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원형 CFT, 보-기둥 접합부, Y형 플레이트, 외다이아프램
Circular CFT, Beam-column connection, Y type plate, Out type diaphragm

1. 서 론

최근 도심지에 건설되고 있는 건축물은 한정된 토지의 효 율적인 이용 및 극대화를 위해 초고층화 되어 왔다. 이로 인해 기둥에 발생하는 하중 증가로 기둥단면 증가와 사용면적 확 보 등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초고층 건 축물의 다양한 기능 및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구조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Park, 1995).

구조적으로 효과적이며 기둥부재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으로 강재와 콘크리트의 재료적인 장점을 이 용한 철골철근 콘크리트 합성기둥(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이하 SRC 기둥),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Concrete Filled Tube Column, 이하 CFT 기둥)등과 같은 합성기둥의 사 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은 강 관이 내부의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구속함으로써 기둥의 압 축내력을 증가시키고, 강관 속에 콘크리트가 충전됨으로써 강관의 국부적 좌굴에 의한 변형을 감소시켜 강성, 내력, 변형 등의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이점을 줄뿐 만 아니라, 내화 및 시 공 등 다방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합성기둥으로 알 려져 있다(Miyao, 1989).

이러한 구속효과에 따른 강도 증가로 기존의 H형 단면을 가 진 기둥부재에 비해 구조적으로 큰 이점을 주는 반면,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의 단면은 형태상 폐단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 문에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과 H형강 보를 이용한 접합부 시 공이 까다롭고 접합상세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않다(Yoo, 1997). 또한,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CFT 관련 연구의 대부분 은 기둥 및 접합부에 편중되어 있으며, 접합부 연구의 경우 각 형강관기둥, 관통다이아프램, 내다이아프램을 이용한 상세개 발 연구가 대다수이다. 이에 반해, 원형 강관기둥과 외다이아 프램을 이용한 접합부 접합상세 개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다이아프램 형식의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원형 CFT 기둥-H형강 보 접합부 접합상세를 개발하 여, 실험을 통해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접합부의 구조성능 을 평가하였다. 또한, 개발된 Y형 플레이트의 성능을 알아보 기 위해 설계기준(한국강구조학회, 2003)이하로 설계하여 파 괴형태를 통해 Y형 플레이트의 구조적 안전성과 성능을 확인 하고자 한다.Fig .1

Fig. 1.

Current State of Domestic CFT related Research

JKSMI-19-112_F1.jpg

2. 접합상세 개발

2.1. 개발된 접합상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접합상세는 Y형태의 플레이트를 보- 기둥 접합부에 적용한 것으로 Fig. 2와 같이, 원형 CFT 기둥 둘레면에 외다이아프램 형식의 Y형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설 치하고, 양 단에 Y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보강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Y형 플레이트에 H형강 보를 볼팅 및 용접하여 연결한 구조로 개발되었다.

Fig. 2.

Development of connection details

JKSMI-19-112_F2.jpg

또한, 원형 CFT 기둥을 둘러싼 Y형 플레이트 외면과 H형 강 보 플랜지의 윗면 사이를 접합시킴으로써, 보와 기둥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 였다. 원형 CFT 기둥을 둘러싸고 있는 Y형 플레이트에 작용 하는 응력을 보강하기 위해, 원형 CFT 기둥의 접합면과 수직 으로 Y형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다이아프램 형식으로 개발된 Y형 플레이트의 설계는 설 계기준(한국강구조학회, 2003)에 제시되어 있는 콘크리트충 전 원형강관기둥의 장기허용인장력 내용에 따라 설계하였다.

2.2. 외 다이아프램 설계식

설계기준(한국강구조학회, 2003)에서는 원형 CFT 기둥 외 다이아프램의 장기허용인장력(P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설계에 사용된 외다이아프램의 형식은 Fig. 3에 나타내 었다.

Fig. 3.

