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요철형 이음,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휨성능, 유한요소해석 모델
Ribbed connection, Precast bridge decks, Flexural performance, FEM model

1. 서 론

교량바닥판은 차량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기능적 특성뿐만 아니라 건조수축, 동결융해 등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교량 부재 중 가장 잦은 손상이 발생하는 부재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교량바닥판의 평균 수명은 약 17년 정도로 매우 짧 으며, 빈번한 보수, 보강 및 교체로 인해 교통체증과 안전문제 를 유발시키고 있다(Bae et al., 2014).

따라서 최근, 기존 교량바닥판의 노후화로 인해 신설뿐만 아니라 교체 및 보수보강 등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교량바닥판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현장타설 바닥 판은 보수 및 교체의 어려움, 공기 및 인건비의 증가, 초기균 열 우려 및 간접비용 증가 등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다. 반면, 사전에 공장제작 후 현장 조립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공 법은 품질확보 및 공기단축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기존 현장 타설 바닥판의 효과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바닥판간 이음부의 연결방법에 따라 구조물의 성능이 좌우되므로 강도 및 사용성 등을 확보 하면서 경제적인 급속시공이 가능한 이음부 연결기술이 중요 하다(Park et al., 2014).

프리캐스트 바닥판간 이음부에 대해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 어 왔으며, 이음부의 주요 형식은 종방향 프리스트레스 도입 에 의한 방법(Kim et al., 1997; Kim et al., 2004; Kim et al., 2007), Loop 이음(Ryu et al., 2003; Ryu et al., 2005; Chung et al., 2008), Headed Bar 이음(Li et al., 2010a; Li et al., 2010b) 및 볼트와 용접을 이용한 방법(Joo et al., 2003; Shah et al., 2007; Porter et al., 2011)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Shin et al., 2014). 그러나 기존의 연결 방법들은 프리캐스트 바닥판 간 연 결에 있어서 경제성과 시공성을 동시에 만족하지 못하기 때 문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활발한 적용에 한계가 있는 실정 이다(Shin et al., 2015).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경제성 및 시공 성의 개선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시스템을 제안하 였으며, 부재요소실험을 수행하여 제안된 연결시스템의 휨성 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수행된 실험모델을 대상으로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제안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시스템의 휨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결과와 해 석결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행된 비선형 해석의 적 합성을 확인하였다.

2. 실험모델

2.1 실험체 개요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실험모델은 선행 연구(Shin et al., 2015)에서 수행된 실험모델 중에서 가장 우수한 구조적 거동 을 보인 두 개의 비교실험체(HB 300 B, Loop 300 B)와 기준실 험체로서 이음부 없이 일체로 제작된 RC바닥판 실험체(RC) 포함하여 총 3개이다. 비교실험체는 두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 리트 부재 사이의 이음부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일 체화되었다. 모든 실험체는 길이 2,200 mm, 폭 800 mm, 두께 250 mm로 제작하였고, 프리캐스트 부재의 콘크리트 설계기 준압축강도는 40 MPa, 무수축 모르타르 압축강도는 60 MPa 로 하였다. 철근은 SD400을 사용하였으며, 폭 방향으로 150 mm 간격, 5열로 배근되었다.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음부의 휨성능 평가를 위한 구조실험 은 순수 휨모멘트에 따른 이음부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4점 휨 실험으로 수행되었다. 하중은 폭 100 mm의 하중 재하판을 사용하여 600 mm 간격의 두 지점에 재하하였으며, 실험체의 폭 방향으로 일정하게 분포시켰다. 실험체 제원 및 하중재하 위치는 Fig. 1과 같으며, 실험체의 주요특징은 Table 1과 같다. Table 1에서 알파벳 B는 요철형 단면을 의미하며, 실험체 이음부의 개요는 Fig. 2와 같다.

