이 집중되어 최대하중에 도달함을 FE 해석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단계별 응력 변화를 Fig. 15에 나타내었는데, 아라미 드 시트가 RC 기둥을 강하게 구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Fig. 16에는 BF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을 실험결과와 같이 나타내었는데, 해석결과의 강도가 436 kN으로 실험결과 인 406.8 kN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또한 최대하중 이후 해 석결과의 발산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의 해석을 진행하지 못 하였다. 그렇지만 전반적인 실험 및 해석 거동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ABAQUS를 이용한 FE 해석으로 아라미드 시 트로 기둥을 횡구속한 후 강재댐퍼로 보강한 골조의 수평하 중에 대한 이력거동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6
Load-displacement curve comparison
6.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학교건물 등과 같은 골조 건축물에 적합한 내진 보강공법을 제안하고자, 비보강 골조 및 아라미드 시트로 기둥을 횡구속한 후 강재댐퍼로
보강한 골조에 대한 수평 저항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수평하중 실험 결과, 비보강 BF 실험체는 최대하중 이후 급 격한 취성 파괴를 보였으며, 보강 ASF 실험체는 아라미드 시트 보강에 의하여 수평강성이
확보되어 이력곡선은 점진 적으로 상승하다가, 최대하중 이후 댐퍼에 변형이 집중되 어 파괴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포락선 평가 결과, 아라미드 시트로 기둥을 횡구속한 후 댐 퍼를 보강한 ASD 실험체가 비보강인 BF 실험체 대비 강 도 및 변형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ASD 실험체는 최대하중 이후 댐퍼의 S형 스트럿이 하나씩 끊어 지는 변형거동을 보여, BF 대비 연성적인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각 실험체별 항복 및 최대 강도를 평가한 결과, ASD 실험체 의 수평 강도 또한 비보강 대비 약 1.6배 증가하여, 기둥의 횡구속에 의한 아라미드
시트의 보강효과를 확인할 수 있 었다.
-
각 실험체별 평균 강성 저하를 평가한 결과, 아라미드 시트 로 기둥을 횡 구속한 ASD 실험체의 경우, 수평변위 50 mm 이상 변위가 증가하여도
강성 저하율은 크게 떨어지지 않 는 것으로 평가되어 최대하중 이후의 연성적인 거동을확인 할 수 있었다.
-
에너지 소산능력을 평가한 결과, BF 실험체는 최대하중 이 후 급격한 파괴로 에너지 소산능력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 로 평가된 반면 ASD 실험체는
수평변위 70 mm 이상까지 에너지 소산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에너지 소산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ABAQUS를 이용한 비선형 FE해석 결과, BF 및 ASD 실험 체의 이력거동을 적절히 예측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내진성능이 취약한 기존 골조의 기둥을 아라미드 시트로 횡구속하여 필요한 수평강성을 확보한 뒤, 강재 댐퍼로 에너지 소산 능력을
확보하는 본 제안 공법의 내진 우수성 및 효율성을 검증되었다. 향후 진 동 특성 등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 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기초연구사업(No.2011- 0006551) 및 2014년도
동양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2010), ASCE,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ASCE 7-10),
ASCE, 179-197.
(2005), Design and Construction Manual of Passive Seismic Control Structures, Japan
Society of Seismic Isolation, (in Japanese)
(2014), Dependency Evaluation according to Damper Strut Typ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in Korean), 18(5), 78-86.
(2012), Metallic Damper Strengthening Effect evaluation of RC Frame by FE analysis,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4(2), 59-60.
(2012), Strengthening Effects of RC Column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4(2), 473-480.
(2012), Nonlinear Behavior Evaluation of RC Frame Structure before Strengthening,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
24(1), 71-72.
(2010), Metallic Damper Shape and Cyclic Behavior for the Seismic Capacity Improvement
of Building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in Korean), 14(3), 123-130.
(1997), Passive Energy Dissipation Systems in Structural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3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