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충돌, 충격, 방호, 가스건, 초고성능콘크리트, 모니터링
Crash, Impact, Protection, Gas-gun,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Monitoring

1. 서 론

최근 주요 도심으로의 인구 밀집화와 건축물 및 시설물의 대형화 추세와 함께, 충돌 및 폭발과 관련된 사고 혹은 테러에 대한 안전성 확보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세계 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국에서는 북한이나 다른 국가에 의한 테러 발생 가능성이 항시 존재하며, 일부 대도시에 국가 인구 대부분이 밀집되어 있는 독특한 주거 특성을 가지고 있 어 충돌·폭발 사고 혹은 테러가 발생할 때 막대한 인명피해를 포함한 국가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Kim et al., 2011). 그러 나 현재 국방시설물 또는 관련 법령에 의거한 국가 주요 시설 물에 한해서만 방호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어 민간 주요 시설 물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방시설물에 주로 적용되는 방식인 부재 치수, 즉 부재 두 께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민간 시설물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사용공간이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따라서 부재의 치수 증가를 최소화 하면서 부재 자체의 방호성능을 극대화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외에서 다양 한 해석적·실험적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Sugano et al., 1993; Schenker et al., 2008; Wua et al., 2009; Bhatti et al., 2011; Yoon et al., 2011; Lee et al., 2013; Li et al., 2013; Yusof et al., 2013; Kim et al., 2014), 시험 평가 방법에 대한 구체적 인 기준이나 방법론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and Park,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부재의 방호성능 평가에 앞서 건설자재 단계에서의 방호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 정립 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대전 소재 국방과학연구소가 보 유하고 있는 40 mm Gas-gun 장비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시험 체의 충격하중에 대한 파괴거동을 평가하고자 한다. 60 MPa 급 일반 콘크리트와 200 MPa급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로 자재를 제작하여, 탄도에 의한 충격하중 하에서 각 자재의 파괴특성을 계측/분석하고, 거동 평가를 위한 개선사항 도출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본 론

2.1. 시험체 및 시험평가용 지지구조물 제작

본 연구에서 사용된 콘크리트는 재령 28일 압축강도 60 MPa급 일반 콘크리트와, 100, 150, 200MPa급 UHPC 3 종류 로서, 주요 배합정보를 Table 1과 2에 정리하였다.

Table 1

Mixture proportions of normal concrete

Sample W/B (%) S/a (%) C W BS1) Gravel Sand SP (B×%) AE (B×%)

NC-60 44.2 48 304 168 76 898 839 1.2 0.003

1) BS: Blast-furnace slag powder

여기서 일반 콘크리트와 UHPC 배합 모두 1종 보통 포틀랜 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일반 콘크리트용 잔골재는 비중 2.6 g/cm3, 조립율 2.43의 강모래를, 굵은골재는 최대치수 25 mm, 비중 2.65 g/cm3의 쇄석을 사용하였다. UHPC 배합에는 입경 0.5 mm 이하의 잔골재, 96 % 이상 SiO2를 함유한 평균 입경 2 μm인 충전재, 분말도 200,000cm2/g의 노르웨이산 실리카퓸 (SF)을 사용하였다. UHPC에 혼입된 강섬유의 물리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Properties of steel fiber for UHPC

Type of fiber Density (kg/cm3) Tensile strength (MPa) lf 1) (mm) lf/df 2) (mm/mm)

Straight 7.8 2,500 13 65

1) lf : length of fiber,

2) lf/df : diameter of fiber

60MPa급 일반 콘크리트 시험체 NC-60과 200MPa급 UHPC 시험체 UHPC-200의 기본 물성인 28일째 압축강도와 휨인장 강도를 Table 4에 정리하였다. UHPC의 경우 강섬유를 혼입 하였기에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한 변형률 경화거동을 보이고 인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Table 4

Mechanical properties of test specimens

Sample Compressive Strength (MPa) Flexural Bending Strength (MPa)

NC-60 60 10.3
UHPC-100 112 20.7
UHPC-200 202 32.7

충격 파괴시험을 위하여 300×300 mm 단면에 두께 100 mm 및 50 mm인 슬래브 타입의 시험체를 준비하였다(Fig. 1). 시험은 두께별로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두께 100 mm 시험체는 압축강도 60 및 200MPa 배합으로, 두께 50 mm 시험체는 압축강도 100, 150, 200 MPa 배합으로 제작하 였다. 또한, 재령별 압축강도 시험을 위하여 Φ100×200 mm 공 시체를 추가로 제작하였다. 한편, 충격하중 방향으로 시험체 를 완전히 구속할 수 있도록 20 mm 두께의 MC45C 강판으로 지지구조물을 설계·제작하였으며, 지지구조물 및 시험체 거 치 후 모습을 Fig. 2에 나타내었다.