Parameter of Diaphragm

JKSMI-19-112_F3.jpg
(1)
P a = 0.83 f 1 $lpha$ A 1 F dt + 1.44 f 2 $lpha$ A 2 F ct

여기서, f1 (α)= 2 sin 2 $lpha$ + 1

f 2 (α)= sin α

A 1= hs ts

A 2 = 0.63 + 0.88 b f D Dt + t s t

bf : 보플랜지의 폭

D : 원형강관의 외경

hs : I-I 단면에서 다이아프램의 폭

t : 원형강관의 두께

ts : 다이아프램의 판두께

F dt : 다이아프램의 허용인장응력도

F ct : 강관의 허용인장응력도

P : 보 플랜지의 축방향력

P a : 다이아프램의 장기허용인장력

α : 플랜지 재축선과 I-I 단면의 교각

I-I 단면선 : 플랜지와 다이아프램의 외주와의 교 점과 강 관의 도심을 지나는 선

r : 외측다이아프램과 H형강 보와의 접합지점

적용범위,

20 D t 50 , h s D s 0.3 , 0.25 b f D 0.75

설계기준(한국강구조학회, 2003)에 의하면 외다이아프램 의 장기허용인장력(P a)은 외다이아프램과 접합된 인장측 플 랜지의 축방향력(P) 이상이어야 한다.

(2)
P = 0.6 F y b f t f

여기서, F y : H형강 보의 항복강도

b f : 보 플랜지의 폭

tf : 보 플랜지의 두께

3. 실 험

3.1. 실험체 계획

실험에 사용된 실험체 모두 Φ610×16 원형강관 기둥과 H-600×200×11×17 보를 사용하였다. 원형강관 기둥과 H형강 보의 길이는 모두 1,500 mm이며, 보 단부에는 국부좌굴을 방 지하기 위해 스티프너를 사용하였다. 사용되는 강재는 모두 SS400(F y=235 MPa)을 사용하였다.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원형 CFT 기둥-H형강 보 접합부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변수로 Y형 플레이트 폭(hs= 80, 100, 120 mm) 과 Y형 플레이트 두께(ts= 16, 20, 24 mm), 를 영향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 하기 위해 실물크기로 총 5개의 실험체를 계획하여 Y형 플레 이트를 이용한 접합부의 내력 및 변형 능력을 평가하였다. 계 획된 실험체의 모든 Y형 플레이트는 Y형 플레이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접합된 H형강 보의 인장 측 플랜지의 축 방향 력 이하로 설계되었다. 각 실험체의 구체적인 제원과 상세는 Table 1과 Fig. 4에 나타내었다.

Fig. 4.

Detail of Specimens

JKSMI-19-112_F4.jpg
Table 1

Parameter of specimens

Specimen CFT Column Y Type Plate H Shape Steel Beam P a (KN) P (KN) P a /P Note



D (mm) t (mm) F y (MPa) h s (mm) t s (mm) F y (MPa) b f (mm) t w (mm) t f (mm) F y (MPa)

S 100-20 610 16 235 100 20 235 200 11 17 235 336.8 479 0.70 Standard
S 80-20 80 20 292.9 0.61 -
S 120-20 120 20 380.7 0.79 -
S 100-16 100 16 284.0 0.59 -
S 100-24 100 24 389.5 0.81 -

3.2. 재료시험

실험에 사용한 각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관 및 플레이트에서 채취한 시험편에 대하여 KSB 0802에 의거한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채취한 모든 시편 의 항복강도는 공칭항복강도(Fy=235MPa)를 상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CFT 합성기둥의 충전에 사용되었던 콘크 리트 공시체에 대한 28일 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배 합강도를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재료 시험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Properties of Material

Material Thickness (mm) F y (MPa) F u (MPa) F y / F u (MPa)
Steel Steel Tube 16 407 476 0.86
Y Type Plate 16 415 491 0.85
20 411 482 0.85
24 408 486 0.84
H Shape Steel Beam 17 413 480 0.86
Concrete Compression Strength(28 day) : 52.8 MPa

