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무선트랜스미터, 석유화학, 안전관리, 사물인터넷, 방폭, 모니터링
Wireless transmitter, Petrochemical plant, Safety management, Internet of Things(IoT), Explosion proof, monitoring

1. 서 론

고부가가치의 지식집약적 산업으로 대표되는 플랜트 산업 은 지속적인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그 시장은 계속 증가할 것 으로 예측되고 있다. 경제성장 위주의 급격한 산업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플랜트 산업은 시공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플 랜트 시설물 공용중 안전성을 위한 유지관리 및 안전관리 분 야에서의 기술개발 및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노출배 관, 파이프랙 등과 같은 플랜트 시설물은 대부분 노후화 하였 으나 육안검사 등에 의한 일상점검 수준의 유지관리만 이루 어지고 있다. 외관 상태와 구조성능이 양호한 시설물의 경우 에는 이러한 주기적인 점검만으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 으나, 노후한 시설물, 재해나 테러에 취약한 시설물 등은 주기 적인 안전점검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상태를 상시 감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플랜트 시설물의 경우 손상이 발생했을 시 대규모 사고로 발전할 수 있고 이러한 사고는 인명, 재산 손 실 등의 1차 피해뿐만 아니라 기반 산업 전반에 영향을 끼쳐 2 차 피해까지 발생시킨다. 따라서 플랜트 산업 시설에 산재되 어 있는 위험 요소들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산 업 사고에 능동적으로 예방 및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도 입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국내의 경우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이뤄져 있으 며, 인구 밀집도가 높아 대규모 시설물인 플랜트 시설물은 대 부분 바다를 매립한 매립지에 위치하고 있다. 매립지의 경우 흙이나 모레, 돌 등으로 성토를 한 곳으로 지반이 매우 연약하 고, 이러한 연약지반에 대규모 시설물인 플랜트 시설물이 건 설 될 경우 지반 침하가 우려되어 지반의 변화에 따른 지상 시 설물의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하다.

기존의 교량, 댐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물의 안전관리 시 스템은 유선통신기반 기술이 적용되어 운영 중이다. 유선통 신기반 시스템은 현장계측서버, 대규모 통신선로 및 신호케 이블 시공 등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시공비용증가, 케이블 노 이즈에 의한 계측데이터 신뢰성 저하, 중앙집중식 시스템 구 조 등의 단점이 있다. 독립적으로 운영․관리되고 있는 교량, 댐 등과는 달리 플랜트 시설물은 대규모 산업단지로 구성되어 통합 운영되고 있어 유선통신기반 안전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시공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스템 유지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여 플랜트 시설물에는 적합하지 않다.

석유화학, 발전 플랜트와 같이 대단위 면적에 대해서 효율 적인 비용으로 고위험 시설물 및 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 터링을 위해서는 무선통신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 다. 그러나 현재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 같 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은 신뢰성 및 보안성 이 취약하며 대규모 플랜트 환경에 적용이 불가하다.

석유화학, 발전 플랜트는 계측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 려서 공정의 운영 및 제어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잘못 된 정보로 인한 판단이나 제어로 인하여 대규모 사고를 유발 할 수 있어 플랜트 분야의 보안성 및 신뢰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플랜트 현장에 무선기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ISA (International Society of Automation)과 같은 공신력 있는 표 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무선 표준기술의 적용이 필요 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건전 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핵심 요소인 무 선통신기반 트랜스미터를 개발하고, 무선 기반 플랜트 통신 네트워킹 기술을 적용한 석유화학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 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시험운영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2. 본 론

2.1. 산업용 무선통신 기술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은 고위험 시설물의 경우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무선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국내의 USN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센싱 에 사용되는 무선통신기술은 대부분 TinyOS기반의 지그비 (Zigbee)통신 기술이 대부분을 이루었으나, 플랜트 산업의 경 우 고신뢰성 및 보안성을 요구하는 WirelessHART, ISA100, Smart Mesh IP(SMIP) 등의 산업용 무선통신 기술의 적용이 필요하다.

2.1.1. ISA100.11a 통신 기술

ISA100은 ISA ANSI 표준위원회로서, 전 세계 250여개 회 사의 400여명의 자동화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ISA산하 조 직인 ASCI(Automation Standards Compliance Institute)의 ISA100 WCI(Wireless Compliance Institute)를 ISA100 표준 으로 만들었다. ISA100.11a는 2014년에 국제자동화사회(ISA) 가 ‘산업 자동화를 위한 무선 시스템 : 공정 통제와 관련 어플 리케이션’ ANSI/ISA100.11a-2011을 발표했고, 국제전기표 준회의(IEC)에서 국제 규격을 만장일치로 승인받았으며, ‘IEC 62734’라는 제목으로 표준화된 산업용 표준 무선통신기술 이다.