Fig. 1

Schematic of load condition for test

JKSMI-20-85_F1.jpg
Table 1

Main variables of test specimens

Specimen Joint length[mm] Joint type Type of joint section

RC - without joint -
HB 300 B 300 Headed bar Ribbed
Loop 300 B 300 Loop bar Ribbed
Fig. 2

Schematic drawing of specimens

JKSMI-20-85_F2.jpg

2.2 실험결과 요약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음부의 휨성능 평가를 위한 구조실험 은 Fig. 3과 같이 실험체의 파괴시까지 변위제어방법의 정적 실험으로 수행되었으며, 실험체가 최대 하중 도달 이후 수직 변위만 증가하는 단계에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Fig. 3

View of flexural bending test and LVDT, crack gauge

JKSMI-20-85_F3.jpg

Fig. 4는 각 실험체에 대한 하중-변위 관계를 나타낸 것이 며, 주요 실험결과는 Table 2와 같다. Loop 300 B의 경우 초기 강성, 최대 내력 및 연성거동에서 일체형 RC실험체와 동등 수 준의 구조적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Headed bar 이음인 HB 300 B의 경우, 최대 내력 이전까지는 일체형 RC실험체와 유 사한 구조적 거동을 보였으나 부재의 연성거동 확보를 위한 철근 겹침이음 길이의 부족으로 인해 최대 내력 이후 급격한 내력 감소를 보였다(Shin et al., 2015). 따라서 동일한 조건의 단면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연성거동 확보를 위해 Headed bar 이음은 루프 이음에 비해 보다 긴 겹침이음 길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Comparison of load-displacement diagram for specimens by experiment(Shin et al., 2015)

JKSMI-20-85_F4.jpg
Table 2

Maximum load and vertical displacement at the load position by experiment(Shin et al., 2015)

Specimen Joint type Max. load (kN) Displacement at the max. load(mm) Yield load (kN)

RC - 470 32 428
HB 300 B Headed bar 455 20 395
Loop 300 B Loop bar 470 24 469

3. 유한요소해석

3.1 모델 구성

각각의 실험체에 대해서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 6.9(2009)를 이용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 행하였다. 실험체 모델은 두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이음부 채움재인 무수축 모르타르 및 철근으로 이루어져 있 으며, 콘크리트와 무수축 모르타르는 1개의 적분점을 갖는 8 절점 Solid 요소(C3D8R)를 사용하였다. 콘크리트의 인장강 도 및 enhanced option 적용여부에 따른 변수해석을 통해 감차 적분(Reduced Integration)에 의한 hourglass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enhanced option을 적용하였다(Fig. 9). 철근은 2절점 3차 원 Truss 요소(T3D2)를 사용하여 실험체와 동일하게 모델링 하였으며, Headed Bar의 Head는 무수축 모르타르와의 지압 효과를 보이기 위해 2절점 Beam 요소(B31)로 모델링하였다. 콘크리트와 철근은 embedded region을 적용하여 완전 부착으 로 가정하였으며, 콘크리트와 무수축 모르타르 경계면에는 부착을 고려하여 contact 조건을 적용하였다. 하중은 실험조 건과 동일하게 폭 100 mm의 등분포하중으로 재하하였으며, 지점조건은 단순지지로 하였다. ABAQUS에서 제공하는 각 요소의 기본 형상 및 실험체의 유한요소모델은 각각 Table 3 및 Fig. 5와 같다.

Table 3

Shapes of element

Element Type Shape Applied member
Solid C3D8R JKSMI-20-85_T3-F1.jpg Concrete & Non-shrinkage mortar
Truss T3D2 JKSMI-20-85_T3-F2.jpg Rebar
Beam B31 JKSMI-20-85_T3-F3.jpg Head
Fig. 5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JKSMI-20-85_F5.jpg

3.2 콘크리트 재료모델

콘크리트의 선형 탄성 구간은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의 30%로 가정하였으며, 그때의 강도를 할선탄성계수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결정하였다(Bangash, 1989). 해석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일축압축강도는 실험체의 설계기 준 압축강도인 40 MPa로 하였다. 콘크리트의 응력이 선형 탄 성 구간을 넘어서면 콘크리트의 흐름법칙(flow rule)과 변형 률 경화법칙(strain hardening rule)에 의해 항복면이 결정되고 소성변형률이 계산된다. 콘크리트 소성모델에 의한 파괴기준 으로 Concrete Damaged Plasticity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콘크 리트의 변형률 경화법칙은 식 (1) 및 Fig. 6에 나타낸 것 같이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이 압축강도까지는 포물선 형태로 증가 하고 압축강도 이후는 선형으로 감소하는 수정된 Hognestad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하였다. 본 해석에서는 최대 압축강 도에서의 변형률(єo)과 극한변형률(єcu )을 각각 0.0025, 0.0033 으로 하였다. 한편, 다축응력상태에서의 콘크리트는 횡방향 구속효과에 의해 강도증가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효 과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응력상태 함수의 도입이 필요하다. Concrete Damaged Plasticity 모델에서는 Fig. 7에서와 같이 정수압 응력(Hydrostatic stress, p ) 성분과 편차응력(Deviatoric stress, q ) 성분의 조합에 의해 평면응력 상태에서의 항복면이 결정된다. 여기서, 계수 α는 2축 압축응력과 일축 압축응력의 비율에 대한 함수이며, 본 해석에서는 2축 압축응력 상태의 값으로 1.16을 적용하였다(Kupfer et al., 1969).