Fig. 1.

Specimens prepared for impact test

JKSMI-19-55_F1.jpg
Fig. 2.

Rigid steel frame for impact test

JKSMI-19-55_F2.jpg

2.2. Gas-gun 시험장치

고속 충격 파괴시험을 위하여 대전 소재 국방과학연구소가 보유중인 내경 40 mm Taylor 타입 Gas-gun 발사체 장비를 사 용하였다. 해당 Gas-gun은 50~3,000 g의 발사체에 대하여 50~ 480 m/s 속도의 고속 충격 시험이 가능하며, 타 장비에 비해 규모가 작고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실내에서 다수의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발사체는 직경 36 mm, 두께 15 mm, 중 량 125 g의 원통형 알루미늄계 탄도로써, 폴리프로필렌(PP) 계 슬리브가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발사 후 슬리브가 분리되 면서 알루미늄계 탄도가 구조체에 충격하중을 가하는 방식으 로, 탄도가 시험체를 관통하는 파괴모드가 발생할 확률을 줄 이고 충격 에너지가 시험체에 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점(point) 충격하중이 아닌 면(area) 충격하중을 모사할 수 있 는 전면부가 편평한 탄도를 적용하였다. 한편, 시험체가 거치 되는 챔버 내부는 시험 수행 시 충격파에 의한 챔버 내부 공기 압 간섭 방지 및 충격 파괴 시 발생하는 소음 저감을 위하여 진 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Fig. 3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Gas-gun 장비 및 발사체 형상을 보여준다.

Fig. 3.

Gas-gun equipment with a projectile for impact test

JKSMI-19-55_F3.jpg

2.3. 계측 센서 및 데이터 획득 시스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고에너지의 충격하중이 작용하는 충 격 파괴시험의 특성을 고려할 때 그에 적절한 센서 및 장비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일반 정적/동적 하중 하에서 사 용되는 계측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는 건설자재의 고속 충격 시험평가 및 계측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에 앞서, 우선 정적 시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 촉/부착식 센서 기반으로 계측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충격시험은 크게 2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 실험(시험체 두께 100 mm)에서는 발사체 속도 및 시험체 별 파괴조건에 대한 다양한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2 단계 실험 (시험체 두께 50 mm)을 통하여 충격파로 인한 배면 변위 계측 및 파괴형상 등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4는 1단계 실험을 위해 구축된 계측 시스템 개요로, 시 험체 배면에 설치된 센서 종류 별 형상, 위치, 개수 등을 보여 준다. 시험체 후면 중앙부와 대각선방향 길이의 1/2지점에 동 적 변형률 계측을 위한 콘크리트용 스트레인게이지(Showa사 PFL-20-11-1L)를, 지지프레임 후면에 2 개의 일반형 스트레 인게이지(Showa사 N11-FA-5-120-11-VSE5)를 대칭으로 부 착하였다. 그리고 시험체 및 지지프레임 각각의 동적 변위를 계측하기 위하여 스프링 복귀형 LVDT(KTR series 50, 최대 50 mm)를 1개씩 부착하였다. 또한 충격하중 발생 시 시험체 및 지지구조물 프레임의 진동 계측을 위하여 최대 ±10,000 g 까지 측정이 가능하고 감도가 0.5 mV/g인 고출력 3축 가속도 계(PCB사 350B50)를 시험체 후면 1/2지점 및 지지프레임 후 면에 각각 1개씩 부착하였다.

Fig. 4.

Monitoring systems for impact test (the thickness of specimen= 100 mm)

JKSMI-19-55_F4.jpg

한편, 2단계에서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두께 50 mm 콘크리 트 시험체에서 충격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1단계에서 확인된 문제점들을 일부 보완하는 방식으로 계측 시스템을 수정하였 다. 한 예로, 1 단계 실험에서는 스프링 방식의 LVDT를 시험 체 배면에 단순 접촉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충격하중에 의한 충격파로 인하여 실제 변위 이상의 과도한 값을 LVDT가 측 정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2 단계 실험에서는 고정클립을 사용하여 LVDT 변위선단을 시험체에 고정함으 로써 구조체와 일체 거동을 하도록 보완하였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실험 결과 및 분석 부분에 기술하였다. Fig. 5는 두께 50 mm 시험체에 설치된 센서 종류 별 형상, 위치, 개수 등에 관한 정보를 보여준다.