ISA100.11a의 네트워크는 Fig.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Mesh, Star, Star-Mesh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Routing, non- Routing을 지원한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와의 게이트웨이를 통한 접속을 지원하며, 산업용, 발전소용 네트워크에서 선택 적인 이중화를 지원한다. 그리고 다른 무선 장치와 다중경로 에 따르는 간섭을 없애기 위해 지능적인 채널 호핑 알고리즘 을 사용하며, 낮은 성능의 주파수를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 신뢰성을 높인다.

Fig. 1.

ISA100.11a Network

JKSMI-19-88_F1.jpg

2.1.2. WirelessHART 통신 기술

HART 통신 프로토콜은 산업분야의 모니터링과 제어분야 에서 2500만개 이상의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HART Communication Foundation은 플랜트 공정관리 및 제어 산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유구 사항들에 부합되도록 설계 된 무선통신 표준 WirelessHART를 개발함으로써 실제 산업 플랜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정성을 강화하였다. Wireless- HART 트랜스미터는 Wi-Fi와 동일한 공간에서 상생할 수 있 는 IEEE802.15.4 표준을 활용하며, 고신뢰성의 무선통신 표 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패킷기반 주파수 호핑, TDMA 기반 링 크관리, Full Mesh Network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WirelessHART는 Fig. 2와 같은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HART통신 프로토콜 및 사용자 계층을 기반으로 하며, HART 응용 계층은 1980년대 후반부터 존재하였으며 HART 프로토콜의 7.0버전은 WirelessHART를 포함하여 임의 데이 터 전송, 이벤트 알림, Block Mode전송, 고급 진단 기능이 강 화되었다.

Fig. 2.

WirelessHART Network

JKSMI-19-88_F2.jpg

2.2. 무선 트랜스미터 개발

플랜트 시설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 로 구축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사소한 자체의 결함으로 플랜트 시설물의 재난을 오히려 가중,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 으므로 모니터링 시스템은 보다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요구 되고 있다. 고압가스법에 의하여 대부분의 플랜트 관로 및 설 비에는 설치되어진 계측기기의 폭발에 의한 플랜트 시설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운영 중인 설비마다 지정된 방폭 인증을 획득한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무선 트랜스미터는(Fig. 3) 한국가 스안전공사로부터 Ex de IIC T6 IP68 등급의 방폭인증을 획 득하였으며, 방폭구조의 기호등급은 다음과 같다.

Fig. 3.

Wireless Transmitter

JKSMI-19-88_F3.jpg

• Ex de : 내압방폭 구조(d), 안전증가 방폭구조(e)

• II : 석유화학등 일반산업(산업용)

• C : 수소-아세틸렌가스, 틈새 0.5 mm 이하

• T6 : 최고표면온도 85°C 이하

• IP68 : 고체침투 완전내진, 수중 연속사용(방수/방진)

무선 트랜스미터는 본체 바디, 베터리캡, LCD캡,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테나는 ISA100.11a기반의 USN 및 LTE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듀얼 안테나로 구성되었다. 무선 트 랜스미터 주요 사양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Table 1

Wireless Transmitter Specifications

Specifications

Measuring Channel 1~4Channel
Measuring Range ±5V
Current Consumption 150~190mA
Power Supply 9~12V
ADC Resolution High Speed ADC 24bit
Communication ISA100.11a, Zigbee, Bluetooth, LTE
Interface TCP/IP, UDP
SD Card MicroSD(Support for FAT32)
RTC Accurate RTC(3~8ppm)
Size 109mm(W) x 210mm(D) x 135mm(H)
Temperature -20 ~ 65°C
Explosion-proof Ex de IIC T6 IP68

2.2.1. 무선 트랜스미터 회로 개발

무선 트랜스미터의 주요 구성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ISA100.11a 기반의 USN 통신부, 장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LTE모뎀을 지원하는 LTE 통신부, 칩셋을 컨트롤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MCU부, 센서(가속도센서, 변형률센서, 경사 센서, 온도센서 등)에서 계측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 로 변환하기 위한 ADC부, 시각동기화를 위한 RTC부, 센서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 저장 메모리부, 그리고 전원공 급부로 구성되었다.

ADC부는 Analog to Digital Converter IC를 이용하여 센서 입력신호에 대해 24bit의 분해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 으며, ADC Conversion Rate는 최대 64Ksps로 고속 가속도 측 정을 위한 최상의 샘플링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하였다 (Fig. 4) .

Fig. 4.