3.3. 가력 및 측정방법

실험체에 대한 가력은 Fig. 5와 같이 접합부 기둥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단순 가력 할 수 있도록 기둥의 단부를 자유단 으로 설정하였으며, 보 양단부를 단순보 형태의 힌지로 설정 하였다. 수직 하중은 접합부의 내력 및 변형 능력과 파괴형태 를 파악하기 위해 변위를 제어하면서 최대 내력 이후 국부 변 형에 의한 접합부의 파괴 또는 H형강 보의 휨 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가력하였다. 변위 측정은 오일잭(Oil Jack)으로 하중 을 가하는 반대편의 강관 하부에 변위계(LVDT)를 설치하여 수직변위측정으로 하중에 따른 처짐량을 측정하였다. 이외에 도 보 단부의 변위와 강관의 국부 변형 등을 측정하기 위한 변 위계(LVDT)들을 설치하였다.

Fig. 5.

Test Setup

JKSMI-19-112_F5.jpg

3.4. 실험결과

실험결과를 통해 나타난 각각의 실험체에 대한 초기강성 (Ki) 항복하중(Fy) 및 최대하중(Fu), 항복변위(Dy) 및 최대변 위(Du)에 대하여 Table 3에 정리하였다.

Table 3

Test Result

Specimen K i (KN/mm) F y (KN) D y (mm) F u (KN) D u (mm)

S 100-20 162.902 1612.2 14.1 2134.6 45.4
S 80-20 139.560 1521.0 14.8 1900.1 32.2
S 120-20 175.493 1908.3 16.8 2140.5 32.1
S 100-16 123.597 1601.9 15.1 1961.4 37.8
S 100-24 171.565 1801.2 12.5 2182.1 38.5

항복 하중은 하중-변위 관계에서 초기 강성 기울기 직선과 초기 강성의 1/3 기울기의 직선의 교점에 해당하는 하중을 항 복 하중으로 정의하였다.

대부분의 접합부 실험체는 대체적으로 큰 변형 능력을 나 타내면서 종국 상태까지 연성적인 거동을 나타냈으며, 실험 체의 파괴 모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하나는 Y형 플레이트의 항복으로 인해 접합된 H형강 보와의 용접부 에 균열이 발생하여 파괴되는 접합부 파괴이며 다른 하나는 H 형강 보의 항복으로 인한 보의 휨 파괴로 구분되었다. Fig. 89는 실험결과 나타난 각각의 실험체들에 대한 하중-변위 관계 를 각 변수 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s .6, 7 Table 4

Fig. 6.

Method of Yield Strength

JKSMI-19-112_F6.jpg
Table 4

Failure mode of Specimens

Specimen h s (mm) t s (mm) Beam failure strength (KN) Failure mode

S 100-20 100 20 2000 beam failure
S 80-20 80 20 joint failure
S 120-20 120 20 beam failure
S 100-16 100 16 joint failure
S 100-24 100 24 beam failure
Fig. 7.

Failure Mode of Specimens

JKSMI-19-112_F7.jpg
Fig. 8.

Load-Displacement Curve of Y Type Plate Wide

JKSMI-19-112_F8.jpg
Fig. 9.

Load-Displacement Curve of Y Type Plate Thickness

JKSMI-19-112_F9.jpg

3.4.1. Y형 플레이트 폭에 대한 실험결과

Y형 플레이트 폭을 변수로 한 접합부 실험결과 Y형 플레이 트 폭이 80 mm인 실험체 S 80-20의 경우 H형강 보의 항복은 발생하였으나, 발생이후 접합부 근처의 H형강 보 플랜지가 항복으로 인한 면외 변형이 발생하여 접합부 부근 용접에 균 열 이 발생하면서, 하중의 증가에 따라 용접부 파단으로 인해 취성적으로 파괴되었다. Y형 플레이트 폭이 100 mm이상인 실험체 S 100-20, S 120-20의 경우 모두 H형강 보의 항복이 발 생하였으며, 발생이후 H형강 보의 휨 파괴가 발생하였다.