Fig. 5.

Monitoring systems for impact test (the thickness of specimen= 50 mm)

JKSMI-19-55_F5.jpg

본 시험에서 사용된 각 센서는 진공챔버에 위치한 특수 BNC 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의 데이터 획득 장치(IMC사 CRC-400- 8) 및 컴퓨터로 연결된다. 진공챔버 내 커넥터 수의 제한으로 총 12채널 이내에서 사용하였으며, 각 채널은 1단계에서는 20 kHz로, 2단계에서는 50 kHz로 샘플링되어 컴퓨터에 저장 되었다.

2.4. 실험 결과 및 분석

2.4.1. 1단계 실험 결과 분석

두께 100 mm 시험체에 대한 충격 파괴시험에 앞서, 우선적 으로 실험에 적합한 충격하중 조건을 결정하였다. 60 MPa급 일반 콘크리트(NC-60)의 경우 약 360 m/s 발사속도에서 관통 으로 인해 완전 파괴가 발생하였으며, 약 200 m/s 발사속도에 서는 배면부에 미세 전단균열만 발생하였다. 즉, 해당 발사체 를 사용할 경우, NC-60 시험체에서의 탄도한계속도가 200~ 360 m/s 범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200 MPa급 UHPC (UHPC-200)의 경우 360 m/s 발사속도에서도 배면부 미세 전 단균열만 발생하였는데, 이는 기존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매 우 유사하다(Riedel et al., 2010).

배면부 균열 성상에 있어, NC-60에서는 방사형 대칭 균열 이 발생한 반면, UHPC-200에서는 비대칭형 랜덤형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는 UHPC에 혼입된 섬유의 위치 및 방향성에 따라 취약 부위에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는 충격하중 하에서 시험체의 파괴모드 및 각 모드 의 특성을 정리한 도표이며(Sugano et al., 1993), 본 실험에서 도출된 시험체의 발사속도별 파괴 모드 및 형상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NC-60에서는 약 200 m/s, UHPC- 200에서는 약 360 m/s의 발사속도로 충격 파괴시험을 수행하 였다.

Table 5

Failure mode of RC specimen by projectile impact (Sugano et al., 1993 )

Failure mode Characteristics Failure shape
Penetration Crater on the front surface. No scabbing on the rear surface (only radial and shear cone cracks) JKSMI-19-55_T5-F1.jpg
Just Scabbing Few small debris are peeled off on the rear surface JKSMI-19-55_T5-F2.jpg
Scabbing Considerable debris is peeled off the rear surface with small opening JKSMI-19-55_T5-F3.jpg
Just Perforation Projectile does not pass through the target JKSMI-19-55_T5-F4.jpg
Perforation Projectile pass through the target completely JKSMI-19-55_T5-F5.jpg
Table 6

Test results on failure mode depending on projectile speed

Specimen Projectile speed Failure Mode

NC-60 362 m/s Perforation
NC-60 204 m/s Penetration
UHPC-200 363 m/s Penetration
JKSMI-19-55_T6-F1.jpg JKSMI-19-55_T6-F2.jpg JKSMI-19-55_T6-F3.jpg
(NC-60: 362 m/s) (NC-60: 204 m/s) (UHPC-200: 363 m/s)

일반 콘크리트 NC-60 시험체 및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가 속도계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Fig. 6에 나타내었다. 시험체에 약 200 m/s 발사속도로 충격하중을 가하였을 때, x축 및 y축 방향(하중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비록 오프셋(offset)이 발생 하는 등 불안정한 신호일지라도, 2,000~2,500 g 수준의 가속 도 신호를 계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충격하중이 작용한 z축 방향의 경우 신호 잡음만 계측되었다. UHPC-200 시험체에서 도 동일한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가 속도계의 계측 범위(±10,000 g)를 초과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Measured vibration signals on normal concrete (the thickness of specimen=100 mm)