Fig. 6

Modified Hognestad stress-strain curve of concrete(Hognestad, 1951)

JKSMI-20-85_F6.jpg
Fig. 7

Yield surface in plane stress(ABAQUS 6.9, 2009)

JKSMI-20-85_F7.jpg

(1a)
f c = f c 2 c o c o 2 \quad \quad \quad \quad 0 < c < o

(1b)
f c = f c 1 0 . 15 c o cu o \quad \quad \quad \quad o < c < cu

여기서,

fc, єc :

콘크리트의 일축압축응력(MPa) 및 변형률

f′c :

콘크리트의 일축압축강도(MPa)

єo :

fc 에서의 압축변형률

єcu :

콘크리트의 극한압축변형률

콘크리트의 인장거동은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때까지 선형탄성거동을 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콘크리트에 발 생하는 주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재료는 탄성거동을 하지만 주인장응력이 인장강도에 도달하 면 최대 주소성변형률의 직각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고 재료 는 직교이방성의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균열면에서는 철근 과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에 의해 인장강화(tension stiffening) 거동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장강화 효과를 별도로 고려하 지 않고 Fig. 8과 같이 인장강화 효과 및 수렴성을 반영하여 균 열 후 콘크리트의 인장특성을 완전 소성 모델로 적용하였다 (Song et al., 2009).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fto는 일반적으로 설 계기준압축강도의 5%~8%로 알려져 있다(Chen, 1982). 그러 나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인장특성을 완전 소성 모델로 적용하였으므로 Fig. 9와 같이 하중-수직변위 관계의 실험결 과를 토대로 한 변수해석 결과,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압축 강도의 3%로 했을 경우에 실험결과와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3%로 결정하 였다. 유한요소해석에서 사용된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은 Table 4와 같다.

Fig. 8

Tensile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concrete

JKSMI-20-85_F8.jpg
Fig. 9

Parametric study of concrete tensile stress and enhanced option

JKSMI-20-85_F9.jpg
Table 4

Property of concrete

Compressive stength(MPa) 40
Tensile strength(MPa) 1.2
Poisson ratio 0.18
Mass density(kg/m3) 2,300
Elastic Modulus(MPa) 29,387

3.3 무수축 모르타르의 재료모델

해석에 사용된 무수축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실험체의 설 계 압축강도인 60 MPa을 적용하였으며, 비선형 재료모델은 콘크리트와 동일하게 Concrete Damaged Plasticity 모델을 사 용하였다. 무수축 모르타르의 재료특성은 선행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즉, 선형 탄성 구간은 압축강도 f′m 의 30%로 가정하였으며, 인장강도 fmt는 압축강도의 2%인 1.2 MPa로 완전 탄소성 모델을 적용하였다(Joo et al., 2014). 압축 강도에서의 변형률 єo 및 극한변형률 єcu은 각각 0.013, 0.019 로 하였으며, 탄성계수는 식 (2)에 의해 12,000 MPa로 하였다 (Kaushik et al., 2007). 유한요소해석에서 사용된 무수축 모르 타르의 재료 특성은 Table 5와 같으며, 무수축 모르타르의 응 력-변형률 관계는 Fig. 10과 같다.