ADC Circuit diagram

JKSMI-19-88_F4.jpg

MCU부는 32bit ARM Cortex-M4를 사용하여 고속의 가속 도 측정 및 Data 저장이 동시에 가능하며, 에너지 절약을 위해 초저전력의 솔루션을 적용하였다. 또한, 100MHz Maximum Operating Frequency and High Data-bandwidth architecture based on a 5-layer bus matrix with 16-DMA channels를 이용 하여 데이터 전송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병목 현상 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Fig. 5).

Fig. 5.

MCU Circuit diagram

JKSMI-19-88_F5.jpg

시각 동기화를 위한 RTC부는 정밀 RTC(Real Time Clock) IC를 사용하여 센서 데이터 측정 시 측정 시점의 시간과 데이 터를 함께 전송하여 전송 시 발생할 시간딜레이를 제거하고, 다른 센서와 동시 분석 시 동기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 계하였다(Fig. 6).

Fig. 6.

RTC Circuit diagram

JKSMI-19-88_F6.jpg

메보리부는 외부저장모메리(MicroSD Card)에 측정한 센 서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도록 설계를 반영하였으며(Fig. 7), 전원부는 베터리를 사용하는 무선 제품으로써 전력을 효율적 으로 사용하기 위해 LDO Regulator를 사용하였으며, 센서 데 이터 계측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Ultra-low-noise output 을 적용하였다(Fig. 7).

Fig. 7.

Power Circuit diagram

JKSMI-19-88_F7.jpg

무선 트랜스미터의 회로는 Fig. 8과 같이 무선 트랜스미터 기구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Fig. 8.

Wireless Transmitter Circuit

JKSMI-19-88_F8.jpg

2.2.2. 통신모듈 개발

ISA100.11a기반의 USN 통신부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 을 공급하게 되므로 낮은 동작 전압을 지원하며, 장기간 사용 을 위한 저전력 소모기능을 추가하였으며, 작은 크기의 디바 이스 구성을 위해 패키지도 소형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ISA100.11a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2.4 GHz의 통신 모듈을 개발하였다(Fig. 9, Fig. 10).

Fig. 9.

ISA100.11a Module Circuit diagram

JKSMI-19-88_F9.jpg
Fig. 10.

ISA100.11a Module

JKSMI-19-88_F10.jpg

LTE통신부는 LG이노텍의 LTE모듈(피닉스)기반의 하드 웨어를 설계하였다. LG이노텍에서 개발된 LTE모듈을 활용 하여 계측보드에 적용 가능한 Pin Assignment 적용되도록 Daughter 보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Wake up/Sleep 모드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하여 LTE모듈만을 위한 MCU를 Daughter 보드에 내장하였다(Fig. 11, Fig. 12).

Fig. 11.

LTE Module Circuit diagram

JKSMI-19-88_F11.jpg
Fig. 12.

LTE Module

JKSMI-19-88_F12.jpg

2.2.3. 성능 검증

개발된 ISA100.11a기반 통신모듈과 LTE 통신모듈의 데이 터 송수신 검증을 위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먼저 ISA100.11a 통신모듈 테스트는 Fig. 13과 같이 센서노드 4set를 연결하여 6일간 데이터 전송 성공률 검증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센서노드 4set의 데이터 송수신율은 99.2% 이상 의 성공률을 나타내었으며, 각 센서노드의 데이터 수신율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Fig. 13.

ISA100.11a Module Test

JKSMI-19-88_F13.jpg

그리고, LTE 통신모듈 테스트는 LTE모듈을 통해 IDC (Internet Data Center)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IDC에서 운영되 는 서버에 도착하는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테스트를 위한 프 로그램은 Fig. 14와 같이 전송주기와 데이터 패킷 크기 설정 및 데이터 전송, LTE모듈 설정 등을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 램과 데이터 수신 및 저장, 수신율 분석을 위한 서버 프로그램 으로 구성된다.

Fig. 14.

LTE Module Test Program

JKSMI-19-88_F14.jpg

LTE 통신모듈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 결과 최대 패킷 사이 즈는 2048 Bytes, 전송주기는 초당 4회, 최대 데이터 전송량은 7.2 KByte/sec, 사용가능한 데이터 전송량은 2 KByte/sec 이내 로 확인되었으며, 실험에 대한 결과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패킷 사이즈가 12 byte일 경우 NCK 발생이 없었으 나 패킷 사이즈가 증가할수록 NCK가 발생하였으며 NCK 발 생율은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NCK 발생을 완전히 없애기 위 해선 NCK 발생 시 예외사항 처리를 통해 NCK 발생에 따른 재전송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Table 3

LTE Module Test Result

Test No. Rate (m/s) Throughput (Byte) NCK Occur Send Packet NCK Incidence (%)

1 1,000 12 0 77,341 0.000
2 1,000 120 13 57,540 0.023
3 1,000 120 9 90,056 0.010
4 1,000 600 23 34,920 0.066
5 1,000 1,800 12 6,896 0.174

2.3. 석유화학 플랜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무선 트랜스미터의 사용성과 현장 적용성 검증을 위하여 여수국가산업단지 내 LG화학 10-2구 간 오버브릿지(파이프랙)를 테스트베드로 선정하고, 석유화 학 플랜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Fig. 16).