JKSMI-19-55_F6.jpg

Fig. 7은 200 m/s 충격하중 하에서의 NC-60 파괴시험 및 360 m/s 충격하중 하에서의 UHPC-200 파괴시험 시, 지지프 레임에서 계측된 충격하중 방향(z축)의 가속도 신호이다. 각 시험체에 가해진 탄도 속도, 즉 충격에너지가 다르기 때문에 시험체별 에너지 소산 성능을 비교하고자 지지프레임에 전달 되는 진동의 최대 크기로 정규화하였다. 지지프레임의 강성 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두 시험 모두 약 1,500~2,000 g 수 준의 고진동이 발생하였다. UHPC-200의 경우 탄도 충격에 의한 주 진동이 탄도 도달 순간부터 약 0.015 초간 지속된 반 면, NC-60의 경우 발사체 속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지지프 레임의 진동이 약 0.025 초간 진행되고 일부 여진이 지속적으 로 뒤따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 콘크리트의 충격에너 지 소산 성능이 UHPC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계측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한 결 과, 약 4 kHz와 6 kHz 인근에서 고유주파수가 나타났으며, 지 지프레임에서의 가속도 신호 계측이 일관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Fig. 7.

Measured z-axis vibration signals on steel frame (the thickness of specimen=100 mm)

JKSMI-19-55_F7.jpg

시험체와 지지프레임에 각각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로부 터 획득한 변형률 데이터를 Fig. 8에 도시하였다. 지지프레임 의 경우 순간 충격으로 인해 고변형이 발생하였으나 이후 0으 로 수렴하면서 탄성거동을 보여주었다. 반면, 일반 콘크리트 NC-60의 경우 약 500~1,000범위의, UHPC-200의 경우 약 500~2,000범위의 영구변형이 발생하였다. 이는 콘크리트의 순수한 소성변형이 아닌 균열에 의한 변형으로 큰 의미가 없 으며, 충격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순간의 최대 변형률을 명 확히 추출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 적인 정적/동적 하중 하에서 사용되는 스트레인게이지 기반 변형률 계측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특정 부 위에 부착된 변형률 계측값을 통해 시험체 전반에서 이루어 지는 파괴 또는 균열 발생에 따른 변화 성상을 모니터링/분석 하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Fig. 8.

Measured strain signals on concrete under projectile impact (the thickness of specimen=100 mm)

JKSMI-19-55_F8.jpg

Fig. 9는 시험체 중앙부 및 지지프레임에 각각 부착된 LVDT 변위계의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1단계 실험에서는 정적 실 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방식대로 시험체 및 지지프레임 배면에 LVDT를 단순 접촉시켰으며, 초강력 마그네틱 베이스 를 사용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하였다. 그러나 실험 결과, 마 그네틱 베이스를 부착한 고정단에도 충격파가 다량 전달되어 고정력이 상실됨을 확인하였다. 즉, 모든 LVDT 신호에서 영 구변위가 관찰되는데, 이는 LVDT 고정단이 충격 이후 고정 력을 상실하여 이동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영상 분석 결과 확 인되었다. 따라서 LVDT 계측값에 대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 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시험체와 LVDT의 변위거동을 일체화 시켜야 한다.

Fig. 9.

Measured displacement signals on concrete under projectile impact (the thickness of specimen=100 mm)

JKSMI-19-55_F9.jpg

2.4.2. 2단계 실험 결과 분석

2단계에서는 재령 28일 압축강도가 100, 150, 200 MPa인 UHPC 배합 3종(Table 2) 시험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동일한 발사체 충격속도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 으며, 유의미한 파괴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150 MPa UHPC 시험체(UHPC-150)를 사용하여 관통 이상의 파 괴가 발생하는 속도를 선정하는 충격 파괴시험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사전 충격파괴시험으로부터 2 단계 실험을 위한 발사체 속도를 200 m/s로 결정하였으며, 이후 충격 파괴시험 은 100 MPa 및 200 MPa급 UHPC 시험체(UHPC-100, UHPC- 200)에서 수행하였다.

Table 2

Mixture proportions of UHPC

Sample W/B (%) C SF BS FA Sand Filler SP (B×%) Fiber (Vf,%)

UHPC-100 0.3 1 0.1 - 0.2 1.2 0.3 0.005 2%
UHPC-150 0.25 1 0.1 0.2 - 1.1 0.3 0.0075 2%
UHPC-200 0.2 1 0.25 - - 1.1 0.3 0.018 2%

충격 하중 하에서 시험체의 파괴 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1 단계와 마찬가지로 LVDT, 콘크리트 스트레인게이지, 가속 도계 등을 설치/계측을 수행하였으나 1단계 실험에 기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스트레인게이지 및 가속도계는 적용상의 한계점을 재확인하였다. 특히, 가속도계의 경우, 센서 자체의 최대 표기치인 17,000 g 수준의 계측값을 도출한 후 더 이상 계측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Gas-gun을 사용한 충격 파 괴시험에 있어서 최소 20,000 g 이상 계측이 가능한 고출력 가 속도계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2단계 실험결과 분석에서는 LVDT 로 계측한 결과만 을 기술하고자 한다.