(2)
E m = 200 f m

Table 5

Property of non-shrinkage mortar

Compressive stength(MPa) 60
Tensile strength(MPa) 1.2
Poisson ratio 0.18
Mass density(kg/m3) 2,100
Elastic Modulus(MPa) 12,000
Fig. 10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non-shrinkage mortar

JKSMI-20-85_F10.jpg

여기서,

Em :

무수축 모르타르의 탄성계수(MPa)

fm :

무수축 모르타르의 일축압축강도(MPa)

3.4 철근의 재료모델

실험체에 사용된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 MPa이며, 철근의 재료특성은 Fig. 11과 같이 선형탄성거동 이후에 완전 소성거 동을 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embedded region 조건을 사용하여 철근과 콘크리트는 완전 부착 상태라고 가정하였 다. 해석에 사용된 철근의 재료 특성은 Table 6과 같다.

Fig. 11

Stress-strain relationship of rebar

JKSMI-20-85_F11.jpg
Table 6

Property of rebar

Yield stength(MPa) 400
Poisson ratio 0.3
Mass density(kg/m3) 7,850
Elastic Modulus(MPa) 20,000

3.5 접촉조건

본 해석에서 콘크리트 본체와 무수축 모르타르와의 이음부 경계면에 Contact 조건을 적용하여 경계면의 직각방향으로 벌어짐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12와 같이 경계면의 수직방향 응력이 부착강도에 도달 전까지 선형으로 증가하고 부착파괴 후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응력 변화를 고려하였다. 부착강도에 대한 변수해석 결과, 본 연구의 실험체와 같이 이 음부 하부에 돌출부가 있으며, 이음부 단면이 요철형인 경우 는 부착강도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13). 따 라서 무수축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의 부착강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Chung et al., 2004)를 참고하여 부착강도는 0.5 MPa 로 하였으며, 구조물기초설계기준해설(Korean Geotechnical Society, 2009)을 참고하여 이음부 경계면에서의 마찰계수는 0.5로 하였다.

Fig. 12

Relationship between bond strength and bond failure

JKSMI-20-85_F12.jpg
Fig. 13

Parametric study of bond strength(Loop 300 B)

JKSMI-20-85_F13.jpg

4 실험 결과 및 해석 결과의 비교분석

Fig. 14는 각 실험체의 해석에 의한 실험체의 하중단계별 인장 소성 변형률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서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 변형률 이후 균열양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실 험체의 전반적인 균열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소성 변형률의 색이 진해질수록 인장 소성 변형률의 증가에 따른 균열폭의 증가를 의미한다. Fig. 14에서 최대하중의 17%는 각 실험체의 초기 균열하중 단계이다. Fig. 14에서 보면, 이음부가 없는 RC 실험체는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부분에서 균열이 집중되 는 전형적인 휨 거동의 양상을 보였으며, HB 300 B 및 Loop 300 B는 이음부 경계면 및 프리캐스트 바닥판 본체에서 균열 이 발생된 후 점차 채움재인 무수축 모르타르 내부 및 실험체 의 지점 방향으로 균열이 진전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Fig. 14와 Fig. 15에 나타낸 선행연구의 실험결과(Shin et al., 2015)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유사한 균열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4

Plastic strain distribution

JKSMI-20-85_F14.jpg
Fig. 15

Cracks of specimens(Shin et al., 2015)

JKSMI-20-85_F15.jpg

Fig. 16은 각 실험체에 대하여 실험과 해석결과의 하중-수 직변위 관계를 비교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나 타내었다. HB 300 B의 경우(Fig. 16(b)), 실험결과는 최대 하 중이후 하중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유한요소해석 결과 는 내력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실험에서는 최대 하중 이후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파괴로 인해 내력이 감소하였으나 해석에서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완전 부착으로 가정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에 최대하중에 대 한 실험 및 해석결과를 비교하였으며, Fig. 16 및 Table 7의 값 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압축강도의 3%로 했을 때의 결과 이다.

Fig. 16

Comparison of load-displacement between experiment and analysis

JKSMI-20-85_F16.jpg
Table 7

Comparison of the Max. load between experiment and analysis

Specimen Maximum Load(kN)

EXP FEM FEM/EXP

RC 470 448 -5%
HB 300 B 455 432 -5%
Loop 300 B 470 487 +4%

Fig. 17에 유한요소해석 및 실험 결과의 철근 하중-변형률 관계를 비교하였다. 하중-변형률 측정위치는 위험 단면인 콘 크리트와 무수축 모르타르의 이음부 경계면으로 하였으며, 약간의 오차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유사한 철근 변형률 거동 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근의 항복변형률은 항복강도 400 MPa일 경우 0.002이지만 실제 시공된 규격철근의 항복 강도는 그 이상이 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 따라 철근의 항복변형률 0.0035에 상응하는 하중을 항복하중 으로 하였다. Table 8에 철근의 항복하중에 대한 실험결과 및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Fig. 17