3.4.2. Y형 플레이트 두께에 대한 실험결과

Y형 플레이트 두께를 변수로 한 접합부 실험결과 Y형 플레 이트 두께가 16 mm인 실험체 S 100-16의 경우 Y형 플레이트 근처 플랜지의 항복이 발생하면서 접합부 파괴형태를 보였 다. 낮은 하중상태에서는 다른 실험체와 비슷한 초기강성 및 내력을 보였으나, H형강 보 항복 하중 이후, H형강 보의 전단 면이 소성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강성 및 내력 저하가 발생하 였다. Y형 플레이트 두께가 20 mm 이상인 실험체 S 100-20, S 100-24의 경우 H형강 보의 항복발생 이후 보의 휨 파괴를 보 였으며, 초기 강성 및 최대내력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4. 분석 및 고찰

4.1. 초기강성

초기강성은 Y형 플레이트 폭을 영향변수로 한 실험체 S 80-20, S 100-20, S 120-20을 비교한 결과 초기강성이 139.560 KN/mm, 162.902 KN/mm, 175.493 KN/mm으로 나타나 폭 증 가에 따라 초기강성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폭이 100 mm이상인 경우 초기강성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Y형 플레이트 두께를 영향변수로 한 실험체 S 100-16, S 100-20, S 100-24의 경우에도 초기강성을 비교해본 결과 123.597 KN/mm, 162.902 KN/mm, 171.565 KN/mm으로 두 께 증가에 따라 초기강성이 증가하였으나, 두께가 20 mm이 상인 경우 초기강성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최대내력

최대내력의 경우 Y형 플레이트 폭을 영향변수로 한 실험체 S 80-20, S 100-20, S 120-20의 비교결과 폭 증가에 따라 최대 내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폭이 100 mm 이상인 실험 체 S 100-20, S 120-20의 최대내력이 2134.6 KN, 2140.5 KN 으로 나타나 폭이 100 mm이상인 경우 폭 증가에 따른 내력증 가의 영향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Y형 플레이트 두께를 영향변수로 한 실험체의 경우 비교해 본 결과 두께가 20 mm이상인 실험체 S 100-20, S 100-24의 최 대내력이 2134.6 KN, 2182.1 KN으로 나타나 두께 증가에 따 라 최대내력이 증가하였으나, 두께가 20 mm이상인 경우 두 께 증가에 따른 최대내력 증가의 영향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따라서, 개발된 Y형 플레이트는 보와 기둥 연결 역할 뿐만 아니라, H형강 보의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 된다. Figs .10,11

Fig. 10.

Comparison of Initial Stiffness

JKSMI-19-112_F10.jpg
Fig. 11.

Comparison of Maximum Load

JKSMI-19-112_F11.jpg

4.3. 파괴형태

계획된 실험체 모두 Y형 플레이트의 장기허용인장력이 Y 형 플레이트와 접합된 H형강 보의 인장 측 플랜지의 축 방향 력 이하로 설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Y형 플레이트의 폭을 영향변수로 한 실험체들을 비교해본 결과 100 mm 이상인 실 험체 모두 H형강 보의 항복발생 이후 최종적으로 휨 파괴가 발생하였으며, 종국적으로 H형강 보의 전단면 소성화로 인한 플랜지의 면외 변형을 시작으로 웨브의 면외 변형으로 실험 이 종료되었다. 폭이 80 mm인 실험체의 경우 H형강 보 플랜 지의 항복으로 인한 면외 변형 발생 이후 접합부 부근 용접에 균열이 발생하여 하중 증가에 따라 용접부 파단으로 인한 취 성적 파괴가 발생하였다.