2단계 실험에서는 1단계 실험을 통해 발생한 문제점을 해 결하고자 Fig. 5에서와 같이 LVDT 팁 단부를 타설시 시험체 에 기 매립한 치구와 체결하여 시험체와 변위거동을 일체화 시키고, 지지단을 시험체 지지프레임에 고정시켰다.

Fig. 10은 UHPC-100 시험체의 충격 파괴시 LVDT 계측신 호로서, 충격 하중에 의한 중앙부(CH5) 변위가 가장 크게 나 타났으며, 파괴로 인한 영구변위가 관찰되었다. Fig. 11은 UHPC-100 시험체의 파괴성상으로, 충격 후 배면 파괴성상이 LVDT 계측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파괴 성상을 살펴보 면 중앙부~배면 우측에 방사형 파괴가 주로 일어났으며, 중앙 부(CH5)와 우측 하단부(CH7)는 파괴 및 파괴 후 잔해 등으로 인한 영구변위가 관찰된 반면, 상단 중앙부(CH8)와 좌측 하 단부(CH6) 인근은 단순 균열파괴가 발생하여 충격에 의한 변 위 발생 후 0으로 다시 수렴하는 탄성거동을 보였다.

Fig. 10.

Displacements by projectile impact (UHPC-100)

JKSMI-19-55_F10.jpg
Fig. 11.

Test specimen after impact test (UHPC-100)

JKSMI-19-55_F11.jpg

Fig. 12는 UHPC-200 시험체의 충격 파괴시 LVDT 계측신 호로서, UHPC-100 시험체와는 달리 중앙부(CH5) 변위만 매 우 크게 발생하였으며, 주변 3지점에 설치된 LVDT는 1.3 mm 이내의 최대 변위 발생 후 0으로 다시 수렴하는 경향을 보 였다. UHPC-100과 동일한 충격 하중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 하였기 때문에 UHPC-100와 비교시 파괴 정도가 작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시험체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파괴가 발생하였 다(Fig. 13).

Fig. 12.

Displacements by projectile impact (UHPC-200)

JKSMI-19-55_F12.jpg
Fig. 13.

Test specimen after impact test (UHPC-200)

JKSMI-19-55_F13.jpg

한편, 전체적인 LVDT 거동에 있어서는 충격하중에 의한 순간 최대변위가 발생한 후, 변위회복 거동을 보였으며, 이는, UHPC에 함유된 보강섬유에 의해 일부 탄성회복 거동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며, 배면 중앙부의 균열파괴가 크게 발생하였 음에도 불구하고 보강섬유에 의해 파편이 거의 발생하지 않 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0과 Fig. 12의 중앙부(CH5)에 위치한 LVDT에서 계 측된 최대 변위값만 비교할 경우, UHPC-100은 4.55 mm, UHPC-200은 6.23 mm로 강도가 큰 UHPC-200의 변위가 오 히려 크게 나타난다. 전체적인 파괴 형상은 UHPC-200이 작 으나, UHPC-100의 경우 중심부 우측을 중심으로 파괴가 발 생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앙부의 변위가 작게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 콘크리트의 경우, 강섬유 등이 혼입된 UHPC에 비해 발사체가 도달한 시험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 사 대칭형으로 손상이 발생하며 따라서 중앙부 변위가 가장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UHPC의 경우 섬유 혼입 형태가 시험체 내 취약부위를 결정하게 되며, 이를 따라 손상 이 진행되기 때문에 비대칭, 비방사형으로 파괴가 발생할 확 률이 높다. 즉, LVDT로 계측된 변위만으로는 전체 거동을 파 악할 수 없으며, 육안 혹은 영상을 통한 별도의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Fig. 14는 시험 후 시험체 측면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UHPC- 100 시험체의 충격 파괴로 인해 발생한 최대 변위가 중앙부에 서 22.26 mm, UHPC-200 시험체는 9.16 mm였다. 이러한 결 과는 LVDT로 측정한 최대 변위값이 시험체의 전반적인 파괴 거동을 대변하기는 어려움을 보여준다. 정밀한 파괴 거동 분 석을 위해서는 초고속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시간에 따른 영 상 이미지, 트리거 소스 등을 통해 탄도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시험체에 도달한 순간에서 배면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데이터 및 동기화, 위치별 파편 발생 시점 등에 관한 추가 정보 를 통해 데이터 보정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14.