Fig. 16.

Petrochemical Plant Safety Management System

JKSMI-19-88_F16.jpg

석유화학 플랜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파이프랙의 건전성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IoT(Internet of Things)기술을 적용하였으며, IoT기술은 파이프랙의 안전 센 싱 기술, 무선네트워킹 시스템, 안전성 평가 솔루션 기술로 구 분할 수 있다.

Table 2

ISA100.11a Module Test Result

Node No. Send and Receive rate(%)

1 99.2341
2 99.2256
3 99.3675
4 99.0782

IoT기술을 적용한 석유화학 플랜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 성은 Fig. 15와 같이 테스트베드 현장에는 데이터를 계측하는 센서 및 무선 트랜스미터와 서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게 이트웨이로 구성된다. 그리고 LTE통신망을 통해 IDC에 위치 한 데이터 수집서버에 계측 데이터가 저장되고, 내외부 클라 이언트를 통해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Fig. 15.

Petrochemical Plant Safety Management System Design

JKSMI-19-88_F15.jpg

센서는 배관 안전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인자인 진동 및 부재 변형을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로 가속도센서, 변 형률센서, 경사센서, 온도센서로 구성되어 진동 및 부재 변형, 경사, 온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배관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감시한다.

무선 트랜스미터 및 게이트웨이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 터를 ISA100.11a 통신모듈 기반의 USN통신과 LTE 통신모듈 기반의 광역통신을 통해 서버로 송수신한다.

테스트베드에 구축한 무선 데이터트랜스미터의 데이터 전 송률 확인 결과 Fig. 17과 같이 100%의 전송률을 보였으며, LTE통신 성능 실험 결과 평균 –56 dB가 측정되었으며, 실험 전경 및 결과는 Fig. 18에 나타내었다.

Fig. 17.

Test-bed Data reception

JKSMI-19-88_F17.jpg
Fig. 18.

Test-bed LTE test

JKSMI-19-88_F18.jpg

그리고 테스트베드에 구축한 센서로부터 계측된 데이터 분 석을 통해 오버브릿지의 건전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먼 저, 가속도 시간이력 및 주파수이력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진동 수는 7.82 Hz 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변형률센서와 경사센 서를 통해 오버브릿지의 거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센서 별 계측 데이터의 예는 Fig. 19에 나타내었다.

Fig. 19.

Test-bed Measurement Data

JKSMI-19-88_F19.jpg

무선 데이터트랜스미터의 데이터 수신율, 계측된 센서데이 터의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 된 무선 트랜스미터 기반 석유화학 플랜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에 대한 감시 및 건정성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으로 의 현장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3. 결 론

본 연구는 무선 트랜스미터 기반의 석유화학 플랜트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로, 고신뢰성과 보안성을 요구 로 하는 플랜트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ISA100.11a기반의 통신모듈과 LTE 통신을 지원하는 LTE통신모듈을 탑재한 방 폭형 무선 트랜스미터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 된 무선 트 랜스미터를 기반으로 IoT기술을 적용한 석유화학 플랜트 안 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의 Test 및 검증 을 통해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에 대한 감시 및 건정성 모니 터링을 위한 시스템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과 더불어 플랜트의 안전관 리를 위한 대표적 진단 장비인 유도초음파 장치 개발, 고위험 설비에 대한 수명평가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석유화학 플랜트 의 정밀 안전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 산업현장에 적용함으 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3년도 산업통상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 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입니다(No. 20132010500060).

REFERENCES

1 
Analysis of wireless industrial automation standards: ISA-100.11 a and WirelessHART
2 
(2012), "A Comparison of WirelessHART™ and ISA100. 11a, Whitepaper. Emerson Process Management
3 
(2014), Operating Practices of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y Safety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18(4), 60-62.
4 
(2012), Field Application of Plant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16(2), 124-127.
5 
(2013),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Plant Pipe Rack using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17(1), 226-228.
6 
(2013), Development of Plant Pipe Diagnosis System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17(2), 158-161.
7 
(2010), SPSF:Smart Plant Safety Framework based on Reliabel-Secure USN, J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9(3), 10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