Y형 플레이트 두께를 영향변수로 한 실험체들의 비교결과 16 mm인 실험체의 경우 H형강 보의 항복이 발생하였으나, H 형강 보의 전단면이 소성상태에 도달 하기 전에 접합부 파괴가 발생하였다. 두께가 20 mm이상인 실험체들의 경우 H형강 보 의 항복이후 종국 상태에서 H형강 보의 전단면 소성화로 인해 웨브의 면외 변형이 발생하여 보의 휨 파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Y형 플레이트 폭 및 두께가 각각 100 mm 이상 20 mm 이상이어야 접합부의 파괴가 아닌 H형강 보의 휨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에 Y형 플레이트의 폭 및 두께의 최소값을 산정할 수 있는 설계식이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

5. 결 론

실험을 통해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원형 CFT 기둥-H형강 보 접합부의 구조 성능에 관한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원형 CFT 기둥-H형 강 보 접합부 접합상세를 개발하여 개발된 접합부에 영향 을 미치는 변수로 Y형 플레이트 폭 및 두께를 주요변수로 설정하여 실물크기의 실험체 5개를 제작하여 실험을 통해 개발된 접합상세의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2. 실험결과 Y형 플레이트 폭이 100 mm이상이어야 Y형 플레 이트의 항복으로 인한 접합부 파괴가 아닌 보의 휨 파괴가 발생하였으며, 초기강성과 최대내력을 비교해본 결과 폭 증가에 따라 초기강성과 최대내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 으나, 폭이 100 mm이상인 경우에 그 영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 Y형 플레이트 두께의 경우 두께가 20 mm이상이어야 접합 부 파괴가 아닌 보의 휨 파괴가 발생하였으며, 초기강성과 최대내력을 비교해본 결과 두께의 증가에 따라 초기강성 과 최대내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두께가 20 mm 이상인 경우 그 영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Y형 플레이트는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H형강 보의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것으 로 판단된다.

  4. 모든 실험체가 설계기준(한국강구조학회, 2003)이하로 설 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Y형 플레이트 폭 및 두께의 일정 값 이상에서 보의 휨 파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Y형 플레 이트를 적용한 접합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추후에 Y형 플레이트 최소 폭 및 최소두께를 산정할 수 있는 설계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2014R1A2A1105104P)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2004), Concrete Filled Tube(CFT) Structures. Kimoondang. Korea
2 
(2001), Experimental Behavior of Steel Beam to CFT Column Connection,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57(10)
3 
(1998), Experimental Behavior of Connections to Concrete-Filled Steel Tubes, J. Construct. Steel Res, 45(3)
4 
(2012),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Two Seam Cold-Formed Square CFT Column to Beam Connection with Internal Diaphrag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3(4)
5 
(2004), An Amalytic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crete Filled tubular Square Column-to-Beam Tensional Connections with Combined Cross Diaphragm,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2)
6 
(2012), Structural Behavior of Beam- Column Connections of Rectangular CFT Structures Improving Concrete Fi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8(11)
7 
(1997), Behavior of Concrete-Filled Square Steel Tubular Column - H Beam Connections with Exterior Diaphragm, University of Hanyang. Master Dissertation
8 
(1989), Strength of cast steel diaphragms for concrete filled RHS column, 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Structures II 1989
9 
(2011), Structural Behavior of Beam-to-Column Connections of Circular Structures Improving Concrete Fi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3(6)
10 
(1996), Analytical Behavior of Connections to Concrete-Filled Steel Tubes, J. Construct. Steel Res, 40(2)
11 
(2001), Monotonic behavior of composite column to beam connections, Engineering Structures, 23
12 
(2000), A Study on the Strength of Simplified Tensile Connection Model in Concrete filled-unfilled Square Tubular Column-H Beam Connec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
13 
(2000),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Shaped Beam-to-Concrete Filled Steel Square Tubular Column Connections (In Case of Simplified Model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1)
14 
(1995), An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 Properties of Concrete Filled Steel Tubular Stub-Column under Axial For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