Comparison of load-rebar strain between experiment and analysis

JKSMI-20-85_F17.jpg
Table 8

Comparison of the yield load between experiment and analysis

Specimen Steel Yield Load(kNSteel Yield Load(kN

EXP FEM FEM/EXP

RC 428 409 -4%
HB 300 B 395 383 -3%
Loop 300 B 469 408 -13%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수행된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새로운 이음 형식인 요철형 이음단면을 갖는 요소실험체를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휨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유한요소해석의 적합성을 확인 하였다.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실험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얻 기 위해서는 적절한 요소의 선정 및 요소의 분할 뿐만 아니라 실험체에 사용된 재료특성 등에 대한 정확한 입력이 필요하 다. 그러나 유한요소해석에 실험조건을 100% 동일하게 적용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 험체를 구성하는 재료특성으로 각각의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실험결과 및 사전 변수해석을 통해 요소의 크기 및 입력변수 들을 결정하여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구성하였다.

균열 양상, 하중-수직변위 관계 및 철근의 거동 등 유한요소 해석 결과는 극한강도에 대해서는 5%, 철근의 항복하중에 대 해서는 최대 13%, 평균 5% 정도로 실험결과를 비교적 정확하 게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된 유 한요소해석 모델은 향후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음부의 실험연 구를 위한 예비 수단으로서 사전 극한거동예측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되며, 이음부의 설계식 도출을 위한 변수해석 연구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실험조건으로부터의 결과이므로 향후 보 다 다양한 조건을 갖는 실험결과와의 비교분석이 수행된다면 더욱 합리적인 모델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건설기술 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13건설기술A01)에 의해 수행되었습 니다.

References

1 
(2009), Abaqus analysis user's manual version 6.9
2 
(2014), “Minimum thickness of long-span RC deck slabs for 2-girder bridges designed by 80MPa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9(5), 97-103.
3 
(1989), Concrete and Concrete Structure : Numerical Modeling and Applications
4 
(1982), Plasticity in Reinforced Concrete
5 
(2008), “Experimental study on connectability of half-depth precast deck panels with loop joi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4A), 581-590.
6 
(2004), Evaluation and Experiment of Prefabricated PC Manhole Joint, Research Report
7 
(1951), A Study of Combined Bending and Axial Load in Reinforced Concrete Members, Bulletin 399
8 
(2003), “Bending behavior of joint section according to connection methods between precast deck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9 
(2014), “Strength evaluation on sectional members of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arch with reinforced joi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5), 1363-1372.
10 
(2007), “Stress-strain characteristics of clay brick masonry under uniaxial compression”, Journal of Material in Civil Engineering, 19(9), 728-739.
11 
(2007), “Rapid and mechanized construction of bridge deck with precast concrete deck system used longitudinal tend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9(3), 50-54.
12 
(2012), Concrete structural design specification and commentary
13 
(2009), Structure foundation design
14 
(1969), “Behavior of concrete under biaxial stresses”, Journal of American Concrete Institute, 66(8), 656-666.
15 
(2010a), “Improved longitudinal joint details in decked bulb tees for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Concept Development”,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5(3), 327-336.
16 
(2010b), “Improved longitudinal joint details in decked bulb tees for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fatigue evaluation”,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5(5), 511-522.
17 
(2014),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s between precast segmental bridge deck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8 
(2011), “Flexural testing of precast bridge deck panel connections”,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6(3), 422-430.
19 
(2005), “Static and fatigue behavior of a precast deck with joints in a continuous composite two-girder brid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5(5A), 801-811.
20 
(2003), “Bending tests of precast deck with loop joints”,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1 
(2007), “Experimental study on prefabricated concrete bridge girder-to-girder intermittent bolted connections system”,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12(5), 570-584.
22 
(2015), “Evaluation on flexural performance of precast bridge decks with ribbed conne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3), 1-9.
23 
(2014), “Technology trends review in precast deck connections”,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8(1), 132-135.
24 
(2009), “Nonlinear analysis of CFT truss girder with the arch-shaped lower cho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6A), 625-639.