Maximum displacement after failure

JKSMI-19-55_F14.jpg

3. 결 론

콘크리트 자재의 고속 충격에 대한 방호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 및 계측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40 mm Gas-gun을 이용한 비상체 충격 파괴시험을 수행하였다. 이와 동시에 기존의 다양한 접촉/부착식 센서의 적용성 및 UHPC의 방호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정적 실험과 달리, 시험체가 충격에 의해 순간적 으로 파괴가 발생하는 시험조건 하에서는 국부적인 변형 률값을 계측하는 스트레인게이지 계측방식의 적용 및 분 석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시험체의 충격하중에 의한 거동을 분석하기 위한 일환으로 계측 범위 ±10,000 g 가속도센서를 사용하여 계측을 시도 하였으나, 본 연구에 적용된 충격 하중의 경우 하중작용방 향(z축)으로 계측 범위를 초과하는 가속도가 발생함을 확 인하였다. 즉, 충격 파괴시험 조건 하에서는 최소 20,000 g 이상의 고출력 가속도계가 필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정적 실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프링 회복 방식의 변위측정계인 LVDT를 시험체에 접촉시켜 계측할 경우, 순간 충격파로 인해 실제 발생변위보다 과장된 변위를 계 측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하여, LVDT 팁 단부를 시험체에 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4. 그러나 LVDT에서 도출된 변위 계측값이 시험체의 파괴 거 동 전반을 나타내지는 못하였으며,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 해서는 비접촉식 거동 계측 센서, 초고속 카메라 등 영상촬 영장치 등에서 도출된 데이터와의 상호 분석 등 보완이 필 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5. 직경 36 mm, 길이 15 mm, 무게 125 g의 알루미늄 발사체를 사용하여 충격 하중을 가하였다. 두께 100 mm 시험체의 경 우, 발사속도 약 360 m/s에서 완전 관통파괴가, 약 200 m/s 에서 배면부 방사형 균열이 발생하였다. 반면, 200 MPa급 UHPC의 경우에는 발사속도 약 360 m/s에서 배면부에 불 규칙한 균열만 발생하였다.

  6. 두께 50 mm 시험체의 경우 200 m/s 발사속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100 MPa급 UHPC는 배면 중앙을 중심으로 약 22.26 mm의 영구 파괴변위가, 200 MPa급 UHPC는 약 9.16 mm의 영구 파괴변위가 발생하였다. 또한 두 시험체 모두 배면 중심부에 큰 균열파괴가 발생하였으나, 보강섬 유 효과로 파편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고속 충격 파괴시험에 있어서 기존의 접촉식 계측방식은 하드웨어 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단독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평가할 경우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감소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예: 계측 센서 조합 및 상호 분석)을 마련하여 방호 성능 평가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편, 방호용 자재로서 섬 유가 보강된 UHPC의 우수성, 즉 파괴 및 배면 발생 파편의 최 소화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사업 방호·방폭 연구 단(과제번호: 13건설연구S02)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 다.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2011), Impact resistant behaviour of RC slab strengthened with FRP sheet, Materials and Structures, 44(10), 1855-1864.
2 
(2011), Analysis Techniques of Blast Resistance Concrete Structures and Concrete Material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2), 30-36.
3 
(2011), Retrofit Materials for Improving Blast Resistance of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2), 42-46.
4 
(2014), Impact Resistance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Panels Under High Velocity Impact-Load,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6(5), 731-739.
5 
(2013), Analytical Evaluation of High Velocity Impact Resistance of Two-way RC Slab Reinforced with Steel Fiber and FRP Shee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3), 1-9.
6 
(2013), Evaluating Local Damages and Blast Resistance of RC Slabs Subjected to Contact Deton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1), 37-45.
7 
(2010), Local damage to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structures caused by an impact of aircraft engine missile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240(10), 2633-2642.
8 
(2008), Full-scale field tests of concrete slabs subjected to blast load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35, 184-198.
9 
(1993), Local damage 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used by impact of aircraft engine missiles Part 1. Test program, method and result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140, 387-405.
10 
(2011), Concrete Structural Behavior under Blast Loading According to Blast and Impac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2), 23-29.
11 
(2009), Blast testing of ultra-high performance fibre and FRP-retrofitted concrete slabs, Engineering Structures, 31, 2060-2069.
12 
(2013), Performance of Hybrid Steel Fibers Reinforced Concrete Subjected to Air Blast Loading,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2013. Article ID 42013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